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27A -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27A
KR20180113727A KR1020170045156A KR20170045156A KR20180113727A KR 20180113727 A KR20180113727 A KR 20180113727A KR 1020170045156 A KR1020170045156 A KR 1020170045156A KR 20170045156 A KR20170045156 A KR 20170045156A KR 20180113727 A KR20180113727 A KR 20180113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tick
supply
base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훈
Original Assignee
한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훈 filed Critical 한병훈
Priority to KR1020170045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727A/ko
Publication of KR2018011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시지나 맛살 등과 같은 스틱형 공산품을 자동으로 입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봉속도보다 빠르게 공급컨베이어를 통해서 연속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분배수단으로 분배하여 원활한 입봉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포장지의 개봉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 입봉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포장설비를 간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건비 절감, 위생적인 품질관리, 포장 능률 개선의 효과를 제공토록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틱형 공산품을 연속 공급하는 제1공급컨베이어와; 제1공급컨베이어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투입컨베이어와; 제1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제1투입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제1공급컨베이어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공급수단과; 제1투입컨베이어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분배하는 버킷이 구비된 분배수단과; 제1투입컨베이어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 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버킷으로 배출하는 투입수단과; 버킷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체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의 전방과 제1투입컨베이어의 좌우측에 설치한 배출부와; 제1투입컨베이어의 양측에 대칭으로 기체에 설치되어 버킷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을 배출부에 교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스틱형 공산품이 내입 포장되는 포장지를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하는 제1포장지공급로봇과; 각 구성부재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Automatic packaging machine for stick type industrial products}
본 발명은 소시지나 맛살 등과 같은 스틱형 공산품을 자동으로 입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봉속도보다 빠르게 공급컨베이어를 통해서 연속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분배수단으로 분배하여 원활한 입봉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포장지의 개봉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 입봉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포장설비를 간소화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건비 절감, 위생적인 품질관리, 포장 능률 개선의 효과를 제공토록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소시지나 맛살 등의 공산품은 스틱형으로 제공되며, 통상 포장지에 여러 개가 내입되어 있다. 또한 포장지에 스틱형 공산품을 내입할 때 1단 혹은 2단으로 내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지에 스틱형 공산품을 포장하는 작업의 경우 종래에서는 사람이 포장지의 개구를 개봉한 상태에서 낱개 포장된 수개의 스틱형 공산품을 포장지에 내입하였던 바, 작업성이 저하되고 인건비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입봉장치가 개발되어 인건비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이는데 많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선행기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257023호(2013.04.22.)의 맛살 입봉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맛살을 직렬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에서 직렬로 공급되는 맛살을 병렬로 정량 이송하는 컨베이어 이송부와;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고 컨베이어 상의 맛살을 맛살 적재부에 2단 적재한 상태에서 포장대 개방고정부에 개방 상태로 고정된 포장대에 밀어 넣는 맛살 투입부와; 맛살 투입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1차 투입된 맛살을 적재 상태로 하강한 상태에서 간지를 공급받고 그 상측으로 2차 투입된 맛살이 적재된 후 상승하는 맛살 적재부와; 맛살 적재부의 측방에 설치되며 포장대를 개봉 상태로 고정하는 포장대 개방고정부와; 포장대 개방고정부에 포장대를 개방한 상태로 공급하도록 포장대 개방고정부의 전방에 설치한 포장대 개방공급부와; 포장대 개방공급부로 포장대를 공급하는 포장대 공급부와; 상기 포장대 개방고정부와 포장대 개방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장대 공급부에 설치되며 간지 안치판에 실려 있는 간지를 낱장으로 맛살 적재부로 공급하는 간지 공급부와; 상기 포장대 개방고정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배출컨베이어로 맛살이 입봉된 포장대를 배출컨베이어로 안내하는 배출부 및 각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입봉장치의 경우 맛살을 1단 혹은 2단으로 적층한 상태로 포장지에 입봉할 수 있도록 한 특화된 장치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근자에는 맛살이나 소시지 등의 제조설비가 개량되어 종래보다 많은 수량의 스틱형 공산품이 제조되고 있어 제조장치에 부속하는 포장장치(입봉장치)가 제조량을 소화하지 못하여 복수의 포장장치를 시설하는 경우가 많으며, 포장 규격에 따라서도 포장장치를 별도 시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수의 포장장치를 한정된 공간 내에 시설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 포장 라인을 위한 별도의 공장을 신설해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으로, 업계에서는 대량 생산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하나의 라인에서 신속히 포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입봉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257023 B1 2013.04.22.
이에 본 발명자는 제조장치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포장할 때, 포장속도보다 공급량이 많아 복수의 라인 설비 증설을 통해서 포장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급컨베이어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입봉직전에 분배수단으로 분배한 상태에서 입봉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포장속도보다 공급량이 많아도 하나의 라인에서 포장이 가능하여 포장설비 증설과 그에 따른 공간확보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도 포장 능률이 개선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생산인력을 최소화 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포장전 스틱형 공산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위생성도 제공할 수 있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스틱형 공산품을 연속 공급하는 제1공급컨베이어와; 제1공급컨베이어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투입컨베이어와; 제1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제1투입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제1공급컨베이어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공급수단과; 제1투입컨베이어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분배하는 버킷이 구비된 분배수단과; 제1투입컨베이어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 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버킷으로 배출하는 투입수단과; 버킷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체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의 전방과 제1투입컨베이어의 좌우측에 설치한 배출부와; 제1투입컨베이어의 양측에 대칭으로 기체에 설치되어 버킷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을 배출부에 교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스틱형 공산품이 내입 포장되는 포장지를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하는 제1포장지공급로봇과; 각 구성부재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와 직각으로 제1공급컨베이어와 평형하게 설치한 제2공급컨베이어와; 제1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기체에 설치한 스토퍼수단과; 스토퍼수단에 의해 일시 정지 상태의 스틱형 공산품 위에 제2공급컨베이어 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적층 상태로 공급하도록 제2공급컨베이어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제2공급컨베이어와 직각으로 제1투입컨베이어의 반대쪽에 설치한 제2투입컨베이어와; 제2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제2투입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제2공급컨베이어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한 공급수단과; 제2투입컨베이어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되어 제2투입컨베이어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분배하는 전후 개방형으로 구성된 버킷이 구비된 분배수단과; 제2투입컨베이어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에 설치되어 제2투입컨베이어 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버킷으로 배출하는 투입수단과; 버킷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부와; 제2투입컨베이어의 양측에 대칭으로 기체에 설치되어 버킷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을 배출부에 교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스틱형 공산품이 내입 포장되는 포장지를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하는 제1포장지공급로봇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공급수단은, 기체에 세워지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작동하는 공급용 직선로봇와; 상기 공급용 직선로봇에 의해 작동하며, 제1공급컨베이어 또는 제2공급컨베이어 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제1투입컨베이어로 밀어 투입하는 공급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스토퍼수단은 제1투입컨베이어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승강시키도록 기체에 설치한 차단판용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의 상부 양측에는 사이드컨베이어가 더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째 상기 투입수단은, 기체에 세워지는 투입수단용 서포터와; 상기 투입수단용 서포터의 상단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와 직각으로 작동하도록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결합한 투입용 직선로봇와;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 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분배수단의 버킷으로 투입하도록 투입용 직선로봇에 설치한 투입판과; 상기 투입판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기체에 설치한 정렬용 실린더와; 정렬용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내향 이동된 상태에서 투입판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 간격을 제공하는 정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째 분배수단은,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의 선단의 기체상에 직각으로 위치되는 분배용 직선로봇과; 상기 분배용 직선로봇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의 전방으로 교대로 위치하는 전후 개방형으로 구성되는 2개의 버킷을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째 상기 배출수단은, 기체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작동하는 배출용 직선로봇과; 상기 배출용 직선로봇의 테이블에는 설치한 가설대와; 버킷에 내입된 스틱형 공산품을 밀어 버킷상의 스틱형 공산품을 배출부에 결합되는 포장지로 투입토록 가설대의 하측으로 결합한 배출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째 상기 가설대의 상측으로는 에어노즐이 설치되어 배출부에 공급되어 입구가 벌려진 포장지 내부로 에어를 분출시켜 포장지가 완전히 개봉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째 상기 배출부는, 제1포장지공급로봇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의 진공흡착구에 흡착 상태로 포장지가 공급되면 진공흡착구와 대향하도록 흡착대판에 설치한 진공흡착구에 포장지의 하면이 흡착되어 포장지가 일부 개봉이 이루어지게 하는 포장지 공급부와; 포장지 공급부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 공급측에 설치되며, 개봉편회동축에 결합되어 있는 개봉편이 포장지의 개구측을 통해 내입되어 상향 회동되면서 포장지를 완전 개봉하여 스틱형 공산품이 쉽게 인입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째 상기 포장지 공급부은, 버킷이 이동된 상태에서 버킷의 전방에 위치하며, 기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구와; 이동구에 로드가 고정되는 회동실린더와; 회동실린더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기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로드와; 상기 이동구에 결합되며 포장지를 공급받기 위해 배출 쪽으로 이동상태일 때 제1포장지공급로봇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의 진공흡착구와 대향하도록 상측으로 진공흡착구가 구비되는 흡착대판과; 흡착대판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되고, 기체에 설치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판을 따라 이동하는 배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셋째 포장지 개봉부는, 상기 포장지 공급부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 공급측에 설치되며, 흡착대판과 대향하는 개봉편과; 상기 개봉편을 회동시키는 개봉편회동축과; 개봉편회동축의 상측에 위치되며 개봉편회동축과 기어 연결되어 구동되는 가압구회동축과; 가압구회동축에 결합되며, 포장지가 개봉편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개봉편 쪽으로 가압하도록 가압구회동축에 결합한 가압구와; 기체에 고정되며 개봉편회동축과 가압구회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서포터와; 상기 개봉편회동축에 일단이 고정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로드를 구비하며, 기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봉용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1포장지공급로봇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의 진공흡착구와 대향하도록 흡착대판에 설치한 진공흡착구에 의해 개봉된 상태로 흡착대판이 공급측으로 포장지를 이동시킬 때 포장지 내측으로 인입되어 포장지를 완전 개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넷째 상기 포장지 개봉부는, 포장지 공급부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 공급측의 기체에 설치되는 지지대판과; 지지대판의 상측에 흡착대판보다 높게 설치되는 하부가이드판과; 하부가이드판의 하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포크와; 하부포크가 결합되도록 지지대판에 지지되게 설치한 하부포크가이드봉과; 하부포크가이드봉에 지지되어 하부포크를 작동하는 한 쌍의 하부포크용 실린더와; 하부가이드판의 상측으로 지지대판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상부가이드판지지축과; 상부가이드판지지축에 결합되며 하부가이드판과 대향되는 상부가이드판과; 상부가이드판지지축과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축회동로드와; 지지축회동로드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지지대판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상부가이드판용 실린더와; 상부가이드판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상부포크와; 상부포크가 결합되도록 상부가이드판지지축에 지지되게 설치한 상부포크가이드봉과; 상부가이드판지지축에 결합되어 상부포크를 작동하는 한 쌍의 상부포크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1포장지공급로봇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의 진공흡착구와 대향하도록 흡착대판에 설치한 진공흡착구에 의해 개봉된 상태로 흡착대판이 공급측으로 포장지를 이동시킬 때 포장지 내측으로 인입되어 포장지를 완전 개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제1,2공급컨베이어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입봉직전에 분배수단으로 분배한 상태에서 입봉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포장속도보다 공급량이 많아도 하나의 라인에서 포장이 가능하다.
-제1,2공급컨베이어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을 적층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분배수단을 정지 상태 혹은 좌우 이동시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의 공급량에 부합하도록 운용할 수 있어 하나의 라인으로 다양한 스틱형 공산품의 포장 작업이 가능하다.
-포장설비 증설과 그에 따른 공간확보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포장 능률이 개선될 수 있다.
-제조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 포장전 스틱형 공산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위생성도 제공할 수 있다.
-배출부로 공급되는 포장지의 개봉이 확실하여 포장지 개봉 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봉 불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공급컨베이어 및 제2공급컨베이어에 적용되는 공급수단의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투입컨베이어에 적용되는 스토퍼수단을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제1,2투입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의 말단에 적용되는 투입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로 투입수단이 1단으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상태도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로 투입수단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
도 20는 도18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부에서의 포장지 공급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은 도 21의 정면도
도 23는 도 21의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부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
도 26는 도 24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1)의 제1실시례는 소시지, 맛살 등과 같은 스틱형으로 구성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자동으로 입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제1공급컨베이어(2)를 이용하여 스틱형 공산품(200)을 연속 공급토록 한다. 이때 제1공급컨베이어(2)에 의해 이동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은 본 발명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운트수단이 구비된 공급부(300)를 통해서 일정 수량으로 카운트된 상태의 것을 이송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공급컨베이어(2)의 말단에는 제1공급컨베이어(2)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공급컨베이어(2)와 직각으로는 제1공급컨베이어(2)로 이송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이어받아 이송하는 제1투입컨베이어(3)가 배치되며, 또한 제1공급컨베이어(2)의 상측으로는 제1공급컨베이어(2)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하는 공급수단(4)을 기체(9)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3)의 공급방향 끝단에는 분배수단(5)이 구비되며, 이 분배수단(5)은 2개의 버킷(51)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1투입컨베이어(3)로 이송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교대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배수단(5)의 경우 제1투입컨베이어(3)에서 이송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의 공급시간(공급량)에 따라, 공급시간이 짧은 경우 상기에서와 같이 2개의 버킷(51)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교대로 공급받아 좌우로 분배 공급하며, 공급시간이 긴 경우에는 하나의 버킷(51)이 제1투입컨베이어(3)의 전방에 정지된 상태에서 스틱형 공산품(200)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3)의 선단 상측으로는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분배수단(5)의 버킷(51)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4)이 설치되며, 공급수단(4)은 분배수단(5)의 버킷(51)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교대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공급받을 때는 1단 작동이 이루어지고, 버킷(51)을 제1투입컨베이어(3) 전방에 정지한 상태에서 스틱형 공산품(200)을 공급받을 때에는 2단 작동이 이루어져 후술할 배출부(7)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바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투입수단(8)이 구비된다.
상기 분배수단(5)에 구비되는 버킷(5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버킷(51)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200)이 배출되는 측에는 배출부(7)가 각각 구비되며, 배출부(7)의 반대 측으로는 버킷(51) 상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을 기체(9)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7)는 제1포장지공급로봇(10)에서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되는 포장지(400)을 공급받아 개봉한 상태로 벌려 분배수단(5)에 버킷(51)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입봉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각 구성부재를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전기적인 제어, 공압적인 제어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2실시례는 상기 제1실시례와 같이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1)를 제2공급컨베이어(12)를 적용하여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적층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 제2실시례에서는 제1공급컨베이어(2)와 나란하게 제2공급컨베이어(12)를 배치한 구성을 제공한다.
제2공급컨베이어(12)의 말단에는 제2공급컨베이어(12)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2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공급컨베이어(12)의 상측으로는 제2공급컨베이어(12)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하는 공급수단(4)을 기체(9)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 제2실시례에서는 제1공급컨베이어(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 위에 제2공급컨베이어(1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적층할 때 보다 정확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공급컨베이어(2)에서 투입되어 이동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이 제1투입컨베이어(3)상에서 일시 정지 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제2실시례에서는 제1투입컨베이어(3)의 상측으로 스토퍼수단(13)을 부가 구성하여 제1공급컨베이어(2)에서 공급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일시 정지하였다가 제2공급컨베이어(1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의 적층이 완료되면, 적층된 상태의 스틱형 공산품(200)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례는 상기 제2실시례에서와 같이 제2공급컨베이어(12)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1공급컨베이어(2)와, 제2공급컨베이어(12)를 통해서 스틱형 공산품(200)이 공급되지만 적층 상태로의 작업이 필요 없을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3실시례에서는 제2공급컨베이어(12)를 역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1투입컨베이어(3)와 반대쪽으로 제2투입컨베이어(14)를 설치한다.
상기 제2공급컨베이어(12)의 말단에는 제2공급컨베이어(12)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투입컨베이어(14)는 제1투입컨베이어(3)와 같이 상부 좌우측에 사이드컨베이어(31)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투입컨베이어(14)의 공급방향 끝단에는 분배수단(5)이 구비되며, 이 분배수단(5)은 2개의 버킷(51)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제2투입컨베이어(14)로 이송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교대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선단 상측으로는 제2투입컨베이어(14)로 공급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분배수단(5)의 버킷(51)으로 공급하는 투입수단(8)이 설치되며, 투입수단(8)은 분배수단(5)의 버킷(51)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교대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공급받을 때는 1단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배수단(5)에 구비되는 버킷(5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버킷(51)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200)이 배출되는 측에는 배출부(7)가 각각 구비되며, 배출부(7)의 반대 측으로는 버킷(51) 상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을 기체(9)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7)는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에서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되는 포장지(400)을 공급받아 개봉한 상태로 벌려 분배수단(5)에 버킷(51)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입봉되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 상기 제1실시례 내지 제3실시례에서의 각 구성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공급컨베이어 및 제2공급컨베이어에 적용되는 공급수단의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급수단(4)은 제1공급컨베이어(2)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하는 수단, 제2공급컨베이어(12)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하는 수단, 제2공급컨베이어(12)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2투입컨베이어(14)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공급수단(4)의 바람직한 예로는 기체(9)에 지지체(41)를 세우고 지지체(41)의 상측으로 제1투입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으로 공급용 직선로봇(42)을 설치한다.
상기 공급용 직선로봇(42)의 테이블에는 제1공급컨베이어(2) 또는 제2공급컨베이어(12) 상부에 안치된 상태로 이동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 상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공급대판(43)이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공급컨베이어(2)의 말단과 제2공급컨베이어(12)의 말단에는 스토퍼(21)(121)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공급수단(4)의 경우 제1공급컨베이어(2) 또는 제2공급컨베이어(12)를 통해서 이동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이 스토퍼(21)(121)에 의해 정지된 상태가 되면 공급용 직선로봇(42)이 구동되어 테이블에 설치된 공급대판(43)이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로 밀어서 공급하게 되고, 공급이 완료되면 공급용 직선로봇(42)에 의해 공급대판(43)이 후퇴하여 대기 상태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 제1투입컨베이어에 적용되는 스토퍼수단을 일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토퍼수단(13)은 상기 제2실시례에 적용되는 구성으로, 제1공급컨베이어(2)에서 공급된 스틱형 공산품(200) 위에 제2공급컨베이어(1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안정적으로 적층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제2공급컨베이어(12)는 제1공급컨베이어(2)보다 스틱형 공산품(200)의 두께만큼 조금 높게 위치하는 것으로, 제1공급컨베이어(2)로부터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이 제2공급컨베이어(12) 하단을 통과한 상태일 때 제2공급컨베이어(12) 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이 스토퍼(21)에 의해 정지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스토퍼(21) 수단에 의해 제1공급컨베이어(2) 및 제1공급컨베이어(2)상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수단(4)에 의해 제1투입컨베이어(3)로 공급된 스틱형 공산품(200)이 스토퍼수단(13)에 의해 제1투입컨베이어(3) 상에서 일시 정지되고, 그 상측으로 제2공급컨베이어(12)상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수단(4)에 의해 제2공급컨베이어(12)에 대기 중인 스틱형 공산품(200)이 올려져 적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성을 갖는 스토퍼수단(13)은 기체(9)에 세워지는 스토퍼수단용 서포터(131)의 상측으로 차단판용 실린더(132)를 설치하고, 차단판용 실린더(132)의 로드에는 하강한 상태일 때 제1투입컨베이어(3)의 벨트 상면과 근접한 상태이고, 상승한 상태에서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적층한 상태에서 통과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차단판(133)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수단(13)을 제1투입컨베이어(3)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공급컨베이어(2)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공급컨베이어(1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적층한 상태로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제1,2투입컨베이어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투입컨베이어(3)와 제2투입컨베이어(14)는 제1,2공급컨베이어(2)(12) 및 공급수단(4)을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이송하는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2투입컨베이어(3)(14)의 상측으로 사이드컨베이어(31)를 더 설치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이동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의 양측면에 닿을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컨베이어(31)는 제1,2투입컨베이어(3)(14)의 벨트 양측에 진행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2투입컨베이어(3)(14)의 진행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동속도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컨베이어(31)는 제1,2투입컨베이어(3)(14)의 동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하거나,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2투입컨베이어(3)(14)에 사이드컨베이어(31)를 설치하면, 제1,2투입컨베이어(3)(14)에 안치된 상태로 이동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2투입컨베이어(3)(14) 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좌우측 사이드에 이물이나 장애물 등이 존재하거나, 제1,2공급컨베이어(2)(12)상에서 투입될 때 조금 흐트러진 상태 일 때 이동 과정에서 포장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2투입컨베이어(3)(14)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컨베이어(31)가 제1,2투입컨베이어(3)(14)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면서 스틱형 공산품(200)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투입컨베이어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의 말단에 적용되는 투입수단을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단면도로 투입수단이 1단으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로 투입수단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작동되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투입수단(8)은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를 통해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분배수단(5)의 버킷(51)에 공급하거나, 분배수단(5)의 버킷(51)을 경유하여 배출부(7)에 직접 공급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의 투입수단(8)은 기체(9)에 투입수단용 서포터(81)를 세우고, 투입수단용 서포터(81)의 상단으로 승강실린더(82)를 설치한다.
상기 승강실린더(82)의 로드에는 투입용 직선로봇(83)이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진행방향으로 투입용 직선로봇(83)의 테이블에는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투입판(84)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입판(84)의 양측으로는 버킷(51)의 폭에 부합하도록 스틱형 공산품(200)을 정렬할 수 있게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기체(9)에 지지되도록 정렬용 실린더(85)를 설치하고, 실린더 로드에 정렬판(86)을 결합한다. 이때 양측 정렬판(86)은 내향 이동된 상태에서 투입판(84)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 간격을 제공하게 설계한다.
상기와 같이 정렬판(86)을 적용하는 경우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를 통해서 이송되는 스틱형 공산품(200) 정렬용 실린더(85)로 작동되는 정렬판(86)에 에의 버킷(51)의 폭에 부합하도록 모아진 상태에서 투입판(84)에 의해 버킷(51) 쪽으로 투입되므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흐트러짐 없이 버킷(51)으로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투입용 직선로봇(83)은 도 12과 같이 1단으로 행정거리가 짧게 작동하거나, 도 13과 같이 행정거리가 길게 작동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도 12과 같이 제1,2투입컨베이어(3)(14)의 전방으로 분배수단(5)의 버킷(51)이 위치된 상태에서 제1,2투입컨베이어(3)(14)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버킷(51)으로 투입하게 되는데, 이는 투입용 직선로봇(83)이 후퇴하여 대기 상태에서 승강실린더(82)가 하강하면, 투입판(84)이 스틱형 공산품(2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투입용 직선로봇(83)이 1단 작동하여 버킷(51) 내측으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은 제1투입컨베이어(3)의 전방에 분배수단(5)의 버킷(51)이 위치된 상태에서 버킷(51) 바깥쪽으로 배출부(7)가 위치된 상태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투입용 직선로봇(83)이 후퇴하여 대기 상태에서 승강실린더(82)가 하강하면, 투입판(84)이 스틱형 공산품(2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투입용 직선로봇(83)이 2단 작동하여 버킷(51) 내측으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 쪽으로 더 밀어 넣어 배출부(7)에 결합된 포장지(400) 내측으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내입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배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도 14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배수단(5)은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선단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투입수단(8)에 의해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서 간헐적으로 투입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포장함에 따른 시간적 여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양측 배출부(7)로 분산시키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구성부재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분배수단(5)은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전방에 이들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분배용 직선로봇(52)을 기체(9)에 설치하고, 분배용 직선로봇(52)의 테이블에는 2개의 버킷(51)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때 버킷(51)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며, 전방과 후방도 개방된 상태로
Figure pat00001
형의 구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투입수단(8)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이 쉽게 내입되고, 또 내입된 상태에서 배출수단(6)에 의해 배출부(7)로 스틱형 공산품(200)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2개의 버킷(51)을 구비하는 경우 일측 버킷(51)이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투입수단(8)에 의해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 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이 공급될 때 타측 버킷(51)은 후술할 배출수단(6)에 의해 버킷(51) 내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로 배출하게 되는 것으로,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를 통해서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정체 없이 2개의 버킷(51)에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수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출수단(6)은 상기 분배수단(5)의 버킷(51)에 내입되어 있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로 배출하여 포장지(400)에 내입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한 배출수단(6)의 구성은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진행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기체(9)에 배출용 직선로봇(61)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용 직선로봇(61)의 테이블에는 가설대(62)를 설치하고, 가설대(62)의 하측으로는 버킷(51)에 내입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밀어 배출하는 배출대판(63)이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가설대(62)의 상측으로는 에어노즐(64)이 설치되어 배출부(7)에 공급되어 입구가 벌려진 포장지(400) 내부로 에어를 분출시켜 포장지(400)이 완전히 개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출수단(6)을 사용하는 경우 버킷(51) 내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로 배출하는 기능성과 함께 배출부(7)에 공급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포장지(400)을 완전히 개봉시켜 스틱형 공산품(200)이 걸림 없이 쉽게 내입되도록 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 도 20는 도18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부에서의 포장지 공급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은 도 21의 정면도, 도 23는 도 21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출부(7)는 버킷(51)에 내입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수단(6)으로 배출할 때 포장지(400)을 고정한 상태로 포장지(400)에 스틱형 공산품(200)을 안전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배출부(7)는 버킷(5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상태에서의 전방에 위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투입컨베이어(3)의 전방에 버킷(51)이 위치한 상태에서 버킷(51)의 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배출부(7)는 포장지 공급부(71)와, 포장지 개봉부(7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지 공급부(71)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대판(63)의 작동 방향으로 기체(9)에 가이드봉(71a)을 설치하고, 가이드봉(71a)에는 이동구(71b)를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한다. 이동구(71b)에는 회동실린더(71c)의 로드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며, 회동실린더(71c)는 기체(9)에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로드(71d)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이동구(71b)에는 흡착대판(71e)이 고정되며, 흡착대판(71e)의 상측으로는 복수의 진공흡착구(71f)를 결합한다. 또한 흡착대판(71e)에는 고무판재 등의 연결부재(71g)에 의해 배출판(71h)이 플렉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하며, 배출판(71h)은 기체(9)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판(71i)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가이드판(71i)은 호형으로 이루어져 이동구(71b)가 배출 측으로 이동한 상태일 때 배출판(71h)이 연결부재(71g)를 중심으로 해서 가이드판(71i)을 따라서 회동되어 하향 경사진 상태가 제공되게 한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판(71i)은 복수의 연결봉(71j)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본 발명에서는 배출판(71h)이 이들 연결봉(71j) 상측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여,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에 흡착 상태로 포장지(400)가 공급되면 진공흡착구(101)(141)와 대향하도록 흡착대판(71e)에 설치한 진공흡착구(71f)에 포장지(400)의 하면이 흡착되어 포장지(400)의 일부 개봉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 개봉부(72)는, 포장지 공급부(71)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200) 공급측에 설치된다.
포장지 개봉부(72)의 구체적인 구성은 기체(9)에 한 쌍의 지지서포터(72a)를 세우고, 지지서포터(72a)의 하부에는 하부가이드판(72j)을 흡착대판(71e)에 설치한 진공흡착구(71f) 보다 조금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지지서포터(72a)의 상부 하측으로 개봉편회동축(72b)을 횡설하고, 그 상측으로 가압구회동축(72c)을 횡설한다.
상기 개봉편회동축(72b)과 가압구회동축(72c)에는 작동기어(72d)를 설치하여 개봉편회동축(72b)과 가압구회동축(72c)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동되게 한다.
개봉편회동축(72b)에는 흡착대판(71e)과 대향하는 개봉편(72e)을 결합하여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제1포장지공급로봇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와 대향하도록 흡착대판(71e)에 설치한 진공흡착구(71f)에 의해 개봉된 상태로 흡착대판(71e)이 공급측으로 포장지(400)을 이동시킬 때 포장지(4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가압구회동축(72c)에는 포장지(400)이 개봉편(72e)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개봉편(72e) 쪽으로 가압하도록 가압구(72f)를 결합토록 한다.
한편 상기 개봉편회동축(72b)에는 연결링크(72g)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연결링크(72g)의 타단에는 기체(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개봉용실린더(72h)의 로드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개봉용실린더(72h)의 작동에 의해 개봉편회동축(72b) 및 가압구회동축(72c)이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출부(7)에 의하면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에 포장지(400)의 상부면이 흡착 상태로 공급되면, 포장지 공급부(71)의 흡착대판(71e)상에 설치되어 있는 진공흡착구(71f)에 포장지(400)의 하부면이 흡착되면서 포장지(400)의 개구측이 일부 개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흡착대판(71e)이 회동실린더(71c)의 작동에 의해 이동구(71b)가 이동할 때 함께 배출부(7) 쪽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포장지 개봉부(72)의 개봉편회동축(72b)에 결합되어 있는 개봉편(72e)이 포장지(400)의 개구측을 통해 내입되고, 동시에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은 포장지(400)에서 분리되어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가압구회동축(72c)에 결합된 가압구(72f)가 포장지(400)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포장지(400)을 클램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6)의 가설대(62)에 설치되어 배출대판(63)에 의해 스틱형 공산품(200)이 포장지(400)의 개구측으로 인입될 때 가설대(62)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노즐(64)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면서 포장지(400)을 완전 개봉하여 스틱형 공산품(200)이 쉽게 인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배출부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5는 도 24의 측면도, 도 26는 도 24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출부(7)의 다른 실시례는 포장지 공급부(71)와, 포장지 개봉부(72)를 포함하는 구성함에 있어서, 포장지 개봉부(72)의 구성을 달리하여 포장지(400)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 포장지 개봉부(72)는 기체(9)에 지지되도록 지지대판(72i)을 설치하고, 지지대판(72i)의 상측으로는 포장지 공급부(71)의 흡착대판(71e)보다 조금 높게 하부가이드판(72j)을 설치한다. 이때 지지대판(72i)과 하부가이드판(72j)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하부가이드판(72j)의 하측으로는 하부가이드판(72j)에 밀착된 상태로 한 쌍의 하부포크(72k)를 배치하며, 하부포크(72k)는 지지대판(72i)에 설치한 하부포크가이드축(72l) 결합된 하부포크용 실린더(72m)에 결합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하부가이드판(72j)의 상측으로는 지지대판(72i)에 세워진 개봉부용 서포터(72n)에 지지되도록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을 설치하고,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는 하부가이드판(72j)과 대향하는 상부가이드판(72p)이 하단에 결합된 가이드판설치용 링크(72q)를 설치한다.
상기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는 개봉부용 서포터(72n)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지지축회동로드(72r)의 일단을 연결하고, 지지축회동로드(72r)에는 지지대판(72i)에 설치한 상부가이드판용 실린더(72s)의 로드에 결합한 연결로드(72t)와 상호 연결하여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판(72p)의 상측으로는 한 쌍의 상부포크(72u)가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부포크가이드봉(72v)에 결합되며, 상부포크가이드봉(72v)은 상부가이드판(72p)을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판설치용 링크(72q)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는 한 쌍의 상부포크용 실린더(72w)를 설치하고, 상부포크용 실린더(72w)의 로드를 상부포크(72u)와 연결하여 상부포크(72u)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로드가 상부포크(72u)와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포크가이드부재(72x)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부(7)를 구성하는 경우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에 포장지(400)의 상부면이 흡착 상태로 공급되면, 포장지 공급부(71)의 흡착대판(71e)상에 설치되어 있는 진공흡착구(71f)에 포장지(400)의 하부면이 흡착되면서 포장지(400)의 개구측이 일부 개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흡착대판(71e)이 회동실린더(71c)의 작동에 의해 이동구(71b)가 이동할 때 함께 배출부(7) 쪽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포장지 개봉부(72)의 하부포크(72k)와 상부포크(72u)가 개구측이 개봉된 상태의 포장지(400) 내측으로 인입되며, 동시에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는 포장지(400)에서 분리되어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부가이드판용 실린더(72s)의 작동에 의해 상부포크(72u)가 상향 회동하면서 포장지(400)의 개구측을 1차 벌리고, 이 상태에서 하부포크용 실린더(72m)와 상부포크용 실린더(72w)에 의해 2개의 하부포크(72k)와 2개의 상부포크(72u)가 외향 이동되면서 포장지(400)의 개구측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2차로 벌리게 되어 개봉 상태를 확실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상기 배출수단(6)의 가설대(62)에 설치되어 배출대판(63)에 의해 스틱형 공산품(200)이 포장지(400)의 개구측으로 인입될 때 가설대(62)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노즐(64)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면서 포장지(400)를 완전 개봉하여 스틱형 공산품(200)이 쉽게 인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 미설명 부호 16은 포장지(400)에 스틱형 공산품(200)이 내입한 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2:제1공급컨베이어 21:스토퍼 3:제1투입컨베이어
31:사이드컨베이어 4:공급수단 41:지지체
42:공급용 직선로봇 43:공급대판 5:분배수단
51:버킷 52:분배용 직선로봇 6:배출수단
61:배출용 직선로봇 62:가설대 63:배출대판
64:에어노즐 7:배출부 71:포장지 공급부
71a:가이드봉 71b:이동구 71c:회동실린더
71d:회동로드 71e:흡착대판 71f:진공흡착구
71g:연결부재 71h:배출판 71i:가이드판
71j:연결봉 72:포장지 개봉부 72a:지지서포터
72b:개봉편회동축 72c:가압구회동축 72d:작동기어
72e:개봉편 72f:가압구 72g:연결링크
72h:개봉용실린더 72i:지지대판 72j:하부가이드판
72k:하부포크 72l:하부포크가이드축 72m:하부포크용 실린더
72n:개봉부용 서포터 72o:상부가이드판지지축 72p:상부가이드판
72q:가이드판설치용 링크 72r:지지축회동로드 72s:상부가이드판용 실린더
72t:연결로드 72u:상부포크 72v:상부포크가이드봉
72w:상부포크용 실린더 72x:상부포크가이드부재 8:투입수단
81:투입수단용 서포터 82:승강실린더 83:투입용 직선로봇
84:투입판 85:정렬용 실린더 86:정렬판
9:기체 10:제1포장지공급로봇 101,141:진공흡착구
11:제어부 12:제2공급컨베이어 121:스토퍼
13:스토퍼수단 131:스토퍼용 서포터 132:차단판용 실린더
133:차단판 14:제2투입컨베이어 15:제2포장지공급로봇
200:스틱형 공산품 300:공급부 400:포장지

Claims (14)

  1. 스틱형 공산품(200)을 연속 공급하는 제1공급컨베이어(2)와;
    제1공급컨베이어(2)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제1투입컨베이어(3)와;
    제1공급컨베이어(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제1공급컨베이어(2)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한 공급수단(4)과;
    제1투입컨베이어(3)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3)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분배하는 버킷(51)이 구비된 분배수단(5)과;
    제1투입컨베이어(3)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3)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버킷(51)으로 배출하는 투입수단(8)과;
    버킷(51)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체(9)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3)의 전방과 제1투입컨베이어(3)의 좌우측에 설치한 배출부(7)와;
    제1투입컨베이어(3)의 양측에 대칭으로 기체(9)에 설치되어 버킷(51)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에 교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과;
    상기 배출부(7)에 결합되어 스틱형 공산품(200)이 내입 포장되는 포장지(400)을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하는 제1포장지공급로봇(10)과;
    각 구성부재들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3)와 직각으로 제1공급컨베이어(2)와 평형하게 설치한 제2공급컨베이어(12)와;
    제1공급컨베이어(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기체(9)에 설치한 스토퍼수단(13)과;
    스토퍼수단(13)에 의해 일시 정지 상태의 스틱형 공산품(200) 위에 제2공급컨베이어(12)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적층 상태로 공급하도록 제2공급컨베이어(12)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한 공급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컨베이어(12)와 직각으로 제1투입컨베이어(3)의 반대쪽에 설치한 제2투입컨베이어(14)와;
    제2공급컨베이어(12)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제2공급컨베이어(12)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한 공급수단(4)과;
    제2투입컨베이어(14)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되어 제2투입컨베이어(14)에서 공급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분배하는 전후 개방형으로 구성된 버킷(51)이 구비된 분배수단(5)과;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체(9)에 설치되어 제2투입컨베이어(14)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버킷(51)으로 배출하는 투입수단(8)과;
    버킷(51)의 전방에 배치되는 배출부(7)와;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양측에 대칭으로 기체(9)에 설치되어 버킷(51)에 위치하는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에 교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6)과;
    상기 배출부(7)에 결합되어 스틱형 공산품(200)이 내입 포장되는 포장지(400)을 진공흡착 상태로 공급하는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4)은 기체(9)에 세워지는 지지체(41)와;
    지지체(41)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3)의 진행방향으로 작동하는 공급용 직선로봇(42)와;
    상기 공급용 직선로봇(42)에 의해 작동하며, 제1공급컨베이어(2) 또는 제2공급컨베이어(12) 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제1투입컨베이어(3)로 밀어 투입하는 공급대판(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13)은 제1투입컨베이어(3)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차단판(133)과;
    상기 차단판(133)을 승강시키도록 기체(9)에 설치한 차단판용 실린더(132)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투입컨베이어(10)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상부 양측에는 사이드컨베이어(31)가 더 설치되어 제1투입컨베이어(10)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8)은, 기체(9)에 세워지는 투입수단용 서포터(81)와;
    상기 투입수단용 서포터(81)의 상단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82)와;
    상기 승강실린더(82)와 직각으로 작동하도록 승강실린더(82)의 로드에 결합한 투입용 직선로봇(83)와;
    제1투입컨베이어(10)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 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분배수단(5)의 버킷(51)으로 투입하도록 투입용 직선로봇(83)에 설치한 투입판(84)과;
    상기 투입판(84)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기체(9)에 설치한 정렬용 실린더(85)과;
    정렬용 실린더(85)의 로드에 결합되어 내향 이동된 상태에서 투입판(84)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 간격을 제공하는 정렬판(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분배수단(5)은,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선단의 기체(9)상에 직각으로 위치되는 분배용 직선로봇(52)과;
    상기 분배용 직선로봇(52)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전방으로 교대로 위치하는 전후 개방형으로 구성되는 2개의 버킷(51)을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6)은, 기체(9)에 설치되며 제1투입컨베이어(3) 또는 제2투입컨베이어(14)의 진행방향으로 작동하는 배출용 직선로봇(61)과;
    상기 배출용 직선로봇(61)의 테이블에는 설치한 가설대(62)와;
    버킷(51)에 내입된 스틱형 공산품(200)을 밀어 버킷(51)상의 스틱형 공산품(200)을 배출부(7)에 결합되는 포장지(400)로 투입토록 가설대(62)의 하측으로 결합한 배출대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설대(62)의 상측으로는 에어노즐(64)이 설치되어 배출부(7)에 공급되어 입구가 벌려진 포장지(400) 내부로 에어를 분출시켜 포장지(400)이 완전히 개봉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7)는, 배출부(7)는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에 흡착 상태로 포장지(400)이 공급되면 진공흡착구(101)(141)와 대향하도록 흡착대판(71e)에 설치한 진공흡착구(71f)에 포장지(400)의 하면이 흡착되어 포장지(400)의 일부 개봉이 이루어지게 하는 포장지 공급부(71)와;
    포장지 공급부(71)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200) 공급측에 설치되며, 개봉편회동축(72b)에 결합되어 있는 개봉편(72e)이 포장지(400)의 개구측을 통해 내입되어 상향 회동되면서 포장지(400)을 완전 개봉하여 스틱형 공산품(200)이 쉽게 인입될 수 있게 한 포장지 개봉부(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공급부(71)은, 버킷(51)이 이동된 상태에서 버킷(51)의 전방에 위치하며, 기체(9)에 설치되는 가이드봉(71a)과;
    가이드봉(71a)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구(71b)와;
    이동구(71b)에 로드가 고정되는 회동실린더(71c)와;
    회동실린더(71c)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기체(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로드(71d)와;
    상기 이동구(71b)에 결합되며 포장지(400)을 공급받기 위해 배출 쪽으로 이동상태일 때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과 대향하도록 상측으로 진공흡착구(71f)가 구비되는 흡착대판(71e)과;
    흡착대판(71e)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되며, 기체(9)에 설치되며 호형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판(71i)을 따라 이동하는 배출판(71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포장지 개봉부(72)는, 상기 포장지 공급부(71)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200) 공급측에 설치되며, 흡착대판(71e)과 대향하는 개봉편(72e)과;
    상기 개봉편(72e)을 회동시키는 개봉편회동축(72b)과;
    개봉편회동축(72b)의 상측에 위치되며 개봉편회동축(72b)과 기어 연결되어 구동되는 가압구회동축(72c)과;
    가압구회동축(72c)에 결합되며, 포장지(400)이 개봉편(72e)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개봉편(72e) 쪽으로 가압하도록 가압구회동축(72c)에 결합한 가압구(72f)와;
    기체(9)에 고정되며 개봉편회동축(72b)과 가압구회동축(72c)을 지지하는 지지서포터(72a)와;
    상기 개봉편회동축(72b)에 일단이 고정되는 연결링크(72g)와;
    상기 연결링크(72g)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로드를 구비하며, 기체(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봉용실린더(72h)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과 대향하도록 흡착대판(71e)에 설치한 진공흡착구(71f)에 의해 개봉된 상태로 흡착대판(71e)이 공급측으로 포장지(400)를 이동시킬 때 포장지(400) 내측으로 인입되어 포장지(400)를 완전 개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 개봉부(72)는, 포장지 공급부(71)의 전방 스틱형 공산품(200) 공급측의 기체(9)에 설치되는 지지대판(72i)과;
    지지대판(72i)의 상측에 흡착대판(71e)보다 높게 설치되는 하부가이드판(72j)과;
    하부가이드판(72j)의 하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하부포크(72k)와;
    하부포크(72k)가 결합되도록 지지대판(72i)에 지지되게 설치한 하부포크가이드봉(72v)과;
    하부포크가이드봉(72v)에 지지되어 하부포크(72k)를 작동하는 한 쌍의 하부포크용 실린더(72m)와;
    하부가이드판(72j)의 상측으로 지지대판(72i)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과;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 결합되며 하부가이드판(72j)과 대향되는 상부가이드판(72p)과;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과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축회동로드(72r)와;
    지지축회동로드(72r)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지지대판(72i)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상부가이드판용 실린더(72s)와;
    상부가이드판(72p)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상부포크(72u)와;
    상부포크(72u)가 결합되도록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 지지되게 설치한 상부포크가이드봉(72v)과;
    상부가이드판지지축(72o)에 결합되어 상부포크(72u)를 작동하는 한 쌍의 상부포크용 실린더(72w)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1포장지공급로봇(10) 또는 제2포장지공급로봇(15)의 진공흡착구(101)(141)과 대향하도록 흡착대판(71e)에 설치한 진공흡착구(71f)에 의해 개봉된 상태로 흡착대판(71e)이 공급측으로 포장지(400)를 이동시킬 때 포장지(400) 내측으로 인입되어 포장지(400)를 완전 개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KR1020170045156A 2017-04-07 2017-04-07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KR20180113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56A KR20180113727A (ko) 2017-04-07 2017-04-07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56A KR20180113727A (ko) 2017-04-07 2017-04-07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27A true KR20180113727A (ko) 2018-10-17

Family

ID=6409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156A KR20180113727A (ko) 2017-04-07 2017-04-07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7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64U (ko) 2019-02-13 2020-08-24 주식회사 크리텍 제품 자동 투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64U (ko) 2019-02-13 2020-08-24 주식회사 크리텍 제품 자동 투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7862B2 (en) Log bander apparatus and method
KR101731582B1 (ko) 로터리 포장기
KR101290571B1 (ko) 직렬 순차 이송 방식의 신속 자동포장장치
CN107719785B (zh) 一种pcb板包装方法及其包装机
CN202080466U (zh) 封管制袋灌装机的袋体供给装置
JPH03148409A (ja) 寸法の異なる物品の包装装置
JP2009173342A (ja) 人間工学的な成形プラグの交換を行なうことができるウエブ包装システム
ITMI20111619A1 (it) Macchina per assemblaggio, riempimento e chiusura di capsule per bevande porzionate
CN107848642A (zh) 包装机
KR101979660B1 (ko) 자동 포장장치
KR101901144B1 (ko) 로터리 포장기
US98344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sanitary articles
CN104129527B (zh) 中包机
CN111942665A (zh) 自动装袋机
CN106467182B (zh) 用于插放阀口袋的设备和操作方法
KR20180113727A (ko) 스틱형 공산품의 자동입봉장치
CN208394373U (zh) 一种抓手式高位码垛机
KR101242769B1 (ko) 사료 포장장치
KR20190056590A (ko) 버킷 컨베이어
ITBO20010477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il riempimento dei sacchi
CN206885474U (zh) 一种撑袋方便包装可靠的袋子包装机
CN209553622U (zh) 一种将堆叠后的复印纸进行推送的推送装置
CN106379581B (zh) 西林瓶自动包装机
IT202100000872A1 (it) Macchina di confezionamento a giostra
KR100231621B1 (ko) 층상화된 섬유소 제품, 특히 원면 패드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