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266A -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 Google Patents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266A
KR20220138266A KR1020210044219A KR20210044219A KR20220138266A KR 20220138266 A KR20220138266 A KR 20220138266A KR 1020210044219 A KR1020210044219 A KR 1020210044219A KR 20210044219 A KR20210044219 A KR 20210044219A KR 20220138266 A KR20220138266 A KR 2022013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liding door
van
couple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072B1 (ko
Inventor
남궁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to KR102021004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0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8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having 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의 구성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구동모터(20);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 상기 동력전달부(5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테이션 기어부(40);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로켓(159); 상기 슬라이딩 도어(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켓(159)에 결합된 체인(60);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상기 구동모터(20)의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 상기 인풋 링크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된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를 매개로 상기 스프로켓(159)에 연결된 트랜스미션 링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수동 개페가 필요한 경우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을 클러치 제어 유닛에 의해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어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를 손쉽게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Vehicle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riv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수리가 필요할 때에 슬라이딩 도어 장착 부분과 슬라이딩 도어 전체를 뜯어내고 수리 등을 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는 보다 많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차실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차실 내외로 용이하게 출입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에 상하로 부착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되면서 승합차의 사이드 패널에 형성된 탑승구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승합차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착탈 가능하게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승합차 슬라이딩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록킹장치의 슬라이딩 도어 래치와 래치 걸립편의 맞걸림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레버를 당겨주면 록킹장치의 슬라이딩 도어 래치와 래치 걸림편의 맞걸림이 해제되므로,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줄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를 열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에 구비된 이너 레버 또는 아웃터 레버를 당겨주면 록킹장치의 슬라이딩 도어 래치와 래치 걸림편의 맞걸림이 해제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슬라이딩 도어를 수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자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를 장착한 승합차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개폐용 승합차에는 자동으로 슬라이딩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이 승합차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자동록킹장치에는 구동모터 등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나 슬라이딩 도어 구동부(상기한 슬라이딩 도어 자동 개폐장치 등)의 수리가 필요할 때에 슬라이딩 도어 장착 부분과 슬라이딩 도어 전체를 뜯어내고 수리 등을 해야 하므로, 수리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부분과 슬라이딩 도어 장착 지지 부분 및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개폐 구동부를 분리해내는데 있어서 쉽지가 않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수리된 슬라이딩 도어를 다시 장착할 때에도 작업이 쉽지 않고 시간 소요도 많이 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54300호(2012년06월0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380349호(2003년04월02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수리나 유지 관리 등이 필요할 때에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 장착 지지부분(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을 위한 가이드 레일과 차체 바디 등) 전체를 뜯어낼 필요없이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작동을 위한 주요 부분만을 분리하면 되도록 설계되고,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수동 개페가 필요한 경우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테이션 기어부;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로켓;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켓에 결합된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상기 구동모터의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 상기 인풋 링크에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된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에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를 매개로 상기 스프로켓에 연결된 트랜스미션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와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를 연결하는 상기 조인트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는,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에 구비된 웜; 상기 웜에 치합되고 연결 서포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웜기어의 중심부에는 스프로켓이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이 구비되고,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구비된 상기 체인은 상기 스프로켓과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 스프로켓을 경유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인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단부에는 텐션 조절부가 결합되고, 상기 텐션 조절부는 상기 승합차의 차제 바디에 고정된 텐션 브라켓과, 상기 텐션 브라켓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체인의 일단부에 연결된 텐션 조절볼트와, 상기 텐션 조절볼트에 결합된 텐션 조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텐션 조절너트를 상기 텐션 조절볼트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체인이 당겨지거나 느슨해져서 상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 조절볼트의 외주면에 텐션 스프링이 결합되어 상기 텐션 브라켓에 배치되고, 상기 텐션 조절너트를 상기 텐션 브라켓의 바깥쪽에서 상기 텐션 조절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 조절너트를 상기 텐션 조절볼트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체인이 당겨지거나 느슨해져서 상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인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는 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클러치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 사이의 회전력 전달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 클러치;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에 연결된 종동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를 결합시켜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시에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클러치 수동 작동시에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 제어유닛은,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가 상기 종동 클러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에 결합된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 클러치가 지지된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의 일부를 밀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가 상기 종동 클러치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에 상기 종동 클러치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은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에는 모터 장착 패널부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에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가 상기 종동 클러치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은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에 구비된 상기 클러치 결합 해제 푸셔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를 밀어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해제 푸셔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를 밀어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클러치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클러치핀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 클러치에는 복수개의 상기 클러치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클러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의 복수개의 상기 클러치핀이 상기 종동 클러치의 복수개의 상기 클러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에 구비된 샤프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과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를 밀어주지 않은 영역인 클러치 릴리스 영역으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클러치 릴리스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에는 핸들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을 파지하여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를 돌려서 수동으로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가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구동 클러치와 상기 종동 클러치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요부의 하나인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가 트랜스미션 링크에 연결되어 있어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부분인 구동모터나 로테이션 인풋 링크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 부분이나 트랜스미션 링크 등에 장애가 생겨서 수리나 교체 등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차체까지 전부 뜯어낼 필요가 없이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부분만 뜯어내서 장애가 있는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되므로, 수리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부분과 슬라이딩 도어 장착 지지 부분 및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개폐 구동부를 분리해내야 하는 기존에 비하여 슬라이딩 도어 부분의 수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수리가 끝난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작동부(상기 구동모터, 로테이션 인풋 링크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 부분 등)을 다시 승합차에 장착하는 작업도 손쉬우며 시간도 많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수동 개페가 필요한 경우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을 클러치 제어 유닛에 의해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어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를 손쉽게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스프로켓과 체인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구비된 체인의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안쪽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슬라이딩 도어 레일과 체인에 스프로켓이 결합된 상태를 승합차의 외부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인 텐션 조절부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구비된 체인이 결합된 상태를 승합차의 외부에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구동 클러치와 종동 클러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스프로켓과 체인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구비된 체인의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안쪽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주요부인 슬라이딩 도어 레일과 체인에 스프로켓이 결합된 상태를 승합차의 외부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부인 텐션 조절부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에 구비된 체인이 결합된 상태를 승합차의 외부에서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0)와, 이러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와, 상기 동력전달부(5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테이션 기어부(40)와,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인풋 스프로켓(159IS)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되며 인풋 스프로켓(159IS)에 결합된 체인(60)을 포함한다. 이때, 동력 전달부는 상기 동력전달부(50)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를 포함한다.
상기 승합차에는 슬라이딩 개폐식 슬라이딩 도어(2)가 장착되고,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는 구동모터(20)가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20)는 마운팅 브라켓(81)에 장착된다.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구동모터(20)가 마운팅 브라켓(8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마운팅 브라켓(81)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0)는 전술한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81)에 장착되는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구비된 구비된 링크 서포트편(28SP)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 서포트편(28SP)에 형성된 링크 결합홀에 베어링을 매개로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전달받아서,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회전한다. 이때,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커플러와 같은 연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고, 구동모터(20)에 감속기어가 구비되고, 감속기어를 매개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감속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감속 샤프트에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감속기의 감속 샤프트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클러치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클러치를 매개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클러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연결되고,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는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되고 동시에 로테이션 기어부(40)를 매개로 인풋 스프로켓(159IS)에 연결된다. 로테이션 기어부(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클러치는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클러치(72)는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커플러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구동 클러치(72)고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된다.
상기 종동 클러치(74)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가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체인(6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다. 종동 클러치(74)가 체인(6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종동 클러치(74)가 체인(6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66)와 로테이션 기어부(40)와 인풋 스프로켓(159IS)을 통해서 체인(60)에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종동 클러치(74)가 동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조인트(58)에 의해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에 연결되고,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조인트(58)에 의해 트랜스미션 링크(56)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를 로테이선 기어부에 의해 인풋 스프로켓(159IS)에 연결되고, 인풋 스프로켓(159IS)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체인(60)에 결합된다. 따라서, 종동 클러치(74)가 체인(6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로테이션 기어부(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웜기어(44)의 중심부에는 인풋 스프로켓(159IS)이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구비되고,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상기 체인(60)은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을 경유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프로켓(159)는 인풋 스프로켓(159IS)과 가이드 스프로켓(159G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스프로켓(159)은 웜기어(44)의 중심부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제어유닛(80)은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결합시켜서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시에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클러치 수동 작동시에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을 헤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제어유닛(80)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81)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82)에 장착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과,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지지됨과 동시에 구동모터(20)가 장착되어 구동 클러치(72)가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 장착된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와,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 구비되어 구동모터(20)와 구동 클러치(72)가 지지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일부를 밀어서 구동 클러치(72)가 종동 클러치(74)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다. 마운팅 브라켓(81)은 판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마운팅 브라켓(81)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슬라이딩 도어(2)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장착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는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이 돌출되고,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상기 종동 클러치(7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종동 클러치(74)는 마운팅 브라켓(81)에 지지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동 클러치(74)의 종동축이 종동 클러지 장착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어링과 같은 회전 지지수단을 매개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종동 클러치(74)의 종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종동 클러치(7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마운팅 브라켓(81)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이 마운팅 브라켓(81)에 지지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이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지지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 구동모터(2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구동 클러치(72)가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 클러치(72)의 전면과 종동 클러치(74)의 전면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는 모터 장착 패널부(84)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에 구동모터(2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스프링판으로 구성된다.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 구비된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서 벌어지도록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이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이 탄성 복원력을 보유하게 되고,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 구비된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서 벌어지도록 밀어주는 힘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모터 장착 패널부(84)가 다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복귀한다.
상기 구동 클러치(72)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 클러치(74)에는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클러치홈(75)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의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상기 종동 클러치(74)의 복수개의 클러치홈(75)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가 장착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는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이 결합되고,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는 마운팅 브라켓(81)의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구비된 샤프트 브라켓(82S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가 마운팅 브라켓(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은 승합차의 슬라이딩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2)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과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 구비된 모터 장착 패널부(84)도 마운팅 브라켓(81)에서 앞으로 돌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는 마운팅 브라켓(81)의 앞에서 돌출된다.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 구비된 모터 장착 패널부(84)의 전단부와 후단부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옆쪽에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는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구비된다.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의 외주면에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회전시킴에 따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구동모터(20)와 구동 클러치(72)가 지지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일부를 밀어서 구동 클러치(72)가 종동 클러치(74)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일부를 밀어준다는 것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 구비된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준다는 의미이다.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종동 클러치(7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는 모터 장착 패널부(84)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에 구동모터(2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 구비된 클러치 결합 해제 푸셔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해제 푸셔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준 상태가 해제되면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클러치(72)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 클러치(74)에는 구동 클러치(72)에 구비된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클러치홈(75)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의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상기 종동 클러치(74)의 복수개의 클러치홈(75)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는 마운팅 브라켓(81)의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구비된 샤프트 브라켓(82S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82SPR)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82SPR)은 샤프트 브라켓(82SB)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주지 않은 영역인 클러치 릴리스 영역으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82SPR)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클러치 릴리스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는 핸들(85HD)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85HD)을 파지하여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수동으로 돌려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로 밀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로 누르는 힘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핸들(85HD)을 앞에서 본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에 사용자가 핸들(85HD)을 손으로 잡고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서 구동모터(20)와 구동 클러치(72)를 종동 클러치(74)에서 밀어주어 구동 클러치(72)에 구비된 클러치핀(73)이 종동 클러치(74)에 구비된 클러치홈(75)에서 빠지게 되면서 수동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핸들(85HD)을 손으로 잡고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에서 옆으로 빠지면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므로,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가 밀려나있던 상태에서 원위치로 전진하여 복귀하면서 구동 클러치(72)에 구비된 클러치핀(73)이 종동 클러치(74)에 구비된 클러치홈(75)에 삽입되므로, 수동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를 안쪽에서 본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수동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서 구동모터(20)와 구동 클러치(72)를 종동 클러치(74)에서 밀어주어 구동 클러치(72)에 구비된 클러치핀(73)이 종동 클러치(74)에 구비된 클러치홈(75)에서 빠지게 되면서 수동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에서 옆으로 빠지면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므로,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가 밀려나있던 상태에서 원위치로 전진하여 복귀하면서 구동 클러치(72)에 구비된 클러치핀(73)이 종동 클러치(74)에 구비된 클러치홈(75)에 삽입되므로, 수동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에는 경사진 릴리스 가이편이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는 상기 릴리스 가이드면에 접촉되는 릴리스 푸싱 경사면이 구비되어,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줄 때에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의 릴리스 푸싱 경사면이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릴리스 가이드편을 타고 슬립되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보다 원활하게 밀어주므로, 상기 구동 클러치(72)에 구비된 클러치핀(73)이 종동 클러치(74)에 구비된 클러치홈(75)에서 보다 원활하고 확실하게 빠지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을 보다 확실하고 쉽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동력 연결부재 및 트랜스 미션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종동 클러치(74)에 연결된다. 커플러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의 일단부가 종동 클러치(74)에 연결된다. 종동 클러치(74)의 종동축에 동축적으로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연결된다. 구동모터(20)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되어 구동모터(20)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되었을 때에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클러치를 매개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클러치에 의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은 상기한 클러치 결합 제어유닛에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 제어유닛(80)에 의해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이 해제되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전달되지 않고, 클러치 결합 제어유닛에 의해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되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전달되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는 조인트(58)를 매개로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조인트(58)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를 연결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구비된 다른 링크 서포트편(미도시)에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고,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조인트(58)에 의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연결된다. 상기한 다른 링크 서포트편에 형성된 링크 결합홀에 베어링을 매개로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의 외주면이 결합되어, 상기 링크 서포편을 기준으로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의 선단부와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의 기단부가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마운팅 브라켓(81)에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의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에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이하 편의상 슬라이딩 도어(2)라 칭함)에 구비된 체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다.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구비된 볼트를 마운팅 브라켓(81)의 체결구 결합홀에 삽입한 다음,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마운팅 브라켓(81)의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마운팅 브라켓(81)에는 구동모터(20)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동력연결부재인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0)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가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는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장착된다.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또 다른 링크 서포트편(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한 또 다른 링크 서포트편에는 링크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의 외주면이 베어링을 매개로 상기한 또 다른 링크 서포트편의 링크 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트랜스미션 링크(56)가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구비된 상기한 또 다른 링크 서포트편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는 승합차에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도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고,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조인트(58)에 의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평 방향은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다.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는 경사진 방향이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트랜스미션 링크(56)에 각각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도 조인트(58)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트(58)도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구비된다. 인풋 스프로켓(159IS)의 중심부에 구비된 회전축이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의 중심부에 구비된 회전축도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결합되어,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구조를 취한게 된다.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에 결합된 트랜스미션 링크(56)는 로테이션 기어부(40)를 매개로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에 연결된다.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는 웜(42)와 웜기어(44)를 포함한다.
상기 웜(42)는 트랜스미션 링크(56)에 구비된다. 트랜스미션 링크(56)의 선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에 웜(42)가 구비된다.
상기 웜기어(44)는 웜(42)에 치합된다.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웜기어(4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웜기어(44)의 중심부에 구비된 기어 샤프트가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결합되어, 상기 웜기어(44)가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웜(42)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길이 방향 및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웜기어(44)는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웜(42)어 웜기어(44)가 치합되어 있다. 상기 웜(42)가 구비된 트랜스미션 링크(5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구비된 웜기어(44)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웜기어(44)의 중심부에는 인풋 스프로켓(159IS)이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구비되고,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에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체인(60)이 결합된다. 상기 체인(60)은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체인(60)이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을 경유하여 결합된다.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 구비되어 체인(60)이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을 경유하여 결합된다.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는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슬라이딩 레일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레일부는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내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구비된 상부 슬라이딩 레일편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롤러와 하부 슬라이딩 가이드롤러가 구비되어, 상부 슬라이딩 가이드롤러와 하부 슬라이딩 가이드롤러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의 내부에 들어가서 각각 상부 슬라이딩 레일편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편의 안쪽면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과 웜(42)와 웜기어(44)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을 매개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웜기어(44) 및 웜(42) 및 트랜스미션 링크(56)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웜(42)와 웜기어(44)로 이루어진 로테이션 기어부(40)는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구비된 구조인데,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체인(60)이 경유하여 지나가는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더 구비된다.
상기 체인(6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단부에는 텐션 조절부(190)가 결합되고, 상기 텐션 조절부(190)는 승합차의 차제 바디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도어 레일(4) 내부에 배치된 텐션 브라켓(192)과, 상기 텐션 브라켓(192)에 결합되고 동시에 체인(60)의 일단부에 연결된 텐션 조절볼트(194)와,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에 결합된 텐션 조절너트(196)를 포함한다.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텐션 조절볼트(194)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체인(60)이 당겨지거나 느슨해져서 체인(6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텐션 조절볼트(194)가 텐션 브라켓(192)에서 당겨져서 체인(60)이 당겨지고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텐션 조절볼트(194)가 텐션 브라켓(192)에서 당겨지는 힘이 줄어들어서 체인(60)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상기 체인(6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텐션 브라켓(192)에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텐션 지지편(192FTS)과 제2텐션 지지편(192STS)이 구비되고, 상기 텐션 조절볼트(34)는 제1텐션 지지편(192FTS)과 제2텐션 지지편(192STS)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에 결합된 텐션 조절너트(196)는 제2텐션 지지편(192STS)의 바깥면에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의 외주면에는 텐션 보조 스프링(94TSS)이 결합되고, 상기 텐션 보조 스프링(94TSS)은 텐션 브라켓(192)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텐션 지지편(192FTS)과 제2텐션 지지편(192STS)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텐션 조절볼트(194)가 텐션 브라켓(192)에서 당겨져서 체인(60)이 당겨져서 체인(60)의 장력이 커지고,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텐션 조절볼트(194)가 텐션 브라켓(192)에서 전진하여 체인(60)이 느슨해지므로 체인(60)의 장력이 작아진다. 한편, 상기 텐션 보조 스프링(94TSS)은 체인(60)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체인(6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인(60)의 한쪽 단부는 승합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텐션 조절부(190)는 체인(60)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승합차의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텐션 브라켓(192)이 승합차의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텐션 조절부(190)가 체인(60)에 연결됨과 동시에 승합차의 차체에 지지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구동모터(20)의 회전에 따라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을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2)가 슬라이딩되면서 승합차의 탑승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가 탑승구를 닫은 상태에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와 웜(42)과 웜기어(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체인(6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모터(20)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및 상기 구동모터(20)와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와 동력전달부(50) 및 클러치 제어유닛(80) 등이 장착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를 슬라이딩 도어 레일(4)을 따라 슬라이딩시켜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가 탑승구를 열어주도록 한다.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가 탑승구를 열어준 상태에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을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와 웜(42)과 웜기어(44)도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체인(60)을 따라 열리는 방향을 따라 다시 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20)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및 상기 구동모터(20)와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및 상기 구동모터(20)와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와 동력전달부(50) 및 클러치 제어유닛(80) 등이 장착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가 탑승구를 닫아주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요부의 하나인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가 트랜스미션 링크(56)에 연결되어 있어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부분인 구동모터(20)나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부분이나 트랜스미션 링크(56) 등에 장애가 생겨서 수리나 교체 등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2)와 슬라이딩 도어(2)가 장착된 차체까지 전부 뜯어낼 필요가 없이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 부분만 뜯어내서 장애가 있는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되므로, 수리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2) 부분과 슬라이딩 도어(2) 장착 지지 부분 및 슬라이딩 도어(2) 슬라이딩 개폐 구동부를 분리해내야 하는 기존에 비하여 슬라이딩 도어(2) 부분의 수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수리가 끝난 슬라이딩 도어(2)와 슬라이딩 도어(2) 슬라이딩 작동부(상기 구동모터(20),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부분 등)을 다시 승합차에 장착하는 작업도 손쉬우며 시간도 많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요부인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 사이의 동력전달부(50)로서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를 채용함으로 인하여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 사이의 동력전달은 지장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슬라이딩 도어(2)의 종류나 슬라이딩 도어(2)에 구비된 주변 물품의 위치에 대응하여 더욱 편리하게 본 발명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의 배치 각도를 직각 뿐만 아니라 직각보다 더 큰 둔각이나 직각보다 더 작은 예각 범위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를 장착할 수 있다.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 종류나 슬라이딩 도어(2)에 구비된 주변 부품이 어떠한 위치에 있든지 상관없이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의 각도를 마음데로 변경하여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나아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와 트랜스미션 링크(56) 사이의 각도도 마음데로 변경하여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의 연결 각도를 유니버설 조인트(또는 유니버설 커플링)에 의해 마음데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승합차의 차종이나 슬라이딩 도어(2)의 주변 부품의 위치 등에 상관없이 호환성 있게 본 발명을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조인트(58)가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수동으로 돌려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로 밀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가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거나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로 누르는 힘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손쉽게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을 해제하거나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클러치(72)를 지지하는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자체가 탄성이 있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수동으로 돌려서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로 밀어준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 자체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를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구동 클러치(72)와 종동 클러치(74)의 결합 구조를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슬라이딩 도어 20. 구동모터
28SP. 링크 서포트편 40. 로테이션 기어부
42. 웜 44. 웜기어
46. 연결 서포트 브라켓 50. 동력전달부
52. 로테이션 인풋 링크 54.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
56. 트랜스미션 링크 58. 조인트
60. 체인 72. 구동 클러치
73. 클러치핀 74. 종동 클러치
75. 클러치홈 80. 클러치 제어유닛
81. 마운팅 브라켓 82.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
82SB. 샤프트 브라켓 82SPR. 스프링
83.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 84. 모터 장착 패널부
85.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 85HD. 핸들
87.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 159. 스프로켓
159IS. 인풋 스프로켓 159GS. 가이드 스프로켓
190. 텐션 조절부 192. 텐션 브라켓
194. 텐션 조절볼트 196. 텐션 조절너트

Claims (12)

  1.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
    상기 동력전달부(5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로테이션 기어부(40);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프로켓(159);
    상기 슬라이딩 도어(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켓(159)에 결합된 체인(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상기 구동모터(20)의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는 로테이션 인풋 링크(52);
    상기 인풋 링크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된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에 조인트(58)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를 매개로 상기 스프로켓(159)에 연결된 트랜스미션 링크(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와 상기 로테이션 아웃풋 링크(54)를 연결하는 상기 조인트(58)는 유니버설 조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기어부(40)는,
    상기 트랜스미션 링크(56)에 구비된 웜(42);
    상기 웜(42)에 치합되고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웜기어(4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은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2)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체인(60)이 구비되고,
    상기 웜기어(44)의 중심부에는 인풋 스프로켓(159IS)이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 서포트 브라켓(46)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스프로켓(159GS)이 구비되고,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 레일(4)에 구비된 상기 체인(60)은 상기 인풋 스프로켓(159IS)과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 스프로켓(159GS)를 경유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60)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단부에는 텐션 조절부(190)가 결합되고, 상기 텐션 조절부(190)는 상기 승합차에 고정된 텐션 브라켓(192)과, 상기 텐션 브라켓(192)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체인(60)의 일단부에 연결된 텐션 조절볼트(194)와,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에 결합된 텐션 조절너트(19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체인(60)이 당겨지거나 느슨해져서 상기 체인(6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의 외주면에 텐션 스프링(82SPR)이 결합되어 상기 텐션 브라켓(192)에 배치되고,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상기 텐션 브라켓(192)의 바깥쪽에서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에 결합되어, 상기 텐션 조절너트(196)를 상기 텐션 조절볼트(194)에서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체인(60)이 당겨지거나 느슨해져서 상기 체인(6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 스프링(82SPR)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인(6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는 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는 클러치 제어유닛(8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과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 사이의 회전력 전달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 클러치(72);
    상기 로테이션 인풋 링크(52)에 연결된 종동 클러치(7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 제어유닛(80)은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를 결합시켜서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시에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고 클러치 수동 작동시에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제어유닛(80)은,
    상기 승합차의 상기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된 마운팅 브라켓(81);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에 장착된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2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상기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결합된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지지된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일부를 밀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상기 종동 클러치(74)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는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상기 종동 클러치(7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에는 모터 장착 패널부(84)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에 상기 구동모터(2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가 상기 종동 클러치(7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은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 구비된 상기 클러치 결합 해제 푸셔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해제 푸셔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준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72)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클러치핀(73)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 클러치(74)에는 복수개의 상기 클러치핀(73)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클러치홈(75)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의 복수개의 상기 클러치핀(73)이 상기 종동 클러치(74)의 복수개의 상기 클러치홈(75)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81)의 상기 종동 클러치 장착 패널(82)에 구비된 샤프트 브라켓(82S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82SPR)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82SPR)은 상기 샤프트 브라켓(82SB)과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상기 클러치 결합 서포트 패널(83)의 상기 모터 장착 패널부(84)를 밀어주지 않은 영역인 클러치 릴리스 영역으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82SPR)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푸셔(87)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클러치 릴리스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에는 핸들(85HD)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85HD)을 파지하여 상기 클러치 결합 제어 샤프트(85)를 돌려서 수동으로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가 결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구동 클러치(72)와 상기 종동 클러치(74)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KR1020210044219A 2021-04-05 2021-04-05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KR10255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19A KR102556072B1 (ko) 2021-04-05 2021-04-05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19A KR102556072B1 (ko) 2021-04-05 2021-04-05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66A true KR20220138266A (ko) 2022-10-12
KR102556072B1 KR102556072B1 (ko) 2023-07-17

Family

ID=8359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19A KR102556072B1 (ko) 2021-04-05 2021-04-05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0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49B1 (ko) 2001-08-22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0448753B1 (ko) * 2003-09-03 2004-09-18 두리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01154300B1 (ko) 2010-09-29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1306886B1 (ko) * 2013-01-09 2013-09-10 남궁정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15181A (ko) * 2017-04-12 2018-10-22 주식회사 새한산업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KR20200061529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체인 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49B1 (ko) 2001-08-22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록킹장치
KR100448753B1 (ko) * 2003-09-03 2004-09-18 두리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01154300B1 (ko) 2010-09-29 2012-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1306886B1 (ko) * 2013-01-09 2013-09-10 남궁정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20180115181A (ko) * 2017-04-12 2018-10-22 주식회사 새한산업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KR20200061529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체인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072B1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5368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US6385910B1 (en) Swivel-sliding door system for a vehicle
US8033374B2 (en) Drive arrangement
US6481783B1 (en) Drive mechanism for power operated slideable side door
US7566087B2 (en) Power closure assembly
US10954695B2 (en) Interlock for enclosures
US5613321A (en) Releasable drive mechanism
KR102130451B1 (ko) 차량용 체인 도어
KR20220138266A (ko)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TW201838552A (zh) 用於能夠從傢俱主體中拉出的傢俱部件的拉出引導件
KR20220138267A (ko) 승합차 슬라이딩 도어용 클러치 구조
US8479446B2 (en) Drive system for a door
ATE204359T1 (de) Handbetätigbare entkupplungsvorrichtung für einen torantrieb
EP0190025A3 (en) Operating mechanism for an up-and-over door
CN110656836B (zh) 车门开闭装置、车门总成以及具有其的车辆
CN218716068U (zh) 一种高适应性车内门锁功能验证装置
JP2704592B2 (ja) 自動車の自動ドア開閉装置
JP4741890B2 (ja)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US5448952A (en) Door driving mechanism
CN110454009A (zh) 具有线缆接合部的车辆闩锁衬套
CN115419337B (zh) 高适应性车内门锁功能验证装置
CN217999322U (zh) 塞拉门
CN218805033U (zh) 一种调节挂车插销位置的伸缩机构
JPH0713585Y2 (ja) カーテン開閉機構
JPH09158612A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