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24A -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 Google Patents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24A
KR20230120924A KR1020220017778A KR20220017778A KR20230120924A KR 20230120924 A KR20230120924 A KR 20230120924A KR 1020220017778 A KR1020220017778 A KR 1020220017778A KR 20220017778 A KR20220017778 A KR 20220017778A KR 20230120924 A KR20230120924 A KR 2023012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ral
oral disintegrating
disintegrating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완
박민우
조용희
최동운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제약
Priority to KR102022001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924A/ko
Publication of KR2023012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을 함유하기 어려운 구강붕해필름의 한계점을 극복한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관한 것으로서, 유효성분인 유단백가수분해물을 고함량으로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맛과 유연성, 브리틀리스가 우수하며, 끈적임이 적고, 붕해시간이 짧아 섭취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ORAL DISINTEGRATION FILMS COMPRISING MILK PROTEIN HYDROLYSATES}
본 발명은 구강붕해필름 제형의 단점으로 여겨졌던 유효성분을 고함량화하여 제조하기 힘들다는 점을 극복한 것으로서, 고유의 취(비릿함)를 개선하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락티움)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에 관한 것이다.
구강붕해필름(Oral Disintegration Films)은 구강 내에서 쉽게 붕해 또는 용해되는 것으로서 물이 없이도 복용할 수 있으므로 정제 또는 캅셀제를 복용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장애자,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 그리고 바쁜 현대인들에게도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제형이다.
특히 노인과 어린이에게는 정제 또는 캅셀제의 대용으로 액상제제의 처방이 가능하지만, 액상제제는 안정성이 떨어지고, 용량이 정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구강붕해필름을 구강 점막 등에 부착함으로써 약물이 구강 점막으로 흡수될 경우 간초회통과(first pass effect)도 회피할 수 있으므로, 간 대사를 많이 받는 약물들에 대해서는 구강 점막에 부착하는 구강붕해필름으로 개발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강붕해필름은 Novartis 사의 트라이어미닉 씬 스트립(Triaminic Thin Strip®)에 적용되어 상품화된 이후 의약품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의 영역까지 다양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구강붕해필름은 만들기 어렵고 제조원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휴대 및 복용의 편의성으로 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강붕해필름의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구강붕해필름 1매 당 질량의 한계로 인하여 고용량/고함량 제제에의 적용을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붕해필름 1매 당 적절한 활성성분의 함유량은 약 30% 이내로 알려져 있고, 30% 이상 활성성분이 함유되면 구강붕해필름의 물리적/기계적 물성이 약해져 브리틀니스(Brittleness)가 증가하고, 제조 공정 및 유통 과정 중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용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상품화된 고함량 구강붕해필름으로 Novartis 사의 가스-엑스 씬스트립(Gas-X Thin Strips®)은 구강붕해필름 1매 당 무게가 110 mg이고 활성성분인 시메티콘(Simethicone)이 62.5 mg으로 구강붕해필름 1매 당 활성성분의 함량이 57%로서 50% 이상의 활성성분을 함유해 상용화된 구강붕해필름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활성성분이 액상으로서 구강붕해필름의 유연성 및 브리틀리스에는 부(-)의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구강붕해필름 1매 당 적절한 활성성분의 함유량은 약 30% 이내로 알려져 있고, 그 활성성분이 액상이 아닌, 분말의 형태로 함유되면 필름의 물리적인 물성이 약해져 브리틀니스가 증가하고 제조 공정 및 유통 과정 중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용화가 어렵다. 가스-엑스 씬스트립(Gas-X Thin Strips®)과 비아그라(Viagra®) 제품은 상용화된 속용 필름 제제중 활성성분의 비율이 50% 이상인 브리틀니스가 비교적 양호한 구강붕해필름이다.
또한 구강붕해필름은 통상 붕해시험기 내에서 3분 이내에 붕해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므로, 두께가 50~150 ㎛이고, 크기가 가로 22 mm 세로 32 mm 정도로서, 넓이가 7 ~ 9 ㎠ 정도가 일반적이다. 가로와 세로의 크기를 약간 늘린 구강붕해필름도 있지만, 소비자의 복용 편리성을 감안해 10 ㎠를 넘는 예는 복용에 큰 불편이 따를 수 있다. 그리고, 필름의 두께와 크기의 제한 때문에 구강붕해필름 1매 당 질량이 50~150 mg 정도의 제품이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성분을 가지는 원료인 기능성 원료는 비타민 및 무기질 제외한 주원료들에서 고함량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능성을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함량을 만족해야하는 것도 있지만, 요구되는 지표성분의 함량범위가 넓게 제시됨에 따라 상품의 경쟁력 확보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위해서 고함량 제품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삼, 홍삼,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녹차추출물, 코엔자임Q10, 유단백가수분해물 등 건강기능식품에서는 고함량의 유효성분을 로딩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를 적합한 고함량의 구강붕해필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실험적 데이터와 노하우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강붕해필름에 대한 선행연구로 멜록시캄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멜록시캄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한국등록특허 제10-22091040호), 산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구취제거용 구강붕해 필름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843750호), 분산성이 개선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 구강 붕해 필름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516875호),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하는 구강붕해필름(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5664호), 시메티콘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2766호), 타다라필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5389850호) 쓴맛이 차폐된 온단세트론 구강붕해필름(한국등록특허 제10-15372630호), 엔테카비르 함유 구강 붕해 필름제형(한국등록특허 제10-22955960),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개선된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레이트 합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강 붕해 필름(ODF)제형의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16774330호) 등이 있다.
상기 선행연구들은 대부분이 건강기능식품을 위한 제형 개발 보다는 의약품 제형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구강붕해필름의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의 약리효과를 가질 수 있는 원료의 형태와 함량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가 되지 않는다는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들이 구강붕해필름 제형의 개발에서 주원료의 성상과 특성에 맞는 제형을 개발하는 방법에 치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단백가수분해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서, 수면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다.
유단백가수분해물의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완화를 위해서는 1일 150 mg의복용이 권장되고 있으므로 구강붕해필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단백가수분해물의 함량이 150 mg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고함량 구강붕해필름 제제인 가스-엑스 씬스트립(Gas-X Thin Strips®, 유효성분 62.5 mg 시메티콘 포함)과 비아그라(Viagra®, 유효성분 실데나필 50~100 mg)의 유효성분 함량을 고려하면, 유단백가수분해물의 함량이 고함량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현재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및 복용의 편의성으로 보다 선호되고 있는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한 구강붕해필름 제형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09104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437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1687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566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276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3898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37263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95596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7743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구체적으로,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이상인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특정 필름형성기제를 특정 중량비로 조합함으로써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고유의 취를 개선하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구체적인 해결과제로 한다.
더불어, 필름형성기제는 플루란, 히알루론산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구체적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수단을 개시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단백가수분해물(protein milk hydrolysate); 필름형성기제;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으로서, 유단백가수분해물은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은 종래 구강붕해필름 대비 기능성 원료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필름의 무게와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필름 물성 약화, 브리틀니스의 증가, 유통과정 중 깨짐 현상 및 구강 내 붕해시간 증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은 최적의 지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포장 및 유통과정에서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은 감미제의 성분을 다량 포함하지 않더라도 유단백가수분해물의 고유의 취(비릿함)를 차폐하여 복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투입 후 육안으로 관찰한 코팅액의 성상 (a 부분), 및 비커로 옮겨담아 올바르게 용해된 모습(b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투입 후 용해된 코팅액을 육안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액을 도포하여 제조한 구강붕해필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3 및 5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4, 실시예 6 내지 9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에 대한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에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 (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유단백가수분해물 150 mg 이상이 함유된 구강붕해필름을 만들기 위해서 고분자 비율을 조절하여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이상 활성성분을 함유한 제제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활성성분인 유단백가수분해물이 45 중량% 이상 함유된 경우 필름을 설계할 경우 필름의 1매 당 질량이 약 200 ~ 300mg 이고, 필름의 두께가 200 ~ 300 ㎛인 것이 되는데, 기존 상용화된 제품들(50~150 ㎛)보다 두꺼워지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 (필름의 물리적인 물성이 약해져 브리틀니스의 증가, 제조 공정 및 유통 과정 중 깨지는 현상, 및 구강 내 붕해시간의 증가)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본 발명은 유단백가수분해물(protein milk hydrolysate); 필름형성기제;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으로서, 유단백가수분해물은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단백가수분해물은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45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중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종래 구강붕해필름에 포함된 주성분의 최대함량은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중량%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인 유단백가수분해물을 적어도 45 중량% 이상의 고함량으로 함유하게 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니즈를 확보할 수 있는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풀루란, 젤라틴, 펙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변성전분, 카제인, 레반, 글루텐, 아카시아검, 카라기난,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겔란 검 및 아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풀루란, 히알루론산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1) 플루란과 히알루론산의 조합, 플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조합, 히알루론산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조합이거나, (2) 플루란, 히알루론산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플루란, 히알루론산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루란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노출 환경에 민감하여, 높은 습도 노출 시, 필름의 끈적임이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에서는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히알루론산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플루란 보다는 덜하지만, 노출환경에 따라 끈적임과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플루란 및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분량 투입 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형성하고, 그에 따른 건조 불균일 및 필름형성능력이 떨어지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적은 힘에도 잘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강붕해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필름형성기제 중에서 플루란, 히알루론산, 그리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조합함으로써 기능성 원료인 유단백가수분해물을 고함량으로 함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구강 내 붕해시간이 빠르게 하고, 구강 내 이물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고함량의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브리틀니스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가 풀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조합일 경우 풀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19.0:1.0 ~ 1.0:1.0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19.0:1.0 ~ 3.0:1.0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로 풀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조합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중량%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5 중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유연성(flexibility)과 부서짐(brittleness)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효소처리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수첨물엿, 물엿,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글리세롤올레이트,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및 중쇄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및 자일리톨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폴리소르페이트, 폴록사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는 (1) 글리세린과 폴리소르베이트의 조합, 폴리소르베이트와 자일리톨의 조합이거나, (2) 글리세린, 폴리소르베이트 및 자일리톨의 조합일 수 있다.
가소제 단독 또는 계면활성제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조액의 안정성 (상분리, 침전 등), 필름의 생산성 (PET 와의 박리, 끈적임 등), 필름물성 (유연성, 붕해시간 등) 등에 영향을 줄 수가 있으나, 상기 글리세린 및/또는 자일리톨과, 폴리소르베이트가 조합될 경우, 양호한 필름물성 및 필름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가 글리세린과 폴리소르베이트의 조합일 경우 글리세린과 폴리소르베이트가 4.05 : 1.0 ~ 12.0 : 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 내지 3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2 내지 4.5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붕해필름은 감미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 또는 pH 조절제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설탕, 포도당, 말토스, 올리고당, 갈락토스, 물엿, 솔비톨, 말티톨, 전화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아스파탐, 아세설팜, 슈크랄로스, 사카린, 감초 추출물,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타우마틴 및 모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료, 색소, 또는 pH 조절제는 약제학적으로 구강붕해필름에 포함될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붕해필름은 200 내지 300 μm의 두께로 형성된 경우 pH가 5.5 ~ 6.5의 범위이고, 온도 37±2℃인 정제수로 붕해시험법을 진행했을 때 붕해시간이 30 내지 90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붕해필름은 유효성분이, 필름면적 8.64cm2 일 때, 유단백가수분해물을 150 mg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단위면적 당 17.36 mg 이상을 함유하는 구강붕해필름일 수 있다 (17.36 mg/cm2).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붕해필름은 90℃ ~ 125℃에서 20분 이내 건조한 후 측정하였을 때 지수분 값이 14% 내지 20%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면,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1. 필름 코팅액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하기 방법으로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필름코팅액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혼합은 교반기 및 호모게나이저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글리세린과 폴리소르베이트 20을 넣고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준비하였다 (제1혼합 조건: 20±10분 교반).
이후 제1혼합액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넣고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준비한 후(제2혼합 조건: 60±30분 교반, 도 1 참조), 수크랄로오스, 자일리톨 및 MD90(합성감미제, 토마틴과 덱스트린의 조합)을 혼합하여 제3혼합액을 준비하였다 (제3혼합 조건: 20±10분 교반).
제3혼합액에 히알루론산을 넣고 혼합하여 제4혼합액을 준비한 후(제4혼합 조건: 20±10분 교반), 유단백가수분해물(락티움)을 넣고 혼합하여 제5혼합액을 준비하였다(제5혼합 조건: 교반기 및 호모게나이저 60±30분 교반, 도 2 참조).
그리고 나서 밀크향을 넣고 혼합하여 제6혼합액을 준비한 후(제6혼합 조건: 20±10분 교반), 플루란을 넣고 혼합하여 제7혼합액을 준비하였다 (제7혼합 조건: 20±10분 교반, 제7혼합액의 점도: 4,000 ~ 7,000 CPs).
제7혼합액을 진공 조건에서 감압(조건: 약 -0.8 bar, 8시간 이상) 및 탈포과정을 거쳐 유효성분인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준비하였다.
2.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위 방법으로 준비된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코팅기에 넣고 Liner (PET 필름) 상에 코팅액를 casting 하여 코팅한 후, 약 90 ~ 125 ℃ 에서 약 20분 건조하고나서, 약 3 ~ 10 일 동안 숙성기간을 거쳐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3 참조,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3.3 mg ± 13.67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4.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57.0 20.9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4.8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0 1.1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4.50 1.7
감미제 MD90 1.50 0.5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7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3.30 100.0
총 질량 685.80
(상기 표 1에서, 「필름 고형분 총 중량」이란, 유단백가수분해물 구강붕해필름 제조용 조성물에서 용제를 제외한 기능성원료, 필름형성기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감미제 등 용제를 제외한 모든 구성성분 중량의 총 합을 의미한다. 이하 표 2 내지 표 13에 기재되어 있는 「필름 고형분 총 중량」 역시 동일한 의미이다.)
실시예 2.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3.3 mg ± 13.67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4.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54.50 20.0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4.8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50 2.0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4.50 1.7
감미제 MD90 1.50 0.5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7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3.30 100.0
총 질량 685.80
실시예 3.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3.3 mg ± 13.67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4.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50.0 18.3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4.8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3.7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4.50 1.7
감미제 MD90 1.50 0.5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7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3.30 100.0
총 질량 685.80
실시예 4.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3.3 mg ± 13.67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4.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40.0 14.7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4.8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0.0 7.3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4.50 1.7
감미제 MD90 1.50 0.5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7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3.30 100.0
총 질량 685.80
실시예 5.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3.3 mg ± 13.67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4.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30.0 11.0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4.8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0.0 11.0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4.50 1.7
감미제 MD90 1.50 0.5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7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3.30 100.0
총 질량 685.80
실시예 6.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53.8 mg ± 12.69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9.1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30.0 11.8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6.0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3.9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5.0 2.0
감미제 MD90 1.50 0.6
감미제 밀크향 3.0 1.2
가소제 자일리톨 7.50 3.0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3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53.80
총 질량 666.30
실시예 7.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7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58.8 mg ± 12.94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7.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30.0 11.6
가소제 글리세린 40.50 15.6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3.9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10.0 3.9
감미제 MD90 1.50 0.6
감미제 밀크향 3.0 1.2
가소제 자일리톨 7.50 2.9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3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58.80 100.0
총 질량 671.30
실시예 8.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8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38.3 mg ± 11.92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63.0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30.0 12.6
가소제 글리세린 25.0 10.5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4.2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5.0 2.0
감미제 MD90 1.50 0.6
감미제 밀크향 3.0 1.3
가소제 자일리톨 7.50 3.1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6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38.30 100.0
총 질량 650.80
실시예 9.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9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3.3 mg ± 13.67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4.9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30.0 11.0
가소제 글리세린 60.0 22.0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3.7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5.0 1.8
감미제 MD90 1.50 0.5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7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3.30 100.0
총 질량 685.80
비교예 1.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10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2.3 mg ± 13.62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5.1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65.0 23.9
가소제 글리세린 40.0 14.7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 -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5.0 1.8
감미제 MD90 1.5 0.6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 2.8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 -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2.3 100.0
총 질량 684.8
비교예 2.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11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2.3 mg ± 13.62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5.1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 -
가소제 글리세린 40.0 14.7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5.0 23.9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5.0 1.8
감미제 MD90 1.5 0.6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 2.8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 -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2.3 100.0
총 질량 684.8
비교예 3.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12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72.3 mg ± 13.62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5.1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 -
가소제 글리세린 40.0 14.7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 -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5.0 1.8
감미제 MD90 1.5 0.6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 2.8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5.0 23.9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72.3 100.0
총 질량 684.8
비교예 4.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의 제조
하기 표 13의 조성에 따라 칭량한 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였다 (숙성 전후 지수분: 14% ~ 20%, 필름두께: 0.2 ~ 0.3 mm, 필름크기: 3.2 × 2.7 cm, 필름무게: 268.8 mg ± 13.44 mg).
배합목적 원료명 함량 (mg/1매) 중량%
기능성원료 유단백가수분해물 150.0 55.8
필름형성기제 풀루란 50.0 18.6
가소제 글리세린 40.5 15.1
필름형성기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0.0 3.7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20 - -
감미제 MD90 1.50 0.6
감미제 밀크향 3.0 1.1
가소제 자일리톨 7.50 2.8
필름형성기제 히알루론산 6.0 2.2
감미제 수크랄로오스 0.3 0.1
용제 정제수 적량 -
총 조성 (필름 고형분 총 중량) 268.80 100.0
총 질량 681.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면,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분석방법
1. 필름코팅액의 성상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코팅액의 상분리 및 성상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2. 필름코팅액의 pH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코팅액의 pH는 pH 측정 장치(Thermo-scientific Orion Star A-211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필름코팅액의 점도 확인
점도는 Brookfield Ametek(Middleboro, MA)에 의해 제조된 Brookfield LV점도계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스핀들 # 63). 점도는 실온에서 측정되었다.
4. 지수분 (paper moisture)
구강붕해필름의 지수분은 약 90 ~ 125 ℃ 에서 약 20분 이내 건조하여 제조된 필름의 표면의 수분의 양을 지수분 측정기(HK-300, KETT electric laborato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인장강도 및 신장률
<인장강도 분석 조건>
Target value - 50.0mm, Target load - 1.5g, Test speed - 0.5 mm/s (기기 모델명: TA CT3)
<측정 방법>
필름 세로 길이인 3.2cm 중 각각의 grip에 포함되는 길이는 1.1cm ± 0.05cm, 상하 그립간 길이는 1cm ± 0.05cm로 하였다.
<인장강도 계산식>
<신장률 계산식>
(△L은 늘어난 시편의 길이를 의미하고, L0는 초기 시편의 길이를 의미한다.)
6. 구강붕해필름의 박리테스트
지지 필름인 PET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되는 정도는 하기 1 ~ 5 로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박리가 잘 됨을 의미한다.
<박리성 점수>
1: 박리가 매우 안됨, 2: 박리가 잘 안됨
3: 박리가 보통임, 4: 박리가 잘됨
5: 박리가 매우잘됨
7. 구강붕해필름의 끈적거림 평가
건조 된 필름의 표면을 수동으로 터치하거나, 필름을 절반으로 접었을 때, 서로 달라붙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끈적임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끈적임 점수>
1: 매우 끈적이며, 필름이 서로 달라붙어 다시 분리가 안됨
2: 끈적이며, 필름이 서로 달라붙어 다시 분리가 어려움
3: 끈적이기는 하나, 필름이 서로 달라붙어도 다시 분리가 됨
4: 끈적임이 적고, 필름이 서로 달라붙지 않음
5: 끈적임이 거의 없고, 필름이 서로 달라붙지 않음
8. 구강붕해필름의 이물감 평가
구강붕해필름에 대한 이물감을 확인하기 위해 25세~53세 남녀 10명에게 설문평가를 진행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이물감 평가 점수>
1: 이물감이 강하여 매우 불쾌함
2: 이물감이 있어 약간 불쾌함
3: 이물감이 보통임
4: 이물감이 거의 없음
5: 이물감이 전혀 없음
9. 구강붕해필름의 붕해시간 평가
대한민국약전 제 12개정에 수재된 일반시험법 중 붕해시험법을 참고하였다.
실험예 1.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필름코팅액 및 구강붕해필름의 비교 (필름형성기제를 1종 사용 시 물성 비교)
하기 표 14를 참조하면, 필름형성기제를 1종 사용하였을 때 코팅필름액의 성상이 불량하며, 코팅필름액을 기재필름에 도포하였을 때 필름상태가 좋지 못하므로 구강붕해필름으로의 적용은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코팅액 물성 상분리 없음 없음 없음
성상 양호 불균일한 덩어리 양호
점도:: 3000~9000 cPs 5900 cPs 3000 cPs 9000 cPs
pH 5.88 5.85 4.41
기계적 물성 인장강도(gf) 박리과정에서 깨지는 현상이 잦아서 물성 측정이 어려움
신장률(%)
필름 상태 코팅 직후 물성은 좋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깨지는 현상이 발생함 코팅 직후 끈적거리면서 깨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 매끈하면서 표면이 다소 거칠며, 깨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
실험예 2. 실시예 1, 2, 3, 4 및 5에 따라 제조된 필름코팅액 및 구강붕해필름의 비교(플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비율에 따른 물성 비교)
하기 표 1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 3, 4 및 5에 따른 필름코팅액의 물성은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2 및 3 구강붕해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박리성, 그리고 이물감이 없으면서도 빠르게 구강 내에서 붕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시간에 따른 인장강도(X: 초 / Y축: 인장강도) 그래프로서, 약 10초까지 실험을 진행했으며, Y축 스케일은 실시예 1, 3 및 5가 다르게 나타냈다.
위 내용을 통해 풀루란의 함량이 고함량일수록 구강붕해필름의 인장강도는 낮지만, 신장률은 높으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함량이 고함량일수록 인장강도는 높지만 바로 깨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적절한 유연성 및 인장강도를 가지는 구강붕해필름의 조성은 고분자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1매 당 3~10 mg이 함유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코팅액 물성 상분리 X X X X X
성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작은입자 관찰됨
점도:: 4000~7000 cPs 6400 cPs 5500 cPs 4700 cPs 6000 cPs 7000 cPs
pH 5.66 5.87 5.99 5.81 5.72
기계적 물성 인장강도(gf) 523.1 ± 58.5 603.4 ± 120.7 875.6 ± 111.3 954.3 ± 154.9 1138.9 ± 216.6
신장률(%) 14.1 ± 3.5 11.2±2.3 7.2 ± 2.9 3.0±1.8 1.4 ± 0.7
박리성 4 4 5 4 4
끈적거림 3 3 4 2 2
이물감 5 5 5 3 2
붕해시간 약 90초 약 90초 약 90초 약 90초 약 120초
실험예 3. 비교예 4 및 실시예 6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필름코팅액 및 구강붕해필름의 비교(계면활성제와 가소제에 따른 물성 비교)
표 16을 참조하면, 비교예 4의 경우 구강붕해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측정할 수 없으며, 박리성이 현저히 떨어져 구강붕해필름으로의 적용이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6 내지 9에 따른 필름코팅액의 물성은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실시예 6 내지 9의 구강붕해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박리성, 그리고 이물감이 없으면서도 빠르게 구강 내에서 붕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시간에 따른 인장강도(X: 초 / Y축: 인장강도) 그래프로서, 약 10초까지 실험을 진행했으며, Y축 스케일은 실시예 6 내지 9가 다르게 나타냈다.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구강붕해필름은 인장강도의 측정이 불가하였으며, 실시예 6 내지 9를 보면 실시예 6, 7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의 인장강도는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 3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의 인장강도와 유사한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8에 따른 구강붕해필름은 실시예 9에 따른 구강붕해필름과 인장강도는 유사하나 이른 시간에 필름이 끊어짐을 확인하였으나, 인장강도와 필름의 물성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코팅액 물성 상분리 X X X X
성상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점도:: 4000~7000 cPs 4350 cPs 5100 cPs 4660 cPs 5300 cPs 5800 cPs
pH 6.00 5.99 5.99 5.97 5.98
기계적 물성 인장강도(gf) 측정불가 760.3±135.8 1011.4±192.2 850.4±203.7 887.6±140.9
신장률(%) 6.8±2.6 7.0±1.9 3.1±1.5 8.6±2.2
박리성 2 5 5+ 5 4
끈적거림 2 4 5 4 3
이물감 - 5 5 5 5
붕해시간 - 약 90초 약 90초 약 90초 약 90초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될 것이다.

Claims (18)

  1. 유단백가수분해물(protein milk hydrolysate);
    필름형성기제;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으로서,
    유단백가수분해물은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중량%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풀루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젤라틴, 펙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알긴산, 알긴산 나트륨, 변성전분, 카제인, 레반, 글루텐, 아카시아검, 카라기난,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겔란 검 및 아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풀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조합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풀루란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19.0:1.0 ~ 1.0:1.0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구강붕해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기제는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15 중량%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스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효소처리레시틴, 폴리소르베이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수첨물엿, 물엿, 글리세린, 트리아세틴, 글리세롤올레이트,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및 중쇄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폴리소르페이트, 폴록사머,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자당지방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글리세린 및 자일리톨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가 글리세린과 폴리소르베이트의 조합일 경우 글리세린 및 폴리소르베이트가 4.05 : 1.0 ~ 12.0 : 1.0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구강붕해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구강붕해필름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구강붕해필름은 감미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 또는 pH 조절제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강붕해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설탕, 포도당, 말토스, 올리고당, 갈락토스, 물엿, 솔비톨, 말티톨, 전화당,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아스파탐, 아세설팜, 슈크랄로스, 사카린, 감초 추출물,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타우마틴 및 모넬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붕해필름은 200 내지 300 μm의 두께로 형성된 경우 pH가 5.5 ~ 6.5 이고, 온도 범위 37±2℃ 인 정제수로 붕해시험법을 진행했을 때 붕해시간이 30 내지 90초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붕해필름은 유효성분이, 필름면적 8.64cm2 일 때, 유단백가수분해물을 150 mg 이상 포함하는 것인 구강붕해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구강붕해필름은 90 ~ 125℃ 에서 20분이내 건조한 후 측정하였을 때 지수분 값이 14% 내지 20%인 것인 구강붕해필름.
KR1020220017778A 2022-02-10 2022-02-10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KR20230120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78A KR20230120924A (ko) 2022-02-10 2022-02-10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78A KR20230120924A (ko) 2022-02-10 2022-02-10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24A true KR20230120924A (ko) 2023-08-17

Family

ID=8780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78A KR20230120924A (ko) 2022-02-10 2022-02-10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924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875B1 (ko) 2013-08-21 2015-04-30 (주)우신메딕스 분산성이 개선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 구강 붕해 필름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7263B1 (ko) 2014-09-29 2015-07-17 주식회사 서울제약 쓴맛이 차폐된 온단세트론 구강붕해필름
KR101538985B1 (ko) 2014-09-02 2015-07-24 주식회사 서울제약 타다라필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4330B1 (ko) 2012-06-25 2016-11-08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아연 (ii) 아미딘 착체를 포함하는 수성 수지상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3750B1 (ko) 2016-11-23 2018-04-05 주식회사 케이원 산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구취제거용 구강붕해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766A (ko) 2017-02-10 2018-08-20 대화제약 주식회사 고함량의 시메티콘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5664A (ko)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서울제약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KR102091040B1 (ko) 2015-11-27 2020-03-19 하이만 센서 게엠베하 웨이퍼-레벨 패키지의 열 적외선 센서 어레이
KR102295960B1 (ko) 2015-02-10 2021-09-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기반의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30B1 (ko) 2012-06-25 2016-11-08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오하이오 인코포레이티드 아연 (ii) 아미딘 착체를 포함하는 수성 수지상 분산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16875B1 (ko) 2013-08-21 2015-04-30 (주)우신메딕스 분산성이 개선된 실데나필 시트레이트 구강 붕해 필름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8985B1 (ko) 2014-09-02 2015-07-24 주식회사 서울제약 타다라필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7263B1 (ko) 2014-09-29 2015-07-17 주식회사 서울제약 쓴맛이 차폐된 온단세트론 구강붕해필름
KR102295960B1 (ko) 2015-02-10 2021-09-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기반의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102091040B1 (ko) 2015-11-27 2020-03-19 하이만 센서 게엠베하 웨이퍼-레벨 패키지의 열 적외선 센서 어레이
KR101843750B1 (ko) 2016-11-23 2018-04-05 주식회사 케이원 산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구취제거용 구강붕해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766A (ko) 2017-02-10 2018-08-20 대화제약 주식회사 고함량의 시메티콘을 함유한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5664A (ko)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서울제약 솔리페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붕해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Orally disintegrating films focusing on formulation, manufacturing process, and characterization
Karki et al. Thin films as an emerging platform for drug delivery
Mandeep et al. Fast Dissolving Films: An Innovative Drug Delivery System.
Nagaraju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oral disintegrating films
Mahboob et al. Oral films: A comprehensive review
Mahajan et al.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ast dissolving buccal films: A review
Madhavi et al. Buccal film drug delivery system-an innovative and emerging technology
Mahesh et al. Development of taste masked fast disintegrating films of levocetirizine dihydrochloride for oral use
Rajaram et al. Buccal Mucoadhesive Films: A Review.
JP2009514845A (ja) 味マスキング用多層コーティング技術
Pawar et al. A review on mouth dissolving film
Nishiyama et al. Preparation of bitter taste-masking granules of lafutidine for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using water-insoluble/soluble polymer combinations
Parejiya et al. Quick dissolving films of nebivolol hydrochloride: formulation and optimization by a simplex lattice design
Dey et al. Wafers: an innovative advancement of orodispersible films
Lade Milind et al. Polymer based wafer technology: A Review
EP4171526A1 (en) Oral film of hiv drugs
Kumar et al. Oral dissolving films: an effective tool for fast therapeutic action
Garsuch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ast-dissolving oral films for pediatric use
Arora et al. A review on new generation orodispersible films and its novel approaches
Chauhan et al. Oral delivery of zolmitriptan loaded fast disintegrating film: Formulation development, statistical optimization, in-vitro and in-vivo evaluation
KR20230120924A (ko) 유단백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Vaidya et al. Oral fast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 A modern approach for patient compliance
Reddy An Introduction to Fast Dissolving Oral Thin Film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CN113440499B (zh) 叶酸口溶膜剂及其制备方法
Husain et al. Development,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colloid based mouth dissolving film of Telmisartan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