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941A -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941A
KR20180119941A KR1020170053695A KR20170053695A KR20180119941A KR 20180119941 A KR20180119941 A KR 20180119941A KR 1020170053695 A KR1020170053695 A KR 1020170053695A KR 20170053695 A KR20170053695 A KR 20170053695A KR 20180119941 A KR20180119941 A KR 20180119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xime
wound healing
composition
dichloroindiru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668B1 (ko
Inventor
최강열
한균희
이철호
서설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05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66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어 상처 치료제를 비롯하여 상처 치료 기능으로부터 발휘되는 피부 재생 또는 노화 방지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쉬나무 추출물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로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다고 밝혀진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이들을 단독 혹은 혼합물로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 스테로이드 약물과 달리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comprising extract of Euodia sutchuenensis Dode}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서 피부는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하는 장벽 역할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장벽 역할을 하는 피부의 정상적인 구조가 파괴된 상태를 창상 혹은 상처라고 한다. 이와 같이 피부가 상처를 입게 되면 상처 부위가 노출되어 외부 균의 침입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상처치료가 되어야 추가 감염(infection)을 막을 수 있고 또한, 그로 인한 과도한 염증반응(inflammation)을 막을 수 있다. 과도한 염증반응은 상처치유 기간을 연장시킬 뿐 아니라 흉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처치유(wound healing)란 임상적으로 피부가 완전하게 봉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만성상처(chronic wound)가 아닌 일반적인 상처는 대략 3-14일 안에 완전히 치유된다. 피부 상처 치유(cutaneous wound healing)는 내피세포, 혈구세포, 각질세포,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와 같은 세포의 복합적인 조화를 통해 순차적인 과정을 밟으며 이루어진다. 특히 섬유아세포는 세포외기질(extra cellular matrix) 및 콜라겐의 축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이다. 정상적인 피부 상처 치유는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증식, 콜라겐의 축적과 수축을 필요로 한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상처 치료제는 동국제약사의 '복합 마데카 솔'(1985년 출시)과 동화약품사의 '후시딘'(1980년 출시)이 있다. 두 제제의 효능은 대체로 비슷하지만, 후시딘은 항균력에, 마데카솔은 흉터 완화에 조금 더 강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스테로이드 연고는 소염작용, 면역억제기능, 알레르기성 질환 등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으로 곰보자국, 피부주름, 모낭염 등을 유발하며, 무좀 등의 세균성 질환에는 효과가 없다. 또한, 항생제를 포함하는 연고는 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아이들과 같은 연약한 피부 상처에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생연고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처치유 기전을 기반으로 한 상처치료제가 국내시장에서 선보이고 있다. 또한, 일상에서의 피부 상처보다 더 심각한 사고 상해, 멜라노마와 같은 피부질환 수술 후 생기는 큰 상처, 당뇨병과 같은 타 질환과 연계된 상처 등은 치유에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종종 흉터를 유발하는 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대웅제약사에서 일반의약품으로는 국내 최초로 상피세포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를 함유하고 있는 상처치료제 '이지에프 새살연고'를 출시했다. 상피세포 성장인자가 상처부위의 살갗을 덮고(재상피화) 새살을 만들어내는 것(육아조직 증식)을 촉진해 흉터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상피세포 성장인자는 단백질인 만큼 생산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매우 큰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종래 사용되던 호르몬제 또는 화합물 제제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물을 포함하는 상처치유 제제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부작용이 적고,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보조성분으로 난용성 성분이 이용성 성분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천연물은 오랜 임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부작용의 부담이 적고, 상대적으로 신약으로 개발 시 비용이 저렴하며 투자기간이 짧기 때문에, 최근 제약회사들로부터 천연물 신약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물을 이용한 비용 대비 우수한 효과를 갖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89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갖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및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및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어 상처 치료제를 비롯하여 상처 치료 기능으로부터 발휘되는 피부 재생 또는 노화 방지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쉬나무 추출물은 천연물 유래 조성물로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인디루빈 유도체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다고 밝혀진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이들을 단독 혹은 혼합물로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 스테로이드 약물과 달리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또는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b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또는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률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c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2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 또는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복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1d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3으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3) 또는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복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1e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4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4) 또는 실시예 5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복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한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picrosirius red staining 염색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이 EGF보다 효과적으로 급성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및 양성대조군으로 EGF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0일 째와 14일 째에 촬영한 사진과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및 EGF(양성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2의 복합물을 각각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0일 째와 14일 째에 촬영한 사진과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2의 복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A3334),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3의 복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0일 째와 14일 째에 촬영한 사진과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3의 복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장기간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면서, 쉬나무 추출물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유의한 효과의 증가가 있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일 수 있다. 왜냐하면 생체 외(in virto) 실험과 동물실험 결과에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것이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4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3 배 이상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5 배, 2.0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기 쉬나무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인디루빈 유도체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화학식 1) 또는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화학식2)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화학식 4]
Figure pat00012
상기 쉬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쉬나무 추출물과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혼합된 복합물은 하기의 실시예 및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쉬나무 추출물 단독 또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에 의한 세포의 운동성을 확인한 결과 우수한 세포의 이동능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334, A3041)를 혼합할 경우에는,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3 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쉬나무 추출물 단독 또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 마우스의 상처에 도포한 결과,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되고,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 조직의 상처 치유 마커들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또는 2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은 종래 상피세포 성장인자를 직접 처리한 경우보다도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 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Figure pat00015
[화학식 4]
Figure pat00016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과 쉬나무 추출물과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가 혼합된 복합물은 상처 치유(wound healing)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 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촉진 및 축적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는 외피 세포에서 발견되는 세포의 한 유형으로 외피세포의 기저층을 형성하고, 피부의 표면상에 각질화된 성숙한 세포층을 형성하기까지, 케라티노사이트는 구조의 확대와 변형에 의해 외피층(각질층, corneal stralum)을 형성한다. 상처 치유 속도는 몇몇 인자들 중 케라티노사이트의 증식 및 이동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케라티노사이트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아 상처 치유에 유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에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한 것일 수 있는데, 상처 치유 효과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혼합되는 것보다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화학식 1),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화학식 2),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화학식 3)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화학식 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들이 쉬나무 추출물과 혼합되는 것이 시너지 효과 이상의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급성 상처가 빠르게 재상피화되며, 다양한 종류에 대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이의 축적 및 수축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으며, 섬유아세포의 이동과 증식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등 매우 현저한 창상 치유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화학식 1),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화학식 2),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화학식 3)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화학식 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인디루빈 유도체를 사용했을 때보다 약 1.3~1.5배의 유의적 효과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화학식 1) 또는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화학식 2)을 사용하는 경우 생체 외(in virto) 실험과 동물실험 결과에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것이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인디루빈 유도체와 쉬나무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4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3 배 이상 wound closure rate(%)가 향상되고, 상처 치유 효과 역시 단순한 상승효과 이상의 치유 효과(1.5 배, 2.0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처 치료 능력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세포 손상이 일어날 경우 세포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것으로, 창상 치료 및 피부를 회복시킬 수 있으므로 피부 상처 예를 들면 찰과상, 절상, 타박상, 자상, 열상 및 교상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 상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혼합 중량비는 0.01 : 1 내지 100 : 1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1 내지 10 : 1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가 0.1 : 1 미만이거나 100 : 1을 초과할 경우 창상 치유에 소요되는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0.01 μM 내지 1000 μ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는데, 0.01 μM 미만이면 충분한 상처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00 μM을 초과할 경우 추출물에 포함된 용매가 과도하게 포함되어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피부에서의 창상을 치료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일반적인 제형 예컨대 경구투여제 혹은 주사제 혹은 비경구 투여 혹은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비경구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조성물이 경구 또는 주사제 투여방식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8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1일 0.1mg 내지 10mg, 0.25mg 내지 5mg, 0.5 mg 내지 2 mg의 범위 내에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일 0.125mg, 0.25mg, 0.5mg, 0.75mg, 1 mg, 1.5mg, 2mg으로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경구 투여 또는 국소 투여일 수 있고, 국소 투여일 경우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식으로 투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창상 치유용 조성물이 액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의 형태로 국부적으로 응용되도록 제제화되는 경우에는 적합한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부 제제는 또한 상용가능한 통상적 담체, 예를 들어, 크림 또는 연고베이스 및 로션용으로는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제제의 약 1 내지 약 98%를 구성할 수 있고, 더욱 일반적으로는 제제의 약 80% 까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 치유용 조성물은 피부, 상처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는 제형, 예를 들어, 크림, 로션, 연고, 에어로졸, 겔, 또는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적합한 배합성분이나 제제를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당업자들은 이들 제제를 제조할 때, 통상의 외용제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각종 배합 성분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으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로션제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밀랍,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르산, 경화유, 겔화 탄화수소,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기제가 있고, 올레산,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린, 크로타미톤, 세바크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식물유 등의 용제 및 용해 보조제가 있으며,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등의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계면 활성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증점제 등이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유제, 액제, 로션제 등의 조제에 사용되는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각종 안정제, 완충제, 교미제,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그 밖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혼합 중량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혼합 중량비는 0.01 : 1 내지 100 : 1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1 내지 10 : 1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가 0.1 : 1 미만이거나 100 : 1을 초과할 경우 피부를 재생하거나 노화 방지를 위한 주름 개선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쉬나무 추출물이 포함되는 농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0.01 μM 내지 1000 μ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는데, 0.01 μM 미만이면 충분한 피부 재생 또는 노화 방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00 μM을 초과할 경우 추출물에 포함된 용매가 과도하게 포함되어 피부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창상 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상처회복 또는 피부 재생에 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콜라겐을 촉진, 축적 및 수축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으로서의 제형으로는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r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무,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화장품으로서의 구체적인 제형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제조예 1. 5- 메톡실인디루빈 -3'- 옥심(A3334)의 합성
① 중간체 5'- 메톡시 -[2,3'- 바이인돌리닐리딘 ]-2',3- 다이온 (5'- methoxy -[2,3'-biindolinylidene]-2',3-dione) 의 합성
Figure pat00017
25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메톡시이사틴(5-methoxyisatin) (1000 ㎎, 5.65 m㏖)을 넣고 메탄올(MeOH)(225 ㎖)에 녹인 뒤, 인독실아세테이트(indoxyl acetate) (989 ㎎, 5.65 mmol) 과 탄산나트륨(Na2CO3) (1496 ㎎, 14.11 mmol)을 첨가하여 6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생성물을 얼음에서 결정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식혀준다. 결정체가 생기면 여과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액은 버리고 생성물을 용매(에탄올/물 = 1/1(v/v))로 여러 번 씻어 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진공 펌프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② A3334의 합성
Figure pat00018
10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메톡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5'-methoxy-[2,3'-biindolinylidene]-2',3-dione)(670 ㎎, 2.29 m㏖)을 넣고 피리딘 (pyridine)(27 ㎖)에 녹인 다음 H2NOHㅇHCl(3186 ㎎, 45.85 m㏖)을 첨가한 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5,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 해 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붉은색 고체 A3334를(420 ㎎) 59%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3.52 (s, 1H), 11.79 (s, 1H), 10.54 (s, 1H), 8.35 (d, J = 1.5 Hz, 1H), 8.26 (d, J = 7.6 Hz, 1H), 7.41 (d, J = 2.8 Hz, 2H), 7.08 - 7.00 (m, 1H), 6.82 - 6.71 (m, 2H), 3.78 (s, 3H).
제조예 2. 5,6- 디클로로인디루빈 -3'- 메톡심(A3051)의 합성.
① 중간체 5',6`-다이클로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 5',6'-dichloro-[2,3'-biindolinylidene]-2',3-dione )의 합성
Figure pat00019
25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6-다이클로로이사틴 (5,6-dichloroisatin) (500 ㎎, 2.32 m㏖)을 넣고 메탄올(MeOH)(92.80 ㎖)에 녹인 뒤, 인독실아세테이트(indoxyl acetate) (405.48 ㎎, 2.315 mmol) 과 탄산나트륨(Na2CO3) (637.83 ㎎, 6.02 mmol)을 첨가하여 65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생성물을 얼음에서 결정 덩어리가 생길 때까지 식혀준다. 결정체가 생기면 여과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액은 버리고 생성물을 용매(에탄올/물 = 1/1(v/v))로 여러 번 씻어 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진공 펌프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② A3051의 합성
Figure pat00020
100 ㎖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6`-다이클로로-[2,3`-바이인돌리닐리딘]-2`3-다이온 ( 5',6'-dichloro-[2,3'-biindolinylidene]-2',3-dione) (600 ㎎, 1.81 m㏖)을 넣고 피리딘 (pyridine)(151 ㎖)에 녹인 다음 H2NOCH3·HCl(3026.4 ㎎, 36.24 m㏖)을 첨가한 후, 120 ℃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한다. TLC(Rf=0.4, 에틸아세테이트/헥산= 1/1 (v/v))를 이용하여 반응의 종결을 확인하고 반응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낮춘다. 생성물의 피리딘 용매를 모두 증발한 뒤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30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성물을 용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두 번에 걸쳐 추출하고 중조(NaHCO3) 포화용액으로 씻어준다. 추출한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 한 뒤, 용매를 증발시키고 메탄올과 핵산을 이용해 재결정 해 준다. 생성물을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키면 붉은색 고체 A3051을(326 ㎎) 47.94% 의 수율로 얻을 수 있다. 1H NMR(400 MHz, DMSO-d6) δ 11.36 (s, 2H), 8.80 (s, 1H), 8.08 (d, 1H, J = 7.7 Hz), 7.46 - 7.41 (m, 2H), 7.07 - 6.99 (m, 2H), 4.38 (s, 3H).
제조예 3 및 4. 화학식 3 및 화학식 4의 인디루빈 유도체의 제조
화학식 3의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과 화학식 4의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은 상기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또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과 동일한 방식으로 합성되었고, 이는 황화디메틸(DMSO)에 녹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1. 쉬나무 추출물의 제조
쉬나무는 어린 가지와 잎의 복합물을 사용하였으며, 황화디메틸(DMSO)에 5 μg/㎖ 농도로 녹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334;화학식 1)의 복함물
창상 치유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334)를 각각 5 μg/㎖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1

실시에 3.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051;화학식 2)의 복함물
창상 치유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051)를 각각 5 μg/㎖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22

실시예 4.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486;화학식 3)의 복함물
창상 치유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486)를 각각 5 μg/㎖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538;화학식 4)의 복함물
창상 치유 효과 여부를 알아보고자, 쉬나무 추출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인디루빈 유도체(A3538)를 각각 5 μg/㎖씩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의 운동성 확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 또는 실시예 2 내지 5의 복합물에 의한,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처 치유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human keratinocyte cell)를 12-well plate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 때, 10% FBS가 포함된 DMEM을 사용하였다. 24 시간의 배양 후에 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배지를 교환한 다음, 1000p(blue) tip끝을 이용해 세포 가운데에 스크래치를 냈다. 그 후, 스크래치를 낸 부분에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제조예 1 내지 4의 인디루빈 유도체 및 실시예 2 내지 5의 복합물 각각 5 μg/ml, 1 μ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후 세포의 운동성을 관찰하였다.
도 1a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또는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1b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또는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에서 wound closure rate(%)는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또는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도 1a)를, 세포의 이동률로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복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제조예 1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1)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서의 운동성이 대조군 세포에서의 운동성보다 최대 1.5~2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2의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 A3334를 혼합한 복합물을 처리할 경우,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의 운동성이 대조군에 비해 6 배 이상, 쉬나무 추출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3 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334)를 혼합할 경우에는, 예상되는 시너지 효과보다 더 높은 효과를 유의적 효과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도 1c 내지 도 1e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 제조예 2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 내지 4) 또는 실시예 3 내지 5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이동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의 이동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대조군(control)은 쉬나무 추출물 또는 복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를 의미한다.
도 1c 내지 도 1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또는 제조예 2 내지 4로부터 제조된 인디루빈 유도체(화학식 2 내지 4)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서의 운동성이 대조군 세포에서의 운동성보다 최대 1.3~1.5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예 3 내지 5의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처리할 경우,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의 운동성이 대조군에 비해 2 배 이상, 쉬나무 추출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1.3~1.5 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동물실험을 통한 상처 치유 효능 확인-1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 또는 실시예 2의 복합물에 의한,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 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 제거된 부위에 1.5 ×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대조군에는 vehicle(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실험군에는 vehicle에 각각 5 ㎎/㎖, 10 mM 농도로 녹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쉬나무 추출물 및 인디루빈 유도체(A3334)가 혼합된 복합물을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 후 조직학적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헤마톡실린(보라색)과 에오신(분홍색)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촬영한 사진 및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마우스 모델에서 급성 상처가 빠르게 치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복합물이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짧은 기간(5일) 내에 매우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상대적으로 20~30 wound closure rate% 우수함)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을 이용한 H&E 이미지(도 2의 하단)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복합물로 처리한 것이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마우스에 생긴 급성 상처가 빠르게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동물실험을 통한 상처 치유 효능 확인-2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 또는 실시예 2의 복합물에 의한,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 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 제거된 부위에 1.5 ㅧ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대조군에는 vehicle(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실험군에는 vehicle에 각각 5 ㎎/㎖, 10 mM 농도로 녹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쉬나무 추출물 및 인디루빈 유도체(A3334)가 혼합된 복합물을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 후 콜라겐의 합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an Gieson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 picrosirius red 염색을 실시하였다. van Gieson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solution에 10분, picro fuchsin solution에 2분 두었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Iron Hematoxylin Solution에 10분, Biebrich Scarlet-Acid Fuchsin과 Aniline Blue에 각각 5분 두었다. picrosirius red 염색의 경우, Weigert's solution에 8분, picrosirius red에 1시간 두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한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picrosirius red staining 염색 결과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혼합물이 EGF보다 효과적으로 급성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sson's trichrome staining, picrosirius red staining, van Gieson staining은 각각 콜라겐의 종류와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염색 방법으로서,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의 급성 상처 조직을 상기 세가지 염색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세포의 창상 회복도 빠를 뿐만 아니라 콜라겐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복합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급성 상처 조직을 상기 세 가지 염색 방법으로 확인하였을 때는, 콜라겐의 양이 대조군을 넘어서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도 현저히 증가하였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에 비해,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 A3334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콜라겐 형성에 있어 기대하는 시너지 효과(synergistic effect) 이상의 유의적인 효과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로 처리한 마우스 모델과 동일하게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로 처리하여 제조된 마우스 모델을 2 가지 염색(Masson's Trichrome, Picrosirius Red)을 통해 비교한 결과,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실시예 2)를 사용한 것이, 종래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를 직접적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 단독 물질들의 상처 치유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 화합물 단독에 의한,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 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 제거된 부위에 1.5 ×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대조군에는 vehicle(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실험군에는 vehicle에 각각 5 ㎎/㎖, 10 mM 농도로 녹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및 EGF(양성대조군)을 각각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 후 콜라겐의 합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an Gieson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van Gieson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solution에 10분, picro fuchsin solution에 2분 두었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Iron Hematoxylin Solution에 10분, Biebrich Scarlet-Acid Fuchsin과 Aniline Blue에 각각 5분 두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및 양성대조군으로 EGF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0일 째와 14일 째에 촬영한 사진과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및 EGF(양성대조군)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은 각각 콜라겐의 종류와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염색 방법으로서,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및 양성대조군으로 EGF를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의 급성 상처 조직의 결과를 비교한 바,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및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종래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를 직접적으로 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정도의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 단독 물질 및 실시예 2의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 화학식 1의 화합물 단독과 실시예 2의 복합물 및 EGF에 의한,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 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 제거된 부위에 1.5 ×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대조군에는 vehicle(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실험군에는 vehicle에 각각 5 ㎎/㎖, 10 mM 농도로 녹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및 실시예 2의 쉬나무 추출물, 인디루빈 유도체(A3334)가 혼합된 복합물 및 EGF(양성대조군)를 각각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 후 콜라겐의 합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an Gieson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van Gieson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solution에 10분, picro fuchsin solution에 2분 두었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Iron Hematoxylin Solution에 10분, Biebrich Scarlet-Acid Fuchsin과 Aniline Blue에 각각 5분 두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2의 복합물을 각각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0일 째와 14일 째에 촬영한 사진과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2의 복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은 각각 콜라겐의 종류와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염색 방법으로서,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를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의 급성 상처 조직의 결과,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A3334)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14일 후에도 여전히 상처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복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는 매우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종래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를 직접적으로 처리한 경우보다도 상처 치유 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실시예 2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가 짧은 기간(5일) 내에 매우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상대적으로 20~30 wound closure rate% 우수함)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화합물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는 확인할 수 없었던 시너지 효과(synergistic effect) 이상의 유의적인 효과 상승이라 할 수 있다.
실험예 7.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2의 화합물 단독 물질 및 실시예 3의 복합물의 상처 치유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단독, 화학식 2의 화합물 단독,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3의 복합물에 의한, 상처 치유 촉진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휴지기에 들어간 7 주령 된 C3H 마우스의 등 부위의 모발을 제거하고 모발이 제거된 부위에 1.5 × 1.5 cm의 상처를 만들었다. 대조군에는 vehicle(10% DMSO, 45% 에탄올, 18% 프로필렌글라이콜, 27% 물)을, 실험군에는 vehicle에 각각 5 ㎎/㎖, 10 mM 농도로 녹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3의 쉬나무 추출물과 인디루빈 유도체(A3051)가 혼합된 복합물을 각각 20 ㎕씩 12 일간 매일 1회 도포하였다.
각각의 실험한 마우스의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담가 고정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 두께로 박편하였다. 박편된 조직을 탈파라핀화 및 재수화한 후 콜라겐의 합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an Gieson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van Gieson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solution에 10분, picro fuchsin solution에 2분 두었다. Masson's trichrome 염색의 경우, 슬라이드를 Weigert's Iron Hematoxylin Solution에 10분, Biebrich Scarlet-Acid Fuchsin과 Aniline Blue에 각각 5분 두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A3334),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3의 복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을 0일 째와 14일 째에 촬영한 사진과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3의 복합물을 처리한 마우스 급성 상처 조직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된 재상피화 정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asson's trichrome staining, van Gieson staining은 각각 콜라겐의 종류와 양을 확인하기 위한 염색 방법으로서,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을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의 급성 상처 조직의 결과,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A3051)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14일 후에도 여전히 상처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복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는 매우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종래 상피세포 성장인자(EGF)를 직접적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완전히 치유되지 못하였는데,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복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거의 상처가 완전히 치유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상처 치유 효과가 종래 상처 치료제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 비해 실시예 3의 복합물을 처리하였을 때가 짧은 기간(5일) 내에 매우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상대적으로 20~30 wound closure rate% 우수함)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는 확인할 수 없었던 시너지 효과(synergistic effect) 이상의 유의적인 효과 상승이라 할 수 있다.
제제예 1, 2: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본 제제예에서는 쉬나무 추출물 또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또는 화학식 1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하기 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피부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또는 실시예 2의 복합물 4.0 중량%
글리세린 2.0 중량%
파라벤 0.2 중량%
알란토인 2.0 중량%
베타인 3.0 중량%
히아루론산나트륨 1.0 중량%
초산토코페롤 5.0 중량%
쉐어버터 2.0 중량%
트레할로스 1.0 중량%
방부제 및 향 적량의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합계 100 중량%
제제예 3, 4: 창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
본 제제예에서는 쉬나무 추출물 또는 쉬나무 추출물과 화학식 1의 인디루빈 유도체를 혼합한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의 쉬나무 추출물 또는 화학식 1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하기 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창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연고)을 제조하였다.
2%(w/v) 백미 추출물 10 중량%
디에틸 세바케이트 8 중량%
경납 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중량%
벤조산 나트륨 적량의 중량%
바셀린 to 100 중량%
합계 100 중량%

Claims (13)

  1.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 치료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3

    [화학식 2]
    Figure pat00024

    [화학식 3]
    Figure pat00025

    [화학식 4]
    Figure pat00026
  8.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디루빈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물, DMSO,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쉬나무 추출물은 쉬나무의 어린가지, 잎, 이의 분쇄물 및 이의 혼합물을 DMSO, n-헥산,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5-메톡실인디루빈-3'-옥심, 인디루빈-3'-옥심, 6-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프로필옥심,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 6-클로로-5-니트로인디루빈-3'-옥심, 6-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클로로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옥심, 5-브로모인디루빈-3'-메톡심, 5-브로모인디루빈-3'-에틸옥심, 5,6-디클로로인디루빈-3'-옥심프로필옥심 및 6-클로로인디루빈-3'-벤질옥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루빈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용 또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7

    [화학식 2]
    Figure pat00028

    [화학식 3]
    Figure pat00029

    [화학식 4]
    Figure pat00030
KR1020170053695A 2017-04-26 2017-04-26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KR10193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95A KR101932668B1 (ko) 2017-04-26 2017-04-26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95A KR101932668B1 (ko) 2017-04-26 2017-04-26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41A true KR20180119941A (ko) 2018-11-05
KR101932668B1 KR101932668B1 (ko) 2018-12-26

Family

ID=6432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695A KR101932668B1 (ko) 2017-04-26 2017-04-26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6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76A (ko) * 2018-05-18 2019-11-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20009503A1 (ko) * 2018-07-06 2020-01-09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05355A (ko) * 2019-07-03 2021-01-14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20918B1 (ko) * 2019-10-22 2021-0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오디아 파스퇴리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866786A4 (en) * 2018-10-15 2022-07-20 CK Biotech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AND/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AND/OR A CLINICAL CONDITION THEREOF
JP2023501151A (ja) * 2019-11-04 2023-01-18 シーケー・リ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神経変性疾患及び/又はその臨床的状態を抑制及び/又は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19B1 (ko) * 2018-07-06 2021-03-04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2533590A (zh) 2018-07-31 2021-03-19 雷莫内克斯生物制药有限公司 用于使伤口愈合的药物组合物
KR20240019910A (ko) 2022-08-05 2024-02-14 주식회사 씨케이리제온 상처 치유 촉진용 또는 흉터 최소화용 하이드로젤 패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76A (ko) * 2018-05-18 2019-11-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20009503A1 (ko) * 2018-07-06 2020-01-09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2334131A (zh) * 2018-07-06 2021-02-05 Ck生物技术公司 包含靛玉红衍生物作为活性成分的药物组合物
US11773081B2 (en) 2018-07-06 2023-10-03 Ck Regeon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CN112334131B (zh) * 2018-07-06 2024-04-05 Ck生物技术公司 包含靛玉红衍生物作为活性成分的药物组合物
EP3866786A4 (en) * 2018-10-15 2022-07-20 CK Biotech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AND/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AND/OR A CLINICAL CONDITION THEREOF
KR20210005355A (ko) * 2019-07-03 2021-01-14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텍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20918B1 (ko) * 2019-10-22 2021-0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오디아 파스퇴리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3501151A (ja) * 2019-11-04 2023-01-18 シーケー・リ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神経変性疾患及び/又はその臨床的状態を抑制及び/又は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668B1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668B1 (ko)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KR20190011054A (ko)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함유하는 상처 치유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66289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US6699512B2 (en) Hypericum perforatum l. oleoresin, procedure for obtaining it and uses of it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2030507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runus persica extract
KR101510595B1 (ko)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0638B1 (ko)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091390A (ja) 育毛剤
KR101663576B1 (ko) 플로레틴 술폰산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8776B1 (ko)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2919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11621A1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0530843B1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11001759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90018108A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3025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177308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KR20160122052A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101885591B1 (ko)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3354B1 (ko) 피부장벽강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JP3154712B2 (ja) ネオリグナン誘導体と燐脂質との複合体、その使用法及び該複合体を含む製薬学的及び化粧品的製剤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09977B1 (ko) 갈릭산, 이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47453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창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