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532A -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532A
KR20180120532A KR1020170054651A KR20170054651A KR20180120532A KR 20180120532 A KR20180120532 A KR 20180120532A KR 1020170054651 A KR1020170054651 A KR 1020170054651A KR 20170054651 A KR20170054651 A KR 20170054651A KR 20180120532 A KR20180120532 A KR 2018012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dust
adhesive portion
bon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혁
허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하우징
정승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하우징, 정승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하우징
Priority to KR102017005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0532A/ko
Priority to CN201710847270.XA priority patent/CN107912820A/zh
Priority to CN201721202094.6U priority patent/CN207236184U/zh
Publication of KR2018012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41D2023/004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made of differen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에 관한 것으로서, 망사부; 상기 망사부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접착되되, 상기 제1접착부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는 제2접착부;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의 접착에 의해 상기 망사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사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면서도 통풍성이 크게 향상되어 실내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SCREEN CAPABLE OF PREVENTING YELLOW DUST AND FINE P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 OF}
본 발명은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황사와 미세먼지를 차단하면서도 통풍성이 크게 향상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사, 미세먼지는 각종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황사, 미세먼지는 최근 들어 국내에 자주 발생 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있다.
외부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황사, 미세먼지가 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실내의 경우, 실내가 환기되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창문이 개방되는 경우, 외부의 황사, 미세먼지가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방충망에 해파필터 등의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는 필터를 부착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충망에 필터를 압착, 부착하는 경우, 통기성이 크게 낮아져 실내 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사와 미세먼지를 차단하면서도 통풍성이 크게 향상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망사부; 상기 망사부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접착되되, 상기 제1접착부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는 제2접착부;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의 접착에 의해 상기 망사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부를 포함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접착부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착부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망사부에 제1접착부를 도포하는 제1처리단계;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부를 압착하는 제1압착단계; 상기 망사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망사부에 상기 망사부 보다 더 적은 면적으로 제2접착부를 도포하는 제2처리단계; 상기 망사부에 부직포부를 안착시킨 후,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부를 압착하는 제2압착단계; 히팅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부를 압착시키면서 열을 가하는 히팅단계; 및 상기 망사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접착부가 경화되도록 상기 망사부에 열을 가하는 제1경화단계; 및 상기 냉각단계 이후,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가 경화되도록 상기 망사부에 열을 가하는 제2경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사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면서도 통풍성이 크게 향상되어 실내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설정된 온도에 따라 제2접착부의 색상이 변화되므로, 이를 통해 현재의 내부 온도가 쉽게 확인되며, 이를 이용하면, 환기의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에서의 기체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망사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망사부와 부직포부를 정면 및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2접착부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단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에서의 기체의 유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망사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망사부와 부직포부를 정면 및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2접착부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100)은 망사부(110)와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와 부직포부(140)를 포함한다.
망사부(110)는 망사구조로 마련되는 것으로써, 일면에는 후술하는 제1접착부(120)가 도포된다.
이러한 망사부(110)는 혼합유리 섬유인 화이버그라스 원단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망사구조로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제1접착부(120)는 상술한 망사부(110)의 일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써, 70메쉬 금형(m)의 선처리 코팅과정에 의해 망사부(110)의 일면에 도포된다.
이러한 제1접착부(120)는 변성우레탄 1액형 타입의 액상 접착제와, 경화제, MEK(Methyl Ethyl Ketone)용제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1접착부(120)의 일면에는 후술하는 제2접착부(130)가 도포되며, 이후, 후술하는 부직포부(140)가 안착된다. 부직포부(140)는 히팅롤러(r1)를 통과하면서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가 가교성을 형성하는 것에 따라 제1접착부(120)에 고정된다.
제2접착부(130)는 제1접착부(120)의 일면에 도포되어 제1접착부(120)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써, 제1접착부(120)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접착부(130)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마련되도록 제1접착부(120)의 일면에 도포된다. 이를 위해서는 반복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마련되는 음각형 금형(m)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패턴은 육각형, 직사각형, 정방형, 마름모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모양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여기서 음각형 금형(m)은 80메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접착부(120)의 일면에 도포된 제2접착부(130)는 후술하는 부직포부(140)가 안착된 이후, 히팅롤러(r1)를 통과하면서 제1접착부(120)와 가교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에 의해 부직포부(140)가 망사부(110)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접착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망사부(1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 즉, 빈 공간을 형성하는 패턴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접착부(130)의 구조에 따르면, 부직포부(140)의 일부분(즉, 제2접착부(130)가 도포된 부분)만이 외기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며, 나머지 부직포부(140)의 일부분은 외기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통기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제2접착부(130)는 우레탄 2액형 타입의 액상 접착제와, 경화제와, MEK(Methyl Ethyl Ketone)용제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되는데, 여기에 첨가제로써 시온안료, 변환잉크가 첨가될 수 있다.
시온안료(Heat Sensitive Paint)와 변환잉크는 기설정된 온도가 되면 분자의 구조 또는 배열이 변화되어 색이 변하는 재료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첨가제에 따르면, 기설정된 온도에 따라 제2접착부(130)의 색상이 변화되므로, 이를 통해 현재의 내부 온도가 쉽게 확인되며, 이를 이용하면, 환기의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직포부(14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 즉, 황사, 미세먼지, 기타 이물질 등을 필터링 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의 접착, 결합에 의해 망사부(110)에 설치된다.
부직포부(140)는 망사부(110)에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가 각각 도포된 이후, 제2접착부(130)의 일면에 안착된 다음, 압착롤러(R) 및 히팅롤러(r1)를 통과함으로써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가 결합되면서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로 망사부(110)에 고정된다.
이때, 제2접착부(130)는 빈공간을 형성하는 패턴 구조로 마련되므로, 부직포부(140)의 일부분은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의 사이에서 결합되고, 나머지 부직포부(140)의 일부분은 일면만이 제1접착부(12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접착부(120)에만 결합된 부분에 통기성이 크게 확보되므로, 이러한 부분을 통해 실내공간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망사부(110)와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와 부직포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100)에 따르면, 황사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면서도 통풍성이 크게 향상되어 실내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100)에 따르면, 기설정된 온도에 따라 제2접착부(130)의 색상이 변화되므로, 이를 통해 현재의 내부 온도가 쉽게 확인되며, 이를 이용하면, 환기의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S100)은 준비단계(S101)와, 제1처리단계(S102)와, 제1압착단계(S103)와, 건조단계(S104)와, 제1경화단계(S105)와, 제2처리단계(S106)와, 제2압착단계(S107)와, 히팅단계(S108)와, 냉각단계(S109)와, 제2경화단계(S110)와, 포장단계(S111)를 포함한다.
준비단계(S101)는 망사부(110)와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와 부직포부(140)가 준비되는 단계이다. 준비단계(S101)에 따라, 망사부(110)는 혼합유리 섬유인 화이버그라스 원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준비단계(S101)에 따라, 제1접착부(120)는 변성우레탄 1액형 타입의 액상 접착제와, 경화제, MEK(Methyl Ethyl Ketone)용제가 혼합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준비단계(S101)에 따라, 제2접착부(130)는 우레탄 2액형 타입의 액상 접착제와, 경화제와, MEK(Methyl Ethyl Ketone)용제가 혼합됨으로써 마련되는데, 여기에 첨가제로써 시온안료, 변환잉크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준비단계(S101)에 따라, 부직포부(140)는 저중량 웹형 부직포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단계(S102)는 상술한 망사부(110)에 제1접착부(120)를 도포하는 단계로써, 70메쉬 금형(m)의 선처리 코팅과정에 의해 실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착단계(S103)는 상술한 제1처리단계(S102) 이후, 제1접착부(120)가 도포된 망사부(110)를 압착롤러(R)로 압착하는 단계로써, 3 내지 4 kgf의 압력, 10 RPM의 회전수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단계(S104)는 상술한 제1압착단계(S103) 이후, 망사부(110)를 건조시키는 단계로써, 120도의 온도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경화단계(S105)는 상술한 건조단계(S104) 이후, 망사부(110)에 50 내지 60도의 열을 가하여 5시간 이상 숙성,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망사부(110)에 열을 가하기 이전, 제1접착부(12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필름(f1)을 제1접착부(120)에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경화단계(S105)에 따르면, 제1접착부(120)가 후술하는 제2압착단계(S107)에서 제2접착부(130)와 접착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경화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처리단계(S106)는 제1경화단계(S105) 이후, 망사부(110)에 망사부(110) 보다 더 적은 면적으로 제2접착부(130)를 도포하는 단계로, 반복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마련되는 음각형 금형(m)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2처리단계(S106)에 따라, 제2접착부(130)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마련되는데, 여기서 기설정된 패턴은 육각형, 직사각형, 정방형, 마름모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모양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여기서 음각형 금형(m)은 80메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착단계(S107)는 제2처리단계(S106) 이후, 망사부(110)에 부직포부(140)를 안착시킨 후, 압착롤러(R)를 이용하여 망사부(110)를 압착하는 단계로써, 5 내지 7 kgf의 압력, 8 RPM의 회전수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단계(S108)는 상술한 제2압착단계(S107) 이후, 망사부(110)를 압착시키면서 열을 가하는 단계로써, 히팅롤러(r1)를 이용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가해지는 열은 60 내지 70도의 온도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제2압착단계(S107), 히팅단계(S108)에 따르면,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가 가교결합되면서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로 망사부(110)에 고정된다.
이때, 제2접착부(130)는 빈공간을 형성하는 패턴 구조로 마련되므로, 부직포부(140)의 일부분은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의 사이에서 결합되고, 나머지 부직포부(140)의 일부분은 일면만이 제1접착부(12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접착부(120)에만 결합된 부분에 통기성이 크게 확보되므로, 이러한 부분을 통해 실내공간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단계(S109)는 상술한 제2압착단계(S107) 이후, 망사부(110)를 냉각시키는 단계로써, 냉각롤러(r2)에 의해 실시된다. 냉각단계(S109)를 거친 망사부(110)의 표면에는 부직포부(140)의 상면 위로 제2접착부(130)가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형지(f2)를 부착시킨 다음, 권취롤러로 권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경화단계(S110)는 상술한 냉각단계(S109) 이후, 망사부(110)에 50 내지 60도의 열을 가하여 10시간 이상 숙성,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술한 제2경화단계(S110)에 따르면, 제1접착부(120)와 제2접착부(13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부직포부(140)가 망사부(110)에 완벽하게 고정될 수 있다.
포장단계(S111)는 상술한 제2경화단계(S110) 이후, 망사부(110)를 권출시킨 다음, 이형지(f2)를 박리한 후, 개별 포장시키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준비단계(S101)와, 제1처리단계(S102)와, 제1압착단계(S103)와, 건조단계(S104)와, 제1경화단계(S105)와, 제2처리단계(S106)와, 제2압착단계(S107)와, 히팅단계(S108)와, 냉각단계(S109)와, 제2경화단계(S110)와, 포장단계(S11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S100)에 따르면, 황사와 미세먼지가 차단되면서도 통풍성이 크게 향상되어 실내의 환기가 효과적으로 실시되며, 기설정된 온도에 따라 제2접착부(130)의 색상이 변화되므로, 이를 통해 현재의 내부 온도가 쉽게 확인되며, 이를 이용하면, 환기의 시점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100)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110 : 망사부
120 : 제1접착부
130 : 제2접착부
140 : 부직포부
m : 금형
R : 압착롤러
r1 : 히팅롤러
r2 : 냉각롤러
f1 : 이형필름
f2 : 이형지
S100 :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
S101 : 준비단계
S102 : 제1처리단계
S103 : 제1압착단계
S104 : 건조단계
S105 : 제1경화단계
S106 : 제2처리단계
S107 : 제2압착단계
S108 : 히팅단계
S109 : 냉각단계
S110 : 제2경화단계
S111 : 포장단계

Claims (5)

  1. 망사부;
    상기 망사부의 일면에 도포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접착되되, 상기 제1접착부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는 제2접착부;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의 접착에 의해 상기 망사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부를 포함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부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4. 망사부에 제1접착부를 도포하는 제1처리단계;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부를 압착하는 제1압착단계;
    상기 망사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망사부에 상기 망사부 보다 더 적은 면적으로 제2접착부를 도포하는 제2처리단계;
    상기 망사부에 부직포부를 안착시킨 후,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부를 압착하는 제2압착단계;
    히팅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망사부를 압착시키면서 열을 가하는 히팅단계; 및
    상기 망사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후, 상기 제1접착부가 경화되도록 상기 망사부에 열을 가하는 제1경화단계; 및
    상기 냉각단계 이후,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가 경화되도록 상기 망사부에 열을 가하는 제2경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의 제조방법.
KR1020170054651A 2017-04-27 2017-04-27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0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51A KR20180120532A (ko) 2017-04-27 2017-04-27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710847270.XA CN107912820A (zh) 2017-04-27 2017-09-19 可以净化空气及隔离雾霾和微尘的防尘纱及其制造方法
CN201721202094.6U CN207236184U (zh) 2017-04-27 2017-09-19 可以净化空气及隔离雾霾和微尘的防尘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51A KR20180120532A (ko) 2017-04-27 2017-04-27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32A true KR20180120532A (ko) 2018-11-06

Family

ID=6188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51A KR20180120532A (ko) 2017-04-27 2017-04-27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20532A (ko)
CN (2) CN2072361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832B1 (ko) 2019-12-24 2021-02-03 유한회사 클리어창 미세먼지 및 빗물유입 차단이 가능한 환기창
KR20210057337A (ko) * 2019-11-12 2021-05-21 양동섭 미세먼지 방지용 메쉬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방충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532A (ko) *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윈하우징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1550A (en) * 1999-04-28 2001-01-03 British Gas Services Ltd Decorative panel for a radiator
KR100355105B1 (ko) * 2000-01-20 2002-10-11 주식회사 거북벽지 벽지와 그 제조방법 및 조성물
JP2002206972A (ja) * 2001-01-11 2002-07-26 Pilot Ink Co Ltd 感温変色性適温領域表示体
JP2004324241A (ja) * 2003-04-25 2004-11-18 Takashi Yamagaito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TWM246348U (en) * 2003-10-15 2004-10-11 Tsai Yi I Same thickness and more aggrandize weave conformation
KR20090064984A (ko) * 2007-12-17 2009-06-22 윤동휘 색상분말이 열압착된 메쉬의 제조방법 및 그 메쉬
CN201802288U (zh) * 2010-09-08 2011-04-20 天津市誉满纱窗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防尘纱窗用复合纱窗布
JP5910350B2 (ja) * 2012-06-27 2016-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エンボス加工用シート、及びエンボス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457667B1 (ko) * 2014-06-05 2014-11-07 주식회사 비에프 내마모성이 우수한 변온 변색 전사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682414B (zh) * 2014-11-20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散热方法及电子设备
KR20180120532A (ko) *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윈하우징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37A (ko) * 2019-11-12 2021-05-21 양동섭 미세먼지 방지용 메쉬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호용 미세먼지 차단 방충망
KR102210832B1 (ko) 2019-12-24 2021-02-03 유한회사 클리어창 미세먼지 및 빗물유입 차단이 가능한 환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12820A (zh) 2018-04-17
CN207236184U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532A (ko) 황사 및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진창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229169A1 (en) Air filter including adhesi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974904B1 (en) Functional particle carry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78425B1 (en) Tinted polarized window film
KR20100075617A (ko) 기재를 마스킹 또는 보호하는 물품 및 방법
US4664735A (en) Heat transfer sheeting having release agent coat
EP3822307B1 (en) Breathable waterproof membrane capable of being heat-bonde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201313483A (zh) 複合網狀薄層物
KR20190020498A (ko) 초미세먼지 차단용 나노방진망 및 그 제조방법
CN111528551A (zh) 一种可表征静电吸附能力的变色硅胶口罩
CN210656784U (zh) 一种保护膜及含有该保护膜的面盖组件
KR101667186B1 (ko) 흡착성 부직포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92267B1 (ko) 선루프용 블라인드 및 이의 제조방법
GB2545080A (en) Particle filt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382475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CN113226516A (zh) 功能性过滤器
US20160152001A1 (en) Screen protector structure
EP3726947A1 (en) Internal pressure adjustment member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transport device
CN108373884A (zh) 一种耐候亚克力保护膜及其生产方法
JP3766488B2 (ja) マスク
KR101812723B1 (ko) 실리콘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3227662U (ja) マスク及びマスク用機能補助シート体
DE102014108626A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Laser-Personalisierbare Chipkarte
KR101604124B1 (ko) 열차폐성이 향상된 선루프용 블라인드
CN104207888A (zh) 一种具有涂覆远红外材料层的医用敷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