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292A -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292A
KR20210099292A KR1020200012956A KR20200012956A KR20210099292A KR 20210099292 A KR20210099292 A KR 20210099292A KR 1020200012956 A KR1020200012956 A KR 1020200012956A KR 20200012956 A KR20200012956 A KR 20200012956A KR 20210099292 A KR20210099292 A KR 2021009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seller terminal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102020001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292A/ko
Publication of KR2021009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쇼핑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판매정보 생성 포맷에 별도의 작업없이 판매자 단말기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된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매자 단말기가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바코드 넘버에 해당하는 상품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 및 가격을 매칭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상품목록과 상기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해당 판매자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주문 및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ON LINE SYSTEM FOR MANAGEMENT OF GOODS}
본 발명은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맹점 본사에서 제공된 별도의 판매정보 생성 포맷 없이 바코드 넘버 또는 포스 스프레드시트 파일만으로도 판매자 단말기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된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네트워크와 각종 유무선 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주문하여 구매하는 다양한 온라인 주문 판매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다양한 경로로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쇼핑정보가 주로 대형 할인점 또는 온라인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중심으로만 정보가 제공되어, 중소형마트나 소매점 등에서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중소형마트나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일부 상품이 대형 할인점이나 온라인 제품 판매자보다 가격이 더 저렴할 경우에도 각종 포털사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최저가는 대형 할인마트 또는 온라인 제품 판매자에게 국한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예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14-007975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쇼핑정보 제공장치로부터 판매자 단말기로 판매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판매정보 생성 포맷이 제공되고, 판매자 단말기는 쇼핑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판매정보 생성 포맷에 따라 실시간으로 판매정보 등록모듈을 통해 상품을 등록하며, 등록된 상품의 판매정보를 구매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여 주문 및 결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판매자가 쇼핑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판매정보 생성 포맷을 기반으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 단말기에 직접 입력하여 등록하므로 판매자는 상기 판매정보 생성 포맷에 맞도록 별도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14-0079752호(2014.06.2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맹점 본사에서 제공된 별도의 판매정보 생성 포맷 없이 바코드 넘버 또는 포스 스프레드시트 파일만으로도 판매자 단말기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된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판매자 단말기가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바코드 넘버에 해당하는 상품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 및 가격을 매칭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상품목록과 상기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해당 판매자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주문 및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에서는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 이외에 상기 포스 엑셀파일을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를 소유하고 있는 프렌차이즈의 가맹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매칭되는 상기 상품의 정보는 바코드와, 바코드에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가격 및 상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스캐너와 연결되고, 상기 스캐너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넘버가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업데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바코드 넘버만을 전송하여 준비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쇼핑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된 판매정보 생성 포맷을 위한 별도의 상품정보의 등록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포스 엑셀파일을 전송받아 상품목록을 작성하므로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포스 엑셀파일을 전송받아 상품목록을 작성하므로 다른 방법과 호환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바코드 넘버만을 전송하므로 바코드에 저장된 상품의 정보에 따라 관리서버에서 상품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으므로 판매자 단말기와 관리서버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스캐너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의 넘버가 관리서버에 실시간으로 전달되므로 상품의 구매가능여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를 소유하고 있는 프렌차이즈의 가맹점이므로 판매자 단말기에 대한 사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점포의 위치 등을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전송하는 판매자 단말기(10)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전달 받은 바코드 넘버를 이용하여 상품목록을 작성하고 작성된 상품목록에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매칭된 상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전송하는 관리서버(20)와, 상기 관리서버(20)로부터 상품의 정보를 전달 받고 상품을 주문 및 결재하는 소비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는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전송하는 단말기로서 필요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취득하기 위한 스캐너와, 엑셀파일과 같은 스프레드시트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포스(POS)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는 상기 관리서버(20)에 바코드 넘버를 전송할 경우 상기 판매자 단말기(10)의 위치를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GPS 등과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는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와 이 바코드에 해당하는 상품의 명칭, 가격 및 재고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판매자 단말기(10)는 포스(POS) 단말기로서 팔린 상품에 대한 정보를 판매 시점에서 즉시 입력하고 관리자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판매시점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통합, 분석, 평가되는 종합적인 판매관리 방법를 구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판매자 단말기(10)는 백화점, 은행, 대형서점 등 유통서비스업계의 매장자동화를 가능하케 하는 핵심 역할을 하며 각종 판매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기(10)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며, 이 입력된 정보는 스프레드시트 파일인 엑셀파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정보가 엑셀파일로 저장되므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우수하다.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바코드 넘버를 수신하여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상품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목록을 판매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바코드 넘버가 수신되면 별도의 연산 과정이나 명령 없이도 관리서버(20)에서 자동적으로 상품목록이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에 의해 판매자 단말기(10)가 설치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에 대한 재고 수량 등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에서 업데이트된 상품의 정보는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전달된 상품의 정보에 따라 해당 바코드에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가격 및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품에 대한 정보는 필요에 따라 상품의 원산지, 제조국, 주성분 등 다양한 정보와, 특히 상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농약잔류량, 유기농여부, 이동경로 등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여기서 관리서버(20)의 운영주체는 중대형 규모의 마트들을 가맹점으로 모집하여 이 가맹점의 판매자 단말기(10)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판매자 단말기(10)의 운영주체인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리스트를 일괄적으로 관리서버(20)에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비자 단말기(30)는 상기 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20)에 주문 및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소비자 단말기(30)는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노트북, 스마트폰, 탭,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은 판매자 단말기(10)가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관리서버(20)에 전송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관리서버(20)가 상기 바코드 넘버에 해당하는 상품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상기 관리서버(20)로부터 전달 받은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 및 가격을 매칭시키는 제3단계(S130)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상기 상품목록과 상기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에 전송하는 제4단계(S140)와,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해당 판매자 단말기(10)의 정보와 함께 소비자 단말기(30)에 전송하는 제5단계(S150))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30)는 상기 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20)에 주문 및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관리서버(2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단계(S110)에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는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취득하기 위한 스캐너로부터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를 전송받아 관리서버(20)에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제1단계(S110))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포스의 엑셀파일과 같은 저장된 스프레드시트 파일을 관리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10)에서 상기 바코드 넘버와 함께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설치된 위치의 매장의 장소에 대한 정보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120)는 상기 관리서버(20)가 상기 바코드 넘버에 해당하는 상품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품목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바코드 넘버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품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고 인트라넷을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상품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3단계(S13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상기 관리서버(20)로부터 전달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설치된 매장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품목록과 함께 매칭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상품의 재고, 가격,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가 상기 상품목록과 상기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4단계에서 판매자 단말기(10)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10)에서 매칭시킨 해당 상품의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로서 개발 상품에 대한 정보는 재고, 가격,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단계(S150)는 상기 관리서버(20)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해당 판매자 단말기(10)의 정보와 함께 소비자 단말기(3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5단계(S150)에서 상기 관리서버(20)는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때 동시에 소비자가 용이하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판매자 단말기(10)가 설치된 매장의 위치정보까지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30)에 개별적으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송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수의 불특정 소비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6단계(S160)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30)가 상기 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20)에 주문 및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6단계(S160)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30)와 상기 관리서버(20) 사이에 이루어지는 온라인 주문 및 결재를 위한 시스템은 이미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0 : 판매자 단말기
20 : 관리서버
30 : 소비자 단말기
S110 : 제1단계
S120 : 제2단계
S130 : 제3단계
S140 : 제4단계
S150 : 제5단계
S160 : 제6단계

Claims (5)

  1. 판매자 단말기가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바코드 넘버에 해당하는 상품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 및 가격을 매칭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상품목록과 상기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을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해당 판매자 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목록과 상품목록에 해당하는 상품의 정보를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주문 및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된 상품의 바코드 넘버 이외에 상기 포스 엑셀파일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를 소유하고 있는 프랜차이즈의 가맹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란인 상품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매칭되는 상기 상품의 정보는 바코드와, 바코드에 매칭되는 상품의 재고, 가격 및 상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스캐너와 연결되고, 상기 스캐너를 통해 입력되는 바코드 넘버가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에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KR1020200012956A 2020-02-04 2020-02-04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KR20210099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56A KR20210099292A (ko) 2020-02-04 2020-02-04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56A KR20210099292A (ko) 2020-02-04 2020-02-04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292A true KR20210099292A (ko) 2021-08-12

Family

ID=7731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956A KR20210099292A (ko) 2020-02-04 2020-02-04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92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752A (ko) 2014-06-09 2014-06-2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752A (ko) 2014-06-09 2014-06-2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74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concerning a transaction over a network
JP6962597B2 (ja) 販売時点情報管理取引関連データを捕捉し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CN112074858A (zh) 供应方与销售方之间的电子商务中介系统及中介方法
KR100665035B1 (ko)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JP2018032095A (ja) 識別情報管理サーバ、識別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識別情報の管理方法
KR20230150909A (ko) 이알피 연계형 전자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28293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고 상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JP6333070B2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238503B1 (ko)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KR20090000702A (ko) 온라인 쇼핑몰 통합 공급망 관리시스템
KR101937328B1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물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10000091A (ko) 인터넷 철강자재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9292A (ko) 온라인 상품관리 방법
KR20180119441A (ko) 다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정보 자동 등록 방법
KR101681889B1 (ko) 기업 간 거래 정보 공유 및 중개 시스템 운용 방법
KR20030074346A (ko) 상품 구매와 배송을 결합시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7334A (ko)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관리 시스템
KR101299829B1 (ko) 온라인 트레이딩 중개 방법
JP7001775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454401B1 (ko) 연쇄 거래 대상 책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이용한 책 거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4878383B2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及び事業者サーバ
KR20220127711A (ko) 인터넷을 이용한 글로벌 펀딩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1475477B1 (ko) 쇼핑몰기업간 상품 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