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590A - 버킷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버킷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590A
KR20190056590A KR1020170153694A KR20170153694A KR20190056590A KR 20190056590 A KR20190056590 A KR 20190056590A KR 1020170153694 A KR1020170153694 A KR 1020170153694A KR 20170153694 A KR20170153694 A KR 20170153694A KR 20190056590 A KR20190056590 A KR 2019005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ucket
buckets
packa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겸
Original Assignee
(주)오리온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리온홀딩스 filed Critical (주)오리온홀딩스
Priority to KR102017015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6590A/ko
Publication of KR2019005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6Clamps, constituted by articulated chain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62Load-carriers
    • B65G2812/02782Load-carriers with upstand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피포장물의 모양 변경에 따른 대처가 용이하게 되고, 모양이 다른 복수의 종류의 피포장물의 포장에 적용이 가능하게 마련된 버킷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는 피포장물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적재되는 상기 피포장물을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고정되는 복수의 버킷(bucket)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부는 상기 피포장물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의 형상이 다른 복수개의 종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킷 컨베이어{bucket conveyor}
개시된 발명은 포장장치에 사용되는 버킷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과자 등의 먹거리나, 비누와 같은 생필품처럼 대량으로 생산되는 제품을 개별적으로 포장케이스에 포장할 때는 카토너(cartoner)와 같은 포장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장치는 피포장물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버킷(bucket)을 구비하는 버킷 컨베이어와, 버킷에 적재된 피포장물을 포장케이스 내부로 밀어 넣는 가압기 등을 구비한다.
버킷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피포장물이 컨베이어 상에서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컨베이어에 일체로 고정되어 가압기에 밀려 포장케이스 내부로 진입하는 피포장물의 이동동작을 가이드 함으로써, 피포장물의 포장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버킷 컨베이어는 버킷들의 형태가 모두 동일하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이 모양이 다른 것으로 바뀌게 될 경우, 컨베이어에 고정된 버킷을 변경된 피포장물의 모양에 알맞은 것으로 교체하거나, 버킷 컨베이어 자체를 버킷의 형태가 모양이 변경된 피포장물의 포장에 알맞게 마련된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피포장물의 모양의 변경에 따른 대처가 용이한 버킷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모양이 다른 복수의 종류의 피포장물의 포장에 적용이 가능한 버킷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는 피포장물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적재되는 상기 피포장물을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고정되는 복수의 버킷(bucket)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부는 상기 피포장물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의 형상이 다른 복수개의 종류를 포함한다.
상기 버킷부는 종별로 복수개씩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버킷부는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으로 종별 순서에 따라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킷부는 2개의 종으로 구분되고, 상기 컨베이어에는 복수의 상기 버킷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벽체가 설치되며, 상기 벽체는 일 측면이 2개의 종 중 어느 어느 한 종의 상기 버킷부의 지지면을 형성하고, 타 측면이 2개의 종 중 나머지 다른 한 종의 상기 버킷부의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킷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면은 상호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는 버킷부가 서로 모양이 다른 피포장물의 포장동작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복수의 종류를 포함하므로, 피포장물의 모양 변경에 따른 대처가 용이하게 되고, 모양이 다른 복수의 종류의 피포장물의 포장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로, 버킷 컨베이어에 제1피포장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포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로, 제1피포장물이 포장케이스에 포장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로, 버킷 컨베이어에 제2피포장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포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로, 제2피포장물이 포장케이스에 포장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10)는 피포장물(1,2)을 포장케이스(3)에 넣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채용되는 것으로, 여기서 피포장물(1,2)은 비스킷이나 쿠키와 같은 과자와 일반 생필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 및 물건이 될 수 있다.
포장장치는 피포장물(1,2)의 적재를 위한 버킷(bucket)부(20,30)를 구비하는 상기 버킷 컨베이어(10)와, 버킷부(20,30)에 적재된 피포장물(1,2)을 포장케이스(3) 내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는 가압기(4)를 구비한다. 피포장물(1,2)이 적재되는 버킷부(20,30)는 가압기(4)를 통해 포장케이스(3) 내부로 진입하는 피포장물(1,2)의 진입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버킷 컨베이어(10)는 복수의 버킷부(20,30)와, 복수의 버킷부(20,30)가 마련되는 제1컨베이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포장장치는 제1컨베이어(40) 전방에 제1컨베이어(4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컨베이어(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컨베이어(40)와 제2컨베이어(5)는 체인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컨베이어(5) 일측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피더(feeder)가 설치되어 포장케이스(3)를 제2컨베이어(5) 상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컨베이어(5)와 피더(미도시)는 케이스 공급기(6)를 형성하여 포장케이스(3)를 피포장물(1,2)의 수납이 가능한 상태로 버킷 컨베이어(10)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컨베이어(5)에 공급된 포장케이스(3)는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제2컨베이어(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40)의 양단 내측에는 구동모터(7)가 연결되는 구동풀리(8a)와, 구동풀리(8a)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풀리(8b)가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7)는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컨베이어(50)는 구동 중 다양한 위치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컨베이어(40)의 구동 관련 구성은 제2컨베이어(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서 미설명 부호 9은 구동모터(7)의 동력을 구동풀리(8a)로 전달하는 벨트를 가리킨다.
버킷부(20,30)는 피포장물(1,2)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되고, 개별 버킷부(20,3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면(21,3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버킷부(20,30)가 형성되도록 제1컨베이어(40)에는 복수의 벽체(50,60)가 마련될 수 있다. 버킷부(20,30)는 한 쌍의 벽체(50,60) 사이를 통해 형성되고, 벽체(50,60)는 피포장물(1,2)의 이송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컨베이어(40)에 고정되어 그 사이에 적재되는 피포장물(1,2)을 제1컨베이어(4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40)에는 벽체(50,60)의 고정을 위한 고정플레이트(70)가 설치되고, 벽체(50,60)는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플레이트(7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기(4)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에 의해 진퇴 동작하는 로드(4a)와, 로드(4a)의 진퇴동작에 의해 피포장물(1,2)을 가압하도록 로드(4a) 끝단에 결합된 가압헤드(4b)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미도시)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기(4)는 제1컨베이어(40) 후방에 피포장물(1,2)의 이송방향을 따라 제1컨베이어(40)와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기(4)들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대를 통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가압기(4)가 반드시 고정되도록 설치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압기(4)는 컨베이어와 같은 별도의 이동기기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도 버킷부(20,30)에 적재된 피포장물(1,2)을 포장케이스(3) 내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피포장물(1,2)을 포장할 때는 케이스 공급기(6)를 구동시켜 포장케이스(3)가 순차적으로 제2컨베이어(5)에 공급되도록 하고, 버킷부(20,30)가 제1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되도록 제1컨베이어(40)를 구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컨베이어(40) 상의 버킷부(20,30)에는 피포장물(1,2)이 적재된다. 이와 같은 피포장물(1,2)의 적재 동작은 작업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실행되거나, 별도의 자동적재기(미도시)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가압기(4)는 버킷부(20,30)에 적재된 피포장물(1,2)과 포장케이스(3)의 개구가 일치된 지점 및 시점에 대응하여 전진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포장케이스(3) 내부로 피포장물(1,2)을 밀어 넣을 수 있다.
피포장물(1,2)이 포장케이스(3)에 수납되도록 하는 공정은 제1 및 제2컨베이어(40,5)에 의해 이송되는 피포장물(1,2)과 포장케이스(3)의 이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포장과정에서 케이스 공급기(6)와, 제1컨베이어(5)와, 가압기(4)의 동작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피포장물(1,2)이 내부로 수용된 포장케이스(3)는 제2컨베이어(5)로부터 배출된 상태에서 개구가 밀폐되도록 하는 포장마감작업을 더 거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장장치에 따른 피포장물(1,2)의 포장작업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킷부(20,30)는 상기 지지면(21,31)의 형상이 다른 복수개의 종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버킷부(20,30)의 구성은 피포장물(1,2)의 모양 변경에 따른 버킷 컨베이어(10)의 대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고, 또 버킷 컨베이어(10)를 모양이 다른 복수의 종류의 피포장물(1,2)의 포장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포장장치에 의한 피포장물(1,2)의 포장과정에서 피포장물(1,2)을 지지하는 버킷부(20,30)는 한 쌍의 지지면(21,31)을 통해 가압기(4)에 밀려 포장케이스(3) 내부로 진입하는 피포장물(1,2)의 양쪽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포장케이스(3) 내부로 삽입되는 피포장물(1,2)의 진입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피포장물(1,2)의 안정적인 포장작업을 위해서는 버킷부(20,30)의 지지면(21,31)의 형상이 피포장물(1,2)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부(20,30)가 지지면(21,31)의 형상이 다른 복수개의 종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버킷 컨베이어(10)는 피포장물(1,2)의 포장에 사용되는 버킷부(20,30)를 피포장물(1,2)의 모양을 고려하여 종류별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하고자 하는 피포장물(1,2)의 모양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버킷부(20,30)를 제1컨베이어(4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고, 모양이 서로 다른 다종의 피포장물(1,2)의 포장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버킷부(20,30)는 종별로 복수개씩 마련되고, 복수의 버킷부(20,30)는 피포장물(1,2)의 이송방향으로 종별 순서에 따라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종의 버킷부(20,30)들은 상호 간에 같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버킷부(20,30)는 2개의 종으로 구분되는데, 복수의 버킷부(20,30)를 형성하는 벽체(50,60)는 일 측면이 2개 중 어느 한 종의 버킷부(20,30)의 지지면(21,31)을 형성하고, 타 측면이 2개 중 나머지 다른 한 종의 버킷부(20,30)의 지지면(21,31)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벽체(50,60)의 구성에 따르면, 2개 종의 버킷부(20,30)가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면서도 버킷부(20,30) 사이를 연속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버킷 컨베이어(10)에 보다 많은 숫자의 버킷부(20,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버킷부(20,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면(21,31)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2개 종의 버킷부(20,30)는 2개 종의 벽체(50,60)만으로 간단히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2개 종의 버킷부(20,30) 중 한 개의 종은 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지지면(21)을 포함하는 제1버킷부(20)로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한 개의 종은 평면을 이루는 한 쌍의 제2지지면(31)을 포함하는 제2버킷부(30)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면(21)은 측면이 볼록하게 마련된 제1피포장물(1)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마련되고, 제2지지면(31)은 측면이 평평하게 마련된 제2피포장물(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버킷부(20,30)를 형성하는 벽체(50,30)는 일 측면이 제1지지면(21)을 형성하고 타 측면이 제2지지면(31)을 형성하는 제1벽체(50)와, 일 측면이 제2지지면(31)을 형성하고 타 측면이 제1지지면(21)을 형성하는 제2벽체(60) 복수개를 통해 간단히 마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벽체(50,60)는 제1컨베이어(40) 상에 피포장물(1,2)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1버킷부(20)를 형성하는 제1벽체(50)와 제2벽체(60) 사이의 간격(t1)이 제1피포장물(1)의 폭(w1)에 대응하고, 제2버킷부(30)를 형성하는 제2벽체(60)와 제1벽체(50) 사이의 간격(t2)이 제2피포장물(2)의 폭(w2)에 대응하도록 벽체(50,60)들 사이의 간격을 설정한 상태에서 제1컨베이어(4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컨베이어(10)를 이용하여 제1피포장물(1)을 포장할 때는 복수의 제1버킷부(20)에 제1피포장물(1)들을 적재하고, 제1피포장물(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포장케이스(3)와 가압기(4)가 위치된 상태에서 버킷 컨베이어(10)가 일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 공급기(6)와 버킷 컨베이어(10)를 구동하고, 버킷 컨베이어(10)가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제1피포장물(1)들이 대응하는 포장케이스(3)에 진입되도록 복수의 가압기(4)를 구동시킴으로써 포장케이스(3)에 제1피포장물(1)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포장물(2)을 포장할 때는 복수의 제2버킷부(30)에 제2피포장물(2)들을 적재하고, 제2피포장물(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포장케이스(3)와 가압기(4)가 위치된 상태에서 버킷 컨베이어(10)가 일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 공급기(6)와 버킷 컨베이어(10)를 구동한다. 그리고 버킷 컨베이어(10)가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제2피포장물(2)들이 포장케이스(3)에 진입되도록 복수의 가압기(4)를 구동시킴으로써 포장케이스(3)에 제2피포장물(2)을 포장할 수 있게 된다.
1: 제1피포장물 2: 제2피포장물
3: 포장케이스 4: 가압기
5: 제2컨베이어 6: 케이스 공급기
7: 구동모터 10: 버킷 컨베이어
20: 제1버킷부 21: 제1지지면
30: 제2버킷부 31: 제2지지면
40: 제1컨베이어 50: 제1벽체
60: 제2벽체

Claims (4)

  1. 피포장물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적재되는 상기 피포장물을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 고정되는 복수의 버킷(bucket)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킷부는 상기 피포장물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의 형상이 다른 복수개의 종류를 포함하는 버킷 컨베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는 종별로 복수개씩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버킷부는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으로 종별 순서에 따라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배치된 버킷 컨베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는 2개의 종으로 구분되고,
    상기 컨베이어에는 복수의 상기 버킷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피포장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벽체가 설치되며,
    상기 벽체는 일 측면이 2개의 종 중 어느 어느 한 종의 상기 버킷부의 지지면을 형성하고, 타 측면이 2개의 종 중 나머지 다른 한 종의 상기 버킷부의 지지면을 형성하는 버킷 컨베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면은 상호 대칭을 이루는 버킷 컨베이어.





KR1020170153694A 2017-11-17 2017-11-17 버킷 컨베이어 KR2019005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94A KR20190056590A (ko) 2017-11-17 2017-11-17 버킷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94A KR20190056590A (ko) 2017-11-17 2017-11-17 버킷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90A true KR20190056590A (ko) 2019-05-27

Family

ID=6667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94A KR20190056590A (ko) 2017-11-17 2017-11-17 버킷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65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824A (ko) * 2019-09-19 2021-03-29 (주)일광에프앤에스 번들백 수동 포장장치
CN113772332A (zh) * 2021-08-27 2021-12-10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锚杆输送装置和锚杆储存运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824A (ko) * 2019-09-19 2021-03-29 (주)일광에프앤에스 번들백 수동 포장장치
CN113772332A (zh) * 2021-08-27 2021-12-10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锚杆输送装置和锚杆储存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5912B (zh) 一种用于多产品合包装的包装生产线
CA2407901C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llating and cartonning product units
EP1775222B1 (en) Unit and method for forming packs of products for a packaging machine
JPS6236933B2 (ko)
JP2015506312A (ja) 収縮包装フィルムを備えたパック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SK98993A3 (en) An apparatus for grouping objects
US11939090B2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rticles
US20120102882A1 (en) Tray sea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90056590A (ko) 버킷 컨베이어
JP2013542149A (ja) コンベヤ上に品物グループ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4856262A (en) Apparatus for disposing packing in predetermined relative positions
US7089717B2 (en) Tray loader
US112860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products in pre-made packages
US2003007996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products in a defined manner from a compartment-containing chain
US3398675A (en) Packaging machine
JPH03148414A (ja) 圧力によりこわれ易い個別製品を包装する方法及び装置
WO2020013687A1 (en) A packing method of packing articles into a packing box, and corresponding packing device
JP2010159119A (ja) 集積体供給装置
JP2006273364A (ja) 容器整列装置、及び容器整列方法
US11713146B2 (en) Packing method of packing articles into a packing box, and corresponding packing device
KR20190056587A (ko) 포장장치
CN218229577U (zh) 试纸盒装袋机输送装置
CN217575823U (zh) 一种平盒装箱系统的开箱机构
EP4178866B1 (en) Apparatus for bundling by strapping pet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US11760582B2 (en) Product packaging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