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357A -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357A
KR20180114357A KR1020170045984A KR20170045984A KR20180114357A KR 20180114357 A KR20180114357 A KR 20180114357A KR 1020170045984 A KR1020170045984 A KR 1020170045984A KR 20170045984 A KR20170045984 A KR 20170045984A KR 20180114357 A KR20180114357 A KR 2018011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mode
shift lever
oscill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920B1 (ko
Inventor
윤영민
정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63Cr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91Clutch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속발진제어의 진입 및 해제 제어를 쉽고 안전하게 실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정지상태에서 매뉴얼주행모드 또는 스포츠주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시,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 적산량에 따라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 제어하며; 상기 변속레버 및 패들시프터의 조작신호나, 차량의 가속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가속발진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START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S}
본 발명은 가속발진제어의 진입 및 해제 제어를 쉽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경주용 차량과 같은 고성능 차량은 물론, 일반 차량에서 스포츠모드의 차별화를 위해 가속발진제어(최대 발진제어)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가속발진제어는 정지상태에서 차량의 발진시, 최대의 발진 성능을 발휘하도록 ECU와 TCU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기술로, 차량의 정지시 엔진을 고RPM으로 유지하여 발진 가속도가 최대가 되도록 클러치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차량의 제로백(0-100kph 도달 소요시간) 성능을 향상시켜 운전의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데에 있다.
특히, DCT나 AMT와 같은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토크컨버터가 없기 때문에 D단에서 엔진회전수를 높게 유지하더라도 차량에 부하를 주지 않기 때문에 최대 발진 제어를 하기에 적당하다.
한편, 기존의 경우, 가속발진제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을 동시에 밟거나, 여기에 더하여 별도 마련된 컨트롤스위치를 함께 조작했을 때에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설계된 것이 있다.
또한, 엔진RPM을 가변하기 위해서도 별도 마련된 오트크루즈 컨트롤 스위치를 조작하여 엔진RPM을 가변하는 데에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가속발진모드 진입방법은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을 동시에 밟아야 하기 때문에 양발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오작동시 위험한 운전상황으로 돌변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또한 파워트레인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694042 B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속발진제어의 진입 및 해제제어를 쉽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정지상태에서 매뉴얼주행모드 또는 스포츠주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가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 상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시, 제어부가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 적산량에 따라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 제어하는 아이들속도 가변단계; 및 상기 변속레버 및 패들시프터의 조작신호나, 차량의 가속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가속발진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가 상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차량이 정지한 도로의 구배와, 브레이크 상태와, 클러치온도가 발진제어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를 S단 또는 M단에 위치시키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를 D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패들시프터를 조작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이들속도 가변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를 수동조작시, 그 조작 방향에 따라 조작 적산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상기 조작 적산량에 비례하여 엔진 아이들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속도 가변단계 이 후에, 브레이크 상태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판단단계; 상기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인 경우, 크립주행을 제한하는 크립주행 제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를 S단 또는 M단 이 외에 위치로 변경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APS 신호가 온 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1속에서 2속으로의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를 (-)방향으로 조작하여 그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만으로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함으로써, 가속발진제어의 진입이 쉽고 안전하게 구현되어, 운전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또한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의 가변제어가 기설치된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에 따라 구현됨으로써, 아이들속도의 가변 조작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실시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DCT가 탑재된 차량의 파워트레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 제어방법에서 변속레버를 이용한 가속발진모드의 진입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가속발진모드 해제 제어의 다른 제어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 제어방법에서 패들시프터를 이용한 가속발진모드 진입 제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가속발진모드 해제 제어의 다른 제어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발진제어가 적용된 경우의 엔진 아이들속도 가변 제어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DCT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표시된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DCT에 구비된 두 개의 클러치 중에서 결합측 클러치 및 해방측 클러치를 각각 CL1 및 CL2의 도면부호로 기재하고, 이들을 작동하는 결합측 클러치액추에이터 및 해방측 클러치액추에이터를 CLA1, CLA2의 도면부호로 표시하였으며, 결합측 입력축과 해방측 입력축을 각각 INPUT1 및 INPUT2의 도면부호로 표시하였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현재 변속단을 형성하고 있는 클러치와 목표 변속단 형성을 위한 클러치가 어떠한 클러치인지에 따라 결합측과 해방측은 서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서 도면부호 5는 가속페달 답입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페달센서이고, 도면부호 7은 브레이크페달 답입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브레이크페달센서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은 크게,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와, 아이들속도 가변단계 및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차량의 정지상태에서 매뉴얼주행모드 또는 스포츠주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9)가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들속도 가변단계에서는, 상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변속레버(1) 또는 패들시프터(3)의 조작시, 제어부(9)가 상기 변속레버(1) 또는 패들시프터(3)의 수동조작 적산량에 따라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1) 및 패들시프터(3)의 조작신호나, 차량의 가속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가속발진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9)가 상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조작만으로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함으로써, 가속발진제어의 진입이 쉽고 안전하게 구현되어, 운전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이게 되고, 또한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의 가변제어가 기설치된 변속레버(1) 또는 패들시프터(3)의 조작에 따라 구현됨으로써, 아이들속도의 가변 조작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실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차량이 정지한 도로의 구배와, 브레이크 상태와, 클러치온도가 가속발진모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한 도로의 구배가 A 미만이고, 브레이크가 온 상태이며, 클러치온도가 B 미만인 경우 가속발진모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변속레버(1)를 S단 또는 M단에 위치시키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변속레버(1)를 S단에 위치하여 스포츠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M단에 위치하여 매뉴얼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단과 M단은 변속게이트에 형성되어 변속레버를 통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변속게이트에 S단을 두지 않은 경우 스포츠주행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조작스위치가 마련되어, 스포츠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들시프터(3)의 조작을 통해 하기의 아이들속도 가변제어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로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변속레버(1)를 D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패들시프터(3)를 조작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D단에서 (+) 또는 (-)방향의 패들시프터(3)를 한 번 조작하면, 매뉴얼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들속도 가변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1) 또는 패들시프터(3)의 조작시, 그 조작 방향에 따라 조작 적산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상기 조작 적산량에 비례하여 엔진 아이들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4와 같이 변속레버(1)를 S단 또는 M단에 위치시켜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는, 변속레버(1)를 (+)방향으로 조작하는지 또는 (-)방향으로 조작하는지에 따라 조작 횟수가 카운트되어 조작 적산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조작 적산량이 높아질수록 엔진 아이들속도가 함께 높아지는 방향으로 가변 제어된다.
더불어, 상기 아이들속도 가변단계 이 후에, 브레이크 상태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판단단계와, 상기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인 경우, 크립주행을 제한하는 크립주행 제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황에서는 엔진 아이들속도가 높게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 클러치를 슬립시켜 크립주행을 실시하게 되면 클러치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크립주행을 제한하여 클러치의 온도상승을 방지함은 물론, 클러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상기 매뉴얼주행모드 또는 스포츠주행모드 이 외에 다른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의 예시와 같이, 변속레버(1)를 S단 또는 M단에 위치시켜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경우에, 변속레버(1)가 상기 S단과 M단 이 외의 위치로 변경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APS 신호가 온 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차량을 출발하려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시, 가속발진모드를 즉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의 다른 예시로서, 도 3 및 도 5와 같이 1속에서 2속으로의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차량을 출발시킨 후에, 변속패턴에 의해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이 진행되는 시점에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에, 본 발명에 따른 가속발진모드에서는 변속패턴이 변경되거나 후방으로 오프셋 이동되어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고, 이에 차량의 발진이 더욱 빠르고 스포티하게 이루어져 제로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속발진모도 해제단계의 또 다른 예시로서, 변속레버(1) 또는 패들시프터(3)를 (-)방향으로 조작하여 그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변속레버(1)를 조작하여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변속레버(1)를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조작 유지하여 가속발진모드가 해제될 수 있고,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패들시프터(3)를 조작하여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패들시프터(3)를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조작 유지하여 가속발진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 제어과정의 제어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는 제어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이 정지상태이고, 차량이 정지한 도로의 구배가 A 미만이며, 브레이크가 온 상태이고, 클러치온도가 B 미만인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위치가 M단 또는 S단에 있는지 판단한다(S10~S50).
판단 결과, 이들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 방향 또는 (-)방향으로 조작하는지 판단하고(S60), 판단 결과 변속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변속레버의 조작방향 및 조작횟수를 기반으로 조작 적산량을 산출하며(S70), 산출된 조작 적산량에 따라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 제어한다(S80).
즉, 변속레버를 이동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함으로써, 아이들속도의 가변 제어를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S80 단계에 이어서, 브레이크를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고(S90), 판단 결과 브레이크를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경우, 크립 주행을 제한하여(S100) 클러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과정 중에 가속발진모드 해제시점을 판단하게 되는데, 변속레버의 위치가 S단 또는 M단 이 외에 다른 단으로 변경되는지 판단하고(S110), 다른 단으로 변경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고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정상으로 복원하여 차량의 정상적인 주행을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0).
그리고, 변속레버를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조작 유지하는지 판단하여(S120), 이 경우에도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다만, 변속레버의 위치가 S단 또는 M단에 위치한 상태라 하더라도, 도 2와 같이 APS 신호가 온 되는지 판단하여(S130), 온 되는 경우에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APS신호가 온 되지 않는 경우에는, 여전히 가속발진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S60단계로 이동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APS 신호를 가속발진모드 해제조건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도 3과 같이 1속에서 2속으로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는지 판단하여(S120), 해당 변속이 진행되는 경우에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2속으로의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여전히 가속발진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후에 APS신호가 온 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고(S150), 판단 결과 APS신호가 온 되지 않는 경우, S60단계로 이동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APS신호가 온 되는 경우에는, APS신호에 기반하여 엔진회전수가 높아지게 되는 상태이므로, S80단계 이 후의 단계로 이동하여 엔진 아이들회전수 가변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패들시프터의 조작에 의해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는 제어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이 정지상태이고, 차량이 정지한 도로의 구배가 A 미만이며, 브레이크가 온 상태이고, 클러치온도가 B 미만인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위치가 D단에서 패들시프터의 조작이 있는지 판단한다(S10,S20,S30,S40,S50').
판단 결과, 이들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패들시프터를 (+) 방향 또는 (-)방향으로 조작하는지 판단하고(S60'), 판단 결과 패들시프터를 조작하는 경우, 패들시프터의 조작방향 및 조작횟수를 기반으로 조작 적산량을 산출하며(S70), 산출된 조작 적산량에 따라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 제어한다(S80).
즉, 패들시프터를 당기거나 미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함으로써, 아이들속도의 가변 제어를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과정 중에 가속발진모드 해제시점을 판단하게 되는데, 패들시프터를 (-)방향으로 일정 시간 이상 조작 유지하는지 판단하여(S120'), 이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APS 신호가 온 되는지 판단하여(S110), 온 되는 경우에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APS신호가 온 되지 않는 경우에는, 여전히 가속발진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S60'단계로 이동하여 패들시프터의 조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APS 신호를 가속발진모드 해제조건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도 5와 같이 1속에서 2속으로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는지 판단하여(S140), 해당 변속이 진행되는 경우에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2속으로의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여전히 가속발진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후에 APS신호가 온 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고(S150), 판단 결과 APS신호가 온 되지 않는 경우, S60'단계로 이동하여 패들시프터의 조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APS신호가 온 되는 경우에는, APS신호에 기반하여 엔진회전수가 높아지게 되는 상태이므로, S80단계 이 후로 이동하여 엔진 아이들회전수 가변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만으로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함으로써, 가속발진제어의 진입이 쉽고 안전하게 구현되어, 운전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이게 되고, 또한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의 가변제어가 기설치된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에 따라 구현됨으로써, 아이들속도의 가변 조작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실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변속레버 3 : 패들시프터
5 : 가속페달센서 7 : 브레이크페달센서
9 :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의 정지상태에서 매뉴얼주행모드 또는 스포츠주행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가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
    상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시, 제어부가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의 조작 적산량에 따라 목표 엔진 아이들속도를 가변 제어하는 아이들속도 가변단계; 및
    상기 변속레버 및 패들시프터의 조작신호나, 차량의 가속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가 가속발진모드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가 상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차량이 정지한 도로의 구배와, 브레이크 상태와, 클러치온도가 발진제어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를 S단 또는 M단에 위치시키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진입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를 D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패들시프터를 조작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속도 가변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를 수동조작시, 그 조작 방향에 따라 조작 적산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상기 조작 적산량에 비례하여 엔진 아이들속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속도 가변단계 이 후에,
    브레이크 상태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판단단계;
    상기 브레이크가 오프 상태인 경우, 크립주행을 제한하는 크립주행 제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를 S단 또는 M단 이 외로 위치로 변경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APS 신호가 온 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1속에서 2속으로의 업시프트 변속이 진행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발진모드 해제단계에서는,
    상기 변속레버 또는 패들시프터를 (-)방향으로 조작하여 그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가속발진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KR1020170045984A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KR10197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84A KR101976920B1 (ko)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84A KR101976920B1 (ko)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57A true KR20180114357A (ko) 2018-10-18
KR101976920B1 KR101976920B1 (ko) 2019-05-10

Family

ID=6413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984A KR101976920B1 (ko) 2017-04-10 2017-04-10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763A (ja) * 1995-05-29 1996-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005214221A (ja) * 2004-01-27 2005-08-11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制御装置及び自動変速機
JP2008019946A (ja) * 2006-07-12 2008-01-31 Mazd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システム
JP2014189237A (ja) * 2013-03-28 2014-10-06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JP2015534013A (ja) * 2012-09-25 2015-11-26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ローンチコントロール
JP2016142281A (ja) * 2015-01-29 2016-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101694042B1 (ko) 2015-07-29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진 제어방법
JP2017047733A (ja) * 2015-08-31 2017-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発進制御方法および発進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763A (ja) * 1995-05-29 1996-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005214221A (ja) * 2004-01-27 2005-08-11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制御装置及び自動変速機
JP2008019946A (ja) * 2006-07-12 2008-01-31 Mazd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システム
JP2015534013A (ja) * 2012-09-25 2015-11-26 ジャガー・ランド・ローバー・リミテッドJaguar Land Rover Limited ローンチコントロール
JP2014189237A (ja) * 2013-03-28 2014-10-06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JP2016142281A (ja) * 2015-01-29 2016-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KR101694042B1 (ko) 2015-07-29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진 제어방법
JP2017047733A (ja) * 2015-08-31 2017-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発進制御方法および発進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20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6713B2 (ja)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29528B2 (ja) アクセルペダルの自然復帰の際における自動車の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KR101470138B1 (ko) Amt차량의 변속제어방법
JPWO2013190653A1 (ja) 車両の制御装置
US9586576B2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US943439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09150446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方法を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6035711A1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551628B1 (ko) 자동변속기의 제어 방법
CN113167375B (zh) 车辆的控制装置及车辆的控制方法
US20170158198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KR102530944B1 (ko) 하이브리드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101976920B1 (ko) 차량용 발진 제어방법
JP715324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73565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2227995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492843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KR20180054991A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JP2007002803A (ja) 自動変速機のダウンシフト時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JP2006142963A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2008087668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491029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9275558A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135906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521889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