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785A -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785A
KR20180115785A KR1020187027500A KR20187027500A KR20180115785A KR 20180115785 A KR20180115785 A KR 20180115785A KR 1020187027500 A KR1020187027500 A KR 1020187027500A KR 20187027500 A KR20187027500 A KR 20187027500A KR 20180115785 A KR20180115785 A KR 2018011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able
edge seal
seal portion
self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955B1 (ko
Inventor
아키라 야지마
미츠마사 세키노
Original Assignee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 포장용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의 양측부 사이의 중간에 백라이닝부와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갖는 포장봉지로서, 상기 백라이닝부는 둘레 가장자리가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 안쪽 가장자리 실부, 위쪽 가장자리 실부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에 의해 실링되는 동시에, 이들 실부의 안쪽이 실부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해 자립 안정부와, 상기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에 설치한 주출구로 이어지는 주출통로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가 상기 자립 안정부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1 박리 용이부와, 상기 주출통로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를 갖고, 그 제1 박리 용이부가 상기 충전 스페이스의 푸싱에 의해 그 제2 박리 용이부보다도 우선적으로 박리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의 사용방법{Package bag and method for using package bag}
본 발명은 액체, 점조물 등의 액상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하기 위한 포장봉지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가락 등에 의한 푸싱에 의해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포장봉지 및 그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식품이나 화장품, 약제, 용제 등의 액상 또는 점조상의 피포장물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에 충전 포장한 제품이 널리 판매되고 있다. 대부분의 포장봉지는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구획하는 히트실링 등에 의한 접합 부분에,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 노치, V 노치, 그 밖의 인열 유도 흠집이나 미세한 흠집을 가져, 그 위치에서 손가락의 협지에 의해 포장봉지의 접합 부분을 적어도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에 도달할 때까지 찢음으로써 개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개봉방법은 협지력이 약한 아이나 노인 등에게는 찢기가 곤란하거나, 필요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찢을 수가 없어 액상 피포장물이 의도하지 않은 개소로 주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출원인은 앞서 특허문헌 2에 있어서 백라이닝 접합부에 좁은 폭의 주출통로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주출통로에 박리 용이 부분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지를 제공하였다. 이 포장봉지에 의하면, 주출통로가 설치된 백라이닝 접합부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어 포장봉지의 두께를 약 2배로 하고, 이 상태에서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두께방향으로 푸싱함으로써, 주출통로에 설치한 박리 용이 부분을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작은 푸싱력의 작용하에서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포장봉지로부터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7-132944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731423호 공보
이러한 특허문헌 2의 포장봉지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백라이닝 접합부를 경계로 하여 둘로 접어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푸싱함으로써 박리 용이 부분을 간단하게 개봉할 수 있는데, 포장봉지가 얇고, 강성·강도가 낮은 포장용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백라이닝 접합부가 구부러지거나, 박리 용이 부분의 개봉 시 토출압에 의해 백라이닝 접합부가 요동하거나 하여, 주출구를 의도한 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없어, 예기치 못한 위치에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되어 주위를 오손시키거나 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이 포장봉지는 박리 용이 부분의 개봉과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구로부터 주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 시의 토출량을 손가락에 의한 푸싱력으로 조정할 수 없어, 의도하지 않게 다량의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백라이닝 접합부에 주출구를 설치한 포장봉지에 관한 것으로,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구로부터의 주출방향 및 주출량을 용이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개발한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 포장용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의 양측부 사이의 중간에, 포장용 적층 필름의 양측부끼리 서로 맞대어 포갬으로써 형성된 백라이닝부(back-lined portion)와, 적어도 바닥부 및 꼭대기부에 설치된 실부(seal part)에 의해 구획되는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갖는 포장봉지로서,
상기 백라이닝부는,
둘레 가장자리가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 안쪽 가장자리 실부, 위쪽 가장자리 실부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에 의해 실링되는 동시에, 이들 실부의 안쪽이 실부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해 자립 안정부와, 상기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에 설치한 주출구(pouring port)로 이어지는 주출통로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자립 안정부와 상기 주출통로는 모두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를 매개로 상기 충전 스페이스와 인접하고, 그 안쪽 가장자리 실부가 상기 자립 안정부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1 박리 용이부와, 상기 주출통로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를 가지며, 그 제1 박리 용이부가 상기 충전 스페이스의 푸싱에 의해 그 제2 박리 용이부보다도 우선적으로 박리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1) 상기 제1 박리 용이부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
(2) 상기 제1 박리 용이부는 상기 제2 박리 용이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
(3) 상기 자립 안정부는 상기 제1 박리 용이부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
(4) 상기 격벽은 상기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와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 사이에 그들을 연결하여 연재(extending)되어 있는 것,
(5) 상기 주출통로는 상기 백라이닝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주출통로의 양측에 상기 격벽을 매개로 상기 자립 안정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가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보다도 높은 것,
(6) 상기 격벽은 적어도 일부에 박리 용이부를 갖는 것,
(7) 상기 주출통로는 주출구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은 것,
(8) 상기 포장봉지의 양측부는 상기 포장용 적층 필름의 접힘부인 것,
(9) 상기 주출통로는 섬 모양의 유로 폭 조정용 실부를 갖는 것,
(10) 상기 주출구는 그의 내표면끼리가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게 실링되어 있는 것
이 보다 바람직한 해결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장봉지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상 피포장물이 충전된 상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푸싱에 의해 상기 제1 박리 용이부를 박리시키고, 그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 부분을 통해 토출된 액상 피포장물을 상기 자립 안정부 내에 가득 채운 후,
상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2 푸싱에 의해 상기 제2 박리 용이부를 박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자립 안정부 내 및 충전 스페이스 내의 액상 피포장물을 상기 주출통로로 유도하여, 그의 선단의 주출구로부터 주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포장봉지의 사용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및 제2 푸싱은 포장봉지를 백라이닝 접합부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그 충전 스페이스로의 두께방향의 푸싱에 의한 것이 보다 바람직한 해결수단이 된다.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 포장봉지의 양측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둘레 가장자리가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 안쪽 가장자리 실부, 위쪽 가장자리 실부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에 의해 실링되어 이루어지는 백라이닝 접합부의, 이들 실부의 안쪽이 실부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해 자립 안정부와 주출통로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되는 동시에, 그 자립 안정부와 주출통로가 모두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를 매개로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에 인접하고, 또한 그 안쪽 가장자리 실부가 상기 자립 안정부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1 박리 용이부와, 상기 주출통로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를 가지며, 그 제1 박리 용이부는 상기 충전 스페이스의 푸싱에 의해 제2 박리 용이부보다도 우선적으로 박리되어 개봉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백라이닝부를 경계로 둘로 접은 상태에서,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손가락 등에 의해 푸싱(이하, 「제1 푸싱」이라고도 한다.)하여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압력을 안쪽 가장자리 실부에 작용시키면, 먼저 상기 자립 안정부 위치의 제1 박리 용이부가 박리되고, 이에 수반하여 충전 스페이스 내의 액상 피포장물이 그 박리 부분을 통해 상기 자립 안정부 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액상 피포장물이 백라이닝부의 자립 안정부 내에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추가로 푸싱(이하, 「제2 푸싱」이라고도 한다.)하여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압력을 안쪽 가장자리 실부에 작용시키면, 상기 주출통로 위치의 제2 박리 용이부가 서서히 박리되고, 이에 수반하여 충전 스페이스 내의 액상 피포장물이 그 박리 부분을 통하여 천천히 주출통로 내로 유도되어, 그의 선단의 주출구로부터 주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푸싱에 의해 백라이닝부의 자립 안정부 내에 액상 피포장물을 가득 채우고, 그 상태에서 제2 푸싱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구로부터 주출시키기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시에 백라이닝부가 직립한 자세가 되는 동시에 구부러지기 어려워져, 지향성이 향상되어 액상 피포장물을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주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이 유입되는 자립 안정부와 주출구로 이어지는 주출통로가 격벽을 매개로 각각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개봉과 동시에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구로부터 주출되어 버릴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봉지는 충전 스페이스로부터 액상 피포장물을 백라이닝부 내로 토출시키는 공정(개봉 공정)과,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구로부터 주출시키는 공정이 각각 별도 공정으로 되기 때문에, 포장봉지의 개봉 시에 의도하지 않게 다량의 액상 피포장물이 토출될 우려가 없고, 또한 손가락에 의한 푸싱력 조정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량을 간단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 즉 상기 자립 안정부가 백라이닝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하면, 안쪽 가장자리 실부의 상부 및 하부는 백라이닝부의 위쪽 가장자리 실부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열리는(박리되는) 방향으로의 자유도가 낮은 반면, 중앙부는 위쪽 가장자리 실부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의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도가 높아 가장 박리되기 쉬운 것으로부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푸싱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압력을 안쪽 가장자리 실부에 작용시켰을 때, 제1 박리 용이부의 안쪽 가장자리 실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우선적으로 개봉되게 되어 액상 피포장물을 먼저 자립 안정부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길이가 제2 박리 용이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푸싱에 의한 액상 피포장물의 압력에 의해 제1 박리 용이부가 먼저 박리되게 되어, 액상 피포장물을 먼저 자립 안정부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에서 제2 박리 용이부의 박리로의 진행이 원활해져, 제2 박리 용이부가 설령 폭이 좁더라도 작은 푸싱력으로 마지막까지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립 안정부가 상기 제1 박리 용이부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하면 상기와 같이 제1 박리 용이부를 박리시켜서 액상 피포장물을 자립 안정부에 가득 채웠을 때의 백라이닝부의 기립성(rising property)이 향상되어,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출통로를 상기 위쪽 가장자리 실부의 측부 및/또는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의 측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자립 안정부를 상기 백라이닝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제1 박리 용이부를 우선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백라이닝부는 액상 피포장물을 자립 안정부에 가득 채움에 수반하여, 입체적으로 되어 충전 스페이스에 대해 직립한 자세가 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을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출통로를 상기 백라이닝부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그 주출통로의 양측에 상기 격벽을 매개로 상기 자립 안정부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그 주출통로와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를, 상기 자립 안정부와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1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보다도 높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강도」란, 박리 용이 부분의 개봉에 필요한 힘을 말한다. 제1 및 제2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는 실링 조건(가열온도, 가압력 등)을 변경하여 실링강도를 조정하는 외에, 실링폭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푸싱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압력을 백라이닝부의 안쪽 가장자리 실부에 작용시켰을 때, 접합강도가 약한 제1 박리 용이부가 우선적으로 박리되게 되어, 그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에 수반하여 액상 피포장물을 자립 안정부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와 동시에 제2 박리 용이부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립 안정부와 주출통로를 구획하는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 용이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안쪽 가장자리 실부와의 경계 부분을 박리 용이부로 한 경우에는, 제1 박리 용이부에서 제2 박리 용이부로의 박리 이행 시에, 제2 박리 용이부와 함께 상기 격벽의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와의 경계 부분이 박리되기 때문에, 상기 격벽이 그 박리 진행의 장해가 될 우려가 없어 제2 박리 용이부로의 박리 진행이 원활해져,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에 의한 전파력에 의해 제2 박리 용이부를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주출통로가 폭이 좁은 경우에도 제2 박리 용이부를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출통로를 주출구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게 한 경우에는, 액상 피포장물을 그 주출통로를 따라 그의 선단을 향하여 유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출구로부터의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방향의 컨트롤이 용이해져, 액 떨어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장봉지의 양측부를 포장용 적층 필름의 접힘부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포장봉지의 충전 스페이스 내에 액상 피포장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상기 백라이닝부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으면, 포장봉지의 두께가 평탄한 상태에서의 두께의 거의 2배가 되어, 충전 스페이스로의 작은 푸싱력의 작용하에서 박리 용이부를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출통로 내에 섬 모양의 유로 폭 조정용 실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제2 푸싱에 의해 주출통로 내에 액상 피포장물을 유입시켰을 때, 주출구로부터 그 액상 피포장물이 지나치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상 피포장물의 종류나 점성 등에 따라, 상기 유로 폭 조정용 실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주출통로의 유로 폭을 변경함으로써,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출통로의 선단에 위치하는 주출구의 그 내표면끼리를 히트 실링 등에 의해 박리가 용이하게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포장봉지의 사용 개시까지 주출통로 내에 티끌이나 먼지 등이 진입하는 경우가 없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a)의 포장봉지를 백라이닝부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봉지로부터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푸싱에 의해 박리 용이부를 박리시킨 상태, (b)는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2 푸싱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구로 유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형태의 포장봉지의 백라이닝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형태의 포장봉지의 백라이닝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형태의 포장봉지의 백라이닝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주출통로가 주출구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경우이고, (b)는 주출통로가 주출구를 향하여 점차 폭이 넓어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나타내는 바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포장봉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장봉지(1)는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의 적층구조를 갖는 포장용 적층 필름을 실란트층이 내면 측이 되도록 접은 후, 그 양측부끼리를 서로 맞대어 포개 형성한 백라이닝부(10)를 갖는 동시에, 그 백라이닝부(10)와, 히트 실링, 임펄스 실링, 고주파 웰더 실링, 초음파 실링 등에 의해 도면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된 꼭대기부 실부(9a) 및 바닥부 실부(9b)에 의해 둘러싸인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2)를 갖는다.
또한, 도 1의 포장봉지(1)는 양측부가 포장용 적층 필름의 접힘부(2a)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백라이닝부(10)를 갖는 것이면 되고, 양측부가 실링된 사방 실링형 포장봉지 등, 각종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백라이닝부(10)는 포장봉지(1)의 양측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가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 위쪽 가장자리 실부(10c)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에 의해 실링되어 있고, 이들 실부(10a~10d)의 안쪽 부분은 표리의 포장용 적층 필름을 히트 실링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한 실부로 이루어지는 격벽(6)에 의해 자립 안정부(5)와 주출통로(7)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위쪽 가장자리 실부(10c)는 포장봉지(1)의 꼭대기부,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는 바닥부에 위치한다.
충전 스페이스(2)와 백라이닝부(10)의 경계 위치가 되는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는, 자립 안정부(5)와 충전 스페이스(2)를 나누는 제1 박리 용이부(12)와, 주출통로(7)와 충전 스페이스(2)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13)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박리 용이부(12)와 제2 박리 용이부(13)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따로 따로 형성되는 외에, 서로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제1 박리 용이부(12)와 제2 박리 용이부(13)를 분리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접합강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박리 용이부(12, 13)는 백라이닝부(10) 둘레 가장자리의 실부(10a~10d)에 비해 접합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으로, 예를 들면 가열온도 및 가압력의 적어도 한쪽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히트 실링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박리 용이부(12, 13)는 충전 스페이스(2)에 액상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한 상태에서 평탄한 자세로 보관이나 운반 등을 했을 때는, 그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하더라도 박리도 파봉도 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닝부(10)를 경계로 하여 포장봉지(1)를 바깥쪽으로 둘로 접어, 그 충전 스페이스(2)를 두께방향으로 푸싱했을 때는 박리할 수 있는 접합강도(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2의 파봉강도 참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장봉지(1)는 자립 안정부(5)가 백라이닝부(10)의 길이방향에서 중앙부에 위치하고, 제1 박리 용이부(12)와 격벽(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또한, 주출통로(7)는 자립 안정부(5)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d)에 설치된 주출구(4)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박리 용이부(12)는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하기 위해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하여,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압력을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에 작용시키면,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상부 및 하부는 포장봉지(1)의 꼭대기부 실부(9a) 및 바닥부 실부(9b)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열리는(박리되는) 방향으로의 자유도가 낮은 것에 반하여, 중앙부는 상기와 같은 구속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도가 높아 가장 박리되기 쉽기 때문으로, 작은 푸싱력의 작용하에서 간단하게 제1 박리 용이부(12)가 박리되어 포장봉지(1)를 개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닝부(10)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고, 그 상태에서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제1 푸싱)하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압력에 의한 박리력이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에 작용하여,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1 박리 용이부(12)가 박리되기 시작하게 된다.
또한, 포장봉지(1)의 양측부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적층 필름의 접힘부(2a)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포장봉지(1)를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닝부(10)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었을 때의 포장봉지(1)의 두께가 평탄한 상태에서의 두께의 거의 2배가 되어, 충전 스페이스(2)로의 작은 푸싱력의 작용하에서 제1 박리 용이부(12)를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박리 용이부(12)의 길이방향 길이를 제2 박리 용이부(13)의 해당 길이보다도 길게 한 경우에는, 제2 박리 용이부(13)를 박리시키지 않고, 제2 박리 용이부(13)보다 먼저 제1 박리 용이부(12)를 더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박리 용이부(12)의 박리로부터, 추가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하여 제2 박리 용이부(13)를 박리시킬 때의 박리로의 진행이 원활해져, 작은 푸싱력하에서 제2 박리 용이부(13)를 박리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박리 용이부(12)의 특히 박리 개시 위치에서는 액상 피포장물의 압력에 의한 박리력에 의해 파열하듯이 박리되고, 이에 수반하여 충전 스페이스(2)로부터 그 박리 부분을 통해 액상 피포장물이 자립 안정부(5)로 토출된다. 또한, 이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압은 자립 안정부(5) 내로 액상 피포장물이 흘러들어감으로써 충전 스페이스(2)의 두께가 줄어들어 푸싱력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자립 안정부(5)와 주출통로(7)는 격벽(6)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박리 용이부(12)의 박리에 수반하여 주출구(4)로 액상 피포장물이 직접 흘러들어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이 의도하지 않게 주출구(4)로부터 주출되거나, 주출구(4)로부터 비산하여 주위를 오손시키거나 할 우려가 없다.
자립 안정부(5)는 충전 스페이스(2)로부터의 액상 피포장물의 유입에 의해 팽만 상태가 되어 입체적으로 자립한 상태가 되며, 이 자립 상태하에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제2 푸싱)하면, 주출통로(7)와 충전 스페이스(2)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13)가 충전 스페이스(2)의 상기 푸싱력이 저감된 상태하에서 서서히 박리되어,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이 천천히 주출구(4)로 유도되고, 이로써 액상 피포장물은 완만하게 주출구(4)로부터 주출되게 된다. 게다가, 백라이닝부(10)는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시에 자립 안정부(5)의 상기 자립성에 의해 충전 스페이스(2)에 대해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여 요동되는 경우 등이 없으며, 토출 방향성이 향상되어 액상 피포장물을 목적으로 하는 장소로 정확하게 주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봉지(1)는 포장봉지(1)를 개봉하는 공정(제1 푸싱)과,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구(4)로부터 주출시키는 공정(제2 푸싱)이 각각 별도의 공정이 되기 때문에, 포장봉지(1)의 개봉 시에 의도하지 않게 다량의 액상 피포장물이 토출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손가락에 의한 푸싱력의 조정에 의해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량을 간단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주출통로(7)는 주출구(4)를 향함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주출통로(7)에 흘러들어간 액상 피포장물은 경사진 주출통로(7)의 경사면(격벽(6))을 따라 주출구(4)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량, 주출압력 및 주출방향의 컨트롤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격벽(6)은 적어도 일부를 박리 용이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와의 경계 위치를 박리 용이부로 한 경우에는, 격벽(6)의 박리 용이부가 제2 박리 용이부의 박리를 저해하지 않고 제2 박리 용이부와 함께 박리되어, 제1 박리 용이부(12)의 박리로부터 그대로 제2 박리 용이부(13)의 박리로 원활하게 진행되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열리는(박리되는) 방향으로의 자유도가 낮은 제2 박리 용이부(13)의 경우도 작은 푸싱력하에서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격벽(6) 주출구(4) 측의 산 모양의 변부(6a)를 박리 용이부로 한 경우에는, 제2 푸싱에 의해 제2 박리 용이부(13)와 함께 그 변부(6a)를 박리시킴으로써, 그 박리 부분으로부터 자립 안정실(5) 내에 체류하는 액상 피포장물을 거기에 잔류시키지 않고 주출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4)는 표리의 포장용 적층 필름끼리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게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포장봉지(1)를 사용 개시까지 밀폐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주출구(4)로부터의 액상물이나 티끌, 먼지 등의 침입을 억제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출구(4)에 설치하는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는 액상 피포장물의 압력에 의해 간단하게 박리되어, 그 액상 피포장물을 주출구(4)로부터 원활하게 주출할 수 있는 강도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N/15 ㎜ 폭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15 ㎜ 폭 이하로 한다.
또한, 도 3은 도 1의 포장봉지(1)에 대해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를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부터 확장하여, 주출통로(7)를 좁은 폭으로 한 경우의 백라이닝부(10)의 확대도이다. 이 주출통로(7)에 의하면, 액상 피포장물의 흐름이 안정하기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의 토출 방향성이 향상되어,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주출할 수 있다.
또한, 이 확장 부분은 박리 용이부로서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과 함께 서서히 박리시키도록 해도 되고, 이와 같이 하면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주출통로(7)를 서서히 확장시켜,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 용이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백라이닝부(10)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도 4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포장봉지(1)의 백라이닝부(10)는 앞선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포장용 적층 필름의 양측부를 서로 맞대어 포개서 이루어지며, 그 둘레 가장자리가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 위쪽 가장자리 실부(10c)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에 의해 실링되고,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에 주출구(4)를 갖는다. 이 백라이닝 접합부(10)는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와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여 연재되는, 표리의 포장용 적층 필름을 히트 실링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한 실부로 이루어지는 격벽(6)을 가지며, 그 격벽(6)에 의해 실부(10a~10d)의 안쪽이 자립 안정부(5)와 주출통로(7)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이 포장봉지(1)는 자립 안정부(5)가 격벽(6), 제1 박리 용이부(12),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4에서는 주출통로(7)가 위쪽 가장자리 실부(10c)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데, 그 주출통로(7)를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의 측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위쪽 가장자리 실부(10c)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의 측부에 각각 설치해도 되며, 어느 경우에도, 백라이닝부(10)의 중앙부에 자립 안정부(5) 및 제1 박리 용이부(12)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백라이닝부(10)의 중앙부는 자유도가 높아 액상 피포장물의 압력에 의해 가장 박리되기 쉬운 개소이기 때문으로, 이와 같이 하면 제1 박리 용이부(12)를 작은 푸싱력의 작용하에서 제2 박리 용이부(13)보다도 우선적으로 박리시켜서 간단하게 포장봉지(1)를 개봉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봉지(1)에 있어서, 앞선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라이닝부(10)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고, 그 상태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제1 푸싱)하면, 제1 박리 용이부(12)의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먼저 박리되고, 이에 수반하여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이 자립 안정부(5) 내로 토출되게 된다. 자립 안정부(5)는 충전 스페이스(2)로부터의 액상 피포장물의 유입에 의해 팽만 상태가 되어 자립한 상태가 되고, 이 자립 상태하에서 추가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제2 푸싱)하면, 주출통로(7) 부분에 설치한 제2 박리 용이부(13)가 서서히 박리되는 동시에, 자립 안정부(5) 내 및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이 천천히 주출구(4)에 유도되어, 이로써 액상 피포장물은 완만하게 주출구(4)로부터 주출되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벽(6)을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도 위쪽(위쪽 가장자리 실부(10c) 근처) 및/또는 아래쪽(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 근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하면,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제1 박리 용이부(12)(자립 안정부(5))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되어,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중앙부로부터의 박리 개시 시에 있어서 가장 토출압이 높은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구(4)로의 흘러들어감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6)은 적어도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와의 경계 위치가 박리 용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제1 박리 용이부(12)의 박리로부터 제2 박리 용이부(13)의 박리로의 이행 시에 격벽(6)이 장해가 될 우려가 없어, 박리의 진행이 원활해져 상기한 바와 같이 열리는(박리되는) 방향으로의 자유도가 낮은 제2 박리 용이부(13)의 경우도 작은 푸싱력하에서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주출통로(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구(4)를 향함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액상 피포장물은 경사진 주출통로(7)의 경사면(격벽(6))을 따라 주출구(4)로 흘러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액상 피포장물의 주출량, 주출압력 및 주출방향의 컨트롤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봉지의 백라이닝부(10)의 다른 일실시형태를 도 5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백라이닝부(10)의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10b)와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 사이에 그들을 연결하여 연재되는 실부로 이루어지는 2개의 격벽(6)을 가지며, 이 2개의 격벽(6) 사이의 백라이닝부(10)의 중앙부에 주출통로(7)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주출통로(7)의 양측에 자립 안정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는 자립 안정부(5)와 충전 스페이스(2) 사이의 부분이 제1 박리 용이부(12)가 되고, 주출통로(7)와 충전 스페이스(2) 사이의 부분이 제2 박리 용이부(13)가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백라이닝부(10)의 중앙부는 측부에 대해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하여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에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압력을 작용시키면, 그의 중앙부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하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백라이닝부(10)의 중앙부에 주출통로(7)를 설치하면, 제1 박리 용이부(12)와 제2 박리 용이부(13)의 접합 부분이 같은 경우에는, 제2 박리 용이부(13)가 먼저 박리되어 버려, 자립 안정부(5)로 액상 피포장물을 가득 채움에 따른 백라이닝부(10)의 자립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액상 피포장물이 주출구(4)에 직접 흘러들어가 다량의 액상 피포장물이 의도하지 않게 주출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박리 용이부(12)의 접합강도를 제2 박리 용이부(13)의 접합강도보다도 낮게 하여, 그 제1 박리 용이부(12)가 우선적으로 개봉되도록 구성한다. 제1 박리 용이부(12) 및 제2 박리 용이부(13)의 접합강도는 실링온도나 실링압력 등의 실링조건을 변경하여 실링강도를 조정하는 외에, 실링폭(X)이나 제2 박리 용이부(13)의 길이(Y)를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주출통로(7)를 위쪽 가장자리 실부(10c) 또는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10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제2 박리 용이부(13)가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중앙부에서 벗어나도록(제1 박리 용이부(12)가 안쪽 가장자리 실부(10a)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제1 박리 용이부(12)를 제2 박리 용이부보다도 빨리 박리시킬 수 있게 되어, 충전 스페이스(2)로부터 자립 안정부(5)로 액상 피포장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 포장봉지(1)에 있어서도, 앞선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동일하게(도 1(b) 참조), 백라이닝부(10)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고, 그 상태에서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제1 푸싱)함으로써, 접합강도가 낮은 제1 박리 용이부(12)를 먼저 박리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을 자립 안정부(5) 내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추가로 충전 스페이스(2)를 푸싱(제2 푸싱)하여 주출통로(7) 부분에 설치한 제2 박리 용이부(13)를 서서히 박리시키는 동시에, 자립 안정부(5) 내 및 충전 스페이스(2) 내의 액상 피포장물을 천천히 주출구(4)에 유도하여, 이로써 액상 피포장물을 완만하게 주출구(4)로부터 주출시킨다.
또한, 주출통로(7)를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구(4)를 항하여 점차 폭을 좁게 한 경우에는, 액상 피포장물을 격벽(6)을 따라 주출구(4)를 향하여 주출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 방향성이 향상되어, 주출구(4)로부터의 액 떨어짐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주출통로(7)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구(4)를 향하여 점차 폭이 넓게 형성해도 된다. 주출통로(7)의 폭은 액상 피포장물의 종류(협잡물의 유무)나 점성 등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액상 피포장물의 점성이 높은 경우(간장, 수프 등)에는 주출통로(7)의 폭을 좁게 하여, 충전 스페이스(2)로부터 주출통로(7)로의 주출량을 적게 함으로써 안정된 주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b)에서는 주출통로(7) 내에 섬 모양의 유로 폭 조정용 실부(14)가 설치되어 있다.이 유로 폭 조정용 실부(14)는 하나 또는 복수 개 설치해도 되고, 또한 액상 피포장물에 의한 푸싱에 의해 박리 가능한 박리 용이부로 해도 된다. 이 유로 폭 조정용 실부(14)에 의해 주출통로(7)의 유로 폭이 부분적으로 좁은 폭이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을 흐르는 액상 피포장물의 유량이 조정됨으로써, 예를 들면 액상 피포장물의 점성이 낮은 경우에도 액상 피포장물이 다량으로 주출구(4)에 흘러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 포장봉지
2 충전 스페이스
2a 접힘부
4 주출구
5 자립 안정부
6 격벽
6a 변부
7 주출통로
9a 꼭대기부 실부
9b 바닥부 실부
10 백라이닝부
10a 안쪽 가장자리 실부
10b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
10c 위쪽 가장자리 실부
10d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
12 제1 박리 용이부
13 제2 박리 용이부
14 유로 폭 조정용 실부

Claims (13)

  1. 포장용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봉지의 양측부 사이의 중간에, 포장용 적층 필름의 양측부끼리 서로 맞대어 포갬으로써 형성된 백라이닝부(back-lined portion)와, 적어도 바닥부 및 꼭대기부에 설치된 실부(seal part)에 의해 구획되는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스페이스를 갖는 포장봉지로서,
    상기 백라이닝부는,
    둘레 가장자리가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 안쪽 가장자리 실부, 위쪽 가장자리 실부 및 아래쪽 가장자리 실부에 의해 실링되는 동시에, 이들 실부의 안쪽이 실부로 이루어지는 격벽에 의해 자립 안정부와, 상기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에 설치한 주출구로 이어지는 주출통로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자립 안정부와 상기 주출통로는 모두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를 매개로 상기 충전 스페이스와 인접하고, 그 안쪽 가장자리 실부가 상기 자립 안정부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1 박리 용이부와, 상기 주출통로와 상기 충전 스페이스를 나누는 제2 박리 용이부를 가지며, 그 제1 박리 용이부가 상기 충전 스페이스의 푸싱에 의해 그 제2 박리 용이부보다도 우선적으로 박리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 용이부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 용이부는 상기 제2 박리 용이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 안정부는 상기 제1 박리 용이부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바깥쪽 가장자리 실부와 상기 안쪽 가장자리 실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여 연재(extending)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통로는 상기 백라이닝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주출통로의 양측에 상기 격벽을 매개로 상기 자립 안정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가 상기 제1 박리 용이부의 접합강도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적어도 일부에 박리 용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통로는 주출구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봉지의 양측부는 상기 포장용 적층 필름의 접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통로는 섬 모양의 유로 폭 조정용 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그의 내표면끼리가 용이하게 박리 가능하게 실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봉지의 사용방법으로서,
    액상 피포장물이 충전된 상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푸싱에 의해 상기 제1 박리 용이부를 박리시키고, 이 제1 박리 용이부의 박리 부분을 통해 토출된 액상 피포장물을 상기 자립 안정부 내에 가득 채운 후,
    상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2 푸싱에 의해 상기 제2 박리 용이부를 박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자립 안정부 내 및 충전 스페이스 내의 액상 피포장물을 상기 주출통로로 유도하여, 그의 선단의 주출구로부터 주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페이스로의 제1 및 제2 푸싱은 포장봉지를 상기 백라이닝 접합부를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그 충전 스페이스로의 두께방향의 푸싱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KR1020187027500A 2016-03-08 2017-02-14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KR102077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4203A JP6128623B1 (ja) 2016-03-08 2016-03-08 包装袋および包装袋の使用方法
JPJP-P-2016-044203 2016-03-08
PCT/JP2017/005326 WO2017154485A1 (ja) 2016-03-08 2017-02-14 包装袋および包装袋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785A true KR20180115785A (ko) 2018-10-23
KR102077955B1 KR102077955B1 (ko) 2020-02-14

Family

ID=5871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500A KR102077955B1 (ko) 2016-03-08 2017-02-14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86878B2 (ko)
JP (1) JP6128623B1 (ko)
KR (1) KR102077955B1 (ko)
WO (1) WO2017154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7529A4 (en) * 2017-08-31 2021-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BAG
JP7281889B2 (ja) * 2018-10-22 2023-05-26 大成ラミック株式会社 易剥離部の開封表示付包装袋および易剥離部の開封確認方法
JP2021004050A (ja) * 2019-06-25 2021-01-14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注ぎ口付き詰め替えパウ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423A (en) 1980-08-01 1982-02-19 Honda Motor Co Ltd Press device
US4890744A (en) * 1988-10-28 1990-01-02 W. A. Lane, Inc. Easy open product pouch
JPH03124581A (ja) * 1989-10-02 1991-05-2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マイクロ波食品パッケージ
US5131760A (en) * 1990-07-03 1992-07-21 Farmer Bert E Packaging device
JPH07132944A (ja) 1993-11-04 1995-05-23 Taisei Ramick Kk 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27796A (ja) * 1998-02-19 1999-08-24 Ueno Hiroshi 容易開口性パウチ
JP2013169991A (ja) * 2012-02-21 2013-09-02 Taisei Lamick Co Ltd 合掌貼り包装袋およびそれの使用方法
WO2016002817A1 (ja) * 2014-07-01 2016-01-07 株式会社 Mizkan Holdings 包装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4251E (en) * 1956-12-04 Dispensing containers for liquids
US5018646A (en) * 1988-11-23 1991-05-28 S. C. Johnson & Son, Inc. Squeezable fluid container
US4952068A (en) * 1989-03-21 1990-08-28 Flint Theodore R Static mixing device and container
US5241150A (en) 1989-10-02 1993-08-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wave food package
AU7977291A (en) * 1990-06-01 1991-12-31 O'reilly, Daniel Joseph Single use dispensing sachets and method of and means for manufacture of same
US5195658A (en) * 1991-03-12 1993-03-23 Toyo Bussan Kabushiki Kaisha Disposable container
CH696968A5 (fr) * 2003-04-01 2008-02-29 Pepup S A Récipient souple pour liquide.
USD505861S1 (en) * 2003-03-11 2005-06-07 Pakerman S.A. Packagings
US7004354B2 (en) * 2003-06-24 2006-02-28 William Anthony Harper Hand sanitizing packet and methods
HN2008000854A (es) * 2008-06-04 2008-10-01 Advanced Total Marketing System Inc Bolsa con valvula reguladora de flujo incorporada
DK178745B1 (en) * 2014-08-08 2016-12-19 Kontorpark Aps I Likvidation Container for fluids
US10081486B2 (en) * 2014-08-19 2018-09-2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frangible seal for hydrogenated wat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423A (en) 1980-08-01 1982-02-19 Honda Motor Co Ltd Press device
US4890744A (en) * 1988-10-28 1990-01-02 W. A. Lane, Inc. Easy open product pouch
JPH03124581A (ja) * 1989-10-02 1991-05-2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マイクロ波食品パッケージ
US5131760A (en) * 1990-07-03 1992-07-21 Farmer Bert E Packaging device
JPH07132944A (ja) 1993-11-04 1995-05-23 Taisei Ramick Kk 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227796A (ja) * 1998-02-19 1999-08-24 Ueno Hiroshi 容易開口性パウチ
JP2013169991A (ja) * 2012-02-21 2013-09-02 Taisei Lamick Co Ltd 合掌貼り包装袋およびそれの使用方法
WO2016002817A1 (ja) * 2014-07-01 2016-01-07 株式会社 Mizkan Holdings 包装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955B1 (ko) 2020-02-14
JP6128623B1 (ja) 2017-05-17
JP2017159920A (ja) 2017-09-14
US20190001582A1 (en) 2019-01-03
WO2017154485A1 (ja) 2017-09-14
US10486878B2 (en)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8934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композиций, имеющий выливной канал с когезивным закрывающим клапаном и запирающим пузырьком (варианты)
KR102449576B1 (ko) 안전밸브를 구비한 파우치
US8408793B2 (en) Flexible container for pourable product
US5761884A (en) Method of making a filled container
KR20180115785A (ko)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의 사용방법
CZ20002528A3 (cs) Sáček
JP6916621B2 (ja) 加熱用パウチ
JP6404452B2 (ja) 分離可能な封着特徴を有するパッケージ及び製造方法
JP2014513652A (ja) 再閉鎖可能な柔軟性フィルム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製造方法
CN1478037A (zh) 可重复闭合袋及其填充和使用
KR20100080424A (ko) 다중 개방 구성을 구비한 가요성 포장재
KR101692596B1 (ko) 합장 첩합 포장백 및 그것의 사용 방법
US20140061235A1 (en) Package for paste-like products
US7314439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ouch-type form of packaging
JP2015516924A (ja) 再封止可能な容器
US20160059998A1 (en) Package for paste-like products
JP6670588B2 (ja) 注出口付き包装袋
EP1990290A1 (en) Dispensing packaging
JP2017178333A (ja) フィルム状注出ノズルの注出通路構造
KR102492048B1 (ko) 화장품을 함유하는 일회용 가변형 캡슐
JP2004338760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6878026B2 (ja) 包装袋
US20230124766A1 (en) Drinks pouch
JP6937067B1 (ja) 包装用容器
JP7197877B2 (ja) 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