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297A - 양파 탈피 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탈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297A
KR20180124297A KR1020170058567A KR20170058567A KR20180124297A KR 20180124297 A KR20180124297 A KR 20180124297A KR 1020170058567 A KR1020170058567 A KR 1020170058567A KR 20170058567 A KR20170058567 A KR 20170058567A KR 20180124297 A KR20180124297 A KR 2018012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nion
support
blad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385B1 (ko
Inventor
윤기석
Original Assignee
윤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석 filed Critical 윤기석
Priority to KR1020170058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3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탈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파의 껍질을 쉽고 간편하게 자동으로 벗겨낼 수 있으면서 양파의 품종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양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양파 껍질을 완전하게 벗겨낼 수 있으며, 사용 및 유지 관리비용이 저렴한 양파 탈피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양파 탈피 장치로 양파를 이송하는 이송수단(10);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유입되는 양파의 표면을 절개하기 위해 칼날이 구비된 칼날 플레이트(30);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일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된 제1플레이트(40);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타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된 제2플레이트(60); 상기 제1플레이트(40)와 제2플레이트(60) 사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수단; 을 포함함으로써 양파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탈피 공간을 경유하는 동안 탈피 가능하게 하는 양파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파 탈피 장치{ONION PEELING MACHINE}
본 발명은 양파의 껍질을 연속으로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양파 탈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파(onion)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풀로서,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기원전 3000년경의 고대 이집트 분묘의 벽화에는 피라미드를 쌓는 노동자에게 마늘과 양파를 먹였다는 기록이 있고,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7∼8세기부터 재배하였다고 한다.
비늘줄기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납작한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겉에 얇은 막질(膜質: 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자줏빛이 도는 갈색 껍질이 있고 안쪽의 비늘은 두꺼우며 층층이 겹쳐지고 매운맛이 난다.
양파는 그 뿌리와 꼭지(줄기가 연결된 부분)를 절단한 다음, 껍질을 벗겨서 남은 알맹이를 직접 먹거나 다양한 형태로 요리하여 먹고 있는데, 양파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러 겹의 껍질을 수작업으로 벗겨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1874호에서는 투입된 양파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부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로부터 낙하되는 낙하물을 이송시키는 수거 컨베이어부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펌프로부터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경사노즐을 구비하여 일 방향 회전하는 로터 워터젯을 포함하여 구성된 양파 탈피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껍질을 벗겨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물 사용량이 과다하여 유지비용이 높고, 오직 물을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양파의 품종이나 종류에 따라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거나 무른 양파는 그 표면이 손상되어 탈피 효율성이 낮으며, 껍질이 완전히 벗겨지지 않은 양파의 경우 수작업으로 다시 껍질을 벗겨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1874호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파의 껍질을 쉽고 간편하게 자동으로 벗겨낼 수 있으면서 양파의 품종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양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양파 껍질을 완전하게 벗겨낼 수 있으며, 사용 및 유지 관리비용이 저렴한 양파 탈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파 탈피 장치로 양파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유입되는 양파의 표면을 절개하기 위해 칼날이 구비된 칼날 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일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된 제1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타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된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수단; 을 포함함으로써 양파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탈피 공간을 경유하는 동안 탈피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양파의 표면을 절개한 후 양파의 표면을 비비는 동시에 진동을 가하면서 껍질을 벗겨낼 수 있고, 동시에 고압으로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껍질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양파 껍질을 완전하면서 효율적으로 탈피할 수 있다.
더욱이, 물 사용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및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므로 대량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는, 크게 이송수단(10), 지지프레임(20), 칼날플레이트(30), 제1플레이트(40), 구동수단(50) 및 제2플레이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10)은 모터와 연결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일 수 있으며, 양파를 양파 탈피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0)의 상부를 비롯하여 그 주변에 배치되어서 상기 칼날플레이트(30), 제1플레이트(40), 구동수단(50) 및 제2플레이트(60)를 각각 적절한 곳에 배치하거나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칼날플레이트(3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20)에 의해 탈피 장치로 유입되는 양파의 표면을 절개하기 위해 칼날(31)이 구비된 일종의 판재이다.
상기 칼날(31)은 상기 양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칼날(31)은 다수 개가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플레이트(30)에서 지지프레임(20)과 연결되는 연결측 단부는 지지프레임(20) 상에 힌지(32)를 통해 연결되어 힌지(32)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플레이트(30)의 자유 단부는 상기 힌지(32)에 마련된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30)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일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에 상기 힌지(21)가 관통되고, 토션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접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칼날플레이트(30)에 접하게 됨으로써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서 칼날플레이트(30)의 자유단부가 제1플레이트(40)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칼날프레이트(30)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40)과 접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자유단부와 제1플레이트 사이가 소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설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소정 거리는 적어도 양파의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양파가 상기 제1플레이트(40) 및 칼날플레이트(30) 사이를 경유하는 동안 상기 칼날플레이트(30)가 상기 양파 표면과 접한 상태에서 양파의 크기에 비례하여, 즉 양파 크기만큼 힌지(3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1플레이트(40)과 칼날플레이트(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칼날(31)이 양파 표면을 절개하게 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4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되고,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일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양파가 이송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40)는 봉 또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진 제1지지대(42)와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대(42)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관통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42)는 모터 등의 상기 구동수단(50)과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대(42)의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50)과 연결되고, 제1지지대(42)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40)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구동수단(50)의 회전축에는 원판 상의 회전플레이트(51)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51)에는 상기 구동수단(50)의 회전축과 편심하게 배치된 구동축(52)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52)과 상기 제1지지대(42)는 양단부에 힌지가 구비된 커넥팅로드(5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수단(50)이 구동하면 구동축(52)이 구동수단(50)의 회전축과 편심하게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지지대(42)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지지대(42)는 2개가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때 한 쌍의 제1지지대(42)는 연결대(45)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팅로드(53)는 상기 연결대(45)에 연결되며, 이 경우 하나의 구동수단(50)에 의해 2개의 제1지지대(42)가 동시에 왕복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대(45)에는 제1지지대(42)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가이드홀(4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넥팅로드(53)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홀(46)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며, 이때 가이드홀(46)의 고정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지지대(42)의 왕복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커넥팅로드(53)가 가이드홀(46) 중 구동수단(50)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제1지지대(42)의 왕복 이동 거리가 최대이다. 반대로 커넥팅로드(53)가 가이드홀(46) 중 구동수단(50)과 가정 먼 위치에 고정되면 제1지지대(42)의 왕복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고정위치 조절은 양파의 크기나 품종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40)의 좌우 유동시 양파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40)와 상기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지지대(42)의 외면 둘레에는 예컨대 코일 스프링 등의 제1스프링(43)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코일형 제1스프링(43)의 내부로 상기 제1지지대(42)가 관통하고, 제1스프링(43)의 일측 단부는 제1플레이트(40)에 접하며 타측 단부는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된 제1지지부(44)에 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플레이트(40)가 양파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왕복 이동할 때 제1스프링(42)의 탄성력이 함께 작용하게 되어 양파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양파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40)에는 상기 에어 분사 수단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양파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제1천공홀(41)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양파가 상기 제1플레이트(40)와 접촉하면서 이송하는 동안 표면을 계속해서 절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천공홀(41)에는 양파 표면 절개용 칼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60)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40)와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이 역시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타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양파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다만 제2플레이트(60)는 별도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지 않고 피동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제2지지대(62)와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대(62)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60)와 상기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지지대(62)의 외면 둘레에는 제2스프링(63)이 개재된다.
즉, 코일형 제2스프링(63)의 내부로 상기 제2지지대(62)가 관통하고, 제2스프링(63)의 일측 단부는 제2플레이트(60)에 접하며 타측 단부는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된 제2지지부(64)에 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40)가 구동수단(50)과 연결되어 좌우 유동할 때, 양파를 미는 경우 제2플레이트(60)는 양파에 의해 밀리면서 이동하여 제2스프링(63)을 압축하게 되고, 반대로 제1플레이트(40)가 당겨지는 경우 제2플레이트(60)를 미는 힘이 소거되면서 제2스프링(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플레이트(6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플레이트(60)는 제1플레이트(40)의 왕복 유동에 연동하여 피동적으로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제1플레이트(40)와 제2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한 양파에 급격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60)에는 상기 에어 분사 수단에서 분사되는 에어가 양파의 표면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제2천공홀(61)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양파가 상기 제2플레이트(60)와 접촉하면서 이송하는 동안 양파 표면을 계속해서 절개하기 위하여 상기 제2천공홀(61)에는 양파 표면 절개용 칼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62)는 상기 제2플레이트(60) 하나에 대하여 2개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 수단은 압축 공기를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위치가 특정된 것은 아니며, 다만 양파가 경유하는 공간, 즉 제1플레이트(40) 및 제2플레이트(60) 사이의 탈피 공간으로 분사하는 것이 좋은데, 이러한 에어 분사 수단은 통상의 장치이므로 이에 관한 도면의 예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칼날플레이트(30), 제1플레이트(40) 및 제2플레이트(60)는 도시한 예와 같이 다수 개가 병렬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3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설치 규모나 생산성을 고려하여 1개 또는 2개 또는 4개 이상 설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파 탈피 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파 탈피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수단(10)에 의해 양파(P)가 이송하는 동안 칼날플레이트(30)와 제1플레이트(40) 사이로 유입되면, 칼날플레이트(30)가 회동하여 벌어지면서 그 사이로 양파가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칼날플레이트(30)의 칼날을 비롯하여 제1플레이트(40)의 칼날에 접하면서 표면, 즉 양파(P)의 껍질이 절개된다.
이후 양파(P)가 좌우로 왕복 유동하는 제1플레이트(40)와 제2플레이트(60) 사이를 경유하는 동안 제1플레이트(40) 및 제2플레이트(60)에 의해 비벼지고 회전하면서 껍질이 벗겨지고, 동시에 칼날에 의해 계속해서 껍질이 절개되며, 이때 에어 분사 수단에서 방출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절개되고 벗겨진 껍질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양파 탈피 장치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장치를 이용하여 양파 껍질을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탈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이송수단
20...지지프레임
30...칼날플레이트 31...칼날
32...힌지 33...탄성부재
40...제1플레이트
41...제1천공홀 42...제1지지대
43...제1스프링 44...제1지지부
45...연결대 46...가이드홀
50...구동수단 51...회전플레이트
52...구동축 53...커넥팅로드
60...제2플레이트
61...제2천공홀 62...제2지지대
63...제2스프링 64...제2지지부
P...양파

Claims (7)

  1. 양파 탈피 장치로 양파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유입되는 양파의 표면을 절개하기 위해 칼날이 구비된 칼날 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일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된 제1플레이트;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표면이 절개된 양파의 타측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의 좌우로 왕복 유동 가능하게 된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수단;
    을 포함함으로써 양파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의 탈피 공간을 경유하는 동안 탈피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플레이트의 연결측 단부는 지지프레임 상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칼날플레이트의 자유 단부는 상기 힌지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 방향으로 유도되며, 양파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칼날플레이트 사이를 경유하는 동안 상기 칼날플레이트가 상기 양파 표면과 접한 상태에서 양파의 크기에 비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한 제1지지대와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대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 단부는 구동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대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지지대의 외면 둘레에 제1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는 구동수단의 회전축과 편심하게 배치된 구동축과 커넥팅로드를 매개로 연결되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한 제2지지대와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지지대의 외면 둘레에 제2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파 표면을 절개하기 위해 상기 제1플레이트에 칼날이 구비된 다수의 제1천공홀이 구비되거나, 상기 제2플레이트에 칼날이 구비된 다수의 제2천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 장치.
KR1020170058567A 2017-05-11 2017-05-11 양파 탈피 장치 KR10192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67A KR101924385B1 (ko) 2017-05-11 2017-05-11 양파 탈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67A KR101924385B1 (ko) 2017-05-11 2017-05-11 양파 탈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97A true KR20180124297A (ko) 2018-11-21
KR101924385B1 KR101924385B1 (ko) 2018-12-03

Family

ID=6460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567A KR101924385B1 (ko) 2017-05-11 2017-05-11 양파 탈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106B1 (ko) * 2023-10-25 2024-03-19 (주)자연농산 농업회사법인 쪽마늘 탈피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70B1 (ko) 2008-10-17 2012-04-13 송기훈 양파처리장치
KR101162465B1 (ko) * 2011-01-20 2012-07-04 김성부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377380B1 (ko) * 2012-06-11 2014-03-21 정성욱 농산물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106B1 (ko) * 2023-10-25 2024-03-19 (주)자연농산 농업회사법인 쪽마늘 탈피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385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677B1 (ko) 자동 양파 탈피장치
KR101240301B1 (ko) 과일 박피 및 컷팅 장치
KR101431199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1031756B1 (ko) 대파 탈피 장치
KR101924385B1 (ko) 양파 탈피 장치
KR101162465B1 (ko) 양파껍질 탈피장치
WO2013078121A1 (en) Avocado cutting and splitting device
KR20150052626A (ko)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156148B1 (ko)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KR20150015207A (ko) 양파탈피기
KR101729753B1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양파껍질 탈피장치
KR20020077954A (ko) 육절기
US200600213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nd processing leafy vegetables
JP7041907B1 (ja) 食肉のカッティング装置
KR102344376B1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JP6391297B2 (ja) 下葉除去装置
KR20080036857A (ko) 자동 닭 절단기
US3538969A (en) Machine for trimming projections from globular articles
KR20070112544A (ko) 육고기 칼집 성형장치
KR101996556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1596851B1 (ko)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JP5097980B2 (ja) ラッキョウの根茎部連続切除装置
KR20170076212A (ko) 양파 탈피 장치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JP7441571B1 (ja) ニ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