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764A -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764A
KR20180120764A KR1020187029438A KR20187029438A KR20180120764A KR 20180120764 A KR20180120764 A KR 20180120764A KR 1020187029438 A KR1020187029438 A KR 1020187029438A KR 20187029438 A KR20187029438 A KR 20187029438A KR 20180120764 A KR20180120764 A KR 2018012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ie rubber
rubber layer
partial ti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667B1 (ko
Inventor
강호균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34Building tyres by jointly covering two bead-rings, locat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distance apart, with fabric or cor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60C5/14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provided partially, i.e. not covering the whole in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04Carcasses the reinforcing cords of each carcass ply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 B60C9/08Carcasses the reinforcing cords of each carcass ply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the cords extend transversely from bead to bead, i.e. radial 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14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6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1664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 B29D2030/1678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subgroups of B29D30/00 the layers being applied being substantially continuous, i.e. not being cut before the applic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48Bead-rings or bead-cores; Treatment thereof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487Forming devices for manufacturing th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14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 B60C2009/145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at the inner side of the carcass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였을 경우에 염려되는 가류 고장을 방지하고,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는 것에 의한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카커스층(4)과 이너 라이너층(9)과의 층간에 있어서, 트레드부(1)의 센터 영역을 제외하는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영역에 각각 부분 타이 고무층(10)을 선택적으로 배치하고, 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단부가 각각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이루고, 이 경사면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가 20° ~ 60°이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타이(tie) 고무층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였을 경우에 염려되는 가류 고장을 방지하고,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는 것에 의한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 시에 미가류 타이어를 인플레이트(inflate)할 때에, 카커스 코드가 이너 라이너층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타이 고무층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타이 고무층으로서, 종래는,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전역(全域)에 배치되는 소위 풀 타이 고무층이 채용되어 왔다. 이에 대하여, 근년(近年)에는,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전역은 아니고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이와 같은 부분 타이 고무층은, 종래의 풀 타이 고무층에 비하여 고무의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기에는 유리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부분 타이 고무층은,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주로, 타이어 적도의 양측(숄더 영역 등)에 한 쌍이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풀 타이 고무층에 비하여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위치하는 말단이 증가하게 된다. 즉, 종래의 풀 타이 고무층에서는, 1층의 풀 타이 고무층의 양 말단(2개의 말단)이, 각각 비드부 근방에 배치되지만, 한 쌍의 부분 타이 고무층에서는, 각 부분 타이 고무층의 양 말단(합계로 4개의 말단)이, 각각 사이드 월부나 트레드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타이어 제조 시에 타이어 구성 부재(이너 라이너층, 부분 타이 고무층, 카커스층)가 적층될 때에, 부분 타이 고무층에 의하여 단차(段差)나 공극이 형성되어, 에어 고임이 생기기 쉬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는 경우이어도, 에어 고임 등의 가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5239507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보 제57230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였을 경우에 염려되는 가류 고장을 방지하고,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는 것에 의한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徑)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하고, 당해 한 쌍의 비드부 사이에 걸쳐 놓아진 카커스층과, 상기 트레드부에 있어서의 당해 카커스층의 외주(外周) 측에 배치된 벨트층과, 상기 카커스층을 따라 타이어 내면에 배치된 이너 라이너층과, 상기 카커스층과 상기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센터 영역을 제외하는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영역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부분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단부가 각각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상기 카커스층 측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이루고, 당해 경사면의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상기 카커스층 측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2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 또는 카커스층에 있어서의 가류 후의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센터 영역을 제외하는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이 선택적으로 재치(載置)되고, 당해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을 통하여 상기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 상에 미가류의 카커스층이 적층된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고, 당해 그린 타이어를 내측으로부터 블래더(bladder)로 압압(押壓)하면서 가류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상기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의 일방(一方)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당해 경사면의 상기 일방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20° ~ 60°로 하고, 상기 일방의 면이 상기 미가류의 카커스층 측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을 상기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과 상기 미가류의 카커스층과의 사이에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여, 풀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에 비하여 타이어 중량을 경감하고, 구름 저항을 저감하는 것에 있어서,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 제조 시에 타이어 구성 부재를 적층할 때에 이너 라이너층과 카커스층과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와의 사이에 에어 고임의 원인이 되는 단차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가류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서는,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에 형성하고, 부분 타이 고무층을 적층할 때의 방향을 특정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 제조 시에 타이어 구성 부재가 블래더로 압압될 때에, 이너 라이너층과 카커스층과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와의 사이에 에어 고임의 원인이 되는 단차나 공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지고, 가류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50 ~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의 경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부분 타이 고무층의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에어 빠짐성을 개선하여 가류 고장을 방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무의 경도」란, JIS K6253에 준거하고 듀로미터(durometer)의 타입 A에 의하여 온도 20℃에서 측정된 단단함(소위, JIS-A경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가 0.1mm ~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를 설정하는 것으로, 부분 타이 고무층의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에어 빠짐성을 개선하여 가류 고장을 방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의 페리퍼리(periphery) 길이가 30mm ~ 1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의 길이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으로,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과 가류 고장의 방지를 고도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페리퍼리 길이」란,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각 타이어 구성 요소(부분 타이 고무층)의 연장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길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要部)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자오선 단면도이다.
도 3은, 경사 각도 θ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상을 이루는 트레드부(1)와, 이 트레드부(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2)와, 사이드 월부(2)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3)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 CL은 타이어 적도를 나타낸다.
좌우 한 쌍의 비드부(3) 사이에는 카커스층(4)이 걸쳐 놓아져 있다. 이 카커스층(4)은, 타이어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각 비드부(3)에 배치된 비드 코어(5)의 둘레에 차량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또한, 비드 코어(5)의 외주 상에는 비드 필러(6)가 배치되고, 이 비드 필러(6)가 카커스층(4)의 본체부와 되접어 꺾음부에 의하여 감싸져 있다. 한편, 트레드부(1)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에는 복수 층(도 1 ~ 3에서는 2층)의 벨트층(7)이 매설되어 있다. 각 벨트층(7)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또한 층간에서 보강 코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벨트층(7)에 있어서, 보강 코드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10° ~ 4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벨트층(7)의 외주 측에는 벨트 보강층(8)이 설치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8)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향하는 유기 섬유 코드를 포함한다. 벨트 보강층(8)에 있어서, 유기 섬유 코드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가 예를 들어 0° ~ 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내면에는 이너 라이너층(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너 라이너층(9)은 공기 투과 방지 성능을 가지는 부틸 고무를 주체로 하는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고, 타이어 내에 충전된 공기가 타이어 밖으로 투과하는 것을 막고 있다.
이와 같은 이너 라이너층(9)과 카커스층(4)과의 사이에는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너 라이너층(9)과 카커스층(4)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타이 고무층이란, 타이어 제조 시에 미가류의 공기입 타이어를 인플레이트할 때에 카커스 코드가 이너 라이너층(9)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고, 제조 후의 타이어에 있어서는 공기 투과 방지성이나 드라이 노면에 있어서의 조종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이고, 종래는 카커스층(4)과 이너 라이너층(9)과의 층간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었지만(풀 타이 고무층),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10)으로서, 트레드부(1)의 센터 영역과 비드부(3)를 제외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적도(CL)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트레드부(1)의 숄더 영역과 사이드 월부(2)로 이루어지는 영역 내에 각각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분 타이 고무층(10)은,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단부(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단부(10a) 및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10b))가 각각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이들 경사면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는 각각 20° ~ 60°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 각도 θ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된다. 즉,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 및 이너 라이너층(9) 측의 면과 경사면과의 에지(edge)가 명료한 경우에는, 이들 에지끼리를 연결한 선과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이 이루는 각도를 경사 각도 θ로 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측의 면과 경사면과의 에지가 불명료한 경우에는, 경사면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연장한 가상선과,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카커스층(4) 의 면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를 경사 각도 θ로 한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양단부(10a, 10b)를 특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 제조 시에 타이어 구성 부재를 적층할 때에 이너 라이너층(9)과 카커스층(4)과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단부(10a, 10b)와의 사이에 에어 고임의 원인이 되는 단차나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가류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부 구조를 특정하는 것으로 가류 고장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10)을 채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유지할 수 있다. 즉, 풀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에 비하여 타이어 중량을 경감하고, 또한, 구름 저항을 저감 할 수 있다.
이 때, 경사면의 경사 방향이 반대이면(경사면이 이너 라이너층(9) 측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고 있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단부 구조가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에어 빠짐성을 충분히 높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경사 각도 θ가 20°보다도 작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말단이 너무 얇아져,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이 저해되는 우려가 있다. 경사 각도 θ가 60°보다도 크면, 충분한 경사가 없기 때문에, 경사면에 의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덧붙여, 경사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35° ~ 55°이면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우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9')에 있어서의 가류 후의 타이어의 트레드부(1)의 센터 영역을 제외하는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선택적으로 재치된다. 그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을 통하여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9') 상에 미가류의 카커스층(4')이 적층된다. 이 후, 다른 타이어 구성 부재가 적층되어 그린 타이어가 성형된다. 그리고, 이 그린 타이어를 내측으로부터 블래더로 압압하면서 가류하는 것으로, 공기입 타이어가 제조된다. 이 때,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폭 방향 양 단부는, 도시와 같이, 각각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일방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의 일방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는 20° ~ 6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와 같이,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9') 상에 적층될 때에는, 일방의 면이 미가류의 카커스층(4') 측이 되는 방향에서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은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9') 상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타이어 구성 부재를 단순하게 적층하였을 뿐의 상태에서는, 이너 라이너층(9')과 카커스층(4')과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말단과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지만, 블래더로 압압하면서 가류되는 공정에서는, 보강 코드(카커스 코드)가 매설된 카커스층(4')보다도 부드러운 이너 라이너층(9')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경사면을 따르도록 변형하여, 그 때에 도 4(b)에 도시된 공극 내의 에어는 밀어내어져 가고, 가류 후의 타이어에서는 도 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극은 잔존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공기 빼기가 양호하게 행해지고, 에어 고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가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도 4의 예에서는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9') 상에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을 재치하고 나서 순차 다른 타이어 구성 부재(미가류의 카커스층(4') 등)를 적층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9')과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과 미가류의 카커스층(4')이 적층된 상태에 있어서,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폭 방향 양 단부가, 각각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일방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미가류의 카커스층(4') 상에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10')을 재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물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무 경도가 바람직하게는 50 ~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65이면 된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경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에어 빠짐성을 개선하여 가류 고장을 방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때, 고무 경도가 50보다도 작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강성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에어 빠짐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가류 고장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경도가 70보다도 크면, 사이드 월부(2)의 강성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공기입 타이어의 본래의 성능에 악영향이 나오는 우려가 있다.
부분 타이 고무층(10)은,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타이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이너 라이너층(9)으로의 카커스 코드의 박힘을 방지하는 것 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되지만, 그 한편으로,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위하여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형상을 유지하여 양호한 에어 빠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적도(適度)한 두께를 가지는 것도 요구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두께 T를, 바람직하게는 0.1mm ~ 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m ~ 0.7mm로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나아가, 가류 고장에도 유리하게 된다. 이 때,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두께 T가 0.1mm보다도 작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너무 얇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타이 고무층으로서 충분히 기능하지 않게 되고, 타이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이너 라이너층(9)으로의 카커스 코드의 박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한정적으로 된다.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형상 유지가 어려워지고, 에어 빠짐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가류 고장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두께 T가 1.0mm보다도 크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이 너무 두꺼워져 사용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한정적으로 된다.
부분 타이 고무층(10)은, 전술과 같이, 타이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이너 라이너층(9)으로의 카커스 코드의 박힘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커스층(4)과 이너 라이너층(9)과의 사이의 적도한 영역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페리퍼리 길이를, 바람직하게는 30mm ~ 1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m ~ 80mm로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페리퍼리 길이를 최적화할 수 있고,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과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때,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페리퍼리 길이 L3이 30mm보다도 작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에 의하여 카커스층(4)과 이너 라이너층(9)과의 사이의 적도한 영역을 덮는 것이 어려워지고,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페리퍼리 길이 L3이 120mm보다도 크면, 부분 타이 고무층(10)의 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한정적으로 된다.
실시예
타이어 사이즈가 195/65R15이고, 도 1에 도시하는 기본 구조를 가지고, 타이 고무층의 구조,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의 경사 각도 θ, 부분 타이 고무층의 고무 경도, 부분 타이 고무층의 고무 두께, 부분 타이 고무층의 페리퍼리 길이를 각각 표 1 ~ 2와 같이 설정한 종래예 1, 비교예 1 ~ 4, 실시예 1 ~ 16의 21종류의 공기입 타이어를 제작하였다.
덧붙여, 표 1 ~ 2의 「타이 고무층의 구조」의 란에 관하여, 타이 고무층이 풀 타이 고무층인 경우는 「풀」, 부분 타이 고무층인 경우는 「부분」이라고 기재하였다.
이들 21종류의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하기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타이 고무 사용량, 공기 투과 방지성, 드라이 노면에 있어서의 조종 안정성(조종 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 ~ 5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타이 고무 사용량
각 시험 타이어에 있어서의 타이 고무의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종래예 1의 측정값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작을수록 타이 고무 사용량이 적고, 타이어 중량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이 지수값이 「85」 이하이면, 타이 고무 사용량이 충분히 적다고 말할 수 있고, 뛰어난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반대로, 이 지수값이 「85」를 넘으면, 타이 고무 사용량은 충분히 저감되어 있지 않고,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는 실질적으로 얻어져 있지 않은 것으로 된다. 특히, 이 지수값이 「70」 이하이면,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크게 뛰어나 있다.
구름 저항
각 시험 타이어를, 림 사이즈 15Х6J의 휠에 조립 장착하고, ISO28580에 준거하여, 드럼 직경 1707.6mm의 드럼 시험기를 이용하고, 공기압 210kPa, 하중 4.82kN, 속도 80km/h의 조건으로 구름 저항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종래예 1의 측정값의 역수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클수록 구름 저항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고장 발생율
각 시험 타이어를 각각 100개씩 제조하고, 성형·가류 후의 타이어의 내면을 관찰하고, 성형·가류 공정에서의 내면 고장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고장 발생율(각 시험 타이어의 총수에 대한 내면 고장이 발생한 타이어의 개수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종래예 1의 측정값의 역수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클수록 내면 고장의 발생율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16은 모두, 종래예 1에 대하여, 타이 고무 사용량을 저감하고, 구름 저항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고장 발생율을 개선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은, 경사 각도 θ가 90°이고, 부분 타이 고무층의 말단이 경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경사면에 의한 에어 빠짐성의 개선은 기대할 수 없고, 고장 발생율이 악화되었다. 비교예 2는, 경사 각도 θ가 135°이고, 부분 타이 고무층의 방향이 역전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면에 의한 에어 빠짐성의 개선은 기대할 수 없고, 고장 발생율이 악화되었다. 비교예 3은, 경사 각도 θ가 너무 작기 때문에, 고장 발생율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었다. 비교예 4는, 경사 각도 θ가 너무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비교예 1과 동등하고, 고장 발생율을 개선할 수 없었다.
1: 트레드부
2: 사이드 월부
3: 비드부
4: 카커스층
5: 비드 코어
6: 비드 필러
7: 벨트층
8: 벨트 보강층
9: 이너 라이너층
10: 부분 타이 고무층
CL: 타이어 적도

Claims (5)

  1.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徑)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하고, 당해 한 쌍의 비드부 사이에 걸쳐 놓아진 카커스층과, 상기 트레드부에 있어서의 당해 카커스층의 외주(外周) 측에 배치된 벨트층과, 상기 카커스층을 따라 타이어 내면에 배치된 이너 라이너층과, 상기 카커스층과 상기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센터 영역을 제외하는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영역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부분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단부가 각각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상기 카커스층 측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이루고, 당해 경사면의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상기 카커스층 측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2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50 ~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가 0.1mm ~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페리퍼리 길이가 30mm ~ 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 또는 카커스층에 있어서의 가류 후의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센터 영역을 제외하는 타이어 폭 방향 양측의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이 선택적으로 재치(載置)되고, 당해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을 통하여 상기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 상에 미가류의 카커스층이 적층된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고, 당해 그린 타이어를 내측으로부터 블래더로 압압(押壓)하면서 가류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상기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의 일방(一方)의 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당해 경사면의 상기 일방의 면에 대한 경사 각도를 20° ~ 60°로 하고, 상기 일방의 면이 상기 미가류의 카커스층 측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미가류의 부분 타이 고무층을 상기 미가류의 이너 라이너층과 상기 미가류의 카커스층과의 사이에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 방법.
KR1020187029438A 2016-03-14 2017-02-20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2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9740A JP6304291B2 (ja) 2016-03-14 2016-03-14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JP-P-2016-049740 2016-03-14
PCT/JP2017/006117 WO2017159220A1 (ja) 2016-03-14 2017-02-20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764A true KR20180120764A (ko) 2018-11-06
KR102132667B1 KR102132667B1 (ko) 2020-07-10

Family

ID=5985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438A KR102132667B1 (ko) 2016-03-14 2017-02-20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3187B2 (ko)
JP (1) JP6304291B2 (ko)
KR (1) KR102132667B1 (ko)
CN (1) CN108778779B (ko)
DE (1) DE112017001294T5 (ko)
WO (1) WO2017159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4919B2 (ja) * 2017-04-19 2018-11-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8213704A1 (de) * 2018-08-15 2020-02-20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Nutzfahrzeugreifen
JP7315818B2 (ja) * 2019-03-18 2023-07-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507B2 (ko) 1973-06-15 1977-10-05
JPS5723086B2 (ko) 1974-03-20 1982-05-17
JP2010264792A (ja) * 2009-05-12 2010-11-2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74594A (ja) * 2014-03-17 2015-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2221A (en) * 1969-03-14 1972-08-08 Alfred Marzocchi Tire construction with improved reinforcement
JP3825884B2 (ja) * 1997-06-18 2006-09-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GB9801224D0 (en) * 1998-01-21 1998-03-18 Sumitomo Rubber Ind Improvements to tyres
ES2384258T3 (es) * 1998-12-17 2012-07-03 Bridgestone Corporation Neumático
WO2005007423A1 (ja) * 2003-07-17 2005-01-27 The Yokohama Rubber Co., Ltd. 耐久性の改良された空気入りタイヤ
DE602005002692T2 (de) * 2004-08-03 2008-02-0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Kobe Methode zur Herstellung eines Kautschukelements für Reifen
JP5239507B2 (ja) * 2008-05-19 2013-07-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2326491B1 (en) * 2008-08-11 2012-04-25 PIRELLI TYRE S.p.A. Process for building a green tyre for vehicle wheels and tyre built by said process
DE102008038764A1 (de) * 2008-08-12 2010-02-1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US8413700B2 (en) * 2010-02-04 2013-04-09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having staggered turn-u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507B2 (ko) 1973-06-15 1977-10-05
JPS5723086B2 (ko) 1974-03-20 1982-05-17
JP2010264792A (ja) * 2009-05-12 2010-11-2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74594A (ja) * 2014-03-17 2015-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4291B2 (ja) 2018-04-04
KR102132667B1 (ko) 2020-07-10
DE112017001294T5 (de) 2018-12-06
CN108778779A (zh) 2018-11-09
WO2017159220A1 (ja) 2017-09-21
US20190077105A1 (en) 2019-03-14
JP2017165135A (ja) 2017-09-21
US11453187B2 (en) 2022-09-27
CN108778779B (zh)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0300B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20764A (ko)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EP3842265A1 (en) Pneumatic tire
US11241914B2 (en) Pneumatic tire
US9463671B2 (en) Pneumatic vehicle tire
JP6300342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5503341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123928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248005B1 (ko)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8459B1 (ko) 공기입 타이어
JP69884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1116043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加硫金型
JP6047362B2 (ja) ラグ付き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084255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
JP6369184B2 (ja) 更生タイヤ
JP2018008619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89050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2912260A (zh) 充气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