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873B1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873B1
KR101019873B1 KR1020087012810A KR20087012810A KR101019873B1 KR 101019873 B1 KR101019873 B1 KR 101019873B1 KR 1020087012810 A KR1020087012810 A KR 1020087012810A KR 20087012810 A KR20087012810 A KR 20087012810A KR 101019873 B1 KR101019873 B1 KR 10101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composition
abrasive
pcr
ag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867A (ko
Inventor
윌리암 마이클 그랜도르프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6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및 pH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강 표면의 화학적 세정을 제공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구강 표면의 부드러운 세정을 제공할 수 있다.
치약,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연마제, 플루오라이드, 담체

Description

치약 조성물{DENTIFRICE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강 표면의 화학적 세정을 제공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인간 또는 동물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만족스러운 치약 조성물은 잔해(debris)를 구강 표면, 특히 경조직 표면, 예를 들어 치아로부터 세정 및 제거한다. 이러한 세정은 충치를 예방하여 치은 건강 촉진을 돕는다.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에서 연마제는 펠리클 피막(pellicle film)의 제거를 돕는다. 이러한 피막은 일반적으로 얇은 비세포성, 당단백질-점성단백질(mucoprotein)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은 치아 세정 후 수분 이내에 에나멜질에 부착된다. 상기 피막 내에 박힌 다양한 식품 색소의 존재가 대부분의 경우의 치아 변색의 원인이 된다.
게다가, 플라크 방지제(antiplaque agent)(들)가 치약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플라크 방지제(들)는 펠리클 세정 이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치아 플라크의 형성은 치아 우식, 치은 및 치주 질환, 및 치아 상실의 일차적 원인이다. 플라크 는 박테리아, 상피 세포, 백혈구, 대식 세포 및 기타 구강 분비물의 혼합된 매트릭스이다. 플라크와 관련된 박테리아는 잇몸을 자극하여 염증성 치은염을 야기할 수 있는 효소 및 내독소를 분비할 수 있다. 잇몸이 이 과정에 의해 점점 자극을 받게 됨에 따라, 잇몸은 출혈되는 경향이 있고, 그의 강인성 및 복원성을 상실하며, 치아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는 치주낭으로 이어지고, 치주낭은 다시 추가의 잔해의 축적, 분비, 및 보다 많은 박테리아/독소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결국 구강의 경조직 및 연조직 둘 모두의 파괴에 이르게 된다.
구강을 세정하고 플라크 및 구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미국 특허 제3,696,191호, 미국 특허 제3,991,177호, 미국 특허 제4,058,595호, 미국 특허 제4,115,546호, 미국 특허 제4,138,476호, 미국 특허 제4,140,758호, 미국 특허 제4,154,815호, 미국 특허 제4,737,359호, 미국 특허 제4,986,981호, 미국 특허 제4,992,420호, 미국 특허 제5,000,939호, 미국 특허 제4,652,444호, 미국 특허 제4,725,428호, 미국 특허 제4,355,022호, 미국 특허 출원 제02/105,898호, 미국 특허 출원 제03/128,313호, 미국 특허 출원 제03/223,209호, 및 국제특허 공개 WO 86/02831호에 기재되어 있다.
펠리클 세정 및 플라크 제거 활성용 조성물과 관련된 많은 개시 내용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연마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며, 그럼으로써 구강 표면을 부드럽게 세정하면서 펠리클 세정 및 플라크 제거 활성을 제공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낮은 수준의 연마제를 유지하거나 사실상 연마제가 없으면서 킬레이트제, 계면활성 제 및 pH의 조합을 이용하여 화학적 세정성을 전달하는 구강 치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구강 표면을 부드럽게 세정하는 것 외에, 이 조성물은 착향제 및 세정 첨가제의 수준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착향 및 세정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카와 같은 연마제가 흔히 이들 첨가제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구강 케어 담체,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 2.5% 이상의 킬레이팅제, 및 0.5% 내지 5%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치약 조성물은 pH가 8 이상이고, PCR이 20 이상이며, 상기 PCR 값의 10% 초과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구강 케어 담체,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의 연마제, 플루오라이드, 2.5% 내지 15%의 킬레이팅제, 및 1% 내지 3%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며, pH가 약 8 이상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PCR이 20 이상이고, 상기 PCR값의 20% 초과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5%의 연마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킬레이팅제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은 치아 침식(erosion)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A.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강용 활성제"라는 용어는 구강 내에서 미용 효과, 예방 효과 또는 치료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아"라는 용어는 자연 치아, 의치, 의치상(dental plates), 충전재(fillings), 치관(caps), 크라운(crowns), 브리지(bridges), 치과용 임플란트 등과, 구강 내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고정된 임의의 기타 경질 표면의 치과용 보철물을 포함하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치료될 병을 유의하게 개선시키기에 충분히 많지만, 합리적인 의학적/치과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합리적인 효과/위험의 비로) 심한 부작용을 회피하기에 충분히 적은 제제(예를 들어, 치석 방지제)의 양을 의미한다. 제제(예를 들어, 치석 방지제)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치료할 특정 병, 치료할 환자의 연령 및 신체 조건, 병의 중증도, 치료 지속 기간, 수반되는 요법의 성질, 이용되는 공급원의 특정 형태, 및 제제가 적용되게 하는 특정 비히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약" 또는 "치약 조성물"은 구강 표면의 세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페이스트, 파우더, 치아용 젤 및/또는 액상 제형을 의미한다. 치약은 치료제의 전신 투여의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삼켜지지는 않지만, 구강 활성의 목적으로 사실상 전부의 치아 표면 및/또는 점막 조직과 접촉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구강 내에서 보유되는 구강용 조성물이다. 게다가, 치약은 의도적으로 삼켜질 수도 있지만, 치료제의 전신 투여의 목적으로 삼켜질 수는 없는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강 병"은 우식, 플라크, 구취, 치아 침식, 치은염, 및 치주 질환을 비롯한 구강의 질환 또는 병을 의미한다. 구강 병은 2002년 1월 10일에 공개된 피앤지(P&G)의 국제특허 공개 WO 02/02096A2호에 더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아 표면" 또는 "치아들 표면"은 패인 곳, 틈, 교합 표면, 균열, 틈새, 홈, 함몰부, 공간, 불규칙부, 치아 사이 및/또는 치은선을 따라 존재하는 인접 치간 표면, 치아의 평활면, 및/또는 치아의 마멸 표면 또는 물림(biting) 표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신 건강"은 심혈관 질환, 뇌졸중, 당뇨병, 중증 호흡기 감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신경/발육 기능에 있어서의 산후 기능부전을 포함함), 및 관련된 사망 위험 증가를 포함하는 주요 전신 질환 및 병의 발병 위험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인 전신 건강을 의미한다. 구강 감염이 전신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여겨진다. 박테리아는 입으로부터 혈류와 신체의 다른 부분 내로 퍼져 나가고, 그럼으로써 사람의 건강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구강 감염은 심장 질환, 당뇨병, 호흡기 질환 및 조산, 체중 미달아 출산을 포함하는 다수의 심각한 병의 발병에 기여할 수도 있다. 구강 감염의 치료에 의한 전신 건강 및 그의 촉진은 국제특허 공개 WO 02/02063A2호, 국제특허 공개 WO 02/02096A2호, 국제특허 공개 WO 02/02128A2호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국제특허 공개 전부는 2002년 1월 10일자로 공개되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든 백분율 및 비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 기준이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측정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5℃에서 행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언급된 성분의 모든 백분율, 비 및 수준은 성분의 실제 양을 기준으로 하며, 용매, 충전물 또는 구매가능한 제품으로 성분과 조합될 수도 있는 기타 물질은 포함하지 않는다.
B. 저 연마제 화학적 세정 시스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의해 전달되는 상당한 부분의 세정성은 치약 조성물의 연마 성분에 기인하는 물리적 연마(이하, "연마 세정")라기보다는 오히려 화학물질의 작용(이하, "화학적 세정")에 기인한다. 이러한 화학적 세정은 치아 상의 플라크 및 생물막(biofilm) 침착물을 유연화시켜 이들 침착물이 보다 용이하게 칫솔질로 제거되게 한다. 이는 칫솔질을 이용한, 또는 칫솔질과 최소 수준의 실리카와 같은 연마 성분의 첨가를 이용한 침착물들의 제거로 이어진다. 화학적 세정성은 킬레이트제 수준, 계면활성제 수준, 및 pH 및/또는 킬레이팅 계면활성제 및 pH의 사용을 통하여 전달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또는 치약 조성물에 사실상 연마제가 없게 유지하면서 전통적인 수준의 연마제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초과의 연마제)를 갖는 치약 조성물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인 세정성을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마제의 낮은 수준이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0%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마제가 사실상 없다는 것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5%이다. 낮은 수준의 연마제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또는 사실상 연마제가 없는 치약 조성물은 구강 표면의 마모 또는 스크래칭(scratching)을 최소화하면서 이들 구강 표면을 부드럽게 세정한다. 구강 표면을 부드럽게 세정하는 것 외에, 치약 조성물 중 연마제의 수준의 최소화는 원하는 효과의 전달에 필요한 다른 성분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와 같은 연마제는 착향 성분, 플루오라이드 및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이하, "CPC")와의 상용성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치약 조성물 중 연마제의 수준의 최소화는 착향제 및 CPC의 영향을 최대화하고, 플루오라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단지 최소량의 연마제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화학적 세정은 치아 침식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 있는 과도한 치아 마손을 비롯한 과도한 치아 마손에 대한 보호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적 세정은 임의의 치아 침식을 최소화할 것이다. 치아 침식은 가혹하거나 위험한 연마제 및/또는 산, 예를 들어 산성 음료 및 쥬스의 작용에 의한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치아 물질의 영구적 상실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낮은 수준의 연마제를 가지거나, 사실상 연마제가 없으면서 여전히 필요한 세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낮은 수준의 연마제는 과도한 치아 마손으로부터의 치아의 보호를 돕고 임의의 치아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치약 조성물의 사용에 기인하는 세정력은, 펠리클 세정 비 시험(pellicle cleaning ratio test) - 이하, "PCR" - 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사용에 기인하는 구강 세정성은 치약 조성물의 화학적 특성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특히, 상기 화학적 특성은 펠리클 피막의 제거를 도울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피막 제거는 치약 조성물에 함유될 수도 있는 연마제의 성과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형태에서 약 10% 내지 약 100%의 PCR 값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며, 약 90% 미만의 PCR 값은 연마 세정에 기인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15% 내지 약 100%의 PCR 값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며, 약 85% 미만의 PCR 값은 연마 세정에 기인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20% 내지 약 100%의 PCR 값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며, 약 80% 미만의 PCR 값은 연마 세정에 기인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25% 내지 약 100%의 PCR 값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며, 약 75% 미만의 PCR 값은 연마 세정에 기인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50% 내지 약 100%의 PCR 값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며, 약 50% 미만의 PCR 값은 연마 세정에 기인한다. 환언하면, 약 10% 내지 약 75%의 세정은 화학적 세정이며, 약 0 내지 약 75%의 세정은 연마 세정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10% 내지 약 50%의 세정은 화학적 세정이며,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10% 내지 약 25%의 세정은 화학적 세정이고,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15% 내지 약 50%의 세정은 화학적 세정이며,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20% 내지 약 50%의 세정은 화학적 세정이다.
PCR (펠리클 세정 비) 세정 값은 문헌["In Vitro Removal of Stain With Dentifrice", G. K. Stookey, T.A. Burkhard and B. R. Schemerhorn, J. Dental Research, 61, 1236-9, 1982]에 기재되어 있는 PCR 시험을 약간 변경한 변형법으로 측정한다. 세정력은 변경된 펠리클 세정 비 시험의 이용에 의해 시험관 내에서 평가한다. 이 시험은 스투키(Stookey) 등에 의해 설명된 시험을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과 동일하다: (1) 투명한 인공 펠리클 피막을 소의 칩에 도포한 후 착색된 피막을 도포하고, (2) 피막 도포 동안 방사 가열보다는 오히려 용액 가열을 사용하며, (3) 칫솔 스트로크(stroke) 횟수를 1000 스트로크로 감소시키고, (4) 슬러리 농축물은 3부의 물에 대하여 1부의 치약이다.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PCR 값의 백분율 대 연마 세정에 기인하는 PCR 값의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용액 형태의 치약 조성물과, 연마제가 제거된 용액 형태의 치약 조성물 둘 모두를 이용하여 PCR 시험을 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용어 "연마제"는 치약 조성물을 물을 이용하여 3:1로 희석시키고, 교반시키고, 원심분리 튜브에 넣고, 1047.2 rad/s(10,000 rpm)에서 실온 ± 5℃에서 15분 동안 회전시킬 때 원심분리 튜브의 기저부에 침강하는 치약 조성물의 임의의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의 기저부에 침강하는 "펠렛"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치약 조성물의 연마제이다. 물로 3:1로 희석시킨 치약 조성물(이하, "희석된 치약 조성물") 및 물로 3:1로 희석시킨 치약 조성물의 원심분리로부터 생기는 상청액(이하, "상청액") (펠렛 위의 현탁된 용액)을 이용하여 PCR 시험을 한다.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PCR의 백분율은 하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상청액의 PCR / 희석된 치약 조성물의 PCR) x 100 = 화학적 세정에 기인한 PCR 값 %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약 0.5% 내지 약 5%), 킬레이팅제 (약 2.5% 내지 약 15%)를 함유하며, 하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도 있다: 플라크 또는 착색물 특이성 용제 (약 0.001% 내지 약 10%), 증점화제 (약 0.1% 내지 약 5%), 습윤제 (약 10% 내지 약 55%), 감미제 (약 0.1% 내지 약 3%), 착향제 (약 0.001% 내지 약 10%), 착색제 (약 0.01% 내지 약 0.5%), 연마제 (약 0% 내지 약 10%) 및 물 (약 2% 내지 약 45%). 그러한 치약 조성물은 또한 추가의 우식 방지제(약 0.05% 내지 약 10%의 추가의 우식 방지제) 및 치석 방지제(약 0.1% 내지 약 13%)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도 있다. 물론, 치분은 사실상 전부가 비-액상인 성분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적합한 담체가 미국 특허 제5,198,220호 및 미국 특허 제5,242,910호에 개시되어 있다.
1. 킬레이트제
킬레이팅제는 타르타르산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시트르산 및 알칼리 금속 시트르산염과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킬레이팅제는 박테리아의 세포벽 내에서 발견된 칼슘을 착화시킬 수 있다. 킬레이팅제는 또한 바이오매스(biomass)를 온전하게 유지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칼슘 브리지로부터 칼슘을 제거함으로써 플라크를 분해할 수 있다. 그러나 칼슘에 대한 친화도가 너무 높은 킬레이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치아가 탈미네랄화되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의도에 상반된다.
치약 조성물의 일 실시 형태에서, 킬레이트제 알칼리 금속 시트르산염은 시트르산칼륨 또는 시트르산나트륨 및/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킬레이트제는 시트르산/알칼리 금속 시트르산염의 조합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타르타르산의 알칼리 금속 염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주석산2나트륨, 주석산2칼륨, 주석산칼륨나트륨, 주석산수소나트륨 및 주석산수소칼륨을 함유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수준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내지 약 15%이며,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수준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0%이고,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킬레이팅제는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4% 내지 약 7%이며,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킬레이팅제는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3, 4, 5, 6, 7, 8, 9, 10, 11, 12, 13, 14%로부터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까지, 및 임의의 그 조합이다. 타르타르산 염 킬레이팅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킬레이팅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타 킬레이팅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킬레이팅제는 약 101 내지 105의 칼슘 결합 상수를 가지며, 플라크 및 치석 형성이 감소되게 하고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킬레이팅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제의 다른 군으로는 가용성 파이로포스페이트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파이로포스페이트 염은 임의의 알칼리 금속 파이로포스페이트 염 및/또는 임의의 그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염은 테트라 알칼리 금속 파이로포스페이트, 다이알칼리 금속 2산 파이로포스페이트, 트라이알칼리 금속 1산 파이로포스페이트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 또는 칼륨일 수 있다. 염은 그의 수화 및 비수화 형태 둘 모두로 유용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파이로포스페이트 염의 유효량은 약 1.0% 이상의 파이로포스페이트 이온,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5% 내지 약 6%,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3.5% 내지 약 6%의 그러한 이온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파이로포스페이트 이온의 수준은 조성물에 제공될 수 있는 수준(즉, 적절한 pH에서의 이론량)이고, P2O7-4(예를 들어, HP2O7-3) 이외의 파이로포스페이트 형태가 최종 생성물의 pH의 확립시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파이로포스페이트 염은 문헌[Kirk & 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Second Edition, Volume 15, Interscience Publishers (1968)]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또 다른 가능한 군은 음이온성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이다. 그러한 물질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유리산,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화된 수용성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칼륨 및 나트륨) 또는 암모늄 염의 형태로 이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킬레이팅제는 1:4 내지 4:1의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과 다른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며, 이는 분자량(M.W.)이 약 30,000 내지 약 1,000,000인 메틸 비닐 에테르(메톡시에틸렌)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지에이에프 케미칼스 코포레이션(GAF Chemicals Corporation)의 간트레즈(Gantrez) AN 139 (M.W. 500,000), AN 119 (M.W. 250,000), 및 S-97 의약품 등급(M.W. 70,000)으로 입수가능하다.
다른 작용성(operative)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또는 에틸렌의 1:1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과 메틸 또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 비닐 에테르 또는 N-비닐-2-피롤리돈의 1:1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렌의 1:1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몬산토(Monsanto) EMA No. 1103 (M.W. 10,000) 및 EMA 등급 61로서 입수가능하다.
추가의 작용성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미국 특허 제4,138,477호 및 미국 특허 제4,183,91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말레산 무수물과 스티렌, 아이소부틸렌 또는 에틸 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산, 폴리이타콘산 및 폴리말레산, 및 유니로얄(Uniroyal) ND-2로 입수가능하며 그 분자량이 1,000 정도로 작은 설포아크릴 올리고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2. 계면활성제
원하는 세정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수준이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5%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계면활성제 수준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가 약 1% 내지 약 3%이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합리적으로 안정하며 광범한 pH 범위 전반에 걸쳐 폼(foam)을 형성하는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양이온성, 쯔비터이온성, 합성 세제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수의 적합한 비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미국 특허 제3,988,433호; 및 미국 특허 제4,051,23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다수의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미국 특허 제3,959,4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킬레이팅 특성을 갖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적합한 킬레이팅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포스포네이트 기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는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5/015393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2,2-다이포스포노-5-하이드록시-3-옥사-6-헥실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6-트라이메틸암모뉴헥실-1,1-비스포스폰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 킬레이팅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계면활성제 기능 및/또는 킬레이팅제 기능 둘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킬레이팅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의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기존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킬레이팅제와 조합되어 치약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거나, 전부 또는 일부분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킬레이팅제의 대체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3. pH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개시된 치약 조성물의 pH의 범위는 약 6.5 내지 약 10이며,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이 pH는 약 8 내지 약 10이고,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이 pH는 약 8이다.
4. 플루오라이드 이온
본 발명은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플루오라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수용성)을 포함한다. 플루오라이드 이온은, 우식 방지 유효성을 제공하도록, 25℃에서 조성물 중 플루오라이드 이온의 농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고/하거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02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0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매우 다양한 플루오라이드 이온 생성 물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가용성 플루오라이드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플루오라이드 이온 생성 물질의 예가 미국 특허 제3,535,421호 및 미국 특허 제3,678,154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표적인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은 플루오르화주석, 플루오르화나트륨, 플루오르화칼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및 다수의 기타의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플루오르화주석 또는 플루오르화나트륨과, 그 혼합물을 함유한다.
5. 선택 성분
a. 치약용 담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제조에 적합한 담체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의 선택은 맛, 비용 및 저장 안정성 등과 같은 이차적 고려 사항에 의존적일 것이다. 치약용 담체는, 미국 특허 제3,988,4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연마재, 계면활성제, 결합제, 습윤제, 착향제 및 감미제 등) 크림형 치약, 치아용 젤, 저작성 정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b. 연마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낮은 수준의 연마제를 함유하거나 연마제가 사실상 없을 수 있다. 선택되는 물질은 관심있는 치약 조성물 내에서 양립할 수 있어야 하며, 상아질을 과도하게 마모시키지 않는다. 존재할 경우, 적합한 연마제는 예를 들어 젤 및 침전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불용성 폴리메타인산나트륨, 수화된 알루미나, 탄산칼슘, 오르토인산2칼슘 이수화물, 파이로인산칼슘, 인산3칼슘, 폴리메타인산칼슘 및 수지성 연마재, 예를 들어 우레아와 포름알데히드의 미립자형 축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연마제 부류로는 미국 특허 제3,070,510호에 개시되어 있는 미립자형 열 경화 중합 수지가 있다. 적합한 수지의 예로는 멜라민, 페놀, 우레아, 멜라민-우레아,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 가교 결합된 에폭사이드 및 가교 결합된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연마제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유형의 실리카 치과용 연마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치아 에나멜질 또는 상아질의 과도한 마모가 없는 뛰어난 치아 세정 및 폴리싱 성능이라는 이들의 특유한 효과 때문이다. 다른 연마제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리카 연마 폴리싱 물질은 평균 입자 크기의 범위가 약 0.1 내지 약 30 미크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5 내지 약 15 미크론일 수 있다. 연마제는 침강 실리카 또는 실리카 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538,230호 및 미국 특허 제3,862,307호에 개시되어 있는 실리카 크세로겔(xerogel)일 수 있다. 적합한 실리카 크세로겔은 더블유.알. 그레이스 앤드 컴퍼니, 데이비슨 케미칼 디비젼(W.R. Grace & Company, Davison Chemical Division)으로부터 상표명 "실로이드"(Syloid)로 시판되고 있는 실리카 크세로겔이다. 또한, 침강 실리카 물질, 예를 들어, 제이.엠. 후버 코포레이션(J. M. Huber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제오덴트(Zeodent)(등록상표)로 시판되는 것;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표명 제오덴트 109(등록상표)를 지니는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림형 치약에 유용한 실리카 치과용 연마제의 유형이 미국 특허 제4,340,583호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적합한 침강 실리카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5,603,920호; 미국 특허 제5,589,160호; 미국 특허 제5,658,553호; 미국 특허 제5,651,958호; 및 미국 특허 제6,740,311호에 개시된 실리카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치약 조성물 중 연마제는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연마제가 약 0% 내지 약 10%로 존재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5%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10%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내지 약 5%의 연마제를 함유하며,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3%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치약 조성물은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0.1, 0.5, 1, 2, 2.5, 3, 4, 5, 6, 7, 8, 9% 초과, 그리고 약 10, 9, 8, 7, 6, 5, 4, 3, 2, 1% 미만의 연마제를 함유한다.
c. 플라크 또는 착색물 특이성 용제
화학적 세정 시스템의 세정성은 구강 내의 오염물(soil)에 특이적인 용제를 이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한 용제의 예에는 리모넨, PVP 및 교번 공중합체, 모노에탄올아민, 1-펜탄올 및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2005년 9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1/217,274호에 개시된 것들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 증점화제
크림형 치약 또는 젤의 제조에 있어서, 치약 조성물의 바람직한 경도(consistency), 사용시에 바람직한 방출 특성, 저장 안정성 및 치약 조성물의 안정성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증점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합한 증점화제로는 카복시비닐 중합체, 카라기난(carrageenan),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라포나이트 및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수용성 염, 예컨대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 카복시메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가 있다. 천연 고무, 예컨대 카라야 고무, 잔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 및 트래거캔스 고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콜로이드성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또는 미세 분리된 실리카가 텍스처(texture)를 더 개선시키기 위한 증점화제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증점화제는, 중합체성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제외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분자량: 300 내지 1,000,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1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아실 기로 캡핑되어 있다(capped).
적합한 증점화제 또는 젤화제 부류에는 펜타에리트리톨의 알킬 에테르 또는 수크로스의 알킬 에테르와 가교 결합된 아크릴산의 단일중합체 또는 카보머 부류가 포함된다. 카보머는 비.에프. 굿리치(B.F. Goodrich)로부터 카보폴(Carbopol(등록상표)) 시리즈로 시판되고 있다. 특히, 카보폴에는 카보폴 934, 940, 941, 956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수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20,000 범위인 공중합체인 락티드 및 글리콜리드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치은하용 젤 담체"로서 치주낭 내로의 또는 그 주위로의 활성제의 전달에 유용하다. 이들 중합체는 미국 특허 제5,198,220호; 미국 특허 제5,242,910호; 및 미국 특허 제4,443,4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체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5%, 또는 약 0.2% 내지 약 6%,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4% 내지 약 5%의 양의 증점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e. 습윤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국소 구강용 담체의 다른 선택 성분은 습윤제이다. 습윤제는 치약 조성물이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 조성물이 구강에 촉촉한 느낌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특정 습윤제의 경우 치약 조성물에 대해 바람직한 단맛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습윤제는 순수 습윤제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7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5% 내지 약 25%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습윤제는 식용 다가 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린, 소르비톨, 자일리톨,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특히 소르비톨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f. 감미제
사용될 수 있는 감미제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사카린, 아스파탐, 덱스트로스, 레불로스, 락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프룩토스, 말토스, 자일리톨, 사카린 염, 타우마틴, 아스파탐, D-트립토판, 다이하이드로칼콘, 아세설팜 및 시클라메이트 염, 특히 소듐 시클라메이트 및 소듐 사카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1%의 이들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감미제 이외에도, 청량제(coolant), 타액 분비제(salivating agent), 가온제(warming agent) 및 마비제(numbing agent)가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선택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치약 조성물에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1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1%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청량제는 아주 다양한 물질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물질 중에는 카복스아미드, 멘톨, 케탈, 다이올 및 그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 적합한 청량제는 파라멘탄 카복시아미드 제제, 예를 들어 "WS-3"으로 상용으로 공지된 N-에틸-p-멘탄-3-카복스아미드, "WS-23"으로 공지된 N,2,3-트라이메틸-2-아이소프로필부탄아미드,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의 청량제는 멘톨, 타카사고(Takasago) 제품 TK-10으로 알려진 3-1-멘톡시프로판-1,2-디올, 하르만 앤드 라이머(Haarmann and Reimer) 제품 MGA로 알려진 멘톤 글리세롤 아세탈, 및 하르만 앤드 라이머 제품 프레스콜라트(Frescolat)(등록상표)로 알려진 멘틸 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멘톨 및 멘틸이라는 용어는 상기 화합물의 우회전성 및 좌회전성 이성질체와 이들의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한다. TK-10은 미국 특허 제4,459,425호에 개시되어 있다. WS-3 및 기타 제제는 미국 특허 제4,136,1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타액 분비제로는 타카사고 제품 잠부(Jambu(등록상표))가 포함된다. 적합한 가온제로는 캅시컴 및 니코티네이트 에스테르, 예를 들어, 벤질 니코티네이트가 포함된다. 적합한 마비제에는 벤조카인, 리도카인, 정향싹유 및 에탄올이 포함된다.
g. 착향제
적합한 착향제 또는 착향제 조성물이 치약 조성물에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착향제는 동록유(oil of wintergreen), 정향싹유(clove bud oil), 멘톨, 아네톨,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칼립톨, 계피, 1-멘틸 아세테이트, 세이지(sage), 유제놀, 파슬리유, 옥사논, 알파-이리손, 마조람(marjoram), 레몬, 오렌지, 프로페닐 구아에톨, 신나몬, 바닐린, 에틸 바닐린,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e), 4-시스-헵텐알, 다이아세틸, 메틸-파라-tert-부틸 페닐 아세테이트, 초콜릿, 녹차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착향제 조성물은 오렌지, 레몬, 신나몬, 양박하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청량제가 또한 착향제 조성물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착향제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 중에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약 0.001% 내지 약 10%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착향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내지 약 3 중량%,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식물, 특히 초목(plants) 유래의 기타 추출물이 첨가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는 포도, 석류 및 크랜베리(cranberry)가 포함된다. 이 추출물, 착향제, 청량제, 타액 분비제, 점착 방지제, 플라크 방지제, 혀 코팅제(tongue coating agent) 및 기타 첨가제가 청결하거나 매끄러운 치아 느낌 또는 인상에 기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h. 화장품용 또는 치료용 활성제
본 치약 조성물은 적합한 화장품용 및/또는 치료용 활성제를 또한 함유할 수도 있다. 그러한 활성제는 일반적으로 구강에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고 간주되며 구강의 전체적인 외양 및/또는 건강에 변화를 제공하는, 치석 방지제,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 주석 이온 공급원, 미백제, 항미생물제, 플라크 방지제, 소염제, 영양제, 산화방지제, 항바이러스제, 진통 및 마취제, H-2 길항제, 치아에 청결한 느낌을 부여하는 성분, 안료 및 착색제, 방향제 및 센세이트(sensates)와 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한다. 존재할 경우, 치약 조성물 중의 화장품용 및/또는 치료용 활성제의 수준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01% 내지 약 9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1% 내지 약 5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30%이다.
하기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활성제의 비제한적 목록이다.
1) 치석 방지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치석 방지제를 또한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치석 방지제는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약 50%로 존재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5% 내지 약 25%이며,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15%이다. 치석 방지제는 폴리포스페이트 (파이로포스페이트를 포함함 및 그 염; 폴리아미노 프로판 설폰산(AMPS) 및 그 염; 폴리올레핀 설포네이트 및 그 염; 폴리비닐 포스페이트 및 그 염; 폴리올레핀 포스페이트 및 그 염; 다이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포스포노알칸 카복실산 및 그 염; 폴리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폴리비닐 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폴리올레핀 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 폴리펩티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염은 알칼리 금속염이다. 폴리포스페이트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수용성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칼륨, 나트륨, 암모늄 염 및 그의 혼합물로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기 폴리포스페이트 염은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나트륨) 트라이폴리포스페이트,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 다이알킬 금속(예를 들어, 다이소듐) 이산, 트라이알킬 금속(예를 들어, 트라이소듐) 일산, 인산수소칼륨, 인산수소나트륨 및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와,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테트라폴리포스페이트보다 큰 폴리포스페이트는 일반적으로 비정질의 유리질 물질로 나타난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포스페이트는 에프엠씨 코포레이션(FMC Corporation)으로부터 제조되며 소다포스(Sodaphos)(n6), 헥사포스(Hexaphos)(n13), 및 글래스(Glass) H(n21, 헥사메타인산나트륨)로서 상용으로 공지된 것과, 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파이로포스페이트 염은 알칼리 금속 파이로포스페이트, 다이-, 트라이-, 및 모노-포타슘 또는 소듐 파이로포스페이트, 다이알칼리 금속 파이로포스페이트 염, 테트라알칼리 금속 파이로포스페이트 염,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파이로포스페이트 염은 파이로인산삼나트륨, 파이로인산이수소이나트륨(Na2H2P2O7), 파이로인산이칼륨, 파이로인산사나트륨(Na4P2O7), 파이로인산사칼륨(K4P2O7),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올레핀 설포네이트는 올레핀 기가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 및 그 염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포스포네이트는 올레핀 기가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비닐포스포네이트는 폴리비닐포스폰산을 포함한다. 다이포스포네이트 및 그 염은 아조사이클로알칸-2,2-다이포스폰산 및 그 염, 아조사이클로알칸-2,2-다이포스폰산 및 그 염의 이온, 아자사이클로헥산-2,2-다이포스폰산, 아자사이클로펜탄-2,2-다이포스폰산, N-메틸-아자사이클로펜탄-2,3-다이포스폰산, EHDP(에탄-1-하이드록시-1,1,-다이포스폰산), AHP (아자사이클로헵탄-2,2-다이포스폰산), 에탄-1-아미노-1,1-다이포스포네이트, 다이클로로메탄-다이포스포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포스포노알칸 카복실산 또는 그의 알칼리 금속 염은 각각 산 또는 알칼리 금속 염으로서 PPTA(포스포노프로판 트라이카복실산), PBTA(포스포노부탄-1,2,4-트라이카복실산)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포스페이트는 올레핀 기가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폴리펩티드는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한다.
2) 주석 이온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주석 이온 공급원을 함유할 수도 있다. 주석 이온은 플루오르화주석 및/또는 기타 주석 염으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플루오르화주석은 치은염, 플라크, 민감성의 감소, 및 입냄새 상의 효과 개선을 돕는 것으로 밝혀졌다. 치약 조성물에 제공된 주석 이온은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는 대상에게 효능을 제공할 것이다. 효능이 치은염 감소 이외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지만, 효능은 두드러진 원위치(in situ) 플라크 대사 작용 감소 양으로서 정의된다. 그러한 효능을 제공하는 제형은 전형적으로 플루오르화주석 및/또는 기타 주석 염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치약 조성물 중 약 3,000 ppm 내지 약 15,000 ppm의 주석 이온의 범위의 주석 수준을 포함한다. 주석 이온은 약 4,000 ppm 내지 약 12,000 ppm,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5,000 ppm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기타 주석 염에는 유기 카복실산주석, 예를 들어, 아세트산주석, 글루콘산주석, 옥살산주석, 말론산주석, 시트르산주석, 주석 에틸렌 글리콕사이드, 포름산주석, 황산주석, 락트산주석, 주석산주석 등이 포함된다.다른 주석 이온 공급원은, 주석 할로겐화물, 예를 들어, 염화주석, 브롬화주석, 요오드화주석 및 염화주석 이수화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주석 이온 공급원은 플루오르화주석이며,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염화주석 이수화물이다. 조합된 주석 염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11%의 양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주석 염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1% 내지 약 7%,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5%,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5% 내지 약 3%의 양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3) 미백제
미백제가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에 활성제로서 함유될 수도 있다. 미백에 적합한 활성제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과산화물, 금속 아염소산염, 일수화물 및 사수화물을 포함하는 과붕산염, 과인산염, 과탄산염, 퍼옥시산, 및 과황산염, 예를 들어,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및 과황산리튬과,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과산화물 화합물은 과산화수소, 과산화우레아, 과산화칼슘,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아연, 과산화스트론튬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과산화물 화합물은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이다. 적합한 금속 아염소산염에는 아염소산칼슘, 아염소산바륨, 아염소산마그네슘, 아염소산리튬, 아염소산나트륨 및 아염소산칼륨이 포함된다. 추가의 미백 활성제는 하이포아염소산염 및 이산화염소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아염소산염은 아염소산나트륨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과탄산염은 과탄산나트륨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과황산염은 옥손이다. 상기 물질의 수준은 착색을 탈색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산소 또는 염소에 따라 각각 달라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미백제는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4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2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5% 내지 약 1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4% 내지 약 7%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4) 항미생물제
항미생물제가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도 있다. 그러한 제제는 하기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통 트라이클로산으로 지칭되는 5-클로로-2-(2,4-다이클로로페녹시)-페놀; 8-하이드록시퀴놀린 및 그 염; 염화구리(II), 황산구리(II), 아세트산구리(II), 플루오르화구리(II) 및 수산화구리(II)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구리 II 화합물; 마그네슘 모노포타슘 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4,994,262호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프탈산 및 그 염; 클로르헥시딘; 알렉시딘; 헥세티딘; 상귀나린;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살리실아닐리드; 도미펜 브로마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C); 테트라데실피리디늄 클로라이드(TPC); N-테트라데실-4-에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TDEPC); 옥테니딘; 요오드; 설폰아미드; 비스바이구아나이드; 페놀계 물질; 델모피놀, 옥타피놀 및 기타 피페리디노 유도체; 나이아신 제제; 아연 또는 주석 이온 제제; 니스타틴;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 추출물; 사과 추출물; 타임유; 티몰; 항생제, 예를 들어 오그멘틴, 아목시실린,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메트로니다졸, 네오마이신, 카나마이신,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및 클린다마이신; 상기의 유사체 및 염; 메틸 살리실레이트; 과산화수소; 클로라이트의 금속 염; 및 전부의 상기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미생물 성분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20%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항미생물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로 함유된다.
5) 플라크 방지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플라크 방지제, 예를 들어, 주석염, 구리염, 스트론튬염, 마그네슘염 또는 다이메티콘 코폴리올을 함유할 수도 있다. 다이메티콘 코폴리올은 C12 내지 C20의 알킬 다이메티콘 코폴리올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다이메티콘 코폴리올은 상표명 아빌(Abil) EM90으로 시판되는 세틸 다이메티콘 코폴리올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다이메티콘 코폴리올은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25%,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1% 내지 약 5%,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1.5%의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다.
6) 소염제
소염제도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제제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NSAID) agent)인 옥시캄, 살리실레이트, 프로피온산, 아세트산 및 페나메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NSAID는 케토로락, 플루르바이프로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인도메타신, 다이클로페낙, 에토도락, 인도메타신, 설린닥, 톨메틴, 케토프로펜, 페노프로펜, 피록시캄, 나부메톤, 아스피린, 다이플루니살, 메클로페나메이트, 메페남산, 옥시펜부타존, 페닐부타존 및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토로락과 같은 NSAID의 용도가 미국 특허 제5,626,838호에서 특허 청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구강 또는 구강 인두에 유효량의 NSAID를 국소 투여함으로써 구강 또는 구강 인두의 일차 및 재발성 편평 상피 세포 암종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방법이다. 적합한 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플룩시놀론, 및 하이드로코르티손을 포함한다.
7) 영양제
영양제는 구강 상태를 개선시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영양제는 미네랄, 비타민, 경구용 영양 보충제, 장용 영양 보충제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용한 미네랄은 칼슘, 인, 아연, 망간, 칼륨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타민은 미네랄과 함께 함유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은 비타민 C 및 D, 티아민, 리보플라빈, 판토텐산칼슘, 나이아신, 폴산, 니코틴아미드, 피리독신, 시아노코발아민, 파라-아미노벤조산,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구강 영양 보충제는 아미노산, 리포트로픽(lipotropics), 어유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아미노산은 L-트립토판, L-라이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좌선카르니틴 또는 L-카르니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포트로픽은 콜린, 이노시톨, 베타인,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유는 다량의 오메가-3 (N-3) 다중불포화 지방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을 포함한다. 장용 영양 보충제는 단백질 제품, 글루코스 중합체, 옥수수유, 잇꽃유, 중쇄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네랄, 비타민, 구강용 영양 보충제 및 장용 영양 보충제가 문헌[Drug Facts and Comparisons (loose leaf drug information service), Wolters Kluer Company, St. Louis, Mo., ⓒ1997, pps. 3-17 and 54-57]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8) 산화방지제
일반적으로 산화방지제가 치약 조성물에 유용한 것으로 인정된다. 산화방지제는 문헌[Cadenas and Packer, The Handbook of Antioxidants, ⓒ 1996 by Marcel Dekker, Inc.]과 같은 텍스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산화방지제는 비타민 E, 아스코르브산, 요산,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A,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허브계 산화방지제, 멜라토닌, 아미노인돌, 리포산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9) 진통 및 마취제
통증 방지제(anti-pain agent) 또는 탈감작제도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진통제는 중추 신경에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의식의 방해 또는 기타 감각 양식의 변경 없이 통증 역치를 상승시키는 제제이다. 그러한 제제는 하기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화스트론튬; 질산칼륨; 플루오르화나트륨; 질산나트륨; 아세트아닐리드; 펜아세틴; 아세르토판; 티오르판; 스피라돌린; 아스피린; 코데인; 테바인; 레보르페놀; 하이드로모르폰; 옥시모르폰; 페나조신; 펜타닐; 부프레노르핀; 부타파놀; 날부핀; 펜타조신; 천연 허브, 예를 들어 오배자(gall nut); 아사룸(Asarum); 쿠베빈(Cubebin); 갈랑가(Galanga); 스큐텔라리아(scutellaria); 리앙미안젠(Liangmianzhen); 및 바이지(Baizhi)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취제, 또는 국소 진통제,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 살리실산나트륨, 트롤아민 살리실레이트, 리도카인 및 벤조카인이 또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진통 활성제는 문헌[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Fourth Edition, Volume 2, Wiley-Interscience Publishers (1992), pp. 729-737]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10) H-1 및 H-2 길항제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제5,294,433호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선택적 H-1 및 H-2 길항제를 또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11) 안료 및 착색제
안료가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첨가되어, 치약 조성물이 실제 접촉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지시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이들 물질들은 치아의 색을 변경시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데에 적합할 수도 있다. 이 물질은 치아 표면에 도포시 치아 표면을 광 흡수 및/또는 반사 측면에서 개질하는 입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자는 이를 포함하는 필름이 치아(들)의 표면에 적용될 때 외관 상의 이득을 제공한다. 또한, 안료, 염료, 착색제 및 레이크가 첨가되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외양을 변경시켜 제품이 보다 더 소비자의 마음에 들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적절한 안료의 수준은 소비자에 의해 요망되는 특정 효과(impact)에 대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특히 어둡거나 착색된 치아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 치아의 색을 밝게 하기에 충분한 양의 안료가 사용된다. 반면에, 개개의 치아 또는 치아 상의 반점이 다른 치아의 색보다 밝을 경우, 치아를 어둡게 하는 안료가 유용할 수 있다. 안료 및 착색제의 수준은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20%,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0.01% 내지 약 15%,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10%의 범위일 수도 있다.
안료 및 착색제는 무기 백색 안료, 무기 착색 안료, 진주 광택제(pearling agents), 충전 분말 등을 포함하며, 일본 공개 특허 제9 [1997] -100215호를 참조한다. 구체예는 활석, 운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실리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적색 산화철, 갈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페릭 암모늄 페로시아나이드(ferric ammonium ferrocyanide),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메타크릴레이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실크 분말, 결정질 셀룰로오스, 전분, 티타네이트화 운모, 산화철 티타네이트화 운모, 비스무쓰 옥시클로라이드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안료 및 착색제는 이산화티타늄, 비스무쓰 옥시클로라이드, 산화아연, 오파틴트(Opatint) 디앤씨(D&C) 적색 27호, CI 16185:1 애시드(Acid) 27 레이크 E123, CI 14720:1카르모소이신 알루미늄 레이크(Carmosoisine Aluminum Lake) E122, 적색 7호 레이크, 또는 적색 30호 레이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12) 추가의 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추가의 활성제는 인슐린, 스테로이드, 허브 및 기타 초목 유래의 의약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치은염 방지제 또는 잇몸 케어제가 또한 함유될 수도 있다. 청결한 느낌을 치아에 부여하는 성분이 선택적으로 함유될 수도 있다. 이들 성분은 예를 들어 베이킹 소다(baking soda) 또는 글래스-H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치료법 형태에서, 상기에서 거명한 이들 제제의 조합이 최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항미생물제 및 소염제가 단일 치약 조성물에서 조합되어 조합된 유효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될 선택적 제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627,97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과 메틸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간트레즈(Gantrez))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합성 음이온성 중합체와, 예를 들어 폴리아미노 프로판 설폰산(AMPS), 시트르산아연 삼수화물, 폴리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트라이폴리포스페이트;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다이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EHDP; AHP),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폴리글루탐산), 및 그 혼합물과 같은 공지된 물질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본 치약 조성물은 중합체 담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682,722호 및 미국 특허 제6,589,512호와, 미국 특허 출원 제10/424,640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10/430,617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함유할 수 있다.
13)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염
본 발명은 또한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염은 수용성이며, 안정화되지 않는 한 수성계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베이킹 소다로도 공지된 중탄산나트륨이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염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약 0.5% 내지 약 30%,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5% 내지 약 15%,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0.5% 내지 약 5%의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염을 함유할 수도 있다.
i. 나머지 담체
상용으로 적합한 치약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이온 함량이 낮아야 하고 유기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물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로 함유된다. 이러한 양의 물은 소르비톨과 같은 기타 물질과 함께 도입되는 유리수 및 별도로 첨가되는 유리수를 포함한다.
이산화티타늄이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또한 첨가될 수도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불투명성을 부가하는 백색 분말이다. 이산화티타늄은 일반적으로 치약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된다. 이산화티타늄은 운모 코팅될 수도 있다.
기타 선택 제제는 유리 산 또는 부분적 또는 완전 중화 수용성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칼륨 및 나트륨) 또는 암모늄 염의 형태로 이용되는 합성 음이온성 중합체성 폴리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며, 이는 미국 특허 제4,152,420호; 미국 특허 제3,956,480호; 미국 특허 제4,138,477호; 미국 특허 제4,183,914호; 및 미국 특허 제4,906,4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공중합체는 1:4 내지 4:1의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과 다른 중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특히, 메틸 비닐 에테르(메톡시에틸렌)은 분자량(M.W.)이 약 30,000 내지 약 1,000,000일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지에이에프 코포레이션의 간트레즈(AN 139(M.W. 500,000), A.N. 119(M.W. 250,000), 및 바람직하게는 S-97 의약품 등급(M.W. 70,000)으로서 입수가능하다.
C. 사용 방법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여러 통상적인 방법으로 구강의 전술한 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구강의 점막 조직, 구강의 치은 조직, 및/또는 치아 표면에 국소 도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은/점막 조직 및/또는 치아는 치아를 치약 조성물로 칫솔질함으로써 발생되는 거품 및/또는 액체로 씻겨진다. 저작성 치약 정제는 씹음으로써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4/0101493호 및 제2004/010149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구강 표면에 치아 활성제가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치아는 정제를 씹은 후 칫솔질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 예는 하기에 설명되는 구강 케어 기구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서 직접적으로 치은/점막 조직에, 또는 치아에 상기 젤 또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우식을 비롯한 구강의 질환 또는 병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치은/점막 조직 및/또는 치아에 약 10초 이상,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20초 내지 약 10분,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약 30초 내지 약 60초 동안 도포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흔히 그러한 접촉 이후 대부분의 치약 조성물을 뱉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접촉 빈도는, 일 실시 형태에서 주당 약 1회 내지 1일 약 4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주당 약 3회 내지 1일 약 3회, 또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1일 약 1회 내지 1일 약 2회일 수 있다. 이러한 치료 기간은 일반적으로 약 1일 내지 일생의 범위이다. 특정의 구강 케어 질환 또는 병에 있어서 치료 지속 기간은 치료될 구강 질환 또는 병의 중증도, 이용되는 특정 전달 형태 및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D. 시험 방법
펠리클 세정 비
PCR (펠리클 세정 비) 세정 값은 문헌["In Vitro Removal of Stain With Dentifrice", G. K. Stookey, T.A. Burkhard and B. R. Schemerhorn, J. Dental Research, 61, 1236-9, 1982]에 기재되어 있는 PCR 시험을 약간 변경한 변형법으로 측정한다. 세정력은 변경된 펠리클 세정 비 시험의 이용에 의해 시험관 내에서 평가한다. 이 시험은 스투키 등에 의해 설명된 시험을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과 동일하다: (1) 투명한 인공 펠리클 피막을 소의 칩에 도포한 후 착색된 피막을 도포하고, (2) 피막 적용 동안 방사 가열보다는 오히려 용액 가열을 사용하며, (3) 칫솔 스트로크 횟수를 1000 스트로크로 감소시키고, (4) 슬러리 농축물은 3부의 물에 대하여 1부의 치약이다.
E. 실시예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인간용 및 기타 하등 동물용(예를 들어 애완 동물, 동물원 동물 또는 가축) 둘 모두에 유용하다.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의 실시 형태를 추가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의 다수의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음 성분들을 함유한다.
Figure 112008038139422-pct00001
습윤제 및 증점화제를 혼합 탱크에 첨가하고, 교반을 시작한다. 증점화제가 습윤제 내로 균질하게 분산될 때, 물을 혼합 탱크에 첨가한다. 다음, 플루오라이드, 감미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착색제 및 이산화티타늄을 첨가한다. 사용될 경우, 그 후 연마제를 고 교반 및 진공을 이용하여 혼합 탱크에 첨가한다. 계면활성제 및 착향제를 상기 조합물에 첨가하고, 혼합을 계속한다. 혼합을 대략 5분 동안 계속한다. 생성된 조성물은 pH가 약 8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열거된 정확한 수치적 값에 엄격하게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대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치수는 열거된 값과, 상기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 모두를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고자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인용된 모든 문헌들은 해당 부분에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며, 임의의 문헌을 인용하는 것이 이 문헌을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다른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20)

  1. a. 구강 케어 담체;
    b.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
    c. 5% 내지 15%의 킬레이팅제; 및
    d. 0.5% 내지 5%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치약으로서,
    상기 치약의 pH가 8 초과이고, 상기 치약의 PCR(Pellicle Cleaning Ratio) 값이 20 이상이며, 상기 PCR 값의 10% 초과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2. 제1항에 있어서, 구강 케어 담체가 전체 치약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의 범위를 갖는 착향제인 치약.
  3. 제1항에 있어서, 0.01% 내지 10%의 연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약.
  4. 제1항에 있어서, pH가 8 내지 10인 치약.
  5.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인 치약.
  6. 제1항에 있어서, 매끄럽거나 청결한 치아 느낌을 갖는 치약.
  7. 제1항에 있어서, PCR 값의 15% 내지 100%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8. 제7항에 있어서, PCR 값의 20% 내지 100%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9. 제8항에 있어서, PCR 값의 50% 내지 100%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10. 제1항에 있어서, PCR 값이 40 이상인 치약.
  11. 대상의 치아의 치아 침식(erosion)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의 구강에 제1항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a. 구강 케어 담체;
    b.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
    c. 5% 내지 15%의 킬레이팅제; 및
    d. 0.5% 내지 5%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치약으로서,
    상기 치약의 pH가 8 초과이고, 상기 치약의 PCR 값이 20 이상이며, 상기 PCR 값의 20% 초과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13. 제12항에 있어서, 구강 케어 담체가 전체 치약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5%의 범위를 갖는 착향제인 치약.
  14. 제12항에 있어서, 0.01% 내지 10%의 연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약.
  15. 제12항에 있어서, pH가 8 내지 10인 치약.
  16. 제1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인 치약.
  17. 제12항에 있어서, PCR 값의 20% 내지 100%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18. 제12항에 있어서, 폴리포스페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약.
  19. 전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치아를 제12항에 따른 치약으로 칫솔질하는 단계에 의한 방법.
  20. a. 구강 케어 담체;
    b. 안전하고 유효한 양의 플루오라이드 이온 공급원; 및
    c. 0.5% 내지 5%의 킬레이팅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치약으로서,
    상기 치약의 pH가 8 초과이고, 상기 치약의 PCR이 20 이상이며, 상기 PCR값의 20% 초과가 화학적 세정에 기인하는 치약.
KR1020087012810A 2005-11-29 2006-11-29 치약 조성물 KR101019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053805P 2005-11-29 2005-11-29
US60/740,538 2005-11-29
US11/545,266 2006-10-10
US11/545,266 US20070122357A1 (en) 2005-11-29 2006-10-10 Dentifric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867A KR20080063867A (ko) 2008-07-07
KR101019873B1 true KR101019873B1 (ko) 2011-03-04

Family

ID=3800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10A KR101019873B1 (ko) 2005-11-29 2006-11-29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22357A1 (ko)
EP (1) EP1954237A2 (ko)
JP (1) JP2009517455A (ko)
KR (1) KR101019873B1 (ko)
AU (1) AU2006321208A1 (ko)
BR (1) BRPI0619371A2 (ko)
CA (1) CA2631216A1 (ko)
RU (1) RU2008116261A (ko)
WO (1) WO200706350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471A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957A1 (en) * 2003-08-15 2005-02-17 Michael Prencipe Tooth whitening dental tray and method of use
US8815215B2 (en) * 2003-08-15 2014-08-26 Colgate-Palmolive Company Hydrophobic tooth whiten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US8580234B2 (en) * 2008-11-19 2013-11-12 Kao Corporation Method for removing solid product formed on surfaces of teeth
AR076179A1 (es) 2009-04-01 2011-05-26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 dentifrica no acuosa con vidrio bioaceptable y bioactivo y metodos de uso y fabricacion de la misma
US8906348B2 (en) 2010-03-31 2014-12-09 Mcneil-Ppc, Inc. Oral care compositions
JP5097841B2 (ja) 2011-04-08 2012-12-12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N106535863B (zh) * 2014-07-10 2020-10-16 宝洁公司 抗结石口腔组合物
US11771642B2 (en) * 2017-05-31 2023-10-0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umping type toothpaste composition
WO2018221622A1 (ja) * 2017-05-31 2018-12-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WO2022083996A1 (en) 2020-10-22 2022-04-28 Unilever Ip Holdings B.V. An oral care composition for whitening benefi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005A (en) * 1995-08-02 1998-05-05 Barels; Ronald R. Oil-based, anti-plaque dentifric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815A (en) * 1970-04-01 1979-05-15 Lever Brothers Company Zinc and enzyme toothpowder dentifrice
US3696191A (en) * 1970-11-10 1972-10-03 Monsanto Co Dental creams containing enzymes
US4058595A (en) * 1971-10-13 1977-11-15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ilized toothpastes containing an enzyme
US3991177A (en) * 1973-11-27 1976-11-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dextranase
US4140758A (en) * 1975-03-12 1979-02-2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dextranase
US4138476A (en) * 1977-08-03 1979-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laque dispersing enzymes as oral therapeutic agents by molecular alteration
JPS5835965B2 (ja) * 1979-07-31 1983-08-05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US4355022A (en) * 1981-07-01 1982-10-19 Interon, Inc. Method of dental treatment
US5000939A (en) * 1984-06-12 1991-03-19 Colgate-Palmolive Company Dentifrice containing stabilized enzyme
JPH0641424B2 (ja) * 1984-11-06 1994-06-01 ライオン株式会社 う蝕予防剤
US4652444A (en) * 1984-12-14 1987-03-24 National Research Laboratori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ntal structures
US4737359A (en) * 1985-04-18 1988-04-12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rol of dental plaque and caries using emulsan
US4986981A (en) * 1986-07-07 1991-01-22 Den Mat Corporation Toothpaste having low abrasion
US5180578A (en) * 1987-01-30 1993-01-19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antiplaque anticalculus oral composition
CH671879A5 (ko) * 1987-02-26 1989-10-13 Nestle Sa
US5320830A (en) * 1992-12-30 1994-06-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US5320831A (en) * 1992-12-30 1994-06-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US5603920A (en) * 1994-09-26 1997-02-1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Dentifrice compositions
US5658553A (en) * 1995-05-02 1997-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ntifrice compositions
JP3528389B2 (ja) * 1995-12-26 2004-05-17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H10182389A (ja) * 1996-12-27 1998-07-07 Lion Corp 歯磨組成物
JP2000072636A (ja) * 1998-08-26 2000-03-07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US6110446A (en) * 1998-10-05 2000-08-29 Colgate Palmolive Company Dual component antiplaque an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GB0016067D0 (en) * 2000-06-30 2000-08-23 Procter & Gamble Oral compositions
JP2002047161A (ja) * 2000-07-28 2002-02-12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EP1399121B1 (en) * 2001-06-25 2008-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US8491877B2 (en) * 2003-03-18 2013-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zinc-containing layered material with a high relative zinc lability
GB0322296D0 (en) * 2003-09-23 2003-10-22 Glaxo Group Ltd Novel compositions
GB0505758D0 (en) * 2005-03-21 2005-04-27 Glaxo Group Ltd Novel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005A (en) * 1995-08-02 1998-05-05 Barels; Ronald R. Oil-based, anti-plaque dentifrice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3471A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867A (ko) 2008-07-07
CA2631216A1 (en) 2007-06-07
AU2006321208A1 (en) 2007-06-07
WO2007063508A2 (en) 2007-06-07
EP1954237A2 (en) 2008-08-13
BRPI0619371A2 (pt) 2011-09-27
US20070122357A1 (en) 2007-05-31
WO2007063508A3 (en) 2007-10-11
RU2008116261A (ru) 2010-01-10
JP2009517455A (ja)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873B1 (ko) 치약 조성물
CA2504489C (en) Chewable solid unit dosage for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active agents into occlusal surfaces of teeth
RU2388456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содержащие экстракты rosmarinus,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и способы
RU2270666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способ общей очистки, отбеливания и полировки зубов
US20060045851A1 (en)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s
CA2946273C (en)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small diameter silica, zinc citrate, and a bioadhesive polymer
US20060263306A1 (e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ubstantivity
MX2012013955A (es) Composiciones terapeuticas bucales.
US20040101493A1 (en) Chewable solid unit dosage for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active agents into occlusal surfaces of teeth
CN101316570A (zh) 洁齿剂组合物
MX2008006889A (en) Dentifrice composition
CN113260346A (zh) 抑制嗜中性粒细胞募集到牙龈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