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546A -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546A
KR20180123546A KR1020187029907A KR20187029907A KR20180123546A KR 20180123546 A KR20180123546 A KR 20180123546A KR 1020187029907 A KR1020187029907 A KR 1020187029907A KR 20187029907 A KR20187029907 A KR 20187029907A KR 20180123546 A KR20180123546 A KR 2018012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primary
contact
vehic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037B1 (ko
Inventor
마뉴엘 레이벳세데르
헤르만 스토킹거
Original Assignee
이즈-링크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링크 게임베하 filed Critical 이즈-링크 게임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11/18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11)와 차량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1; 16; 22)에 관한 것이며, 2차 접촉면(5, 6; 18; 19)은 이들이 제2 절연면(14; 20; 27)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제2 절연면(14; 20; 27)은 동일 방향(X, Y, Z)에서 접촉된 1차 접촉면(8; 23) 중 하나의 주위 크기 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최소 폭(W1, W2; W3, W4)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와 차량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각각이 외부 윤곽을 갖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배열된 복수의 1차 접촉면을 갖는 1차 전송 요소와,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의 2차 접촉면 및 상기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의 2차 접촉면을 갖는 2차 전송 요소 - 상기 2차 접촉면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됨 - , 및
제1의 2차 접촉면과 접촉하는 제1의 1차 접촉면을 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제2의 2차 접촉면과 접촉하는 제2의 1차 접촉면을 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전원 공급 장치가 제1의 1차 접촉면과 제1의 2차 접촉면을 통해 차량으로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설계되고, 전원 공급 장치의 제2 단자와 차량의 제2 단자 사이에서 제2의 1차 접촉면과 제2의 2차 접촉면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수단을 갖는다.
그러한 접촉 시스템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8,307,967 B2에 공지되어 있는데, 2차 전송 요소를 갖는 차량 및 주차 공간의 노면에 매립된 1차 전송 요소를 개시한다.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이 주차 공간에 주차되는 경우에, 메카니즘이 2차 전송 요소를 1차 전송 요소로 낮추고, 여기서 전송 요소들의 접촉면을 통해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류가 흐른다.
주차 공간의 노면에 매립된 1차 전송 요소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직사각형 또는 그리드 형태로 배치된 2 줄의 둥근 1차 접촉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 수단은 1차 전송 요소에 할당되는데, 이 수단은 한편으로는 각각의 1차 접촉면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12 내지 24 볼트 범위의 저전압 전원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연결된다.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잠정적으로 무전위로 스위치되는 각각의 1차 접촉면은 양극 단자로 또는 음극 단자로 연결될 수 있다.
미국 특허 8,307,967 B2에 개시된 차량 상의 2차 전송 요소는 한줄의 정사각형 2차 접촉면을 가지며, 접촉면의 크기는 다른 전송 요소의 접촉면을 통해 전송 요소의 접촉면의 단락 회로가 초래되지 않도록 선택되었다. 1차 전송 요소로의 2차 전송 요소의 기계적 낮춤 이후에, 제어 수단은 어떤 1차 및 2차 접촉면이 전기적 접촉하는지를 결정하고 다음으로 1차 전송 요소의 적합한 1차 접촉면을 양극 단자에 연결시키며, 2차 전송 요소의 적합한 2차 접촉면을 저전압원의 음극 단자에 연결시켜서,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가 충전된다.
공지된 접촉 시스템의 경우에, 저전압원의 경우, 충전 공정이 상대적으로 장시간 지속되는 것이 단점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예를 들면 단지 1시간의 주차 지속 기간의 경우에는,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는 완전히 충전되지 않기 때문이다. 안전성 이유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의 저전압 범위를 상회하는 전압의 사용은 가능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다면, 충전 공정 동안, 사람이 차량의 하부에 및 접촉면에 닿는 경우 감전을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내의 전원 공급 장치를 완전하게 충전하기 위한 충전 지속 기간이 감소될 수 있는 접촉 시스템을 창작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며, 동시에 필요한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목적은 동일 방향에서의 접촉된 1차 접촉면 중 하나의 윤곽의 크기 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방향 의존성 최소 폭을 갖는 2차 접촉면을 둘러싸는 제2 절연면이 제공되는 접촉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해, 제어 수단에 의해 무전위 상태로부터 스위칭되며 2차 접촉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음극 단자 또는 양극 단자에 연결되는 1차 접촉면들이 제2 절연면에 의해 신뢰성있게 덮히는 것이 보장된다. 이에 의해 위험 없이 사람이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에 연결된 접촉면에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접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것이 보장됨에 의해, 1차 접촉면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서 60 볼트 또는 그 이상의 전압을 갖는 전압원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가 짧은 충전 시간 동안 더 높은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1차 접촉면의 외부 윤곽은 예를 들면 원형 1차 접촉면의 경우와 같이 방향 독립성일 수 있다. 그러나, 1차 접촉면의 외부 윤곽은 또한 예를 들면 1차 접촉면의 6각형 또는 타원형 윤곽과 같이 방향 의존적일 수 있다.
제2 절연면의 폭은, 라이브 단자가 사람에 의해 접촉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하여, 1차 접촉면의 방향 독립적 및 방향 의존적 윤곽 모두에 대해 항상 충분히 넓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절연면의 폭이 1차 접촉면의 가장 큰 외부 윤곽 둘레의 원주 보다 더 넓도록 선택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2차 전송 요소가 접촉에 대해 방향 독립성 방식으로 제1 전송 요소로 낮출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절연면의 폭은 동일한 방향에서의 접촉된 1차 접촉면의 폭 보다 단지 약간 더 넓도록 방향 의존적 방식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2차 전송 요소가 접촉을 위하여 그와 함께 정렬된 1차 전송 요소로 낮춰지는 것을 보장하는 위치 지정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의해 2차 전송 요소가 특히 작게 설계되어 차량과의 일체화를 용이하게 한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차량을 충전하기 위하여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에서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시스템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2의 2차 접촉면이 2차 전송 요소의 제1의 2차 접촉면을 완전히 둘러싸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에 따른 1차 전송 요소의 1차 접촉면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2b는 도 1에 따른 2차 전송 요소의 2차 접촉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그리드 형상으로 배치된 1차 전송 요소의 1차 접촉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1의 2차 접촉면 및 제2의 2차 접촉면이 원의 세그먼트로서 설계되고, 절연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1차 접촉면의 외부 윤곽 및 2차 전송 요소의 제2 절연면의 폭이 방향 의존 방식으로 폭이 상이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1차 전송 요소 및 2차 전송 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1차 전송 요소의 1차 접촉면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차량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차량 중, 단지 배터리(2), 충전 회로(3) 및 2차 전송 요소(4)만이 도시되며, 이를 통해 전원이 배터리(2)를 충전하기 위하여 차량에 공급된다. 도 2b에서, 제2 전송 요소(4)의 충전 회로(3)를 통해 배터리(2)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는 제1의 2차 접촉면(5) 및 충전 회로(3)를 통해 배터리(2)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는 제2의 2차 접촉면(6)이 도시된다.
접촉 시스템(1)은 도 3에 도시된 주차 공간의 노면에 매립되거나 그 위에 고정되며, 구조적 방식으로 배치된 균일한 6각형 외부 윤곽 특히 그리드 형상이며,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1차 접촉면(8)을 갖는, 1차 전송 요소(7)를 더 갖는다. 직경(D)을 갖는 원주는 1차 접촉면(8)의 외부 윤곽을 결정한다.
접촉 시스템(1)은 1차 접촉면(8) 각각에 연결된 제어 수단(9)을 더 갖는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는 단지 몇개의 이들 연결 라인(10)만이 표시된다. 제어 수단(9)은 예를 들면 380볼트로 로컬 전력망에 연결되고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 60볼트, 120볼트, 200볼트 또는 그 이상의 직류 전압을 가능하게 하는 전압원(11)에 더 연결된다. 제어 수단(9)은 제1의 2차 접촉면(5)과 접촉되는 제1의 1차 접촉면(12)을 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제2의 2차 접촉면(6)과 접촉되는 제2의 1차 접촉면(13)을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제1의 1차 접촉면(12) 및 제2의 1차 접촉면(13)을 결정한 이후에, 제어 수단(9)은 전압원(11)의 양극 단자와 제1의 1차 접촉면(12)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고, 전압원(11)의 음극 단자와 제2의 1차 접촉면(13)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전압원(11)의 및 차량 내의 충전 회로(3)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서 이에 의한 전기 연결이 확립되고, 이에 의해 충전 회로는 공급되는 60볼트 또는 그 이상의 전압을 차량에서 필요한 예를 들면 400 볼트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접촉 시스템(1)의 2차 전송 요소(4)는 이제 1차 접촉면(8) 중 하나의 외부 윤곽 주위의 원주의 직경(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최소폭을 갖는 2차 접촉면(6)을 둘러싸는 폭(B)을 갖는 제2 절연면(14)을 갖는다. 이에 의해 음극 단자에 연결된 제2의 1차 접촉면(13)은 인간의 손가락과 접촉될 수 없음이 보장된다. 안전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절연면(14)은 제2의 1차 접촉면(13)이 더 이상 예를 들면 1차 전송 요소(7)와 2차 전송 요소(4) 사이에서 눌려지는 금속 막대와 접촉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폭을 넘는 폭(B)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절연면(14)이 적어도 최소폭을 갖는한 어떠한 경우라도 안전은 보장된다. 대응하는 높은 충전 전류를 갖는 60 볼트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직류 전압 및 이에 따른 차량 배터리(2)의 짧은 충전 사이클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안전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취득된다.
1차 접촉면(8) 중 하나가 도 2a에 확대되어 도시된다. 1차 접촉면(8)의 외부 윤곽은 제2 절연면의 방향 의존성 최소 폭(W1)을 규정하는 방향 X에서의 크기를 갖는다. 1차 접촉면(8)의 외부 윤곽은 직경 D에 대응하는 제2 절연면의 방향 의존성 최소 폭(W2)을 규정하는 방향 Y 에서의 크기를 갖는다. 제1 예에 따르면, 제2 절연면(14)은 폭B를 가지며, B > W1 이고, B > W2 이다. 여기서 얻어지는 장점은 2차 전송 요소(4)가 접촉을 위하여 1차 전송 요소(7) 위에 소망된 정렬 형태로 낮춰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접촉 시스템(1)에서, 제2의 2차 접촉면(6)은 제1의 2차 접촉면(5)을 완전히 둘러싸는데, 이는 제1의 2차 접촉면(5)이 제2 절연면(14)에 의해 또한 완전히 둘러싸이게 되는 이유가 된다. 제2 절연면(14)에 의해 제1의 2차 접촉면(5)이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될 수 없다는 점이 또한 유리하게 보장된다.
제1의 2차 접촉면(5)이 제2의 2차 접촉면(6)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우 및 제2의 2차 접촉면(6) 및 제2 절연면(14)이 제1의 2차 접촉면(5) 주위에 동심원을 형성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 실시예가 제공되는 것이다. 제1의 2차 접촉면(5)은 이에 의해 특히 잘 차폐된다.
제1의 2차 접촉면(5)과 제2의 2차 접촉면(6) 사이에서 제1의 2차 접촉면(5) 주위로 동심원 형태로 제1 절연면(15)을 정렬하되, 폭 B를 갖는 제1 절연면(15)이 적어도 최소 폭(W2)을 갖는 것이 더욱 특히 유리하다. 60 볼트 또는 그 이상의 전압에 대해 필요한 제2의 2차 접촉면(6)으로부터의 제1의 2차 접촉면(5)의 전기적 절연이 이에 따라 보장되고, 제1의 2차 접촉면(5)이 사람에 의한 원치않은 접촉으로부터 특히 잘 보호되는 것이 더욱 달성된다.
1차 접촉면(8)을 6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더욱 증명되었다. 이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원형 1차 접촉면과 비교하여, 접촉면(8) 손상없이 강한 충전 전류를 전송하도록 큰 표면적을 갖는 특히 큰 1차 접촉면(8)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8각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1차 접촉면의 다른 형상이 유사하게 가능할 것이다.
제어 수단(9)은 유리하게는 제1의 1차 접촉면(12)이나 제2의 1차 접촉면(13)으로 결정되지 않은 모든 1차 접촉면(8)을 무전위로 스위칭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차량을 충전하기 위하여 전력을 전송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1차 전송 요소(7)의 모든 1차 접촉면(12 및 13)이 아마도 초래될 수 있는 감전(electrification) 또는 접촉 시스템(1)의 단락 회로 없이 인간에 의해 접촉될 수 있음이 보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시스템(16)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되, 2차 전송 요소(17)의 접촉면만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2차 전송 요소(17)는 제1의 2차 접촉면(18) 및 제2의 2차 접촉면(19)을 가지며, 이 둘은 원의 세그먼트로 설계된다. 두 2차 접촉면(18 및 19)은 제1 및 제2 절연면을 형성하는 절연면(20)에 의해 둘러싸인다. 유리하게는, 절연면(20)은 또한 2차 접촉면(18 및 19) 사이에서 제1 절연면에 대응하고 또한 2차 접촉면(18 및 19) 주위에서 1차 접촉면(8)의 외부 윤곽 주위의 원주의 최소 폭(W2) 및 직경(D) 보다 더 큰 제2 절연면에 대응하는 폭 B를 갖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촉 시스템(16)에서, 2차 전송 요소(17)와의 1차 전송 요소(7)의 방향 독립성 접촉의 경우에 높은 직류 전압을 이용한 짧은 충전 사이클을 달성하기 위하여 요구된 안정성이 또한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시스템(22)의 제3 실시예에 따른 1차 전송 요소(21)를 도시하는데, 1차 접촉면(23)의 외부 윤곽은 타원형이며, 따라서 방향 의존적이다. 2차 전송 요소(24)는 제1의 2차 접촉면(25) 및 제2의 2차 접촉면(26)을 가지며, 이들은 제2 절연면(27)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제1 절연면(28)에 의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절연면(27)은 방향 의존적 방식으로 단지 최소 폭을 가져야 하며, 이는 접촉된 1차 접촉면(23)의 윤곽의 크기 보다 동일한 방향에서 더 크다.
도 6은 접촉 시스템(22)의 1차 접촉면(23)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방향 X에서, 1차 접촉면(23)의 윤곽은 방향 X에서의 최소 폭(W3)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방향 Y에서, 1차 접촉면(23)의 윤곽은 방향 Y에서 최소 폭(W4)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2차 전송 요소(24)를 특히 좁게 형성하기 위하여, 제2 절연면(27)은 1차 및 2차 접촉면이 서로 접촉하는 경우에 폭(B1)을 갖는다. 방향 Y에서의 1차 접촉면(23)의 크기가 크므로, B2 > W4 및 B1 > W3가 적용된다. 방향 X 및 방향 Y에 대해 예를 들면 45도 경사진 방향 Z에서, 제2 절연면(27)은 동일한 방향 Z에서 1차 접촉면(23)의 크기 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 여기에서 얻어진 이점은 2차 전송 요소(24)가 차량으로 보다 잘 집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특히 좁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촉 시스템(22)은 2차 전송 요소(24)가 방향 의존적 방식으로 즉, 실질적으로 도 5 및 도 6에 표시된 방향 X 및 Y에 대응하여 1차 전송 요소(21) 상에 위치 지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위치 지정 수단을 갖는다. 위치 지정 수단은 센서에 의해, 화상 인식 기능을 갖는 카메라에 의해 또는 기구적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가능성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주차 공간 배치에 의해 대략의 정렬이 이미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주차 공간의 좌측 및 우측으로의 노면에서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 위치 지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 이유이다.
유사한 전압 범위의 교류 전압 외에도 80, 100 또는 400 볼트의 직류 전압이 또한 제2 절연면을 갖는 전송 요소의 접촉면에 인가될 수 있음을 언급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단자에 대해 제2 절연면을 갖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그 결과 예를 들면 3상 교류 전류가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면 차량의 충전 상태에 대해 다른 2차 접촉면을 통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할 것이다. 1차 전송 수단이 차량에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2차 전송 수단이 주차 공간의 노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절연면이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2)

  1.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11)와 차량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1; 16; 22)으로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각각이 외부 윤곽을 갖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배열된 복수의 1차 접촉면(8; 23)을 갖는 1차 전송 요소(7; 21)와,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의 2차 접촉면(5; 18; 25) 및 상기 제2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의 2차 접촉면(6; 19; 26)을 갖는 2차 전송 요소(4; 17, 24) - 상기 2차 접촉면들(5, 6; 18, 19; 24, 25)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됨 - , 및
    제1의 2차 접촉면(5)과 접촉하는 제1의 1차 접촉면(12)을 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제2의 2차 접촉면(6)과 접촉하는 제2의 1차 접촉면(13)을 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전원 공급 장치(11)의 제1 단자와 차량의 제1 단자 사이에서 제1의 1차 접촉면(12)과 제1의 2차 접촉면(5; 18)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설계되고, 차량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의 1차 접촉면(13)과 제2의 2차 접촉면(6; 19)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수단(9)을 가지되,
    접촉된 1차 접촉면(8; 23) 중 하나의 윤곽의 크기 보다 동일한 방향(X, Y, Z)에서 더 큰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방향 의존성 최소 폭(W1, W2; W3, W4)을 갖는 상기 2차 접촉면(5, 6; 18; 19; 24, 25)을 둘러싸는 제2 절연면(14; 20; 2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2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면(14)이 상기 접촉된 1차 접촉면(8; 23) 중 하나의 최대 외부 윤곽 주위의 원주의 직경(D) 보다 더 큰 적어도 하나의 최소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의 2차 접촉면(6)은 상기 제1의 2차 접촉면(5)을 완전히 둘러싸고, 상기 제2 절연면(14)이 상기 제2의 2차 접촉면(6)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의 2차 접촉면(5)은 상기 제2의 2차 접촉면(6)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의 2차 접촉면(6) 및 상기 제2 절연면(14)은 상기 제1의 2차 접촉면(5) 주위에 동심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절연면(15)이 상기 제1의 2차 접촉면(5)과 상기 제2의 2차 접촉면(6) 사이에서 상기 제1의 2차 접촉면(5) 주위에 동심원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절연면(15)은 또한 적어도 최소폭(W1, W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접촉면(8)은 6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접촉면(8; 23)은 그리드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22).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60볼트를 넘는 전압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22).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9)은 상기 제어 수단(9)에 의해 제1의 1차 접촉면(12)으로도 제2의 1차 접촉면(13)으로도 결정되지 않은 모든 1차 접촉면(8; 23)을 무전위(potential-free)로 스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22).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송 요소(7; 21)가 주차 공간의 노면에 제공되며, 상기 2차 전송 요소(4; 17)가 상기 1차 전송 요소(7; 21)와 접촉하기 위하여 낮춰지거나 상승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1; 16; 22).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전송 요소(21) 상에 상기 2차 전송 요소(24)의 방향 의존적 위치 지정을 위하여 설계되는 위치지정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제2 절연면(27)의 최소 폭(W3, W4)은 방향에 의존하여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2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1차 접촉면(23)의 외부 윤곽은 방향 의존적이며, 특히 타원형이며, 2차 접촉면(25, 26)이 상기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상기 1차 접촉면(23) 상에 위치 지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절연면(27)의 최소폭(W3, W4)은 방향 의존적 방식으로 적어도 상기 1차 접촉면(23)의 폭에 동일한 방향(X, Y, Z)에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시스템(22).
KR1020187029907A 2016-03-25 2017-03-16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KR102225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250/2016 2016-03-25
ATA50250/2016A AT518326B1 (de) 2016-03-25 2016-03-25 Kontaktierungssystem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m Fahrzeug und einer Energieversorgung
PCT/AT2017/060070 WO2017161395A1 (de) 2016-03-25 2017-03-16 Kontaktierungssystem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m fahrzeug und einer energieversor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546A true KR20180123546A (ko) 2018-11-16
KR102225037B1 KR102225037B1 (ko) 2021-03-09

Family

ID=5842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907A KR102225037B1 (ko) 2016-03-25 2017-03-16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24594B2 (ko)
EP (1) EP3433125B1 (ko)
JP (1) JP6725741B2 (ko)
KR (1) KR102225037B1 (ko)
CN (1) CN108883710B (ko)
AT (1) AT518326B1 (ko)
DE (1) DE112017001524A5 (ko)
ES (1) ES2899872T3 (ko)
WO (1) WO2017161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2472A1 (de) 2017-10-17 2019-04-18 easE-Link GmbH Bodenkontakteinheit für ein Fahrzeugbatterieladesystem und Verfahren zur Schaltung eines Kontaktbereiches einer Bodenkontakteinheit
DE102022108023A1 (de) * 2022-04-04 2023-10-05 Easelink Gmbh Verfahren zum Überprüfen einer Bodenkontakteinheit sowie elektrische Ladeinfrastruktu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5523A (ja) * 2011-06-14 2013-01-07 Alps Electric Co Ltd 無線電力伝送装置
KR20130136290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와 인렛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KR20140000835A (ko) * 2012-06-26 2014-01-06 (주)대한특수금속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JP2014150642A (ja) * 2013-01-31 2014-08-21 Toshiba Corp 充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04A (ja) * 1991-03-01 1994-01-14 Hitachi Kiden Kogyo Ltd クリーンルーム用無人搬送車の無人給電装置
JP3231546B2 (ja) * 1994-06-28 2001-11-26 株式会社東芝 移動体の自動給電装置
US6307347B1 (en) * 2000-08-02 2001-10-23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harging a vehicle
JP3824928B2 (ja) * 2001-12-25 2006-09-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および車両駆動装置
US8307967B2 (en) 2007-07-04 2012-11-13 Satyajit Patwardhan Widely deployable charging system for vehicles
EP2349774A2 (de) * 2008-11-03 2011-08-03 Andreas Stopp Verfahren zum automatischen laden von vollständig oder teilweise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en und 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s ladekontaktes
KR100944188B1 (ko) 2008-12-29 2010-02-25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 시스템
BE1019049A3 (fr) * 2009-11-25 2012-02-07 Roadfour S A Prise de sol a contact pour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rechargeable.
WO2012040548A1 (en) * 2010-09-26 2012-03-29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electively controlla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EP2815484B1 (en) * 2012-02-16 2022-11-30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Multiple coil flux pad
DE102013010695B4 (de) 2013-02-11 2022-09-29 Sew-Eurodrive Gmbh & Co Kg Vorrichtung mit Wicklungsanordnung und Anordnung, insbesondere Ladestation, zur berührungslosen Energieübertragung an ein Elektro-Fahrzeug, mit einer Wicklungsanordnung
DE102014216568A1 (de) 2014-08-21 2016-02-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ystem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r Stromquelle und einem Kraftfahrzeug, Kraftfahrzeug sowie Kontaktvorrichtung
JP2017200328A (ja) * 2016-04-27 2017-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受電装置、輸送機器、送電装置、送受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2546697B1 (ko) * 2016-06-16 2023-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코일 정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0239415B2 (en) * 2016-06-24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Base side vehicle identification using vehicle controller switching frequency
US20180015836A1 (en) * 2016-07-17 2018-01-18 Bezan Phiroz Mado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Parked Vehicle to a Power Source, Using Intersecting Lines of Contacts
US10682921B2 (en) * 2017-12-11 2020-06-16 Zoox, Inc. Underbody charging of vehicle batter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5523A (ja) * 2011-06-14 2013-01-07 Alps Electric Co Ltd 無線電力伝送装置
KR20130136290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와 인렛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KR20140000835A (ko) * 2012-06-26 2014-01-06 (주)대한특수금속 전기자동차용 비삽입식 충전플러그 및 이에 비삽입 접점되는 충전포트
JP2014150642A (ja) * 2013-01-31 2014-08-21 Toshiba Corp 充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37B1 (ko) 2021-03-09
EP3433125A1 (de) 2019-01-30
AT518326A1 (de) 2017-09-15
JP6725741B2 (ja) 2020-07-22
CN108883710B (zh) 2021-08-17
WO2017161395A1 (de) 2017-09-28
EP3433125B1 (de) 2021-10-20
JP2019511196A (ja) 2019-04-18
AT518326B1 (de) 2017-12-15
DE112017001524A5 (de) 2019-01-24
US20200254891A1 (en) 2020-08-13
US11524594B2 (en) 2022-12-13
ES2899872T3 (es) 2022-03-15
CN108883710A (zh)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05524B (zh) 用于对电动车辆进行充电的电动车辆充电系统
ES2732784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carga rápida
US20180015836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Parked Vehicle to a Power Source, Using Intersecting Lines of Contacts
CN103796866B (zh) 用于车辆的充电设备
US9035602B2 (en) Wireless battery charger for mobile devices and method thereof
KR102152515B1 (ko) 1차 디바이스와 2차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KR102225037B1 (ko) 차량과 전원 공급 장치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접촉 시스템
US9831478B2 (en) Battery unit having at least one first battery module and at least one second battery module in a battery housing
CN104617632B (zh) 可适配不同电子设备的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电子设备
CN204068351U (zh) 一种电子设备充电板及电子设备
CN106685011B (zh) 智能表面接触充电装置、系统及方法
US10964990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 combination
CN204441950U (zh) 可适配不同电子设备的充电装置及电子设备
KR20140139534A (ko) 전류의 전송 시스템
IT201900012207A1 (it) Base e sistema di contatto per la ricarica di accumulatori di energia di dispositivi mobili
KR20150071696A (ko) 철근 접지 결속장치
JP2014128040A (ja) エレクトレット電極、それを用いた振動発電器および振動発電装置、ならびに振動発電装置を搭載した通信装置と、エレクトレット電極の製造方法
RU2018146238A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JP6618137B2 (ja) 生物誘導装置および生物誘導ユニット
KR20170124835A (ko) 직류전송환경에서 유도전류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151538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면상 발열체의 전극 접속용 연결단자
CN107046331A (zh) 具有无线充电功能的电子装置
WO2019034495A1 (en) WIRELESS LOADING DEVICE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FERRING METHOD FOR WIRELESS LOADING PURPOSES
US20180226734A1 (en) Plug connector part for a load line
US11165282B2 (en) Module for inductive energy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