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441A -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441A
KR20180119441A KR1020170053218A KR20170053218A KR20180119441A KR 20180119441 A KR20180119441 A KR 20180119441A KR 1020170053218 A KR1020170053218 A KR 1020170053218A KR 20170053218 A KR20170053218 A KR 20170053218A KR 20180119441 A KR20180119441 A KR 2018011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common
product
shopping mall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7005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441A/ko
Publication of KR2018011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4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시장(E-market place)의 각 쇼핑몰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형식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포맷에 한 번의 등록만으로 원하는 쇼핑몰에 공통적으로 자동 등록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상품등록 포맷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받은 각 쇼핑몰의 상품등록 포맷에서 공통/비공통 필드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필드에 상기 비공통 필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표준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표준화된 공통 포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품정보 등록시,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맞는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를 등록할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정보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맞게 작성된 상품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Method for automatic registering product information on the online shopping-mall}
본 발명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시장(E-market place)의 각 쇼핑몰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형식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포맷에 한 번의 등록만으로 원하는 쇼핑몰에 공통적으로 자동 등록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이나 PC 통신을 이용한 물품 거래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생산자(producers)ㆍ중개인(intermediaries)ㆍ소비자(consumers)가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거래하는 것을 말하며, 실물시장(physical market) 거래와 대비되는 가상시장(virtual market) 거래 혹은 이마켓(E-market) 거래를 의미하기도 한다. 상기 전자상거래는 거래 범위에 따라 협의의 전자상거래와 광의의 전자상거래로 구분된다. 먼저, 협의의 전자상거래란 인터넷상에 홈페이지로 개설된 상점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품을 거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거래되는 상품에는 전자부품과 같은 실물뿐 아니라, 원거리 교육이나 의학적 진단과 같은 서비스도 포함된다. 또한, 뉴스, 오디오, 소프트웨어와 같은 디지털 상품도 포함되며, 이들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한, 광의의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와의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와 관련된 공급자, 금융기관, 정부기관, 운송기관 등과 같이 거래에 관련되는 모든 기관과의 관련 행위를 포함한다.
한편, 마켓 플레이스(marketplace)란,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시장터'라고 볼 수 있다. 최근 기업들이 조달판매 등 광범위한 거래망을 전자상거래 환경에 맞는 가상 네트워크로 전환하면서 생겨난 일종의 가상시장이다.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업종별로 E-마켓 플레이스를 설립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자재공급, 생산, 판매, 유통업체와 최종 소비자가 통합된 환경에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공급망 통합의 효과가 있다.
E-마켓 플레이스(E-market place)란, 기존의 재래식 시장(Marketplace)를 온라인상에 구성하여 놓은 것을 말한다. 즉, 재래식 시장의 경우를 예로 들면, 시장이라는 일정 지역(예, 남대문 시장, 동대문 시장)이 존재하고, 그 시장에 판매자가 점포를 개설하여 상품을 판매하고, 일반 소비자들인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비교하여 E-마켓 플레이스는 온라인상에 등록된 하나의 사이트에 다양한 판매자가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 다양한 구매자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놓은 온라인 시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E-마켓 플레이스의 구축은 실물시장 구축에 비해 진입 장벽이 매우 낮고, 그에 따라 동종 상품 및 사이트들의 경쟁이 치열하여 다양한 홍보 방법 및 판매 촉진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회원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회원 확보의 중요성은 E-마켓 플레이스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쇼핑몰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도 마찬가지여서 다양한 회원 확보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현행 E-마켓 플레이스 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쇼핑몰(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에 상품을 공급하는 각 벤더사(13)는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의 각 쇼핑몰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상품등록 형식(Format)에 맞춰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등의 상품정보를 해당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을 방문하여 일일이 등록 및 수정해야 한다. 즉, 각 벤더사(13)는 상품 판매를 원하는 각 쇼핑몰(마켓)의 상품등록 포맷을 다운로드 받아 그 상품등록 포맷의 규정대로 상품이미지와 상품가격 등의 여러 가지 요소를 기재하여 해당 쇼핑몰(마켓)에 등록하여 사용해왔다.
이후, 고객(고객시스템(11))이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의 임의의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을 통해 상품을 주문하면, 해당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은 주문서/송장을 벤더사(13)에게 전달하고(이때, 전달 방식은 공지의 전화, E-mail, FAX, 그외 전자문서(EDI) 등이 될 수 있음), 벤더사(13)는 이를 상품의 제조사/매출처(14)로 전달하게 된다(이때 역시, 전달 방식은 공지의 방식에 의거한다).
이후, 제조사/매출처(14)가 배송업체(택배사(15))에 해당 상품의 배송을 의뢰하여, 배송업체(택배사(15))는 해당 상품을 수령하여 고객에게 배송하게 된다.
하지만, 도 1에서와 같이 현재 국내외 상당수의 업체(또는 개인사업자 등)(벤더사(13))가 오픈마켓(G마켓,Auction 등)과 다이렉트마켓(직마켓) 등의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을 통해 그들의 매출과 이익을 실현하고 있는 바, 동 업체들이 해당 쇼핑몰(G마켓, 옥션 등)에 입점하여 판매코자 하는 상품을 등록함에 있어서 성향을 달리하는 각각의 쇼핑몰들이 요구하는 상품 등록 형식(Format)에 일일이 맞추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A라는 업체가 다수의 쇼핑몰에 참여하여 일반 불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MP3를 판매코자 하는 경우, A업체는 각각의 쇼핑몰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상품등록 형식(Format)에 MP3의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등을 일일이 맞추어 입력, 게재하여야 한다는 비효율성을 감수해야 한다.
이처럼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하고자 하는 법인이나 개인사업자, 개인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이미지, 가격, 특징 등)를 판매를 원하는 매 쇼핑몰(G마켓, 옥션 등)마다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해야만 하고, 각 쇼핑몰(마켓)마다 운영되고 있는 상품 등록 형식(Format) 역시 달라 불편함이 존재한다. 설령, 모든 쇼핑몰(마켓)에 상품등록이 완료되었다고 모든 문제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재고가 떨어지면 그 많은 쇼핑몰(마켓)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수정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곧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컨텐츠 활성화의 저해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E-마켓 플레이스의 각 쇼핑몰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형식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포맷에 한 번의 등록만으로 원하는 쇼핑몰에 공통적으로 자동 등록 가능토록 하기 위한,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E-마켓 플레이스의 각 쇼핑몰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형식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포맷에 한 번의 등록만으로 원하는 쇼핑몰에 공통적으로 자동 등록 가능함으로써, 현재 각각의 마켓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비표준화된 상품등록 형식에 관한 불편함과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업무 간 소화에 따른 고정비 등에 관한 제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매출 증가를 통한 안정적인 기업 경영을 지원하며, 컨텐츠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에 있어서,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상품등록 포맷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받은 각 쇼핑몰의 상품등록 포맷에서 공통/비공통 필드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필드에 상기 비공통 필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표준화된 공통 포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품정보 등록시,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맞는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를 등록할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정보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맞게 작성된 상품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품정보의 변경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자동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E-마켓 플레이스 시장 구조를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을 위한 표준 포맷 생성 과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 상의 각 쇼핑몰(마켓)의 서로 다른 상품등록 형식(Format)을 수집한 후, 이를 정규화하여 공통의 포맷(Format)을 생성한다. 이때, 각 쇼핑몰(마켓)마다 운영되고 있는 상품 등록 형식(Format)이 다르기 때문에(즉, 공통의 필드 입력값과 비공통의 필드 입력값이 있음), 공통/비공통의 필드값을 조합한 표준 포맷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쇼핑몰A, 쇼핑몰B, 쇼핑몰C의 상품등록 형식(Format)에는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필드가 공통 필드이고, 타 쇼핑몰(마켓)과는 달리 쇼핑몰A에는 추천상품 필드가 더 구비되고, 쇼핑몰B에는 추천상품 필드 및 인기상품 필드가 더 구비되고, 쇼핑몰C에는 인기상품 필드 및 신상품 필드가 더 구비되었다고 가정하면,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필드"를 '공통 필드'로 하고 "추천상품, 인기상품, 신상품 필드"를 '비공통 필드'로 하여 표준 포맷(Format)을 생성한다. 물론, 표준 포맷(Format)은 상기 공통 필드를 필수적으로 하고, 비공통 필드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통 필드에, 추천상품 필드 및 인기상품 필드만을 조합하여 표준 포맷(Format)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의 각 쇼핑몰(마켓)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형식을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에서 표준화함으로써,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하고자 하는 벤더사(13), 즉 법인이나 개인사업자, 개인은 표준화된 포맷에 한 번만 등록하면 되고, 이때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이미지, 가격, 특징 등)를 판매할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을 지정하기만 하면, 해당 쇼핑몰(마켓)에 자동 등록된다. 예를 들면, 표준 포맷(즉,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필드"를 '공통 필드'로 하고 "추천상품, 인기상품, 신상품 필드"
를 '비공통 필드'로 하는 표준 포맷)에 필드 값을 입력하고, 등록을 원하는 쇼핑몰(마켓)을 쇼핑몰A(예를 들면,G마켓), 쇼핑몰C(예를 들면, 옥션)로 지정하면, 쇼핑몰A(G마켓)와 쇼핑몰C(옥션)에 해당 벤더사(13)의 상품정보가 등록된다.
그러므로,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하고자 하는 각 벤더사(13)는, 즉 법인이나 개인사업자, 개인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이미지, 가격, 특징 등)를 판매를 원하는 매 쇼핑몰(G마켓, 옥션 등)마다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입력,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재고 변경 등 상품정보의 변경시에도 쇼핑몰(마켓)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수정할 필요없이 한 번의 변경만으로 상품정보가 등록된 쇼핑몰(마켓)의 정보를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도 2를 참조하여 E-마켓 플레이스 시장 구조를 살펴보면, 쇼핑몰(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에 상품을 공급하는 각 벤더사(13)가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이 제공하는 각 쇼핑몰의 표준
화된 공통 포맷에 등록하고 등록하기를 원하는 쇼핑몰(마켓)을 지정하면, 해당 쇼핑몰(예를 들면, G마켓, 옥션등)에 벤더사(13)의 상품정보가 등록된다.
이후, 고객(고객시스템(11))이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의 임의의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을 통해 상품을 주문하면, 해당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은 주문서/송장을 벤더사(13)에게 전달한다. 이때, 전달 방식은 공지의 전화, E-mail, FAX, 그외 전자문서(EDI)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서/송장 등은 표준화된 형식(Format)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벤더사(13)는 이를 상품의 제조사/매출처(14)로 전달하게 되고, 이때 역시, 전달 방식은 공지의 방식에 의거한다.
마지막으로, 제조사/매출처(14)가 배송업체(택배사(15))에 해당 상품의 배송을 의뢰하여, 배송업체(택배사(15))는 해당 상품을 수령하여 고객에게 배송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포맷 생성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표준 포맷(Format)을 생성하기 위해서,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은 우선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 상의 각 쇼핑몰(예를 들면, G마켓, 옥션 등)의 서로 다른 상품등록 형식(Format)을 다운로드받아(401), 각쇼핑몰(마켓)의 상품정보 등록 포맷에서 필드값을 추출하여(402), 공통/비공통의 필드값을 생성한다(403).
<82> 즉, 쇼핑몰A, 쇼핑몰B, 쇼핑몰C의 상품등록 형식(Format)에는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필드가 공통 필드이고, 타 쇼핑몰(마켓)과는 달리 쇼핑몰A에는 추천상품 필드가 더 구비되고, 쇼핑몰B에는 추천상품 필드 및 인기상품 필드가 더 구비되고, 쇼핑몰C에는 인기상품 필드 및 신상품 필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필드"를 '공통 필드'로 생성하고(403), "추천상품, 인기상품, 신상품 필드"를 '비공통 필드'로 생성하여(404), 공통/비공통 필드값을 조합한 표준 포맷(Format)의 필드값을 생성한다(405).
물론, 표준 포맷(Format)은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필드"로 구성되는 '공통 필드'에, "추천상품 필드 및 인기상품 필드"로 구성된 비공통 필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통 필드 및 비공통 필드로 구성되는 공통의 포맷(Format)을 생성한다(406). 결국, 각 쇼핑몰(마켓)마다 차이가 있는 비공통 필드라 하더라도, 최종 선택된 필드는 공통 포맷(Format)의 필수적인 필드(표준 포맷 필드)로 된다.
먼저, 온라인 쇼핑몰 사업을 하고자 하는 벤더사(13), 즉 법인이나 개인사업자, 개인이 상품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501), 상기 도 4와 같이 E-마켓 플레이스 시스템(12)의 각 쇼핑몰(마켓)이 요구하는 서로 다른 형식을 표준화한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상품정보(예를 들면,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추천상품, 인기상품, 신상품 정보)를 입력하면(502), 해당 상품정보가 상품정보 테이블에 저장된다(503). 즉, "상품 이미지, 가격, 특징, 재고, 추천상품, 인기상품, 신상품 필드"를 갖는 표준 포맷의 각 필드 값을 입력하여 상품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해당 벤더사(13)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이미지, 가격, 특징 등)를 판매할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G마켓, 옥션 등)을 추가적으로 지정하여, 해당 상품정보가 등록될 쇼핑몰(마켓)을 선택하게 된다(504). 즉, 등록을 원하는 쇼핑몰(마켓)을 쇼핑몰A(예를 들면, G마켓), 쇼핑몰C(예를 들면, 옥션)로 지정하면(504), 공통의 표준 포맷을 쇼핑몰A(G마켓)와 쇼핑몰C(옥션)의 포맷으로 변환하여(505) 해당 쇼핑몰(예를 들면, G마켓, 옥션등)에 자동 등록시키고(506) 이러한 결과를 등록 결과 테이블에 저장하게 된다(507).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을 위한 표준 포맷 생성을 위해서 각 쇼핑몰별 상품 등록 형식 (Format)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취합하여 본 발명의 표준화 등록 형식을 만들기 위한 정규화 데이터(603)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은 정규화 데이터(603)를 만들기 위해 1차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쇼핑몰A의 상품 등록 형식을 다운로드 한다. 여기서, 실제 사용자들이 웹브라우저를 통해 보게 되는 상품 등록 형식(601)은 상품 등록 포맷 데이터 HTML 태그 원문(602)이 가지는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보이는 형태이다.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은 이러한 각 쇼핑몰의 상품 등록 포맷 데이터 HTML 태그 원문(602)에서 개별 상품에 대한 입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 등록을 위한 정규화 데이터(603)로 만들어 저장한다.
예를 들어, 쇼핑몰A의 상품등록 형식(601)에는 “상품명”이라는 입력란이 있으며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의 입력란을 통해 해당 상품의 “상품명”을 직접 입력한 후 해당 쇼핑몰의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 “상품명”이라는 입력란은 HTML 태그 원문(602)을 조회하면 상품명을 나타내는 문자열(610)과 함께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HTML 태그에 해당 내용을 서버로 전송할 때 문자열을 구분 짓는 입력필드명(611)과 입력필드에 대한 입력상세정보(612)를 담고 있다.
상품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은 여기에서 각각의 필드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쇼핑몰 식별자(613)를 기준으로 하여 각 입력 항목별로 입력필드구분 식별자(614), 입력필드코드 식별자(615), 입력상세정보(616)를 저장한다.
여기서 입력상세정보(616)에는 필수적으로 각 데이터가 해당 쇼핑몰의 입력 포맷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지를 기록하고, 그 외에 문자열 입력에 제한을 두는 요소들을 정의하여 저장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쇼핑몰의 데이터 입력에 대해 그 복잡도가 더욱 가중되는 등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정규화 데이터는 도 7의 표준화 과정을 거쳐 상품 매출처 포맷 변환(505)을 위한 기준 자료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 도 6에서 만들어진 각 쇼핑몰의 정규화 데이터는 도 7의 표준화 과정에 따라 이후 상품정보 통합 등록 시스템(16)이 사용화는 표준화 데이터로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쇼핑몰의 상품 등록 포맷을 통해 만들어지는 정규화 데이터는 도 7의 예와 같이 각각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쇼핑몰A의 정규화 데이터(701)에는 “판매대상”과 “원산지”가 있으며, 쇼핑몰B의 정규화 데이터(702)에는 “판매구분”과 “생산원가”가 있다. 그 밖의 “상품코드”, “상품명”, “상품등록일”은 각각 입력필드 구분 기호는 다르지만 모두 필수적으로 입력되는 공통 필드로 등록되어 있다. 이때, 쇼핑몰A와 쇼핑몰B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입력 필드는 표준화 상품 등록 데이터 목록(703)에 “필수” 항목으로 등록하고, 나머지 각각 존재하는 입력 필드에 대해서는 해당 입력 필드명과 쇼핑몰 정보를 기록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목록(703)에 각 입력필드 별로 쇼핑몰 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실제 입력코드 식별자 및 입력필드 정보를 담은 상세 데이터(704)를 연결하면 하나의 표준화 상품 등록 데이터 목록(703)을 이용하여 다수의 쇼핑몰에 대한 상품 등록 포맷을 등재할 수 있는 표준 포맷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중 쇼핑몰 서버에 상품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표준화된 상품 등록 포맷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16)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하나의 양식으로 통합된 상품 등록 포맷(801)에 자신이 등록하기를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다음, 쇼핑몰 선택 목록(802)에 통합 등록이 가능한 쇼핑몰 목록 중에서 다수의 쇼핑몰을 선택한 후 상품등록 버튼(803)을 통해 한번의 입력 작업 만으로 선택 목록(802)에서 지정한 다수의 쇼핑몰에 상품을 등록 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900)은 데이터베이스(901), 수신부(902), 저장부(903), 변환부(904), 등록부(905), 표준화 및 정규화 기능부(906)를 포함할 수 있고, 표준화 및 정규화 기능부(906)는 수신부(907), 변환부(908), 식별부(909), 저장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901)는 상품 등록 정보 데이터베이스이며, 표준화 및 정규화 기능부(906)를 통해 만들어 진 각 쇼핑몰의 상품 등록 포맷 정보를 포함하여 유지한다.
먼저, 각 쇼핑몰에서 상품 등록 포맷을 추출하여 정규화 및 표준화 과정을 거쳐 통합 상품 등록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준비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부(907)는 특정 쇼핑몰 서버에서 상품 등록 포맷을 수신하고, 변환부(908)는 수신부(907)에서 수신한 상품 등록 포맷을 해당 상품 등록 정보 표준화를 위해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시스템(900)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다.
식별부(909)는 변환부(908)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901)의 내용과 비교하여 해당 정보가 공통 포맷인지 비공통 포맷인지를 식별하고 이 정보를 저장부(910)로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901)에 기록한다.
다음, 표준화된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다수의 쇼핑몰에 통합 등록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표준화된 상품 정보 포맷에 입력한 내용을 수신부(902)가 받으며, 이 내용은 저장부(903)를 거쳐 표준화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901)에 1차로 저장되는 단계, 그리고 변환부(904)는 데이터베이스(901)에 저장된 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한 쇼핑몰의 내용에 맞게 각각 변환하며,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를 등록부(905)를 거쳐 각 쇼핑몰로 등록하는 단계 등 으로 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Claims (6)

  1.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에 있어서,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상품등록 포맷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상기 다운로드받은 각 쇼핑몰의 상품등록 포맷에서 공통/비공통 필드 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필드에 상기 비공통 필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표준화된 공통 포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표준 포맷은,
    상기 공통 필드를 필수 구성요소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 방법.
  3.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에 상품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품정보 등록시,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맞는 상품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상품정보를 등록할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 정보를 지정받는 단계; 및
    상기 표준화된 공통 포맷에 맞게 작성된 상품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등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의 변경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자동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등록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공통 포맷은,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상품등록 포맷을 다운로드받아, 다운로드받은 각 쇼핑몰의 상품등록 포맷에서 공통/비공통 필드 값을 확인하여, 공통 필드에 비공통 필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생성된 표준 포맷 대상 쇼핑몰들의 공통 표준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등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표준 포맷은,
    상기 공통 필드를 필수 구성요소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등록 방법.
KR1020170053218A 2017-04-25 2017-04-25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KR20180119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218A KR20180119441A (ko) 2017-04-25 2017-04-25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218A KR20180119441A (ko) 2017-04-25 2017-04-25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441A true KR20180119441A (ko) 2018-11-02

Family

ID=6432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218A KR20180119441A (ko) 2017-04-25 2017-04-25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4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35B1 (ko) * 2020-07-28 2021-02-24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8009B1 (ko) * 2021-02-17 2021-03-15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품 판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35B1 (ko) * 2020-07-28 2021-02-24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8009B1 (ko) * 2021-02-17 2021-03-15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품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7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gotiating improved terms for products and services being purchased through the internet
US6873967B1 (en) Electronic shopping assistant and method of use
KR20200041173A (ko) 다수의 오픈 마켓에의 상품 정보 일괄 등록 시스템 및 등록 방법
KR100665035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US20150149341A1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WO2002007028A1 (fr) Procede d&#39;achat et de vente de marchandises au moyen d&#39;un reseau
KR20180119441A (ko)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KR20090000722A (ko)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표준 포맷 생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상품정보 자동 통합 등록 방법
JP2023062128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074166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システム
JP2002063490A (ja) 電子カタログを利用した仮想店舗システム及び仮想店舗を構築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020059262A1 (en) Internet online group bidding system and method
JP2001283096A (ja) 通信回線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情報管理装置
KR101981944B1 (ko) 전자쿠폰 통합 관리 시스템
JP3923951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
JP2009129007A (ja) 納品書発行代行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325862B1 (ko) 차량 용품 판매시스템
KR20220122069A (ko) 공동 물류 대행 시스템
JP2002269392A (ja) インターネット利用の購買エージェント支援サーバ
KR20170033013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078839A (ko) 사용자의 자국어에 의한 전 세계 인터넷(Internet) 상품비교 검색 구매 시스템.
JP6139770B1 (ja) レコメンド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99292A (ko)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KR20020028526A (ko)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20063055A (ko)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구매대행 다이렉트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