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224B1 - 수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224B1
KR102315224B1 KR1020167015624A KR20167015624A KR102315224B1 KR 102315224 B1 KR102315224 B1 KR 102315224B1 KR 1020167015624 A KR1020167015624 A KR 1020167015624A KR 20167015624 A KR20167015624 A KR 20167015624A KR 102315224 B1 KR102315224 B1 KR 10231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nut
male
tube
l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240A (ko
Inventor
야스마사 우에하라
유타카 우에다
가즈히코 다키모토
메구미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9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33Swivel nut connectors, e.g. threaded connectors, bayonet-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8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수형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10)와 로크 너트(50)를 구비한다. 커넥터 본체(10)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41)와, 튜브(8)에 삽입되는 기단부(20)와, 기단부(20)에 형성된 고정 돌기(21)와, 수형 루어(11)와 기단부(20) 사이의 나선형 돌기(32)를 구비한다. 로크 너트(50)는, 나선형 돌기(32)와 결합하는 제2 암나사(52)를 구비한다.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를 결합시키면 튜브(8)를 기단부(20)와 로크 너트(50)가 클램프(clamp)한다. 튜브(8)가 클램프되었을 때에 로크 너트(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에, 서로 상대방에게 걸어맞춰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14, 5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
본 발명은, 경장영양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영양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영양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에서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삽입된 경비 카테터(transnasal catheter)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된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일반적으로 「경장영양제」라고 불린다)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액상물은, 용기에 저류된다. 용기의 유출 포트에는, 유연성을 갖는 튜브(이하 「용기측 튜브」라고 한다)가 접속된다. 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은,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 또는 상기 카테터에 접속된 유연성을 갖는 튜브(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환자측 튜브」라고 한다)의 상류단에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용기측 튜브와 환자측 튜브를 접속하기 위해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사용된다. 종래, 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에 수형 커넥터가 설치되고, 또, 환자측 튜브의 상류단에 암형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경장영양요법에 있어서 투여된 액상물이 저점도의 액체이면, 액상물이 위에서부터 식도로 역류하여 폐렴을 병발하거나, 액상물의 수분이 체내에서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서 설사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경장영양요법에서는, 액상물을, 농후제나 증점제를 추가하는 등 하여 고점도화(즉, 반고형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고점도화된 액상물은,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튜브를 통과할 때의 저항이 크다. 따라서, 고점도화된 액상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에는, 액상물은 압력을 가해 압송된다.
그 때문에, 용기측 튜브와 환자측 튜브를 접속하는 접속구는, 액상물에 인가되는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서로 걸어맞추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으로서 국제 표준화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형 커넥터(910)는, 통형상의 수형 루어(911)와, 수형 루어(911)를 둘러싸는 외통(913)을 갖는다. 수형 루어(911)의 외주면(9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소위, 수형 테이퍼면)이다. 수형 루어(911)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형 루어(911)를 관통하는 유로(917)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913)의 수형 루어(911)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나사(9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5a 및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형 커넥터(920)는, 수형 루어(911)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삽입부(암형 루어)(921)를 갖는다.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소위 암형 테이퍼면)이다. 삽입부(92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926)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수형 루어(911)를 삽입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암나사(916)와 수나사(926)를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수형 루어(911)의 외주면(912)과,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은,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테이퍼면이므로, 양자는 액밀(液密)한 면 접촉을 한다. 서로 결합하는 암나사(916) 및 수나사(926)는,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 상태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수형 커넥터(910)와 암형 커넥터(920)는, 액밀성(액상물에 압력을 가해도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부분으로부터 액상물이 새어나오지 않는 성질)과 접속 강도(접속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인장력을 가해도 분리되지 않는 성질)가 뛰어난 접속을 제공한다.
국제 규격 ISO80369-3에서는, 경장영양 이외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와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측 튜브의 상류단에 수형 커넥터(910)를 설치하고, 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에 암형 커넥터(920)를 설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08/152871호 팜플렛
수형 커넥터(910)에서는, 외통(913)이 수형 루어(911)를 둘러싸고, 외통(9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91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형 루어(911)와 외통(913) 사이의 공극, 특히 암나사(916)의 골에, 경장영양제가 부착되기 쉽다. 암나사(916)의 골 내에 일단 경장영양제가 부착되면, 상기 경장영양제를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경장영양제가 장기에 걸쳐 계속 부착되면, 수형 커넥터(910)는 비위생 상태에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결국에는, 수형 커넥터(910) 내에서 균이 번식하여, 상기 균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해,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는,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계속 유치(留置)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PEG 카테터의 교환은, 일반적으로 1~3개월마다 행해진다. 수형 커넥터(910)를 이와 같은 카테터의 상류단에 설치하는 경우, 수형 커넥터(910)를 세정 또는 교환하기 위해서, 환자에게 유치한 카테터로부터 수형 커넥터(910)를 떼어냄 가능한 것이 요망된다.
위루를 조설하는 방법으로서, 카테터를 환자의 입에서부터 위로 삽입하고, 그 선단(상류단)을 배에서부터 체외로 인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으로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 카테터의 선단에 미리 수형 커넥터(910)가 부착되어 있으면, 경질 부재인 수형 커넥터(910)가 카테터를 환자의 체내를 통과시키는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카테터를 환자에게 유치한 후에, 수형 커넥터를 카테터에 장착할 수 있도록, 수형 커넥터는 카테터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장영양제의 누출이나, 수형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형 커넥터는, 환자측 튜브에 강고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수형 루어를 둘러싸는 암나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로서, 튜브에 떼어냄 가능하게 또한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수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경장영양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와 로크 너트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튜브와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수형 루어와, 상기 수형 루어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와,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기단부와, 상기 수형 루어와 상기 기단부 사이의, 외향으로 돌출한 나선형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 너트는, 양단이 개구한 통형상을 갖고, 상기 나선형 돌기와 결합하는 제2 암나사를 구비한다.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제2 암나사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단부가 삽입된 튜브를 상기 기단부와 상기 로크 너트가 클램프(clamp)한다. 상기 튜브가 클램프되었을 때에 상기 로크 너트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로크 너트에, 서로 상대방에게 걸어맞춰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와 로크 너트로 구성되므로, 튜브에 대해 떼어냄이 용이하다. 한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했을 때에는 튜브를 기단부와 로크 너트가 클램프하므로,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커넥터 본체에 대해 로크 너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나선형 돌기와 제2 암나사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루어부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루어부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루어부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부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부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부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다른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나타낸 볼록부와 오목부가 끼워맞춰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a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b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c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d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의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한 다른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0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구성하는 로크 너트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부착하기 위한 일 공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의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오목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4b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a는, ISO80369-3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5b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너트는, 상기 튜브에 대향하는 경소부(徑小部)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제2 암나사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단부가 삽입된 튜브를 상기 기단부와 상기 경소부가 클램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으로 돌출한 고정 돌기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제2 암나사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단부가 삽입된 튜브를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경소부가 클램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수형 커넥터를 튜브에 의해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수형 루어와 상기 나선형 돌기 사이의 위치에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플랜지와, 상기 로크 너트의 상기 제2 암나사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서로 걸어맞춰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나선형 돌기 사이의 외주면과, 상기 로크 너트의 내주면(바람직하게는, 내주면의 상기 제2 암나사와 상기 경소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중심축방향으로 서로 걸어맞춰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로크 너트의 한쪽에 형성된 볼록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둘레방향으로 걸어맞출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둘레방향의 일방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타방측에 수직면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상기 볼록부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수직면에 각각 대향하는 경사면 및 수직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로크 너트를 접속하는 작업은 비교적 용이하면서, 의도하지 않게 커넥터 본체와 로크 너트가 분리되어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루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1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접속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로크 너트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로크 너트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1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결합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형 커넥터가 분해되지 않고,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수형 루어, 상기 기단부, 및 상기 나선형 돌기를 갖는 루어부와, 상기 제1 암나사를 갖는 로크부의 서로 독립된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로크부는, 양단이 개구한 중공 통형상을 갖고, 상기 루어부에 대해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크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로크부에, 서로 상대방에게 걸어맞춰지는 제2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가 루어부와 로크부의 2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커넥터 본체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제2 회전 방지 기구가 루어부에 대해 로크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수형 커넥터가 3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형 커넥터의 암형 커넥터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루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1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접속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로크 너트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로크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1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결합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제2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로크부가 루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형 루어보다도 상기 기단부측의 위치에, 상기 루어부와 상기 로크부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영양제가 루어부와 로크부 사이를 지나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액밀한 시일은, 상기 루어부에 형성된 수형 테이퍼면과, 상기 로크부에 형성된 암형 테이퍼면이 서로 끼워맞춰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루어부에 로크부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로크 너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를 통해 상기 수형 커넥터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장부에 인가된 회전 토크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통하지 않고, 제1 암나사에 전달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라도, 연장부에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하여 양자의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는, 상기 로크 너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는 연장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연장부가,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암형 커넥터와의 접속 및 분리의 작업성이나, 커넥터 본체의 청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수형 루어 및 상기 제1 암나사는, ISO80369-3에 준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를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와, 액밀성 및 접속 강도가 뛰어난 접속을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로크 너트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상기 로크 너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볼록부) 또는 오목한 부분(오목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대한 로크 너트의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로크부는, 상기 루어부에 대한 상기 로크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루어부에 대한 로크부의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은,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작업자가 파지하는 지그와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상기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된 지그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를 통해 상기 커넥터 본체 또는 상기 로크 너트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에 대한 로크 너트의 장착 및 분리, 혹은, 루어부에 대한 로크부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부재 중,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요 부재만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실제의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이 충실하게 표시되어 있지 않다.
(실시형태 1)
<구성>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수형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수형 커넥터(1)의 중심축(1a)을 지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중심축(1a)에 평행한 방향을 「상하 방향」, 도 1a 및 도 1b의 지면의 상측을 수형 커넥터(1)의 「상측」, 도 1a 및 도 1b의 지면의 하측을 수형 커넥터(1)의 「하측」이라고 한다. 중심축(1a)의 둘레로 회전하는 방향을 「둘레방향」, 중심축(1a)에 직교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중심축(1a)에 수직인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한다. 단, 「상하 방향」, 「상측」, 「하측」, 「수평 방향」은, 수형 커넥터(1)의 사용시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수형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10)와 로크 너트(50)를 구비한다.
도 2a는 커넥터 본체(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b는 커넥터 본체(1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 본체(10)의 사시 단면도이다.
커넥터 본체(10)는, 일단에 통형상의 수형 루어(11)를 구비하고, 타단에 통형상의 기단부(20)를 구비한다. 중심축(1a)을 따른 유로(17)가, 수형 루어(11)에서부터 기단부(20)까지 커넥터 본체(10)를 관통하고 있다.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원뿔면)이다. 수형 루어(11)의 근원에서부터, 원판형상의 플랜지(13)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플랜지(13)의 상면(수형 루어(11)측의 면)의 외주단에, 원통형상을 갖는 외통(40)이 설치되어 있다. 외통(40)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고 있다. 외통(40)의 내주면(수형 루어(11)에 대향하는 면)에는, 암나사(제1 암나사)(41)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41)는, 상술한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와 접속할 수 있다.
플랜지(13)의 하면(기단부(20)측의 면)(13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플랜지(13)의 하면(13a)에, 한 쌍의 오목부(제1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14)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기단부(20)의 외주면은, 중심축(1a)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기단부(20)의 선단(하단)의 근방에,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중심축(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고정 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돌기(21)는, 기단부(2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환상으로 연속하고 있다. 도 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고정 돌기(21)의 단면 형상은, 예리한 선단을 갖는 쐐기 형상(또는 삼각형)이다.
플랜지(13)와 기단부(20) 사이에, 통형상부(30)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30)의 외주면은, 중심축(1a)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통형상부(30)의 외경은, 외통(40)의 외경보다 작고, 기단부(20)의 외경보다 크다. 통형상부(30)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제1 나선형 돌기)(32)가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나선형 돌기(32)는, 수나사의 나사산을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이 되도록 분단 한, 소위 불연속 나사이다.
도 3a는 로크 너트(5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b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로크 너트(50)의 사시 단면도이다.
로크 너트(50)는, 상하 방향의 양단이 개구한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다. 로크 너트(50)의 내주면에는, 상측에 암나사(제2 암나사)(52)를 갖고, 하측에 경소부(53)를 갖는다. 암나사(52)는, 커넥터 본체(10)의 나선형 돌기(32)(도 2a~도 2c)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암나사(52)의 나선 방향은 커넥터 본체(10)의 암나사(41)(도 2a, 도 2c)의 나선 방향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암나사(41) 및 암나사(52)는 모두 우측 나사이다.
경소부(53)의 내경은, 로크 너트(50)의 그보다 상측 부분의 어느 내경보다 작고, 커넥터 본체(10)의 고정 돌기(21)(도 2a~도 2c)의 최대 외경보다 조금 크다. 경소부(53)의 내주면은, 중심축(1a)방향에 있어서 내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측으로 감에 따라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로크 너트(50)의 상측의 단면(즉, 상면)(50a)에, 한 쌍의 볼록부(제1 볼록부)(54)가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볼록부(54)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로크 너트(50)의 외주면에는, 로크 너트(5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하기 쉽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돌기)(57)가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리브(57)가 설치되어 있는데, 리브(57)의 수는 임의이다. 리브(57)를 생략할 수도 있다.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는, 외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질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가 바람직하다.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는, 각각 상기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를 각각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튜브에 대한 착탈>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로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1)는, 튜브(8)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1a 및 도 1b).
튜브(8)로는, 유연성을 갖는 중공의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튜브(8)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고, 외력이 없어지면 바로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특성(소위 고무형상의 탄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8)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고무형상의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소위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연질 폴리염화비닐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튜브(8)는, 그 하류단이 환자에게 삽입된 상태로 환자에게 유치되는 카테터(예를 들면 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여도 되고, 상기 카테터의 상류단에 접속되는 튜브여도 된다.
수형 커넥터(1)의 튜브(8)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0)에 튜브(8)를 삽입한다. 또한, 튜브(8)의 상류단에 커넥터 본체(10)를 대향시킨다.
그 다음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 내에 커넥터 본체(10)의 기단부(20)를 삽입한다. 기단부(20)의 외주면에 설치된 고정 돌기(21)(도 2a, 도 2b 참조)의 최대 외경은, 바람직하게는 튜브(8)의 내경보다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튜브(8)는, 고정 돌기(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고정 돌기(21)에 의해 확경된다. 튜브(8)의 상류단이 커넥터 본체(10)의 통형상부(30)에 접촉할 정도로, 기단부(20)의 거의 전부를 튜브(8) 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0)를, 커넥터 본체(10)를 향해 이동시킨다. 로크 너트(50)의 암나사(52)의 나사산이 커넥터 본체(10)의 나선형 돌기(32)에 충돌한다.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키고,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를 결합시킨다.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통형상부(30)가 로크 너트(50) 내에 진입한다. 이윽고 로크 너트(50)의 한 쌍의 볼록부(54)가 커넥터 본체(10)의 플랜지(13)의 하면(13a)(도 2b 참조)에 접촉하고, 그 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결국 한 쌍의 볼록부(54)가 커넥터 본체(10)의 한 쌍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로크 너트(50)의 상면(50a)과 플랜지(13)의 하면(13a)이 접촉 또는 접근한다. 한 쌍의 볼록부(54)가 한 쌍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질 때,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해, 작업자는, 손끝을 통해 이것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는 튜브(8)의 상류단에 부착된다.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0)의 볼록부(54)가 커넥터 본체(10)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가 대향하고,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클램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10)의 나선형 돌기(32)가 로크 너트(50)의 암나사(52)와 결합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10)를 관통하는 유로(17)가 튜브(8)와 연통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튜브(8)에 부착된 수형 커넥터(1)의 튜브(8)로부터의 떼어냄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로크 너트(50)를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54)와 오목부(14)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54)가 오목부(14)로부터 탈출한 후에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로크 너트(50)를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b와 같이 로크 너트(50)를 커넥터 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커넥터 본체(10)를 튜브(8)로부터 빼낸다(도 4a). 그 후, 로크 너트(50)로부터 튜브(8)를 인출한다.
수형 커넥터(1)는, 튜브(8)에 몇 번이고 반복해서 착탈할 수 있다.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킬 때, 리브(57)에 손가락을 걸치면 회전 토크를 인가하기 쉽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1)가 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튜브(8)는 PEG 카테터이며,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그 하단은 환자의 위 내에 삽입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1)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의 상류단에 고정된 상태로, 튜브(8)(PEG 카테터)와 함께 환자에게 유치된다.
경장영양요법을 행하는 경우, 경장영양제가 저류된 용기에 접속된 튜브(용기측 튜브)의 하류단에 접속된 암형 커넥터를 수형 커넥터(1)에 접속한다. 암형 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이다.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루어(11)를 삽입부(921)에 삽입하고, 또한, 암나사(41)와 수나사(926)를 결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 로크 너트(50)의 리브(57)에 손가락을 걸침으로써, 수형 커넥터(1)에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 로크 너트(50)의 볼록부(54)가 커넥터 본체(10)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지고, 로크 너트(50)의 상면(50a)이 커넥터 본체(10)의 플랜지(13)의 하면(13a)에 접촉하고,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가 튜브(8)를 클램프하고 있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920)에 대해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키면, 커넥터 본체(10)는, 로크 너트(5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은, 삽입부(921)의 내주면(922)과 테이퍼 각도가 동일한 테이퍼면이다. 따라서, 양면은 액밀한 면 접촉을 한다.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한 상태로, 유로(17) 및 튜브(8)를 통해 경장영양제를 환자에게 투여한다.
그 후,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한다. 분리는, 수형 커넥터(1)에 대해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할 때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때도, 로크 너트(50)의 리브(57)에 손가락을 걸쳐, 접속시와는 역방향의 회전 토크를 로크 너트(50)에 인가할 수 있다. 로크 너트(50)의 볼록부(54)가 커넥터 본체(10)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지고,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가 튜브(8)를 클램프하고 있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920)에 대해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키면, 커넥터 본체(10)는, 로크 너트(5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의 결합을 느슨해지지 않고,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느슨해진다.
암형 커넥터(920)가 분리된 후의 수형 커넥터(1)에는 경장영양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형 커넥터(1)를 청소하기 위해서, 또한, 수형 커넥터(1)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도 된다. 떼어내져 분해된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는, 각각 물 세척 등을 함으로써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세정한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는 다시 튜브(8)에 장착한다. 커넥터 본체(10) 및/또는 로크 너트(50)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도 된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1)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튜브(PEG 카테터)(8)를, 환자의 입에서부터 위로 삽입하고, 그 선단(상류단)을 배에서부터 체외로 인출한다. 튜브(8)를 환자에게 고정한 후, 그 선단에 수형 커넥터(1)를 부착한다.
<작용>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제1 암나사)(41)를 구비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를, 수형 루어(11)가 삽입되는 삽입부(921)와, 암나사(41)에 결합하는 수나사(926)를 구비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에 접속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10)와 로크 너트(50)의 2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본체(10)의 기단부(20)를 튜브(8)에 삽입한 상태로 커넥터 본체(10)의 나선형 돌기(32)와 로크 너트(50)의 암나사(제2 암나사)(52)를 결합시키면, 커넥터 본체(10)의 고정 돌기(21)와 로크 너트(50)의 경소부(53)가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클램프한다. 튜브(8)는, 쐐기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고정 돌기(21)의 선단과 경소부(53)의 내주면에서 국소적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를 튜브(8)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유로(17) 및 튜브(8)를 흐르는 경장영양제에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수형 커넥터(1)와 튜브(8)의 접합부로부터 경장영양제가 누출되거나, 튜브(8)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서, 수형 커넥터(1)와 튜브(8)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의 결합을 해제하면, 경소부(53)가 고정 돌기(21)에 대해 하류측에 튜브(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에 의한 튜브(8)의 클램프가 해소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를 튜브(8)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튜브(8)를 환자에게 유치한 채로, 수형 커넥터(1)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고, 수형 커넥터(1)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10) 및 로크 너트(50)를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 및/또는 로크 너트(50)에 오염이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41)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는, 처음에, 수형 커넥터(1)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튜브(8)를 환자에게 고정하고, 그 후, 튜브(8)의 선단에 수형 커넥터(1)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위루의 증설 작업이 용이하다.
고정 돌기(21) 및 경소부(53)에 의한 튜브(8)의 클램프 및 그 해제는, 나선형 돌기(32) 및 암나사(제2 암나사)(52)로 구성된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행한다. 결합 구조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로크 너트(50)의 회전을, 중심축(1a)을 따른 로크 너트(50)의 이동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힘으로, 고정 돌기(21) 및 경소부(53)에 의한 튜브(8)의 클램프 및 그 해제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의 한 쌍의 오목부(14)와 로크 너트(50)의 한 쌍의 볼록부(54)가 끼워맞춰진다. 오목부(14)와 볼록부(54)는, 서로 걸어맞춰짐(끼워맞춰짐)으로써, 로크 너트(50)가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54)와 오목부(14)는, 둘레방향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커넥터 본체(10)와 로크 너트(50)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 기구의 로크 상태(즉, 오목부(14)와 볼록부(54)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해제하여 로크 너트(50)를 커넥터 본체(1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서로 접속된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하기 위해서, 로크 너트(5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커넥터 본체(10)를 로크 너트(50)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므로,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의 결합은 느슨해지지 않고,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가 분해되지 않고,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로크 상태로 하기 위해서, 및,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회전 토크)은, 볼록부(54) 및 오목부(14)의 치수, 형상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크 너트(50)의 상면(50a)으로부터의 볼록부(54)의 돌출 높이를 작게 하는, 볼록부(54)의 선단을 둥글게 하거나 또는 면취하는, 오목부(14)의 개구의 끝가장자리를 면취하는 등에 의해, 상기 힘(회전 토크)을 작게 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수형 커넥터(1)에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할 때에, 로크 너트(5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암나사(41)와 수나사(926)를 강고하게 결합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수형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10)와 로크 너트(50)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은, 1부품으로 구성된 수형 커넥터(910)의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과 동등하다.
또한, 커넥터 본체(10)에 대한 로크 너트(50)의 회전의 방지에는,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에 추가해, 튜브(8)를 통한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 사이의 마찰력도 기여하고 있다.
(실시형태 2)
<구성>
본 실시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는, 로크 너트가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기구의 구성에 관해서,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상이하다.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수형 커넥터(2)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수형 커넥터(2)의 중심축(1a)을 통과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2의 수형 커넥터(2)는, 커넥터 본체(210)와 로크 너트(250)를 구비한다.
도 6a는 커넥터 본체(2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b는 커넥터 본체(21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 본체(210)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6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13)의 하면(13a)에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 본체(10)에는 형성되어 있던 한 쌍의 오목부(14)(도 2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통형상부(30)와 기단부(20)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연속한 제1 걸어맞춤 돌기(231)가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걸어맞춤 돌기(231)의 상면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평면의 외주단이 제1 걸어맞춤 돌기(231)의 정상부(외경이 최대인 부분)이다. 정상부보다 하측의 면은, 정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원뿔면)이다.
통형상부(30)와 제1 걸어맞춤 돌기(231) 사이에 제2 통형상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통형상부(230)의 외주면은, 중심축(1a)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제2 통형상부(230)의 외경은, 통형상부(제1 통형상부)(30)의 외경보다 작다. 제1 걸어맞춤 돌기(231)은, 제2 통형상부(2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7a는 로크 너트(25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b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로크 너트(250)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250)의 상면(50a)에는, 실시형태 1의 로크 너트(50)에는 형성되어 있던 한 쌍의 볼록부(54)(도 3a)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25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52)와 경소부(53)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연속한 제2 걸어맞춤 돌기(252)가 중심축(1a)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제2 걸어맞춤 돌기(252)의 하면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평면의 내주단이 제2 걸어맞춤 돌기(252)의 정상부(내경이 최소인 부분)이다. 정상부보다 상측의 면은, 정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원뿔면)이다.
수형 커넥터(2)의 구성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다.
<튜브에 대한 착탈>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본체(210) 및 로크 너트(250)로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2)는, 튜브(8)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5a 및 도 5b).
수형 커넥터(2)의 튜브(8)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250)에 튜브(8)를 삽입한다. 또한, 튜브(8)의 상류단에 커넥터 본체(210)를 대향시킨다.
그 다음에,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 내에 커넥터 본체(210)의 기단부(20)를 삽입한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튜브(8)는, 고정 돌기(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고정 돌기(21)에 의해 확경된다.
그 다음에,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250)를, 커넥터 본체(210)를 향해 이동시킨다. 커넥터 본체(210)에 대해 로크 너트(250)를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를 결합시킨다. 로크 너트(25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통형상부(30)가 로크 너트(250) 내에 진입한다. 이윽고 로크 너트(250)의 제2 걸어맞춤 돌기(252)(도 7b)가 커넥터 본체(210)의 제1 걸어맞춤 돌기(231)(도 6a~도 6c)에 충돌하고, 제1 걸어맞춤 돌기(231)를 타고넘는다. 이와 동시에, 로크 너트(250)의 상면(50a)과 플랜지(13)의 하면(13a)이 접촉 또는 접근한다. 제2 걸어맞춤 돌기(252)가 제1 걸어맞춤 돌기(231)를 타고넘을 때, 로크 너트(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해, 작업자는, 손끝을 통해 이것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2)는 튜브(8)의 상류단에 부착된다.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제2 걸어맞춤 돌기(252)가 걸어맞춰져 있다.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가 대향하고,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클램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210)의 나선형 돌기(32)가 로크 너트(250)의 암나사(52)와 결합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210)를 관통하는 유로(17)가 튜브(8)와 연통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튜브(8)에 부착된 수형 커넥터(2)의 튜브(8)로부터의 떼어냄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로크 너트(250)를 커넥터 본체(210)에 대해,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제2 걸어맞춤 돌기(252)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제2 걸어맞춤 돌기(252)가 제1 걸어맞춤 돌기(231)를 타고넘은 후에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로크 너트(250)를 커넥터 본체(2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b와 같이 로크 너트(250)를 커넥터 본체(210)로부터 분리한 후, 커넥터 본체(210)를 튜브(8)로부터 빼낸다(도 8a). 그 후, 로크 너트(250)로부터 튜브(8)를 인출한다.
수형 커넥터(2)는, 튜브(8)에 몇 번이고 반복해서 착탈할 수 있다. 로크 너트(250)를 회전시킬 때, 리브(57)에 손가락을 걸치면 회전 토크를 인가하기 쉽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2)의 사용 방법은,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과 개략 동일하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커넥터(2)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를 접속해, 경장영양요법을 행하고, 그 후, 수형 커넥터(2)로부터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920)에 대해 로크 너트(250)를 회전시키면, 커넥터 본체(210)는, 로크 너트(25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경장영양요법을 행한 후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2)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고, 커넥터 본체(210) 및 로크 너트(250)를 각각 물 세척 등을 함으로써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세정한 커넥터 본체(210) 및 로크 너트(250)는 다시 튜브(8)에 장착한다. 커넥터 본체(210) 및/또는 로크 너트(250)를,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도 된다.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튜브(8)를 환자에게 고정한 후, 환자로부터 도출된 튜브(8)의 선단에 수형 커넥터(2)를 부착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커넥터 본체(210)의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로크 너트(250)의 제2 걸어맞춤 돌기(252)가 걸어맞춰진다.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제2 걸어맞춤 돌기(252)는, 서로 걸어맞춰짐으로써, 로크 너트(250)가 커넥터 본체(2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제2 걸어맞춤 돌기(252)는, 중심축(1a)방향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나선형 돌기(32) 및 암나사(52)와 협동하여, 커넥터 본체(210)와 로크 너트(250)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 기구의 로크 상태(즉,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제2 걸어맞춤 돌기(252)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해제하여 로크 너트(250)를 커넥터 본체(21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서로 접속된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하기 위해서, 로크 너트(25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커넥터 본체(210)를 로크 너트(250)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므로,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의 결합은 느슨해지지 않고,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2)가 분해되지 않고,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로크 상태로 하기 위해서, 및,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회전 토크)은, 제1 걸어맞춤 돌기(231) 및 제2 걸어맞춤 돌기(252)의 치수 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축(1a)을 따라서 본 제1 걸어맞춤 돌기(231)와 제2 걸어맞춤 돌기(252)의 겹침 영역을 작게 함으로써, 상기 힘(회전 토크)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210)에 대한 로크 너트(250)의 회전의 방지에는,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에 추가해, 튜브(8)를 통한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 사이의 마찰력도 기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 2에도 적용된다.
(실시형태 3)
<구성>
본 실시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는, 커넥터 본체의 구성에 관해 실시형태 1의 커넥터(1)와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 본체(10)가, 암나사(41)가 형성된 외통(40)과 그 이외의 부분의 2부품으로 분할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수형 커넥터(3)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수형 커넥터(3)의 중심축(1a)을 지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는, 루어부(310),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를 구비한다. 루어부(310)와 로크부(340)가, 커넥터 본체(301)를 구성한다.
도 10a는 루어부(3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b는 루어부(31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루어부(310)의 사시 단면도이다. 루어부(310)는, 일단에 통형상의 수형 루어(11)를 구비하고, 타단에 통형상의 기단부(20)를 구비한다.
수형 루어(11)와 기단부(20) 사이의 위치에서부터, 원판형상의 플랜지(313)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플랜지(313)의 하면(기단부(20)측의 면)(313a) 및 상면(수형 루어(11)측의 면)(313b)은, 모두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플랜지(313)의 하면(313a)에, 한 쌍의 오목부(제1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13)의 상면(313b)에, 한 쌍의 오목부(제2 오목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14) 및 한 쌍의 오목부(316)는, 모두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본 예에서는, 오목부(14)와 오목부(316)의 둘레방향의 위치는 동일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수형 루어(11)와 플랜지(313) 사이에, 통형상부(제3 통형상부)(330)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330)의 외주면은, 중심축(1a)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통형상부(330)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제2 나선형 돌기)(332)가 돌출하고 있다. 나선형 돌기(332)는, 수나사의 나사산을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이 되도록 분단한, 소위 불연속 나사이다.
도 11a는 로크부(34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b는 로크부(34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로크부(340)의 단면도이다.
로크부(340)는, 상하 방향의 양단이 개구한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다. 도 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부(340)의 내주면에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암나사(41)(제1 암나사) 및 암나사(제3 암나사)(343)가, 중심축(1a)방향으로 이웃하여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41) 및 암나사(343)의 나선 방향은 동일(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나사)하며, 유효 직경은 암나사(41)가 암나사(343)보다 크다.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부(340)의 하면(340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이 로크부(340)의 하면(340a)에, 한 쌍의 볼록부(제2 볼록부)(326)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볼록부(326)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는, 외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질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커넥터 본체(10)의 재료와 동일한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는, 각각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를 각각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루어부(310)와 로크부(340)를 상이한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루어부(310)는 로크부(340)보다도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루어부(310)를 ABS로 구성하고, 로크부(340)를 PP로 구성할 수 있다.
로크 너트(50)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로크 너트(50)와 동일하다.
<튜브에 대한 착탈>
이상과 같이 구성된, 루어부(310),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로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3)는, 튜브(8)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9a 및 도 9b).
수형 커넥터(3)의 튜브(8)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0)에 튜브(8)를 삽입한다. 또한, 튜브(8)의 상류단에 루어부(310)를 대향시킨다.
그 다음에,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 내에 루어부(310)의 기단부(20)를 삽입한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튜브(8)는, 고정 돌기(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고정 돌기(21)에 의해 확경된다.
그 다음에,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0)를, 루어부(310)를 향해 이동시킨다. 로크 너트(50)의 암나사(52)의 나사산이 루어부(310)의 나선형 돌기(32)에 충돌한다. 루어부(310)에 대해 로크 너트(50)를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를 결합시킨다.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통형상부(30)가 로크 너트(50) 내에 진입한다. 이윽고 로크 너트(50)의 한 쌍의 볼록부(54)가 루어부(310)의 플랜지(313)의 하면(313a)(도 10b 참조)에 접촉하고, 그 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결국 한 쌍의 볼록부(54)가 루어부(310)의 한 쌍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로크 너트(50)의 상면(50a)과 플랜지(313)의 하면(313a)이 접촉 또는 접근한다. 한 쌍의 볼록부(54)가 한 쌍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질 때,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해, 작업자는, 손끝을 통해 이것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어부(310) 및 로크 너트(50)는 튜브(8)의 상류단에 고정된다. 로크 너트(50)의 볼록부(54)가 루어부(310)의 오목부(14)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이 단계에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가 대향하고,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클램프한다. 루어부(310)의 나선형 돌기(32)가 로크 너트(50)의 암나사(52)와 결합한다(도 9b 참조).
그 다음에, 루어부(310)에 로크부(340)를 대향시킨다. 로크부(340)에, 수형 루어(11)를 하측에서부터 삽입한다. 도 12e에 있어서, 루어부(310)의 나선형 돌기(332)가 로크부(340)의 암나사(343)(도 11b, 도 11c)의 나사산에 충돌한다. 루어부(310)에 대해 로크부(340)를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를 결합시킨다. 로크부(340)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수형 루어(11) 및 통형상부(330)가 로크부(340) 내에 진입한다. 이윽고 로크부(340)의 한 쌍의 볼록부(326)가 루어부(310)의 플랜지(313)의 상면(313b)에 접촉하고, 그 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결국 한 쌍의 볼록부(326)가 루어부(310)의 한 쌍의 오목부(316)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로크부(340)의 하면(340a)(도 11b)과 플랜지(313)의 상면(313b)이 접촉 또는 접근한다. 한 쌍의 볼록부(326)가 한 쌍의 오목부(316)에 끼워넣어질 때, 로크부(34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해, 작업자는, 손끝을 통해 이것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어부(310)에 로크부(340)가 장착된다. 볼록부(326)가 오목부(316)에 끼워넣어져 있다.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가 결합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를 관통하는 유로(17)가 튜브(8)와 연통하고 있다.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41)는, 상술한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에 준거하고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는,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와 접속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와 같이 튜브(8)에 부착된 수형 커넥터(3)의 튜브(8)로부터의 떼어냄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로크부(340)를 루어부(310)에 대해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326)와 오목부(316)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326)가 오목부(316)로부터 탈출한 후에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로크부(340)를 루어부(310)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로크부(340)를, 도 1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어부(3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로크 너트(50)를 루어부(310)에 대해,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54)와 오목부(14)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54)가 오목부(14)로부터 탈출한 후에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로크 너트(50)를 루어부(3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2b와 같이 로크 너트(50)를 루어부(310)로부터 분리한 후, 루어부(310)를 튜브(8)로부터 빼낸다(도 12a). 그 후, 로크 너트(50)로부터 튜브(8)를 인출한다.
커넥터(3)를 튜브(8)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처음에 루어부(310)에 로크부(340)를 장착하여 커넥터 본체(301)를 조립해도 된다. 그 다음에, 로크 너트(50)에 삽입한 튜브(8)의 상류단에, 조립된 커넥터 본체(301)의 기단부(20)를 삽입한다. 마지막에, 로크 너트(50)를 커넥터 본체(301)에 장착한다.
커넥터(3)의 튜브(8)로부터의 떼어냄 방법도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처음에 로크 너트(50)를 회전시켜 로크 너트(50)를 루어부(310)로부터 분리해도 된다. 이 경우, 다음에,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를 일체적으로 튜브(8)로부터 빼내도 되고, 혹은, 로크부(340)를 루어부(310)로부터 분리하고, 그 다음에 루어부(310)를 튜브(8)로부터 빼내도 된다.
수형 커넥터(3)는, 튜브(8)에 몇 번이고 반복해서 착탈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3)의 사용 방법은,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과 개략 동일하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커넥터(3)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를 접속해, 경장영양요법을 행하고, 그 후, 수형 커넥터(3)로부터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920)에 대해 로크 너트(50)를 회전시키면,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는, 로크 너트(5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경장영양요법을 행한 후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3)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고, 루어부(310),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를 각각 물 세척 등을 함으로써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세정한 루어부(310),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는 다시 튜브(8)에 장착한다. 루어부(310),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도 된다.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튜브(8)를 환자에게 고정한 후, 환자로부터 도출된 튜브(8)의 선단에 수형 커넥터(3)를 부착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수형 루어(11)와 암나사(제1 암나사)(41)가 별개의 부재(즉,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9a 및 도 9b와 같이 루어부(310)에 로크부(340)를 장착함으로써, 암나사(41)가 수형 루어(11)를 둘러싼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를, 수형 루어(11)가 삽입되는 삽입부(921)와, 암나사(41)에 결합하는 수나사(926)를 구비한,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에 접속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는, 수형 루어(11)를 구비한 루어부(310), 암나사(41)를 구비한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의 3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3부품은 서로 반복해서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에 경장영양제가 부착됨으로써 오염된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3)를 루어부(310), 로크부(340), 로크 너트(50)로 분리하여, 각각을 따로 따로 청소할 수 있다. 로크부(340)가 떼어내진 루어부(310)는,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이 드러나게 되므로(도 10a 참조), 청소가 용이하다. 나선형 돌기(332)는 불연속 나사이므로, 나선형 돌기(332)의 근방의 청소도 용이하다. 한편, 루어부(310)로부터 떼어낸 로크부(340)는, 양단이 개구하고, 또, 그 내부에 루어(11)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다. 암나사(41, 343)의 골에 부착된 경장영양제는, 브러쉬를 삽입하는 등 하여 없앨 수 있다. 로크부(340)에 오염이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크부(340)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의 커넥터(1)를 구성하는 부품 중 특별히 오염되기 쉬운 커넥터 본체(10)가, 본 실시형태 3에서는 루어부(310)와 로크부(340)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3의 수형 커넥터(3)는, 수형 루어(11)와 수형 루어(11)를 둘러싸는 암나사(41)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실시형태 1보다 더욱 용이하다.
루어부(310)의 나선형 돌기(332)와 로크부(340)의 암나사(343)가 결합한다.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는, 서로 걸어맞춰짐(결합됨)으로써, 중심축(1a)방향을 따라서 루어부(310)와 로크부(3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는 중심축(1a)방향으로 걸어맞춰진다.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가 결합했을 때, 루어부(310)와 로크부(340)의 중심축(1a)방향의 접속 강도는 매우 크다. 이에 의해,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장영양요법을 행할 때에, 경장영양제가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새어나오거나, 경장영양제에 인가하는 압력이나 튜브(8)에 작용하는 장력 등에 의해서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분리 방지 기구가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루어부(310)와 로크부(340)를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고, 게다가 루어부(310)와 로크부(340)의 접속/분리가 용이하다.
루어부(310)의 한 쌍의 오목부(316)와 로크부(340)의 한 쌍의 볼록부(326)가 끼워맞춰진다. 오목부(316)와 볼록부(326)는, 서로 걸어맞춰짐(끼워맞춰짐)으로써, 로크부(340)가 루어부(3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제2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326)와 오목부(316)는, 둘레방향으로 걸어맞춰짐으로써, 루어부(310)와 로크부(340)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나선형 돌기(제2 나선형 돌기)(332)와 제3 암나사(343)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회전 방지 기구의 로크 상태(즉, 오목부(316)와 볼록부(326)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해제하여 로크부(340)를 루어부(310)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수형 커넥터(3)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로크 너트(50)가 루어부(3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로서, 서로 걸어맞춰(끼워맞춰)지는 루어부(310)의 한 쌍의 오목부(14)와 로크 너트(50)의 한 쌍의 볼록부(54)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서로 접속된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하기 위해서, 로크 너트(5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제1 및 제2 회전 방지 기구가 로크부(340) 및 루어부(310)를 로크 너트(50)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므로, 나선형 돌기(32)와 암나사(52)의 결합 및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의 결합은 느슨해지지 않고,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가 분해되지 않고,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제2 회전 방지 기구를 로크 상태로 하기 위해서, 및,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회전 토크)은, 볼록부(326) 및 오목부(316)의 치수, 형상 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크부(340)의 하면(340a)으로부터의 볼록부(326)의 돌출 높이를 작게 하는, 볼록부(326)의 선단을 둥글게 하는 또는 면취하는, 오목부(316)의 개구의 끝가장자리를 면취하는, 등에 의해, 상기 힘(회전 토크)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 회전 방지 기구는, 제1 회전 방지 기구와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3)에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할 때에, 로크 너트(50)와 암형 커넥터(920)를 각각 파지하여 암나사(41)와 수나사(926)를 강고하게 결합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수형 커넥터(3)는, 루어부(310), 로크부(340), 및 로크 너트(50)의 3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은, 1부품으로 구성된 수형 커넥터(910)의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과 동등하다.
본 실시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3에 기재한,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의 2부품으로 구성된 커넥터 본체를, 실시형태 2에 적용할 수도 있다.
분리 방지 기구는, 나선형 돌기(332)와 암나사(343)로 구성된 결합 구조 이외의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분리 방지 기구가, 중심축(1a)방향으로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구조(예를 들면 볼록부와 볼록부, 볼록부와 오목부 등)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분리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나선형 돌기(332) 및 암나사(343)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2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루어부(310)의 오목부(316)와 로크부(340)의 볼록부(326)의 끼워맞춤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루어부(310)와 로크부(340)의 접속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ISO80369-3에 준한 액밀성 및 접속 강도로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루어부(310)와 로크부(340)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시일은, 바람직하게는, 수형 루어(11)보다도 하측(기단부(18)측)의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루어부(310)의 통형상부(제3 통형상부)(330)의 외주면에, 수형 루어(11)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소위 수형 테이퍼면)을 형성할 수 있다(도 10a). 또, 로크부(340)의 제1 암나사(41)와 제3 암나사(343) 사이에, 경소부(342)(도 11c)를 형성할 수 있다. 경소부(342)의 내주면은, 제3 암나사(343)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면(소위 암형 테이퍼면)이다. 경소부(342)의 최소 내경은, 제1 암나사(41)의 최소 내경 및 제3 암나사(343)의 최소 내경보다 작다. 경소부(342)의 암형 테이퍼면은, 루어부(310)의 통형상부(330)의 수형 테이퍼면과, 테이퍼 각도 및 직경에 있어서 일치한다.
상기와 같이 통형상부(330)에 수형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경소부(342)에 암형 테이퍼면을 형성하면, 도 9b와 같이 루어부(310)에 로크부(340)를 장착했을 때, 통형상부(330)와 경소부(342)가 서로 끼워맞춰진다. 통형상부(330)의 수형 테이퍼면과 경소부(342)의 암형 테이퍼면은, 테이퍼 각도 및 직경이 동일하므로, 통형상부(330)와 경소부(342) 사이에 액밀한 시일을 형성할 수 있다.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은,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의 삽입부(921)의 내주면(922)에, 액밀하게 면 접촉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920)를 접속한 상태에서는, 수형 루어(11)의 외주면(12)과 삽입부(921)의 내주면(922) 사이를 지나 영양제가 새어나올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 922를 접속하기 직전에, 영양제가 삽입부(921)의 개구단까지 충만되어 있는 경우, 삽입부(921)에 수형 루어(11)를 삽입하면, 영양제가 삽입부(921)로부터 새어나오는 경우가 있다. 통형상부(330)와 경소부(342)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으면, 새어나온 영양제는, 제2 나선형 돌기(332) 및 제3 암나사(343)의 측으로 흐르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영양제가, 로크부(340)의 하면(340a)과 플랜지(313)의 상면(313b) 사이를 지나 수형 커넥터(3) 밖으로 새어나와, 환자의 몸이나 의복을 오염시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로의 영양제의 부착을 적게 하여, 이들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루어부(310)와 로크부(340) 사이에 새어나온 영양제가 고착되어, 루어부(310)와 로크부(340)의 분리가 곤란해진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루어부(310)와 로크부(340) 사이에 액밀한 시일은, 서로 끼워맞춰지는 수형 테이퍼면과 암형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끼워맞춰지는 2개의 원통면으로 액밀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루어부(310) 및 로크부(340) 중 어느 한쪽에 O링을 장착하고, 상기 O링을 다른쪽에 밀착시킴으로써, 액밀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액밀한 시일을 형성하는 위치는, 수형 루어(11)보다도 하측(기단부(18)측)의 위치이면, 임의이다. 예를 들면, 제2 나선형 돌기(332) 및 제3 암나사(343)보다 하측에서 시일을 형성해도 된다. 시일은, 루어부(310)와 로크부(340)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루어부(310)와 로크부(340)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예를 들면 플랜지(313)의 상면(313b)과 로크부(340)의 하면(340a) 사이)에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 3에도 적용된다.
(실시형태 4)
<구성>
본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는,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주로 이하의 두 가지 점에서 상이하다. 첫째, 커넥터 본체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갖는다. 둘째, 제1 회전 방지 기구의 구성이 상이하다.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어,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수형 커넥터(4)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수형 커넥터(4)의 중심축(1a) 및 연장부(412)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c는, 수형 커넥터(4)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다른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c의 단면은, 도 13b의 단면과 직교한다.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는,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를 구비한다.
도 14a는 커넥터 본체(4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b는 커넥터 본체(41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 본체(410)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4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10)는, 실시형태 1의 커넥터 본체(10)가 구비하고 있던 오목부(14)(도 2b)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원판형상의 플랜지(13)의 외주단으로부터, 한 쌍의 연장부(412)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암형상)의 부재이다. 한 쌍의 연장부(412) 사이의 간격은, 로크 너트(450)의 돌기(452)보다 상측 부분(후술하는 도 15a 참조)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조금 크다. 한 쌍의 연장부(412)의 외주면(중심축(1a)과는 반대측을 향한 면)은, 외통(40)의 외주면과 공통되는 원통면을 구성한다. 연장부(412)의 하면(412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연장부(412)의 하면(412a)에, 볼록부(414)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연장부(412) 및 한 쌍의 볼록부(414)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본 실시형태 4에서는, 통형상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제1 나선형 돌기)(32)는, 나사산이 연속한, 소위 연속 나사이다. 단, 나선형 돌기(32)는, 실시형태 1의 나선형 돌기(32)와 같은 불연속 나사여도 된다.
도 15a는 로크 너트(45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5b는 로크 너트(450)의 사시 단면도이다.
로크 너트(450)는, 그 상면(50a)에, 실시형태 1의 로크 너트(50)가 구비하고 있던 볼록부(54)(도 3a)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로크 너트(450)는, 그 외주면에, 실시형태 1의 로크 너트(50)가 구비하고 있던 리브(57)(도 3a)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로크 너트(450)의 외주면에는, 외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리브(돌기)(457)를 구비한다. 리브(457)는, 로크 너트(450)의 상면(50a)의 외주 끝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리브(457)의 외주면은, 로크 너트(450)의 중심축(1a)과 동축의 원통면이다. 돌기(452)가, 각 리브(457)의 하단에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기(452)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돌기(452)의 상면(452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돌기(452)의 상면(452a)에, 오목부(45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리브(457), 한 쌍의 돌기(452), 및 한 쌍의 오목부(454)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너트(450)의 외주면으로부터 리브(457)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리브(457)를 생략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로크 너트(450)의 외주면을, 리브(457)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4)의 구성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와 동일하다.
<튜브에 대한 착탈>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본체(410) 및 로크 너트(450)로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4)는, 튜브(8)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13a~도 13c).
수형 커넥터(4)의 튜브(8)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450)에 튜브(8)를 삽입한다. 또한, 튜브(8)의 상류단에 커넥터 본체(410)를 대향시킨다.
그 다음에,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 내에 커넥터 본체(410)의 기단부(20)를 삽입한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튜브(8)는, 고정 돌기(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고정 돌기(21)에 의해 확경된다.
그 다음에,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450)를, 커넥터 본체(410)를 향해 이동시킨다. 한 쌍의 연장부(412) 사이에 로크 너트(450)를 삽입한다. 커넥터 본체(410)에 대해 로크 너트(450)를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32)(도 14b)와 암나사(52)(도 15a)를 결합시킨다. 로크 너트(450)가 커넥터 본체(410)의 외통(40)에 접근한다. 이윽고 연장부(412)의 볼록부(414)가 돌기(452)의 상면(452a)에 접촉하고, 그 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결국 볼록부(414)가 오목부(454)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연장부(412)의 하면(412a)과 돌기(452)의 상면(452a)이 대향한다. 한 쌍의 볼록부(414)가 한 쌍의 오목부(454)에 끼워넣어질 때, 로크 너트(4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해, 작업자는, 손끝을 통해 이것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3a~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4)는 튜브(8)의 상류단에 부착된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10)의 한 쌍의 연장부(412)는, 로크 너트(450)를 사이에 끼고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부(412)와 로크 너트(450)의 리브(457)는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 연장부(412)와 돌기(452)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연장부(412)의 노출된 외면은, 리브(457)의 측면 및 돌기(452)의 외면과 대략 연속한 면을 구성하고 있다. 볼록부(414)가 오목부(454)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 13b 및 도 1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돌기(21)와 경소부(53)가 대향하고,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클램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410)의 나선형 돌기(32)가 로크 너트(450)의 암나사(52)와 결합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410)를 관통하는 유로(17)가 튜브(8)와 연통하고 있다.
도 13a~도 13c와 같이 튜브(8)에 부착된 수형 커넥터(4)의 튜브(8)로부터의 떼어냄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로크 너트(450)를 커넥터 본체(410)에 대해,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414)와 오목부(454)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414)가 오목부(454)로부터 탈출한 후에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로크 너트(450)를 커넥터 본체(4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6b와 같이 로크 너트(450)를 커넥터 본체(410)로부터 분리한 후, 커넥터 본체(410)를 튜브(8)로부터 빼낸다(도 16a). 그 후, 로크 너트(450)로부터 튜브(8)를 인출한다.
커넥터 본체(410)와 커넥터 본체(4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통(40)을 한쪽 손으로 잡고, 한 쌍의 돌기(452)를 다른쪽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수형 커넥터(4)는, 튜브(8)에 몇 번이고 반복해서 착탈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4)의 사용 방법은,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의 사용 방법과 개략 동일하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하여, 수형 커넥터(4)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를 접속해, 경장영양요법을 행하고, 그 후, 수형 커넥터(4)로부터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4)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경장영양요법을 행한 후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4)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고, 커넥터 본체(410) 및 로크 너트(450)를 각각 물 세척 등을 함으로로써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세정한 커넥터 본체(410) 및 로크 너트(450)는 다시 튜브(8)에 장착한다. 커넥터 본체(410) 및 로크 너트(450)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도 된다.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튜브(8)를 환자에게 고정한 후, 환자로부터 도출된 튜브(8)의 선단에 수형 커넥터(4)를 부착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커넥터 본체(410)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412)를 갖고 있다. 도 1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10)에 로크 너트(450)를 접속했을 때, 커넥터 본체(410)의 한 쌍의 연장부(412)가 로크 너트(450)에 대해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연장부(412)는, 로크 너트(45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연장부(412)는, 로크 너트(450)의 하단 근방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412)의 하단에서부터 로크 너트(450)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 치수는, 로크 너트(450)의 상하 방향 치수의 반분 이상, 또한 3분의 2 이상, 특히 4분의 3 이상이다. 또, 연장부(412)의 상하 방향 치수는, 돌기(452)의 상하 방향 치수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로크 너트(450)의 외주면을 파지하면 한 쌍의 연장부(412)도 동시에 파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4)와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 참조)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고, 수형 커넥터(4)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느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암형 커넥터(920)에 대해 수형 커넥터(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를, 본 실시형태 4에서는, 로크 너트(450)가 아니라, 한 쌍의 연장부(412)에 인가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412)와 제1 암나사(41)는, 공통되는 커넥터 본체(41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연장부(412)에 인가된 회전 토크는, 제1 암나사(41)에 확실하게 전달된다.
예를 들면, 수형 커넥터(4)와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 참조)를 접속할 때에 양자를 강고하게 비틀면, 그 후,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한 쌍의 연장부(412)에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하여,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시형태 1의 커넥터(1)(도 1a 참조)에서는, 회전 토크는 로크 너트(50)에 인가된다. 로크 너트(5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하기 쉽도록, 로크 너트(50)에는 리브(57)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토크가 인가되는 로크 너트(50)는, 제1 암나사(41)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10)와는 별부품이다. 로크 너트(50)로부터 커넥터 본체(10)로의 회전 토크의 전달은, 볼록부(54)와 오목부(14)로 이루어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통해 행해진다. 따라서,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가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경우, 로크 너트(50)에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하면,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볼록부(54)와 오목부(14)의 걸어맞춤(끼워맞춤)이 해제되어,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느슨해져버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이러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록부(54)와 오목부(14)와의 걸어맞춤(끼워맞춤)을 강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커넥터 본체(10)와 로크 너트(5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수형 커넥터(4)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분리시에 수형 커넥터(4)에 인가되는 회전 토크의 전달 경로에, 오목부(454)와 볼록부(414)로 이루어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개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4)와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때에,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느슨해지지 않고,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확실하게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4에 있어서도, 커넥터 본체(410)의 한 쌍의 볼록부(414)와 로크 너트(450)의 한 쌍의 오목부(454)는, 서로 걸어맞춰짐(끼워맞춰짐)으로써, 로크 너트(450)가 커넥터 본체(4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단, 본 실시형태 4의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본 실시형태의 볼록부(414)와 오목부(454)로 이루어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실시형태 1의 오목부(14)와 볼록부(54)로 이루어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와 달리, 큰 회전 토크를 전달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수형 커넥터(4)는,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의 2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로크 너트(450)와 커넥터 본체(410)의 한 쌍의 연장부(412)를 일체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은, 1부품으로 구성된 수형 커넥터(910)의 암형 커넥터(920)에 대한 접속 및 분리의 조작성과 동등하다.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를 접속했을 때, 커넥터 본체(410)의 연장부(412)와 로크 너트(450)의 돌기(452) 및 리브(457)는 마치 일체물인 것처럼 상하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속한다(도 13a 참조). 따라서, 로크 너트(450)를 파지했을 때, 연장부(412)와 돌기(452) 및/또는 리브(457)를 동시에 파지했다고 해도,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수형 커넥터(4)를 암형 커넥터(920)에 대해 접속 및 분리하는 작업중에,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도 17a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414)와 오목부(454)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볼록부(414)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정상면(가장 돌출한 면 (414a)과, 정상면(414a)에 대해 둘레방향의 일방측에 인접하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414b)과, 정상면(414a)에 대해 둘레방향의 타방측에 인접하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수직면(414c)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454)는, 볼록부(414)의 정상면(414a), 경사면(414b), 수직면(414c)에 각각 대응하는 바닥면(454a), 경사면(454b), 수직면(454c)을 구비하고 있다. 화살표(A)는, 볼록부(414)가 설치된 커넥터 본체(410)에, 오목부(454)가 설치된 로크 너트(450)를 회전시켜 접속할 때의, 오목부(454)에 대한 볼록부(414)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볼록부(414)는, 화살표(A)의 앞쪽에 경사면(414b)을 구비하므로, 볼록부(414)와 오목부(454)를 걸어맞춤(끼워맞춤)시키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예를 들면, 돌기(452)의 에지(452e)에 볼록부(414)의 경사면(414b)이 충돌해도, 볼록부(414)는 에지(452e)를 용이하게 타고넘을 수 있다.
도 17b는,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가 접속되고, 볼록부(414)와 오목부(454)가 걸어맞춰(끼워맞춰)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볼록부(414)의 정상면(414a), 경사면(414b), 수직면(414c)이, 오목부(454)의 바닥면(454a), 경사면(454b), 수직면(454c)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수직면(414c)과 수직면(454c)은는, 둘레방향에 대향하므로, 볼록부(414)와 오목부(454)의 걸어맞춤(끼워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이와 같은 둘레방향에 비대칭성을 갖는 볼록부(414) 및 오목부(454)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는, 조립은 비교적 용이하고, 분해는 비교적 곤란하다. 이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가 분리되어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있어서, 볼록부(414) 및 오목부(454)를 구성하는 각 면은,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이어도 된다. 볼록부(414) 및 오목부(454)가, 정상면(414a) 및 바닥면(454a)을 생략하고, 경사면(414b)과 수직면(414c)이 인접하는 삼각형상의 볼록부, 및, 경사면(454b)과 수직면(454c)이 인접하는 삼각형상의 오목부여도 된다. 수직면(414c, 414c)을,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변경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도 13a)와 실시형태 1의 수형 커넥터(1)(도 1a)를 비교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4에서는 한 쌍의 연장부(412)가 로크 너트(450)의 하단의 근방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12)에 비해 돌기(452)의 상하 방향 치수는 매우 작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환자가 잘못해서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를 분해하는 등의 오조작을 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수형 커넥터(4)를 청소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이 약간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한 쌍의 돌기(452)에 걸어맞춰지는 지그를 이용하여, 이 작업성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다. 그러한 지그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8a는, 지그(470)를 이용하여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를 접속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지그(47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파지판(471)이 연결부(478)로 연결된, 상방으로부터 보면 대략 「U」자형상을 갖고 있다. 한 쌍의 파지판(471)의 상면의 외측 부분(대향하는 파지판(471)으로부터 먼 부분)으로부터 규제부(472)가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규제부(472)보다 내측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은 유지부(473)이다.
한 쌍의 파지판(471)의 유지부(473)보다 하측의 서로 대향하는 면(471b), 및, 한 쌍의 규제부(47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제1 오목부(471a) 및 제2 오목부(47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면(471b)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471a)는 공통되는 원통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규제부(472)에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제2 오목부(472a)도 공통되는 원통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오목부(471a)의 원통면과 제2 오목부(472a)의 원통면은, 동축이다.
이상과 같은 지그(470)를 이용하여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를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튜브(8)를 로크 너트(450)에 삽입한다. 지그(470)의 개방측(연결부(478)와는 반대측)을 튜브(8)에 대향시킨다.
그 다음에,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 내에 커넥터 본체(410)의 기단부(20)를 삽입한다. 또한, 로크 너트(450)보다 하측에서, 지그(470)의 한 쌍의 파지판(471) 사이에 튜브(8)를 삽입한다. 튜브(8)의 외경은, 파지판(471)의 서로 대향하는 면(471b)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471a)(도 18a 참조)가 구성하는 원통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다. 따라서, 튜브(8)는, 서로 대향하는 면(471b) 사이를 통과할 때는 축경하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튜브(8)는,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471a) 사이에 끼워넣어지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 다음에, 튜브(8)를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471a)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로, 지그(470)를 상승시킨다. 로크 너트(450)의 하단 부분의 외경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오목부(471a)가 구성하는 원통면의 직경보다 크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2 오목부(472a)가 구성하는 원통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조금 작다. 따라서,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450)의 하단 부분은 서로 대향하는 제2 오목부(472a) 사이에 끼워넣어, 유지부(473)에 접촉한다. 로크 너트(450)의 한 쌍의 돌기(452)는 한 쌍의 규제부(472)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돌기(452)의 상면(452a)은, 규제부(472)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로크 너트(450)는, 지그(470)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또한, 지그(47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로크 너트(450)를, 커넥터 본체(410)를 향해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410)에 대해 로크 너트(450)를 회전시켜,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450)를 커넥터 본체(410)에 접속한다.
커넥터 본체(410)와 로크 너트(450)의 분리는, 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가능하다.
장착 및 분리가 각각 종료되면, 지그(470)는 튜브(8)로부터 분리된다.
이상과 같이, 지그(470)는, 로크 너트(450)의 상하 방향의 이동 및 회전을 규제한다. 따라서, 지그(470)를 통해 로크 너트(450)가 낙하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고, 또, 지그(470)를 통해 로크 너트(45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그(470)의 한 쌍의 파지판(471)을 통해 로크 너트(450)를 유지함으로써, 커넥터 본체(410)에 대한 로크 너트(450)의 접속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 쌍의 파지판(471)의 서로 대향하는 면(471b) 사이의 간격은, 튜브(8)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일단 튜브(8)를 제1 오목부(471a) 사이에 삽입해 버리면(도 18b 참조), 그 후, 지그(470)로부터 손을 떼도, 지그(470)가 튜브(8)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장착 및 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지그(470)의 형상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파지판(471)의 각각의 상면에, 각 돌기(452)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돌기(523)가 한 쌍의 파지판(471)에 각각 끼워맞춰짐으로써, 로크 너트(450)의 낙하 및 회전이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 4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4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 4에도 적용된다.
(실시형태 5)
<구성>
본 실시형태 5의 수형 커넥터(5)는,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와, 주로 이하의 두 가지 점에서 상이하다. 첫째, 튜브(8)에 삽입되는 기단부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둘째, 제1 회전 방지 기구의 구성이 상이하다.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5의 수형 커넥터(5)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참작하는 도면에 있어서,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어,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수형 커넥터(5)의 사시도이다. 도 19b는, 수형 커넥터(5)의 중심축(1a) 및 연장부(412)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c는, 수형 커넥터(5)의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다른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c의 단면은, 도 19b의 단면과 직교한다.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5의 수형 커넥터(5)는, 커넥터 본체(510)와 로크 너트(550)를 구비한다.
도 20a는 커넥터 본체(51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b는 커넥터 본체(51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4c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 본체(510)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0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30)로부터 하방을 향해 기단부(520)가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520)는, 실시형태 1~4의 커넥터 본체(10, 210, 310, 410)가 구비하고 있었던 고정 돌기(21)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기단부(520)의 외주면은, 중심축(1a)과 동축의 원통면이다. 기단부(520)의 외경은, 튜브(8)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4의 커넥터 본체(410)와 동일하게, 원판형상의 플랜지(13)의 외주단으로부터, 한 쌍의 연장부(412)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12)의 하면(412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연장부(412)의 하면(412a)에, 볼록부(514)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볼록부(514)의 형상은, 실시형태 4의 볼록부(414)와 상이하다.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본 볼록부(514)는, 대략 장방형이다.
한 쌍의 볼록부(514)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도 21a는 로크 너트(55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1b는 로크 너트(550)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1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50)는, 그 내주면의 하단 근방에 경소부(553)를 갖는다. 경소부(553)의 내경은, 로크 너트(550)의 그보다 상측 부분의 어느 내경보다 작고, 커넥터 본체(510)의 기단부(520)(도 20a, 도 20b)의 외경보다 조금 크다. 경소부(553)의 내주면은, 중심축(1a)방향에 있어서 내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도 2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50)의 외주면으로부터 한 쌍의 돌기(452)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기(452)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돌기(452)의 상면(452a)은,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이다. 돌기(452)의 상면(452a)에, 오목부(55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54)의 형상은, 실시형태 4의 오목부(454)와 상이하다.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본 오목부(554)는, 대략 장방형이다. 한 쌍의 오목부(554)는, 중심축(1a)에 대해 회전 대칭(2회 대칭)이다.
수형 커넥터(5)의 구성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와 동일하다.
<튜브에 대한 착탈>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본체(510) 및 로크 너트(550)로 이루어지는 수형 커넥터(5)는, 튜브(8)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된다(도 19a~도 19c).
수형 커넥터(5)의 튜브(8)로의 부착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50)에 튜브(8)를 삽입한다. 또한, 튜브(8)의 상류단에 커넥터 본체(510)를 대향시킨다.
그 다음에,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8) 내에 커넥터 본체(510)의 기단부(520)를 삽입한다.
그 다음에,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너트(550)를, 커넥터 본체(510)를 향해 이동시킨다. 한 쌍의 연장부(412) 사이에 로크 너트(550)를 삽입한다. 커넥터 본체(510)에 대해 로크 너트(550)를 회전시켜, 나선형 돌기(32)(도 20b)와 암나사(52)(도 21a)를 결합시킨다. 로크 너트(550)가 커넥터 본체(510)의 외통(40)에 접근한다. 이윽고 연장부(412)의 볼록부(514)가 돌기(452)의 상면(452a)에 접촉하고, 그 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결국 볼록부(514)가 오목부(554)에 끼워넣어지고, 이와 동시에, 연장부(412)의 하면(412a)과 돌기(452)의 상면(452a)이 대향한다. 한 쌍의 볼록부(514)가 한 쌍의 오목부(554)에 끼워넣어질 때, 로크 너트(5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토크가 변화해, 작업자는, 손끝을 통해 이것을 클릭감으로서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9a~도 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5)는 튜브(8)의 상류단에 부착된다.
도 1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414)가 오목부(454)에 끼워넣어져 있다.
도 19b 및 도 1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단부(520)의 외주면의 하단(520a)과 경소부(553)가 대향하고,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클램프하고 있다.
도 19a~도 19c와 같이 튜브(8)에 부착된 수형 커넥터(5)의 튜브(8)로부터의 떼어냄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처음에, 로크 너트(550)를 커넥터 본체(510)에 대해, 장착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볼록부(514)와 오목부(554)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약간 큰 회전 토크를 인가할 필요가 있다. 볼록부(514)가 오목부(554)로부터 탈출한 후에는, 작은 회전 토크로 로크 너트(550)를 커넥터 본체(51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9b와 같이 로크 너트(550)를 커넥터 본체(510)로부터 분리한 후, 커넥터 본체(510)를 튜브(8)로부터 빼낸다(도 19a). 그 후, 로크 너트(550)으로부터 튜브(8)를 인출한다.
커넥터 본체(510)와 커넥터 본체(5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외통(40)을 한쪽 손으로 잡고, 한 쌍의 돌기(452)를 다른쪽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수형 커넥터(5)는, 튜브(8)에 몇 번이고 반복해서 착탈할 수 있다.
<사용 방법>
수형 커넥터(5)의 사용 방법은, 실시형태 4의 수형 커넥터(4)의 사용 방법과 개략 동일하다. 실시형태 4와 동일하게 하여, 수형 커넥터(5)에, ISO80369-3에 준거한 암형 커넥터(920)(도 25a 및 도 25b)를 접속해, 경장영양요법을 행하고, 그 후, 수형 커넥터(5)로부터 암형 커넥터(920)를 분리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5)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은, 수형 커넥터(910)(도 24a 및 도 24b)와 암형 커넥터(920)의 접속과 동일하게, 액밀성과 접속 강도가 뛰어나다.
경장영양요법을 행한 후에는, 실시형태 4와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5)를 튜브(8)로부터 떼어내고, 커넥터 본체(510) 및 로크 너트(550)를 각각 물 세척 등을 함으로써 청정하게 세정할 수 있다. 세정한 커넥터 본체(510) 및 로크 너트(550)는 다시 튜브(8)에 장착한다. 커넥터 본체(510) 및 로크 너트(550)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도 된다.
위루를 조설하는 경우에는, 실시형태 4와 동일하게, 튜브(8)를 환자에게 고정한 후, 환자로부터 도출된 튜브(8)의 선단에 수형 커넥터(5)를 부착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 5에서는, 커넥터 본체(510)의 기단부(520)에, 실시형태 1~4의 커넥터 본체(10, 210, 310, 410)가 구비하고 있던 고정 돌기(21)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5에서는, 기단부(520)를 튜브(8)에 삽입한 상태로 커넥터 본체(510)의 나선형 돌기(32)와 로크 너트(550)의 암나사(제2 암나사)(52)를 결합시키면, 커넥터 본체(510)의 기단부(520)의 하단(520a)과 로크 너트(550)의 경소부(553)가 튜브(8)를 반경 방향으로 클램프할 수 있다. 튜브(8)는, 기단부(520)의 하단(520a)과 경소부(553)의 내주면에서 국소적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실시형태 1~4와 동일하게, 수형 커넥터(5)를 튜브(8)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유로(17) 및 튜브(8)를 흐르는 경장영양제에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수형 커넥터(5)와 튜브(8)의 접합부로부터 경장영양제가 누출되거나 튜브(8)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서, 수형 커넥터(5)와 튜브(8)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기단부(520)가 고정 돌기(2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첫째, 커넥터 본체(510)를 수지 성형하는 경우에, 커넥터 본체(510)의 금형으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다. 둘째, 기단부(520)를 튜브(8)에 대해 삽입 발거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튜브(8)에 대한 수형 커넥터(5)의 착탈이 용이하다.
기단부(520)의 외주면의 하단(520a)이나 경소부(553)의 내주면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단부(520)의 외주면의 하단(520a)에, 통형상부(3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수형 테이퍼면)을 형성해도 된다. 또, 경소부(553)의 내주면이, 하측으로 감에 따라서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암형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기단부(520) 및 경소부(553)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테이퍼면을 형성한 경우라도, 기단부(520)와 경소부(553) 사이에서 튜브(8)를 클램프할 수 있으므로, 수형 커넥터(5)를 튜브(8)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5에 있어서도, 커넥터 본체(510)의 한 쌍의 볼록부(514)와 로크 너트(550)의 한 쌍의 오목부(554)는, 서로 걸어맞춰짐(끼워맞춰짐)으로써, 로크 너트(550)가 커넥터 본체(51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한다.
도 23a는, 볼록부(514)의 확대 사시도이다. 볼록부(514)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정상면(가장 돌출한 면)(514a)을 구비하고, 정상면(514a)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수직면(514b, 514c)을 구비하고 있다. 정상면(514a)과 수직면(514b, 514c) 사이에는, 원통면형상의 면취면(514d, 514e)이 형성되어 있다.
도 23b는 오목부(554)의 확대 사시도이다. 오목부(554)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한 바닥면(554a)을 구비하고, 바닥면(554a)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수직면(554b, 554c)을 구비하고 있다. 수직면(554b, 554c)과 돌기(452)의 상면(452a) 사이에는, 원통면형상의 면취면(554d, 554e)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14)와 오목부(554)가 걸어맞춰(끼워맞춰)지면(도 19a), 볼록부(514)의 정상면(514a), 수직면(514b, 514c)은, 오목부(554)의 바닥면(554a), 수직면(554b, 554c)에 각각 대향한다.
실시형태 4와 동일하게, 본 실시형태 5의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통해, 제1 암나사(41)와 수나사(926)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데 필요한 큰 회전 토크는 전달되지 않는다.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나선형 돌기(32)와 제2 암나사(52)의 결합이 의도하지 않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그래서, 볼록부(514)에는, 비교적 큰 면취면(514d, 514e)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54)에도, 비교적 큰 면취면(554d, 554e)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510)와 로크 너트(550)의 접속/분리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접속/분리를 반복해서 행한 경우의, 볼록부(514) 및 오목부(554)의 마모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에 있어서, 볼록부(514)의 정상면(514a), 수직면(514b, 514c), 및, 오목부(554)의 바닥면(554a), 수직면(554b, 554c)은, 평면일 필요는 없고, 곡면이어도 된다. 볼록부(514)가, 정상면(514a)을 생략하고, 면취면(514d)과 면취면(514e)이 인접한, 원통면의 정상부를 구비한 볼록부여도 된다. 수직면(514b, 554b) 및/또는 수직면(514c, 554c)을,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변경해도 된다. 면취면(514d, 514e) 및 면취면(554d, 554e)은, 원통면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임의의 곡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 5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4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 5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4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4의 설명은, 본 실시형태 5에도 적용된다.
상기 실시형태 1~5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5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2, 4, 5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0, 210, 410, 510)를,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로크부(340)를, 단단히 파지하여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10, 210, 410, 510) 및 로크부(340)에도 돌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의 형상은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로크 너트(50)에 설치된 리브(57)와 유사한 1 이상의 이랑형상의 돌기를, 외통(40)(실시형태 1, 2, 4, 5)의 외주면 및 로크부(340)(실시형태 3)의 외주면에,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서 설치할 수 있다.
혹은, 외통(40) 및 로크부(340)에, 지그가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볼록부) 또는 오목한 부분(오목부)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외통(40) 및 로크부(340)의 상면(암형 커넥터(920)가 접속되는 측의 면)에 복수의 돌기 또는 복수의 오목한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외통(40) 및 로크부(3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형상의 지그의 편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 또는 복수의 오목한 부분과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복수의 볼록부를 설치한다. 실시형태 1, 2, 4, 5에서는, 로크 너트(50, 250, 450, 550)를 커넥터 본체(10, 210, 410, 510)에 대해 착탈할 때에, 외통(40)에 상기 지그를 장착하고, 지그를 통해 커넥터 본체(10, 210, 410, 51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로크 너트(50, 250, 450, 550)의 착탈 작업이 용이해진다. 실시형태 3에서는, 루어부(310)에 대해 로크부(340)를 착탈할 때에, 로크부(340)에 상기 지그를 장착하고, 지그를 통해 로크부(340)에 회전 토크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로크부(340)의 착탈 작업이 용이해진다.
나선형 돌기(32, 332)는, 나사산이 둘레방향으로 분단된 불연속 나사, 및, 나사산이 둘레방향으로 연속한 연속 나사(즉, 일반적인 수나사)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54, 326, 414, 514) 및 오목부(14, 316, 454, 554)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볼록부 및 오목부를 대향하는 2개의 부재 중 어느 쪽에 형성하는지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볼록부를 플랜지(13)에 형성하고, 오목부를 로크 너트(50)에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볼록부를 플랜지(13, 313)에 형성하고, 오목부를 로크 너트(50) 및 로크부(340)에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4, 5에 있어서, 볼록부를 돌기(452)에 형성하고, 오목부를 연장부(412)에 형성해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 3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실시형태 4의 볼록부(414) 및 오목부(454)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실시형태 5의 볼록부(514) 및 오목부(554)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4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실시형태 1의 볼록부(54) 및 오목부(14)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실시형태 5의 볼록부(514) 및 오목부(554)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5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실시형태 1의 볼록부(54) 및 오목부(14)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실시형태 4의 볼록부(414) 및 오목부(454)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4, 5에 있어서, 플랜지(13)의 하면(13a)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한쪽을 형성하고, 로크 너트(450, 550)의 상면(50a)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다른쪽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연장부(412)의 하면(412a) 및 돌기(452)의 상면(452a)의 회전 방지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둘레방향으로 걸어맞춰지는 회전 방지 기구의 구성은, 볼록부(54, 326, 414, 514)와 오목부(14, 316, 454, 554)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대향하는 2면에 각각 형성된 2개의 볼록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한쪽의 볼록부가 다른쪽의 볼록부를 타고넘음으로써, 2개의 볼록부가 걸어맞춰져, 회전 방지 기구가 로크 상태가 된다. 2개의 볼록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본 형상(측면 형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록부의 측면 형상은, 볼록부(26, 326)와 동일하게, 장방형이어도 된다. 혹은, 볼록부의 측면 형상은, 실시형태 4에서 나타낸 볼록부(414)와 동일하게, 걸어맞춤시킬 때의 상대적 이동 방향의 앞쪽에 경사면을 갖고, 뒤쪽에 수직면을 갖는, 둘레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이어도 된다. 혹은, 볼록부의 측면 형상은, 실시형태 5에서 나타낸 볼록부(514)와 동일하게, 면취면을 구비한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4, 5에 있어서, 연장부(412)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2개 이상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연장부(412)는 중심축(1a)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암형 커넥터(920)와의 접속 및 분리의 작업성이나, 커넥터 본체(특히 나선형 돌기(32), 기단부(20))의 청소의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2개가 바람직하다. 연장부(412)의 수에 따라, 돌기(452)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혹은, 연장부가 로크 너트(450, 550)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덮는 통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410, 510)에 로크 너트(450, 550)를 장착하면, 통형상의 연장부보다 하측에서 돌기(452)가 노출된다. 연장부의 외주면에, 커넥터 본체(410, 510)에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도록, 돌기(예를 들면 실시형태 1, 2의 리브(57)와 유사한 돌기)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4, 5에 있어서, 돌기(452)에 제1 회전 방지 기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돌기(452)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2의 커넥터 본체(10, 210)의 원통부(40)에, 실시형태 4, 5에서 설명한 연장부(412)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로크 너트(50, 250)의 외주면에, 실시형태 4, 5에서 설명한 돌기(452)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3의 로크부(340)에, 실시형태 4, 5에서 설명한 연장부(412)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로크 너트(50)의 외주면에, 실시형태 4, 5에서 설명한 돌기(45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는, 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연장부(412)의 하면(412a) 및 돌기(452)의 상면(452a)에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5에서 설명한,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단부(520)와 경소부(553)로 튜브(8)를 클램프하는 구성을, 실시형태 1~4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또는 그 변경한 구성을,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5에서는, 환자에게 삽입된 카테터가 체외로 길게 도출된, 소위 「튜브형」 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수형 커넥터(1~3)를 부착했다. 단,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카테터가 환자의 체외로 실질적으로 도출되지 않는, 소위 「버튼형」 PEG 카테터에 접속되는 튜브의 상류단에도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경비 카테터의 상류단에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형 커넥터는, 경장영양제를 흘리는 임의의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장영양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하다. 상기 튜브는, PEG 카테터나 경비 카테터와 같이 환자에게 유치되는 카테터여도 되고, 이들 카테터에 접속되는 튜브여도 된다. 그 중에서도, 환자에게 유치되는 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3, 4, 5: 수형 커넥터 8: 튜브
10, 210, 301, 410, 510: 커넥터 본체 11: 수형 루어
13, 313: 플랜지
14, 454, 554: 오목부(제1 회전 방지 기구) 17: 유로
20, 520: 기단부 21: 고정 돌기
32: 나선형 돌기(제1 나선형 돌기) 40: 외통
41: 암나사(제1 암나사) 50, 250, 450, 550: 로크 너트
50a: 로크 너트의 단면(상면) 52: 암나사(제2 암나사)
53, 553: 경소부
54, 414, 514: 볼록부(제1 회전 방지 기구) 57: 리브(돌기)
231: 제1 걸어맞춤 돌기(제1 회전 방지 기구)
252: 제2 걸어맞춤 돌기(제1 회전 방지 기구)
310: 루어부
316: 오목부(제2 회전 방지 기구)
326: 볼록부(제2 회전 방지 기구)
330: 통형상부(제3 통형상부, 시일을 형성하는 수형 테이퍼면)
340: 로크부
342: 경소부(시일을 형성하는 암형 테이퍼면)
343: 암나사(제3 암나사) 412: 연장부
414b, 454b: 경사면 414c, 454c: 수직면
470: 지그 920: 암형 커넥터
921: 삽입부 925: 수나사

Claims (17)

  1. 경장영양요법에 이용되는 튜브의 상류단에 떼어냄 가능하게 부착되는 수형 커넥터로서,
    커넥터 본체와 로크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튜브와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된 통형상의 수형 루어와,
    상기 수형 루어를 둘러싸는 제1 암나사와,
    상기 튜브에 삽입되는 기단부와,
    상기 수형 루어와 상기 기단부 사이의, 외향으로 돌출한 나선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너트는, 양단이 개구한 통형상을 갖고,
    상기 나선형 돌기와 결합하는 제2 암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제2 암나사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단부가 삽입된 튜브를 상기 기단부와 상기 로크 너트가 클램프(clamp)하고,
    상기 튜브가 클램프되었을 때에 상기 로크 너트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로크 너트에, 서로 상대방에게 걸어맞춰지는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너트는, 상기 튜브에 대향하는 경소부(徑小部)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제2 암나사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단부가 삽입된 튜브를 상기 기단부와 상기 경소부가 클램프하는, 수형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기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으로 돌출한 고정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돌기와 상기 제2 암나사를 결합시키면, 상기 기단부가 삽입된 튜브를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경소부가 클램프하는, 수형 커넥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수형 루어와 상기 나선형 돌기 사이의 위치에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 플랜지와, 상기 로크 너트의 상기 제2 암나사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나선형 돌기 사이의 외주면과, 상기 로크 너트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로크 너트의 한쪽에 형성된 볼록부와 다른쪽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둘레방향으로 걸어맞춰지고,
    상기 볼록부는, 둘레방향의 일방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타방측에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넣어졌을 때에 상기 볼록부의 상기 경사면 및 상기 수직면에 각각 대향하는 경사면 및 수직면을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루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1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고,
    서로 접속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로크 너트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로크 너트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1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결합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제1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수형 루어, 상기 기단부, 및 상기 나선형 돌기를 갖는 루어부와, 상기 제1 암나사를 갖는 로크부의 서로 독립된 2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크부는, 양단이 개구한 중공 통형상을 갖고, 상기 루어부에 대해 떼어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크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루어부 및 상기 로크부에, 서로 상대방에게 걸어맞춰지는 제2 회전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형 커넥터는, 상기 수형 루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1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와 접속 가능하고,
    서로 접속된 상기 수형 커넥터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로크 너트와 상기 암형 커넥터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로크부가 상기 루어부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1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의 결합이 느슨해지도록, 상기 제2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형 루어보다도 상기 기단부측의 위치에, 상기 루어부와 상기 로크부 사이에 액밀(液密)한 시일이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액밀한 시일은, 상기 루어부에 형성된 수형 테이퍼면과, 상기 로크부에 형성된 암형 테이퍼면이 서로 끼워맞춰짐으로써 형성되는, 수형 커넥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로크 너트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를 통해 상기 수형 커넥터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봉형상의 부재는, 상기 로크 너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수형 커넥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루어 및 상기 제1 암나사는, ISO80369-3에 준거하는, 수형 커넥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로크 너트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대한 상기 로크 너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을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루어부에 대한 상기 로크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을 구비하는, 수형 커넥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돌기 또는 오목한 부분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된 지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를 통해 상기 커넥터 본체 또는 상기 로크 너트에 회전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KR1020167015624A 2013-12-11 2014-12-09 수형 커넥터 KR102315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6270 2013-12-11
JPJP-P-2013-256270 2013-12-11
PCT/JP2014/082567 WO2015087881A1 (ja) 2013-12-11 2014-12-09 オス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240A KR20160098240A (ko) 2016-08-18
KR102315224B1 true KR102315224B1 (ko) 2021-10-20

Family

ID=5337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624A KR102315224B1 (ko) 2013-12-11 2014-12-09 수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6705B2 (ko)
EP (1) EP3081253A4 (ko)
JP (1) JP6548034B2 (ko)
KR (1) KR102315224B1 (ko)
CN (1) CN105813685B (ko)
WO (1) WO2015087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8267B2 (en) 2010-08-04 2023-04-18 Medline Industries, Lp Universal medical gas delivery system
US8905030B2 (en) * 2011-03-31 2014-12-09 Covidien Lp Tracheal tube with connector insert
US10682287B2 (en) 2015-07-14 2020-06-16 Neomed, Inc.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and enteral couplings and syringes
WO2017011641A1 (en) * 2015-07-14 2017-01-19 Neomed, Inc.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EP3424554B1 (en) * 2015-07-15 2023-11-22 Avent, Inc. Enteral adaptor couplings
WO2017066846A1 (en) * 2015-10-23 2017-04-27 Chris Whelan Thread-locking luer
DE102015118813A1 (de) * 2015-11-03 2017-05-04 Hans-Jürgen Hopf Anschlusssystem mit Überwurfmutter
JP6732933B2 (ja) * 2016-03-18 2020-07-29 アヴェ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経腸栄養デバイスコネクタ
JP6756153B2 (ja) * 2016-05-23 2020-09-16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
WO2018086687A1 (en) 2016-11-10 2018-05-17 N.V. Nutricia Enteral feeding adapter
KR102522345B1 (ko) * 2017-10-13 2023-04-18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암형 시린지용 배럴, 시린지 키트 및 시린지 접속 방법
US20210177704A1 (en) * 2017-12-04 2021-06-17 Sumitomo Bakelite Co., Ltd. Gastrostomy catheter, insertion jig set, insertion jig and gastrostomy catheter set
AU201814813S (en) * 2018-02-14 2018-10-03 Emtbio Co Adapter for vial
DE102018103902A1 (de) 2018-02-21 2019-08-22 Codan Holding Gmbh nicht entkonnektierbar sicherbarer Konnektor mit Überwurfhülse
US20190275217A1 (en) * 2018-03-08 2019-09-12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Devices for Securing Dialysis Fluid Lin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190290896A1 (en) * 2018-03-23 2019-09-26 Flowonix Medical Incorporated Two-stage locking catheter splice assembly
EP3581237A1 (en) * 2018-06-15 2019-12-18 Cedic S.r.l. Connector for connecting enteral feeding devices
DE102018216477B4 (de) * 2018-09-26 2023-03-16 Robert Bosch Gmbh Lenkvorrichtung mit einer Steckverbindereinhei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Lenksensoreinheit
EP3866905A1 (en) * 2018-10-19 2021-08-25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edical lines
US11191889B2 (en) * 2018-12-18 2021-12-07 Carefusion 303, Inc. Anti-snagging infusion sets
KR20220024650A (ko) * 2019-06-19 2022-03-03 키요아키 홈마 내시경용 처치구
US20210178143A1 (en) * 2019-12-16 2021-06-17 Codan Holding Gmbh Nondisconnectable, securable connector having a capping sleeve
AU2020200043B1 (en) * 2020-01-03 2021-04-08 Codan Holding Gmbh Nondisconnectable, securable connector having a capping sleeve
JP7359071B2 (ja) * 2020-04-10 2023-10-11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コネクタの防汚シート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EP4243669A1 (en) * 2020-11-10 2023-09-20 Advanced Sterilization Products, Inc. Leakage test connector
JP2022117856A (ja) * 2021-02-01 2022-08-12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
CN113251224B (zh) * 2021-07-07 2021-11-30 常州市盛源鸿业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风管拼接结构及拼接方法
DE102021129674A1 (de) 2021-11-15 2023-05-17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Konnektor mit Verdreh- und Verschiebesicherung
CN114739567B (zh) * 2022-05-05 2024-05-03 安徽春辉仪表线缆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化工用不锈钢压力表
WO2024042254A1 (es) * 2022-08-26 2024-02-29 Alibaz Research & Development, S.L. Conector giratorio para vías intravenos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586A1 (en) * 2000-12-22 2002-06-27 Finley Michael J. Luer activated thread coupler
US20060157971A1 (en) * 2005-01-14 2006-07-20 Baldwin Brian E Swabable fluid connectors and fluid connector pairs
US20100059985A1 (en) * 2008-09-08 2010-03-1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anitary coupling assembly
US20120192968A1 (en) * 2009-09-04 2012-08-02 Olivier Bonnal Selectively sealable male needleless connector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560A (en) * 1975-08-02 1977-02-12 Tokico Ltd Connecting rod
JPH03237984A (ja) 1990-02-16 1991-10-23 Nippon Sherwood Kk 輸液ライン接続具
US5176415A (en) * 1990-08-16 1993-01-05 Choksi Pradip V Taper fitting with protective skirt
US5509911A (en) * 1992-11-27 1996-04-23 Maxxim Medical, Inc. Rotating adapter for a catheterization system
US5456676A (en) 1994-02-18 1995-10-10 Merit Medical Systems, Inc. Rotatable bubble-free connector
US6260890B1 (en) 1999-08-12 2001-07-17 Breg, Inc. Tubing connector
US6332633B1 (en) * 1999-12-15 2001-12-25 Elcam Plastic Kibbutz Bar-Am Luer-type connector
WO2002066100A2 (en) * 2001-02-20 2002-08-29 Medrad, Inc. Syringes, connectors, and syringe and connector systems for use in fluid delivery systems
US6979322B2 (en) 2001-12-26 2005-12-27 Scimed Life Systems, Inc. Low profile adaptor for use with a medical catheter
JP4599875B2 (ja) * 2004-04-07 2010-12-15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接続具付きシリンジ、およびシリンジに用いる接続具、並びにシリンジ
JP2005304582A (ja) * 2004-04-19 2005-11-04 Paru Medical:Kk 輸液用コネクタ
JP2008005974A (ja) * 2006-06-28 2008-01-17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ルアー固定フィッティング接続構造
JP4971728B2 (ja) * 2006-08-31 2012-07-11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ーの接続構造
JP2008152871A (ja) 2006-12-19 2008-07-03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KR101124880B1 (ko) 2007-06-08 2012-03-27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암형 커넥터 및 접속도구
JP5209400B2 (ja) * 2008-08-06 2013-06-12 スーガ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ロックカバー
JP5218560B2 (ja) * 2008-09-09 2013-06-2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接続部材及び経腸栄養投与セット並びに経腸栄養延長チューブ
WO2010122988A1 (ja) * 2009-04-23 2010-10-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構造
US8213506B2 (en) * 2009-09-08 2012-07-03 Skype Video coding
CN102970960A (zh) 2010-06-30 2013-03-13 泰尔茂株式会社 连接器及连接器组装体
JP5678510B2 (ja) * 2010-08-04 2015-03-0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コネクタ
JP2012075495A (ja) * 2010-09-30 2012-04-19 Jms Co Ltd 医療用メスコネクタ
WO2012105892A1 (en) 2011-01-31 2012-08-09 Shl Group Ab Coupling arrangement
US8777931B2 (en) * 2011-08-19 2014-07-15 Alcon Research, Ltd. Retractable luer lock fittings
JP6029820B2 (ja) * 2011-11-16 2016-11-24 株式会社トップ 医療チューブ用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586A1 (en) * 2000-12-22 2002-06-27 Finley Michael J. Luer activated thread coupler
US20060157971A1 (en) * 2005-01-14 2006-07-20 Baldwin Brian E Swabable fluid connectors and fluid connector pairs
US20100059985A1 (en) * 2008-09-08 2010-03-1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Sanitary coupling assembly
US20120192968A1 (en) * 2009-09-04 2012-08-02 Olivier Bonnal Selectively sealable male needleless connectors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87881A1 (ja) 2017-03-16
KR20160098240A (ko) 2016-08-18
WO2015087881A1 (ja) 2015-06-18
EP3081253A4 (en) 2017-10-11
EP3081253A1 (en) 2016-10-19
CN105813685A (zh) 2016-07-27
JP6548034B2 (ja) 2019-07-24
US10646705B2 (en) 2020-05-12
CN105813685B (zh) 2020-05-05
US20160354594A1 (en)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224B1 (ko) 수형 커넥터
KR102315223B1 (ko) 수형 커넥터
JP5410287B2 (ja) 経腸の移送システムのための接続部品
JP6409273B2 (ja) オスコネクタ
KR101800984B1 (ko) 더블 수 커넥터
WO2015146831A1 (ja) 洗浄用アダプタ
KR102349983B1 (ko)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WO2017141858A1 (ja) アダプタ
JP6268877B2 (ja) 医療用接続具
JP6237402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2017148444A (ja) 医療用コネクタ
JP7388146B2 (ja) 洗浄用アダプタ
WO2016158937A1 (ja) キャップ
JP6237403B2 (ja) 洗浄用アダプタ
JP6677912B2 (ja) オスコネクタ
JP6756153B2 (ja) 医療用コネクタ
JP6801800B2 (ja) オス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