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886B1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886B1
KR101306886B1 KR1020130002640A KR20130002640A KR101306886B1 KR 101306886 B1 KR101306886 B1 KR 101306886B1 KR 1020130002640 A KR1020130002640 A KR 1020130002640A KR 20130002640 A KR20130002640 A KR 20130002640A KR 101306886 B1 KR101306886 B1 KR 10130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drum
drum
w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정배
Original Assignee
남궁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정배 filed Critical 남궁정배
Priority to KR102013000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의 구성은 차량에 장착된 도어를 슬라이드 개폐시키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드럼(10)과; 상기 메인 드럼(1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드럼(10)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의 상기 모터축 회전시 상기 메인 드럼(10)을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드럼(30)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작동 와이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Vehicle sliding door open and clos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의 폭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림해져서 차량 자체의 폭이 커지게 되는 결과를 방지하므로, 차량 승차시 걸리적거려서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승차시 도로를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는 문제와 주차시에 주차 공간도 많이 문제 등을 해결하며,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주요 부분인 작동 와이어가 제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되고, 차량 도어의 자동 개폐 동력 전달원인 스프로켓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시 덜컹거리는 충격 등에 의해 주로 스프로켓축 부분이 헐거워져서 도어 개폐 작동을 위한 동력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 등에 적용되고 있는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의 측부 및 하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차체에 각기 고정된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탑승자가 도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아당겨 슬라이딩 도어를 측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가이드 레일 상에서 개폐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의 슬라이딩 도어는 개폐시 무리한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실수로 슬라이딩되는 도어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어 상해를 입게 되는 단점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번호 특1996-080596호 승합차용 슬라이딩식 도어의 자동개폐장치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개폐시킬 때 약간의 외력으로도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의 장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한다. 즉, 도어의 개폐시 이동하는 행정거리의 선단부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는 자동 작동 부품의 들어가는 특성상 그 자체의 폭이 너무 두꺼워져서 차량에 설치할 때에는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가 생기고, 이처럼 슬라이드 도어 개폐 장치가 차체 외부로 설치되면 승차시 걸리적거려서 불편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폭도 커지는 결과가 되며, 차량 자체의 폭이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해 커지는 만큼 차량 승차시 도로를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주차시에 주차 공간도 많이 요구되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주요 부분인 작동 와이어가 제위치에서 처지거나 하는 등의 현상으로 인하여 주변에 작동 와이어가 걸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서 안정적인 작동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차량 도어의 자동 개폐 동력 전달원인 스프로켓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시 덜컹거리는 충격 등에 의해 주로 스프로켓축 부분이 헐거워져서 도어 개폐 작동을 위한동력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의 폭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림해져서 차량 자체의 폭이 커지게 되는 결과를 방지하므로, 차량 승차시 걸리적거려서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승차시 도로를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는 문제와 주차시에 주차 공간도 많이 문제 등을 해결하며,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를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주요 부분인 작동 와이어가 제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되고, 차량 도어의 자동 개폐 동력 전달원인 스프로켓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시 덜컹거리는 충격 등에 의해 주로 스프로켓축 부분이 헐거워져서 도어 개폐 작동을 위한 동력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된 도어를 슬라이드 개폐시키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드럼과; 상기 메인 드럼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드럼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의 상기 모터축 회전시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드럼(30)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작동 와이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드럼에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쪽 편심된 위치에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드럼에서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다른 쪽 편심된 위치에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드럼의 한쪽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 부분과 메인 드럼의 다른 쪽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메인 드럼의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차량의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 개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드럼과 상기 구동모터(20) 및 상기 구동메인 드럼은 프레임(4)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4)이 상기 차량의 차체에 고정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이 상기 차체에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는 그 양단부에 상기 메인 드럼 양쪽 위치로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4)에는 상기 메인 드럼에 연결되어 양쪽 위치로 배치된 상기 작동 와이어(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슬리브(50)가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50)는 상부측으로 볼록하게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메인 드럼과 상기 차량의 상기 도어 사이에 연결된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4)에 구비된 텐션 리테이너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텐션 리테이너는, 상기 프레임(4)에 구비된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상기 프레임(4)에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회동 브라켓(63)과;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드럼에 연결된 상기 작동 와이어(40)가 외주면으로 지나가서 상기 작동 와이어(40)에 누르는 힘을 가하는 위치에 배치된 텐셔닝 롤러(64)와; 상기 텐셔닝 롤러(64)와 동시에 승강되도록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며 그 하부측의 축부재(65a)는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 상대 승강되도록 결합된 텐셔닝 연결 브라켓(65)과;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상기 축부재(65a)에 구비된 텐션 작동 지지체(66)와;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과 상기 텐셔닝 롤러(64)를 탄성적으로 당겨서 상기 작동 와이어(4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프링(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67)은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에 양단부가 접촉된 제1스프링(67A)과, 상기 제1스프링(67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더 굵게 이루어진 제2스프링(67B)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중앙부의 축홀이 상기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끼워져서 결합된 구동 스프로켓(26)과; 중앙부의 축홀이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된 종동 스프로켓(27)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27)에 연결된 체인(2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의 상기 회전축들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27)의 상기 축홀들의 내주면에는 각각 널링부(NP)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의 상기 회전축들의 외주면에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27)들의 상기 축홀들이 끼워져 결합될 때에 서로 맞닿는 상기 널링부(NP)들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에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는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의 측방향 위치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 슬라이더(47)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47)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일부와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47)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를 따라 궤도 이동할 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슬라이드 개폐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의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센서(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4)의 양면 중에서 한쪽 면 위치에는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을 설치하고, 프레임(4)의 다른 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구동 드럼(30)의 회전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메인 드럼에 전달하여 메인 드럼을 회전시키고, 메인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드럼과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가 궤도 이동(무한궤도 순환)하면서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그 자체의 폭이 매우 슬림해질 수 있으므로, 차량에 설치할 때에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를 해소한 장점이 있으며, 이처럼 슬라이드 도어 개폐 장치가 차체 외부로 설치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승객이 차량 승차시 튀어나온 부분에 의해 걸리적거려서 불편함이 초래되는 경우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폭도 커지는 경우를 방지하며, 차량 자체의 폭이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해 커지는 일이 생기지 않는 만큼 차량 승하차시 도로를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주차시에 주차 공간도 많이 요구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도 전혀 생기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드럼의 양쪽 위치로 연장되는 와이어(정확하게는, 제1와이어(40A)와 제2와이어(40B) 부분)가 상향으로 볼록하게 구배가 있는 슬리브(50) 내부로 통과되어 궤도 순환함으로써, 상기 상향 볼록한 구조의 슬리브(50)에 의해 와이어가 쳐져서 주변 부품 등에 걸려 말리는 것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슬리브(50)가 아치 구조처럼 상향으로 볼록하게 아치형 구배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치 구조의 특성상 슬리브(50) 자체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과 슬리브(50) 내부로 통과하는 와이어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와이어의 궤도 이동시 와이어가 주변 부품에 걸려서 궤도 순환 중에 말리거나 하는 일이 전혀 생기지 않으므로, 작동상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도어가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측 사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동안에는 텐션 리테이너의 주요부인 제1스프링(67A)의 탄성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력이 가해지다가 상기 도어가 가이드 레일의 다른 쪽 단부측에 근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다른 쪽 단부측에 구비된 도어 콘택트편에 소정의 힘으로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도어 폐쇄 종료 시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제1스프링(67A)에 가해져서 제1스프링(67A)의 힘을 이기는 순간적인 외부 충격력, 다시 말해, 상기 상대적 증가력에 대해서는 제2스프링(67B)이 완충 작용을 하게 되면서 상대적 증가력을 흡수하므로, 상기 도어의 개방과 닫힘 작동도 더욱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와이어의 텐션도 더욱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제1스프링(67A)에 의해서 1차로 도어를 개폐할 때의 외력 하중을 흡수하여 와이어의 텐션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작동이 1차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차량의 도어가 개방 종료 시점과 폐쇄 종료 시점에서는 제2스프링(67B)이 한번 더 2차로 상대적으로 더 큰 외력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2중으로 외력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의 회전축들에는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테이퍼부의 외주면에는 널링부(NP)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의 회전축들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의 축홀은 상기 회전축들의 테이퍼부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밀착되는 테이퍼홀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들의 테이퍼부와 상기 축홀들의 테이퍼홀에는 각각 널링부(NP)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의 회전축들에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들이 결합될 때에 상기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의 널링부(NP)와 구동 스프로켓(26) 및 종동 스프로켓(27)들의 테이퍼홀의 널링부(NP)끼리 꺼끌꺼끌한 면으로 가압 밀착되므로, 상기 널링부(NP)에 의해 상기 구성들의 결합 부분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이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의 회전축에 대해 공회전하는 슬립 현상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스프로켓들의 슬립 현상으로 인해 와이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차량의 도어가 제대로 개폐되지 못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자동 개폐장치의 주요부인 텐션 리테이너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와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는 차량의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드럼(10)과, 이 메인 드럼(1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차량의 차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0)와, 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차량에 장착되며 메인 드럼(10)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시 메인 드럼(10)을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드럼(30)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메인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작동 와이어(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4)에 메인 드럼(10)과 구동모터(20) 및 구동 드럼(30)이 구비되어, 프레임(4)이 차량의 차체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 인하여 메인 드럼(10)과 구동 드럼(30)이 차량 차체에 세워져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4)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4)편과, 이러한 지지 프레임(4)편의 상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지지 프레임(4)편의 상하 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측방으로 경사진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4)편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차량의 차체(차체의 도어와 인접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 드럼(10)의 중앙부에 구비된 회전축이 상기 프레임(4)의 지지 프레임(4)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4)이 메인 드럼(1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레임(4)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어 차량의 차체에 메인 드럼(10)이 세워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은 베어링에 의해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4)의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가운데 위치에 메인 드럼(1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 드럼(10)은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는 작동 와이어(40)가 권취되기 위한 작동 와이어(40)홈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는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테이퍼부의 외주면에는 널링부(NP)가 구비되어 있다. 즉,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구비된 테이퍼부 외주면 일부를 널링 가공에 의해 표면이 복수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널링부(NP)로 구성된 것이다. 널링부(NP)를 원주 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돌기와 돌기홈이 교대로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널링부(NP)는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의 테이퍼부를 꺼끌꺼끌한 면으로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드럼(10)은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메인 드럼(10)의 한쪽 면 편심된 위치에는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통된 제1고정핀홀이 형성되고, 제1고정핀홀의 일측에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작동 와이어(40)홈과 연통된 제1작동 와이어(40) 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 드럼(10)의 다른 쪽 면 편심된 위치에도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통된 제2고정핀홀이 형성되고, 제2고정핀홀의 일측에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작동 와이어(40)홈과 연통된 제2작동 와이어(40) 안착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인 드럼(1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차량의 차체에 구동모터(20)가 장착된다. 구동모터(20)는 프레임(4)에 장착되어, 프레임(4)을 매개로 차량 차체에 장착된 것이다. 프레임(4)의 정면에서 볼 때에 프레임(4)의 좌측 하부에 브라켓과 볼트 등에 의해 구동모터(20)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모터(20)가 프레임(4)에 가로 방향으로 장착되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구동모터(2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워엄 기어부가 구비되어 있다. 즉,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이 워엄 기어이다. 한편, 구동모터(20)는 전기(배터리 전원 등)가 공급되면 모터축이 회전하고, 전기의 공급이 끊기면 모터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특수한 모터이다.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차량의 차체에 구동 드럼(30)이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4)이 차량의 차체에 세워져 고정되고, 구동 드럼(30)은 중심부의 회전축이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 드럼(30)이 차체에 대해 세워져 배치된 것이다. 구동 드럼(30)은 외주면에 헬리컬 기어의 기어이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기어이가 구비되며, 구동 드럼(30) 외주면 기어이가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구비된 워엄 기어부에 기어식으로 결합된다. 즉,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은 워엄이고 구동 드럼(30)은 워엄 기어가 되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구동 드럼(30)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는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테이퍼부의 외주면에는 널링부(NP)가 구비되어 있다. 즉,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구비된 테이퍼부 외주면 일부를 널링 가공에 의해 표면이 복수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널링부(NP)로 구성된 것이다. 널링부(NP)를 원주 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돌기와 돌기홈이 교대로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널링부(NP)는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의 테이퍼부를 꺼끌꺼끌한 면으로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중앙부의 축홀이 상기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끼워져서 결합된 구동 스프로켓(26)과, 중앙부의 축홀이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결합된 종동 스프로켓(27)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에 연결된 폐루프형 체인(28)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스프로켓(26)은 중심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축보스가 구비되고, 축보스의 안쪽에는 축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홀은 그 내주면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 스프로켓(26)의 축홀은 그 내주면이 일부에 널링부(NP)가 구비되어 있다. 즉, 구동 스프로켓(26)의 축홀 내주면 일부를 널링 가공에 의해 표면이 복수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널링부(NP)로 구성된 것이다. 널링부(NP)를 원주 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돌기와 돌기홈이 교대로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구동 스프로켓(26)의 축홀을 끼우고, 구동 스프로켓(26)을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고정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구동 드럼(30)의 회전축 일단부에 조여주면, 상기 구동 스프로켓(26)의 축홀에 구비된 테이퍼홀 내주면이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구비된 테이퍼부 외주면에 가압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홀과 테이퍼부에 각각 구비된 널링부(NP)들도 서로 가압 밀착되므로, 구동 스프로켓(26)의 축홀 내주면과 구동 드럼(30)의 회전축 외주면의 꺼끌꺼끌한 면끼리 가압 밀착되어 구동 스프로켓(26)과 구동 드럼(30)의 연결 부분에 결합 마찰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종동 스프로켓(27)도 역시 중심부에 양면으로 연통된 축보스가 구비되고, 축보스의 안쪽에는 축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홀은 그 내주면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홀로 구성된다. 또한, 종동 스프로켓(27)의 축홀은 그 내주면이 일부에 널링부(NP)가 구비되어 있다. 즉, 종동 스프로켓(27) 역시축홀 내주면 일부를 널링 가공에 의해 표면이 복수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진 널링부(NP)로 구성된 것이다. 널링부(NP)를 원주 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돌기와 돌기홈이 교대로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구동 스프로켓(26)의 축홀을 끼우고, 종동 스프로켓(27)을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고정하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 일단부에 조여주면, 상기 종동 스프로켓(27)의 축홀에 구비된 테이퍼홀 내주면이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구비된 테이퍼부 외주면에 가압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홀과 테이퍼부에 각각 구비된 널링부(NP)들도 서로 가압 밀착되므로, 종동 스프로켓(27)의 축홀 내주면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 외주면의 꺼끌꺼끌한 면끼리 가압 밀착되어 종동 스프로켓(27)과 메인 드럼(10)의 연결 부분에 결합 마찰력을 역시 높이게 된다.
상기 차량에는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이 세워져 설치되고,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슬라이드되는 차체의 위치에는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의 측방향 위치에 가이드 레일(46)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6)은 차량 차체에 세워진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눕혀져서 설치된 구조이다. 차량의 위에서 볼 때에 메인 드럼(10)의 바깥쪽 위치에 가이드 레일(46)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46)은 메인 드럼(10) 방향을 향하는 면과 반대되는 바깥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레일편과, 이 상부 레일편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 레일편과, 상기 상부 레일편과 마주하도록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레일편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 레일편과 하부 레일편 및 걸림 레일편에 의해 가이드 레일(46) 내부에 슬라이딩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46) 내부의 슬라이딩 중공부에는 가이드 슬라이더(47)가 구비된다. 가이드 슬라이더(47)는 슬라이딩 바디와, 이 슬라이딩 바디의 양쪽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46)의 상부 레일편과 일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은 가이드 레일(46)의 걸림 레일편에 접촉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롤러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면은 가이드 레일(46)과 마주하고 외주면은 가이드 레일(46)의 하부 레일편에 접촉되는 슬라이딩 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 슬라이더(47)는 슬라이딩 바디의 일측에 힌지부로 연결된 도어 연결편이 구비되어, 도어 연결편에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된다.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의 안쪽면에 가이드 슬라이더(47)의 도어 연결편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와 인접된 위치에는 각각 하나씩 보조 롤러 브라켓이 구비된다. 보조 롤러 브라켓의 일부가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측에 인접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보조 롤러 브라켓에는 보조 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보조 롤러는 외주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보조 롤러 브라켓에 그 롤링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보조 롤러가 수직으로 세워진 메인 드럼(10)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보조 롤러의 롤링 중심축은 보조 롤러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보조 롤러는 롤링 중심축에 대해 상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보조 롤러 브라켓 위로 돌출된 롤링 중심축에는 스프링 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롤링 중심축의 외주면에 끼워진 스프링(67)의 상단부는 스프링 지지편에 접촉되고 스프링(67)의 하단부는 보조 롤러 브라켓을 관통하여 보조 롤러의 상면에 접촉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설치된 금속재의 브라켓에 한 쌍의 좌우 보조 롤러 브라켓이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쪽 위치의 제1보조 롤러 브라켓에 결합된 고정구가 차체에 설치된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제1보조 롤러 브라켓이 가이드 레일(46)의 한쪽 단부 위치에 배치된다. 제1보조 롤러 브라켓은 내부에 롤러 수용 공간부가 구비되어, 롤러 수용 공간부에 수평 방향으로 보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보조 롤러 브라켓의 일측으로는 슬리브 지지관부가 구비되어, 메인 드럼(10)을 중심으로 한쪽의 슬리브(50)의 일부가 제1보조 브라켓의 슬리브 지지관부에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1보조 롤러 브라켓은 내부의 롤러 수용 공간부와 연통된 슬릿 형태의 와이어 인출공이 배면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두 개의 와이어(40A 및 40B) 중에서 한쪽의 와이어(40B)가 제1보조 롤러 브라켓의 와이어 인출공으로 빠져나와 가이드 레일(46)의 내부로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다른 쪽 위치의 제2보조 롤러 브라켓에 결합된 고정구가 차체에 설치된 브라켓 등의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제2보조 롤러 브라켓이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 위치에 배치된다. 제2보조 롤러 브라켓은 내부에 롤러 수용 공간부가 구비되어, 롤러 수용 공간부에 수평 방향으로 보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보조 롤러 브라켓의 일측으로는 슬리브 지지관부가 구비되어, 메인 드럼(10)을 중심으로 한쪽의 슬리브(50)의 일부가 제2보조 브라켓의 슬리브 지지관부에 끼워져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2보조 롤러 브라켓은 내부의 롤러 수용 공간부와 연통된 슬릿 형태의 와이어 인출공이 배면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두 개의 와이어(40A 및 40B) 중에서 다른 쪽의 와이어(40A)가 제2보조 롤러 브라켓의 와이어 인출공으로 빠져나와 가이드 레일(46)의 내부로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측에는 단부에서 안쪽으로 더 들어온 위치, 다시 말해, 가이드 레일(4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중심부 방향을 향하여 더 들어간 위치에 도어 콘택트편이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에는 스프링 지지편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프링 지지편과 도어 콘택트편 사이에는 완충 스프링(67)이 개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 지지편은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 각각에서 더 돌출된 축형상으로 구성되고 선단부에는 지지헤드가 구비되어, 스프링 지지편의 외주면에 완충 스프링(67)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 지지편의 지지헤드와 도어 콘택트편 사이에 완충 스프링(67)의 양단부가 접촉되어 개재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프레임(4)에는 메인 드럼(10)에 연결되어 양쪽 위치로 배치되는 작동 와이어(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슬리브(5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20), 구동 드럼(30) 및 메인 드럼(10)이 장착된 프레임(4)에는 메인 드럼(10)의 양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슬리브(50) 브라켓이 구비된다. 즉, 프레임(4)의 정면에서 메인 드럼(10)의 좌측 위치와 우측 위치에 각각 한 개씩 슬리브(50) 브라켓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슬리브(50)의 양단부가 프레임(4)에 구비된 슬리브(50) 브라켓과 상기 보조 롤러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드럼(10)의 좌우 양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슬리브(50)가 구비된 것이다. 즉, 상기 프레임(4)에는 메인 드럼(10)을 기준으로 좌우 위치에 각각 하나씩 슬리브(50)가 구비된 것이며, 상기 메인 드럼(10)에 연결되어 양쪽 위치로 배치되는 작동 와이어(40)가 각각의 슬리브(50)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50)는 상부측으로 볼록하게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메인 드럼(10)의 양쪽 위치에 각각의 슬리브(50)가 구비되고, 각 슬리브(50)는 원주형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볼록한 부분이 상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4)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4)의 정면에서 볼 때에 메인 드럼(10)을 기준으로 한 쌍의 슬리브(50)가 상향으로 볼록하도록 구배가 있으면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는 작동 와이어(40)는 메인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하는 힘(끌어당기는 힘)이 작용되도록 한다. 즉, 메인 드럼(10)에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즉,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쪽 편심된 위치에 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드럼(10)에서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다른 쪽 편심된 위치에 작동 와이어(40)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는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 메인 드럼(10)의 한쪽 편심된 위치(메인 드럼(10)의 회전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 부분과 메인 드럼(10)의 다른 쪽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풀어지면서 차량의 도어가 슬라이딩 개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작동 와이어(40)는 차량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6)의 궤도를 따라 무한궤도식으로 순환 이동하면서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작동 와이어(40)는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로 이루어지는데,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에는 각각 고정핀이 구비된다. 이때, 고정핀은 작동 와이어(4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에 구비된 고정핀이 메인 드럼(10)의 한쪽 편심된 위치에 구비된 제1고정핀홀에 끼워지고, 제1작동 와이어(40)의 고정핀과 이어지는 부분은 제1고정핀홀의 일측으로 연통되면서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작동 와이어(40)홈과 연통된 제1작동 와이어(40) 안착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 복수개의 작동 와이어(40)홈에 일정 횟수 권치된 상태로 메인 드럼(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작동 와이어(40)에 구비된 고정핀이 메인 드럼(10)의 한쪽 편심된 위치에 구비된 제2고정핀홀에 끼워지고, 제2작동 와이어(40)의 고정핀과 이어지는 부분은 제2고정핀홀의 일측으로 연통되면서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작동 와이어(40)홈과 연통된 제2작동 와이어(40) 안착홈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 복수개의 작동 와이어(40)홈에 일정 횟수 권치된 상태로 메인 드럼(1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고정핀홀과 제2작동 와이어(40) 안착홈은 메인 드럼(10)의 일면에 구비되고 제1고정핀홀과 제1작동 와이어(40) 안착홈은 메인 드럼(10)의 다른면에 구비되어 있다. 즉, 제1고정핀홀과 제1작동 와이어(40) 안착홈이 메인 드럼(10)의 안쪽면(프레임(4)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경우 제2고정핀홀과 제2작동 와이어(40) 안착홈은 메인 드럼(10)의 바깥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1고정핀홀과 제1작동 와이어(40) 안착홈에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고정핀과 제1작동 와이어(40)의 일부가 결합되어 메인 드럼(10)에 연결되고 제2고정핀홀과 제2작동 와이어(40) 안착홈에 상기 제2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고정핀과 제2작동 와이어(40)의 일부가 결합되어 메인 드럼(10)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된 메인 드럼(10)의 한쪽 편심 위치와 상기 제2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된 메인 드럼(10)의 다른 쪽 편심 위치 사이의 각도는 180°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의 정면에서 볼 때에 제1작동 와이어(40)는 반시계 방향으로 메인 드럼(10) 외주면의 작동 와이어(40)홈에 일정 횟수 권취되고 제2작동 와이어(40)는 시계 방향으로 메인 드럼(10) 외주면의 작동 와이어(40)홈에 일정 횟수 권취되어 있어서, 메인 드럼(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는 한쪽 단부가 메인 드럼(1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4)에 구비된 좌우 각각의 슬리브(50) 내부를 통과하여 좌우 양쪽의 보조 롤러 외주면을 경유(바람직하게,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가 일정 횟수 보조 롤러 외주면에 권취되고 난 다음 경유)하여 지나가고, 상기 보조 롤러 외주면을 경유한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의 다른 쪽 단부는 각각 가이드 레일(46) 내부의 슬라이딩 중공부에 구비된 가이드 슬라이더(47)의 양쪽에 연결됨으로써,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의 일부가 가이드 레일(46) 내부의 슬라이딩 중공부에 수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4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슬라이더(4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가 궤도(무한궤도) 순환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슬라이드 개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일부는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궤도 이동하여 차량의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슬라이드 개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 근접 위치에는 센서가 구비된다. 즉, 가이드 레일(46)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될 때의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딩 도어의 한쪽 측단부가 가이드 레일(46)의 한쪽 단부 방향으로 근접되어 올 때에 센서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근접됨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 작동을 중지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도어의 다른 쪽 측단부가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 방향으로 근접되어 올 때에 센서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근접됨을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때, 센서는 도어의 측단부가 건드리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근접된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을 제어하는 수단이면 모두 센서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레일(46)이 양단부측에 인접 배치된 각각의 도어 콘택트편에 센서가 하나씩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작동 와이어(40)는 텐션 리테이너에 의해 텐션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텐션 리테이너는 텐션 베이스 브라켓(62), 승강 회동 브라켓(63), 텐셔닝 롤러(64), 텐셔닝 연결 브라켓(65), 텐션 작동 지지체(66) 및 스프링(67)을 구비한다.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은 메인 드럼(10)의 좌우 양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레레임에 구비되어 있다.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이 한 쌍으로 메인 드럼(10) 양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는 상하로 연통된 축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은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레임(4)에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메인 드럼(10)을 기준으로 두 개의 좌우 승강 회동 브라켓(63)이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의 상부에 배치된 것이다. 승강 회동 브라켓(63)은 단면 디귿자형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 회동 브라켓(63)의 기단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프레임(4)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승강 회동 브라켓(63)의 선단부측이 상하로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텐셔닝 롤러(64)는 중심부의 롤링 지지축이 승강 회동 브라켓(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드럼(10)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가 외주면으로 지나가서 작동 와이어(40)에 누르는 힘을 가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드럼(10)의 좌우 양쪽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승강 회동 브라켓(63) 선단부에 텐셔닝 롤러(64)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두 개의 좌우 텐셔닝 롤러(64)가 배치되는데, 상기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텐셔닝 롤러(64)의 하부로 들어가서 텐셔닝 롤러(64)의 외주면을 경유함으로써, 상기 텐셔닝 롤러(64)가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를 아래로 누르는 힘을 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4)의 정면에서 볼 때에 제1작동 와이어(40)는 반시계 방향으로 메인 드럼(10) 외주면의 작동 와이어(40)홈에 일정 횟수 권취되고 제2작동 와이어(40)는 시계 방향으로 메인 드럼(10) 외주면의 작동 와이어(40)홈에 일정 횟수 권취되어 있어서, 제1작동 와이어(40)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서 상기 한쪽의 텐셔닝 롤러(64) 위로 이어져서 텐셔닝 롤러(64)의 아래로 내려가서 텐셔닝 롤러(64)의 외주면을 경유하고, 제작동 와이어(40)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서 상기 다른 쪽의 텐셔닝 롤러(64) 위로 이어져서 텐셔닝 롤러(64)의 아래로 내려가서 텐셔닝 롤러(64)의 외주면을 경유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두 개의 텐셔닝 롤러(64)가 각각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를 위에서 아래로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은 텐셔닝 롤러(64)와 동시에 승강되도록 승강 회동 브라켓(63)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며 그 하부측의 축부재(65a)는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 상대 승강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는 텐셔닝 연결 브라켓(65)과 승강 회동 브라켓(63)의 공통의 힌지부이면서 상기 텐셔닝 롤러(64)의 회전 중심부가 되는 것이다. 즉, 텐셔닝 롤러(64)가 단면 디귿자 채널 형상의 승강 회동 브라켓(63) 선단부측에 삽입되어 텐셔닝 롤러(64) 중심부의 롤링 지지축이 승강 회동 브라켓(63)의 선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상단부도 텐셔닝 롤러(64)의 롤링 지지축에 상대 회전 가능(상대 슬립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과 승강 회동 브라켓(63)의 상기 공통의 힌지부에 의해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의 선단부측이 상하로 회동 승강되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과 이 텐셔닝 연결 브라켓(65) 하부로 연장된 축부재(65a)가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 대해 상대 승강될 수 있다. 이때,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하부로 연장된 축부재(65a)는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 상하로 연통된 축홀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승강 작동에 따라 축부재(65a)도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 대해 상대 승강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는 축결합홀이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축결합홀이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하부로 연장되어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을 관통(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의 축홀을 관통)한 축부재(65a)에 결합된다. 이때, 텐션 작동 지지체(66)는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를 따라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볼트축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의 하부 위치에서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에 조절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조절부재는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너트 구조의 조절부재가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에 볼트에 결합되듯이 결합되어 있다. 즉,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는 볼트이고 조절부재는 너트가 되어 조절부재가 볼트에서 너트가 풀리고 조여지듯이 상대 이동하게 되며, 이처럼 조절부재가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에서 상대 이동하면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와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 사이의 거리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67)은 텐셔닝 연결 브라켓(65) 하부측의 축부재(65a)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66)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67)은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6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과 텐셔닝 롤러(64)를 탄성적으로 당겨서 작동 와이어(4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제1스프링(67A)과 제2스프링(67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67A)은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66)에 양단부가 접촉된다. 제1스프링(67A)의 직경은 제2스프링(67B)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커서 제2스프링(67B)이 그 안에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제1스프링(67A)의 길이는 제2스프링(67B)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제1스프링(67A)의 단면적(굵기)는 제2스프링(67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제2스프링(67B)은 제1스프링(67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더 굵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스프링(67B)은 제1스프링(67A)의 양단부가 평상시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66)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66)와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유격이 확보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너트와 같은 비교적 정밀한 조절부재에 의해 텐션 작동 지지체(66)가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축부재(65a)에 대해 상대 승강되면서 상기 스프링(67)의 탄성을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게 된다. 평상시에는 텐션 작동 지지체(66)가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볼트 형태의 축부재(65a)를 따라 상대 승강됨으로써 제1스프링(67A)의 탄성을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50) 브라켓에 인접되도록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 텐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다. 메인 드럼(10)을 기준으로 좌우 위치에 하나씩 보조 텐션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텐셔닝 롤러(64)의 아래로 들어가서 텐셔닝 롤러(64) 외주면을 경유하는 제1작동 와이어(40)와 제2작동 와이어(40)는 상기 보조 텐션 가이드 롤러의 하부로 들어가서 보조 텐션 가이드 롤러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상기 슬리브(50)로 들어가며, 각각의 슬리브(50)에서 나오는 제1와이어(40A)와 제2와이어(40B)는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47)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도어가 슬라이드되는 가이드 레일(46) 내부의 슬라이딩 중공부로 들어간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텐션 리테이너의 텐셔닝 롤러(64)가 스프링(67)이 아래에서 당기는 힘(탄성력)에 의해 와이어(정확하게는, 제1와이어(40A)와 제2와이어(40B)임)를 아래로 눌러서 와이어가 텐션을 받은 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와이어가 궤도 운동을 하기 이전에 와이어에 텐션을 가하고 있다가 와이어가 궤도 운동을 하는 도중에 와이어에 지속적으로 텐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차량의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 드럼(30)의 회전에 따라 메인 드럼(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메인 드럼(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와이어(40A)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서 권취되어 있던 상태에서 풀어지고 제2와이어(40B)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더 감겨지면서 와이어 자체가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궤도 이동(무한 궤도 이동)을 하므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도어가 슬라이드 개방된다. 이때, 차량의 한쪽 측단부가 가이드 레일(46)의 한쪽 단부측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근접됨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차량의 도어 슬라이드 작동 동력원인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을 정지시켜서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가 궤도 이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열어주는 동안에는 텐션 리테이너에 의해 와이어에 지속적으로 적절한 텐션을 가하여 와이어의 궤도 순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측 사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동안에는 텐션 리테이너의 주요부인 제1스프링(67A)의 탄성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력이 가해지다가 상기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한쪽 단부측에 근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46)에 구비된 도어 콘택트편에 소정의 힘으로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도어 개방 종료 시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제1스프링(67A)에 가해져서 제1스프링(67A)의 힘을 이기는 순간적인 외부 충격력(즉, 상기 도어의 한쪽 측단부가 도어 콘택트편에 부딪히는 등의 개방 종료 시점시 더 크게 작용하는 충격력)에 대해서는 상기 제1스프링(67A)보다 길이는 짧고 단면적(굵기)는 상대적으로 더 큰 제2스프링(67B)이 2차로 완충 기능을 하게 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무리가 없고 와이어도 적절한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어가 개방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 사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때보다 순간적으로 보다 더 큰 힘(편의상, 상대적 증가력이라 함)이 와이어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순간에는 상기 제2스프링(67B)이 순간적으로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상대적 증가력을 흡수하므로, 상기 도어의 개방도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와이어의 텐션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축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 드럼(30)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메인 드럼(10)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메인 드럼(10)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와이어(40A)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서 풀어져 있던 상태에서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다시 감겨지고 제2와이어(40B)는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던 상태에서 풀어지면서 와이어 자체가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궤도 이동(무한 궤도 이동)을 하므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의 도어가 슬라이드식으로 닫혀지게 된다. 이때, 차량의 다른 쪽 측단부가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측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근접됨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의해 차량의 도어 슬라이드 작동 동력원인 구동모터(20)의 모터축 회전을 정지시켜서 차량의 도어가 다시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와이어가 궤도 이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닫고 있는 도중에는 텐션 리테이너에 의해 와이어에 지속적으로 적절한 텐션을 가하여 와이어의 궤도 순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측 사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동안에는 텐션 리테이너의 주요부인 제1스프링(67A)의 탄성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력이 가해지다가 상기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측에 근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측에 구비된 도어 콘택트편에 소정의 힘으로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도어 폐쇄 종료 시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제1스프링(67A)에 가해져서 제1스프링(67A)의 힘을 이기는 순간적인 외부 충격력(즉, 상기 도어의 한쪽 측단부가 도어 콘택트편에 부딪히는 등의 폐쇄 종료 시점시 더 크게 작용하는 충격력)에 대해서는 상기 제1스프링(67A)보다 길이는 짧고 단면적(굵기)는 상대적으로 더 큰 제2스프링(67B)이 2차로 완충 기능을 하게 되므로, 도어을 닫을 때에도 무리가 없고 와이어도 적절한 텐션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어가 폐쇄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 사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때보다 순간적으로 보다 더 큰 힘(편의상, 상대적 증가력이라 함)이 와이어에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순간에는 상기 제2스프링(67B)이 순간적으로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텐션 작동 지지체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상대적 증가력을 흡수하므로, 상기 도어의 개방도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와이어의 텐션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4)의 양면 중에서 한쪽 면 위치에는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을 설치하고, 프레임(4)의 다른 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하여 구동 드럼(30)의 회전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메인 드럼(10)에 전달하여 메인 드럼(10)을 회전시키고, 메인 드럼(1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드럼(10)과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가 궤도 이동(무한궤도 순환)하면서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그 자체의 폭이 매우 슬림해질 수 있으므로, 차량에 설치할 때에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를 해소한 장점이 있으며, 이처럼 슬라이드 도어 개폐 장치가 차체 외부로 설치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승객이 차량 승차시 튀어나온 부분에 의해 걸리적거려서 불편함이 초래되는 경우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차량 자체의 폭도 커지는 경우를 방지하며, 차량 자체의 폭이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해 커지는 일이 생기지 않는 만큼 차량 승하차시 도로를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주차시에 주차 공간도 많이 요구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도 전혀 생기지 않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드럼(10)의 양쪽 위치로 연장되는 와이어(정확하게는, 제1와이어(40A)와 제2와이어(40B) 부분)가 상향으로 볼록하게 구배가 있는 슬리브(50) 내부로 통과되어 궤도 순환함으로써, 상기 상향 볼록한 구조의 슬리브(50)에 의해 와이어가 쳐져서 주변 부품 등에 걸려 말리는 것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슬리브(50)가 아치 구조처럼 상향으로 볼록하게 아치형 구배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치 구조의 특성상 슬리브(50) 자체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과 슬리브(50) 내부로 통과하는 와이어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와이어의 궤도 이동시 와이어가 주변 부품에 걸려서 궤도 순환 중에 말리거나 하는 일이 전혀 생기지 않으므로, 작동상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양단부측 사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동안에는 텐션 리테이너의 주요부인 제1스프링(67A)의 탄성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탄성력이 가해지다가 상기 도어가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측에 근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다른 쪽 단부측에 구비된 도어 콘택트편에 소정의 힘으로 부딪히거나 하는 등의 도어 폐쇄 종료 시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제1스프링(67A)에 가해져서 제1스프링(67A)의 힘을 이기는 순간적인 외부 충격력, 다시 말해, 상기 상대적 증가력에 대해서는 제2스프링(67B)이 완충 작용을 하게 되면서 상대적 증가력을 흡수하므로, 상기 도어의 개방과 닫힘 작동도 더욱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와이어의 텐션도 더욱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제1스프링(67A)에 의해서 1차로 도어를 개폐할 때의 외력 하중을 흡수하여 와이어의 텐션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작동이 1차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차량의 도어가 개방 종료 시점과 폐쇄 종료 시점에서는 제2스프링(67B)이 한번 더 2차로 상대적으로 더 큰 외력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2중으로 외력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들에는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며, 테이퍼부의 외주면에는 널링부(NP)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들에 결합되는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의 축홀은 상기 회전축들의 테이퍼부 외주면에 그 내주면이 밀착되는 테이퍼홀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들의 테이퍼부와 상기 축홀들의 테이퍼홀에는 각각 널링부(NP)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들에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들이 결합될 때에 상기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의 널링부(NP)와 구동 스프로켓(26) 및 종동 스프로켓(27)들의 테이퍼홀의 널링부(NP)끼리 꺼끌꺼끌한 면으로 가압 밀착되므로, 상기 널링부(NP)에 의해 상기 구성들의 결합 부분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이 구동 드럼(30)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대해 공회전하는 슬립 현상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스프로켓들의 슬립 현상으로 인해 와이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차량의 도어가 제대로 개폐되지 못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을 각각 구동 드럼(30)의 회전축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볼트 등의 체결구를 조여서 상기 스프로켓들을 고정할 때에 상기 테이퍼부와 테이퍼홀의 밀착 가압력을 작용시키더라도 상기 스프로켓들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차량의 주행시 생기는 덜컹거리는 현상에 의한 외력)에 의해 스프로켓 자체가 드럼들의 회전축 외주면에서 순간적으로 상대 슬립될 수 있고, 이처럼 스프로켓이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대 슬립되는 현상이 생기다 보면 스프로켓을 드럼들의 회전축에 결합한 상기 체결구가 풀어질 여지가 있으며, 이처럼 체결구가 풀어져 버리면 스프로켓 자체가 드럼들에 대해 공회전하여 구동모터(20)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와이어를 궤도순환시키려 하더라도 공회전하는 스프로켓에 의해 동력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도어의 개폐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을 각각 구동 드럼(30)의 회전축과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볼트 등의 체결구를 조여서 상기 스프로켓들을 고정할 때에 상기 테이퍼부와 테이퍼홀의 밀착 가압력에 더하여 상기 드럼들과 스프로켓들의 각각의 꺼끌꺼끌한 널링부(NP)의 가압 밀착 마찰력까지 더해짐으로써, 차량 주행 중에 생기는 외력 등이 작용(즉, 덜컹거리는 등의 외력 등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널링부(NP)에 의해 스프로켓들이 드럼의 회전축들 외주면에서 순간적으로 슬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처럼 스프로켓이 드럼의 회전축 외주면에서 상대 슬립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만큼 상기 와이어 궤도 순환을 위한 동력을 전달할 때에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종동 스프로켓(27)이 헛도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도어 개폐 작동시의 신뢰성을 더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를 위한 주동력원인 구동모터(20)는 전원(배터리 전원 등)이 공급되면 모터축이 회전하고, 전기의 공급이 끊기면 모터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특수한 모터를 채용함으로써, 필요시 차량의 도어를 사람이 수동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4. 프레임 10. 메인 드럼
20. 구동모터 26. 구동 스프로켓
27. 종동 스프로켓 28. 체인
30. 구동 드럼 40. 작동 와이어
40A. 제1와이어 40B. 제2와이어
46. 가이드 레일 47. 가이드 슬라이더
50. 슬리브 62. 텐션 베이스 브라켓
63. 승강 회동 브라켓 64. 텐셔닝 롤러
65. 텐셔닝 연결 브라켓 66. 텐션 작동 지지체
67. 스프링 67A. 제1스프링
67B. 제2스프링

Claims (8)

  1. 차량에 장착된 도어를 슬라이드 개폐시키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드럼(10)과;
    상기 메인 드럼(1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드럼(10)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0)의 상기 모터축 회전시 상기 메인 드럼(10)을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 드럼(30)과;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에 따라 궤도 운동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작동 와이어(40)와;
    상기 메인 드럼(10)과 상기 구동모터(20) 및 상기 구동 드럼(30)이 장착된 프레임(4)과;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메인 드럼(10)과 상기 차량의 상기 도어 사이에 연결된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텐션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4)에 구비된 텐션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 리테이너는,
    상기 프레임(4)에 구비된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상기 프레임(4)에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회동 브라켓(63)과;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드럼(10)에 연결된 상기 작동 와이어(40)가 외주면으로 지나가서 상기 작동 와이어(40)에 누르는 힘을 가하는 위치에 배치된 텐셔닝 롤러(64)와;
    상기 텐셔닝 롤러(64)와 동시에 승강되도록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며 그 하부측의 축부재(65a)는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에 상대 승강되도록 결합된 텐셔닝 연결 브라켓(65)과;
    상기 텐셔닝 연결 브라켓(65)의 상기 축부재(65a)에 구비된 텐션 작동 지지체(66)와;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회동 브라켓(63)과 상기 텐셔닝 롤러(64)를 탄성적으로 당겨서 상기 작동 와이어(4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프링(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럼(10)에는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쪽 편심된 위치에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드럼(10)에서 회전 중심부를 기준으로 다른 쪽 편심된 위치에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다른 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드럼(10)의 한쪽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 부분과 메인 드럼(10)의 다른 쪽 편심된 위치에 연결된 작동 와이어(40)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메인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풀어지면서 상기 차량의 상기 도어가 슬라이딩 개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럼(10)과 상기 구동모터(20) 및 상기 구동 드럼(30)은 프레임(4)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4)이 상기 차량의 차체에 고정됨으로 인하여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10)이 상기 차체에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는 그 양단부에 상기 메인 드럼(10) 양쪽 위치로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4)에는 상기 메인 드럼(10)에 연결되어 양쪽 위치로 배치된 상기 작동 와이어(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슬리브(50)가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50)는 상부측으로 볼록하게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7)은 상기 텐션 베이스 브라켓(62)과 상기 텐션 작동 지지체(66)에 양단부가 접촉된 제1스프링(67A)과,
    상기 제1스프링(67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더 굵게 이루어진 제2스프링(6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중앙부의 축홀이 상기 구동 드럼(30)의 회전축에 끼워져서 결합된 구동 스프로켓(26)과;
    중앙부의 축홀이 상기 메인 드럼(10)의 회전축에 결합된 종동 스프로켓(27)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27)에 연결된 체인(2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10)의 상기 회전축들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27)의 상기 축홀들의 내주면에는 각각 널링부(NP)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10)의 상기 회전축들의 외주면에 상기 구동 스프로켓(26)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27)들의 상기 축홀들이 끼워져 결합될 때에 서로 맞닿는 상기 널링부(NP)들에 의해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10)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는 상기 구동 드럼(30)과 상기 메인 드럼(10)의 측방향 위치에 가이드 레일(46)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 슬라이더(47)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47)에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 와이어(40)의 일부와 상기 가이드 슬라이더(47)가 상기 가이드 레일(46)의 내부를 따라 궤도 이동할 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슬라이드 개폐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46)은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의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1020130002640A 2013-01-09 2013-01-09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KR101306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40A KR101306886B1 (ko) 2013-01-09 2013-01-09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40A KR101306886B1 (ko) 2013-01-09 2013-01-09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886B1 true KR101306886B1 (ko) 2013-09-10

Family

ID=4945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640A KR101306886B1 (ko) 2013-01-09 2013-01-09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8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29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체인 도어
KR20220138266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아성기업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558A (ja) * 2005-05-16 2006-11-2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開閉駆動装置におけるワイヤのテン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558A (ja) * 2005-05-16 2006-11-24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開閉駆動装置におけるワイヤのテンション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29A (ko) * 2018-11-26 2020-06-03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체인 도어
KR102130451B1 (ko) 2018-11-26 2020-07-07 주식회사 아성기업 차량용 체인 도어
KR20220138266A (ko) *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아성기업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KR102556072B1 (ko) * 2021-04-05 2023-07-17 주식회사 아성기업 승합차용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작동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996B2 (ja) モータ作動式垂直移動型ゲート
CN107002461B (zh) 用于窗卷帘和遮光帘的可调节的安装系统
EP2210752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vehicle door
CN101351612A (zh) 闭锁元件,特别是用于人员通行控制用通道栅门
JP5408548B2 (ja) サイドミラーユニット
JP2006348668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1306886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JPWO2008114344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20200016330A (ko) 카 도어 로킹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KR20120002832U (ko) 좌우 세정이 가능한 비데 장치
JP4354175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6389772B2 (ja) ホーム柵
JP2010126144A (ja) 可動式ホーム柵
US20200001686A1 (en) Shading device for a window of a motor vehicle
JP2007270426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6195588B2 (ja) ホーム柵
JP6366482B2 (ja) 引戸装置
JP568714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472862B2 (ja) 建築用電動開閉装置
CN115279683B (zh) 乘客输送机的梯级连杆结合用假轴和将梯级连杆连结体的梯级连杆分离的方法
JPH0245426Y2 (ko)
US20160303950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JP2009234708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528310Y2 (ko)
JP4485675B2 (ja) 戸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