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181A -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181A
KR20180115181A KR1020170047580A KR20170047580A KR20180115181A KR 20180115181 A KR20180115181 A KR 20180115181A KR 1020170047580 A KR1020170047580 A KR 1020170047580A KR 20170047580 A KR20170047580 A KR 20170047580A KR 20180115181 A KR20180115181 A KR 2018011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rolling
connection groove
vehicle body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398B1 (ko
Inventor
김동은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산업
주식회사 명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산업, 주식회사 명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to KR102017004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39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4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allowing an addition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는, 차체의 측부 상하단에 형성되며, 서로에 대한 이격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두 개의 연결홈라인; 및 상기 도어본체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각각이 서로 대응되는 상기 연결홈라인에 연결되며, 가변 이격거리를 가진 두 개의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조인트구조를 가진 두 개의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로서, 차체에 슬라이딩 도어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가진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 중에서 뒷문을 회전이 아닌 옆으로 밀어서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자동차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1)의 측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차체(1)에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는 차체(1)의 측부에서 상단과 하단 각각에 전후측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홈라인(10)과, 도어본체(2)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라인(10)에 체결되어 연결홈라인(10)을 따라 이동되는 연결유닛(2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닛(20)은 연결홈라인(10)에 인입되어 연결홈라인(1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21), 상기 롤러(21)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22), 및 상기 롤러(21)와 베어링(22)으로 연결되며 조인트구조를 전혀 가지지 않는 링크부재(23)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23)가 비조인트구조를 취함으로써, 자동차 본체의 측부 상단을 따라 형성된 제1 연결홈라인(10)과, 하단을 따라 형성된 제2 연결홈라인(10)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연결홈라인(10)과 제2 연결홈라인(10)은 서로에 대한 이격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전혀 변하지 않는 구조를 취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자동차는 제2 연결홈라인(10)이 형성된 하단이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구조를 이루는 경우, 제1 연결홈라인(10)이 형성된 상단도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는 상부가 직선형 구조만 취하게 됨으로써, 유체학적 측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구조인 굴곡형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또한 설계자유도 측면에 있어서도 제한적이며, 아울러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도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종래의 자동차는 차량의 외관이 박스카 형상만을 취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65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체의 상부와 하부가 비직선형인 굴곡형 구조도 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는, 차체의 측부 상하단에 형성되며, 서로에 대한 이격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두 개의 연결홈라인; 및 상기 도어본체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각각이 서로 대응되는 상기 연결홈라인에 연결되며, 가변 이격거리를 가진 두 개의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조인트구조를 가진 두 개의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인트구조를 가진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연결홈라인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롤링부; 및 상기 롤링부와 도어본체를 연결하되 상기 롤링부와 도어본체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가변시에도 연결을 유지시키는 링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링부는 구형이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롤링부가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롤링하면서 이동되도록, 상기 롤링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된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회전되게 결합된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를 기준으로 한 제2 링크부재의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본체에 장착된 제3 링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연결홈라인의 내면에 점접촉하면서 롤링하며,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외구; 상기 외구의 수용홈 내에서 배치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연결된 내구; 및 상기 내구가 상기 외구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외구와 내구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는 유체베어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는, 가변 이격거리를 가진 두 개의 연결홈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조인트구조를 가진 두 개의 연결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연결홈라인이 형성되는 부분인 차체의 측부 상하단이 차체의 길이방향에 따른 형상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음에 따라, 유체역학적인 측면, 설계자유도 측면, 및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 어떠한 구조도 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종래에는 연결홈라인이 형성되는 차체의 측부 상하단에 대한 구조, 즉 차체의 측부 상하단과 이어진 차체의 상면 및 하면구조가,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자동차에서는 직선형 구조만 취함에 따라 박스형 자동차만을 생산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에 의해, 차체의 상면 및 하면구조가 비직선형인 굴곡형 구조도 취할 수 있음에 따라, 유체역학적인 측면에 있어서 적정한 구조를 선택할 수 있고, 설계자유도 측면에 있어서도 필요한 구성부품을 원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도 심미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가진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가진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가진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는 연결홈라인(100)과, 연결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홈라인(100)은 차체(11)의 측부 상하단 각각에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된다.
이때,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은 서로 이격된 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구조를 취한다.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1)의 하부가 차체(11)의 길이방향(차체(11)의 전후방향)으로 직선형 구조를 이루고, 상부가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곡선형 구조를 이루는 경우,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 중 차체(11)의 측부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1)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구조를 이루고, 차체(11)의 측부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2)은 길이방향을 따라 곡선형 구조를 이룸에 따라,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은 서로 평행하지 않고 이격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물론,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구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된 일례와 반대로 차체(11)의 하부가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곡선형 구조를 이루고, 상부가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구조를 이루는 경우,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 중 차체(11)의 측부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1)은 길이방향을 따라 곡선형 구조를 이루고, 차체(11)의 측부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2)은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구조를 이룬다.
나아가,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에 있어서 서로 이격된 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구조는, 차체(11)의 하부와 상부 모두가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곡선형 구조를 이루는 경우도 포함하며, 차체(11)의 하부와 상부 모두가 직선형 구조를 이루더라도 서로 평행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참고로, 차체(11)의 측부에서 하단 부분은 차체(11)의 하부 측면에 해당되고, 상단 부분은 차체(11)의 상부 측면에 해당됨에 따라, 차체(11)의 측부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1)의 길이방향 라인형상은 차체(11)의 하부 형상으로 결정되고, 차체(11)의 측부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2)의 길이방향 라인형상은 차체(11)의 상부 형상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라인(100)은 후술되는 롤링부(210)의 외구(211)와 대응되게, 종단면적이 외구(211)의 지름보다 약간 큰 원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굴절된 부분에서도 롤링부(210)가 원활하게 롤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유닛(200)은 도어본체(12)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각각이 서로 대응되는 연결홈라인(100)에 체결된다. 즉, 상기 연결유닛(200)은 도어본체(12)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형성되는데, 도어본체(12)의 하단에 형성된 연결유닛(201)은 차체(11)의 측부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1)에 연결되고, 도어본체(12)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유닛(202)은 차체(11)의 측부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2)에 연결된다.
즉, 이러한 연결유닛(200)은 두 개가 도어본체(12)에 형성되어 차체(11)의 연결홈라인(100)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주요 구성적 특징으로서 가변 이격거리를 가진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조인트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인트구조를 가진 상기 연결유닛(200)은 롤링부(210)와, 링크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링부(210)는 연결홈라인(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홈라인(100)을 따라 이동한다.
아울러, 상기 링크부(220)는 롤링부(210)와 도어본체(12)를 연결하되 롤링부(210)와 도어본체(12)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가변시에도 연결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220)는 제1 링크부재(221), 제2 링크부재(222), 및 제3 링크부재(2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링크부재(221)는 롤링부(210)가 연결홈라인(100)을 따라 롤링하면서 이동되도록, 롤링부(210)재가 회전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부재(222)는 제1 링크부재(221)에 회전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제3 링크부재(223)는 도어본체(12)에 장착되며, 제1 링크부재(221)를 기준으로 한 제2 링크부재(222)의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게 제2 링크부재(222)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3 링크부재(223)는 제2 링크부재(222)에 회전되게 결합되는데, 회전되는 방향이 제2 링크부재(222)가 제1 링크부재(221)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이때, 일례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2 링크부재(222)가 제1 링크부재(221)를 기준으로 한 회전방향은 차체(도 3의 11)의 상하방향이고 제3 링크부재(223)가 제2 링크부재(222)를 기준으로 한 회전방향으로 차체(11)의 전후방향이며, 다른 일례로서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제2 링크부재(222)가 제1 링크부재(221)를 기준으로 한 회전방향은 차체(도 3의 11)의 전후방향이고 제3 링크부재(223)가 제2 링크부재(222)를 기준으로 한 회전방향으로 차체(11)의 상하방향이다.
나아가, 상기 링크부(220)는 일례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2)가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제1 링크부재(221)와 제2 링크부재(222)의 회전연결부위, 제2 링크부재(222)와 제3 링크부재(223)의 회전연결부위가 서로 일정 정도의 길이만큼 떨어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220)는 다른 일례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2)가 상술된 일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제1 링크부재(221)와 제2 링크부재(222)의 회전연결부위, 제2 링크부재(222)와 제3 링크부재(223)의 회전연결부위가 굉장히 가까운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220)는 유니버셜조인트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링부(210)는 구형인 형상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링부(210)는 외구(211), 내구(212), 및 베어링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구(211)는 연결홈라인(100)의 내면에 점접촉하면서 롤링하며, 내부에 수용홈(2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외구(211)는 연결홈라인(100) 내에서 점접촉되면서 롤링됨에 따라, 종래의 롤러(도 2의 21)의 선접촉보다는 롤링이 원활하면서도 소음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구(212)는 외구(211)의 수용홈(211a) 내에서 배치되며, 제1 링크부재(221)와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수용홈(211a)의 개구부는 직경이 내구의 지름보다 작으며, 아울러 제1 링크부재의 수직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어링부재는 내구(212)가 외구(211)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외구(211)와 내구(212)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는 유체베어링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구(212)가 외구(211) 내에서 부드러우면서도 소음이 거의 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술된 바와 같이 롤링부(210)와 링크부(220)를 가진 연결유닛(200)에 있어서, 차체(11)에 대한 도어본체(12)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구조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연결홈라인(100)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상태가 변하는 경우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체(11)의 측부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1)과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2)이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줄어지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라인(100)을 기준으로 도어본체(도 3의 12)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유닛(200)에서 각 구성들의 위치구조는, 도어본체(12)가 차체(11)의 측부에 대해 평행한 배치구조, 즉 도어본체(12)가 차체(11) 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구조를 유지하도록,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2) 및 제3 링크부재(223)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링크부재(221)와 제2 링크부재(222)의 연결각이 변화되면서 롤링부(210)의 외구(211)도 연결홈라인(10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부재(223)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링크부재(222)와 제3 링크부재(223)의 연결각이 변화되면서 롤링부(210)의 외구(211)가 연결홈라인(10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나아가, 이와 반대로 차체(11)의 측부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1)과 상단에 형성된 연결홈라인(102)이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라인(100)을 기준으로 도어본체(도 3의 12)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유닛(200)에서 각 구성들의 위치구조는, 도어본체(12)가 차체(11)의 측부에 대해 평행한 배치구조, 즉 도어본체(12)가 차체(11) 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구조를 유지하도록,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2) 및 제3 링크부재(223)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링크부재(221)와 제2 링크부재(222)의 연결각이 변화되면서 롤링부(210)의 외구(211)도 연결홈라인(10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링크부재(223)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링크부재(222)와 제3 링크부재(223)의 연결각이 변화되면서 롤링부(210)의 외구(211)가 연결홈라인(10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제3 링크부재(223)는 제2 링크부재(222)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차체(도 3의 11)의 길이방향(차체(11)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례로서 제2 링크부재(222)는 제1 링크부재(22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차체(도 3의 1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롤링부(210)의 외구(211)가 연결홈라인(100)에서 차체(도 3의 1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나아가 롤링부(210)의 내구(212)도 외구(211) 내부의 수용홈(211a)에서 차체(1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본체(12)가 개방 시 연결유닛(200)이 연결홈라인(100)의 끝까지 이동된 후에도 도어본체(12)가 회전되어 차체(11)의 후방 측으로 도어본체(12)를 일정 정도 기울일 수 있어서, 자동차 내부의 시트(특히 후열시트)를 향한 통로의 면적을 일정 정도 더 확보할 수 있음에 따라, 사람의 출입이 더욱더 편리하면서도 원활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는 가변 이격거리를 가진 두 개의 연결홈라인(10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조인트구조를 가진 두 개의 연결유닛(200)이 구성됨으로써, 연결홈라인(100)이 형성되는 부분인 차체(11)의 측부 상하단이 차체(11)의 길이방향에 따른 형상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음에 따라, 유체역학적인 측면, 설계자유도 측면, 및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 어떠한 구조도 취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연결홈라인(100)이 형성되는 차체(11)의 측부 상하단에 대한 구조, 즉 차체(11)의 측부 상하단과 이어진 차체(11)의 상면 및 하면구조가,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 자동차에서는 직선형 구조만 취함에 따라 박스형 자동차만을 생산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에 의해, 차체(11)의 상면 및 하면구조가 비직선형인 굴곡형 구조도 취할 수 있음에 따라, 유체역학적인 측면에 있어서 적정한 구조를 선택할 수 있고, 설계자유도 측면에 있어서도 필요한 구성부품을 원하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도 심미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 차체 12 : 도어본체
100 : 연결홈라인 200 : 연결유닛
210 : 롤링부 211 : 외구
211a : 개구부 212 : 내구
220 : 링크부 221 : 제1 링크부재
222 : 제2 링크부재 223 : 제3 링크부재

Claims (5)

  1. 차체의 측부 상하단에 형성되며, 서로에 대한 이격거리가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되는 두 개의 연결홈라인; 및
    상기 도어본체의 상하단에 형성되어 각각이 서로 대응되는 상기 연결홈라인에 연결되며, 가변 이격거리를 가진 두 개의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조인트구조를 가진 두 개의 연결유닛;
    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구조를 가진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연결홈라인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롤링부; 및
    상기 롤링부와 도어본체를 연결하되 상기 롤링부와 도어본체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가변시에도 연결을 유지시키는 링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구형이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롤링부가 상기 연결홈라인을 따라 롤링하면서 이동되도록, 상기 롤링부재가 회전되게 연결된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회전되게 결합된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를 기준으로 한 제2 링크부재의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본체에 장착된 제3 링크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연결홈라인의 내면에 점접촉하면서 롤링하며,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외구;
    상기 외구의 수용홈 내에서 배치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연결된 내구; 및
    상기 내구가 상기 외구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외구와 내구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는 유체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KR1020170047580A 2017-04-12 2017-04-12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KR10197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80A KR101977398B1 (ko) 2017-04-12 2017-04-12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80A KR101977398B1 (ko) 2017-04-12 2017-04-12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81A true KR20180115181A (ko) 2018-10-22
KR101977398B1 KR101977398B1 (ko) 2019-05-13

Family

ID=6410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80A KR101977398B1 (ko) 2017-04-12 2017-04-12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266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아성기업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410U (ko) * 1987-01-30 1988-08-02
JPH10315775A (ja) * 1997-05-16 1998-12-02 Central Motor Co Ltd スライドドアの開閉構造
KR200254419Y1 (ko) * 1999-02-11 2001-11-29 이계안 버스의 포울딩 도어의 실린더 마운팅 구조
JP2003214015A (ja) * 2002-01-16 2003-07-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20140036570A (ko) 2012-09-17 2014-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와 스윙 도어의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410U (ko) * 1987-01-30 1988-08-02
JPH10315775A (ja) * 1997-05-16 1998-12-02 Central Motor Co Ltd スライドドアの開閉構造
KR200254419Y1 (ko) * 1999-02-11 2001-11-29 이계안 버스의 포울딩 도어의 실린더 마운팅 구조
JP2003214015A (ja) * 2002-01-16 2003-07-3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KR20140036570A (ko) 2012-09-17 2014-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와 스윙 도어의 연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266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아성기업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398B1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2872A (en) Sliding mechanism for vehicle sliding door
US7712755B2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for vehicle step
KR102644311B1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작동 장치
CN104071206B (zh) 用于车辆的转向柱的伸缩装置
US9421914B2 (en) Flexible single piece sliding door
JP2007523278A (ja) ヒンジ装置
US20090038422A1 (en) Device for adjusting angle of monitor for vehicle
CN109383342A (zh) 汽车的扶手箱高度调节装置
CN105313649A (zh) 用于机动车辆的后窗装置的遮阳设备
US9216631B2 (en) Roof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230182550A1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ITMI940879A1 (it) Giunto omocinetico fisso
KR101977398B1 (ko)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FR2893544B1 (fr) Vehicule comprenant une porte laterale coulissante montee sur le vehicule par l'intermediaire d'un bras de dehanchement
CN114233128A (zh) 转动连接机构及汽车
US20090008526A1 (en) Monitor for vehicles
US6189399B1 (en) Adjustment device for motor vehicle seats
US7017303B2 (en) Vehicle door window glass regulator assembly using a stop bar
CN217205946U (zh) 转动连接机构及汽车
CN109941072B (zh) 滑动门的支承装置
KR101746447B1 (ko) 회전식 도어체커 구조
CN205395723U (zh) 用于车辆的遮阳板组件
JP2022522293A (ja) 薄型バイザ
JP201613006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の支持構造
EP139253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mecanique des elements de l'equipement de ventilation d'un ve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