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785A -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785A
KR20180116785A KR1020170049329A KR20170049329A KR20180116785A KR 20180116785 A KR20180116785 A KR 20180116785A KR 1020170049329 A KR1020170049329 A KR 1020170049329A KR 20170049329 A KR20170049329 A KR 20170049329A KR 20180116785 A KR20180116785 A KR 2018011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
polarizing film
film
lay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968B1 (ko
Inventor
이희영
서은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968B1/ko
Priority to US15/842,791 priority patent/US11300720B2/en
Priority to CN201810341030.7A priority patent/CN108732673B/zh
Publication of KR2018011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6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a multi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광학 필름은 위상 지연층;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제공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변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변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자의 제2 부분의 일 단변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는 상기 곡선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부분의 접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편광 필름을 이용하여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켜 광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편광 필름을 상기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등을 이용한 절단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편광 필름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름은 위상 지연층;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제공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변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변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광자의 제2 부분의 일 단 변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상기 곡선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부분의 접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상기 접선을 기준으로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λ/4 위상 지연 필름, λ/2 위상 지연 필름, 및 액정 코팅 기재 필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기판을 포함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는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커버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일부 대응되며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의 일 단변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곡선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부분의 접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은 상기 접선을 기준으로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된 선형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자는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와 중첩하며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칩 온 필름; 및 상기 칩 온 필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칩 온 필름과 상기 표시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칩 온 필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공되며 광을 출사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공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부는 자기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 및 상호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 및 보호하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리어층은 쿠션층(cush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이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흡수축을 가짐으로써, 크랙을 최소화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필름을 구비한 표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EA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편광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연신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제1 차 컷팅 공정을 진행한 편광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제2 차 컷팅 공정을 진행한 편광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터치 센싱부가 자기 정전 용량 방식인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의 터치 센싱부가 상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EA2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과, 구동 회로 기판, 및 편광 필름(PO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화소들(PXL), 및 상기 화소들(PXL)에 연결된 배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 그 중에서도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들(S1, S3)과, 상기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들(S2, S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판(SU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SUB)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상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SUB)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서로 인접한 직선 변들이 만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직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분은 서로 인접한 부분은 서로 인접한 그 양단이 서로 인접한 두 직선 변들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률은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률은 곡선이 시작되는 위치 및 곡선의 길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기판(SU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기판(SUB)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DA)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상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L)은 상기 기판(SUB)의 표시 영역(DA) 상에 제공될 수 있다.각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L)은 백색광 및/또는 컬러광을 출사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백색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화소들(PX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 소자,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 소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들(PXL)은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구동 회로 기판으로부터 각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하며, 스캔 배선들(미도시), 데이터 배선들(미도시), 및 전원 배선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 기판에는 구동부(미도시)가 실장되며, 상기 배선부를 통해 각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캔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상기 데이터 배선을 따라 각 화소(PXL)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다양한 위치,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DP) 내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DP)에 연결된 칩 온 필름(CO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은 상기 칩 온 필름(COF)에 연결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은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 패널(DP) 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칩 온 필름(COF)의 일단은 상기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일단에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일면 또는 배면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DP)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전면 측에 화상을 표시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DP)의 배면 측은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영역이 된다. 따라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사용자의 시인 필요성이 없는 구성을 숨기기 위해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배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을 상기 표시 패널(DP)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칩 온 필름(COF)과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을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표시 패널(DP)을 커버하며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칩 온 필름(COF)이 상기 표시 패널(DP)에 부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절단부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DP)에 부착된 상기 칩 온 필름(COF)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접힐 수 있다.즉, 상기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접힌 벤딩 영역(미도시)과 상기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접히지 않고 편평한 플랫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랫 영역은 가요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EA1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 구동 회로 기판, 편광 필름(POL), 터치 센싱부(TS),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하부에 배치된 배리어층(B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및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PX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투명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은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요성 기판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 triacetate cellulose),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SUB)은 상기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SUB)에 적용되는 물질은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시, 높은 처리 온도에 대해 저항성(또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된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된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반도체층(SCL), 상기 반도체층(SCL) 상에 제공된 게이트 전극(GE), 상기 반도체층(SCL)에 각각 접속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SUB)과 상기 반도체층(SCL) 사이에는 버퍼층(BU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층(BUL)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BUL)은 단일막 구조 또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층(BUL)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치되고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제2 절연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3 이상의 절연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상기 기판(SUB)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BUL)은 상기 기판(SUB)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은 상기 버퍼층(BU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 다결정 실리콘(poly crystalline Si), 산화물 반도체 및 유기물 반도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에서,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속하는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의 영역은 채널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반도체층(SCL)이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도체층(SCL)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반도체층(SCL)으로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 차단막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층(SCL)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GI)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상기 반도체층(SCL)을 커버하며, 상기 반도체층(SCL)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유기 절연 물질 및 무기 절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절연층(GI)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스캔 배선(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저저항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SCL)에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에는 제1 층간 절연층(ILD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층(ILD1)은 유기 절연 물질 및 무기 절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층간 절연층(ILD1)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층(ILD1)은 상기 소스 전극(SE)과 상기 드레인 전극(DE),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층(GI) 및 상기 제1 층간 절연층(ILD1)을 관통하는 컨택 홀들은 상기 반도체층(SCL)의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제1 층간 절연층(ILD1)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저저항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의 일단은 데이터 배선(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의 타단은 상기 컨택 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층(SCL)의 상기 소스 영역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DE)의 일단은 상기 컨택 홀들 중 다른 하나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층(SCL)의 상기 드레인 영역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DE)의 타단은 상기 발광 소자(OLED)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탑 게이트(top 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는 보호층(PS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PSL)은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되며 그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 중 하나, 예를 들면, 상기 드레인 전극(DE)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층(PSL)은 적어도 하나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층(PSL)은 무기 보호막 및 상기 무기 보호막 상에 배치된 유기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보호막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보호막은 아크릴(acryl),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및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보호막은 투명하고, 유동성이 있어 하부 구조의 굴곡을 완화시켜 평탄화시킬 수 있는 평탄화막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보호층(PSL) 상에 제공된 제1 전극(AD), 상기 제1 전극(AD) 상에 제공된 발광층(EML), 및 상기 발광층(EML) 상에 제공된 제2 전극(C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 및 상기 제2 전극(CD) 중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AD)이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CD)이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AD) 및 상기 제2 전극(CD)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소자(OLED)가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D)이 투과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CD)이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D)이 반사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CD)이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이며, 상기 제1 전극(AD)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전극(AD)은 상기 보호층(P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및 상기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 및 상기 반사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백금(Pt),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doped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GTO(Gallium tin oxide)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 상에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각 화소(PXL)의 발광 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AD)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AD)의 에지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polyacrylonitrile), 폴리아미드(PA, polyamid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아릴에테르(PAE, polyarylether), 헤테로사이클릭 폴리머(heterocyclic polymer), 파릴렌(parylene), 에폭시(epoxy), 벤조시클로부텐(BCB, benzocyclobutene), 실록산계 수지(siloxane based resin) 및 실란계 수지(silane based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상기 제1 전극(AD)의 노출된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상기 발광층(EML)은 적어도 광 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 LGL)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층(EML)은 정공을 주입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의 수송성이 우수하고 상기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전자의 이동을 억제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광을 발하는 상기 광 생성층, 상기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정공 억제층(hole blocking layer, HBL), 전자를 상기 광 생성층으로 원활히 수송하기 위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를 주입하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및 백색(white)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EML)의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마젠타(magenta), 시안(cyan), 옐로(yellow)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억제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주입층은 서로 인접하는 화소(PXL)의 발광 영역들에서 연결되는 공통막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은 상기 발광층(EM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은 반사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투과 반사막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이 반투과 반사막인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CD)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전극(CD)은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된 광의 나머지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 상에는 캡핑층(EC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핑층(ECL)은 상기 발광 소자(OLED)로 산소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캡핑층(ECL)은 복수의 무기막(미도시) 및 복수의 유기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OLED)를 외부 환경과 격리하기 위해 상기 캡핑층(ECL)을 적용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OLED)를 외부 환경과 격리하기 위해 상기 캡핑층(ECL) 대신 봉지 기판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 소자(OLED)를 외부 환경과 격리하는 경우, 상기 캡핑층(ECL)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BL)은 상기 표시 패널(DP)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표시 패널(DP)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BL)은 무기 절연 물질 및/또는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막들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다중막으로 이루어진 하부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리어층(BL)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며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원 상태로 복원 가능한 탄성 재질의 쿠션층(cush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층(cushion layer)은 탄성을 갖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 기판은 칩 온 필름(COF)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의 일 단부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표시 패널(DP) 내의 화소들(PXL)과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DP)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칩 온 필름(COF)의 일단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에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부려질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은 절연 필름(미도시)과, 상기 절연 필름 상에 제공된 복수의 배선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은 박막으로 이루어진 절연 필름과 상기 절연 필름 상에 배선들이 형성된 형태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절연 필름 상에는 상기 배선들 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반도체칩이 더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은 상기 칩 온 필름(COF)의 타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은 상기 기판(SUB)의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제1 접착제(ADL1)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시 패널(DP)의 전면, 즉, 표시 영역(DA)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칩 온 필름(COF)과 중첩되지 않도록 일부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COF)과 상기 표시 패널(DP)이 중첩되는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지만 상기 제1 접착제(ADL1)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ADL1)는 광 투과율이 높은 투명성 접착제 또는 점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ADL1)는 수지(resin), 광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및 광경화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ADL1)는 상기 표시 패널(DP)과 상기 편광 필름(POL)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외광의 반사를 억제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발광 소자(OLED)에서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선형 편광자 및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터치 센싱부(TS)는 제2 접착제(ADL2)를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필름(PO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ADL2)는 상기 제1 접착제(ALD1)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부(TS)는 사용자의 터치가 있을 때,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부(TS)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과 중첩할 수 있으며, 상기 비터치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DA), 상기 비터치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NDA)는 서로 다른 면적 및/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부(TS)의 센싱부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되거나 자기 정전 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부(TS)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윈도우(WD)는 제3 접착제(ADL3)를 사이에 두고 상기 편광 필름(POL) 상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제(ADL3)는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ADL1, ADL2)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DP)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DP)이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WD) 또한 이에 대응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패널(DP)이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WD) 또한 이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상기 표시 패널(DP)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상기 표시 패널(DP)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상기 표시 패널(DP)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D)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편광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POL)은 편광자(PVA),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 보호 필름(PSF), 광학층(OP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PVA)는 편광 축을 가지며, 상기 편광 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광을 선편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PVA)는 상기 편광 축과 일치하는 광은 흡수시키고, 상기 편광 축과 수직하는 광은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이 상기 편광자(PVA)를 통과하면 상기 편광 축에 수직 방향으로 선편광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PVA)는 1축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자(PVA)는 폴리비닐알코올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등을 포함하는 필름(film) 형태, 코팅(cating)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어(layer) 형태, 또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wire grid polarizer, WGP) 등과 같은 금속 패턴층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製膜) 한 것이 상기 편광 필름(POL)의 원단(原反)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적절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단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 150㎛정도 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은 상기 편광자(PVA)의 일면 및 배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편광자(PVA)를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은 수지(resin)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편광자(PVA)는 하나의 보호층만 가지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PVA)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뿐만 아니라 싸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acry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은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또는 안티글래어(anti-glare)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을 형성하는 수지(resin)의 종류에 따라 투습도,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및 등방성 등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을 형성하는 수지(resin)의 종류는 상기 편광 필름(POL)이 적용되는 전자 소자에 맞게 적절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을 형성하는 재료는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재료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은 셀룰로오스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PSF)은 상기 제1 TAC 필름(TAC1) 상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자(PVA)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PSF)은 투명한 점착제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용매형 접착제, 에멀션형 접착제, 감압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필름 상의 접착제,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접착제의 원료가 물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수계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에폭시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층(OPL)은 점착제(ADL)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TAC 필름(TAC2)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ADL)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OPL)은 위상 지연층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광학층(OPL)을 위상 지연층으로 지칭한다.
상기 위상 지연층(OPL)은 위상 지연시켜 상기 표시 패널(DP)에서 출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키거나 상기 편광자(PVA)로부터 제공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위상 지연층(OPL)은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과 같은 액정 코팅 기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지연층(OPL)은 상기 표시 패널(DP)에서 출사된 광을 λ/4의 위상 지연(phase retardation)을 발생시키는 λ/4 위상 지연층 또는 상기 광을 λ/2의 위상 지연을 발생시키는 λ/2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편광 필름(POL)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부려질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평면 상에서 볼 때 표시 패널(도 2의 DP)의 기판(도 2의 SUB 참고)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기판(SU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기판(SUB)과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제1 및 제2 부분(POL_1, POL_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OL_1)은 상기 기판(SUB)의 표시 영역(도 2의 DA 참고)에 대응되며,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과 상기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OL_1)은 직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상기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도 2의 NDA 참고)에 대응되며, 상기 제1 부분(POL_1)의 하나의 단변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직선의 변과 곡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POL)은 공정 과정에서 컷팅 라인(CTL)에 의해 제거된 개구부(POL_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되며, 상기 컷팅 라인(CTL)을 따라 절단되어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제거된 절단부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칩 온 필름(도 2의 COF 참고)과 상기 기판(SUB)이 중첩되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에 의해, 상기 칩 온 필름(COF)이 상기 기판(SUB)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칩 온 필름(COF)과 상기 기판(SUB)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상기 개구부(POL_3)로 인해 상기 편광 필름(POL)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칩 온 필름(COF)과 상기 기판(SUB)이 중첩되는 영역, 즉, 상기 비표시 영역(NDA) 상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의 전체 두께는 상기 기판(SUB)에 상기 칩 온 필름(COF)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 즉, 상기 표시 영역(DA) 상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의 전체 두께와 균일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표시 영역(NDA) 상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칩 온 필름(COF), 제1 내지 제3 접착제(도 3의 ADL1 ~ ADL3 참고), 터치 센싱부(도 3의 TS 참고), 및 윈도우(도 3의 WD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DA) 영역 상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은 편광 필름(POL), 제1 내지 제3 접착제(ADL1 ~ ADL3), 터치 센싱부(TS), 및 윈도우(W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 상에는 상기 편광 필름(POL)이 배치되지 않은 대신 상기 칩 온 필름(COF)이 적층되므로, 상기 비표시 영역(NDA) 상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의 전체 두께와 상기 표시 영역(DA) 상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의 전체 두께가 균일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표시 영역(DA)과 상기 비표시 영역(NDA) 각각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의 전체 두께가 불균일할 때 발생되는 외관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컷팅 라인(CTL)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부분(POL_1, POL_2)과 상기 개구부(POL_3)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 변은 상기 컷팅 라인(CT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컷팅 라인(CTL)은 곡률을 갖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를 제외한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 변이 만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 변이 만나는 부분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POL_3)는 곡률을 갖는 상기 컷팅 라인(CTL)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컷팅 라인(CTL)의 곡선부는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곡선부 중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을 최대 곡률부(A)라고 지칭한다. 상기 최대 곡률부(A)는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2 부분(POL_2)이 일 변이 만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최대 곡률부(A)의 접선(tangent line; TGL)에 평행한 흡수축(10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은 상기 편광자(PVA)를 연신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방향(DR1, DR2) 사이에서 경사진 45°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은 상기 접선(TGL)을 기준으로 ±3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흡수축(100)에 직교한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환경 조건, 일예로, 온도에 따라 스트레스가 가해져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상기 편광 필름(POL)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상기 편광 필름(POL)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특성 차이로 인해 상기 편광 필름(POL)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 필름(POL)의 구성 요소 중 상기 편광자(PVA)는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는 특성을 갖고, 상기 편광자(PVA)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 상기 점착제(ADL) 등은 상기 고온 환경에서 팽창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특성 차이는 상기 편광자(PVA)와 상기 편광자(PVA)에 적층된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일으켜 최종적으로 상기 편광 필름(POL)에 크랙(crack)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PVA)는 상기 흡수축(100) 방향으로 1축 연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투과축 방향으로 파단(破斷)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자(PVA)에 의해 크랙(crack)이 발생되는 경우 혹은 취급시 상기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투과축이 아닌 상기 흡수축(100) 방향으로 상기 크랙(crack)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크랙(crack)은 상기 편광 필름(POL)의 불량을 초래하여 상기 편광 필름(POL)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상술한 편광 필름(POL)을 고온 환경에서 구부리는 경우, 상기 편광 필름(POL)의 구성 요소들의 특성 차이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편광 필름(POL)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 45°, 90°, 및 135° 각각의 흡수축을 갖는 편광 필름(POL)을 고온 환경에서 구부리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경우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있어 크랙(crack)의 발생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90°의 흡수축을 갖는 편광 필름(POL)을 제1 편광 필름(POL)으로 지칭하고, 0°의 흡수축을 갖는 편광 필름(POL)을 제2 편광 필름(POL)으로 지칭하고, 135°의 흡수축을 갖는 편광 필름(POL)을 제3 편광 필름(POL)으로 지칭하며, 45°의 흡수축을 갖는 편광 필름(POL)을 제4 편광 필름(POL)으로 지칭한다.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을 고온 환경에서 상기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0°)으로 구부리는 경우,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의 구성 요소들의 특성 차이 및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을 갖는 컷팅 라인(CTL)을 따라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을 컷팅하여 개구부(POL_3)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컷팅 공정에 의해 상기 개구부(POL_3)에서 미세 크랙(micro 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갖게 되면,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은 상기 컷팅 라인(CTL)의 최대 곡률부(A)의 접선(TGL)에 수직한 방향(135°)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더욱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 방향으로 크랙(crack)이 진행되어 상기 제1 편광 필름(POL)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필름(POL)을 고온 환경에서 상기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90°)으로 구부리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제2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을 갖는 컷팅 라인(CTL)을 따라 상기 제2 편광 필름(POL)을 컷팅하여 개구부(POL_3)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컷팅 공정에 의해 상기 개구부(POL_3)에서 미세 크랙(micro 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가 상기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갖게 되면,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은 상기 컷팅 라인(CTL)의 최대 곡률부(A)의 접선(TGL)에 수직한 방향(135°)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더욱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 방향으로 크랙(crack)이 진행되어 상기 제2 편광 필름(POL)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3 편광 필름(POL)을 상기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45°)으로 구부리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제3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을 갖는 컷팅 라인(CTL)을 따라 상기 제3 편광 필름(POL)을 컷팅하여 개구부(POL_3)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컷팅 공정에 의해 상기 개구부(POL_3)에서 미세 크랙(micro 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가 상기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갖게 되면,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은 상기 컷팅 라인(CTL)의 최대 곡률부(A)의 접선(TGL)에 수직한 방향(135°)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제3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더욱 집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 방향으로 크랙(crack)이 진행되어 상기 제3 편광 필름(POL)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제4 편광 필름(POL)을 상기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135°)으로 구부리는 경우에는 상기 편광 필름(POL)에 스트레스가 집중될 수 있다. 또한, 곡률을 갖는 컷팅 라인(CTL)을 따라 상기 제4 편광 필름(POL)을 컷팅하여 개구부(POL_3)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컷팅 공정에 의해 상기 개구부(POL_3)에서 미세 크랙(micro 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가 상기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갖게 되면,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은 상기 컷팅 라인(CTL)의 최대 곡률부(A)의 접선(TGL)에 수직한 방향(135°)으로 진행되는데, 상기 제4 편광 필름(POL)의 경우 상기 최대 곡률부(A)의 접선(TGL)에 수직한 방향(135°)이 투과축이 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크랙(crack)은 상기 투과축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4 편광 필름(POL)에서는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으로 인한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이 상기 최대 곡률부(A)의 접선(TGL)에 평행하도록 상기 편광 필름(POL)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세 크랙(micro crack)이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 필름(POL)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POL)의 개구부(POL_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SUB)에 상기 칩 온 필름(COF)이 부착되는 부분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 필름(POL)의 개구부(POL_3)는 상기 편광 필름(POL)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카메라 홀(미도시)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카메라 홀에 대응되는 영역이 제거된 개구부(POL_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카메라 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개구부(POL_3)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의 접선에 평행한 흡수축(10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연신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제1 차 컷팅 공정을 진행한 편광 필름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7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중 제2 차 컷팅 공정을 진행한 편광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POL)은 전처리 공정(S10), 연신 공정(S20), 코팅 및 라미 공정(S30), 검사 공정(S40), 제1차 컷팅 공정(S50), 제2차 컷팅 공정(S60), 및 후속 처리 공정(S70)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S10)은 편광자(PVA),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 보호 필름(PSF) 등의 원료를 준비하여 세정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공정(S10)을 진행한 후, 상기 편광자(PVA)의 일면에 상기 제1 TAC 필름(TAC1)을 적층하고, 상기 편광자(PVA)의 타면에 상기 제2 TAC 필름(TAC2)을 적층한 후, 상기 편광자(PVA)를 연신하는 상기 연신 공정(S20)이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편광자(PVA)와, 상기 편광자(PVA)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적층된 상기 제1 및 제2 TAC 필름(TAC1, TAC2)을 편광 필름 물질층(POL')으로 지칭한다.
상기 연신 공정(S20)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 방법은 텐터 연신기를 사용한 고정단 연신 방법, 자유단 연신(예를 들어, 주속(周速)이 상이한 롤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 기재를 통과시켜 일축 연신하는 방법) 방법, 동시이축 연신기를 사용한 이축 연신 방법, 축차 연신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 필름 물질층(POL')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속이 상이한 롤(32, 32, 33, 33) 사이에 통과시켜 반송 방향(MD)으로 연신하는 자유단 연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 필름 물질층(POL')은 상기 반송 방향(MD)에 일치하는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연속하여, 상기 제1 TAC 필름(TAC1)의 표면에 상기 보호 필름(PSF)을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제2 TAC 필름(TAC2)의 표면에 점착제(ADL)를 코팅하고 위상 지연층(OPL)을 적층하는 코팅 및 라미 공정(S3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팅 및 라미 공정(S30)은 코팅 공정과 라미 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자동 검사기로 상기 코팅 및 라미 공정(S30)까지 마친 편광 필름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상기 검사 공정(S40)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컷팅 공정(S50)은 상기 검사 공정(S40)을 마친 편광 필름을 셀 단위로 절단하는 공정으로,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컷팅 공정(S50)에 의해 셀 단위로 절단된 편광 필름(POL")은 상기 반송 방향(MD)과 대각선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셀 단위로 절단된 편광 필름(POL")은 대략 45°의 흡수축(100)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셀 단위로 절단된 편광 필름(POL")은 후술할 상기 제2차 컷팅 공정(S6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미세 크랙(micro crack)의 진행을 최소화하는 흡수축(100)을 갖도록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컷팅 공정(S60)은 상기 셀 단위로 절단된 편광 필름(POL")을 컷팅 라인(CTL)을 따라 일부 영역이 제거된 편광 필름(POL)으로 형성하는 공정으로, 레이저 또는 엔드 밀(Endmill)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차 컷팅 공정(S60)을 마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컷팅 라인(CTL)에 의해 제1 및 제2 부분(POL_1, POL_2)과 개구부(POL_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컷팅 라인(CTL)은 곡률을 갖는 곡선부 및 이를 제외한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곡선부는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은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A)의 접선(TGL)에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이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A)의 접선(TGL)에 평행하도록 상기 편광 필름(POL)을 제작하기 때문에, 상기 제2차 컷팅 공정(S60)시 상기 개구부(POL_3)에서 발생한 미세 크랙(micro crack)이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을 따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후속처리 공정(S70)은 상기 제2차 컷팅 공정(S60)을 마친 상기 편광 필름(POL)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절단된 상기 편광 필름(POL)의 가장자리를 가공(밀링)하는 면취 공정, 및 포장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 공정(S40)이 상기 코팅 및 라미 공정(S30)과 상기 제1차 컷팅 공정(S50) 사이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사 공정(S40)은 상기 후속처리 공정(S7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POL)의 제조 공정은 공정 조건 등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 편광 필름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우선,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POL)은 컷팅 라인(CTL)에 의해 구분되는 제1 및 제2 부분(POL_1, POL_2), 개구부(POL_3), 제4 부분(POL_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OL_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과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DR2)은 상기 제1 방향(DR1)에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OL_1)은 직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상기 제1 부분(POL_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상기 제1 부분(POL_1)의 하나의 단변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직선의 변과 곡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제1 부분(POL_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개구부(POL_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부분(POL_2)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제1 부분(POL_1)의 하나의 단변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제2 부분(POL_2)과 상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부분(POL_4)은 직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 변, 및 상기 제4 부분(POL_4)의 일 변은 상기 컷팅 라인(CT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상기 컷팅 라인(CTL)을 따라 절단된 영역으로, 상기 제2 부분(POL_2)과 상기 제4 부분(POL_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컷팅 라인(CTL)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컷팅 라인(CTL)은 곡률을 갖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를 제외한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변이 만나는 부분에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POL_3)의 일부분은 상기 컷팅 라인(CTL)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POL_3)는 "ㄷ"자 형상을 오른쪽 방향으로 90° 회전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컷팅 라인(CTL)의 곡선부는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A)은 상기 제2 부분(POL_2)의 상기 일 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영역(A)의 접선(TGL)에 평행한 흡수축(100)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상기 개구부(POL_3)를 형성하는 컷팅 공정을 진행할 때, 상기 컷팅 라인(CTL)에서 발생된 미세 크랙(crack)이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POL)은 컷팅 라인(CTL)에 의해 구분되는 제1 및 제2 부분(POL_1, POL_2), 개구부(POL_3), 및 제4 부분(POL_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OL_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과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DR2)은 상기 제1 방향(DR1)에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POL_1)은 직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상기 제1 부분(POL_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상기 제1 부분(POL_1)의 하나의 단변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POL_2)은 직선의 변과 곡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개구부(POL_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부분(POL_2)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제1 부분(POL_1)의 하나의 단변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4 부분(POL_4)은 상기 제2 부분(POL_2)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부분(POL_4)는 직선의 변과 곡선의 변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 변, 및 상기 제4 부분(POL_4)의 일 변은 상기 컷팅 라인(CT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상기 컷팅 라인(CTL)을 따라 절단된 영역으로, 상기 제2 부분(POL_2)과 상기 제4 부분(POL_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컷팅 라인(CTL)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컷팅 라인(CTL)은 곡률을 갖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2 부분(POL_2)의 일 변이 만나는 부분에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제1 부분(POL_1)의 일 단변과 상기 제4 부분(POL_4)의 일 변이 만나는 부분에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POL_3)는 상기 컷팅 라인(CTL)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컷팅 라인(CTL)의 곡선부는 최대 곡률을 갖는 제1 영역(A) 및 제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제1 영역(A)은 상기 제2 부분(POL_2)의 상기 일 변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제2 영역(B)은 상기 제4 부분(POL_4)의 상기 일 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제1 및 제2 영역(A, B)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접선(TGL)에 평행한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POL)은 상기 최대 곡률을 갖는 상기 제1 영역(A)의 접선(TGL)에 평행한 흡수축(100)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편광 필름(POL)에서 상기 개구부(POL_3)를 형성하는 컷팅 공정을 진행할 때, 상기 컷팅 라인(CTL)에서 발생된 미세 크랙(micro crack)이 상기 편광 필름(POL)의 흡수축(100)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화소들 중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 화소(PXL)는 배선들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EL),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발광 소자(EL)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PXL)가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R1, TR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PXL)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발광 소자,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GL)에 연결되며, 상기 소스 전극은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게이트 배선(GL)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배선(DL)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되고, 상기 소스 전극은 구동 전압 배선(DVL)에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발광 소자(EL)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EL)는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전원 배선(미도시)에 연결되어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출력 신호에 따라 발광함으로써 광을 출사하거나 출하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컬러광 또는 백색광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상기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3의 터치 센싱부가 자기 정전 용량 방식인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부(TS)는 다수의 센싱부들(SEL), 배선들(TRL), 및 상기 배선들(TRL)의 일 단에 연결된 패드들(TR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들(SEL)은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들(SEL) 각각은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싱부들(SEL)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들(SEL)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연장되는 방향은 표시 패널(도 2의 DP 참고)의 기판(SUB)의 제2 방향(DR2), 또는 경사진 방향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들(SEL)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재료로는 금속, 이들의 합금, 도전성 고분자, 도전성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으로는 구리,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 알루미늄, 코발트, 로듐, 이리듐, 철, 루테늄, 오스뮴, 망간, 몰리브덴, 텅스텐, 니오브, 탄탈, 타이타늄, 비스머스, 안티몬, 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SnO2(Tin Oxid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들(SEL)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로는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아닐린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페닐렌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티오펜계 중에서도 PEDOT/PSS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는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도전성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보다 가요성(flexibility)이 높기 때문에 벤딩 시 크랙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들(SEL) 및 상기 배선들(TRL)은 별도의 기판 상에 구현되거나, 상기 표시 패널(DP)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요소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싱부들(SEL) 및 상기 배선들(TRL)은 별도의 기판,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BS)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우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드(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기판(BS)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싱부들(SEL) 및 상기 배선들(TRL) 상에는 절연층(INS)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INS)은 상기 센싱부들(SEL) 및 상기 배선들(TRL)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배선들(TRL)은 상기 센싱부들(SEL)과 상기 패드들(TRP)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들(TRL)은 상기 패드들(TRP)을 통하여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드들(TRP)은 별도의 배선,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커넥터, 또는 칩 온 필름 등을 통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싱부(TS)에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터치와 연관된 상기 센싱부들(SEL)의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이 변화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싱부들(SEL)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5는 도 3의 터치 센싱부가 상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싱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EA2를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부(TS)는 베이스 기판(BS), 센싱부(SEL), 배선들(TRL), 및 상기 배선들(TRL)의 일단에 연결된 패드들(TR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SEL)는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센싱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1 센싱부(SEL1)와, 상기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싱부(SEL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들(SEL1)은 상기 제2 센싱부들(SEL2)과 정전 결합하며, 상기 정전 결합에 의해 전압이 변경될 수 있다.
각 제1 센싱부(SEL1)는 상기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센싱 전극(TE1)과, 서로 인접한 제1 센싱 전극들(TE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브릿지(BR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은 다양한 형상, 예컨대, 막대형, 마름모 등의 사각 형상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1 브릿지들(BR1)은 통판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세선(細線)들로 이루어진 메쉬(mes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제2 센싱부(SEL2)는 상기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센싱 전극들(TE2)과, 서로 인접한 제2 센싱 전극들(TE2)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브릿지(BR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 또한 다양한 형상, 예컨대 막대형, 마름모 등의 사각 형상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과 상기 제2 브릿지들(BR2) 또한, 통판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세선(細線)들로 이루어진 메쉬(mes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제2 브릿지(BR2)는 컨택 홀(CH)을 통해 서로 인접한 제2 센싱 전극들(TE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서로 교번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특히, 도 15에서는 상기 제1 브릿지들(BR1)과 상기 제2 브릿지들(BR2)이 서로 교차하도록 표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제2 층간 절연막(ILD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브릿지들(BR1)과 상기 제2 브릿지들(BR2)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서로 상이한 레이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동일한 레이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의 배치에 의해,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 간의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싱부(TS)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터치와 연관된 상호 정전 용량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의 접촉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 사이에는 상기 제2 층간 절연막(ILD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ILD2)은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의 사이에서 전면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의 교차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투명 금속 등과 같은 여타 도전성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앞서 설명한 센싱부들(도 13의 SEL 참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들(TRL)은 상기 센싱부(SEL)와 상기 패드들(TRP)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들(TRL)은 상기 패드들(TRP)을 통하여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드들(TRP)은 별도의 배선,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커넥터, 칩 온 필름 등을 통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은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상기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반영한 감지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센싱부(SEL)를 적층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 상기 제1 브릿지들(BR1) 및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 상기 제1 브릿지들(BR1), 및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동일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 상기 제1 브릿지들(BR1), 및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 상에 상기 컨택 홀(CH)을 포함한 상기 제2 층간 절연층(ILD2)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층간 절연층(ILD2)은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의 사이에서 전면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제1 센싱 전극들(TE1)과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의 교차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ILD2) 상에 상기 제2 브릿지들(BR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릿지들(BR2)은 상기 컨택 홀(CH)을 통해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은 인접한 상기 제2 센싱 전극들(TE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릿지들(BR2) 상에 절연층(INS)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INS)은 상기 제2 브릿지들(BR2)를 커버하며 상기 제2 브릿지들(BR2)을 외부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PD),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POL: 편광 필름
COF: 칩 온 필름 F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
TS: 터치 센싱부 WD: 윈도우
100: 흡수축 TGL: 접선
CTL: 컷팅 라인 POL_3: 개구부

Claims (19)

  1. 위상 지연층;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제공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변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변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의 제2 부분의 일 단 변은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는 상기 곡선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부분의 접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광학 필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상기 접선을 기준으로 ±30°인 광학 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λ/4 위상 지연 필름, λ/2 위상 지연 필름, 및 액정 코팅 기재 필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5.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는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커버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일부 대응되며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 단변은 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곡선부에서 최대 곡률을 갖는 부분의 접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은 상기 접선을 기준으로 ±30°인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된 선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자는 폴리 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와 중첩하며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칩 온 필름; 및
    상기 칩 온 필름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칩 온 필름과 상기 표시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칩 온 필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모따기(chamfering)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공되며 광을 출사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제공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
  15.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부는 자기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부는 상호 정전 용량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 및 보호하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쿠션층(cushion layer)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049329A 2017-04-17 2017-04-17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480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29A KR102480968B1 (ko) 2017-04-17 2017-04-17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5/842,791 US11300720B2 (en) 2017-04-17 2017-12-14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810341030.7A CN108732673B (zh) 2017-04-17 2018-04-17 光学膜和具有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329A KR102480968B1 (ko) 2017-04-17 2017-04-17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785A true KR20180116785A (ko) 2018-10-26
KR102480968B1 KR102480968B1 (ko) 2022-12-26

Family

ID=6378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329A KR102480968B1 (ko) 2017-04-17 2017-04-17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0720B2 (ko)
KR (1) KR102480968B1 (ko)
CN (1) CN1087326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764B2 (en) 2019-05-30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heet and stress control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5385B (zh) * 2017-09-21 2021-06-2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480330B1 (ko) * 2017-12-27 2022-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JP2019152772A (ja) * 2018-03-05 2019-09-12 株式会社Joled 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1164927B2 (en) * 2018-08-14 2021-11-0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075741B1 (ko) * 2018-12-17 2020-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CN109950426B (zh) 2019-03-29 2021-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基板的制备方法
KR20200145277A (ko) 2019-06-21 2020-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44570B (zh) * 2019-08-09 2021-07-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10610904A (zh) * 2019-08-29 2019-12-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1129088B (zh) * 2019-12-17 2022-09-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11312774A (zh) * 2020-02-25 2020-06-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2186024B (zh) * 2020-09-30 2022-11-08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233563B (zh) * 2020-11-09 2023-07-1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30016737A (ko) * 2021-07-26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146A (ja) * 2012-05-09 2013-11-21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44228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5198934A1 (ja) * 2014-06-26 2015-12-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偏光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方法、光アイソレータ用偏光ガラス板セット並びに光アイソレータ用光学素子の製造方法
WO2016158300A1 (ja) * 2015-03-31 2016-10-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2788B2 (ja) * 1999-10-06 2005-06-22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携帯用情報端末機器
JP4909017B2 (ja) * 2006-11-16 2012-04-0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US20090303413A1 (en) * 2007-02-13 2009-12-10 Sony Corporation Optical sheet packaged body, optical sheet unit, lighting device, and display unit
US7775659B2 (en) * 2007-04-13 2010-08-17 Nesty Gary W Sunglass lens
JP5033078B2 (ja) 2008-08-06 2012-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5195719B2 (ja) * 2009-11-09 2013-05-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431568B (zh) * 2010-09-17 2014-03-21 Au Optronics Corp 顯示器
US8654332B2 (en) * 2011-06-22 2014-02-18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Chip-scale optics module for optical interrogators
KR101320384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50105B1 (ko) * 2011-07-01 2018-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3389823B (zh) * 2012-05-08 2016-03-0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US9894781B2 (en) *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KR101431752B1 (ko) * 2012-12-11 2014-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실링 장치
JP2014170221A (ja) *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KR102159747B1 (ko) 2013-12-04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22400B1 (ko) 2014-09-02 2021-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512827B2 (ja) * 2015-01-07 2019-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96848B1 (ko) * 2015-03-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 단말기
KR102651055B1 (ko) 2016-03-24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1285B1 (ko) * 2016-04-01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8746B1 (ko) * 2016-06-01 2023-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1958B1 (ko) * 2016-09-23 2023-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9214A (ko) * 2016-10-07 2018-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1485A (ko)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9952814B (zh) * 2016-11-30 2022-12-2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及电子装置
CN108416280B (zh) * 2018-02-26 2021-09-1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102573704B1 (ko) * 2018-09-06 2023-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만입된 형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5146A (ja) * 2012-05-09 2013-11-21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44228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5198934A1 (ja) * 2014-06-26 2015-12-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偏光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方法、光アイソレータ用偏光ガラス板セット並びに光アイソレータ用光学素子の製造方法
WO2016158300A1 (ja) * 2015-03-31 2016-10-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764B2 (en) 2019-05-30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heet and stress contro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00720B2 (en) 2022-04-12
CN108732673A (zh) 2018-11-02
US20180299603A1 (en) 2018-10-18
CN108732673B (zh) 2022-02-18
KR102480968B1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968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031230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55982B2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10353434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7808893B (zh) 显示装置
US11258040B2 (en) Display device
US1082428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181763B2 (en) Display device
TWI783170B (zh) 顯示裝置
EP3279722B1 (en) Display device
US10444878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crack resistance structure
JP7379022B2 (ja)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KR20190070381A (ko) 표시 장치
KR101858709B1 (ko) 터치 센서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230189574A1 (en) Electronic device
US11899892B2 (en) Display device
EP3971984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