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085A - 어댑터 - Google Patents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085A
KR20180114085A KR1020187025283A KR20187025283A KR20180114085A KR 20180114085 A KR20180114085 A KR 20180114085A KR 1020187025283 A KR1020187025283 A KR 1020187025283A KR 20187025283 A KR20187025283 A KR 20187025283A KR 20180114085 A KR20180114085 A KR 2018011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onnector
tubular portion
male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코 유키
준지 우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8011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03Nasal or oral feeding-tubes, e.g. tube entering body through nose or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5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xternal enteral feedin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어댑터(1)는, 일단에 암커넥터(1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수커넥터(120)를 구비한다. 암커넥터(110)는,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 관형상부(111)와, 관형상부(111)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115)를 구비한다. 수커넥터(120)는, 통형상의 수부재(121)와, 수부재(121)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통(123)과, 외통(123)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125)를 구비한다. 관형상부(111)와 수부재(121)는 연통되어 있다.

Description

어댑터
본 발명은, 경장영양법에 이용되는 수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입으로부터 섭취할 수 없게 된 환자에게 영양제나 약제 등을 포함하는 액상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영양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영양법에서는, 카테터를 체외로부터 소화관(예를 들면 위) 내에 삽입한 상태로 환자에게 유치한다. 카테터로서는, 환자의 코로부터 삽입하는 경비 카테터나,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하는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 등이 알려져 있다. 카테터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일반적으로 「경장영양제」라고 불린다),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환자에게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액상물을 저류한 용기와,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가, 유연한 튜브 등을 통해 접속된다. 다른 부재를 접속하기 위해, 종래, 액상물의 흐름에 관해 상류측(용기측)의 커넥터(이하 「용기측 커넥터」라고 한다)로서 수커넥터가, 또한, 하류측(환자측)의 커넥터(이하 「환자측 커넥터」라고 한다)로서 암커넥터가, 각각 이용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근래, 경장영양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와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측 커넥터로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암커넥터(910)가, 또, 환자측 커넥터로서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수커넥터(920)가,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국제표준화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암커넥터(용기측 커넥터)(910)는, 중공 원통형상의 관형상부(암부재)(911)를 갖는다. 관형상부(911)의 내주면(9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테이퍼면)이다. 관형상부(91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수나사)(9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수커넥터(환자측 커넥터)(920)는, 통형상의 수부재(921)와, 수부재(921)를 둘러싸는 외통(923)을 갖는다. 수부재(921)와 외통(923)은, 수부재(921)의 기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된 저판(92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수부재(921)의 외주면(9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테이퍼면)이다. 수부재(92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부재(921)를 관통하는 유로(927)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923)의 수부재(92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925)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형상부(911)에 수부재(921)를 삽입하고, 또한, 나선형 돌기(915)와 암나사(925)를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관형상부(911)의 내주면(912)과 수부재(921)의 외주면(922)은, 지름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하는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양자는,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여 면접촉을 한다. 서로 나사식 결합하는 나선형 돌기(915) 및 암나사(925)는,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의 접속 상태를 잠그기 위한 나사 록 기구를 구성한다.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는 액밀성(액상물에 압력을 더해도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상물이 빠져나오지 않는 성질)과 접속 강도(접속된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가 인장력을 더해도 분리되지 않는 성질)가 뛰어난 접속을 제공한다.
국제 공개제2008/152871호 팜플렛
경장영양법을 행하는 경우, 환자의 체내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를 접속하기 직전에, 용기측 커넥터(910)의 관형상부(911)의 선단까지 액상물을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을 접속하면, 관형상부(911) 내에 수커넥터(920)의 수부재(921)가 삽입됨으로써, 관형상부(911) 내의 액상물이, 수부재(921)와 외통(923) 사이의 간극(926) 내로 넘쳐 나온다. 이 액상물은, 경장영양법을 종료하고, 용기측 커넥터(910)와 환자측 커넥터(920)를 분리한 후도, 간극(926) 내에 잔류한다.
수부재(921)의 외주면(922)과 외통(923)의 암나사(925)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다. 따라서, 수부재(921)와 외통(923) 사이의 간극(926)에 예를 들면 면봉을 삽입하여, 간극(926)에 잔류한 액상물을 닦아내는 것은 곤란하다.
환자측 커넥터(920)가 환자에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환자측 커넥터(920)는 당해 카테터와 함께 환자에게 계속 유치된다. 카테터의 교환은, PEG 카테터의 경우, 통상 1~3개월 마다 행해진다. 액상물이 잔류한 환자측 커넥터(920)가 이와 같이 장기에 걸쳐 환자에게 계속 유치되면, 환자측 커넥터(920)는 비위생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마침내는, 환자측 커넥터(920) 내에서 균이 번식하고, 당해 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하고, 중증인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 환자측 커넥터의 수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에 부착하는 액상물을 적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일단에 암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수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암커넥터는,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수커넥터는, 통형상의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와 동축으로, 상기 수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구비한다. 상기 관형상부와 상기 수부재는 연통되어 있다.
경장영양법을 행하는 경우에는, 최초로 어댑터의 암커넥터를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하고, 다음에, 어댑터의 수커넥터에 용기측 커넥터를 접속하고, 그 후, 액상물을 어댑터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로 인해, 용기측 커넥터의 관형상부의 선단까지 액상물이 도입되어 있어도, 환자측 커넥터의 수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 내에 부착하는 액상물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측 커넥터가 장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환자측 커넥터가 비위생 상태에 이를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어댑터는, 경장영양법을 행한 후, 환자측 커넥터 및 용기측 커넥터로부터 분리하고, 교환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암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수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환자측 커넥터와 용기측 커넥터를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개재하여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의 암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어댑터의 암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된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환자측 커넥터와 용기측 커넥터를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된 어댑터를 개재하여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된 어댑터와 환자측 커넥터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와 환자측 커넥터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련된 어댑터의 수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련된 어댑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당해 암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당해 수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전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된 일체 성형품이어도 된다. 이것은, 환자측 커넥터 및 용기측 커넥터에 대한 어댑터의 착탈 작업의 용이화, 및, 어댑터의 제조의 용이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수부재의 기단부와 상기 외통을 연결하는 저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판 또는 상기 외통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경장영양법을 행한 후의 어댑터의 세정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외통 및 상기 암나사를 구비한 외통 부품이 상기 수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해도 된다. 이것은, 경장영양법을 행한 후의 어댑터의 세정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로부터 상기 수부재까지를 포함하는 어댑터 본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된 일체 성형품이어도 된다. 이것은, 어댑터 본체에 대한 외통 부품의 착탈 작업의 용이화, 및, 어댑터 본체의 제조의 용이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관형상부와 동축으로, 상기 관형상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 통형상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암커넥터를 통형상의 수부재를 구비한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환자측 커넥터의 상기 수부재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어댑터와 환자측 커넥터를 분리 후에, 환자측 커넥터의 수부재와 외통 사이의 간극에 액상물이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액밀한 시일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환자측 커넥터의 상기 수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간단한 구성으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관형상부와 상기 수부재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어댑터보다 하류측의 유로(예를 들면,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가 액상물 중의 조대 고형물로 폐색한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상기 수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필터의 막힘의 유무를 용이하게 시인하는데 유리하다.
어댑터에 설치된 상기 암커넥터 및 상기 수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어댑터를, ISO80369-3에 준거한 환자측 커넥터 및 용기측 커넥터에 대해서 원하는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서, 이하의 각 도면에 표시된 각 부재를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1)의 암커넥터(110)측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어댑터(1)의 수커넥터(120)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어댑터(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1)는, 일단에 암커넥터(1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수커넥터(120)를 구비한다. 연결통(130)이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를 연결하고 있다.
암커넥터(110)는, 중공 원통형상의 관형상부(암부재)(111)를 구비한다. 관형상부(111)의 내주면(1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테이퍼면)이다. 관형상부(111)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수나사)(115)가 설치되어 있다. 암커넥터(110)는, 바람직하게는 ISO80369-3에 준거하고,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암커넥터(910)와 호환성을 갖고 있다.
수커넥터(120)는, 통형상의 수부재(121)와, 대략 원통형상의 외통(123)을 구비한다. 외통(123)은, 수부재(121)와 동축으로, 수부재(121)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부재(121)와 외통(123)은, 수부재(121)의 기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된 저판(12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수부재(121)의 외주면(1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테이퍼면)이다. 수부재(12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수부재(121)를 관통하는 유로(127)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123)의 수부재(12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125)가 설치되어 있다. 수커넥터(120)는, 바람직하게는 ISO80369-3에 준거하고,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수커넥터(920)와 호환성을 갖고 있다.
암커넥터(110) 및 수커넥터(120)는, 연결통(130)을 개재하여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통(130)은, 유로(131)가 설치된 중공의 통형상을 갖는다. 유로(131)를 통해 관형상부(111)와 수부재(121)의 유로(127)가 연통되어 있다. 2개의 리브(133)가, 연결통(1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밖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리브(133)는,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 사이의 영역에, 연결통(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리브(133)는, 어댑터(1)에 회전력을 더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단, 연결통(130)의 외주면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브(133)를 대신하여, 연결통(130)의 외주면에, 다각 기둥면(정사각 기둥면, 정육각 기둥면 등) 등의 임의의 형상을 설치해도 된다. 리브(133)를 생략해도 된다.
어댑터(1)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경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스티렌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어댑터(1)는, 상기의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그 전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어댑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어댑터(1)는, 경장영양법을 행하는 경우에,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측 커넥터(수커넥터)(700)와 용기측 커넥터(암커넥터)(800) 사이에 개재시켜, 이것들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환자측 커넥터(700)는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수커넥터(환자측 커넥터)(920)에 대응하고, 용기측 커넥터(800)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암커넥터(용기측 커넥터)(910)에 대응하고, 이것들은 모두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고, 그것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환자측 커넥터(700)는, 수부재(921)와는 반대측단에 접속부(702)를 구비한다. 도 3b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부(702)는, 수부재(921)의 유로(927)와 연통하고, 그 내주면은 수부재(921)와 동축의 원통면이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접속부(702) 내에, 유연성을 갖는 튜브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튜브는,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여도 된다. 혹은, 튜브는, 당해 카테터에 접속된 튜브여도 된다. 작업자가 환자측 커넥터(700)를 유지하기 쉽게, 한 쌍의 그립부(705) 사이에 접속부(702)를 끼우고 있다(도 3a 참조). 환자측 커넥터(700)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히 ISO80369-3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립부(705)의 형상을 변경해도 되고, 혹은, 그립부(705)를 생략해도 된다. 튜브가 접속부(702) 내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접속부(702)가 튜브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측 커넥터(800)는, 시린지(주입기)의 외통(809)의 선단에, 통선(筒先)(노즐)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용기측 커넥터(800)는 임의의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측 커넥터는, 유연한 튜브의 말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관형상부(911)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경소(徑小)부(913)에 대해서 관형상부(911)와는 반대측(도 3 B에 있어서 상측)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최초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자측 커넥터(700)에 어댑터(1)의 암커넥터(110)을 접속한다. 관형상부(111)에 수부재(921)가 삽입되고, 또한, 나선형 돌기(115)와 암나사(925)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관형상부(111)의 내주면(112)과 수부재(921)의 외주면(922)은, 지름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하는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양자는,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여 면접촉을 한다. 환자측 커넥터(700) 및 암커넥터(110)는 모두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측 커넥터(700)와 암커넥터(110)는, 수커넥터(920)와 암커넥터(910)를 접속한 경우(도 15 참조)와 같은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된다.
다음에,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측 커넥터(800)를 어댑터(1)의 수커넥터(120)에 접속한다. 관형상부(911)에 수부재(121)가 삽입되고, 또한, 나선형 돌기(915)와 암나사(125)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관형상부(911)의 내주면(912)과 수부재(121)의 외주면(122)은, 지름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하는 테이퍼면이기 때문에, 양자는,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여 면접촉을 한다. 용기측 커넥터(800) 및 수커넥터(120)는 모두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측 커넥터(800)와 수커넥터(120)는, 수커넥터(920)와 암커넥터(910)를 접속한 경우(도 15 참조)와 같은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용기측 커넥터(800)와 환자측 커넥터(700)가 어댑터(1)를 개재하여 연통한다.
이 상태로, 액상물을, 용기측 커넥터(800), 어댑터(1), 환자측 커넥터(700)를 순서대로 개재하여 환자에 투여한다.
그 후, 환자측 커넥터(700)와 어댑터(1)를 분리하고, 또, 용기측 커넥터(800)와 어댑터(1)를 분리한다. 사용이 끝난 어댑터(1)는, 바람직하게는 폐기된다. 혹은, 어댑터(1)를 세정(예를 들면 물세정)하여 재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장영양법을 행하는 경우, 환자의 체내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 용기측 커넥터(800)와 수커넥터(120)를 접속하기 직전(도 4a 및 도 4b 참조)에, 용기측 커넥터(800)의 관형상부(911)의 선단까지 액상물을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로 용기측 커넥터(800)와 수커넥터(120)를 접속하면(도 5a 및 도 5b 참조), 관형상부(911)에 수부재(121)가 삽입됨으로써 관형상부(911) 내의 액상물이, 수부재(121)와 외통(123) 사이의 간극(126) 내로 넘쳐나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간극(126) 내로 액상물이 넘쳐나온 어댑터(1)는, 경장영양법을 행한 후, 폐기하여 새로운 어댑터(1)로 교환할 수 있고, 또는, 어댑터(1)를 단독으로 세정함으로써 없앨 수 있다. 용기측 커넥터(800)의 관형상부(911)의 외주면에 부착한 액상물도 세정 또는 닦아냄으로써 용이하게 없앨 수 있다.
경장영양법을 행함으로써, 액상물은, 어댑터(1)의 유로(131) 및 환자측 커넥터(700)의 수부재(921)의 유로(927)을 흐르지만, 암커넥터(110)와 환자측 커넥터(700)는 ISO80369-3에 준하여 접속되어 있으므로, 액상물이 환자측 커넥터(700)의 수부재(921)와 외통(923) 사이의 간극(926) 내로 새러나오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최초로 환자측 커넥터(700)에 어댑터(1)를 접속하고, 다음에, 어댑터(1)에 용기측 커넥터(800)에 접속하고, 그 후 액상물을 흘려보내 경장영양법을 행함으로써, 환자측 커넥터(700)의 간극(926) 내에 액상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측 커넥터(700)가 장기간에 걸쳐 환자에게 유치되었다고 해도 환자측 커넥터(70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2)의 암커넥터(110)측에서 본 사시도, 도 6b는 어댑터(2)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 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서 인용한 도면에 표시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실시 형태 1의 도면과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복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고, 실시 형태 1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 2를,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는, 수커넥터(120)의 저판(124)에 2개의 구멍(129)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다르다. 구멍(129)은 저판(124)을 관통하고 있다. 구멍(129)을 통해 수부재(121)와 외통(123) 사이의 간극(126)과 외계가 연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같다. 어댑터(2)의 구멍(129)은, 경장영양법을 행한 후, 어댑터(2)를 단독으로 세정하는데 유리하다. 즉, 세정액(예를 들면 물)을, 구멍(129)을 통해 간극(126)과 외계 사이를 출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간극(126)(예를 들면 암나사(125)의 골이나 저판(124)의 내면 등)에 잔류한 액상물을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다. 사용 후의 어댑터(2)를 청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2)의 세정 불량에 의해 어댑터(2)(특히 간극(126)) 내에서 균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의 예에서는, 저판(124)에 2개의 구멍(129)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구멍(129)의 수는, 하나여도 되고, 혹은 3개 이상이어도 된다. 구멍(129)은, 간극(126)과 외계를 연통시킬 수 있으면, 그 위치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구멍(129)을, 저판(124)을 대신하여, 또는 이것에 더하여, 외통(123)(예를 들면 암나사(125)의 골)에 설치해도 된다. 구멍(129)의 형상이나 치수는 한정은 없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 형태 2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된 어댑터(3)의 암커넥터(110)측에서 본 사시도, 도 7b는 어댑터(3)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어댑터(3)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서 인용한 도 면에 표시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실시 형태 1의 도면과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복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고, 실시 형태 1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 3을,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는, 암나사(125)가 설치된 외통(123)을 포함하는 외통 부품(320)과, 어댑터(3)의 이 이외의 부분(어댑터 본체)(310)의 두 부품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전체가 한 부품으로 구성된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 및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와 다르다. 어댑터 본체(310) 및 외통 부품(320)의 각각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경질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전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된 일체 성형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 부품(320)은 어댑터 본체(310)로부터,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의 저판(124)(도 2 참조)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다. 도 7b 및 도 8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부재(121)의 기단 부분의 외주면에 수나사(311)가 설치되고, 외통 부품(320)의 하단(암커넥터(110)측단)의 내주면에 암나사(321)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311)에 암나사(321)를 나사식 결합 및 나사식 분리함으로써, 어댑터 본체(310)에 대해서 외통 부품(320)을 반복하여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같다. 어댑터 본체(310)에 외통 부품(320)을 장착한 상태(도 7a 및 도 7b 참조)로, 어댑터(3)는 환자측 커넥터(700) 및 용기측 커넥터(800)에 대해서 접속되고 또한 분리된다. 외통 부품(320)이 수부재(121)를 포함하는 어댑터 본체(3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은, 경장영양법을 행한 후, 어댑터(3)를 세정하는데 유리하다. 즉, 어댑터(3)는, 어댑터 본체(310)와 외통 부품(320)으로 분리한 상태로 각각 세정할 수 있다. 외통 부품(320)을 없앰으로써 수부재(121)의 외주면(122)은 노출되므로, 외주면(122)을 손가락이나 스펀지, 브러시 등을 직접 대고 씻을 수 있다. 또, 수부재(121)가 발취된 외통 부품(320)은, 전체적으로 양단이 개구한 중공의 통형상을 가지므로, 그 내주면에 가는 브러시를 삽입하는 등 하여 외통(123)에 설치된 암나사(125)를 세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수커넥터(120)의 간극(126)에 잔류한 액상물의 세정성이 현격히 향상한다. 사용 후의 어댑터(3)를 청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3)의 세정 불량에 의해 어댑터(3)(특히 간극(126)) 내에서 균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어댑터 본체(310)로부터 외통 부품(320)이 분리되는 위치는, 상기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통(123)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외통(123)의 하측(암커넥터(110)측)의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통 부품(320)을 어댑터 본체(3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구는, 상술한 수나사(311)와 암나사(321)의 나사식 결합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끼워 맞춰지는 볼록부 및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감합 구조를 어댑터 본체(310) 및 외통 부품(320)에 설치해도 된다. 볼록부 및 오목부는, 어댑터(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어댑터(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나사식 결합 구조와 감합 구조를 조합해도 된다. 어댑터 본체(310)와 외통 부품(320)의 경계에, O링 등의 시일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에,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구멍(129)을 설치해도 된다. 구멍(129)은, 예를 들면 외통 부품(320)의 외통(123)(예를 들면 암나사(125)의 골)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통 부품(320)의 세정성이 더 향상한다.
본 실시 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 형태 3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된 어댑터(4)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서 인용한 도면에 표시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실시 형태 1의 도면과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복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고, 실시 형태 1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 4를,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4의 어댑터(4)는, 암커넥터(110)에,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 통형상부(17)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다르다. 통형상부(117)는, 연결통(130)의 유로(131)와 연통하도록, 관형상부(111)의 기단부(관형상부(111)와 연결통(130)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117)는, 관형상부(111)에 둘러싸이도록, 관형상부(111)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부(117)와 관형상부(111)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통형상부(117)의 외주면(118)에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4)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경질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통형상부(117)를 포함하여 전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4의 어댑터(4)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같다. 도 10은, 환자측 커넥터(700)와 용기측 커넥터(800)를 어댑터(4)를 개재하여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암커넥터(110)의 통형상부(117)가 환자측 커넥터(700)의 수부재(921)에 삽입되어 있다.
도 11A는, 도 10의 암커넥터(110)와 환자측 커넥터(700)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117)의 외주면(118)에는 끝이 가는 수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부재(921)의 유로(927)을 규정하는 내주면(928)은 원통면이다. 통형상부(117)의 수테이퍼면의 선단측에서의 최소 외경은 수부재(921)의 내주면(928)의 내경보다 작고, 또한, 수테이퍼면의 기단측에서의 최대 외경은 내주면(928)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통형상부(117)의 수테이퍼면과 수부재(921)의 내주면(928)의 선단 부분(즉, 유로(927)의 선단측 개구의 끝가장자리)이 끼워 맞춰지고, 양자 사이에 액밀한 시일(119)이 형성된다. 이 결과, 통형상부(117)와 수부재(921)는 액밀하게 연통되어 있다.
이 상태로, 액상물이, 도 10에 있어서, 용기측 커넥터(800), 어댑터(4), 환자측 커넥터(700)를 순서대로 개재하여 환자에 투여된다.
본 실시 형태 4의 어댑터(4)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B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어댑터(1)를 개재하여 환자측 커넥터(700)와 용기측 커넥터(800)를 접속한 상태(도 5a 및 도 5b 참조)에 있어서, 어댑터(1)의 암커넥터(110)와 환자측 커넥터(700)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환자에 액상물을 투여하면, 어댑터(1)의 유로(131)로부터 수부재(921)의 유로(927)에 이르는 공간(도 11A에 있어서 다수의 도트를 붙인 부분)은 액상물로 채워진다.
그 후, 어댑터(1)와 환자측 커넥터(700)는 분리된다. 상기 공간 내의 액상물의 일부는, 어댑터(1)를 분리 후에, 환자측 커넥터(700)의 수부재(921)의 선단 외주면(922a)에 부착하고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수부재(921)의 선단 외주면(922a)에 부착한 액상물은, 수부재(921)와 외통(923)의 사이의 간극(926)(도 3a, 도 3b 참조) 내로 흘러드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도 11A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17)와 수부재(921) 사이에 액밀한 시일(1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형상부(111)와 통형상부(117)와 수부재(921)로 둘러싸인 공간(401)에 액상물이 흘러드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어댑터(4)를 분리 후에, 수부재(921)의 선단 외주면(922a)에 액상물은 부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액상물이 수부재(921)와 외통(923) 사이의 간극(926) 내로 흘러드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4의 어댑터(4)는, 경장영양법을 행하고, 다음에 어댑터(4)와 환자측 커넥터(700)를 분리한 후에, 환자측 커넥터(700)의 간극(926) 내로 액상물이 흘러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926) 내의 액상물을 닦아내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고, 간극(926) 내의 액상물을 방치하면, 간극(926) 내에서 균이 번식하는 등, 환자측 커넥터(70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 4의 어댑터(4)는, 이것을 회피할 수 있고, 환자측 커넥터(700)가 비위생 상태에 이를 가능성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어댑터(4)의 전체가 동일 재료(예를 들면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형상부(117)를 연질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연질 재료로서는, 제한은 없지만,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탄성을 갖는 재료(엘라스토머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할 수 있다. 어댑터(4)의 통형상부(117) 이외의 부분(이하 「본체부」라고 한다)은, 상술한 경질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재료가 다른 통형상부(117)와 본체부를 조합하는 방법은, 제한은 없지만, 통형상부(117)와 본체부를 2색 성형에 의해 일체화시키는 방법(2색 성형법), 통형상부(117)와 본체부를 따로따로 제조한 후, 양자를 액밀하게 접속하는 방법(접속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속법에 있어서 따로따로 제조한 통형상부(117)와 본체부를 접속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융착하는 방법 등,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형상부(117)가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은, 통형상부(117)의 치수 정밀도의 완화나, 시일(119)의 액밀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통형상부(117)의 외주면(118)이 수테이퍼면을 갖고 있는 것은, 간단한 구성으로, 통형상부(117)의 외주면(118)과 수부재(921)의 내주면(928) 사이에서 액밀한 시일(119)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단, 외주면(118)은, 수테이퍼면 이외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형상부(117)의 외주면(118)이,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 외주면(118)의 정밀도를 적절히 관리하면, 통형상부(117)의 외주면(118)과 수부재(921)의 내주면(928)을 면접촉 시키고, 양자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시일의 액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통형상부(117)를 상기의 연질 재료로 구성하는 것은 유리하다.
통형상부(117)와 수부재(921) 사이의 액밀한 시일은, 상기 이외의 구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통형상부(117)의 외주면에 환상 돌기를 설치해도 된다. 환상 돌기는, 통형상부(117)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관형상부(111)를 향해 돌출한다. 환상 돌기는, 예를 들면 관형상부(117)의 외주면에 장착한 O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어댑터(4)의 암커넥터(110)와 환자측 커넥터(700)를 접속하면, 환상 돌기가 수부재(921)의 내주면(928)에 밀착하고, 환상 돌기와 내주면(928)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혹은, 통형상부(117)를 수부재(921)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통형상부(117)를 수부재(921)에, 수부재(921)의 길이 방향으로 맞대어도 된다. 이 경우, 통형상부(117)의 선단과 수부재(921)의 선단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어댑터(4)의 암커넥터(110)와 환자측 커넥터(700)를 접속했을 때(즉, 나선형 돌기(115)와 암나사(925)를 나사식 결합시켰을 때), 통형상부(117)와 수부재(921)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이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었을 때, 관형상부(111)의 내주면(112)과 수부재(921)의 외주면(922)은 액밀하게 끼워 맞춰져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 4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 형태 4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환자측 커넥터(700)의 수부재(921)와의 사이에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본 실시 형태 4의 통형상부를,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 및 실시 형태 3의 어댑터(3)에 설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련된 어댑터(5)의 수커넥터(120)측에서 본 사시도, 도 12B는 어댑터(5)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서 인용한 도면에 표시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실시 형태 1의 도면과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고, 실시 형태 1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 5를, 실시 형태 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5)는, 수부재(121)의 선단의 개구에 필터(150)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150)는, 복수의 미세한 세공이 설치된 메쉬 필터이다. 어댑터(5)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경질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필터(150)를 포함하여 전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5)의 사용 방법은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같다.
필터(15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경장영양법에 있어서 환자에 투여되는 액상물은, 조대 고형물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대 고형물이,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의 유로를 폐색해 버린다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물이, 분말상의 약제를 용해시킨 약액인 경우, 약제의 일부가 용해되지 않고 조대 고형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환자에게 유치되는 카테터(특히 경비 카테터) 중에는, 내경이 예를 들면 0.6㎜ 정도로 매우 소경인 것이 있다. 카테터의 유로의 폐색은, 액상물 중에 포함되는 조대 고형물이, 카테터의 유로의 내경과 동일한 정도 이상인 경우에 일어나기 쉽다.
본 실시 형태 5의 어댑터(5)에 설치된 필터(150)는, 액상물 중의 조대 고형물을 포착하여, 어댑터(5)보다 하류에 조대 고형물이 흐르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5는, 어댑터(5)보다 하류측의 유로(예를 들면,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가 조대 고형물로 폐색한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필터(150)에 설치되는 세공의 각각의 크기(이른바 체눈)는, 제한은 없지만, 어댑터(5)보다 하류측의 유로(특히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의 유로)의 최소 내경과 같거나 이것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필터(150)의 세공의 크기는, 어댑터(5)보다 하류측의 유로의 최소 내경의 0.8배 이하, 또한 0.5배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세공의 크기는, 0.6㎜ 이하, 또한 0.3㎜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필터(150)는, 어댑터(5)의 이 이외의 부분과 함께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동시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것은, 필터(150)를 구비한 어댑터(5)의 제조의 용이화 및 저비용화에 유리하다. 단, 필터(150)를, 어댑터(5)의 이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독립한 부품으로서 준비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필터(150)로서,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메쉬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메쉬 필터를 어댑터에 고정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2색 성형법, 접착제나 융착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필터(150)가 막힌 경우에 새로운 것으로 교환 가능하도록, 필터(150)가 어댑터에 대해서 착탈 가능해도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필터(150)는 수부재(121)의 유로(127)의 선단측(상류측)의 개구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것은, 조대 고형물이 필터(150)에 포착된 상태(막힘 상태)를 용이하게 시인하는데 유리하다. 단, 필터(1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부재(121)로부터 관형상부(111)까지의 액상물이 흐르는 유로 상의 임의의 위치에 필터(1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 사이의 연결통(130)이, 실시 형태 1에 비해 짧다. 또,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에 설치되어 있던 리브(133)가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들 차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질적은 아니다. 어댑터(5)에, 실시 형태 1과 같은 연결통(130) 및 리브(133)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5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 형태 5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의 필터를, 실시 형태 1~4의 어댑터(1~4)의 수부재(121)와 관형상부(111) 사이의 유로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어댑터(1~5)에서는, 연결통(130)이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연결통(130)과 그 양측의 암커넥터(110) 및 수커넥터(120)(실시 형태 3에서는 수부재(121))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었다. 이것과 달리, 예를 들면 연결통(130)을 유연한 튜브로 구성하고, 당해 튜브의 양단에 따로 제조한 암커넥터(110) 및 수커넥터(120)(실시 형태 3에서는 수부재(121))를 접속하여 본 발명의 어댑터를 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단, 상기의 실시 형태 1~5의 구성은, (1)암커넥터(110)부터 수커넥터(120)(실시 형태 3에서는 수부재(121))까지가 경질 재료로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환자측 커넥터(700) 및 용기측 커넥터(800)에 대한 어댑터의 착탈 작업을 어댑터의 임의의 개소를 파지하여 행할 수 있는 것, (2)어댑터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적어지므로, 어댑터의 제조가 용이한 것, 등의 점에서 유리하다.
연결통(130)을 짧게 하는 것은, 어댑터 내의 유로의 용적을 작게 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연결통(130)을 실질적으로 생략하고,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를 직결해도 된다. 이 경우도, 암커넥터(110)의 관형상부(111)와 수커넥터(120)의 수부재(121)는 연통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제한은 없지만, ISO80369-3에 준거한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를 사용하는 분야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의료 분야, 또한 경장영양법을 행하는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경장영양법을 행하기 위해서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부착된 수커넥터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2, 3, 4, 5:어댑터 110:암커넥터
111:관형상부 115:나선형 돌기(수나사)
117:통형상부 118:통형상부의 외주면
119:액밀한 시일 120:수커넥터
121:수부재 123:외통
124:저판 125:암나사
129:구멍(관통 구멍) 150:필터
310:어댑터 본체 320:외통 부품
700:환자측 커넥터 921:환자측 커넥터의 수부재
928:수부재의 내주면

Claims (10)

  1. 일단에 암커넥터를 구비하고, 타단에 수커넥터를 구비한 어댑터로서,
    상기 암커넥터는,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나선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커넥터는, 통형상의 수부재와, 상기 수부재와 동축으로, 상기 수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상부와 상기 수부재는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어댑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수부재의 기단부와 상기 외통을 연결하는 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저판 또는 상기 외통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어댑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통 및 상기 암나사를 구비한 외통 부품이 상기 수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어댑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부터 상기 수부재까지를 포함하는 어댑터 본체가, 한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어댑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관형상부와 동축으로, 상기 관형상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 통형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암커넥터를 통형상의 수부재를 구비한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 상기 통형상부와 상기 환자측 커넥터의 상기 수부재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댑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밀한 시일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환자측 커넥터의 상기 수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어댑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와 상기 수부재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어댑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상기 수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어댑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 및 상기 수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는, 어댑터.
KR1020187025283A 2016-02-19 2017-02-13 어댑터 KR20180114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0388 2016-02-19
JP2016030388A JP6807012B2 (ja) 2016-02-19 2016-02-19 アダプタ
PCT/JP2017/005085 WO2017141858A1 (ja) 2016-02-19 2017-02-13 アダプ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085A true KR20180114085A (ko) 2018-10-17

Family

ID=5962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283A KR20180114085A (ko) 2016-02-19 2017-02-13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07012B2 (ko)
KR (1) KR20180114085A (ko)
CN (2) CN108472478A (ko)
WO (1) WO2017141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1259A1 (en) * 2017-10-06 2019-04-11 Neomed, Inc. MALE-FEMALE CONNECTION
US11147956B2 (en) * 2018-06-21 2021-10-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nteral syringe with vented collar
US20220287917A1 (en) * 2019-08-05 2022-09-15 Jms Co., Ltd. System for detecting position of distal end of medical tube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JPWO2022180991A1 (ko) * 2021-02-24 2022-09-01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771A (en) * 1993-02-24 1993-12-14 Thomas Medical Products, Inc. Needleless introducer with hemostatic valve
US5555908A (en) * 1995-06-23 1996-09-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lved PRN adapter for medical access devices
US5860962A (en) * 1997-12-08 1999-01-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hielded cannula for use with an I.V. site
JP5161457B2 (ja) * 2006-04-03 2013-03-13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雄ルアーコネクター
US20080132876A1 (en) * 2006-12-05 2008-06-05 Gambro Bct, Inc. Connector System for Sterile Connection
FR2910817B1 (fr) * 2007-01-03 2009-02-13 Vygon Sa Connecteur pour etablir une communication de fluide sous le controle d'une valve, notamment a usage dans le domaine medical
US9149624B2 (en) * 2009-09-02 2015-10-06 Carefusion 303, Inc. Disinfecting male luer connector caps
JP2012075495A (ja) * 2010-09-30 2012-04-19 Jms Co Ltd 医療用メスコネクタ
JP2013138707A (ja) * 2011-12-28 2013-07-18 Jms Co Ltd 経腸栄養療法用カテーテルと医療用回路との接続構造、アダプタ付き経腸栄養療法用カテーテル、及びアダプタと医療用回路とを含む医療用送液キット
JP5994340B2 (ja) * 2012-03-30 2016-09-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及び医療用コネクタを含む医療用具、並びに医療用コネクタと可撓性チューブとの接続構造
WO2014050976A1 (ja) * 2012-09-26 2014-04-03 二プロ株式会社 ニードルレスコネクター
EP2968896A4 (en) * 2013-03-13 2017-05-17 Schultz, Joseph, P. Medical connector contamination prevention systems
JP2015051092A (ja) * 2013-09-06 2015-03-1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ダブルオスコネクタ
JP6300481B2 (ja) * 2013-09-27 2018-03-28 株式会社トップ 注入ポート構造
JP6409273B2 (ja) * 2013-12-24 2018-10-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オスコネクタ
DK3107618T3 (da) * 2014-02-20 2020-01-27 Repro Med Systems Inc Konnektor med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7012B2 (ja) 2021-01-06
CN108472478A (zh) 2018-08-31
CN114366669A (zh) 2022-04-19
JP2017144184A (ja) 2017-08-24
WO2017141858A1 (ja)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4085A (ko) 어댑터
KR102507581B1 (ko) 의료용 채액 주입기
JP6578949B2 (ja) オスコネクタ
KR102315224B1 (ko) 수형 커넥터
KR101800984B1 (ko) 더블 수 커넥터
JP5507564B2 (ja) 接続および分離中の流体の漏出を最小化する閉鎖雄型ルアー装置
WO2015146831A1 (ja) 洗浄用アダプタ
JP6919794B2 (ja) メスコネクタ
KR102507582B1 (ko)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KR20190022530A (ko)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WO2016051759A1 (ja) メスコネクタ、オ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接続体
JP6237402B2 (ja) 洗浄用アダプタ
WO2017104689A1 (ja) メスコネクタ
WO2016158937A1 (ja) キャップ
JP7388146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6237403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2022041685A (ja) キャップ
JP2020058945A (ja) オスコネクタ
KR20210000555U (ko) 스프레이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