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722A -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722A
KR20180123722A KR1020187032077A KR20187032077A KR20180123722A KR 20180123722 A KR20180123722 A KR 20180123722A KR 1020187032077 A KR1020187032077 A KR 1020187032077A KR 20187032077 A KR20187032077 A KR 20187032077A KR 20180123722 A KR20180123722 A KR 2018012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screen
additiona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504B1 (ko
Inventor
사이코 야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표시 화면(11a)을 가지는 표시부(11)와, 외부 접속 기기(1) 및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화면 정보(2)를 작성하는 작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3)와, 외부 접속 기기(1)를 조작하는 조작 정보와, 화면 정보(2)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12)와, 입력부(12)에서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접속 기기(1)를 조작하는 조작 모드와, 부가 정보의 화상을 화면 정보(2)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생산 현장에서 이용되는 외부 접속 기기의 조작 및 운전 정보의 표시를 행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생산 현장에서 이용되는 외부 접속 기기에 접속되어, 당해 외부 접속 기기의 정보의 표시, 및 외부 접속 기기의 조작을 행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는 화상 및 문자열을 포함하는 화면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화면 정보는 작화(作畵) 장치에 의해서 작성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작화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는 작화 장치에 의해서 작성된 화면 정보를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하고, 수신한 화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작화 장치에 의해서 화면 정보를 작성하는 작성자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상이한 경우, 작성자로부터 조작자에게로의 작업 절차의 설명, 및 조작자로부터 작성자에게로의 화면 정보의 개선 요망을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이 필요하게 된다. 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조작자가 복수 명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끼리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달이 필요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화면 정보의 작성자가 복수 명 존재하는 경우에는, 작성자끼리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달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 조작자와 작성자의 사이, 조작자끼리의 사이, 및 작성자끼리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경우에는,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첨부하고, 화상에 주석을 첨가한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그렇지만, 서류의 작성에는 수고가 들어버리기 때문에, 작업 부담을 저감화할 수 있는 정보 전달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전력 계통 사고 복구 지원 장치로부터 전력 계통의 운용자에게 복구 절차가 송신되었을 경우에, 운용자는 CRT(Cathode Ray Tube) 장치에 표시된 복구 절차를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서 수동 입력 장치에 의해서 전력 계통 사고 복구 지원 장치에 수정 요구를 송신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평6-327158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법은, 전력 계통 사고 복구 지원 장치와 운용자의 사이에서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CRT 장치에는 화상에 주석을 첨가한 상태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가 정보가 부가된 상태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작업자의 사이에서 정보 전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저감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와, 외부 접속 기기, 및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화면 정보를 작성하는 작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정보와, 화면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화면 정보의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키고,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모드와, 부가 정보의 화상을 화면 정보에 중첩시킨 상태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에 부가 정보가 부가된 상태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복수의 작업자의 사이에서 정보 전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저감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부가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부가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변형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변형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와, 각종 입력을 행하는 입력부(12)와,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3)와, 표시부(11), 입력부(12) 및 통신부(13)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4)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11)는 문자 및 화상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가진다. 표시 패널에는 액정 패널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표시 패널을 이용해도 된다. 표시부(11)는 표시 화면(11a)을 가진다. 표시 화면(11a)은 외부 접속 기기(1)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작화 장치(20)에 의해서 작성된 화면 정보, 및 화면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또한, 외부 접속 기기(1)는 생산 현장에서 이용되는 산업 기기의 제어 장치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면 정보(2) 및 부가 정보(3)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화면 정보(2)는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용의 화면 데이터(2a),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용의 화면 데이터(2b), 및 화면 데이터상의 오브젝트 데이터(2c)를 포함한다. 화면 데이터(2a)는 외부 접속 기기(1)를 조작할 때 기본 화면이 되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오브젝트 데이터(2c)는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버튼, 레버, 다이얼, 스위치 또는 다른 입력 장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3)는 조작용의 화면 데이터(2a)상에 표시되는 주석(3a)의 화상 데이터, 설정용의 화면 데이터(2b)상에 표시되는 주석(3b)의 화상 데이터, 및 오브젝트 데이터(2c)상에 표시되는 주석(3c)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주석(3a, 3b, 3c)에는, 화면 정보(2)의 작성자로부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조작자에게로의 작업 절차의 설명,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조작자로부터 화면 정보(2)의 작성자에게로의 화면 정보(2)의 개선 요망, 화면 정보(2)의 작성자로부터 다른 작성자에게로의 주의점,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조작자로부터 다른 조작자에게로의 주의점을 포함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주석(3a, 3b, 3c)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정지 화면 또는 동영상이어도 되고, 다른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기억부(15)는 화면 정보(2)와, 화면 정보(2)에 대한 부가 정보(3)를 1대 1로 대응지은 상태로 기억한다. 기억부(15)는 화면 정보(2)와, 화면 정보(2)에 대한 부가 정보(3)가 1개의 데이터로 결합된 상태로 기억해도 된다. 또, 기억부(15)는 화면 정보(2)에 대한 부가 정보(3)를, 화면 정보(2)의 일부에 포함시킨 상태로 기억시켜도 된다. 또, 기억부(15)는 부가 정보(3)를, 표시 화면(11a)에서의 주석(3a, 3b, 3c)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와 대응지은 상태로 기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입력부(12)는, 입력 장치를 가진다. 입력 장치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버튼, 레버, 다이얼, 스위치 또는 다른 입력 장치가 이용되어도 된다. 입력부(12)는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접속 기기(1)를 조작하는 조작 정보를 입력 가능하다. 또, 입력부(12)는 부가 정보를 입력 가능하다.
통신부(13)는 외부 접속 기기(1) 및 작화 장치(20)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3)는 이더넷(등록상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종류의 통신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14)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부(14)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제어부(14)는 표시부(11)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6)와, 입력부(12)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17)와, 통신부(13)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8)와, 부가 정보의 표시, 작성, 편집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부가 제어부(19)를 가지고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부가 제어부(19)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제어부(19)는 모드 설정부(19a)와, 부가 정보 검출부(19b)와,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와, 부가 정보 처리부(19d)를 가지고 있다. 모드 설정부(19a)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조작 모드와 부가 모드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조작 모드는 표시 화면(11a)에 표시된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 접속 기기(1)를 조작하는 모드이다. 부가 모드는 표시 화면(11a)에 부가 정보를 표시시키는 모드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는 조작 모드에서는, 외부 접속 기기(1)의 조작 및 감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는 부가 모드에서는, 부가 정보의 표시,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및 기존의 부가 정보의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 정보 검출부(19b)는 기억부(15)에 부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또, 부가 정보 검출부(19b)는 기억부(15)에 기억된 부가 정보가 편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는 부가 정보를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동작을 제어한다.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가 부가 모드이고, 기억부(15)에 부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기억된 부가 정보를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송신한다.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는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경우, 화면 정보(2)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송신한다.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가 부가 모드인 경우, 입력부(12)에서의 입력 결과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처리 및 편집 처리를 행하는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신규로 부가 정보를 작성하는 경우, 부가 정보인 주석의 종류, 주석의 내용, 및 주석을 표시시키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입력시키고, 부가 정보의 작성 완료 지시를 조작자에게 입력시키는 내용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또,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기존의 부가 정보를 편집하는 경우, 편집의 대상이 되는 부가 정보, 편집의 종류, 편집의 내용, 편집한 주석을 표시시키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입력시키고, 부가 정보의 편집 완료 지시를 조작자에게 입력시키는 내용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미리 기억부(15)에 기억시켜 둔다.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신규 작성 및 편집한 부가 정보를 기억부(15)에 기억시킨다. 부가 정보(3)의 편집은 부가 정보(3)의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부가 정보(3)를 변경했을 경우, 변경된 내용의 부가 정보(3)를 기존의 부가 정보에 덮어써서 기억부(15)에 기억시킨다.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부가 정보(3)를 삭제했을 경우, 기존의 부가 정보를 기억부(15)로부터 소거시킨다.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화면 정보(2)와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1개의 데이터로 결합시킨 상태로 기억부(15)에 기억시켜도 된다. 또,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화면 정보(2)의 일부에 포함한 상태로 기억부(15)에 기억시켜도 된다.
표시 제어부(16), 입력 제어부(17), 통신 제어부(18) 및 부가 제어부(19)의 각 기능은, 제어부(14)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4)는 메모리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하는 제어 회로여도 되고, 전용의 하드웨어여도 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부(14)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4)는,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CPU(14A)와, 메모리(14B)를 구비하는 제어 회로(14C)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16), 입력 제어부(17), 통신 제어부(18) 및 부가 제어부(19)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술(記述)되어, 메모리(14B)에 격납된다. CPU(14A)는 메모리(14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즉, 메모리(14B)는 CPU(14A)가,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모드와,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화면 정보(2)의 화상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하는 동작이 결과적으로 실행되게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메모리(14B)는 기억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4B)란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및 DVD(Digital Versatile Disc) 중 적어도 1개가 해당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제어부(14)를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하는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4)는,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회로(14D)에 의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 처리 회로(14D)는 단일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표시 제어부(16), 입력 제어부(17), 통신 제어부(18) 및 부가 제어부(19)의 각 기능을 개별의 처리 회로로 실현해도 되고, 각 부의 기능을 통합하여처리 회로(14D)로 실현해도 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를 기동시켰을 경우, 모드 설정부(19a)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조작 모드로 설정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16)는 화면 정보인 조작용의 화면 데이터(2a) 및 오브젝트 데이터(2c)를 표시부(11)의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킨다(스텝 S01).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표시 화면(1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화면(11a)에는 화면 정보(2)인 화면 데이터(2a)의 화상과,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이 표시된다. 조작자는 표시 화면(11a)에 표시된 화면 정보(2)의 화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져, 입력부(12)에서 외부 접속 기기(1)의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모드 설정부(19a)는 조작자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조작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02).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02의 No), 모드 설정부(19a)는 입력이 있을 때까지 스텝 S02를 반복하여 행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스텝 S02의 Yes), 모드 설정부(19a)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조작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설정을 행한다(스텝 S03). 스텝 S03에서는, 입력 제어부(17)는 외부 접속 기기(1)의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입력부(12)에서는 부가 정보의 표시,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기존의 부가 정보의 편집, 및 동작 모드의 전환에 대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가 부가 모드로 전환된 경우, 부가 정보 검출부(19b)는 표시 화면(11a)에 표시된 화면 정보(2)에 부가되는 부가 정보(3)를 검색 키로 설정하여 기억부(15)를 검색하여, 기억부(15)에 부가 정보(3)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04). 부가 정보 검출부(19b)에 의해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스텝 S04의 Yes),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는 기억부(15)에 기억되는 부가 정보(3)를 표시 화면(11a)에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를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킨다(스텝 S05). 스텝 S05에서는, 표시 제어부(16)는 부가 정보(3)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11a)에서의 부가 정보(3)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여, 화면 정보(2)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시킨다. 또, 부가 정보 검출부(19b)에 의해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스텝 S04의 No), 표시 제어부(16)는 스텝 S05의 동작을 생략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표시 화면(1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화면(11a)에는 부가 정보(3)인 주석(3a)의 화상이 화면 데이터(2a)의 화상상에 중첩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또, 표시 화면(11a)에는 부가 정보(3)인 주석(3c)의 화상이 화면 데이터(2a) 및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상에 중첩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는 표시 화면(11a)에 표시된 주석(3a, 3c)의 화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자는 주석(3a, 3c)의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주석(3a, 3c)에 기재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부가 정보 검출부(19b)는,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정보(3)의 화상이 표시되었을 경우, 또는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되었는지 여부, 및 기존의 부가 정보(3)가 편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06). 부가 정보(3)가 신규로 작성되었을 경우, 및 기존의 부가 정보(3)가 편집되었을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스텝 S06의 Yes),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는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의 화상 및 편집된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킨다(스텝 S07). 스텝 S07에 의해, 작성 결과 및 편집 결과가 표시 화면(11a)에 반영된다.
여기서,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모드에서는,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조작자에 의해서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11).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11의 No),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스텝 S11를 반복하여 행한다.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스텝 S11의 Yes),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기억부(15)에 기억된 부가 정보의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조작자는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한다. 입력부(12)로부터 주석의 종류, 주석의 내용, 및 주석을 표시시키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입력되고, 부가 정보(3)의 작성 완료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입력된 내용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의 작성을 행한다(스텝 S12).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부가 정보(3)를 작성한 후, 작성한 부가 정보(3)를 기억부(15)에 기억시킨다(스텝 S13).
스텝 S13에 의해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되었을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06에서는, 부가 정보 검출부(19b)는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된 것을 확인하고(스텝 S06의 Yes),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킨다(스텝 S07). 스텝 S07에 의해, 작성된 부가 정보(3)가 표시 화면(11a)에 반영된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표시 화면(1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화면(11a)에는, 스텝 S05에서 표시된 주석(3a, 3c)에 더하여, 신규로 작성한 부가 정보(3)인 주석(3c)의 화상이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상에 중첩된 상태로 표시된다.
다음에, 기존의 부가 정보(3)를 편집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모드에서는,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조작자에 의해서 기존의 부가 정보(3)를 편집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21). 부가 정보(3)를 편집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21의 No),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부가 정보(3)를 편집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스텝 S21을 반복하여 행한다.
부가 정보(3)를 편집하는 취지의 조작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스텝 S21의 Yes),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기억부(15)에 기억된 부가 정보의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조작자는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부가 정보를 편집한다. 입력부(12)로부터 편집의 대상이 되는 부가 정보, 편집의 종류, 편집의 내용, 편집한 주석을 표시시키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입력되고, 부가 정보의 편집 완료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입력된 내용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의 편집을 행한다(스텝 S22). 부가 정보 처리부(19d)는 부가 정보(3)를 편집한 후, 편집 후의 부가 정보(3)를 기억부(15)에 기억시킨다(스텝 S23).
스텝 S23에 의해 편집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기억되었을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06에서는, 부가 정보 검출부(19b)는 편집된 부가 정보(3)가 기억부(15)에 덮어써져 기억된 것을 확인하고(스텝 S06의 Yes), 편집 후의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편집 후의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킨다(스텝 S07). 스텝 S07에 의해, 편집 결과가 표시 화면(11a)에 반영된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표시 화면(1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화면(11a)에는, 스텝 S05에서 표시된 주석(3a, 3c) 중, 주석(3a)이 변경되고, 주석(3c)이 삭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주석(3c)이 삭제됨으로써, 화면 데이터(2a)의 화상 및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 중 주석(3c)의 화상에 숨어 있던 부분이 다시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모드 설정부(19a)는,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 및 편집된 부가 정보(3) 중 어느 것도 확인되지 않은 경우(스텝 S06의 No), 또는 신규 작성 혹은 편집된 부가 정보(3)가 표시되었을 경우, 부가 모드를 종료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행한다(스텝 S08). 부가 모드를 종료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08의 No), 제어부(14)는 스텝 S0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부가 모드를 종료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스텝 S08의 Yes),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는 표시 화면(11a)에 표시되고 있는 부가 정보(3)의 화상을 비표시로 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1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1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11a)에 표시되고 있는 부가 정보(3)의 화상을 비표시로 한다(스텝 S09).
부가 정보(3)를 비표시로 한 후, 모드 설정부(19a)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부터 조작 모드로 전환하는 설정을 행한다(스텝 S10). 스텝 S10에서는, 입력 제어부(17)는 부가 정보의 표시,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및 기존의 부가 정보의 편집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정지시킨다. 또, 입력 제어부(17)는 외부 접속 기기(1)의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입력부(12)에서는, 외부 접속 기기(1)의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다른 조작자가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전환했을 경우, 상기에 의해서 신규 작성 또는 편집된 부가 정보(3)가 표시 화면(11a)에 표시된다. 다른 조작자는 부가 정보(3)를 확인함으로써, 부가 정보(3)를 신규 작성 또는 편집한 조작자로부터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는 화면 정보(2)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고, 입력부(12)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접속 기기(1)를 조작하는 조작 모드와,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화면 정보(2)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 화면(11a)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한다. 이 때문에, 부가 정보(3)가 부가된 상태의 화상을 표시 화면(11a)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표시 화면(11a)에 표시되는 부가 정보(3)를 확인함으로써, 조작자에게로의 정보의 전달이 달성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다른 조작자 또는 화면 정보(2)를 작성하는 작성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화상에 주석을 첨가한 서류를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전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저감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작화 장치(20)에서 표시, 작성 및 편집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것처럼, 작화 장치(2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작화측 표시부인 표시부(21)와, 각종 입력을 행하는 입력부(22)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3)와, 표시부(21), 입력부(22) 및 통신부(23)의 각 부를 제어하는 작화측 제어부인 제어부(24)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작화 장치(20)는 퍼스널 컴퓨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정보처리 장치여도 된다.
표시부(21)는 문자 및 화상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가진다. 표시 패널에는 액정 패널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표시 패널을 이용해도 된다. 표시부(21)는 표시 화면(21a)을 가진다. 표시 화면(21a)은 작화 장치(20)에 의해서 화면 정보(2)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 화면을 표시 가능하다. 또, 표시 화면(21a)은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표시 가능하다.
입력부(22)는 입력 장치를 가진다. 입력 장치에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터치 패널, 버튼, 레버, 다이얼, 스위치 또는 다른 입력 장치가 이용되어도 된다. 입력부(22)는 화면 정보(2)를 작성하는 경우, 및 부가 정보(3)를 작성 및 편집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23)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23)는 이더넷(등록상표) 또는 USB의 적어도 한쪽의 통신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종류의 통신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24)는 작화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부(24)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것처럼, 제어부(24)는 표시부(21)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26)와, 입력부(22)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27)와, 통신부(23)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8)와, 부가 정보의 표시, 작성, 편집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부가 제어부(29)를 가지고 있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부가 제어부(29)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제어부(29)는 모드 설정부(29a)와, 부가 정보 검출부(29b)와,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와, 부가 정보 처리부(29d)를 가지고 있다. 모드 설정부(29a)는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작성 모드와 부가 모드로 전환하여 설정한다. 작성 모드는 화면 정보(2)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하는 모드이다. 작화 장치(20)는 작성 모드에서는, 화면 정보(2)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부가 모드는 표시 화면(21a)에 부가 정보를 표시시키는 모드이다. 작화 장치(20)는 부가 모드에서는, 부가 정보의 표시,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및 기존의 부가 정보의 편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화 장치(20)는 부가 모드에서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부가 정보 검출부(29b)는 기억부(25)에 부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또, 부가 정보 검출부(29b)는 기억부(25)에 기억된 부가 정보가 편집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는 부가 정보를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키는 동작을 제어한다.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는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가 부가 모드이고, 기억부(25)에 부가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기억된 부가 정보를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26)에 송신한다.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는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키는 경우, 화면 정보(2)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26)에 송신한다.
부가 정보 처리부(29d)는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가 부가 모드인 경우, 입력부(22)에서의 입력 결과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처리 및 편집 처리를 행하는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신규로 부가 정보를 작성하는 경우, 부가 정보인 주석의 종류, 주석의 내용, 및 주석을 표시시키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작성자에게 입력시키고, 부가 정보의 작성 완료 지시를 작성자에게 입력시키는 내용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또,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기존의 부가 정보를 편집하는 경우, 편집의 대상이 되는 부가 정보, 편집의 종류, 편집의 내용, 편집한 주석을 표시시키는 표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작성자에게 입력시키고, 부가 정보의 편집 완료 지시를 작성자에게 입력시키는 내용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화면 정보(2)를 작성 및 편집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부여도 된다.
작성 편집용 프로그램은 미리 기억부(25)에 기억시켜 둔다. 부가 정보 처리부(29d)는 신규 작성 및 편집한 부가 정보를 기억부(25)에 기억시킨다. 부가 정보(3)의 편집은 부가 정보(3)의 변경 및 삭제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 처리부(29d)는 부가 정보(3)를 변경했을 경우, 변경된 내용의 부가 정보(3)를 기존의 부가 정보에 덮어써서 기억부(25)에 기억시킨다. 부가 정보 처리부(29d)는 부가 정보(3)를 삭제했을 경우, 기존의 부가 정보를 기억부(25)로부터 소거시킨다. 부가 정보 처리부(29d)는 화면 정보(2)와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1개의 데이터로 결합시킨 상태로 기억시켜도 된다. 또, 부가 정보 처리부(29d)는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화면 정보(2)의 일부에 포함한 상태로 기억시켜도 된다.
표시 제어부(26), 입력 제어부(27), 통신 제어부(28) 및 부가 제어부(29)의 각 기능은, 제어부(24)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4)는 메모리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를 구비하는 제어 회로여도 되고, 전용의 하드웨어여도 된다.
도 1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부(24)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24)는, 도 17에 도시하는 것처럼, CPU(24A)와, 메모리(24B)를 구비하는 제어 회로(24C)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26), 입력 제어부(27), 통신 제어부(28) 및 부가 제어부(29)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되어, 메모리(24B)에 격납된다. CPU(24A)는 메모리(24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즉, 메모리(24B)는, CPU(24A)가 화면 정보(2)를 작성 및 편집하는 작성 모드와,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화면 정보(2)의 화상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하는 동작이 결과적으로 실행되게 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메모리(24B)는 기억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24B)란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및 DVD(Digital Versatile Disc) 중 적어도 1개가 해당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제어부(24)를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하는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24)는 도 18에 도시하는 처리 회로(24D)에 의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 처리 회로(24D)는 단일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표시 제어부(26), 입력 제어부(27), 통신 제어부(28) 및 부가 제어부(29)의 각 기능을 개별의 처리 회로로 실현해도 되고, 각 부의 기능을 통합하여처리 회로(24D)로 실현해도 된다.
도 19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작화 장치(20)를 기동시켜, 화면 정보(2)를 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시켰을 경우, 모드 설정부(29a)는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작성 모드로 설정한다. 또, 표시 제어부(26)는 화면 정보(2)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 정보를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킨다(스텝 S31).
도 20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의 표시 화면(2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것처럼, 작성 모드에서는, 표시 화면(21a)에는, 화면 정보(2)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하기 위한 작성 화면 정보(4)가 표시되고 있다. 작성 화면 정보(4)는 헤더부(4a)와, 툴 선택부(4b)와, 화면 정보 표시부(4c)를 가지고 있다. 화면 정보 표시부(4c)는 화면 정보(2)를 표시한다. 화면 정보 표시부(4c)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2)에는, 조작용의 화면 데이터(2a)와, 오브젝트 데이터(2c)가 포함되어 있다. 작성 모드에서는, 표시 화면(21a)에는 부가 정보(3)가 표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하는 것처럼, 모드 설정부(29a)는 작성자에 의해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작성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32의 No), 모드 설정부(29a)는 입력이 있을 때까지 스텝 S32를 반복하여 행한다.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스텝 S32의 Yes), 모드 설정부(29a)는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작성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전환하는 설정을 행한다(스텝 S33). 스텝 S33에서는, 입력 제어부(27)는 화면 정보(2)의 작성 또는 편집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입력부(22)에서는 부가 정보의 표시,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기존의 부가 정보의 편집, 및 동작 모드의 전환에 대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가 부가 모드로 전환된 경우, 부가 정보 검출부(29b)는 표시 화면(21a)에 표시된 화면 정보(2)에 부가되는 부가 정보(3)를 검색 키로 설정하여 기억부(25)를 검색하여, 기억부(25)에 부가 정보(3)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4). 부가 정보 검출부(29b)에 의해서 부가 정보(3)가 기억부(25)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스텝 S34의 Yes),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는 기억부(25)에 기억되는 부가 정보(3)를 표시 화면(21a)에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2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2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를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킨다(스텝 S35). 스텝 S35에서는, 표시 제어부(26)는 부가 정보(3)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21a)에서의 부가 정보(3)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여, 화면 정보(2)에 중첩시킨 상태로 표시시킨다. 또, 부가 정보 검출부(29b)에 의해서 부가 정보(3)가 기억부(25)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스텝 S34의 No), 표시 제어부(26)는 스텝 S35의 동작을 생략한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의 표시 화면(2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모드에서는, 표시 화면(21a)에는 화면 정보(2)의 작성 및 편집을 행하기 위한 작성 화면 정보(4)가 표시되고 있다. 또, 화면 정보 표시부(4c)는 화면 정보(2)인 화면 데이터(2a) 및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과, 부가 정보(3)인 주석(3a, 3c)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부가 정보 검출부(29b)는, 도 19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가 정보(3)의 화상이 표시되었을 경우, 또는 부가 정보(3)가 기억부(25)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가 기억부(25)에 기억되었는지 여부, 및 기존의 부가 정보(3)가 편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6). 부가 정보(3)가 신규로 작성되었을 경우, 및 기존의 부가 정보(3)가 편집되었을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스텝 S36의 Yes),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는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의 화상 및 편집된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21a)에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2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2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킨다(스텝 S37). 스텝 S37에 의해, 작성 결과 및 편집 결과가 표시 화면(21a)에 반영된다. 또한, 부가 정보(3)를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 및 기존의 부가 정보(3)를 편집하는 경우의 절차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의 표시 화면(2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상에 신규의 부가 정보인 주석(3c)을 작성했을 경우, 도 22에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화면(21a)의 화면 정보 표시부(4c)에는, 상기 주석(3a, 3c)에 더하여, 신규로 작성한 주석(3c)의 화상이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상에 중첩된 상태로 표시된다.
도 23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의 표시 화면(2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화면(21a)의 화면 정보 표시부(4c)에 표시된 주석(3a, 3c) 중, 주석(3a)을 변경하고, 주석(3c)을 삭제했을 경우, 도 23에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화면(21a)의 화면 정보 표시부(4c)에는, 변경된 주석(3a)의 화상이 표시되고, 주석(3c)이 삭제된 상태로 표시된다. 주석(3c)이 삭제되었을 경우, 표시 화면(21a)의 화면 정보 표시부(4c)에는, 화면 데이터(2a)의 화상 및 오브젝트 데이터(2c)의 화상 중 주석(3c)의 화상에 숨어 있던 부분이 다시 표시된다.
다음에, 모드 설정부(29a)는, 도 19에 도시하는 것처럼, 신규로 작성된 부가 정보(3) 및 편집된 부가 정보(3) 중 어느 것도 확인되지 않은 경우(스텝 S36의 No), 또는 신규 작성 혹은 편집된 부가 정보(3)가 표시되었을 경우, 부가 모드를 종료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행한다(스텝 S38). 부가 모드를 종료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38의 No), 제어부(24)는 스텝 S36 이후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부가 모드를 종료하는 취지의 조작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스텝 S38의 Yes),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는 표시 화면(21a)에 표시되고 있는 부가 정보(3)의 화상을 비표시로 하는 취지의 지령을 표시 제어부(26)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26)는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29c)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21a)에 표시되고 있는 부가 정보(3)의 화상을 비표시로 한다(스텝 S39).
부가 정보(3)를 비표시로 한 후, 모드 설정부(29a)는 작화 장치(20)의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부터 작성 모드로 전환하는 설정을 행한다(스텝 S40). 스텝 S40에서는, 입력 제어부(27)는 부가 정보의 표시, 부가 정보의 신규 작성 및 기존의 부가 정보의 편집에 대한 조작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정지시킨다. 또, 입력 제어부(27)는 화면 정보(2)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입력부(22)에서는 화면 정보(2)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작화 장치(20)를 이용하는 다른 작성자가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전환했을 경우, 상기에 의해서 신규 작성 또는 편집된 부가 정보(3)가 표시 화면(21a)에 표시된다. 다른 작성자는 부가 정보(3)를 확인함으로써, 부가 정보(3)를 신규 작성 또는 편집한 작성자로부터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는, 입력부(22)에 의해 입력되는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 정보(2)를 작성 및 편집하는 작성 모드와, 부가 정보(3)의 화상을 화면 정보(2)의 화상상에 중첩된 상태로 표시 화면(21a)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한다. 이 때문에, 부가 정보(3)가 부가된 상태의 화상을 표시 화면(21a)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작화 장치(20)를 이용하여 화면 정보(2)를 작성하는 작성자가 표시 화면(21a)에 표시되는 부가 정보(3)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작성자로부터의 정보가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작성자는 다른 작성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화상에 주석을 첨가한 서류를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전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저감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3.
도 2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3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처럼, 화면 표시 시스템(3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 실시 형태 2에 따른 작화 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 및 작화 장치(20)는, 화면 정보(2)에 부가되는 부가 정보(3)의 표시, 생성 및 편집이 가능하다.
도 2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30)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를 기동시켰을 경우, 표시 화면(11a)에는 화면 정보(2)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동작 모드를 조작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전환하고, 부가 정보(3)인 주석(3a)을 작성했을 경우, 표시 화면(11a)에는 주석(3a)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 기억부(15)에는, 화면 정보(2) 및 부가 정보(3)인 주석(3a)이 기억된다.
화면 정보(2) 및 주석(3a)이 통신부(13)로부터 작화 장치(20)에 송신되었을 경우, 작화 장치(20)의 기억부(25)에는 화면 정보(2) 및 주석(3a)이 기억된다. 화면 정보(2)를 작성하는 작성자가 작화 장치(20)를 기동시켜, 동작 모드를 작성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전환했을 경우, 표시 화면(21a)의 작성 화면 정보(4)에는 화면 정보(2)의 화상 및 주석(3a)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로부터 작성자가 부가 정보(3)인 주석(3a)을 편집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가 기재한 경우, 표시 화면(21a)에는 추가 기재된 상태의 주석(3a)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 기억부(25)에는 화면 정보(2) 및 추가 기재된 상태의 주석(3a)이 기억된다.
화면 정보(2) 및 추가 기재된 상태의 주석(3a)이 통신부(23)로부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에 송신되었을 경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기억부(15)에는 화면 정보(2) 및 추가 기재된 상태의 주석(3a)이 기억된다.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조작자가 동작 모드를 부가 모드로 했을 경우, 표시 화면(11a)에는 화면 정보(2)의 화상 및 추가 기재된 상태의 주석(3a)의 화상이 표시된다.
화면 표시 시스템(30)은 통신부(13)와 통신부(23)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부가 정보(3)가 신규로 작성되었을 경우 또는 기존의 부가 정보(3)가 편집된 후, 부가 모드를 종료했을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 작화 장치(20)의 사이에서 화면 정보(2) 및 부가 정보(3)가 송수신되는 설정으로 해도 된다. 또, 화면 표시 시스템(30)은 통신부(13)와 통신부(23)의 사이가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 작화 장치(20)의 사이에서 화면 정보(2) 및 부가 정보(3)가 송수신되는 설정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면 표시 시스템(30)은,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와 작화 장치(20)의 사이에서, 화면 정보(2)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3)를 공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조작자와, 작화 장치(20)를 이용하는 작성자의 사이에서의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경우, 화상에 주석을 첨가한 서류를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전달에 필요로 하는 부담을 저감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에서는, 화면 정보(2)인 조작용의 화면 데이터(2a)가 표시 화면(11a) 및 표시 화면(21a)에 표시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6 및 도 27은, 변형예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의 표시 화면(11a)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블 표시기(10)는 설정용의 화면 데이터(2b)가 표시 화면(11a)에 표시된 상태에서 동작 모드를 조작 모드로부터 부가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7에 도시하는 것처럼, 설정용의 화면 데이터(2b)에 중첩시킨 상태로 부가 정보(3)인 주석(3b)이 표시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외부 접속 기기 2: 화면 정보
2a, 2b: 화면 데이터 2c: 오브젝트 데이터
3; 부가 정보 3a, 3b, 3c: 주석
4: 작성 화면 정보 4a: 헤더부
4b: 툴 선택부 4c: 화면 정보 표시부
10: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11, 21: 표시부
11a, 21a: 표시 화면 12, 22: 입력부
13, 23: 통신부 14, 24: 제어부
14A, 24A: CPU 14B, 24B: 메모리
14C, 24C: 제어 회로 14D, 24D: 처리 회로
15, 25: 기억부 16, 26: 표시 제어부
17, 27: 입력 제어부 18, 28: 통신 제어부
19, 29: 부가 제어부 19d, 29d: 부가 정보 처리부
19a, 29a: 모드 설정부 19b, 29b: 부가 정보 검출부
19c, 29c: 부가 정보 표시 지령부 20: 작화 장치
30: 화면 표시 시스템

Claims (8)

  1.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와,
    외부 접속 기기, 및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화면 정보를 작성하는 작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정보와, 상기 화면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와,
    상기 화면 정보의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모드와,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을 상기 화면 정보에 중첩시킨 상태로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부가 모드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모드에서는, 미리 상기 화면 정보에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및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모드에서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부가 정보를 신규로 작성하는 것 및 미리 상기 화면 정보에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를 편집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화면 정보와 상기 화면 정보에 대해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와의 사이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상기 화면 정보를 작성하는 작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화 장치는
    상기 화면 정보를 표시 가능한 작화측 표시 화면을 가지는 작화측 표시부와,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을 상기 화면 정보에 중첩시킨 상태로 상기 작화측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작화측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모드에서는, 미리 상기 화면 정보에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및 상기 작화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면 정보에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화측 제어부는, 미리 상기 화면 정보에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및 상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면 정보에 부가된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시스템.
  8.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부와,
    외부 접속 기기, 및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화면 정보를 작성하는 작화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 정보와, 상기 화면 정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화면 정보의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접속 기기를 조작하는 것과,
    상기 부가 정보의 화상을 상기 화면 정보에 중첩시킨 상태로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KR1020187032077A 2016-06-03 2016-06-03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KR101948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6649 WO2017208454A1 (ja) 2016-06-03 2016-06-03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画面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722A true KR20180123722A (ko) 2018-11-19
KR101948504B1 KR101948504B1 (ko) 2019-02-14

Family

ID=6047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077A KR101948504B1 (ko) 2016-06-03 2016-06-03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76893B1 (ko)
KR (1) KR101948504B1 (ko)
CN (1) CN109196454B (ko)
WO (1) WO2017208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1950A (zh) * 2020-09-17 2020-12-08 北京默契破冰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5807A (ja) * 2001-06-26 2003-01-08 Koyo Seiko Co Ltd 制御システム
JP2004362258A (ja) * 2003-06-04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システム
JP4547990B2 (ja) * 2004-05-25 2010-09-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1054130A (ja) * 2009-09-04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JP5608586B2 (ja) * 2011-02-24 2014-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指図管理方法および作業指図管理システム
JP5873300B2 (ja) * 2011-11-08 2016-03-01 アマノ株式会社 業務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68455B2 (ja) * 2012-06-12 2018-08-01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0214B2 (ja) * 2012-12-14 2016-02-24 発紘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支援装置、プログラム
JP5883953B2 (ja) * 2013-01-15 2016-03-15 発紘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作画エディタ装置、プログラム
US20160334776A1 (en) * 2014-02-12 2016-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rawing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76893B1 (ja) 2018-02-07
JPWO2017208454A1 (ja) 2018-06-21
CN109196454B (zh) 2020-02-14
WO2017208454A1 (ja) 2017-12-07
CN109196454A (zh) 2019-01-11
KR101948504B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631B1 (ko)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JP5838626B2 (ja) コントローラ開発支援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開発支援プログラム
JP2014032529A (ja) Plcシステム、その作画エディタ装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
KR101948504B1 (ko) 프로그래머블 표시기, 화면 표시 시스템, 및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제어 방법
CN114115778B (zh)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102174550B1 (ko) 표시 화면 생성 장치 및 표시 화면 생성 방법
JP2010176520A (ja) 文書編集装置、文書編集方法、および文書編集プログラム
TWI823355B (zh) 機器人教導系統、機器人教導程序及程序編輯裝置
JP2007133815A (ja) 状態遷移作成装置
JP2013205773A (ja) 表示システム、画像生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88364B2 (ja) 操作器画面生成装置
US20180314224A1 (en) Ladder program editor
JP2007004239A (ja) 設計支援装置および設計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528267B (zh) 可程式顯示器用畫面資料編輯裝置
KR102068787B1 (ko) 알람 기능 설정 장치, 알람 기능 설정 시스템 및 알람 기능 설정 프로그램
JPH0895612A (ja) Sfcプログラム開発装置
JP3113023B2 (ja) 円弧長寸法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2019139432A (ja) 作業端末、運用システム、作業管理サーバ、作業方法、運用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1292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231A (ja) 教示装置、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JP2012256187A (ja) Gui部品の状態遷移編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17211A (ja) 回路設計支援装置
JP2007272755A (ja) 情報機器、表示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H05151288A (ja) 円弧長寸法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2015143953A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