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471A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471A
KR20180113471A KR1020180040563A KR20180040563A KR20180113471A KR 20180113471 A KR20180113471 A KR 20180113471A KR 1020180040563 A KR1020180040563 A KR 1020180040563A KR 20180040563 A KR20180040563 A KR 20180040563A KR 20180113471 A KR20180113471 A KR 2018011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mino acid
erythritol
dentifrice composi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328B1 (ko
Inventor
이지혜
문교태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8011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마모 없이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특정 함량 및 특정 중량비로 배합하여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의 손상을 나타내지 않고,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손상 없이, 치주 질환을 예방 내지 개선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약 조성물{Dentifrice composition}
본 발명은 치아의 마모 없이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에 생기는 각종 구강질환은 구강내에 생성되는 플라그 및 수많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플라그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등과 같이 구강 내에 서식하는 세균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점착성 물질이다. 이는 치아의 표면과 잇몸에 부착된 끈적끈적한 막으로, 구강 세균이 포도당 중합체인 덱스트란의 그물망 속에 갇혀있는 치면 세균막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치아 및 그 주변조직에 발생되는 중요한 질병인 충치와, 치석, 잇몸질환의 주요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치면 세균막을 제거하지 아니한 채 장기간 있게 되면, 구강 내 타액중의 칼슘, 마그네슘 및 인 등의 성분과 결합하여 난용성 염을 형성하여 치아와 유사한 경도를 가진 치석이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치석은 계속 진행되면서 잇몸과 치아의 경계면을 파고들이 양치시 쉽게 출혈을 유발시키고 또한 구강 내 세균에 의한 염증을 유발시켜서 치은염 및 치주질환을 발생시킨다. 치은염의 염증증상으로는 치은의 색깔이 붉어지는 발적, 부종 및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은염이 진행되면 치주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치석의 형성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당업계에서는 여러 공지 기술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칼슘과 정인산염 등의 수산화 인회석이라는 결정질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치석의 원인 물질인 플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치석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플라그 제거를 위해, 플라그를 생성하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플라그가 효과적으로 닦여져 나가도록 연마제를 사용하여 치약 조성물의 세정 효과를 높이는 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균제의 사용은 세균의 내성 증가로 인해 효과를 지속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구강 내 세균억제 효과가 미약하여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치주질환 예방 및 치주질환 개선의 효과에 있어 소비자들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연마제에 의한 치아의 세정은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연마제를 증량하거나 고연마도를 나타내는 연마제를 사용하게 되면 플라그 제거 효과가 우수해지나, 치아의 마모 작용에 의해 시린 이를 유발하는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연마도가 높은 치약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치경부의 마모를 유발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9873호는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및 적정 pH의 조절 등의 구성을 통해 구강 표면의 화학적 세정을 제공하는 조성물을 개시하며, 연마제를 최소화하여 구강 표면을 부드럽게 세정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으나, 킬레이트제의 과량 사용에 의해 세정력은 증가하는 반면, 구강 자극이 커 여전히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강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치약 사용에 의한 치아의 마모 등 부작용은 줄이면서, 동시에 우수한 세정력을 발휘하여 효과적으로 플라그를 제거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9873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치아, 잇몸 등 구강 내 손상을 줄이면서 플라그 등에 의한 치주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내지 개선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은, 치약 사용으로 인한 치아 손상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치약 조성물들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고, 생체 안정성이 우수하고 세정력을 유지하면서도 치아 손상 정도가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치아 손상'이란 칫솔질 등으로 인한 물리적 자극, 치약의 성분 등으로 인한 화학적 자극, 또는 이들의 복합적인 자극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 비제한적인 예로 치아 마모, 치경부 마모, 굴곡파절, 치아 부식, 치아 교모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폭넓게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치아 손상, 특히 치아 마모, 치경부 마모, 굴곡파절, 치아 부식, 또는 치아 교모, 바람직하게는 치아 마모 내지 치경부 마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세정성분으로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연마도를 나타내지 않아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동시에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낼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세정성분으로 사용하는 통상의 치약 조성물과 비교하여,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세정성분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세정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것은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상아질 시편에 치약 조성물을 2:1의 비율로 인공 타액으로 희석한 슬러리 용액으로 브러싱 머신(Brushing machine)을 사용하여 분당 왕복 90회의 속도로 총 1,000회 잇솔질한다. 잇솔질 중에는 200회의 잇솔질마다 인공 타액 20 ml씩을 추가한다. 그 후, 시편을 상온에 건조시킨 후, 표면 프로파일 측정기로 표면 굴곡도를 측정하여 잇솔질로 마모된 상아질 시편의 횡단면적을 산출한다. 표준치약(BS 5136에 따른 치약)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과정을 수행하여 마모면적 값을 얻은 후, 표준치약에 대한 실험에 사용된 치약 조성물의 치아 마모도 비교 값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아 마모 값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치아 마모도 비교 값을 나타낸다.
[식]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은 IUPAC 명칭으로 (2R, 3S)-부탄-1,2,3,4-테트롤 ((2R,3S)-butane-1,2,3,4-tetrol)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내인 경우, 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고 우수한 세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 중량% 미만인 경우, 치약 조성물 내 과포화 결정이 형성되지 않아 물리적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고,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와의 우수한 세정 효과 발휘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45 중량% 초과인 경우,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치약 조성물의 상 안정성이 저하되어 치약 조성물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아미노산이 포함된 계면활성제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이다. 비제한적인 일예로,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리신, 이소루신, 루신, 라이신, 페닐알라닌, 세린, 티로신, 발린 등과 같은 α-아미노산의 알킬화 및 아실화 등으로부터 유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팔미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칼륨코코일글루타메이트, 칼륨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칼륨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 소듐코코일글리시네이트, 칼륨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소듐코코일살코시네이트, 소듐미리스토일살코시네이트, 소듐올레오일살코시네이트, 암모늄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소듐코코일타우레이트 및 소듐라우로일아스파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소듐코코일살코시네이트, 및 소듐코코일타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내인 경우, 치아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치약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세정 효과를 달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느끼는 감성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연마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여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우수한 세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성분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중량%(즉, 전혀 포함되지 않음)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연마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 바람직하게는 0의 마모도를 나타내어 치아 연마도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연마제의 함량은 치아의 마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연마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중량%(즉, 전혀 포함되지 않음)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구강 내에서 플라그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물질로서, 치아 플라그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단단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치약에 배합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연마제'는 당업계에서 치약 조성물의 연마제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실리카,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규산 지르코늄,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카오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의 함량이 0 중량%가 아닌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연마제는 실리카,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규산 지르코늄, 탄산칼슘 또는 함수 알루미나일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연마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 중량%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 바람직하게는 0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치아 손상 없이 우수한 세정력을 발휘하기 위해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도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특정 중량 범위로 배합된 치약 조성물이 특정 중량 범위 외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과 비교하여 세정 효과에 있어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40 중량% 미만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하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경우,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30 중량% 이상 40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치약 조성물 대비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 중량% 이상인 치약 조성물이 현저히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40 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치약 조성물 대비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5 중량% 이상인 치약 조성물이 현저히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40 중량% 미만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이상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에리스리톨: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15:1~2인 치약 조성물; 또는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상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에리스리톨: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40:1.5~2인 치약 조성물은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현저히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대한 상기 중량비 한정의 경계에서 세정 효과가 크게 차이가 나타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30 중량%인 경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 중량% 및 4 중량%를 경계로, 그리고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40 중량%인 경우,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5 중량% 및 2 중량%를 경계로, 세정 효과에 있어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40 중량% 미만이고,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에리스리톨: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15:1~2인 함량으로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상이고,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에리스리톨: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40:1.5~2인 함량으로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치아 손상 없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아 손상 없는' 치약 조성물은 특히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에 따른 표면 프로파일 방법에 의해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의 마모도, 바람직하게는 0의 마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BS 5136에 따른 표면 프로파일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치아 마모도 평가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상기 방법으로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0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연마도를 나타내어 세정력을 높인 치약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면서도 치아 손상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에 따라 치아 세정력의 효과를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제형화 및 제형 안정성, 목적하는 효과의 증진, 사용 기호도 증진 등을 위하여, 예를 들어 기포제, 습윤제, 약효제, 착향제, 감미제, pH 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향료 또는 정제수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더 포함되는 성분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포제는 거품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POE-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POE-올레일에테르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나트륨, 라우로일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 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경화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 로트유 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말산, POE-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피리디늄, 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습윤제는 예를 들어,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소르비톨, 비결정성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효제는 구강 위생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치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효제에는 불소 이온을 포함한,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안전한 물질로 인정한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소 이온의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은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불화아민을 들 수 있다. 불소의 함량은 국가에 따라 사용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500 ppm 범위의 불소 이온 농도를 갖도록 이들 공급원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석회화제 역시 충치 예방제로 작용할 수 있다. 재석회화는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재생하고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주성분은 2가의 칼슘 양이온과 인산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칼슘이온과 인산이온을 동시에 공급하거나 구강 내의 화학평형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생성되는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칼슘 2가 이온이나 인산 음이온 1종 이상이 함유된 것이면 재석회화제로 될 수 있다. 칼슘과 인을 제공하는 물질은 원료상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2인산칼슘, 염화칼슘, 카제인포스펩티드,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제1인산 나트륨, 제2인산 나트륨, 제3인산 나트륨, 제1인산 칼륨, 제2인산 칼륨, 제4인산 칼륨 등이 이에 포함된다. 통상 재석회화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재석회화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5 중량% 초과인 경우 제제가 갖는 본래의 성질을 잃게 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석회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 생존하는 유해 미생물을 살균 또는 항염 작용을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항균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제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사이클로헥시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잔토리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가로 항염 작용을 위한 비타민류(예를 들어 비타민 E 등)와 효소, 아미노카프로산, 알라토인 및 그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잇몸 질환 외에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치석 침착 억제 효과를 위해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메타인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향제는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의 민트, 윈터그린,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게놀, 메론, 딸기, 오렌지, 바닐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미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이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맛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카린, 수크랄로스, 설탕, 자일리톨, 솔비톨, 락토스, 만니톨, 말티톨, 아스파탐, 타우린, 사카린염, D-트립토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H 조정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호박산, 호박산 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치약 조성물의 산성도는 일반적으로 pH 5 내지 8이다.
상기 방부제는 예를 들어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또는 안식향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구아검, 펙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긴산나트륨, 라포나이트,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또는 알지네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사용량은 통상 치약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예를 들어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멘톨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덱스타라나제 등의 효소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유효성분, 첨가제 외에 그밖에 잔량의 물,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예를 들어 페이스트상, 액상, 거품상 등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구강청정제, 의치세정제 등으로 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손상 없이, 치주 질환을 예방 내지 개선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에 따라 세정력을 크게 개선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성분과 함량(중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치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치약을 제조하였다.
먼저, 습윤 성분인 농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수용액에 사카린나트륨, 불화나트륨의 소량의 분말 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로 희석한 후,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하였다. 그 다음 에리스리톨, 잔탄검, Tixosil 43k를 넣고 2차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향료를 넣고 3차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 분 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 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에리스리톨 30 30 30 30 30 40 40 40 30 0 0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1.5 2.0 4.0 1.0 1.5 2.0 2.0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2.0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2.0
라우릴황산나트륨 2.0 2.0
덴탈타입실리카 5.0
농글리세린(98%)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소르비톨수용액(70%) 30.0 30.0 30.0 30.0 30.0 25.0 25.0 25.0 30.0 30.0 60.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향 료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사카린나트륨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Tixosil43K 5 5 5 5 5 5 5 5 5 9 5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세정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아에 대한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세정력 측정은 Stookey 등에 의하여 개발된 클리닝 파우더(cleaning powder) (PCR: Pellicle cleaning ratio) 측정법의 원리를 응용하여 인위적으로 착색시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시편 (이하 HAP 시편)을 제조한 후, 색차계 (Minolta CR-321 Japan)를 사용하여 초기 명도 값을 측정하여 수행되었다. 각 실험군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편을 모든 실험군별로 분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각 치약 조성물 25g을 인공타액 40 ml와 혼합하여 제조된 각각의 슬러리 용액에 250 g의 하중에서, 분당 왕복 90회의 속도로 1시간(약 5,400회) 잇솔질한 후, 시편을 건조시킨 후, 명도 값을 측정하여 잇솔질 전후의 명도 값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 6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세정력
변화값
(△L value)
4.4 6.8 7.0 6.0 6.5 4.6 6.9 6.9 3.0 4.4 3.3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이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가 아닌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3 대비 우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세정효과 및 동시에 포함되었을 때의 우수한 세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중에서도, 에리스리톨 30 중량%,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또는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각각을 2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각각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에리스리톨 30 중량%,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4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 3), 에리스리톨 40 중량%,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1.5 중량%, 또는 2.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각각 실시예 7, 실시예 8)의 세정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을 통해,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특정 중량비를 이용하여 우수한 세정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방법으로 수행하는 경우 △L 값을 0.5 높이는 것이 매우 어려운 기술임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비로 에리스리톨과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세정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치아 마모도 평가
치아 마모도 평가는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에 따른 표면 프로파일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방법은 치아 마모 평가에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아질 시편 중앙부 2 mm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PVC 테이프로 덮어 실험부위만 노출시킨 후, 실험에 사용되는 치약 조성물(실시예 2 및 비교예 2)과 인공 타액을 2:1의 비율로 희석하여 슬러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슬러리 용액에 성인의 양치압 수준인 250 g의 힘으로 브러싱 머신(Brushing machine)을 이용하여 분당 왕복 90회의 속도로 총 1,000회 잇솔질을 수행하였다. 양치 시 타액의 혼입으로 치약 조성물이 희석되는 것을 고려하여 200회의 잇솔질마다 인공 타액 20 ml씩을 첨가하였다. 잇솔질을 마친 시편을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표면 프로파일 미터(Surface profile meter) (Mitutoyo SV-3000, Japan)로 표면 굴곡도를 측정하여 잇솔질로 마모된 상아질 시편의 횡단면적을 산출하였다. 표준치약(BS 5136에 따른 치약)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과정을 수행하여 마모면적 값을 얻은 후, 표준치약에 대한 실험에 사용된 치약 조성물들의 치아 마모도 비교 값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식]
Figure pat00002
실시예 2 비교예 2
치아 마모도 비교 값 0 28.6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경우 치아 마모도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종래 치약 조성을 갖는 비교예 2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대비 저조한 세정력을 나타내면서(표 2), 높은 치아 마모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치아 세정력은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치아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영국 표준 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의 BS 5136 방법에 따라 치아 마모도를 평가하는 경우 치아 마모 값이 4 이하를 나타내는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세정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 중량% 내지 4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치약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6. 제3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실리카, 실리카겔,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규산 칼슘, 규산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규산 지르코늄,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및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팔미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디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칼륨코코일글루타메이트, 칼륨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칼륨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 소듐코코일글리시네이트, 칼륨코코일글리시네이트, 소듐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소듐코코일살코시네이트, 소듐미리스토일살코시네이트, 소듐올레오일살코시네이트, 암모늄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소듐코코일타우레이트 및 소듐라우로일아스파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40 중량% 미만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40 중량% 미만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이상이고,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에리스리톨: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15:1~2이거나; 또는 상기 에리스리톨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상이고,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상이고, 상기 에리스리톨 및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에리스리톨: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40: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180040563A 2017-04-06 2018-04-06 치약 조성물 KR102563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4933 2017-04-06
KR1020170044933 201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471A true KR20180113471A (ko) 2018-10-16
KR102563328B1 KR102563328B1 (ko) 2023-08-03

Family

ID=6413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63A KR102563328B1 (ko) 2017-04-06 2018-04-06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5974A1 (ja) * 2018-12-04 2020-06-11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KR20210054314A (ko) 2019-11-05 2021-05-13 (주)아모레퍼시픽 구강 청결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872A (ja) * 2002-12-12 2004-07-22 Kao Corp 口臭成分洗浄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口腔用組成物、チューインガム及び口中清涼菓子
JP2007045796A (ja) * 2005-08-12 2007-02-22 Kao Corp 口腔用固形製剤
JP2007070260A (ja) * 2005-09-05 2007-03-22 Kao Corp 歯磨き組成物
KR101019873B1 (ko) 2005-11-29 2011-03-0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치약 조성물
JP2014125443A (ja) * 2012-12-26 2014-07-07 Kao Corp 口腔用組成物
KR20150057734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분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872A (ja) * 2002-12-12 2004-07-22 Kao Corp 口臭成分洗浄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口腔用組成物、チューインガム及び口中清涼菓子
JP2007045796A (ja) * 2005-08-12 2007-02-22 Kao Corp 口腔用固形製剤
JP2007070260A (ja) * 2005-09-05 2007-03-22 Kao Corp 歯磨き組成物
KR101019873B1 (ko) 2005-11-29 2011-03-0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치약 조성물
JP2014125443A (ja) * 2012-12-26 2014-07-07 Kao Corp 口腔用組成物
KR20150057734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분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5974A1 (ja) * 2018-12-04 2020-06-11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KR20210054314A (ko) 2019-11-05 2021-05-13 (주)아모레퍼시픽 구강 청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328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77573B2 (en)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zinc amino acid halides
JP2011510981A (ja) 口腔ケア計画
TWI446931B (zh) 包含非離子及兩性離子界面活性劑之組成物
EP0782437B1 (en) Oral compositions
EP0697855A1 (en) Oral compositions
KR20180073612A (ko) 구강 관리 제품 및 방법
KR102563328B1 (ko) 치약 조성물
AU2016367080B2 (en) Metal amino acid complexes for bacterial aggregation
AU2019403912B2 (en) Dentifrice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stannous fluoride
KR102406001B1 (ko) 치석 형성 억제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JP2013151473A (ja) 口腔用組成物
JPS6123768B2 (ko)
TW201534340A (zh) 口腔護理組成物及方法(一)
JP3753868B2 (ja) 口腔用組成物
EP4171759A1 (en) Or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brasives and cocamidopropyl betaine
KR101013803B1 (ko) 치석 형성 방지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KR20150057734A (ko) 목분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WO2018221609A1 (ja) 歯磨剤組成物
KR101497061B1 (ko) 구강 세정 조성물
KR20180114338A (ko)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GB2413493A (en) Oral hygiene composition
JPS63246316A (ja) 口腔用組成物
JP2004149490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