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020A -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020A
KR20180115020A KR1020170047131A KR20170047131A KR20180115020A KR 20180115020 A KR20180115020 A KR 20180115020A KR 1020170047131 A KR1020170047131 A KR 1020170047131A KR 20170047131 A KR20170047131 A KR 20170047131A KR 20180115020 A KR20180115020 A KR 20180115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power
uni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879B1 (ko
Inventor
강성자
Original Assignee
강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자 filed Critical 강성자
Priority to KR102017004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87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enabling manual drive, e.g. in case of power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4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모듈은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상기 자동차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시키는 도어구동부,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 및 상기 도어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제어부에서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도어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SLIDING DOOR CONTROL MODUL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도어를 개폐하는 구성인 도어구동부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승합차는 제조단계에서 슬라이딩이 적용이 가능하지만, 많은 사람이 탑승되는 차량에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슬라이딩도어는 자동차 본체의 측면 및 하부에 마련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탑승자가 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도어는 자동차 본체의 측면을 따라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 즉,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므로 탑승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주위로부터 간섭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도어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을 운송하는 차량에 여닫이도어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으며, 여닫이도어가 장착된 차량은 이동 중에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의 돌발적인 행동으로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차량이 있음에도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차량을 구매 해야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해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런 슬라이딩도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조단계에서 장착되지 않으며 일반 사용자가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차량을 소지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소지하고 있는 차량에 간단한 설계변경으로 슬라이딩도어를 장착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 모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승합차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하차하여 슬라이딩도어를 직접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이는 자동차가 경사면에 위치했을 때,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주의가 요망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슬라이딩도어는 자체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개폐 시 큰 힘이 요구되며 슬라이딩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과정에서 슬라이딩도어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탑승자가 어린이나 노약자, 장애인과 같이 슬라이딩도어 개폐조작이 능숙하지 아니한 경우, 슬라이딩도어 개폐를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준비된 차량에 쉽게 슬라이딩도어를 적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슬라이딩도어를 자동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동력클러치가 적용되어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동모드에서는 운전자가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슬라이딩도어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제어할 뿐 아니라, 슬라이딩도어 선단에 충돌방지 센서가 장착되어 차량에 승하차 중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모듈은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상기 자동차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시키는 도어구동부,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 및 상기 도어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제어부에서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도어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도어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자동모드 및 상기 도어구동부의 구동여부와 별도로 상기 동력전달부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도어구동부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수동모드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자동차 내부에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구비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변속기가 주행모드인 경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차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구동부에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도어구동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며, 상기 도어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광을 조사하여 수광되는 빈도에 따라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발생되는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구동부는,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수동을 조작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수동모드에서 상기 핸들로 상기 도어구동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클러치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 방향 선단에 장착되는 충돌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이전에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 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구동부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클러치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동력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슬라이딩도어 선단에 충돌방지부가 구비되어 차량에 승하차 중에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면서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동력전달부에 감지수단이 적용되되, 감지수단을 통해 동력제어부가 슬라이딩도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서 도어구동부와 도어제어부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서 도어제어부가 동력클러치의 조작에 의해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서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서 동력제어부에 의해 슬라이딩도어의 속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서 슬라이딩도어에 충돌방지부가 구비되고 동력제어부에 의해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서 충돌방지부를 통해 동력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자동차(10)의 도어(20)를 개조하기 위한 킷트(KIT)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며 자동차(10)의 종류에 대응하여 이 후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을 자동차(10)의 구조에 적용하여 일반적인 여닫이 도어(20)를 슬라이딩 도어(20)로 개조할 수 있는 발명의 형태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도어구동부(100), 도어제어부(200) 및 동력전달부(300)를 포함한다.
도어구동부(100)는 슬라이딩도어(20) 내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도어(20)가 자동차(10)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를 락킹시키는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구동부(100)는 슬라이딩도어(20)의 일부에 장착된 핸들(22)의 조작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되었을 경우 핸들(22)의 조작없이는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위치로 이동되지 않게 개방된 위치에서 락킹(ROCKING)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슬라이딩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서 핸들(22)을 오른쪽으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딩도어(20)는 오른쪽을 향해 개방되도록 슬라이딩 된다.
이때 핸들(22)은 오른쪽으로 회동되어 있어서, 비탈킬이나 경사진 곳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즉, 핸들(22)이 왼쪽으로 회동되지 않는 이상 왼쪽(폐쇄되는 위치)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핸들(22)이 왼쪽으로 회동되어 있으면,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위치, 즉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핸들(22)이 왼쪽으로 이동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도어(20)가 오른쪽(개방되는 위치)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도어구동부(100)는 핸들(22)의 조작에 따라 개방과 폐쇄가 락킹이 되어 개방 중, 또는 폐쇄 중에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탑승자들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구동부(100)는 도어제어부(2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서 도어구동부(100)와 도어제어부(200)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서 도어제어부(200)가 동력클러치(320)의 조작에 의해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서 동력전달부(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서동력제어부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먼저 도어제어부(200)는 자동차(10)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구동부(1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할 수 있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제어부(200)는, 운전석 주변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박스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슬라이딩도어(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제어부(200)는 크게 수동모드(미도시) 또는 자동모드(미도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수동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22)을 조작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개폐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자동모드는 도어구동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동력전달부(300)에 도어제어부(200)가 신호를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동력전달부(300)는 도어구동부(1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제어부(200)에서 신호를 제공받아 도어구동부(100)에 동력을 선택하여 전달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300)는 동력클러치(320), 구동모터(340), 감지수단(380), 장력조절수단(360)을 포함한다.
먼저 동력클러치(320)는 도어구동부(100)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동력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도어구동부(100)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동력은 동력클러치(3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동력클러치(32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40)에서 나온다.
구동모터(340)는 자동차(10)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동력클러치(320)와 체인으로 연결되면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동력클러치(320)와 구동모터(340) 사이에는 감지수단(380)이 구비되어 구동모터(340)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동력클러치(320)와 동일한 동력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구동모터(340)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동력클러치(320)와 감지수단(380)이 함께 회전되며, 동력클러치(320)는 선택적으로 도어구동부(10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300)에서 동력클러치(320)가 슬라이딩도어(2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제어부(200)가 동력전달부(300)에 신호를 전달하여 동력클러치(320)가 도어구동부(100)에 동력을 전달하면서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클러치(320)는 도어구동부(100)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동력클러치(32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동력클러치(320)가 도어구동부(10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34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제어부(200)는 상기 자동모드에서 동력클러치(320)를 제어하여 동력이 도어구동부(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모드가 실행되면 동력전달부(30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가 가능해지며 따라서 사용자가 슬라이딩도어(20)를 차량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버튼을 통해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제어부(200)는 도어구동부(10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동력전달부(300)에 신호를 제공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는 상기 자동모드 및 도어구동부(100)의 구동여부와 별도로 동력전달부(300)에 신호를 제공하여 도어구동부(100)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상기 수동모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도어제어부(200)는 동력클러치(320)에 전류를 인가하여 도어구동부(100)를 제어하면서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로 제어하게 된다.
동력전달부(300)는 감지수단(380)이 구비되는데 감지수단(380)은 상기 자동모드에서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감지수단(380)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비되어 홈을 통과한 광에 대한 정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정보를 저장하고 도어제어부(200)가 상기 속도정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도어제어부(200)는 상기 자동모드에서 슬라이딩도어(20)가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모터에 부하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0)는 차량의 외측면 일부에 설치된 레일(미도시)을 통해 슬라이딩되는데, 상기 레일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를 동력전달부(300)가 이동시키면서 슬라이딩도어(20)가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동체 본체의 일면에는 동력전달부(300)가 구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레일이 구비되는 형태가 되어야 바람직 할 것이다.
여기서 동력전달부(300)는 슬라이딩도어(20)의 슬라이딩 속도를 균일하게 하게 위해 장력조절수단(360)(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된다.
도 3에 동력전달부(300)의 전체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동력전달부(300)는 구동모터(340) 감지수단(380) 동력클러치(320) 및 장력조절수단(360)을 포함한다.
동력의 전달경로를 살펴보면, 구동모터(340)에서 발생된 동력이 감지수단(380)에 전달되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동력클러치(320)에 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구동모터(340), 동력클러치(320) 및 감지수단(380)의 배치는 일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한 차량의 길이에 대응하여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실시예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40)는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도록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클러치를 통해 동력이 슬라이딩도어(20)에 전달되므로 개방방향에서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도어(20)가 방향을 전환할 경우, 순간적으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력조절수단(360)이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40)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가 상기 개방방향에서 상기 폐쇄방향 또는 상기 폐쇄방향에서 상기 개방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 손실로 인해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제어부(200)는 동력클러치(32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자동모드에서 구동모터(340)에 신호를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제어부는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를 제어한다.
기본적으로는 슬라이딩도어(20)가 등속도로 슬라이딩 되며, 이에 대한 속도를 조절한다.
이는 슬라이딩도어(20)가 끝까지 개방되었을 때, 슬라이딩 되는 속도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구동모터(340)에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 속도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0)의 슬라이딩 되는 속도를 구간 별로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제어부(200)는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 안에서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 개방 및 폐쇄에 따른 충격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되면서 슬라이딩도어(2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이 완료되기 전에 슬라이딩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폐쇄가 완료되기 전에 슬라이딩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개방 및 폐쇄 중에 차량에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또한 충격이 구동모터(340)에 전달되어 장비손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표에서,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될 때, 완전히 개방 또는 완전히 폐쇄되는 시점에서 속도(VELOCITY)가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속도가 감소된 슬라이딩도어(20)는 도어구동부(100)에 의해 락킹이 실시되어 경사면에서도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속도는 도어제어부(200)에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값을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도어(20)의 선단에는 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장치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어제어부(200)는 슬라이딩도어(20)의 상태변경을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도어(20)의 일부에 도어핀(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핀이 상기 자동차(10)의 본체에 삽입 또는 간섭되면서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었다는 신호를 도어제어부(200)에 전달 한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340)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되었음을 도어제어부(200)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도어제어부(200)는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상태에 따른 다음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340)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에 대한 신호는 상기 도어핀이 자동차(10)의 본체에 삽입되는 신호보다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도어제어부(200)가 보다 신속하게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제어부(200)가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 동작의 신호를 전달 받는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제어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핸들(22)을 조작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어제어부(200)를 상기 수동모드로 전환하여야 하며, 동력전달부(300)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상기 자동모드만 있을 경우, 사용자가 핸들(22)을 이용하여 도어구동부(100)를 조작하려고 하면 구동모터(340)에 연결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도어(20)의 조작이 쉽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동력클러치(320)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동력클러치(320)가 구동모터(340)와 도어구동부(100)와의 연결이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0)는 충돌방지부(24)가 구비되어 차량 탑승 간에 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서 슬라이딩도어(20)에 충돌방지부(24)가 구비되고 동력제어부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가 상기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제어모듈에서 충돌방지부(24)를 통해 동력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방향의 선단에 구비되며 도어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물체 또는 신체 일부와 일정수준 이하의 거리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더 이상 상기 폐쇄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정지하거나 상기 개방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충격정보를 통해 도어제어부(200)가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도어(20)가 상기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있다(S01).
이때 충돌방지부(24)는 상기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방으로 물체를 감지하도록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포함 된다.
따라서 충돌방지부(24)는 폐쇄되는 중에 차량을 탑승하는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인체를 감지하게 되고(S02), 도어제어부(200)가 슬라이딩도어(20)를 정지시키게 된다(S03).
계속해서 물체 또는 인체가 감지되면 도어제어부(200)는 슬라이딩도어(20)를 상기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적용이 된다.
충동방지부는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물체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압착센서(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압착센서는 외력이 인가되어 압착될 때 전기적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충돌방지부(24)는 상기 폐쇄방향의 전방으로 물체 또는 인체의 일부를 감지하거나, 순간적으로 접촉하였을 경우 신호를 발생하여 도어제어부(200)가 슬라이딩도어(20)의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차(10) 내부에 슬라이딩도어(20)가 개폐되는 방향으로 별도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운전석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식이 적용되어 승하차 시 사용자는 운전석에서 승하차를 관찰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는 도어제어부(200)에 의해 상하 좌우 이동이 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20)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구동할 수 있는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간단한 설계변경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키트(KIT)로 구성되어 있어서, 허가를 받은 차량을 대상으로 간단하게 슬라이딩도어(20)를 장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ACTUATOR)의 구조를 가지는 도어구동부(100)를 자동차(10) 본체의 상기 레일상에 배치시키고, 구동모터(340) 및 동력클러치(320)이 구비된 동력전달부(300)를 자동차(10) 본체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상기 자동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수동모드로 슬라이딩도어(20) 에 구비된 핸들(22)을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해 어린이가 승하차 하는 자동차(10)에서 사용자는 승하차 하는 인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자동차
20: 슬라이딩도어
22: 핸들
24: 충돌방지부
100: 도어구동부
200: 도어제어부
300: 동력전달부
320: 동력클러치
340: 구동모터
360: 장력조절수단
380: 감지수단

Claims (12)

  1.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상기 자동차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시키는 도어구동부;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도어제어부; 및
    상기 도어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제어부에서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도어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도어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자동모드 및 상기 도어구동부의 구동여부와 별도로 상기 동력전달부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도어구동부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수동모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자동차 내부에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변속기가 주행모드인 경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구동부에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도어구동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며, 상기 도어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동력을 차단하는 동력클러치;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동력전달부 사이에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광을 조사하여 수광되는 빈도에 따라 속도를 감지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발생되는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부는,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수동을 조작할 수 있는 핸들;
    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수동모드에서 상기 핸들로 상기 도어구동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클러치에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 방향 선단에 장착되는 충돌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이전에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시키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KR1020170047131A 2017-04-12 2017-04-12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KR10212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31A KR102129879B1 (ko) 2017-04-12 2017-04-12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131A KR102129879B1 (ko) 2017-04-12 2017-04-12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020A true KR20180115020A (ko) 2018-10-22
KR102129879B1 KR102129879B1 (ko) 2020-07-03

Family

ID=6410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31A KR102129879B1 (ko) 2017-04-12 2017-04-12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390B2 (ja) * 1999-11-29 2004-12-15 日産車体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300129B1 (ko) * 2012-02-27 2013-08-26 안호경 도어록킹 콘트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16097940A (ja) * 2014-11-26 2016-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モジュール
JP2016113758A (ja) * 2014-12-11 2016-06-2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390B2 (ja) * 1999-11-29 2004-12-15 日産車体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300129B1 (ko) * 2012-02-27 2013-08-26 안호경 도어록킹 콘트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16097940A (ja) * 2014-11-26 2016-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モジュール
JP2016113758A (ja) * 2014-12-11 2016-06-2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879B1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4384B2 (ja)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DE102008025669B4 (de) Fahrzeugschliesseinrichtungsbetä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nicht freie Hände
MX2015001681A (es) Puerta electrica de doble funcion.
JP2007170167A (ja) 外部の力が操作する引き扉を持ち、窓のモジュールの閉じた状態も監視する車両
JP2007170167A6 (ja) 外部の力が操作する引き扉を持ち、窓のモジュールの閉じた状態も監視する車両
JP2019035318A (ja) 自動車のシステム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CN109281556B (zh) 用于检测封闭件的未闭锁状况的系统及方法
KR101836805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
JP2009127301A (ja) 車両用の開閉体の開放防止方法及び開閉体の開放防止装置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2141466B1 (ko)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CN114144561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KR20180115020A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KR101300129B1 (ko) 도어록킹 콘트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70047689A (ko) 에어백 정보를 이용하는 끼임 방지 방법
JP469429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
KR101306103B1 (ko)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KR101611250B1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시스템
JP6414383B2 (ja) 車両のドア開閉装置
CN113085743A (zh) 车载显示器件
JP4569421B2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KR20070063324A (ko) 도어개폐장치
CN112154248A (zh) 紧急致动装置
KR20040016736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JP5625789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