KR20180125664A -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 Google Patents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664A
KR20180125664A KR1020170059978A KR20170059978A KR20180125664A KR 20180125664 A KR20180125664 A KR 20180125664A KR 1020170059978 A KR1020170059978 A KR 1020170059978A KR 20170059978 A KR20170059978 A KR 20170059978A KR 20180125664 A KR20180125664 A KR 2018012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fenacin
film
salt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414B1 (ko
Inventor
이진호
신준호
김종화
황희정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제약
Priority to KR102017005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414B1/ko
Priority to PCT/KR2018/005527 priority patent/WO2018212541A1/ko
Publication of KR2018012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the ring forming part of a bridged ring system, e.g. quinucl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Abstract

본 발명은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의 구강붕해필름제이다. 본 발명은 정제와 견주었을 때 약물의 안정성과 용해도는 동등하면서, 약물의 떫은 맛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물 없이도 구강 내에서 빠르게 녹여 먹을 수 있어 환자의 복용 순응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ORAL DISSOLVING FILM COMPRISING SOLIFENACIN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의 구강붕해필름으로서, 약물의 떫은 맛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고, 물 없이도 구강 내에서 빠르게 녹여 먹을 수 있어 환자의 복용 순응도를 높인 과민성방광증상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과민성방광이란 절박성요실금의 동반여부에 관계없이 요절박이 주를 이루고 빈뇨와 야간빈뇨를 동반하는 증상군으로 이루어진 질환이다. 과민성방광은 매우 흔하며 비록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만성적인 경과를 취하면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훼손하고 정신사회적인 면을 제한하는 질환이다.
특히 45 세 이상의 남녀에서 과민성방광은 성별에 관계없이 증가되며, 연령이 증가될 수록 과민성방광을 지닌 환자의 비율이 증가된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경우 입원 당시 62 % 에서 배뇨장애를 호소하고, 재활치료 후에도 36 % 에서 배뇨장애를 호소한다고 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의 구강붕해필름 제제는 구강 내에서 쉽게 붕해 또는 용해되어 물 없이도 복용할 수 있으므로, 과민성방광 환자들 중 정제나 츄정 등을 복용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연하곤란 환자들에게 특별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솔리페나신은 항무스카린제로서 방광의 수축 억제를 통해 과민성방광으로 인한 빈뇨나 절박요실금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제이다. 솔리페나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3864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솔리페나신은 1-아자비시클로[2.2.2]옥트-3-일(1R)-1-페닐-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복실레이트 또는 (1R,3'R)-3'-퀴누클리디닐-1-페닐-1,2,3,4-테트라히드로-2-이소퀴놀린카르복실레이트로 명명되며,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솔리페나신은 제제학적 관점에서 1 일 투여되는 원약의 양이 10 mg 미만인 경우 제제 중의 분해생성물의 안전성 확인이 필요한 임계치가 원약 중에 포함되는 분해생성물의 백분율로서 1.0 % 또는 분해생성물의 1 일 총 섭취량 50 ㎍ 중 낮은 것이어야 한다. 만약 1 일에 투여되는 원약의 양이 10 mg 이상 100 mg 이하인 경우는 제제 중의 분해생성물의 안전성 확인이 필요한 임계치가 원약 중에 포함되는 분해생성물의 백분율로서 0.5 % 또는 분해생성물의 1 일 총 섭취량 200 ㎍ 중 낮은 것이어야 한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분해생성불의 안전성을 확인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는 분해생성물의 규격치는 예컨대 약물 함량이 5 mg 인 제제라면 원약 중에 포함되는 분해생성물의 백분율이 1.0 % 이하이어야 하고, 약물함량이 10 mg 인 제제라면 원약 중에 포함되는 분해생성물의 백분율이 0.5 % 이하이어야 한다. 위 기준에 의거할 때 유효성분으로서 5 mg 또는 10 mg 의 솔리페나신을 함유하는 제제를 설계하고자 할 때는 솔리페나신의 주분해물의 양을 0.5 % 이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270908호는 솔리페나신의 경시적 분해가 비정질체의 솔리페나신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솔리페나신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제제 내의 주성분의 비정질체의 함량을 제한하는 제제를 개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342786호는 HPMC 등의 일반적인 결합제가 경시적 분해의 주된 원인인 솔리페나신의 비정질체의 생성에 크게 관여한다고 보아, 결합제로서의 PEG 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3864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270908호
전술한 선행기술은 일관되게 정제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정제는 연하곤란이 있는 환자가 복용하기에 이롭지 않다. 과민성방광은 45 세 이상의 고 연령대에서 발병한다. 정제를 삼키거나 물을 마실 때 정상적으로는 아무런 감각이나 저항 없이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통과하는데, 45 세 이상의 노인층은 정제가 지나가는 감각이 느껴지거나 의약품이 식도 내에서 내려가다가 지체되거나 중간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연하곤란을 토로하는 비율이 상당하다.
따라서 솔리페나신은 연하곤란이 있는 자도 손쉽게 복용할 수 있는 제형으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붕해필름은 물 없이 혀 위에 올려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구강붕해필름은 우표와 비슷한 모양과 두께를 가진 얇은 필름으로서 혀에 올려놓기 좋은 사이즈이며, 주로 혀 위나 아래, 구강 내 점막에서 빠르게 붕해되어 약물을 위장관으로 이동시킨다. 구강붕해필름은 정제와 견주었을 때 복용편의성 차원에서 현저한 우위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솔리페나신을 구강붕해필름제제로 구현하고자 했다. 다만 구강붕해필름은 솔리페나신의 안정성도 확보해야 하지만, 혀에서 붕해되므로 약물 고유의 떫은 맛을 차폐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솔리페나신의 떫은 맛의 단점을 개선하고, 정제와 유사한 용출율을 구현하며, 안정성이 확보된 구강붕해필름의 상도가 목적이었다.
전술한 과제는 아래의 수단으로써 해결했다.
1.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와 균질하게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상기 1 에 있어서, 혼합물이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과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를 물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여 수득한 수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혼합물이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및 알긴산나트륨을 물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여 수득한 수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규산칼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2 : 1 내지 2 : 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상기 5 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5 : 1 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규산칼슘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1 : 1 내지 2 : 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상기 7 에 있어서, 규산칼슘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3 : 1 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01/070194 는 이온교환수지를 주성분에 흡착시켜 약물의 고미의 차폐를 시도한다. 그러나 이온교환수지는 필름 성형시 스크래치를 유발해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작업이 복잡해 생산성도 좋지 않다.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03/070227 은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시켜 약물의 고미의 차폐를 시도한다. 그러나 탄산수소나트륨은 쓴맛이 강한 약물에는 차폐에 한계가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8/0044454 는 주성분을 코팅하여 약물의 고미의 차폐를 시도한다. 그러나 코팅공정을 추가로 수반하는 것은 제조공정이 복잡해 생산단가가 높다.
하지만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와 주성분을 균질하게 혼합함으로써 솔리페나신의 고유의 떫은 맛을 완벽하게 차폐했다. 이는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와 솔리페나신 상호 간에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상호작용이 적용된 결과인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은 솔리페나신 특유의 고미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며, 별도의 물을 먹지 않고도 구강 내 타액에 의해 빠르게 붕해 및 용해되므로, 정제를 삼키기 어려운 연하곤란 환자에게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정제와 용출율 및 안정성이 대등한 구강붕해필름제이다.
도 1 은 실시예 1 과 베시케어정의 pH 1.2, pH 4.0, pH 6.8 및 물 조건에서의 용출율을 대비한 것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5 와 비교예 6 의 pH 1.2, pH 4.0, pH 6.8 및 물 조건에서의 용출율을 대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인체 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성분이란 제제의 제조시 사용하는 원료 중에서 위 약리학적 활성이 발현될 것으로 기대되는 성분을 말한다. 제제는 주성분과 첨가제로 구성되며, 주성분은 제제학적 관점에 따라 적절하게 유효성분을 변형한 물질을 채용하기도 한다. 예로써 유효성분의 용해도 또는 안정성의 개선을 위해 염 또는 프로드러그 등의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은 주성분을 일컫는 단어이며, 이의 염으로는 솔리페나신숙신산염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필름형성제, 가소제, 감미제, 기타 첨가제란 구강붕해필름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성분을 말한다. 바람직한 필름형성제, 가소제, 감미제, 기타 첨가제는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하는 성분 이외는 위 공지된 성분에서 적의 채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제이다.
삼키기 힘들고, 붕해 시간만큼 약효발현시간이 지체되며, 복용시 물 또는 음료가 필요하다는 정제의 단점을 개선한 제제가 구강붕해필름제이다. 그런데 정제 대비 구강붕해필름제로 구현된 약물의 수는 많지 않다. 이유는 필름의 제조공정의 난해성과 약물 고유의 맛 차폐의 기술적 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이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와 균질하게 혼합했을 때 솔리페나신 특유의 고미가 현저하게 차폐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어 완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특징적 사항으로서 강조하는 점 이외는 통상의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식을 준용한다.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성분과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가소제(코팅층의 유연성과 탄성을 부과하여 내구성을 제공하는 물질), 감미제, 기타 첨가제를 적절한 함량으로 배합한다.
필름형성제는 필름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주로 사용하며, 풀루란, 젤라틴, 펙틴, 저점도 펙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점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알긴산, 저점도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변성 전분, 카제인, 유장단백분리물, 콩단백분리물, 제인, 레반, 엘시난, 글루텐, 아카시아검, 카라기난,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겔란검 또는 아가 등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필름형성제는 구강붕해필름의 총 중량 대비 5.0 내지 75.0 중량% (w/w) 를 배합할 수 있다.
가소제는 필름의 유연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글리세린지방상에스테르,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효소처리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수첨물엿, 물엿,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글리세롤올레이트, 자당 지방상에스테르 또는 중쇄 지방산 등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함량은 구강붕해필름 전체 중량 대비 0.5 - 20.0 중량% (w/w) 배합할 수 있다.
감미제는 설탕, 포도당, 말토스, 올리고당, 갈락토스, 물엿, 솔비톨, 말티톨, 전화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수첨물엿, 만니톨, 트레할로스, 아스파탐, 아세설팜염, 수크랄로오스, 사카린염, 네오타임, 타오마틴, 토마틴혼합물, 사이클라메이트염, 토마틴, 나한과추출물, 감초추출물, 스테비오사이드, 효소처리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또는 모넬린 등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함량은 구강붕해필름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0 중량% (w/w) 배합할 수 있다.
구강붕해필름은 통상 조액공정, 성형공정, 숙성공정, 컷팅공정, 포장공정을 통해 조제된다.
조액공정은 용매에 주성분, 필름형성제, 가소제, 감미제, 기타 첨가제 등을 넣고 균질하게 되도록 교반하여 구강붕해필름 제조용 조액을 수득하는 공정이다. 용매는 멸균정제수나 정제수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름형성제, 가소제, 감미제, 기타 첨가제를 적의 채택하면서, 조액공정에서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를 필수적으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과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를 먼저 물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에 적의 채택한 필름형성제, 가소제, 감미제, 기타 첨가제 등을 넣고 구강붕해필름 제조용 조액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는 정확한 원리는 모르겠으나, 솔리페나신과 상호작용을 하여, 그 특유의 고미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는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의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2 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고미 차폐에 효과적이다. 특히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이 0.5 : 1 일 때 고미 차폐가 탁월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알긴산나트륨을 추가의 필수구성으로서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및 알긴산나트륨을 먼저 물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에 적의 채택한 필름형성제, 가소제, 감미제, 기타 첨가제 등을 넣고 구강붕해필름 제조용 조액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에 알긴산나트륨을 조합했을 때 솔리페나신의 고미 차폐력이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규산칼슘을 추가의 필수구성으로서 함유한다. 규산칼슘은 솔리페나신의 안정성, 용출율, 고미 차폐 등의 여러 방면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보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규산칼슘은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의 중량비율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발현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비율은 규산칼슘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이 0.3 : 1 인 경우이다.
성형공정은 상기 조액을 성형기에 투입하여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해 필름으로 만드는 공정이다. 성형기의 건조 조건은 60 내지 120 °C 가 적당하다.
숙성공정은 성형된 필름에 필요하면 상대습도 30 내지 70 % 에서 1 일 내지 10 일 정도 숙성하는 공정이다. 숙성된 필름은 컷팅하기에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수분함량은 20 % 이하가 적당하다.
컷팅공정은 숙성된 필름을 적당한 크기로 컷팅하는 공정이다.
포장공정은 컷팅된 필름을 작용 용기 또는 알루미늄 포장지에 포장하는 공정이다.
위 공정은 본원발명의 특징을 제외하고는 업계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위에 기술된 제조 공정으로 하기의 표 1 의 조성에 따라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한다. 이하의 실험은 아래의 조성비율를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가로 27mm, 세로 32mm, 두께 약 100㎛로 만들어 수행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wt% wt% wt% wt% wt%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5.56 5.56 5.56 5.56 5.56
에틸셀룰로오스 - 5.56 - - -
알긴산나트륨 11.11 11.11 - 11.11 11.11
히드록시프로필베타덱스 22.22 22.22 - 22.22 22.22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 - 22.22 - -
규산칼슘 3.33 3.33 3.33 - -
미결정셀룰로오스 - - - 3.33 -
경질무수규산 - - - - 3.33
폴리소르베이트-20 4.44 4.44 4.44 4.44 4.44
글리세린 4.44 4.44 4.44 4.44 4.44
수크랄로스 5.56 5.56 5.56 5.56 5.56
엘-멘톨 0.56 0.56 0.56 0.56 0.56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0.11 0.11 0.11 0.11 0.11
오파드라이핑크 0.56 0.56 0.56 0.56 0.56
폴리비닐알코올 6.67 6.67 6.67 6.67 6.67
히드록시프로셀룰로우스-L 24.33 18.77 24.33 24.33 24.33
솔리페나신숙신산염 11.11 11.11 11.11 11.11 11.11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비교예 1 내지 6]
떫은 맛 차폐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래의 표 2 의 조성으로 비교예 1 내지 4 로 세분하여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용출률 비교를 위해 아래의 표 2와 같이 비교예 5 내지 6 으로 세분하여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5 비교예6
wt% wt% wt% wt% wt% wt%
수산화나트륨 4.00 - - - - -
산화마그네슘 1.50 - - - - -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 - 22.22 - -
히드록시프로필베타덱스 - - 22.22 - 22.22 22.22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 - - - - 11.11
규산칼슘 3.33 3.33 3.33 3.33 - -
폴리소르베이트-20 4.44 4.44 4.44 4.44 4.44 4.44
글리세린 4.44 4.44 4.44 4.44 4.44 4.44
수크랄로스 5.56 5.56 5.56 5.56 5.56 5.56
아스파탐 1.50 - - - - -
엘-멘톨 0.56 0.56 0.56 0.56 0.56 0.56
폴리비닐알코올 6.67 6.67 6.67 6.67 6.67 6.67
히드록시프로셀룰로오스-L 56.22 63.22 41.00 41.00 44.33 33.22
솔리페나신숙신산염 11.11 11.11 11.11 11.11 11.11 11.11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실험예 1] 맛 전자혀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를 가지고 맛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전자혀를 사용한 맛 시험을 진행하였다. 전자혀 시험은 식품품질안전센터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표4에 기록하였다.
쓴 맛의 척도는 표준물질(Quininne)에 대한 맛 센서의 감응도를 10점 표기법으로 나타내었으며, 쓴 맛이 강할수록 10점에 가까운 점수를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쓴맛지수 3.5 3.8 4.5 5.1 7.7 9.4 7.6 6.4
[실험예 2] 물성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5 를 가지고 구강붕해필름의 제품성 평가를 위해 기초적인 필름의 물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물성평가는 필름 내구성 확인을 위한 인장강도 시험과 용해시간 확인을 위한 붕해시험, 구강내 붕해시간 확인을 위한 설문평가 및 전반적인 필름 성상에 대한 만족도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5는 실시예 1 내지 5의 필름 물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정리한 내용이다. 표 5에 개시한 것처럼 필름 물성에 대한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인장강도는 207 ~ 501gf로 나타났다. 실시예에서 보는바와 같이 포접이나, 코팅, 흡착을 위해 사용된 부형제들이 필름 물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인장강도 465gf 482gf 479gf 501gf 243gf
붕해시간 32초 27초 30초 36초 30초
구강붕해 15초 17초 15초 19초 15초
만족도 1.8 1.7 1.8 2.0 2.0
[실험예 3] 비교용출
상기 실험예 1과 4, 5및 비교예 5내지 6을 가지고 솔리페나신숙신산염 오리지널 제품인 베시케어정 10mg과 비교용출시험을 진행하여 구강붕해필름과 정제와의 약효동등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그림 1은 실시예 1과 베시케어정 10mg의 비교용출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정리한 내용이며, 주요 6가지 pH에서 비교용출을 확인하였을 때 모든 조건에서 용출시간 15분에 대조약과 평균 용출률이 15% 이내로 동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림 2는 실시예 4와 5는 솔리페나신 용출이 실시예 1과 비슷한 용출을 보이나, 비교예 5 내지 6은 용출률에 차이를 나타내므로 흡착제가 용출률에 주요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와 균질하게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과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를 물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여 수득한 수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및 알긴산나트륨을 물에 넣은 후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여 수득한 수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규산칼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2 : 1 내지 2 : 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5 : 1 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규산칼슘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1 : 1 내지 2 : 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규산칼슘 :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염을 0.3 : 1 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0059978A 2017-05-15 2017-05-15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KR10214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78A KR102148414B1 (ko) 2017-05-15 2017-05-15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PCT/KR2018/005527 WO2018212541A1 (ko) 2017-05-15 2018-05-15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78A KR102148414B1 (ko) 2017-05-15 2017-05-15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664A true KR20180125664A (ko) 2018-11-26
KR102148414B1 KR102148414B1 (ko) 2020-08-26

Family

ID=6427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978A KR102148414B1 (ko) 2017-05-15 2017-05-15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8414B1 (ko)
WO (1) WO20182125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71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종근당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230120924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서울제약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0492A (zh) * 2020-03-27 2021-09-28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一种毒蕈碱受体拮抗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487B1 (ko) 1994-12-28 2003-09-26 야마노우치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퀴누클리딘유도체및이의약제학적조성물
US20050175689A1 (en) * 2003-10-27 2005-08-11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Co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drug for intrabuccally fast disintegrating tablet
KR101270908B1 (ko) 2004-03-25 2013-06-03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솔리페나신 또는 그의 염의 고형 제제용 조성물
KR101407922B1 (ko) * 2013-11-14 2014-06-17 주식회사 서울제약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77364A1 (ja) * 2004-02-18 2005-08-25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ソリフェナシンの経皮投与製剤およびその経皮透過改善方法
KR101111534B1 (ko) * 2010-12-24 2012-02-15 (주)비씨월드제약 구강 속붕해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3053189A1 (en) * 2012-12-20 2014-06-26 Kashiv Biosciences, Llc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formulation for enhanced bioavailab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487B1 (ko) 1994-12-28 2003-09-26 야마노우치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퀴누클리딘유도체및이의약제학적조성물
US20050175689A1 (en) * 2003-10-27 2005-08-11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Co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drug for intrabuccally fast disintegrating tablet
KR101270908B1 (ko) 2004-03-25 2013-06-03 아스텔라스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솔리페나신 또는 그의 염의 고형 제제용 조성물
KR101407922B1 (ko) * 2013-11-14 2014-06-17 주식회사 서울제약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4271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종근당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230065222A (ko) 2020-03-10 2023-05-11 주식회사 종근당 솔리페나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230120924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서울제약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414B1 (ko) 2020-08-26
WO2018212541A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028B1 (en) Fast-dissolving oral film for effectively concealing unpleasant tastes
JP5941558B2 (ja) シルデナフィ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し、且つ、苦味の隠蔽された高含量速溶フィルム
AU2007275581B2 (en) Transmucosal delivery devices with enhanced uptake
KR101188594B1 (ko) 쓴맛이 차단된 실데나필 시트르산의 구강내 속붕해 필름제형
KR101553207B1 (ko) 도네페질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25664A (ko)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CN111065384A (zh) 扑热息痛的口腔崩解膜组合物
US10226450B2 (en) Pharmaceutical film composition
JP6491191B2 (ja) 咽喉炎、嗄声及び関連の空咳、並びに口腔及び咽頭腔の炎症性疾患の治療用ロゼンジ剤
KR101328350B1 (ko) 실데나필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미가 은폐된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53894B1 (ko) 온단세트론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형 필름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Mahdi Oral jellies for improving oral drug delivery in dysphagia
KR101440808B1 (ko) 실데나필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속용필름
KR102295596B1 (ko) 엔테카비르 함유 구강 붕해 필름제형
CN116172984B (zh) 一种溴吡斯的明口溶膜剂及其制备方法
KR20230173533A (ko) 신규한 구강용해산 조성물
JP2013032408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KR20130089112A (ko) 실데나필 시트레이트염을 포함하는 속효성 구강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50284A (ja) 口中溶解型又は咀嚼型鼻炎治療用固形内服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