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526A -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526A
KR20020028526A KR1020000059564A KR20000059564A KR20020028526A KR 20020028526 A KR20020028526 A KR 20020028526A KR 1020000059564 A KR1020000059564 A KR 1020000059564A KR 20000059564 A KR20000059564 A KR 20000059564A KR 20020028526 A KR20020028526 A KR 20020028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information
buyer
purchase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5120B1 (ko
Inventor
정경연
정성태
Original Assignee
김홍운
주식회사 승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운, 주식회사 승전상사 filed Critical 김홍운
Priority to KR10-2000-005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12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120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이다.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사업자가 구매자의 구매 정보와 판매자의 판매 정보를 웹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사업자가 구매자에게 판매 제품의 목록을 제공하고, 구매자로부터 구매 희망 물품의 견적을 신청 받는 단계; 사업자가 견적 희망 물품 중 가격 변동이 있는 각각의 물품에 대해 가격변동 요인을 종합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판매자로부터 승인 받아, 가격 변동 상황을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사업자가 구매자로부터 물품 구매 신청을 받고, 판매자에게 구매 신청 사실을 알리는 단계; 및 사업자가 물품 대금이 구매자에 의해 결제된 것을 확인하고, 물품을 구매자에게 운송할 것을 운송업체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물 가격의 변동이 수시로 발생하는 물품의 가격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가 각 정보의 변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BUSINESS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COMMERCE UNIFIED INTENTIONS EXPRESS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가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된 판매 제품의 목록을 보고 구매를 희망하는 물품에 대한 견적을 요구하면, 서비스 사업자는 변동되는 물품에 대한 가격을 실시간으로 결정하여 판매자와 구매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구매자가 적절한 시기와 가격에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매 물품 검색, 물품 선택, 구매 신청, 견적 비교, 구매 결정, 및 결제 방식 등 구매자의 의사 결정 사항을 실시간으로 판매자에게 전달하고, 신청 접수, 견적 내역, 물품 수배 및 배송 등 판매자의 의사 결정 사항을 실시간으로 구매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모델은 일반적으로 기업대 소비자의 쇼핑 몰 형태, 기업대 소비자 또는 소비자대 소비자의 경매형태, 특정물품에 대한 구매자를 모집하는 공동구매 형태, 및 기업대 기업 또는 정부대 기업의 구매를 위한 입찰방식의 거래 등의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모델에서는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쇼핑 몰이나 공동구매와 같이 판매자가 가격을 직접 결정하거나, 경매와 같이 다수의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을 본 후, 구매자가 희망 가격을 선정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역경매와 같이 구매자가 구매가격의 최고선을 정하면 다수의 공급자가 그 이하의 가격에서 판매 가격을 제시하는 가격 결정 방법이 있었다.
한편, 현물 가격의 변동이 수시로 발생하는 제품, 예컨대 반도체, 석유, 화학원료 등 산업 원자재와 농축산물, 수산물 등은 현물시장의 가격을 공급가격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가격 결정에 따른 고정화된 가격 데이터 베이스는 변동가격을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가격 결정 과정을 알 수 없으며, 거래 진행 상황, 물품 수급 상황 등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파악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사업자가 가격 변동이 있는 물품에 대해 가격 변동 요인을 종합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가격을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구매자와 판매자간에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간에 의사 전달을 가능케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구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시징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내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의 상품 검색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의 견적 신청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의 가격 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매자가 견적서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의 구매 신청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고지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정보 확인 및 구매자 고지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신청서 작성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물품 검색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제품 구매 신청서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통한 자료 입력 절차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 물품에 대한 가격 변화 그래프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서비스 사업자20...인터넷
30...구매자40...판매자
50...운송 업체60...금융 기관
70...가격 정보 검색기80...시장 정보 공급기
90...메인 서비스 시스템100....웹 서버
110...메시지 서버120...메일 서버
130...통합 메시지 서버140...데이터 베이스 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은, (a)서비스 사업자가 구매자의 구매 정보와 판매자의 판매 정보를 웹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b)상기 사업자가 상기 구매자에게 판매 제품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 희망 물품의 견적을 신청받는 단계; (c)상기 사업자가 상기 견적 희망 물품 중 가격 변동이 있는 각각의 물품에 대해 가격변동 요인을 수집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상기 가격을 판매자에게 승인 받아, 상기 가격 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상기 판매자와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d)상기 사업자가 상기 구매자로부터 물품 구매 신청을 받고,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구매 신청 사실을 알리는 단계; 및 (e)상기 사업자가 물품 대금이 상기 구매자에 의해 결제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운송할 것을 운송업체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는 상기 판매자가 상기 사업의 주체가 되어 직접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c)단계의 가격 변동 요인은, 상기 물품에 대한 현물 시장 가격, 생산량, 수요량, 환율, 재고 수량, 수요 예측치, 상품에 대한 내부적 가중치 및 그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구매자가 물품 구매 신청을 하기 위해 상기 사업자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견적 신청한 물품의 현재 가격을 확인하면 상기 사업자는 상기 신청한 물품에 대한 가격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단계의 가격 결정은 상기 가격 결정 요인 자료들을 수집하여소정의 계산식에 의해 가격을 결정하는 가격 결정 로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c)단계의 가격 결정은 상기 사업자가 가격을 입력함으로써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c)단계의 가격 변동 요인 자료의 수집은 인터넷에 연결된 자료 제공자에 대한 데이터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단계의 가격 변동 상황 전송은, 전화, 팩스, 호출기, 이동전화, 전자우편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사업자가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는, 회원 정보, 제품 정보, 장바구니 정보, 견적자 정보, 견적품 정보, 구입자 정보, 구입품 정보, 구매자 메시지 정보, 및 판매자 메시지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구매자(30)는 인터넷(20)을 통해 서비스 사업자(10)의 메인 서비스 시스템(9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물품을 구입한 대금을 지급하기 위해 상기 사업자(10)의 메인 서비스 시스템(90)에 접속하여 온라인상의 결제를 할 수 있으며, 금융기관(6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결제도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10)는 본 사업을 위해 대금 결제가 온라인 상에서 가능하도록 미리 관련 금융 기관(60)과 제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수행함에 있어 필수적인 물품의 배송과 모니터링을 위해 관련 운송 업체(50)와 인터넷(20)을 통한 정보 전송이 가능해야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사업자(10)는 상기 사업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에 연동되는 메인 서비스 시스템(90)과 데이터 베이스 서버(140)를 구축하여야 하며, 상기 사업자의 메인 서비스 시스템(90)은 상기 서비스 제공시에 홈페이지 접속을 위한 웹서버(100),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시지 서버(110), 전자 메일 발송을 위한 메일 서버(120), 종합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UMS(통합 메시징 시스템, Unified Messaging System)서버(130),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4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판매자(40)는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사업자(10)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사업자(10)의 가격 정보 검색기(70)에 가격 정보를 제공하거나 가격 결정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10)의 가격 정보 검색기(70)는 시장 정보 공급기(80)로부터 시장 가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의 서버 구축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비스 사업자(10)의 서버는 메일 서버(120), 메시지 서버(110), UMS 서버(130) 및 웹 서버(100)로 구성된 메인 서비스 시스템(90)과 데이터 베이스 서버(1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웹 서버(100)는 구매자(30), 판매자(40) 및 운송 업체(50)가 인터넷(20)을 통해 항상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서비스 시스템(9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30)와 연계 되어, 상기 웹 서버(100)에 접속하는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상기 데이터 베이스(130) 내에 저장된 정보들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30)의 가격 정보들은 가격 정보 검색기(70)로부터 제공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시징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UMS 서버(130)는 통합 메시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로, 메일 서버(120), 데이터 베이스 서버(140), PC 사용자(137)가 인터넷(20)을 통해 접속한 웹 서버(100), 사업자의 LAN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138)로부터 메시지 전송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UMS 서버로 전송된 메시지 전송 정보는 PBX(사설교환기, Private Branch Exchanges)(131)를 거쳐 PSTN(공중 전화 교환망,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32)를 통해 개인용PC(133), FAX(134), 전화(135) 및 이동 무선 전화(136)로 전송된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사업자(10)의 웹페이지를 통해 물품에 대한 견적을 신청하면, 상기 신청 내용이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내용은 상기 UMS 서버(130)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자(30), 판매자(40) 및 견적 담당자에게 전송된다. 또한, 물품 구입 신청시에도 상기 신청 사실이 상기 UMS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자(30), 판매자(40), 금융기관(60) 및 운송업체(50)에 전송되며, 물품 배송 과정중 필요한 정보도 상기 UMS 서버를 통해 상기 구매자(30), 판매자(40) 및 운송 업체(50)에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내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도이다.
상기 도 4에 전송된 바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40)는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 제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 장바구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3),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 견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 구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6), 구입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 구매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8) 및 판매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141 내지 149)는 아래에서 후술하는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날짜 datetime
Usrid 아이디 string
name 성명 blob
email 전자우편 주소 string
identsno1 주민번호 앞자리 string
identsno2 주민번호 뒷자리 string
company 소속기관 blob
Post 부서 string
Duty 직급 string
phone1 국가번호 string
phone2 지역번호 string
phone3 국번호 string
phone4 선번호 string
phone5 교환번호 string
hphone1 핸드폰 번호1 string
hphone2 핸드폰 번호2 string
hphone3 핸드폰 번호3 string
zipcode 우편번호 string
Address 주소 blob
loginlevel 이용자 등급 string
passwdhint 비밀번호 힌트 blob
passwd 비밀번호 string
제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2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날짜 datetime
code 제품 코드 string
family 제품 종류 string
function1 제품 분류1 blob
function2 제품 분류2 blob
function3 제품 분류3 blob
manufact 제조 회사 blob
serve 공급 업체 blob
partno 제품명 blob
package 제품 규격 string
pin 제품 특징 string
fungibles 대체 품목 blob
doc 제품 설명 blob
photo 제품 사진 & 비디오 string
connecting1 연결 항목1 blob
connecting2 연결 항목2 blob
connection3 연결 항목3 blob
special 특판 여부 string
lev1price 단위 공급 가격1 string
lev2price 단위 공급 가격2 string
lev3price 단위 공급 가격3 string
keep 가용 수량 string
stock 재고 수량 string
deliver 납품 기간 blob
장바구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3)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3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날짜 datetime
Code 장바구니 코드 string
Partco 제품 코드 string
Partno 제품명 string
Price 단위 가격 int
Count 신청 수량 int
tprice 구매 가격 int
Progress 진행 분류 int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4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ordno 견적번호 string
org_id 견적자 아이디 string
org_name 견적자 성명 string
org_phone 연락 전화 번호 string
org_email 전자 우편 주소 string
cip_bils 결제 방법 string
cip_deli 납품 요청일 string
comment 요구 내용 blob
date 견적 신청일 datetime
all_price 견적 총액 int
check 체크 string
견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5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신청일 datetime
Ordno 견적 번호 string
Partco 제품 코드 string
Partno 제품명 string
Price 단위 가격 int
count 신청 수량 int
tprice 구매 가격 int
구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6)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6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ordno 구입 번호 string
org_id 구매자 아이디 string
org_name 구매자 성명 string
org_phone 구매자 전화번호 string
Recip_name 인수자 성명 string
Recip_phone 인수자 전화번호 string
Recip_email 인수자 전자우편 string
zopcode 인수지 우편번호 string
Recip_addr 인수지 주소 blob
Recip_bils 결제 정보 string
Recip_deli 납품일 string
Recip_export 납품 진행 사항 string
bil_check 입금 사항 string
Take_check 인수 확인 string
Comment 요구 내용 blob
Date 구입 신청일 string
all_price 구입 총액 int
구입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7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신청일 Datetime
Ordno 구매번호 string
Partco 제품 코드 string
Partno 제품명 int
Price 단위가격 int
Count 신청수량 int
구매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8)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8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입력일 int
From_name 발신자 성명 blob
From_id 발신자 아이디 blob
To_name 수신자 성명 blob
To_id 수신자 아이디 blob
Title 제목 blob
Text 내용 blob
check 확인 string
판매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의 필드 구성과 데이터 형식은 표 9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드명 내용 Type
no 고유번호 int
Date 입력일 int
From_name 구매자 성명 blob
From_id 구매자 아이디 blob
title 제목 blob
text 내용 blob
check 확인 str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흐름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인터넷(20)을 통해 상기 사업자(10)가 구축한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사업자(10)가 제공한 웹페이지에서 상기 구매자(30)가 구매를 희망하는 물품을 검색한 후, 상기 물품에 대한 견적을 신청(S200)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구매자(30)가 신청한 견적 내역을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와 견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에 저장(S201)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구매자(30)의 견적 신청이 접수된 사실을 상기 구매자(30)에게 통보(S202)해 주고, 상기 판매자(40)에게 상기 구매자(30)가 견적 신청한 내역을 전송(S203)해 준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구매자(30)가 신청한 물품 중, 가격의 변동이 발생하는 물품에 대해 실시간으로 가격을 변동시켜 결정(S204)하며, 상기 가격 결정 과정은 가격 정보 검색기(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가격 정보 검색기(70)에 의해 결정된 가격을 인증받기 위해, 상기 결정된 가격을 상기 판매자(40)의 가격 결정 담당자에게 전송(S205)한다. 상기 가격 결정 담당자는 상기 사업자(10)가 가격 결정 요인이 되는 자료의 수집을 통해 결정한 가격 자료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여, 결과를 상기 사업자(10)에게 전송(S206)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판매자(40)의 인증을 근거로 상기 결정 가격을 상기 구매자(30)에게 전송(S207)한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변동된 가격을 확인하고, 상기 물품을 구매하기위해 상기 사업자(1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구매자(30)의 인증 내역 확인 사실이 상기 사업자(10)에게 전송(S208)된다. 이때,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전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이 발생하는 물품의 가격을 고정(S209)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격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매자(30)가 구매를 하고자 하는 시점의 가격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가 있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에서 신청한 물품 견적서를 기초로 구매 신청서를 작성하여 전송하면(S210) 구매 절차는 종료되게 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구매 신청서의 신청 내역을 전송 받고, 상기 신청 내역을 상기 판매자(40)에게 전송한다.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신청한 물품에 대한 대금을 금융 기관(60)에 결제(S211)하게 되고,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사업자(10)가 제공하는 온라인 결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자(40)는 상기 물품 대금이 결제된 것을 확인 하고, 상기 신청 내역을 근거로 상기 운송 업체(50)에 물품 배송을 신청(S213)한다. 상기 물품 배송 신청은 상기와 같이 판매자(40)가 진행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사업자(10)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제휴한 운송 업체(50)와 연계하여 배송 신청 및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운송 업체(50)는 상기 구매자(30)로부터 구매를 요청 받은 물품을 상기 구매자(30)에게 배송(S214)하고, 상기 판매자(40)는 상기 구매자(30)에게 해당 물품의 배송 현황을볼 수 있는 배송인증서를 제공(S215)한다. 이때, 상기 운송 업체(50)는 상기 구매자(30)에게 물품 배송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S216)하며, 상기 사업자(10)와 상기 판매자(40)에게도 물품 배송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S217, S218)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의 상품 검색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가 물품 구매를 위해 상기 사업자(10)가 구축한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업자(10)는 구매 가능한 물품에 대한 목록을 카테고리별, 회사별로 제공하며, 구매자(30)의 편의를 위해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구매자(30)가 제품을 검색(S300)하기 위해 검색어를 입력(S301)하면, 상기 입력된 검색어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S302)하여 오류가 있으면 다시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검색을 실행하면 상기 사업자의 제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에 맞는 제품의 리스트(S304)가 검색되어 화면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리스트에서 견적 희망 물품을 선택(S304)하고 견적서 양식에 견적품 및 상기 견적품의 수량을 입력한 후, 신청(S305)하게 되면 상기 구매자(30)의 견적 신청 내역이 장바구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3)에 저장된다. 이때, 견적을 신청하기 위해 입력한 수량이 0보다 크면 상기 신청한 견적품을 장바구니 데이터 베이스(143)에 저장하고, 신청 입력 수량이 0이면 견적 신청 수량을 입력하기 위해 다시 제품 리스트 정보로 되돌아간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와 같이 장바구니에 제품을 저장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견적서를 작성(S307)하거나, 견적 제품을 추가(S308)하기 위해 상기 제품 검색 메뉴(S300)로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제품 리스트 제공(S303) 메뉴에서 각 제품에 대한 세부 내역을 보기(S309)를 원하면 상기 제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로부터 상기 제품에 대한 필드에 저장된 세부 내역 정보를 가져와(S310), 상기 제품의 세부 내용을 제시(S311)한다. 상기 세부 내용 제시 메뉴에서 세부 내용을 참고하여 희망 물품에 대한 견적 제품을 검색(S312)하고, 희망 수량을 입력하여 견적을 신청(S313)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견적 수량 비교 단계(S306)로 옮겨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의 견적 신청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가 견적서를 작성(S400)하기 위한 메뉴에서 이용자의 장바구니 정보를 검색(S401)한다.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사업자(10)의 장바구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3)로부터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된다. 상기 검색 결과 선택된 제품이 있으면(S402), 상기 구매자(30)가 선택한 제품의 목록을 제공(S403)한다.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목록을 확인하고 신청자 정보를 입력(S404)한다. 만약, 상기 구매자(30)가 회원일 경우,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S405)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입력결과를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회원정보를 찾게되면(S406), 회원 정보 및 견적 정보를 표시한다(S407). 상기 사업자(10)는 견적 신청 내역을 확인(S408)하고, 견적 신청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에 상기 견적 신청 내역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견적 신청 사실을 UMS 모듈을 통해 상기 판매자(40)에게 견적 신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구매자(30)가 비회원일 경우, 견적 신청자 정보를 입력(S411)한다. 상기 견적 신청자 정보에는 간단한 개인 신상에 관한 내용, 정보 전송 수단 및 대금 결제 방법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청자 정보가 바르게 입력되었으면(S412), 신청자 정보 및 견적 정보를 표시한다(S407). 상기 사업자(10)는 견적 신청 내역을 확인(S408)하고,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에 상기 견적 신청 내역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견적 신청 사실을 UMS 모듈을 통해 상기 판매자(40)에게 견적 신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의 가격 결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사업자(10)는 가격 정보 검색기(70)를 이용하여 가격 변동 사항을 자동으로 검색(S500)하게 된다. 상기 사업자(10)의 가격 정보 검색기(70)는 현물 시장 가격, 환율 및 수요량 예측치와 같은 가격 결정에 중요한 요소(S502)들을 제공받아 가격 변동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S501)하게 된다. 상기 사업자(10)의 가격 정보 검색기(70)는 상기 검색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격 변동 로직을 적용하여 가격을 계산(S503)한다. 상기 계산된 가격을 상기 사업자(10)의 제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에 저장된 가격 정보와 비교하여 변동 사항을 확인(S504)한다. 상기 비교 결과 가격 변동 사항이 있는 제품에 대해 가격 유동성이 인정되는 제품인지 여부를 검사(S505)한다. 만약, 유동성이 인정되지 않는 제품일 경우 가격 변동이 적용되지 않고, 제품 구매의 다음 절차로 이동(S506)하게 된다.
상기 구매자(30)의 견적 대상 물품이 가격 변동을 수동으로 적용(S507)하여야 하는 물품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가격 정보 검색기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지 않으며, 가격 변동 내역을 상기 사업자(10)가 수동으로 입력(S508)하게 된다.
상기 검사 결과 유동성 인정 제품인 경우, 상기 가격 변동 사항을 제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2)에 입력(S509)하여 가격을 변동시킨다. 상기 구매자(30)가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에서 가격이 변동된 제품의 정보를 선택(S510)하게 되면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견적 내역을 확인했는지 여부를 검사(S511)하게 된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기 변동된 견적 내역을 확인하게 되면 가격 정보를 변경하지 않게 된다(S512). 만약,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변동 가격 내역을 확인하지 않았다면, 변동된 가격으로 제품의 정보를 변경(S513)시키고, 상기 변동 가격을 견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의 견적서 확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사업자(10)가 상기 메시지 서버(S600)를 통해 소리와 문자의 방법으로 견적서 인증 정보를 전달(S601)하면, 상기 구매자(30)는 도착 내용을 확인(S602)하고 상기 사업자(10)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S604)하게 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입력된 개인 인증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와 비교하여 회원정보를 검색(S605)한다. 만약, 회원 ID 및 비밀번호를 비교(S606, S607)하고, 이상이 없으면 회원 견적 정보를 검색(S608)하게 된다. 상기 검색 자료는 상기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로부터 자료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상기 검색 결과로 상기 회원 구매자(30)의 견적 목록을 표시(S609)한다.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견적 목록을 확인하고, 견적 번호를 선택(S610)하여 견적서가 있으면(S611), 견적 신청 내역서(S616)를 제공한다. 상기 견적 번호 선택 결과, 견적서가 없으면 개별 회원 견적 목록(S609)으로 되돌아 간다.
만약, 상기 견적서 인증 내역을 전자 우편서버(S603)에서 전송하게 되면, 상기 구매자(30)가 회원일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회원 ID와 비밀번호 입력단계(S604)로 이동하게 되고, 비회원일 경우에는 견적 신청시 입력한 견적 신청자 ID와 인증번호를 입력(S612)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입력된 견적 신청자 정보를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내에 저장된 견적 신청자 정보를 검색(S613)하여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견적 신청자 ID와 인증번호가 일치(S614, S615)되면 견적 신청 내역서를 제공(S616)한다. 상기 비회원인 구매자(30)는 상기 제공된 견적 신청 내역서를 확인(S617)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의 구매 신청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는 견적서를 확인(S700)하고, 물품의 구입을 신청하게 된다. 만약, 구입을 신청하게 되면(S701), 상기 구매자(30)가 확인한 견적서를 감추어(S702), 견적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4)내에 저장된 견적서 데이터를 볼 수 없도록 한다. 상기 견적 가격은 변동 가격을 반영하여 상기 구매자(30)가 구입하기로 결정한 가격이므로 가격 자동 변환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매자(30)의 상기 견적 신청한 물품의 견적 내용은 구입 신청서로 자동으로 이동(S703)하게 된다. 상기 구매자(30)의 구매 내역은 구입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상기 구매자(30)의 신청서 작성이 완료된 후, 상기 구매자(30)가 회원일 경우(S704)에는 상기 사업자(10)의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로부터 회원 정보의 연결 정보를 가져온다(S705). 만약, 상기 회원 연결 정보를 조사한 결과 회원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사업자(10)의 상기 메시지 서버(110)를 통해 신청 결과를 메시지로 전송(S707)한다.
상기 구매자(30)가 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구매자(30)가 작성한 견적자 정보를 조사하여 상기 구매자(30)의 전자 우편 주소로 견적 내역서를 전송(S708, S709)한다.
상기 견적서 확인 후에, 상기 구매자(30)가 구입을 신청하지 않는 경우(S710)에, 상기 구매자(30)는 견적을 재요청(S711)할 수가 있다. 만약, 상기 구매자(30)가 견적을 재요청(S711)하게 되면, 견적 내역 재신청을 위한 신청서를 자동으로 작성(S712)하게 되고, 상기 작성된 내역은 상기 견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에 저장 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구매자(30)가 견적 삭제를 원할 경우에 견적서의 견적자 정보를 삭제하고(S713), 상기 구매자(30)의 견적품 정보는 감추어(S714) 견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에 저장시킨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저장된 견적품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의 자료를 축적하여, 상기 구매자(30)들의 구매 패턴을 분석하는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고지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40)는 상기 서비스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30)와의 의사 교환을 위한 메시지 전송을 하게 된다. 우선, 상기 판매자(40)가 판매자 고지(S800) 작업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판매자(40)는 상기 사업자(10)가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자 고지 내용을 입력(S801)하게 된다.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판매자(40)가 입력한 고지 내용을 구입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에 입력시킨다(S802). 상기 사업자(10)는 상기 판매자(40)가 고지하려는 구매자(30)가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매자(30)가 회원이면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로부터 회원 정보의 연결 정보를 가져와(S804) 회원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S805). 상기 확인 결과, 회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사업자(10)의 메시지 서버(110)를 통하여 상기 구매자(30)에게 메시지를 전송(S806)한다.
만약, 상기 판매자(40)가 메시지를 전송하려는 구매자(30)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사업자(10)의 구매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8)에 회원 메시지 정보를 저장(S807)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정보 확인 및 구매자 고지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판매자(4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것을 상기 판매자(40)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구매자 정보 확인(S900)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판매자(4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해 메시지를 확인(S901)하면, 상기 메시지 확인 결과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을 경우(S902), 상기 메시지 확인(S904) 결과를 구입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에 저장시킨다. 만약, 상기 메시지 확인 결과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 손실 정보를 전달(S903)한다.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판매자(4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작성(S905)하여, 상기 판매자(40)에게 상기 메시지 내역을 전달(S906)하면, 상기 판매자(4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S907), 상기 판매자(40)에게 메시지 서버(110)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S909), 상기 판매자(40)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판매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에 판매자 메시지 정보를 저장한다(S908).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신청서 작성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사업자(10)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상에서 제품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는 신청서(1000)를 작성해야 한다. 신청서에 기재되어야 할 사항은 상기 서비스 이용에 필수적인 개인 신상 정보 사항, 제품 배달을 위해 필요한 사항, 제품 구매에 따른 결제 관련 사항 및 기타 구매자(30)의 요구 사항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자(30)의 개인 신상 정보 사항은 주민 번호(1001), 성명(1002), 전화(1003), 회사(1004), 납품지전화(1005), 전자우편(1006)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품 배달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우편번호(1007), 납품지 주소(1009) 및 납품요청일(1009) 등을 기록하여야 한다. 또한, 대금 지불 방법(1010)은 무통장 입금, 신용카드 및 온라인 이체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방법이 있으면 더 추가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구매자(30)가 물품 검색을 한 검색 결과(1011)를 선택하고, 상기 물품 구매에 따른 기술 지원 요청(1012)이 필요한 지 여부를 선택하며, 상기 서비스 사업자(10)에게 전하는 말(1013)을 기록하고 입력확인(1014) 버튼을 클릭하면 신청서 작성이 완료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물품 검색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는 필요한 물품들을 생산회사(1101)로 검색하거나 부품명(1102)으로 검색할 수가 있다. 상기 검색 결과로 물품 찾기(1100)창이 생성이 되면, 상기 구매자(30)는 도시된 물품 중에서 필요한 물품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물품 선택 과정은 단가(1103)를 확인하고, 견적 신청(1104)항목에 신청 수량을 기록하여 장바구니 담기(1106)를 클릭하면 상기 구매자(30)가 구입 희망하는 물품이 선택되어 진다. 여기서, 가격의 변동이 발생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변동 가격(1105)으로 표시되어, 상기 변동 가격을 클릭하면 해당 물품의 최근 가격 변동 현황 및 현재 가격을 볼 수가 있다.
또한, 추가로 물품을 더 검색하기를 원하면 상기 웹페이지 하단에 있는 부품명(1107)을 기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사업자가 구축한 제품 구매 신청서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는 구매하고자 희망하는 물품에 대한 변동가격을 상기 사업자(10)로부터 제공을 받은 후, 구매를 원하는 시기에 상기 제품 구매 신청서(1200)를 작성하게 된다. 상기 제품 구매 신청서(1200)에 표시된 가격(1205)은 상기 구매자(30)가 웹 페이지 접속시의 가격을 반영한 것으로서, 상기 구매자(30)가 웹 페이지를 접속함과 동시에 변동가격이 고정된다. 상기 구매자(30)는 상기 웹 페이지상에 구매 희망 물품의 제품 번호(1201), 제품명(1202) 및 단가(1203)를 확인하고, 주문 수량(1204)을 기록하고 구매 신청(1208) 버튼을 클릭하면 신청이 완료되다. 만약, 상기 구매자(30)가 주문을 취소하려고 한다면 주문 취소(1206)를 클릭하면 해당 물품에 대한 주문이 취소된다. 추가로, 상기 도시된 물품외에 더 필요한 물품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물품 추가(1207)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을 통한 자료 입력 절차도이다.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가 견적을 신청한 물품에 대해서 상기 사업자(10)의 가격 정보 검색기(70)는 실시간으로 현물시장의 제품가격, 달러화 환율, 재고 수량, 수요 예측치 및 상품에 대한 내부적 가중치 등을 검색하여 가격을 결정하게 된다.
먼저, 상기 가격 정보 검색기(70)가 자료 입력을 시작(S1300)하게 되면 상기가격에 대한 정보가 있는 사이트를 자료 입력 사이트 연결 정보 데이터 베이스(150)의 정보를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검색하게 된다. 만약, 상기 가격 정보 검색기(70)가 i번째 사이트 연결 정보를 선택(S1301)하면, 우선 i번째 사이트에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S1302)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다음 자료 입력지시를 위해 대기(S1303)한다. 만약 상기 사이트 연결 정보가 존재하면 i번째 사이트를 연결시키고(S1304) 상기 사이트 내에 있는 정보 추출용 문서를 파일로 저장시킨다(S1305). 상기와 같은 자료의 수집은 FTP, HTTP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능하며, 그외 인터넷 상에서 자료를 검색하여 수집할 수 있는 어떠한 프로토콜로서도 실현될 수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사업자(10)의 가격 정보 검색기(70)가 i번째 사이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매크로를 선택(S1306)하면 상기 선택된 추출 매크로에 따라 웹 문서를 입력문의 형태로 가공(S1307)한다. 상기 웹 문서의 가공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물품의 제품 정보가 입력된 헤더를 상기 문서에 삽입(S1309)시킨다. 마지막으로, 자동 계산 수식을 이용한 수량 및 가격 예측 데이터 베이스 입력문을 작성하여 자료 입력 절차가 종료된다.
상기 절차는 연결 정보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각 연결 사이트에 따라서 데이터 가공 정보 및 데이터 저장 정보는 각각 차별화 되어 적용된다. 상기 데이터 가공 작업은 먼저 정보 제공 서버에 연결하여 정보 추출용 원시 문서를 다운로드한 후에 이를 데이터 가공 정보의 정해진 형태에 따라서 필요한 형태로 자동 가공한다. 상기 가공이 완료 되면, i+1번째의 작업 사이트에 연결한 후, i+1번째의 데이터 추출 및 가공작업을 진행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각각의 정보 파일을 가격 결정 수식이 삽입된 데이터 베이스의 입력문과 연결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40)로 전달한다.
상기 사업자(10)의 상기 가격 정보 검색기(70)를 통해 수집된 가격 결정 자료를 기본 자료로 하여 각 물품별 정해진 수식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 상기 가격 결정 수식의 한 예는 아래 수식과 같다.
물품 판매 가격 = (수입원가+부대비용×환율)×마진율
부대비용 = 신용장부대비용+운송료+통관비(창고료+통료수수)+보험료+기타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물품 판매 가격이 결정 되며, 상기 수입원가, 부대비용, 환율 및 마진율은 상기 사이트 검색 결과로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대비용은 신용장부대비용, 운송료, 통관비, 보험료 및 기타 수치의 상기 계산식의 결과로서 결정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환율은 결제 은행 고시 환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진율은 물품 공급 수량 및 재고에 따라 가중치를 별도로 산정한 값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격 변동 물품에 대한 가격 변화 그래프의 웹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30)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가격이 변동 가격이라면 상기 물품에 대한 최근 가격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구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구매자(30)가 물품 찾기 웹페이지(1100)에서 변동 가격(1105)를 선택하면 최근 가격 변화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 웹페이지(1400)로 이동한다. 상기 그래프(1401)의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1402)를 나타낸 축이며 세로축은 상기 물품의 가격(1403)을 나타낸 축이다. 상기 그래프의 마지막 가격인 17500원(1404)은 상기 구매자(30)가 상기 웹페이지를 접속한 시점을 기준으로 한 현재 상기 물품의 가격을 의미한다. 상기 가격의 변화를 확인한 후, 계속하여 물품 찾기(1405)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물 가격의 변동이 수시로 발생하는 반도체, 석유, 및 화학원료 등의 산업 원자재와 농축산물 및 수산물등에 대해 현물시장의 가격을 공급 가격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기업과 소비자, 기업과 기업, 기업과 정부간의 거래에 가격 정보 및 의사 결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가격 변동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통합적으로 결정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에 있어서,
    (a)서비스 사업자가 구매자의 구매 정보와 판매자의 판매 정보를 웹서버에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b)상기 사업자가 상기 구매자에게 판매 제품의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구매자로부터 구매 희망 물품의 견적을 신청받는 단계;
    (c)상기 사업자가 상기 견적 희망 물품 중 가격 변동이 있는 각각의 물품에 대해 가격변동 요인을 수집하여 가격을 결정하고, 상기 가격을 판매자에게 승인 받아, 상기 가격 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상기 판매자와 상기 구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d)상기 사업자가 상기 구매자로부터 물품 구매 신청을 받고, 상기 판매자에게 상기 구매 신청 사실을 알리는 단계; 및
    (e)상기 사업자가 물품 대금이 상기 구매자에 의해 결제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물품을 상기 구매자에게 운송할 것을 운송업체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상기 사업의 주체가 되어 직접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가격 변동 요인은,
    상기 물품에 대한 상기 물품에 대한 현물 시장 가격, 생산량, 수요량, 환율, 재고 수량, 수요 예측치, 상품에 대한 내부적 가중치 및 그외 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구매자가 물품 구매 신청을 하기 위해 상기 사업자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견적 신청한 물품의 현재 가격을 확인하면 상기 사업자는 상기 신청한 물품에 대한 가격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가격 결정은 상기 가격 결정 요인 자료들을 수집하여 소정의 계산식에 의해 가격을 결정하는 가격 결정 로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가격 변동 요인 자료의 수집은 인터넷에 연결된 자료 제공자에 대한 데이터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가격결정은 상기 사업자가 가격을 입력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가격 변동 상황 전송은,
    전화, 팩스, 호출기, 이동전화, 전자우편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사업자가 구축한 데이터 베이스는,
    회원 정보, 제품 정보, 장바구니 정보, 견적자 정보, 견적품 정보, 구입자 정보, 구입품 정보, 구매자 메시지 정보, 및 판매자 메시지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 방법.
  10.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59564A 2000-10-10 2000-10-10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041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64A KR100415120B1 (ko) 2000-10-10 2000-10-10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64A KR100415120B1 (ko) 2000-10-10 2000-10-10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526A true KR20020028526A (ko) 2002-04-17
KR100415120B1 KR100415120B1 (ko) 2004-01-13

Family

ID=1969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564A KR100415120B1 (ko) 2000-10-10 2000-10-10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1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6122A2 (en) * 2003-06-30 2005-01-20 Selectica, Inc. Improved method for complex computer aided pricing of products and services
KR100705708B1 (ko) * 2002-10-11 2007-04-09 문석환 변동가격을 제시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102307450B1 (ko) * 2020-03-27 2021-09-30 쿠팡 주식회사 요청된 분리된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플러그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613A (ko) * 2000-02-23 2000-05-06 김남곤 인터넷상의 정보제공을 통한 현물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20000037262A (ko) * 2000-04-14 2000-07-05 이목 농산물 판매관리방법
KR20010110022A (ko) * 2000-06-05 2001-12-12 이기성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외화환전시스템
KR20000054724A (ko) * 2000-06-20 2000-09-05 임경식 수산물 전자 상거래 방법
KR100418388B1 (ko) * 2000-08-31 2004-02-11 유종오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의 구매 의사 결정 지원 방법및 장치
KR20020024993A (ko) * 2000-09-27 2002-04-03 고영필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상거래 중개시스템 및 그것을이용한 상거래 중개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08B1 (ko) * 2002-10-11 2007-04-09 문석환 변동가격을 제시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WO2005006122A2 (en) * 2003-06-30 2005-01-20 Selectica, Inc. Improved method for complex computer aided pricing of products and services
WO2005006122A3 (en) * 2003-06-30 2005-10-20 Selectica Inc Improved method for complex computer aided pricing of products and services
KR102307450B1 (ko) * 2020-03-27 2021-09-30 쿠팡 주식회사 요청된 분리된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플러그인
WO2021191673A1 (en) * 2020-03-27 2021-09-30 Coupang Corp. A web-browser plugin for consolidating requested disaggregated information
KR20210120947A (ko) * 2020-03-27 2021-10-07 쿠팡 주식회사 요청된 분리된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플러그인
US11182054B2 (en) 2020-03-27 2021-11-23 Coupang Corp. Web-browser plugin for consolidating requested disaggregated information
US11861142B2 (en) 2020-03-27 2024-01-02 Coupang Corp. Web-browser plugin for consolidating requested disaggregate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5120B1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5366A1 (en)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239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through a network portal
CN102209972A (zh) 支付应用架构
US20070265934A1 (en) Method in support of pre-commerce decision making and automated product listing generation
US200501440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from multiple vendors
US200501441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ing vendors using CCR data
US20030144921A1 (en) Commodity selling or buying method using network
WO2002023421A1 (fr) Systeme mediateur d&#39;affacturage
JP2007026471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1265853A (ja) 関連商品推奨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15120B1 (ko) 전자상거래의 구매와 결제에 관한 통합 의사 전달 서비스사업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615363B1 (ko) 온라인 구매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JP3923951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
JP2003122946A (ja) 受託購入方式での仲介取引を成立させる電子商取引装置
KR101027031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기반의 양방향성 서비스 또는 물품 거래를 위한 중개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KR20010087572A (ko) 물품 구매와 제공을 위한 방법
KR20010073531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2004318665A (ja) 払込支援システム
Dadić et al. E-commerce: The case of Croatia
KR102157456B1 (ko) 부동산 매물 정보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중개방법
KR20000058841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화장품 쇼핑몰 운영 방법
JP2005174281A (ja) バイヤー端末、買付代行方法、委託買付システムおよび委託買付方法
JP2001265852A (ja) 商品推奨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230362A5 (ko)
KR100418686B1 (ko) 다선적 자재 공유를 통한 통합거래 서비스 사업 방법,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