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841A -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841A
KR20180124841A KR1020187019863A KR20187019863A KR20180124841A KR 20180124841 A KR20180124841 A KR 20180124841A KR 1020187019863 A KR1020187019863 A KR 1020187019863A KR 20187019863 A KR20187019863 A KR 20187019863A KR 20180124841 A KR20180124841 A KR 20180124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indication information
acces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펭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1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available power or ener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발견 신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능력 및/또는 상태에 기반하여 D2D 통신을 진행하여 D2D 통신 방식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장치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모바일 통신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소스 단말기가 타깃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해당 소스 단말기는 우선 기지국과 연결을 구축한 다음 기지국을 거쳐 소스 단말기의 데이터를 타깃 단말기에 전송해야 한다.
장기 진화 (Long Term Evolution, LTE) R12 버전에서는 D2D 통신 기술을 도입하였고, 단말기 직접 연결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D2D 통신 기술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D2D 전체 과정은 대체적으로 D2D 발견 과정과 D2D 통신 과정으로 나뉠 수 있는데, 여기서 D2D 발견 과정에서 D2D 단말기는 다른 D2D 단말기가 방송하는 발견 신호를 검출하여 근거리 범위 내에 다른 D2D 단말기의 존재를 검출하고 다른 D2D 단말기의 신원 정보를 인식한다. D2D 통신 과정에서, D2D 단말기 사이는 근거리에서 음성 통화 또는 멀티미디어 정보 공유 등 여러가지 형식의 데이터 교환을 진행할 수 있다.
LTE의 R13 버전은 D2D 협업 중계 통신 기술을 도입하였다. D2D 협업 중계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가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환경에 있거나, 단말기의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열악한 경우, 해당 단말기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범위 내의 다른 단말기를 발판으로 하여 기지국에 접속(또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발판으로 사용되는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 또는 중계 노드라 할 수 있다.
미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의미의 단말기 외에도 점점 많은 유형의 다른 단말기가 나타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스마트워치, 무선 TV, 스마트 안경, 로봇, 워치 등이다. 이러한 특수한 유형의 단말기는 원가가 낮고 기지국에 직접 접속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어, 종종 중계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해야 한다. 이러한 특수한 유형의 단말기는 상이한 대역폭과 송신 전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밖에, D2D 협업 중계 통신 기술에서, 상이한 중계 단말기의 상태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기량 또는 부하가 어느 임계값에 도달하는 중계 단말기가 새로운 단말기에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단말기 사이는 모두 통일된 방식으로 D2D 발견 및 D2D 통신을 진행하기에 단말기의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절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통신 방식은 유연성이 없다.
본원 발명은 D2D 통신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발견 신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능력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능력 레벨과 능력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상태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상태 레벨과 상태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집합 또는 단말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가 발견 신호에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접속을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집합 또는 단말기 집합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제2 단말기의 상태는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가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 타입 집합을 가리킬 수 있고, 또는 제2 단말기의 상태는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단말기 집합을 가리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카테고리의 접속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난수의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기설정된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상기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의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중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ProSe) 프로토콜 계층 중에 포함된다.
본원 발명은 단말기의 능력 및/또는 상태에 기반하여 D2D 통신을 진행하여 D2D 통신 방식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묘사되는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이 이러한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발견 신호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반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반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여러가지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 어드밴스드(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일반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 5G 등이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 이동국(Mobile Station, MS) , 휴대폰(Mobile Telephone), 송수화기(handset) 및 휴대용 기기(portable equipment)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 기기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코어 망(core network)과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는 휴대폰(또는 “셀룰러” 전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 등일 수 있고, 사용자 기기는 휴대용, 포켓,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 또는 차량 탑재 이동 장치일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는 기존 의미의 단말기 외에도 예를 들면 스마트 밴드, 무선 TV, 스마트 안경, 로봇, 워치 등 다른 유형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중의 기지국(NodeB)일수도 있으며, LTE 중의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5G 통신 네트워크 중의 액세스 기능을 구비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미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의미의 단말기 외에도 점점 많은 유형의 다른 단말기가 나타나게 되는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태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가 D2D 통신을 진행하기 전에 일정한 방식을 통해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자체 능력 또는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해당 단말기가 낮은 원가, 낮은 대역폭의 단말기인지의 여부, 해당 단말기의 최대 송신 전력, 전기량, 부하 및 해당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 등을 알게 하여, 다른 단말기가 적합한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D2D 통신을 진행하기 전에, D2D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기는 주위의 단말기에 발견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발견 신호에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단말기의 능력은 예를 들면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단말기의 송신 전력, 단말기가 중계 단말기로 사용되어 다른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는지의 여부, 해당 단말기를 중계 단말기로 하여 다른 단말기가 접속하는 서비스 타입 및/또는 다른 단말기가 접속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또는 확률) 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상태는 예를 들면 단말기의 부하, 단말기의 전기량 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발견 신호의 프로토콜 스택 포맷의 개략도이다. 발견 신호의 프로토콜 스택은 ProSe 프로토콜 계층(또는 상층, upper layer),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물리 계층(PHY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ProSe은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를 나타낼 수 있으며, 즉 근거리 서비스를 나타내고, ProSe 프로토콜 계층은 단말기의 ProSe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이에서 ProSe식별자를 통해 서로 식별하고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에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물리 계층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단말기는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의 DCI 포맷 중의 정보 필드를 통해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발견 신호의 MAC 계층에 위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MAC 계층의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에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단말기는 발견 신호의 MAC CE 중의 비트(bit) 또는 색인(index)을 통해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발견 신호의 ProSe 프로토콜 계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일예로, 단말기는 발견 신호의ProSe 프로토콜 계층 중의 정보 필트를 통해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태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시 정보에 대한 지시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직접 지시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간접 지시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능력 또는 상태를 미리 몇개의 레벨로 나누어 놓을 수 있는데, 상이한 능력 레벨은 단말기의 상이한 능력에 대응될 수 있고, 상이한 상태 레벨은 단말기의 상이한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능력 레벨 정보 및/또는 상태 레벨 정보를 포함한다. 능력 레벨 또는 상태 레벨을 통해 지시하는 방식은 지시 정보의 오버헤드(overhead)를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능력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또는 단말기가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을 포함할수 있다. 단말기의 대역폭 레벨을 미리 구획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단말기의 대역폭 레벨을 200 kHz, 1.4 MHz, 5 MHz 등 다수의 레벨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능력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송신 전력(예를 들면 최대 송신 전력, 평균 송신 전력 등)을 포함할수 있다. 단말기의 송신 전력의 레벨을 미리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20 dBm, 23 dBm등 레벨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상태는 단말기의 전기량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전기량의 레벨을 미리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전기량 레벨을20 %, 50 %, 80 % 등 레벨로 나눌 수 있다. 물론, 단말기의 상태는 단말기의 부하 등 다른 상태일 수 있으나 구체적인 구획의 원칙은 비슷하기에, 여기에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 D2D 협업 중계 통신 기술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반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제1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이고,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자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단계 또는 동작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동작 또는 도 2 중의 여러가지 동작의 변형된 형태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밖에, 도 2 중의 각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모든 동작을 꼭 실행해야 할 필요는 없다.
단계 210: 제2 단말기는 발견 신호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가 D2D 통신을 진행하고자 하거나,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발견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단말기거나, 기지국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낮은 원가 및/또는 낮은 대역폭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밖에,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에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단말기의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단말기의 능력 및 지시 정보가 발견 신호 중에 포함되는 방식은 앞선 내용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단계 220: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이 200 kHz이고, 송신 전력이 20 dBm일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상응한 대역폭 자원 및 송신 전력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230: 제1 단말기를 중계 단말기로 하여, 제2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한다.
제2 단말기가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제1 단말기는 단계 220에서 결정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의 능력에 기반하여 적합한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기에, D2D 협업 중계 통신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반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제2 단말기는 중계 단말기이고,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자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단계 또는 동작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동작 또는 도 3 중의 여러가지 동작의 변형된 형태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밖에, 도 3 중의 각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순서로 실행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모든 동작을 꼭 실행해야 할 필요는 없다.
단계 310: 제2 단말기는 발견 신호을 송신한다.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에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말기의 현재 전기량, 부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0: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는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일 수 있고, 이때 제2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의해, 제2 단말기를 통해 접속을 진행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의 전기량을 예로 들면, 임계값을 제2 단말기의 전기량의 30 %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지시 정보가 제2 단말기의 전기량이 20 %임을 지시하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지 않고, 만약 지시 정보가 제2 단말기의 전기량이 40 %임을 지시하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는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지의 여부, 및/또는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및/또는 서비스의 접속 확률(또는 우선 순위)을 지시할 수 있다. 일예로, 지시 정보(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발견 신호의 어느 정보 필드, 즉 해당 정보 필드 중의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할 수 있음)에서 제2 단말기가 서비스1과 서비스 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고 서비스3에 대한 접속은 불가능하다고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기지국에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서비스1이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만약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가 서비스3이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지 않는다. 다른 일예로, 지시 정보(지시 정보는 예를 들면 발견 신호의 어느 정보 필드, 즉 해당 정보 필드 중의 정보 비트를 통해 지시할 수 있음)에서 서비스1의 접속 확률이 80 %이고, 서비스2의 접속 확률이 30 %라고 지시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기지국에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서비스1이면, 지시 정보는 서비스1의 접속 확률이 80 %라고 지시하고, 제1 단말기는 0 ~ 1 사이의 하나의 난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만약 난수의 확률이 80 %보다 작을 경우(즉 0 ~ 0.8사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아닐 경우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지 않는다.
단계 330: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1 기지국이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한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3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기반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4 또는 도 5의 단말기는 앞선 내용에 기재된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한 설명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적당히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4의 단말기(400)는,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 -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410);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통신 유닛(4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능력 및/또는 상태에 기반하여 D2D 통신을 진행하여 D2D 통신 방식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능력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능력 레벨과 능력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상태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상태 레벨과 상태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집합 또는 단말기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카테고리의 접속 확률을 결정하고,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난수의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기설정된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상기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의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중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ProSe) 프로토콜 계층 중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5의 단말기(500)는,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 -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를 수신하는 송수신기(510);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510)가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프로세서(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능력 및/또는 상태에 기반하여 D2D 통신을 진행하여 D2D 통신 방식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능력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프로세서(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능력 레벨과 능력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상태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프로세서(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상태 레벨과 상태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집합 또는 단말기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카테고리의 접속 확률을 결정하고,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난수의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기설정된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상기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매체 접근 제어의 제어 요소(MAC CE) 중에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ProSe 프로토콜 계층 중에 포함된다.
본문의 용어 “및/또는”은 3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만 존재하는 3가지 경우를 의미한다. 이밖에, 본문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몇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토론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공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26)

  1.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발견 신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장치 대 장치(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능력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능력 레벨과 능력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상태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상태 레벨과 상태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집합 또는 단말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카테고리의 접속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난수의 확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10.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기설정된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상기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매체 접근 제어의 제어 요소(MAC CE)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Se) 프로토콜 계층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2D 기반 통신 방법.
  14.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장치 대 장치(D2D) 기반 통신의 제1 단말기이며,
    제2 단말기의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 상기 발견 신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능력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능력 레벨과 능력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을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과 매칭되는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능력은 상기 제2 단말기가 지원하는 대역폭 및 상기 제2 단말기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제2 단말기와 D2D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은 미리 설정된 다수의 상태 레벨 중 하나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상태 레벨과 상태의 대응 관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1.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서비스 타입 집합 또는 단말기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이 상기 서비스 타입 집합에 속하지 않거나,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집합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2.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단말기 카테고리의 접속 확률을 결정하고, 난수를 생성하여 상기 난수의 확률을 산출하며,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난수의 확률이 상기 접속 확률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청구항 18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상태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기설정된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전기량 또는 부하가 상기 전기량 임계값 또는 부하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2 단말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4.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물리 계층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5.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매체 접근 제어의 제어 요소(MAC CE)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6.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발견 신호의 근접 기반 서비스(ProSe) 프로토콜 계층 중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87019863A 2016-03-18 2016-03-18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 KR20180124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6806 WO2017156789A1 (zh) 2016-03-18 2016-03-18 基于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和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841A true KR20180124841A (ko) 2018-11-21

Family

ID=5985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863A KR20180124841A (ko) 2016-03-18 2016-03-18 D2d 기반 통신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433356B2 (ko)
EP (1) EP3379866A4 (ko)
JP (1) JP2019513309A (ko)
KR (1) KR20180124841A (ko)
CN (1) CN108605263B (ko)
HK (1) HK1254260A1 (ko)
TW (1) TWI724139B (ko)
WO (1) WO2017156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523A1 (ko) *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로의 연결 요청 방법 및 사용자기기
WO2017161570A1 (zh) * 2016-03-25 2017-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和系统
WO2022071571A1 (ja) * 2020-10-01 2022-04-0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中継ユーザ装置、及び遠隔ユー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3846A1 (en) * 1999-03-01 2000-09-06 Alcatel Process for controlling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957086B2 (en) * 2002-05-01 2005-10-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wireless capability discovery and protocol negotiation, and wireless device including same
CN102355728A (zh) * 2011-09-29 2012-02-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模式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GB2497741A (en) 2011-12-19 2013-06-26 Renesas Mobile Corp A verification system for use in requesting access to a D2D communication service
JP5886968B2 (ja) 2012-08-28 2016-03-16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WO2014113073A1 (en) * 2013-01-17 2014-07-24 Intel IP Corporation Device-to-device discovery with direct radio signals
EP2966825B1 (en) * 2013-03-07 2018-06-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related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105155B (zh) * 2013-04-01 2019-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接收设备发现信息、发送设备发现信息的方法和用户设备
US9445352B2 (en) 2013-07-3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discovery of LTE-direct relay for out-of-coverage devices
JP2015035712A (ja) * 2013-08-08 2015-02-19 Kddi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間直接通信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5026111A1 (ko) * 2013-08-18 2015-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동작 방법 및 장치
US9609581B2 (en) * 2014-01-21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Parameters for device to device discovery
JP6424230B2 (ja) * 2014-01-29 2018-11-1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発見または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選択
US9930643B2 (en) * 2014-05-02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control for long term evolution device-to-device discovery
KR101867387B1 (ko) * 2014-05-09 2018-06-15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를 개선 또는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 개선된 무선 커버리지를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개선된 무선 커버리지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계 사용자 장비,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무선 커버리지를 개선 또는 인에이블하기 위한 시스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N105338518B (zh) * 2014-07-31 2020-03-31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CN105338639A (zh) * 2014-08-08 2016-0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设备到设备资源池测量及上报的方法及设备
CN105357711A (zh) * 2014-08-20 2016-0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d2d通信设备发现的过载控制方法及设备
US20160143002A1 (en) * 2014-11-14 2016-05-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source configuration
US9699154B2 (en) * 2015-01-19 2017-07-0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rect communication using a PC5 protocol
US10057352B2 (en) 2015-03-13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net of everything device relay discovery and selection
CN105246027A (zh) 2015-09-25 2016-01-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D2d中继资源配置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73656A1 (en) 2019-12-05
CN108605263B (zh) 2022-03-15
TWI724139B (zh) 2021-04-11
US11032861B2 (en) 2021-06-08
US20180352595A1 (en) 2018-12-06
TW201735711A (zh) 2017-10-01
US20200344829A1 (en) 2020-10-29
EP3379866A4 (en) 2019-05-22
US20210266996A1 (en) 2021-08-26
HK1254260A1 (zh) 2019-07-12
JP2019513309A (ja) 2019-05-23
WO2017156789A1 (zh) 2017-09-21
CN108605263A (zh) 2018-09-28
US10841965B2 (en) 2020-11-17
EP3379866A1 (en) 2018-09-26
US10433356B2 (en)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711B2 (en) Method for configuring measurement gap, acces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CN107820723B (zh) 频率选择方法、随机接入方法和装置
CN107820728B (zh) 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EP35121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EP2854468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network server, and system
CN109417780B (zh) 覆盖增强ce功能的实现方法及设备
WO2014071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210266996A1 (en) Device to device-based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EP3606281A1 (en) Paging method and paging apparatus
IL268179A (en) Access method and terminal
CN109845312B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系统
US11540261B2 (en) Method for indicating number of transmitting ports of UE, UE and network device
CN114173322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8000752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3606264B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and terminal
KR20170062985A (ko) 사용자 협력 통신을 통한 wlan 통신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단말간 연결생성 기법
JP2021022951A (ja)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に基づく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
WO201602000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ue basis traffic steering in wlan-3gpp interworking
CN117178615A (zh) 发现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17084077A1 (zh) 设备发现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