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009A -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 - Google Patents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009A
KR20180112009A KR1020187026505A KR20187026505A KR20180112009A KR 20180112009 A KR20180112009 A KR 20180112009A KR 1020187026505 A KR1020187026505 A KR 1020187026505A KR 20187026505 A KR20187026505 A KR 20187026505A KR 20180112009 A KR20180112009 A KR 2018011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erminal
power storage
lea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타카 타카기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2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01M2/021
    • H01M2/06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는 불량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출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인출 단자의 폐지부와의 접합 부분과 외부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인출 단자의 표면 및 이면을 인출 단자의 폭 방향으로 덮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내측부와, 가요성 내측부로부터 적어도 인출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되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확장부를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보호 부재를 구비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
본 발명은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밀폐 축전 셀로서는,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형 배터리 셀, 라미네이트형 커패시터 셀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에서는 사용 상황 등에 의해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생기면,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내압이 상승하여,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내용물이 분출하는 경우가 있다.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내용물의 분출은 상기 가요성 밀폐 축전 셀뿐만 아니라, 상기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포함하는 축전 팩이나, 상기 축전 팩이 설치된 기기 등의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은 밀폐형 이차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이차전지는 정극판과 격리체와 부극판과 구비한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자루 형상 수용체를 구비한다. 자루 형상 수용체는 라미네이트재의 가장자리가 용착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루 형상 수용체의 가장자리의 용착부에는 절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이차전지에서는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보다 약하다. 그 때문에, 자루 형상 수용체에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는 가스가 발생하여 내압이 상승했을 때에, 절제부가 열린다. 그 결과, 절제부에 발생된 개구로부터 가스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이차전지는 특정 개소로부터 신속하게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압력 개방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불량의 발생의 억제를 도모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5683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이차전지에서는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확실하게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보다 약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개구가 형성되어 그 개구로부터 가스가 배출된다. 그 경우, 압력 개방의 신뢰성의 향상이 실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이차전지는 밀폐형 이차전지가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어도,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보다 약한 상태가 계속되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밀폐형 이차전지가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된 결과,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보다 약해지면, 절제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가스가 배출될 가능성이 생긴다. 절제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가스가 배출되면, 압력 개방의 신뢰성이 손상된다. 그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와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의 차가 충분히 확보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는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와 비교하여, 충분히 약해져야 한다. 그러나,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충분히 약해지는 경우, 자루 형상 수용체에 가스가 발생하기 전에 절제부가 개구되어 액 누설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충분히 약해지지 않으면, 절제부 이외의 부분에 개구가 발생될 가능성이 생긴다. 한편, 절제부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지나치게 약하면, 내압이 상승하기 전에 액 누설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밀폐형 이차전지에서는 자루 형상 수용체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용착 강도가 정밀하게 제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밀폐형 이차전지가 실제로 제조되는 경우(예를 들면, 밀폐형 이차전지가 양산되는 경우), 용착 강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는 불량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상기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정극 및 부극과,
상기 정극과 부극 사이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질과,
상기 정극 및 부극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전해질과 함께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부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폐지부를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수용체와,
상기 폐지부로부터 상기 가요성 수용체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요성 수용체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기 폐지부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수용체와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정극 및 상기 부극의 각각과 각각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수용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다른 가요성 밀폐 축전 셀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외부 접속부를 갖는 판 형상의 인출 단자와,
상기 인출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자의 상기 폐지부와의 접합 부분과 상기 외부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인출 단자의 표면 및 이면을 상기 인출 단자의 폭 방향으로 덮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내측부와, 상기 가요성 내측부에서 적어도 상기 인출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되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확장부를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보호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자는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는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얻기 위해서 검토를 행하고,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통상,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케이스 내에 수용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다른 가요성 밀폐 축전 셀, 또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가요성 수용체의 폐지부와 판 형상의 인출 단자의 접합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약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여 가요성 수용체의 내압이 상승하면, 폐지부와 인출 단자의 접합 부분에 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폐지부와 인출 단자의 접합 부분에 틈이 생기면, 가요성 수용체의 내용물이 그 틈으로부터 분출한다. 그 결과, 고농도의 내용물이 인출 단자의 외부 접속부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인출 단자의 외부 접속부는 다른 가요성 밀폐 축전 셀 또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자와 접속되는 부분이다. 외부 접속부는 비교적 고온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고농도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의 접촉에 의해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고농도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의 접촉은 피할 필요가 있다.
외부 접속부는 폐지부와 인출 단자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인출 단자의 연장 방향으로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폐지부와 인출 단자의 접합 부분에 생기는 틈으로부터 가요성 수용체의 내용물이 분출한 경우에는 가요성 수용체의 내용물이 외부 접속부에 접촉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가요성 수용체로부터 분출되는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폐지부와 인출 단자의 접합 부분 이외의 특정 위치에 틈이 생기도록 접합 강도가 약한 부분을 가요성 수용체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에 확실하게 틈이 생기도록 접합 강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틈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폐지부와 인출 단자의 접합부와, 가요성 수용체의 내용물의 접촉을 피해야 할 외부 접속부가 인출 단자의 연장 방향으로 멀어져 있는 것에 착안하여, 인출 단자를 이용하여 가요성 보호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해 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보호 부재를 구비한다. 가요성 보호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내측부와,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확장부를 포함한다. 가요성 내측부는 인출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인출 단자의 폐지부와의 접합 부분과 외부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인출 단자의 표면 및 이면을 인출 단자의 폭 방향으로 덮는다. 가요성 확장부는 가요성 내측부로부터 적어도 인출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된다.
가요성 보호 부재는 가요성 내측부가 인출 단자의 표면 및 이면을 인출 단자의 폭 방향으로 덮음과 아울러, 가요성 확장부가 가요성 내측부로부터 적어도 인출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출 단자와 폐지부의 접합 부분과 가요성 보호 부재 사이에 외부 접속부가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요성 보호 부재는 폐지부에 있어서 인출 단자와 가요성 수용체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분출하는 수용부의 내용물이 외부 접속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간극으로부터 분출하는 수용부의 내용물이 직접적으로 외부 접속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보호 부재는 그 가요성에 의해, 상기 간극으로부터 분출하는 수용부의 내용물이 가요성 보호 부재에 접촉했을 때에 상기 내용물이 널리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고농도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성질상, 가요성 수용체에 있어서 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특정하고, 가요성 보호 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대책이 실시되는 위치가 특정되어 있으므로, 가요성 보호 부재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요성 보호 부재는 인출 단자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는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 2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5(a)는 제 3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 및 인출 단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c)는 제 4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 및 인출 단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e)는 제 5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f)는 도 5(e)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 및 인출 단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g)는 제 6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h)는 도 5(g)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 및 인출 단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중, L은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을 나타낸다.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이란 인출 단자(30)가 연장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은, 예를 들면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길이 방향에 상당한다. T는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은, 예를 들면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두께 방향에 상당한다. W는 인출 단자(30)의 폭 방향을 나타낸다. 인출 단자(30)의 폭 방향은, 예를 들면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단수(短手)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라미네이트형 배터리 셀이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형 커패시터 셀이어도 좋다. 또한, 배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로서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를 들 수 있다. 커패시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커패시터로서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도 3은 직렬로 접속된 2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을 나타내고 있다. 2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가요성 수용체(20)와, 인출 단자(30)(정극 인출 단자(30a) 및 부극 인출 단자(30b))와, 가요성 보호 부재(40)를 구비한다.
가요성 수용체(20)는 수용부(21)와 폐지부(22)를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는다. 가요성 수용체(20)는 가요성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요성이란 휘는 것이 가능한 성질을 말한다. 가요성을 갖는 포장재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 라미네이트 금속박을 들 수 있다. 수지 라미네이트 금속박은 금속박의 편면 또는 양면에 수지 필름이 라미네이트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되는 수지 필름 및/또는 금속박은 각각 1층에 한정되지 않고, 2층 이상이어도 좋다. 수용부(2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11) 및 부극(12)과 세퍼레이터(13)를 전해질(14)과 함께 수용하고 있다. 수용부(21) 내에서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복수의 정극(11)과 복수의 부극(12)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정극(11)과 부극(12) 사이에는 세퍼레이터(13)가 배치되어 있다.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에도, 세퍼레이터(13)가 배치되어 있다. 폐지부(22)는 수용부(21)를 밀폐하기 위해서 수용부(21)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지부(22)는 수용부(21)의 외주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폐지부(22)는 두께 방향(T)에 겹쳐진 2장의 포장재의 가장자리가 서로 용착 또는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폐지부(22)는, 예를 들면 2개로 접힌 1장의 포장재의 서로 겹치는 가장자리가 서로 용착 또는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정극 인출 단자(30a)와, 부극 인출 단자(30b)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 인출 단자(30a)는 수용부(21) 내에 있어서, 정극(11)과 접속선(35)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극 인출 단자(30b)는 수용부(21) 내에 있어서, 부극(12)과 접속선(35)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극 인출 단자(30a)는 정극(11)과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부극 인출 단자(30b)는 부극(12)과 직접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한, 인출 단자(30)는 정극 인출 단자(30a)와 부극 인출 단자(30b) 양방을 가리킨다.
각 인출 단자(30)는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인출 단자(30)의 폭은 인출 단자(30)의 두께보다 크다. 인출 단자(30)의 폭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인출 단자(30)의 길이이다. 인출 단자(30)의 두께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인출 단자(30)의 길이이다. 인출 단자(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형상체(32)와 실런트(33)로 이루어진다. 실런트(33)는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L)에 있어서의 금속판 형상체(32)의 일부의 주위를 금속판 형상체(32)의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실런트(33)는 가요성 수용체(20)의 폐지부(2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융착 등에 의해 폐지부(22)와 접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단자(30)는 폐지부(22)로부터 가요성 수용체(20)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가요성 수용체(20)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폐지부(22)에 있어서 가요성 수용체(20)와 접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인출 단자는 반드시 실런트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인출 단자는 금속판 형상체만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수용체(20)에 설치된 인출 단자(30)의 실런트(33)가 부분적으로 가요성 수용체(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요성 수용체(20)에 설치된 인출 단자(30)의 실런트(33)는 가요성 수용체(20)로부터 노출되지 않아도 좋다.
각 인출 단자(30)는 가요성 수용체(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외부 접속부(31)를 갖고 있다. 도면 중, 상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정극 인출 단자(30a)의 외부 접속부(31a)는 하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부극 인출 단자(30b)의 외부 접속부(31b)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부극 인출 단자(30b)의 외부 접속부(31b)는 케이스(60)(도 2(a), (b) 참조)에 설치된 부극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정극 인출 단자(30a)의 외부 접속부(31a)는 케이스(60)에 설치된 정극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60) 내의 복수(2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직렬 접속되고, 케이스(60) 외부로부터 또는 케이스(60)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케이스(6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전 모듈(50)이 구성되어 있다.
각 인출 단자(30)에는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내측부(41)와, 가요성 확장부(42)를 갖는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로 이루어진다.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는, 예를 들면 비도전성 수지(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비도전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단자(30)보다 얇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폐지부(22)에 있어서 인출 단자(30)와 가요성 수용체(20) 사이에 생기는 틈으로부터 분출하는 수용부(21)의 내용물이 외부 접속부(3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Z가 상기 틈이 생기기 쉬운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연장 방향(L)에 있어서, 상기 틈이 생기기 쉬운 위치(Z)와, 외부 접속부(31) 사이에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가요성 수용체(20)로부터 분출되는 수용부(21)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31)의 접촉을 억제 가능하다. 또한,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인출 단자(30)의 실런트(33)과 별체이다.
가요성 내측부(41)는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L)에 있어서 인출 단자(30)의 폐지부(22)의 접합 부분과 외부 접속부(31) 사이에 위치한다. 가요성 내측부(41)는 인출 단자(30)의 표면 및 이면을 인출 단자(30)의 폭 방향(W)으로 덮는다. 또한, 인출 단자(30)의 표면은 두께 방향(T)에서 보았을 때의 상측의 면이고, 인출 단자(30)의 이면은 두께 방향(T)에서 보았을 때의 하측의 면이다. 가요성 내측부(41)는 연장 방향(L)으로 인출 단자(30)가 통과하는 슬리브 형상을 갖는다. 가요성 내측부(41)는 가요성을 갖는다. 가요성 내측부(41)는 가요성 보호 부재(40) 중,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인출 단자(30)의 표면에 가장 가까운 부분 및 인출 단자(30)의 이면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가리킨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내측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인출 단자(3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지부(22)에 있어서 인출 단자(30)와 가요성 수용체(20) 사이에 생기는 틈으로부터 분출하는 수용부(21)의 내용물이 외부 접속부(31)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요성 확장부(42)는 가요성 내측부(41)로부터 적어도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으로 확대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요성 확장부(42)는 가요성 내측부(41)로부터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 및 폭 방향(W)으로 확대되고 있다. 가요성 확장부(42)는 가요성을 갖는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적어도 가요성 확장부(42)와 인출 단자(30)가 이루는 각(α)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 수용체(20)에 향하여 열리는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α)은 예각 또는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폐지부(22)에 있어서 인출 단자(30)와 가요성 수용체(20) 사이에 생기는 틈으로부터 분출하는 수용부(21)의 내용물이 외부 접속부(31)에 접촉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인출 단자(30)에 지지되어 있다. 인출 단자(30)는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무게의 적어도 일부를 지탱하고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내측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인출 단자(30)와 접촉하도록 인출 단자(30)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가요성 내측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인출 단자(30)와 두께 방향(T)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내측부(41)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인출 단자(30)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갖는 경우,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상기 부분과 인출 단자(30) 사이의 공극의 거리는 인출 단자(30)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인출 단자(30)에 고정되도록 인출 단자(30)에 지지되어도 좋고, 인출 단자(30)에 고정되지 않고 인출 단자(30)에 지지되어도 좋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수용체(2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가요성 수용체(20)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수용체(2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수용체(20)에 고정되지 않아도, 가요성 수용체(20)로부터 분출되는 수용부(21)의 내용물이 외부 접속부(3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가요성 수용체(20)로부터 분출되는 수용부(21)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31)의 접촉을 억제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에서 볼 때에 수용부(21)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에서 볼 때에 가요성 확장부(42)가 수용부(21)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가요성 수용체(20)로부터 분출되는 수용부(21)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31)의 접촉의 억제가 실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방향(T)에서 보아, 한 쌍의 인출 단자(30)가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각각이 갖는 한 쌍의 인출 단자(30)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즉,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편측에 설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 2∼제 6 실시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 2∼제 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a)∼도 5(h)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가 첨부되어 있다. 또한, 제 2∼제 6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주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4(a)는 제 2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복수(2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이 직렬 접속되고,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외부로부터 또는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각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에 있어서, 두께 방향(T)에서 보아, 한 쌍의 인출 단자(30)의 각각이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양측의 각각으로부터 각각 연장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중, 상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정극 인출 단자(30a)의 외부 접속부(31a)는 하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부극 인출 단자(30b)의 외부 접속부(31b)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부극 인출 단자(30b)의 외부 접속부(31b)는 케이스에 설치된 부극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정극 인출 단자(30a)의 외부 접속부(31a)는 케이스에 설치된 정극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각각이 갖는 한 쌍의 인출 단자(30)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양측의 각각에,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5(a)는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L)에서 본 제 3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 및 인출 단자(3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가요성 보호 부재(4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제 1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진 3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이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내에 수용되어 있다. 각 인출 단자(30)에는 개별적으로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확장부(42)와 인출 단자(30)가 이루는 각(α)(도 5(b) 참조)이 예각이 되도록 인출 단자(30)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절곡선(43)(도 5(a) 참조)에 따라 절곡된 1장의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로 이루어진다. 각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절곡선(43)에 따라 형성된 1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에 인출 단자(3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관통 구멍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가요성 내측부(41)를 구성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슬리브 형상의 가요성 내측부(41)를 갖지 않는다. 가요성 확장부(42)는 가요성 내측부(41)로부터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으로 확대되고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5(c)는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L)에서 본 제 4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d)는 도 5(c)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 및 인출 단자(3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다르게,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이 구비하는 한 쌍의 인출 단자(30)마다 1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가요성 확장부(42)와 인출 단자(30)가 이루는 각(α)(도 5(d) 참조)이 예각이 되도록 인출 단자(30)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절곡선(43)(도 5(c) 참조)에 따라 절곡된 1장의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로 이루어진다. 각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절곡선(43)에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각 관통 구멍에 각각 인출 단자(3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2개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갖는 2개의 가요성 내측부(41)를 구성하고 있다. 가요성 확장부(42)는 각 가요성 내측부(41)로부터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 및 폭 방향(W)으로 확대되고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5(e)는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L)에서 본 제 5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f)는 도 5(e)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 및 인출 단자(3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가요성 보호 부재(4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5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제 2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진 복수(3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이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내에 패킹되어 있다.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T)으로 늘어선 복수(3개)의 인출 단자(30)가 복수(3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1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두께 방향(T)으로 나란하도록 복수(3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편측으로부터 연장된 복수(3개)의 인출 단자(30)에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두께 방향(T)으로 늘어선 복수의 인출 단자(30)가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다른 편측으로부터도 연장되고, 복수의 인출 단자(30)에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인출 단자(30)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곡선(43)에 따라 교대로 구부릴 수 있음으로써 벨로즈 형상으로 형성된 1장의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로 이루어진다. 절곡선(43)의 수는 5개이고, 인출 단자(30)의 수(3개)와 인출 단자(30) 사이의 간극의 수(2개)의 합이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복수(3개)의 인출 단자(30)의 각각에 대응하는 절곡선(43)에 따라 형성된 복수(3개)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에 각각 인출 단자(3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3개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갖는 3개의 가요성 내측부(41)를 구성하고 있다. 가요성 확장부(42)는 각 가요성 내측부(41)의 각각으로부터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으로 확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두께 방향(T)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벨로즈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복수의 인출 단자(30)에 설치될 때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다. 제조 및 조립이 보다 용이하다.
<제 6 실시형태>
도 5(g)는 인출 단자(30)의 연장 방향(L)에서 본 제 6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h)는 도 5(g)에 있어서의 가요성 보호 부재(40) 및 인출 단자(3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가요성 보호 부재(4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6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은 제 4 실시형태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두께 방향(T)으로 겹쳐진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폭 방향(W)으로 나란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인출 단자(30)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두께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10)의 편측으로부터, 복수 쌍(3쌍)의 인출 단자(30)가 연장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제 5 실시형태(도 5(e) 및 도 5(f))와 마찬가지로, 벨로즈 형상으로 형성된 1장의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로 이루어진다.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복수 쌍(3쌍)의 인출 단자(30)의 각각에 대응하는 절곡선(43)에 따라 형성된 복수 쌍(3쌍)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에 각각 인출 단자(30)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6개의 관통 구멍의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가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갖는 6개의 가요성 내측부(41)를 구성하고 있다. 가요성 확장부(42)는 각 가요성 내측부(41)의 각각으로부터 인출 단자(30)의 두께 방향(T) 및 폭 방향(W)으로 확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 및 제 6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인접한 한 쌍의 인출 단자(30)의 각각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개별적으로 갖고 있다. 인출 단자(30)마다 관통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가요성 수용체로부터 분출되는 수용부의 내용물과 외부 접속부의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인접한 복수의 인출 단자(30)의 양방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있어도 좋다. 1개의 관통 구멍이 복수의 인출 단자(30)에 대응하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제조 및 조립이 보다 용이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3∼제 6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연장 방향(L)으로 인출 단자(30)가 삽입 통과되는 부분으로서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 구멍 대신에, 가요성 보호 부재(40)의 폭 방향(W)의 편측의 외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 3∼제 6 실시형태에서는 가요성 보호 부재(40)가 절곡선(43)에 따라 절곡되어 있지만, 가요성 보호 부재(40)는 절곡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각(α)은, 예를 들면 직각이 된다.
1개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이어도 좋고, 복수이어도 좋다.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접속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서로 직렬 접속되어도 좋고, 병렬로 접속되어도 좋고, 병렬 접속과 직렬 접속의 조합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축전 모듈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과 케이스를 구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전 팩은 적어도 하나의 축전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축전 팩은 축전 모듈에 포함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축전 팩은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의 상태(예를 들면, 전압값, 전류값, 온도 등)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배터리 컨트롤러에 출력하도록 상기 배터리 컨트롤러와 접속된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가요성 보호 부재를 제외하고, 축전 모듈 및 축전 팩의 구성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구성을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축전 모듈 및 축전 팩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보호 부재를 갖고 있으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구성에 의해 과충전 또는 과방전에 기인하는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표현은 설명 때문에 사용된 것으로서 한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나타내거나 또한 설명한 특징 사항의 어떠한 균등물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클레임된 범위 내에 있어서의 각종 변형도 허용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가요성 밀폐 축전 셀 11 정극
12 부극 13 세퍼레이터
14 전해질 20 가요성 수용체
21 수용부 22 폐지부
30 인출 단자
30a 정극 인출 단자 30b 부극 인출 단자
31 외부 접속부
31a (정극 인출 단자(30a)의 외부 접속부)
31b(부극 인출 단자(30b)의 외부 접속부)
32 금속판 형상체 33 실런트
35 접속선 40 가요성 보호 부재
41 가요성 내측부 42 가요성 확장부
43 절곡선 50 축전 모듈
60 케이스

Claims (10)

  1.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로서,
    상기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정극 및 부극과,
    상기 정극과 부극 사이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질과,
    상기 정극 및 부극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전해질과 함께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밀폐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부의 외주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폐지부를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수용체와,
    상기 폐지부로부터 상기 가요성 수용체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가요성 수용체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기 폐지부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수용체와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정극 및 상기 부극의 각각과 각각 접속되고, 상기 가요성 수용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다른 가요성 밀폐 축전 셀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외부 접속부를 갖는 판 형상의 인출 단자와,
    상기 인출 단자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자의 상기 폐지부와의 접합 부분과 상기 외부 접속부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인출 단자의 표면 및 이면을 상기 인출 단자의 폭 방향으로 덮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내측부와, 상기 가요성 내측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인출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되고 또한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확장부를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가요성 보호 부재를 구비하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 부재는 적어도 상기 가요성 확장부와 상기 인출 단자가 직각 또는 상기 가요성 수용체를 향하여 열린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 부재는 상기 가요성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출 단자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 부재는 상기 인출 단자에 지지되어 있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 부재는 상기 인출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수용부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 부재는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 형상 재료는 상기 인출 단자보다 얇은 가요성 밀폐 축전 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호 부재는 상기 폐지부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자와 상기 가요성 수용체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분출하는 상기 수용부의 내용물이 상기 외부 접속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요성 밀폐 축전 셀.
  9. 축전 모듈로서,
    상기 축전 모듈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과,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밀폐 축전 셀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부터 또는 상기 케이스 외부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축전 모듈.
  10. 축전 팩으로서,
    상기 축전 팩은,
    제 9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축전 모듈을 구비하는 축전 팩.
KR1020187026505A 2016-04-19 2016-11-29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 KR20180112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3474 2016-04-19
JPJP-P-2016-083474 2016-04-19
PCT/JP2016/085314 WO2017183227A1 (ja) 2016-04-19 2016-11-29 可撓性密閉蓄電セル、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パ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009A true KR20180112009A (ko) 2018-10-11

Family

ID=6011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505A KR20180112009A (ko) 2016-04-19 2016-11-29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51869A1 (ko)
EP (1) EP3439069A4 (ko)
JP (1) JP6577664B2 (ko)
KR (1) KR20180112009A (ko)
CN (1) CN109075287A (ko)
CA (1) CA3021493A1 (ko)
TW (1) TWI627782B (ko)
WO (1) WO2017183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1060B2 (ja) * 2021-02-18 2023-12-04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3910B2 (ja) * 1997-03-19 2003-01-08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薄型電池
JP4862211B2 (ja) 2000-08-08 2012-01-25 株式会社Gsユアサ 密閉型二次電池
JP4039197B2 (ja) * 2002-10-08 2008-0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該ラミネート電池を複数接続したモジュール、該モジュールを複数接続した組電池、および該組電池を搭載した車両
KR20040054128A (ko) * 2002-12-1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4496997B2 (ja) * 2005-03-15 2010-07-07 Tdkラムダ株式会社 二次電池の実装構造
JP4766449B2 (ja) * 2005-10-04 2011-09-07 Tdkラムダ株式会社 電池パック
TWM382595U (en) * 2009-12-23 2010-06-11 Amita Technologies Inc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strengthening structure
JP5712499B2 (ja) * 2010-04-14 2015-05-07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回路基板
CN201781031U (zh) * 2010-04-29 2011-03-30 上海比亚迪有限公司 一种软包装电池组
JP2013073789A (ja) * 2011-09-28 2013-04-22 Panasonic Corp ラミネート電池
KR101914562B1 (ko) * 2011-12-09 2018-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2014022273A (ja) * 2012-07-20 2014-02-03 Sanyo Electric Co Ltd ラミネート外装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CN104662697B (zh) * 2012-12-24 2017-03-08 株式会社Lg 化学 具有提高耐久性的密封余量的袋式二次电池
JP6071678B2 (ja) * 2013-03-22 2017-02-01 株式会社東芝 密閉型二次電池及び密閉型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722663B1 (ko) * 2014-10-29 2017-04-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9069A4 (en) 2019-03-20
CN109075287A (zh) 2018-12-21
JPWO2017183227A1 (ja) 2019-03-22
WO2017183227A1 (ja) 2017-10-26
CA3021493A1 (en) 2017-10-26
TW201739083A (zh) 2017-11-01
US20190051869A1 (en) 2019-02-14
EP3439069A1 (en) 2019-02-06
TWI627782B (zh) 2018-06-21
JP6577664B2 (ja)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1810B2 (ja) ベンティングガスを用いてコネクターを破断する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5906354B2 (ja) 二次電池、それに適用される二次電池用部品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674936B2 (ja) 安全性が向上した二次電池用ポーチ及びこれを利用したポーチ型二次電池、中大型電池パック
KR10089138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6780109B2 (ja) 安全性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097084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13537694A (ja) 少なくとも1つの圧力軽減装置を有する電気化学的セル
KR102221780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0903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3540816B1 (en) Battery cell with improved safety
JP5821652B2 (ja) 蓄電素子モジュール
KR101261243B1 (ko) 변형된 구조의 보호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CN114207932A (zh) 二次电池
KR20180112009A (ko) 가요성 밀폐 축전 셀, 축전 모듈 및 축전 팩
US11245162B2 (en) Secondary battery
JP6958165B2 (ja) 蓄電素子
US11355826B2 (en) Secondary battery
EP4243194A1 (en) Pouch-type battery cell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WO2024038730A1 (ja) 蓄電装置
JP2018056097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