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675A - 출몰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출몰식 필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1675A KR20180111675A KR1020180037053A KR20180037053A KR20180111675A KR 20180111675 A KR20180111675 A KR 20180111675A KR 1020180037053 A KR1020180037053 A KR 1020180037053A KR 20180037053 A KR20180037053 A KR 20180037053A KR 20180111675 A KR20180111675 A KR 201801116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ib
- main body
- writing implement
- convex portion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heart-shaped cams,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과,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을 형성하고,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의 측벽을,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로 한 출몰식 필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장체 내에 수용되는, 선단에 펜촉을 갖춘 필기구 본체를, 조작에 의해서 전후 이동시키고,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배치한 볼록부를, 외장체에 형성한 안내로에 의해서 펜촉 돌출 계지부와 펜촉 몰입 계지부에 안내하여, 외장체 선단의 개구부로부터 펜촉의 돌출 상태와 몰입 상태를 각각 형성하는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에 의해서 외장체의 선단으로부터 펜촉을 출몰시켜 이루어지는 출몰식 필기구로서 캠 기구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외장체 내에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로 후방 압박된 필기구 본체를, 탄발 부재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노크 조작 등으로 전진시키고, 외장체에 형성한 홈 등의 안내로에 필기구 본체가 갖는 볼록부 등을 안내하여, 펜촉의 돌출 상태, 몰입 상태의 각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같은, 소위 하트 캠 기구라고 불리고 있는 조출 기구를 이용한 것이, 노크 등의 조작만으로 펜촉의 출몰 계지를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평11-321182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출몰식 필기구에서는,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배치된 볼록부(계지부(26a))가, 외장체에 마련된 안내로 안을 이동하고, 안내로 안에 마련된 펜촉의 돌출 상태를 형성하는 계지 오목부와, 몰입 계지 상태를 형성하는 가장 후단 위치에 각각 계지함으로써, 펜촉의 외장체로부터의 출몰을 가능하게 하는 출몰식 필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출몰식 필기구에서는, 계지 해제 시에, 볼록부(계지부(26a))가 계지 수용부(28b)를 피하여 지나가기 때문에, 그 만큼 원주 방향으로 안내로의 폭이 필요하게 되어 외장체의 외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디자인이 제한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펜촉 몰입 조작이 용이하며 조작성을 해치지 않고서 외장체를 세신(細身)으로 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장체 내에 수용되는, 선단에 펜촉을 구비한 필기구 본체를, 조작에 의해서 전후 이동시키고,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배치한 볼록부를, 외장체에 형성한 안내로에 의해서 펜촉 돌출 계지부와 펜촉 몰입 계지부로 안내하여, 외장체 선단의 개구부로부터 펜촉의 돌출 상태와 몰입 상태를 각각 형성하는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 내에,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과,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을 형성하고,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의 측벽을,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로 한 출몰식 필기구를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출몰식 필기구는, 외장체에 형성한 안내로 내에, 볼록부를 외장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과, 볼록부를 외장체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을 형성하고,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의 측벽을,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로 하고, 볼록부를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이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볼록부의 이동 궤적으로서의 안내로를 계지부를 피한 경로로서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안내로의 원주 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출몰식 필기구의 축을 가늘게 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내로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돌출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벽부보다도, 볼록부가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몰입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벽부가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볼록부를,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 펜촉 돌출 계지부로 이동시킬 때보다도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 펜촉 몰입 계지부로 이동시킬 때 쪽이, 짧은 조작 스트로크로 계지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펜촉의 몰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펜촉을 외장체 내에 수납하여 손상시키는 것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외장체(1)의 선단부의 종단면 사시도.
도 3은 외장체(1)의 선단부의 종단면 정면도.
도 4는 외장체(1)의 후방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외장체(1)의 후방부 확대 정면도.
도 6은 필기구 본체(2)의 사시도.
도 7은 필기구 본체(2)의 종단면 정면도.
도 8은 펜촉(3)의 정면도.
도 9는 펜촉 홀더(15)의 종단면 정면도.
도 10은 필기구 본체(2)의 선단 부분의 사시도.
도 11은 필기구 본체(2)의 후방 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조작 부재(8)의 정면도.
도 13은 조작 부재(8)의 종단면 정면도.
도 14는 조작 부재(8)의 잉크 흡장체(14)를 삽입하는 방향인 전방에서 본 도면.
도 15는 덮개(9)의 사시도.
도 16은 덮개(9)의 측면도.
도 17은 덮개(9)의 내측을 도시하는 단면 정면도.
도 18은 환상 부재(13)의 사시도.
도 19는 환상 탄성체(12)의 종단면 사시도.
도 20은 클립(4)의 사시도.
도 21은 클립(4)의 하방에서 본 도면.
도 22는 기초부(5)의 사시도.
도 23은 기초부(5)의 측면도.
도 24는 기초부(5)의 종단면도.
도 25는 기초부(5)의 하방에서 본 도면.
도 26은 회전자(7)의 사시도.
도 27은 회전자(7)의 상방에서 본 도면.
도 28은 본 필기구의 각 부품을 전개한 사시도.
도 29는 기초부(5)를 외장체(1)에 끼워 넣는 모습을 도시하는, 기초부(5)의 전방 계합 돌기(5a) 및 후방 계합 돌기(5b)의 종단면 정면도.
도 30은 기초부를 외장체(1)에 끼워 넣는 모습을 도시하는, 기초부(5)의 중심에서 컷트한 종단면도.
도 31은 외장체(1)에 기초부(5)를 배치하여 후방에서 본 정면도.
도 32는 덮개(9)의 회전과 필기구 본체(2)의 전진 동작을 설명하는 본 필기구의 전방 종단면 정면도.
도 33은 덮개(9)의 회전과 필기구 본체(2)의 전진 동작을 설명하는 본 필기구의 외장체(1) 및 환상 탄성체(10)의 전방 종단면 정면도.
도 34는 도 32의 단계(1)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5는 도 32의 단계(2)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6은 도 32의 단계(3)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7은 도 32의 단계(4)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8은 도 32의 단계(5)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9는 도 32의 단계(6) 전방 확대 정면도.
도 40은 본 필기구의 안내로를 도시하며, 상방에서 본 정면도.
도 41은 도 40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42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전진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제1 경사벽(4d)에 안내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제2 경사벽(1o)에 안내된 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펜촉 돌출 계지부(1p)에 계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6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펜촉 돌출 계지부(1p)로부터 전진하여, 제3 경사벽(4e)에 안내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7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제3 경사벽(4e)에서 안내된 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도 47의 상태에서 후퇴하여, 제4 경사벽(1q)에서 안내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외장체(1)의 선단부의 종단면 사시도.
도 3은 외장체(1)의 선단부의 종단면 정면도.
도 4는 외장체(1)의 후방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외장체(1)의 후방부 확대 정면도.
도 6은 필기구 본체(2)의 사시도.
도 7은 필기구 본체(2)의 종단면 정면도.
도 8은 펜촉(3)의 정면도.
도 9는 펜촉 홀더(15)의 종단면 정면도.
도 10은 필기구 본체(2)의 선단 부분의 사시도.
도 11은 필기구 본체(2)의 후방 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조작 부재(8)의 정면도.
도 13은 조작 부재(8)의 종단면 정면도.
도 14는 조작 부재(8)의 잉크 흡장체(14)를 삽입하는 방향인 전방에서 본 도면.
도 15는 덮개(9)의 사시도.
도 16은 덮개(9)의 측면도.
도 17은 덮개(9)의 내측을 도시하는 단면 정면도.
도 18은 환상 부재(13)의 사시도.
도 19는 환상 탄성체(12)의 종단면 사시도.
도 20은 클립(4)의 사시도.
도 21은 클립(4)의 하방에서 본 도면.
도 22는 기초부(5)의 사시도.
도 23은 기초부(5)의 측면도.
도 24는 기초부(5)의 종단면도.
도 25는 기초부(5)의 하방에서 본 도면.
도 26은 회전자(7)의 사시도.
도 27은 회전자(7)의 상방에서 본 도면.
도 28은 본 필기구의 각 부품을 전개한 사시도.
도 29는 기초부(5)를 외장체(1)에 끼워 넣는 모습을 도시하는, 기초부(5)의 전방 계합 돌기(5a) 및 후방 계합 돌기(5b)의 종단면 정면도.
도 30은 기초부를 외장체(1)에 끼워 넣는 모습을 도시하는, 기초부(5)의 중심에서 컷트한 종단면도.
도 31은 외장체(1)에 기초부(5)를 배치하여 후방에서 본 정면도.
도 32는 덮개(9)의 회전과 필기구 본체(2)의 전진 동작을 설명하는 본 필기구의 전방 종단면 정면도.
도 33은 덮개(9)의 회전과 필기구 본체(2)의 전진 동작을 설명하는 본 필기구의 외장체(1) 및 환상 탄성체(10)의 전방 종단면 정면도.
도 34는 도 32의 단계(1)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5는 도 32의 단계(2)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6은 도 32의 단계(3)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7은 도 32의 단계(4)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8은 도 32의 단계(5) 전방 확대 정면도.
도 39는 도 32의 단계(6) 전방 확대 정면도.
도 40은 본 필기구의 안내로를 도시하며, 상방에서 본 정면도.
도 41은 도 40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42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전진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제1 경사벽(4d)에 안내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제2 경사벽(1o)에 안내된 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펜촉 돌출 계지부(1p)에 계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6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펜촉 돌출 계지부(1p)로부터 전진하여, 제3 경사벽(4e)에 안내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47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제3 경사벽(4e)에서 안내된 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은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도 47의 상태에서 후퇴하여, 제4 경사벽(1q)에서 안내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출몰식 필기구는, 선단에 개구부를 갖는 외장체 내에, 필기구 본체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여, 필기구 본체가 선단에 갖는 펜촉을 외장체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한 것이다.
외장체는, 1 부품 또는 전축과 후축 등의 2 부품 이상의 부재를 조립한 것으로 할 수 있고, 필기구 본체를 교환식으로 할 수도 있다. 외장체의 선단 개구부로부터의 펜촉의 출몰을 계지하기 위해서, 외장체 내에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를 배치하여, 필기구 본체를 항상 후방 압박하거나 하여, 펜촉 돌출 또는 몰입의 계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필기구 본체의 출몰 계지 상태로 하는 조작은, 후단부에 노크관을 배치하거나 측부에 조작편을 배치하는 등, 종래의 출몰식 필기구에서 알려진 구조를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필기구 본체는, 선단에 펜촉을 구비하고, 측부에 상술한 출몰 계지를 위한 볼록부를 갖고 있다. 펜촉은, 볼펜 칩, 섬유 수속체, 우레탄 등의 다공질체, 연통 구멍을 갖는 합성수지 등, 내장하는 잉크를 삽입 관통시키는 펜 리필 타입으로 된 것이나, 자기 마모에 의해 필적을 형성하는 연필심을 조출하는 샤프펜슬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기구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한 것으로 하거나, 금속 재료의 조성이 변형된 것으로 하거나, 이들을 조합시킨 것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필기구 본체를, 잉크를 수용한 펜 리필 타입의 것으로 하는 경우, 내장하는 잉크는, 섬유 수속체 등에 함침시키더라도, 잉크 탱크 내에 자유 상태로 수용하더라도 좋고, 파이프 내에 직접적으로 수용한 잉크의 후단에, 잉크의 감량에 따라 이동하는 잉크 계면에 접촉하여 추종하는 고점도 유체 등의 잉크 팔로워를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수용되는 잉크는, 물을 주매체로 하는 수성 잉크라도, 유기 용제를 주매체로 하는 유성 잉크라도 좋고, 착색 성분으로서는 염료, 안료, 염료와 안료 양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당류나 수지 성분을 용해시키거나 미립자를 분산시키거나 하여, 잉크의 점도나 전단 감점성(shear thinning) 등의 리올로지 특성을 조정한 잉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잉크 이외에 액상의 화장료 등을 수용할 수도 있다.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형성하는, 펜촉 출몰 계지를 위한 볼록부는, 필기구 본체의 측부를 구성하는 부품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볼록부를 갖는 별도의 부재를 조립하여 배치하는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외장체에는, 필기구 본체의 전후 이동 조작에 따라, 필기구 본체가 갖는 볼록부가 이동하는 안내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로 내부는, 볼록부가 계지함으로써, 펜촉의 외장체 선단의 개구부로부터의 돌출 상태를 형성하는 펜촉 돌출 계지부와 몰입 상태를 형성하는 펜촉 몰입 계지부를 갖고 있다. 어느 계지나 상술한 코일 스프링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안내로의 벽에 눌린 상태에서 계지되는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요철을 타고 넘거나 함으로써 착탈할 수 있는 감합 계지 구조라도 좋다.
안내로는, 예컨대 외장체의 축통 부분에 형성한 구멍이나 홈, 클립 등의 외측에 돌출 배치된 외장체 일부에 형성한 구멍이나 홈이라도 좋다. 어떻든 간에 필기구 본체 측부의 볼록부가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가 되면 된다. 상술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에 의해서 필기구 본체를 후방 압박한 경우에는, 안내로의 후방에 배치되는 펜촉 몰입 계지부에 탄발 부재에 눌리는 상태로 계지되고, 탄발 부재에 대항하여 필기구 본체를 전진 조작시켰을 때에, 필기구 본체의 볼록부가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펜촉 돌출 계지부에 미끄럼 이동 안내되어, 탄발 부재의 후방 압박력에 의해서 펜촉의 돌출 상태로 계지된다.
이 펜촉 돌출 상태와 펜촉 몰입 상태의 각각을 계지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각 계지부에는 탄발 부재의 압박력이나 요철 감합의 감합력을 받아 볼록부를 계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의 벽 부분이 필요하게 되며, 적어도 앞쪽에 위치하는 펜촉 돌출 계지부의 그 벽 부분을 우회하는 경로가 필요하게 된다. 이 우회 경로로 안내하기 위해서, 안내로 내에는,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원주 방향 안내 경사벽과,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출몰식 필기구에서는 특히 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의 측벽을, 볼록부가 계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의 벽 부분이며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이동 규제부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록부를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이,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벽에 의해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를 겸하고 있으므로, 그 만큼 안내로의 원주 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출몰식 필기구의 축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내로에 있어서, 필기구 본체의 볼록부가,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돌출 계지부에 이르는 길인 왕로(往路)와,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몰입 계지부에 이르는 길인 복로(復路)에 있어서, 각각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벽부를 다르게 함으로써, 왕로와 복로에서의 조작 스트로크를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의 이동 규제부가 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의 측벽을 겸하여 원주 방향의 이동 폭을 좁게 설정하기 때문에, 왕로와 복로 각각의 가장 선단 위치로 볼록부를 안내하는 원주 방향 안내 경사벽을, 외장체의 직경 방향으로 적층된 것처럼 형성함으로써, 안내로의 폭이 극소(極小)가 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기구의 펜촉 방향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 그리고 필기구의 길이 방향의 축선으로부터 필기구의 외측벽에 배치된 클립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 그 반대쪽의 축선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고, 필기구의 축선과 클립을 연결하는 선 및 축선과의 수선 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장체(1)의 내부에는, 펜촉(3)을 선단에 구비한 필기구 본체(2)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외장체(1)의 선단에는 펜촉(3)의 돌출구로서의 선단 개구부(1a)가 마련되어 있고, 후단에는 필기구 본체(2)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부재(8)의 돌출구로서의 후단 개구부(1b)가 마련되어 있다. 선단 개구부(1a)의 내면에는 덮개(9)와 맞닿는 환상 탄성체(10)가 끼워져 들어가 고정되어 있고, 그 덮개(9)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9)와 환상 탄성체(10)가 둘레를 도는 원주 형상으로 맞닿아,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하고 있다.
외장체(1)의 내부에는, 후단부를 필기구 본체(2)의 견부(肩部)(2c)에 맞닿게 한 코일 스프링(11)이 배치되어 있어 필기구 본체(2)를 후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세경부(細徑部)(2a)에는, 환상 탄성체(12)가 끼워져 있고, 코일 스프링(11)의 전단부를 환상 탄성체(12)에 맞닿게 하여, 환상 부재(13)를 통해 덮개(9)를 전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환상 탄성체(12)가 외장체(1)의 내벽과 기밀한 형태로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펜촉(3)이 존재하는 공간의 후방 밀폐 상태를 형성하여, 덮개(9)의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의 폐색에 의해서 펜촉(3)이 존재하는 공간을 외기와 차단할 수 있다. 필기구 본체(2)에는, 볼록부(7a)를 갖는 링인 회전자(7)가 원주 위를 회동할 수 있으면서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규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필기구 본체(2)의 내부에는, 잉크 흡장체(14)에 잉크가 함침되어 수납되어 있다.
외장체(1)의 후방 측면에는, 기초부(5)와 코일 스프링(6)을 통해 클립(4)이 배치되어 있다.
외장체(1)의 선단부의 종단면 사시도인 도 2 및 외장체(1)의 선단부의 종단면 정면도인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단 개구부(1a)의 후방에는, 대직경부의 전방에 소직경부를 갖는 환상 탄성체(1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부(1G)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는 외장체(1)의 내측면에서 마주보도록 베어링부(1c)가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1c)에는, 덮개(9)의 회전축(9c)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전방 및 상하에 벽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전방의 벽(수용면(1d))의 상하에 설치된 벽(개구 스토퍼(1h) 및 폐색 스토퍼(1i)) 사이의 거리는, 회전축(9c)이 상하 이동하기 위한 거리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베어링부(1c)는 상방으로 긴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용면(1d)에는, 외장체(1)의 전방을 향하여 서로의 측면의 거리가 작아지는 테이퍼를 이룬 개방 오목부(1e)와 폐색 오목부(1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방 오목부(1e)와 폐색 오목부(1f)의 사이에는, 개방 오목부(1e)와 폐색 오목부(1f)를 잇는 테이퍼면을 연장 형성하여, 수용면(1d)보다도 후방으로 신장된 중앙 돌출부(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중앙 돌출부(1g)의 꼭대기부는 덮개(9)의 회전축(9c)에 형성된 오목 캠부(9g)와 맞닿기 때문에, R 곡면을 이루고 있다.
개방 오목부(1e), 폐색 오목부(1f) 및 중앙 돌출부(1g)가, 베어링부(1c)에 형성된 이빨에 해당하는 부분(랙부)이다.
이 랙부의 양끝에는, 덮개(9)의 개구 시 및 폐구 시의 동작의 종점을 규정하는 개구 스토퍼(9h)와 폐색 스토퍼(9i)가 각각 맞닿는, 개구 스토퍼 접촉벽(1h)과 폐색 스토퍼 접촉벽(1i)이 형성되어 있다. 폐색 스토퍼 접촉벽(1i)은, 환상 부재(13)의 측벽부(13b)와 대향하도록 개구 스토퍼 접촉벽(1h)보다도 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개방 오목부(1e)는, 덮개(9)가 개구 상태에 있을 때, 덮개(9)의 회전축(9c)에 형성된 개방 캠 돌기(9f)가 개방 오목부(1e)의 바닥부와 맞닿고, 또한 폐색 오목부(1f)는, 덮개(9)가 폐색 상태에 있을 때, 덮개(9)의 폐색 캠 돌기(9d)의 바닥부가 맞닿아, 덮개(9)의 전방으로의 규제를 하고 있다. 베어링부(1c)의 후방은 벽이 없는 해방된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외장체(1)에 덮개(9)를 배치할 때에, 덮개(9)가 후방으로부터 삽입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덮개(9)의 후방 이동 규제는, 덮개(9)의 후방에 배치하는 환상 부재(13)의 접촉면(13c)에서 행한다.
외장체(1)의 후방부 확대 사시도인 도 4 및 외장체(1)의 후방부 확대 정면도인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장체(1)의 후방 외주면에는, 회전자(7)의 볼록부(7a)를 안내하는 안내로인 창구멍(1k)이 형성되어 있다. 창구멍(1k)은, 필기구 본체(2)를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삽입할 때에, 후술하는 회전자(7)의 외주 측면에 형성한 볼록부(7a)가 들어가기 쉽도록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 형성되어 있다. 창구멍(1k)은, 후방이 회전자(7)의 볼록부(7a)보다도 약간 폭넓게 이뤄진 협폭부(1m), 전방은 원주 방향 한 쪽으로 넓은 광폭부(1n)로 되어 있다. 창구멍(1k)의 광폭부(1n)의 전방에는 제2 경사벽(1o)이 마련되어 있다. 제2 경사벽(1o)의 협폭부(1m)가 있는 쪽과 반대쪽의 원주 방향 후방에는, 펜촉(3)의 선단 개구부(1a)로부터의 돌출 상태를 형성하는 펜촉 돌출 계지부(1p)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벽(1o)은, 협폭부(1m)가 있는 측에서부터 펜촉 돌출 계지부(1p)가 있는 측에 걸쳐서 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회전자(7)의 볼록부(7a)를 원주 방향으로 변이 안내할 수 있다. 창구멍(1k)의 광폭부(1n) 후방에는 제4 경사벽(1q)이 형성되어 있다. 제4 경사벽(1q)은, 펜촉 돌출 계지부(1p)가 있는 측에서부터 협폭부(1m)가 있는 측에 걸쳐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회전자(7)의 볼록부(7a)를 원주 방향으로 변이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외장체(1)의 창구멍(1k)의 협폭부(1m)의 후방에는, 협폭부(1m)의 폭을 더욱 작게 한 돌출부(1r)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r)는, 단차부(1s)와, 후방의 측면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창구멍의 폭을 좁게 한 경사면(1t)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삽입되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통과하기 쉽고, 또한 코일 스프링(10)에 의해서 후방으로 압박된 필기구 본체(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이 돌출부(1r)는, 클립(4)을 조립할 때 임시로 누르는 것으로, 필기구 사용 시에는 이 돌출부(1r)가 파손되더라도 후술하는 클립(4)의 기단부(4a)에 형성한 돌출부(4g)가 곧바로 뒤에 삽입되어 펜촉 몰입 계지부(1u)로 되어, 필기구 본체(2)의 후방으로의 압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창구멍(1k) 내에 있어서, 펜촉 돌출 계지부(1p)와 펜촉 몰입 계지부(1u)를 갖는 안내로(1v)가 형성된다.
돌출부(1r)보다도 후방의 외주면에는,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에서부터 전방을 향하여 기초부(5)를 부착하기 위한 기초부 부착부(1w)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장체(1)는, 전방에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펜촉(3)을 수납하는 밀폐부와 후방에 클립(4)을 부착하기 위한 기초부가 부착되는 기초부 부착부(1w) 및 기초부 부착부(1w)의 전방에 형성한 안내로(1v)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장체(1)는 1 부품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성형성이나 조립성에 따라서 복수의 부품을 나사 결합이나 요철부에 의한 감합 압입으로 일체로 한 외장체(1)로 하여도 좋다.
기초부 부착부(1w)는, 창구멍(1k)에 의해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된 외주면의 양 가장자리를 다리를 놓는 식으로 형성한 가교부(1A)와, 그 양측에 형성하여 가교부(1A)의 상부면보다도 한 단계 내려간 평면을 가진 계합부(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 형성한 창구멍(1k)에 의해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된 외장체(1) 후방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 부착부(1w)에는, 계합 구멍(전방 계합 구멍(1C), 후방 계합 구멍(1D))이 계합부(1B) 내에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 부착부(1w)의 양 측면에는, 기초부(5)와의 접속 부분을 옆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눈가림벽(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장체(1)의 외주면에는 기초부 부착부(1w)의 전단부에서부터 창구멍(1k)을 따라서 전방을 향한 보호벽(1F)이 형성되어 있다. 몰입 상태에 있어서 외장체(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자(7)의 볼록부(7a)를 보호하는 역할로 되어 있다. 또한 보호벽(1F)의 전방 단부면은 전방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져, 비사용 시에 클립에 종이 등을 끼웠을 때에 걸리는 일없이 안내할 수 있다.
필기구 본체(2)는, 기체 투과가 적고, 성형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선단에 펜촉(3)을 가지고, 내부에 잉크 흡장체(14)를 구비하고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사시도인 도 6과 필기구 본체(2)의 종단면 정면도인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필기구 본체(2)는 전후단에 개구부를 가진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외형은, 세경부(2a)와 태경부(太徑部)(2b)와 그 사이의 견부(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경부(2a)는 선단에서 돌출된 펜촉(3)을 주로 수용하고, 태경부(2b)는 잉크 흡장체(14)를 수용하고 있다.
펜촉(3)의 정면도인 도 9에 도시하는 펜촉(3)은, 필기부(3a)와 필기부(3a)보다도 세경의 잉크 흡장체(14)와 접속하는 접속부(3b)로 이루어져 있다. 펜촉(3)은 필기부(3a)가 후술하는 펜촉 홀더(15)에 압입 고정되고, 펜촉 홀더(15)의 선단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으로 필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펜촉(3)의 접속부(3b)는, 후방의 일부에서부터 후단을 향하여 가늘어지는 테이퍼부(3d)가 형성되어 있고, 그 테이퍼부(3d)의 일부 또는 스트레이트부에 이를 때까지 잉크 흡장체(14)의 선단에 매몰형으로 접속되어, 잉크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3b)에 테이퍼부(3d)를 형성함으로써, 잉크 흡장체(14)에 접속하기 쉽게 된다. 잉크 흡장체(14)에 접속부(3b)가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잉크 흡장체(14)를 내측에서 눌러, 잉크 흡장체(14)의 압박 부분의 섬유 밀도가 서서히 높아짐으로써, 잉크 흡장체(14) 중에 함침된 잉크가 모관력에 의해 섬유 밀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어, 펜촉(3)에의 잉크 공급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펜촉 홀더(15)는, 펜촉 홀더(15)의 종단면 정면도인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형상체이며 전방에 펜촉(3)을 압입 고정하는 압입 고정부(15a)가 형성되고, 펜촉(3)의 필기부(3a)와 접속부(3b)의 사이에 형성한 단차부(15c)와 압입 고정부(15a)의 단차부(15b)가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있다. 펜촉 홀더(15)는 필기구 본체(2)의 세경부(2a) 내부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그 펜촉 홀더(15)는 성형 부품이며,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필기구 본체(2) 내부에 펜촉 홀더(15)를 압입 고정하고자 하면 필기구 본체(2)의 세경부(2a)가 직경 확장된다. 그 때문에, 펜촉 홀더(15)의 외경과 필기구 본체(2)의 세경부(2a)의 내측면에 형성한 유지 리브(2d)의 내접경은 헐거운 압입 관계로 되어 있다. 그러나, 펜촉 홀더(15)의 필기구 본체(2)로부터의 빠짐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펜촉 홀더(15)의 중간부에는 홈부(15c)가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15c)에, 필기구 본체(2)의 유지 리브(2d)의 후방에 형성한 C 형상의 펜촉 누름 볼록부(2e)가 걸리고 있다. 이에 따라, 펜촉 홀더(15)의 필기구 본체(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필기구 본체(2)의 대직경부(2b)의 잉크 흡장체(14)를 수용하는 내측벽에는 리브(2f)가 형성되어, 잉크 흡장체(14)가 삽입될 때의 안내를 하고 있다.
또한, 태경부(2b) 외주면의 전방에는 돌기(2l)와 반대의 측면에 흔들림 방지 리브(2r)가 형성되어, 필기구 본체(2)가 외장체(1) 내에서 전후 이동할 때의 직경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있다.
더욱이, 필기구 본체(2)의 태경부(2b)의 후방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8)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2s)와, 그 전방에 내부 공간을 액밀 상태로 하기 위해서 볼록부(2t)가 둘레를 도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선단 부분의 사시도인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필기구 본체(2)의 전단면에는, 덮개(9)의 내측 캠부(9j)와 부딪쳐 접촉하여 덮개(9)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오목 곡면(2g)이 마련되어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오목 곡면(2g)은 제1, 제2 2개 곡률반경을 갖는 오목 곡면으로 되어 있고, 필기구 본체(2)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제1 곡면의 곡률반경이 제2 곡면의 곡률반경보다도 큰 곡면이면서 또한 2개의 곡면 사이는 최대한 각지지 않도록 완만하게 이어져 있다. 덮개(9)의 내측 캠부(9j)는 오목 곡면(2g) 위를 제2 곡면에서 제1 곡면으로 이동한다. 또한, 오목 곡면(2g)의 일부에는 모따기부(2h)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덮개(9)가 회전하여, 내측 캠부(9j)가 필기구 본체(2)의 오목 곡면(2g)으로부터의 이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캠부(9j) 및 오목 곡면(2g)의 모서리부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어, 반복 사용하여도 동작 불량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세경부(2a)의 내측면과 펜촉 홀더(15)의 외측면의 사이에는, 필기구 본체(2)의 내부와 외부를 기체가 통행할 수 있게 필기구 본체(2)에 공기 홈(2k)이 마련되어 있다.
필기구 본체(2)의 후방 부분의 사시도인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필기구 본체(2)의 태경부(2b)의 후방 외주면에는, 돌기(2l)가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외장체(1)의 측부에 형성된 창구멍(1k)을 통하여 외장체(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기(2l)는, 후방으로 압박된 필기구 본체(2)가 펜촉(3) 몰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펜촉 몰입 계지부(1u)와 계지되어 있다.
돌기(2l)의 전방에는, 후술하는 단면 형상이 C자형인 회전자(7)를 회동이 자유롭게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2m)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m)는, 단면이 회전자(7)의 단면 형상에 맞춰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자(7)가 회전하는 범위에서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2m)는, 전방이 원주 방향으로 발이 짧은 C자 형상부(2n)와 후방이 원주 방향으로 발이 긴 C자 형상부(2o)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8)의 정면도인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작 부재(8)의 후방에는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노출되며 필기구 본체(2)를 누르기 위한 노크부(8a)와 전방에 삽입부(8b)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8b)는 필기구 본체(2)의 태경부(2b)의 안쪽으로 삽입 상태로 액밀하게 나사 결합하여, 조작 부재(8)의 내부 공간에까지 잉크 흡장체(14)가 개재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8)의 삽입부(8b)의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부(8c)와 필기구 본체(2)의 암나사부(2s)의 나사 결합은 한 줄 나사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줄 나사로 하여도 좋다. 또한, 필기구 본체(2)와 조작 부재(8)가 액밀하게 착탈이 가능하면 타고 넘는 리브로서 감합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부재(8)와 필기구 본체(2)를 삽입 상태에서 액밀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 부재(8)의 수나사부(8c)의 전방에 필기구 본체(2)의 볼록부(2t)와 감합하는 오목 형상의 접촉부(8d)를 두고 있지만, 상기 접촉부(8d)는 볼록 형상이나 평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촉부(8d)를 오목 형상으로 함으로써, 필기구 본체(2)에 형성한 암나사부(2s)에 접촉하여 접촉부(8d)의 표면에 상처 등을 생기게 하는 일없이 조작 부재(8)를 삽입할 수 있다.
조작 부재(8)의 종단면 정면도인 도 13 및 조작 부재(8)의 잉크 흡장체(14)를 삽입하는 방향인 전방에서 본 도인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작 부재(8)의 내벽의 바닥부와 내측벽에는 복수의 리브(8e)가 형성되며, 특히 내측벽의 리브(8e)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조작 부재(8)의 내부와 잉크 흡장체(14) 사이에 필기구 본체(2)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고 있음과 더불어, 리브(8e)에 의해서 잉크 흡장체(14)가 협지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조작 부재(8)를 필기구 본체(2)로부터 떼어낼 때에 잉크 흡장체(14)가 필기구 본체(2)와 함께 떼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기구 본체(2)의 복수의 리브(2f)는, 잉크 흡장체(14)를 삽입할 때의 가이드 역할로 리브(2f)의 내접원 직경은 잉크 흡장체(14)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수용 시에는 필기구 본체(2)의 복수의 리브(2f)에는 유지되지 않는다. 잉크 흡장체(14)는 전단부로부터 접속된 펜촉(3)의 접속부(3b)와 조작 부재(8)의 복수의 리브(8e)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잉크 흡장체(14) 중에 함침하는 잉크가 소비되어 적어지거나 잉크가 없어지거나 했을 때에, 조작 부재(8)와 함께 잉크 흡장체(14)를 뽑아내어, 재차 잉크를 함침시키거나 잉크 흡장체(14)마다 교환하거나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조작 부재(8)의 내측벽의 복수의 리브(8e)는, 횡단면이 판형이며 내접원 직경 및 잉크 흡장체(14)와 접촉하는 꼭대기부의 면의 폭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 복수의 리브(8e)의 전방 단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조작 부재(8)의 내측면으로 잠입하는 것과 같은 테이퍼부(8f)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8f)는, 잉크 흡장체(14)를 조작 부재(8)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 되어 있으며, 잉크 흡장체(14)를 걸림 없이 조작 부재(8)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8e)의 후방에는, 내접원 직경을 작게 한 수용 리브(8g)가 조작 부재(8)의 내벽의 바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다. 잉크 흡장체(14)의 단부가 수용 리브(8g)와 접촉함으로써 잉크 흡장체(14)의 삽입 완료로 하고 있다. 수용 리브(8g)를 마련함으로써, 잉크 흡장체(14)의 단부와 조작 부재(8) 내벽의 바닥부의 사이에 공간이 생겨, 복수의 리브(8e)에 의한 통기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충격 등에 의해 잉크 흡장체로부터 잉크가 새었을 때는 잉크를 유지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조작 부재(8)의 상부면에는 중심부에 오목부(8h)가 형성되고, 또한 오목부(8h)보다도 직경이 크고 깊이가 얕은 단차부(8i)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h)는, 사출 성형할 때의 게이트부로 되고, 이형(離型) 시에 발생하는 게이트 잔류분이 조작 부재(8)의 단부면보다도 돌출되지 않게 깊은 홈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8i)는 시일을 붙이기 위한 단차부이며, 미전(尾栓)(5)의 단부면보다도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시일을 붙임으로써 게이트 흔적을 숨길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잉크 흡장체(14)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성 필름으로 측벽을 덮고 있어, 교환 시에 닿더라도 손을 더럽히지 않게 되어 있다.
덮개(9)의 사시도인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9)는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를 막을 수 있는 구상(球狀)의 덮개부(9a)와, 원주상의 회전축(9c)을 외측에 돌출 형태로 구비하는 측벽부(9b)를 갖고 있다. 또한, 회전축(9c)의 꼭대기부는, 덮개(9)가 외장체(1)의 내부에서 회전 및 이동했을 때에 외장체(1)와 간섭하지 않도록 경사가 있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9)에는 절결부(9l)가 마련되어 있고, 이로써 덮개(9)의 방향을 시인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있다.
덮개(9)의 회전축(9c)에는, 측벽부(9b)를 도 16의 방향(측면)에서 봤을 때에, 덮개부(9a) 방향을 향해서 돌출 형성된 폐색 캠 돌기(9d)와, 그 폐색 캠 돌기(9d)와 90도의 방향에서 외측 캠부(9e)와 역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개방 캠 돌기(9f)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 캠 돌기(9d) 및 개방 캠 돌기(9f)는 각각 회전축(9c)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폭이 작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9c)의 폐색 캠 돌기(9d)와 개방 캠 돌기(9f)의 사이에는, 회전축(9c)의 중심을 향하여 오목 캠부(9g)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 캠부(9g)는 양 측면이 회전축(9c)의 중심을 향하여 그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테이퍼로 되어 있고, 외장체(1)의 베어링부(1c)의 중앙 돌출부(1g)의 꼭대기부와 접하기 때문에, 대략 타원형의 곡면으로 연접되어 있다.
폐색 캠 돌기(9d), 개방 캠 돌기(9f) 및 오목 캠부(9g)가 상술한 회전축(9c)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톱니바퀴에 해당하는 부분(톱니바퀴부)이다.
회전축(9c)에 이러한 폐색 캠 돌기(9d), 개방 캠 돌기(9f) 및 오목 캠부(9g)로 이루어지는 톱니바퀴부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축(9c)이 굴러가도록 회전 및 상하 이동하는 동작을 근사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
회전축(9c)의 톱니바퀴부의 양끝에는 모서리부를 형성하고, 덮개(9)의 개구 시 및 폐색 시의 동작의 종점을 규정하는 개구 스토퍼(9h), 폐색 스토퍼(9i)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스토퍼(9h)는 덮개(9)의 개구 동작에 있어서의 종점을 규제하는 것으로, 외장체(1)의 베어링부(1c)에 형성한 평면의 개구 스토퍼 접촉벽(1h)과 맞닿음으로써 덮개(9)의 개구 동작의 종점을 규정한다. 한편 폐색 스토퍼(9i)는 덮개(9)의 폐색 동작에 있어서의 종점을 규제하는 것으로, 외장체(1)의 베어링부(1c)에 형성한 평면의 폐색 스토퍼 접촉벽(1i)과 맞닿아, 덮개(9)의 폐색 동작을 규정한다.
또한, 덮개(9)의 측벽부(9b) 사이 부분은 공간 부분으로 되어 있어, 덮개(9)가 회전 및 이동하여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를 개방했을 때는, 펜촉(3) 및 필기구 본체(2)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외측 캠부(9e)에는 캠면(9k)이 있고, 캠면(9k)에서 환상 부재(13)를 통해 코일 스프링(11)에 의한 전방 압박력을 받고, 덮개(9)는 회전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덮개(9)의 내측을 도시하는 단면 정면도인 도 17과 같이, 측벽부(9b)의 내측에는 내측 돌기인 내측 캠부(9j)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캠부(9j)는 필기구 본체(2)의 전진에 의해서 필기구 본체(2)와 부딪쳐 접촉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부(9b) 상에서, 내측 캠부(9j)와 덮개부(9a)를 가장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고 있다. 내측 캠부(9j)와 덮개부(9a)를 최대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덮개부(9a)와, 필기구 본체(2)와 덮개(9)의 내측 캠부(9j)의 접촉점까지의 사이에 넓은 공간을 마련할 수 있어, 덮개(9)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 펜촉(3)의 가장 선단 위치에서부터 필기구 본체(2)와 덮개(9)의 내측 캠부(9j)의 접촉점까지의 길이 방향의 거리를 벌 수 있어, 필기구 본체(2)의 선단에 긴 펜촉(3)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캠부(9j)에서부터 회전축(9c)까지의 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어, 보다 작은 노크 하중으로 덮개(9)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내측 캠부(9j)는 필기구 본체(2)로부터 하중을 받아, 덮개(9)를 회전 및 이동시키는 부위이기 때문에, 내측 캠부(9j)가 지나치게 작으면 동작 중에 파손될 우려가 있어, 열가소성 수지로 덮개(9)를 만드는 경우, 내측 캠부(9j)의 단면적은 0.2 ㎟ 이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내측 캠부(9j)를 크게 하면, 내측 캠부(9j)와 필기구 본체(2)의 접촉점이 덮개(9)의 회전 및 이동 중에 덮개(9)의 회전축(9c)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접점의 회전 중심과의 거리가 짧게 변화되기 때문에, 이 접촉점이 이동하는 거리를 최대한 작게 하는 것이 노크 하중을 가볍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측 캠부(9j)의 직경은 0.4 mm 이상 5.0 mm 이하로 하고, 접촉점의 이동 거리가 3 m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9)는, 자기 윤활성이 있어 마찰 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9)의 개구 동작이 회전하면서 외장체(1)의 축선에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덮개(9)가 밀접되어 있는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의 내연부에서 멀어지도록 회전한다. 그 때문에, 덮개(9)와 선단 개구부(1a)의 내연부와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아져, 덮개(9)와 선단 개구부(1a)의 내연부의 마모가 억제되어,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9)에는 내마모성이 다소 뒤떨어지는 재질이라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는, 기체 투과가 적은 재료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9)는 형상적으로 대략 コ자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사출성형 시에 덮개(9)의 측벽부(9b)가 내측으로 휘기 쉽다. 이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금형의 수지 유입구인 게이트를 덮개부(9a)의 외측 중앙 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덮개(9)와 선단 개구부(1a)의 접촉을 보다 빠르게 실현시키기 위해서, 덮개부(9a)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9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헤드부(9m)가 형성되고, 이 헤드부(9m)의 꼭대기부에 게이트가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잔류분에 의한 덮개(9)와 선단 개구부(1a)의 문질러짐으로 인한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 게이트 잔류분이 되는 부분의 주위에 오목부(9n)를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게이트의 직경으로서 비교적 크고, 성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유동 후의 보압(保壓)을 충분히 취할 수 있게 한 쪽이 성형 후의 휨이 적어지기 때문에, 게이트 직경을 0.5 mm 이상 0.8 mm 이하로 하는 쪽이 좋다.
환상 부재(13)의 사시도인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환상 부재(13)는 환상 탄성체(12)와 접속하는 접속부(13a)와, 덮개(9)에 전방 압박력을 부여하는 측벽부(13b)를 갖고 있다. 측벽부(13b)의 전단에는 접촉면(13c)이 마련되어 있다. 접촉면(13c) 상에는 돌기(13d)를 갖고 있다. 측벽부(13b)는 후방의 코일 스프링(11)의 탄발력을 접촉면(13c)을 통해 덮개(9)의 외측 캠부(9e)에 전하고, 덮개(9)에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접속부(13a)에는 필기구 본체(2)의 세경부(2a)가 통행할 수 있는 중공부(13e)를 형성하고 있다.
측벽부(13b)의 외측면은 평면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단차부(13f)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차부(13f)는, 외장체(1) 내에 배치했을 때, 후술하는 외장체(1)의 베어링부(1c)의 단부에 형성한 폐색 스토퍼 접촉벽(1i)과 대향하게 되어 있으며, 환상 부재(13)가 외장체(1) 내에서 외장체(1)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환상 부재(13)는 덮개(9)와 미끄럼 접촉하여 덮개(9)를 회전 및 상하 이동시키는 부재이기 때문에, 자기 윤활성이 있어, 마찰 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을 사용하고 있다.
환상 탄성체(12)의 종단면 사시도인 도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환상 탄성체(12)는, 외측에, 덮개(9)가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를 폐색한 상태에서, 외장체(1)의 내면과 기밀하게 접촉하는 외측 밀폐 리브(12a)와 환상 탄성체(12)가 외장체(1) 내부를 미끄럼 이동할 때에 지나치게 기우는 것을 방지한 외측 기울기 방지 리브(12b)를 갖고 있고, 또한 환상 탄성체(12)의 내측에 필기구 본체(2)와 기밀하게 미끄럼 접촉하는 내측 밀폐 리브(12c)를 갖고 있다. 내측 밀폐 리브(12c)는 2줄 리브로 되어 있는데, 이 리브 사이에 후술하는 난휘발성 액상물이 체류함으로써, 필기구 본체(2)와의 밀폐를 확실하게 함과 더불어 미끄럼 이동 저항을 낮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외측 밀폐 리브(12a)와 내측 밀폐 리브(12c)의 형성 위치를 축방향 전후로 변위시킴으로써, 외장체(1)와의 접촉에 의한 외측 밀폐 리브(12a)의 내측으로의 휨과, 필기구 본체(2)와의 접촉에 의한 내측 밀폐 리브(12c)의 외측으로의 휨이 직경 방향에서 맞부딪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필기구 본체(2)가 이동할 때 및 환상 탄성체(1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작게 하고 있다.
환상 탄성체(12)의 전단부에는, 환상 부재(13)의 접속부(13a)와 접속하기 위한 단차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상 탄성체(12)의 후방에, 코일 스프링(11)을 받는 수용 홈(12e)이 형성되고, 이 수용 홈(12e)의 바닥면에 코일 스프링(11)의 전단부가 맞닿고 있다. 이와 같이 수용 홈(12e)을 형성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1)과 환상 부재(13)의 거리가 가깝게 되고, 코일 스프링(11)의 압박력에 의한 환상 탄성체(12)의 변형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으며, 환상 부재(13)에 압박력을 전하기 쉽게 하고 있다.
환상 탄성체(12)와 외장체(1) 및 필기구 본체(2)로 펜촉 밀폐 공간의 후방 밀폐를 행하고 있는데, 환상 탄성체(12)의 내측 밀폐 리브(12c)는 필기구 본체(2)와 미끄럼 이동하면서 밀폐를 행하고, 외측 밀폐 리브(12a)는 외장체(1)와 미끄럼 이동하면서 밀폐를 행한다. 즉, 밀폐를 행하기 위해서, 내측 밀폐 리브(12c)의 내경(도 19의 A부)은 필기구 본체(2)의 외경(도 10의 B부)보다도 작고, 외측 밀폐 리브(12a)의 외경(도 19의 C부)은 외장체(1)의 내경(도 3의 D부)보다도 크게 설정되는데, 이 각 부재 사이의 직경의 차, 즉 B-A 및 C-D가 크면 밀폐는 강고하게 되지만, 필기구 본체(2)의 전후 이동 시에 부하가 되는 마찰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은 나빠진다. 따라서, 양호한 노크감을 얻기 위해서, 노크 하중이 1 kgf 이하가 되면서 또한 충분한 밀폐를 얻을 수 있는 범위로서, 각 부재 사이의 직경의 차가 0.1 mm 이상 0.4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밀폐 리브(12c)와 필기구 본체(2)의 직경의 차를 0.3 mm로 하고, 외측 밀폐 리브(12a)와 외장체(1)의 직경의 차를 0.2 mm로 하고 있다.
캡 내 공간을 기밀하게 유지하는 환상 탄성체(10)와 환상 탄성체(12)의 재질로서는, 부틸 고무 이외에, 이소부틸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에틸렌,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불소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다황화 고무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잉크에 대한 내약품성, 밀폐성에 영향을 주는 내가스투과성이 우수한 것이면 되는데, 부틸 고무이면 내약품성, 내가스투과성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양호한 밀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할로겐화부틸 고무는 압축 영구 왜곡이 작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 시의 탄성 변형을, 정지 시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기 쉬워, 양호한 밀폐와 미끄럼 이동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상 탄성체(12)를 덮개(9)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펜촉(3)의 수용 공간을 작은 것으로 하여, 수용 공간 내에서의 펜촉 건조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다. 특히 가느다란 펜촉(3)인 경우에는, 펜촉(3)의 수용 공간의 크기가 수용 공간 내에서의 펜촉 건조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펜촉 건조를 억제하는 것이다.
각 부재의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에는 난휘발성 액상물을 도포함으로써 미끄럼 접촉 시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다. 난휘발성 액상물로서는, 응고점이 -22℃ 이하, 비점이 145℃ 이상, 점도가 10 mPa·s 이상 500,000 mPa·s(20℃) 이하인 것이면 되고, 합성 윤활유, 광물유, 글리세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인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나 각종 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대두유, 채종유, 옥수수유, 홍화유, 미강유, 면실유, 참기름, 피넛유, 올리브유, 팜유 등의 식물유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윤활유로서는 Α-올레핀(폴리-Α-올레핀), 폴리부텐(폴리이소부틸렌), 알킬벤젠 등의 탄화수소계 합성 윤활유, 디에스테르(이염기산에스테르), 폴리올에스테르(힌더드 에스테르) 등의 지방산에스테르계 합성 윤활유, 실리콘 오일, 규산에스테르, 실란 등의 실리콘계 합성 윤활유,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플루오로에스테르 등의 불소계 합성 윤활유, 페닐에테르,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을 겔화한 것이라도 좋다.
특히, 미끄럼 접촉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합성수지나 고무, 엘라스토머 등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잉크 등의 용제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이형성, 비점착성의 성질을 가지고, 표면장력이 낮고 물질 표면에서 퍼지기 쉬운 성질을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환상 디메틸실록산 등의 스트레이트 실리콘 오일이나, 측쇄 및/또는 양 말단을 유기기에 의해 변성시킨, 아미노 변성, 에폭시 변성, 갈비놀 변성, 머캅토 변성, 카르복실 변성, 메타크릴 변성, 폴리에테르 변성, 페놀 변성, 실라놀 변성, 아랄킬 변성, 플루오르알킬 변성, 장쇄 알킬 변성 고급 지방산에스테르 변성, 고급 지방산 함유 등의 변성 실리콘 오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환상 디메틸실록산 등의 스트레이트 실리콘 오일은, 온도에 의한 점도 변화가 적기 때문에, 환경 변화 등에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상기 부 이외에도, 액밀성을 부여하거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저감하고 싶은 부재에 이들 난휘발성 액상물을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부재의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에는, 난휘발성 액상물로서 응고점이 -50℃ 이하, 비점이 200℃, 점도가 10,000 mPa·s(20℃)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도포하여 개재시키고 있으며, 기밀성과 미끄럼 이동의 낮은 마찰 계수를 실현하고 있다.
클립(4)의 사시도인 도 20 및 클립(4)의 하방에서 본 도 21에 도시하는 클립(4)은, 외장체(1)의 창구멍(1k)을 덮도록 배치된다. 클립(4)의 기단부(4a)에는, 외장체 측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 유지 돌기(4c)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6)에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 유지 돌기(4c)에는, 양 측면에 돌기(4i)와 근원에 코일 스프링 압입부(4j)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압입부(4j)는, 코일 스프링(6)의 내경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갖고 있고, 코일 스프링(6)에 코일 스프링 유지 돌기(4c)가 삽입되면, 압입의 관계가 되어 코일 스프링(6)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4i)가 있음으로써, 압입 후의 코일 스프링(6)이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일 스프링 유지 돌기(4c)에는 외장체(1)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4h)이 마련되어 있다.
기단부(4a)에는 관통 구멍(4g)이 형성되어 있고, 기초부(5)의 돌기(5e)가 삽입됨으로써, 클립(4)이 기초부(5)에 부착되고, 코일 스프링(6)에 의한 상방 압박력을 받은 클립(4)이, 돌기(5e)가 삽입된 관통 구멍(4g)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기단부(反基端部)(4b)가 외장체(1) 측으로 압박된다. 여기서, 슬릿(4h)이 있음으로써, 클립(4)이 기초부(5)에 부착될 때, 관통 구멍(4g)에 돌기(5e)를 삽입하기 때문에, 클립(4)의 기단부(4a)가 일시적으로 횡방향으로 넓어지기 쉽게 되어, 클립(4)의 기초부(5)에의 부착을 용이한 것으로 하고 있다.
클립(4)의 반기단부(4b)에는, 회전자(7)의 볼록부(7a)를 외장체(1)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경사벽(4d)이 돌출되어 있다. 제1 경사벽(4d)의 전방에는 제2 경사벽(1o)이 위치한다. 또한 펜촉 돌출 계지부(1p)의 전방의 위치이며, 제2 경사벽(1o)의 후방이면서 또한 제1 경사벽(4d)의 전방의 위치에는, 펜촉 돌출 계지부(1p)가 있는 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제3 경사벽(4e)이 돌출되어 있다. 제3 경사벽(4e)은, 회전자(7)의 볼록부(7a)의 앞측면이 부딪쳐 접촉함으로써, 볼록부(7a)를, 제2 경사벽(1o)에 의한 원주 방향으로의 안내와, 역방향의 원주 방향으로의 안내를 하기 때문에, 외장체(1)에 형성한 안내로(1v)의 원주 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외장체(1)를 세신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3 경사벽(4e)이 제2 경사벽(1o)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7)의 볼록부(7a)를, 펜촉 몰입 계지부(1u)에서 펜촉 돌출 계지부(1p)로 안내할 때보다, 볼록부(7a)를 전방으로 안내하지 않고서 펜촉 돌출 계지부(1p)에서 펜촉 몰입 계지부(1u)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펜촉(3)의 몰입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제3 경사벽(4e)의 도중에는 규제벽(4f)이 마련되어 있다. 규제벽(4f)에 의해서, 볼록부(7a)가 제3 경사벽(4e)에 의해서 원주 방향으로 안내되고, 필기구 본체(2)의 전진 조작을 해제한 후, 코일 스프링(11)의 후방 압박력에 의해서 필기구 본체(2)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볼록부(7a)가 펜촉 돌출 계지부(1p)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서 확실하게 제4 경사벽(1q)으로 안내된다.
더욱이, 규제벽(4f)은 볼록부(7a)의 꼭대기부와 접촉하여, 약간 클립을 들어 올리도록 높이를 설정하고 있다. 볼록부(7a)가 규제벽(4f)을 통과할 때, 약간 들어 올린 클립이 원래로 돌아가는 충격으로 충격음을 발생하여, 노크 해제의 신호로 하고 있다.
기초부(5)의 사시도인 도 22와, 기초부(5)의 측면도인 도 23, 기초부(5)의 종단면인 도 24 및 기초부(5)의 하방에서 본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초부(5)에는, 기초부 부착부(1w)의 전방 계합 구멍(1C)과 후방 계합 구멍(1D)에 계합하도록 기초부(5)의 양 측면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전후의 계합 돌기(전방 계합 돌기(5a), 후방 계합 돌기(5b))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계합 돌기(5b)에는 원주 방향을 향한 후크부(5d)가 형성되고, 전방 계합 돌기(5a)에는 전방을 향하여 후크부(5c)가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5)의 아래쪽 면의 중앙 전방에는, 외장체(1)의 창구멍(1k)의 협폭부(1m)에 들어가도록 아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5f)를 마련하고 있고, 외장체(1)의 창구멍(1k)의 협폭부(1m)의 양 측연부와 둘러싸는 식으로 하여 펜촉 몰입 계지부(1u)로서의 역할로 되어 있다.
더욱이, 기초부(5)의 아래쪽 면 중에 접촉면(5g)을 형성하고, 외장체(1)의 기초부 부착부(1w)의 가교부(1A)가 맞닿음으로써, 기초부(5)와 외장체(1)의 부착 완료로 하고 있다. 돌출부(5f) 및 후방 계합 돌기(5b)의 후방에는 경사 단차부(5h), 경사 단차부(5i)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단차부(5h), 경사 단차부(5i)가 있음으로써, 기초부(5)를 외장체(1)에 부착할 때에, 전방 계합 돌기(5a)의 후크부(5c)가 걸리지 않게 전방 계합 구멍(1C) 내에 삽입할 수 있어, 셋트하기 쉽게 하고 있다.
회전자(7)의 사시도인 도 26 및 회전자(7)의 상방에서 본 도면인 도 2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회전자(7)는, 필기구 본체(2)의 오목부(2m)의 단면과 동일하게 C자 형상부(7b)를 가지고, 그 양 단부로부터 폭이 좁은 연장부(7c)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회전자(7)를 필기구 본체(2)의 오목부(2m)에 전후 역방향으로 조립했을 때, 회전자(7)의 폭이 짧은 연장부(7c)가 필기구 본체(2)의 오목부(2m)의 발이 짧은 C자 형상부(2n) 및 발이 긴 C자 형상부(2o)와 간섭함으로써 잘못된 부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회전자(7)의 외측면에는, 외장체(1)의 창구멍(1k)에 삽입되어 각 경사벽으로 안내되기 위한 볼록부(7a)가, 외장체(1)의 측부에 마련된 창구멍(1k)을 통하여 외장체(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7a)의 횡단면은 전후로 연장된 장방형이며 전방 양 모서리부에 45°의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후방에 후방 경사면(7d)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형상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외장체(1)의 창구멍(1k) 내에 형성한 안내로를 통과할 수 있고, 또한 펜촉 돌출 계지부(1p)에 계지되어, 펜촉 돌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된다.
이어서, 본 필기구의 각 부품을 전개한 사시도인 도 28에 도시하여, 외장체(1)에 각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외장체(1)에 환상 탄성체(10)를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삽입하여,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의 후방에 성형한 고정부(1G)에 압입 고정한다. 이어서 덮개(9), 환상 부재(13), 환상 탄성체(12) 및 코일 스프링(11)을 순차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삽입한다.
이어서, 펜촉(3), 펜촉 홀더(15) 및 잉크를 충전한 잉크 흡장체(14), 조작 부재(8)를 필기구 본체(2)에 조립하고, 필기구 본체(2)의 후방 외측부에 형성한 오목부(2m)에 회전자(7)를 셋트한 필기구 본체(2)를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에서 삽입하여, 필기구 본체(2)의 돌기(2l)가 외장체(1)의 돌출부(1r)를 타고 넘어, 임시로 계합시킴으로써 코일 스프링(11)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된 필기구 본체(2)를 외장체(1)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펜촉(3)이 존재하는 공간을 외기와 차단하는 밀폐 공간이 생긴다.
마지막으로 클립(4)을 코일 스프링(6) 및 기초부(5)를 통해 외장체(1)의 기초부 부착부(1w)에 상방에서 눌러 끼워 넣는다. 이 때의 모습을, 기초부(5)의 전방 계합 돌기(5a) 및 후방 계합 돌기(5b)의 종단면 정면도를 도시한 도 29와, 기초부(5)의 중심에서 컷트한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 30에 의해 설명한다. 도 29 및 도 30의 (1)은 기초부(5)를 외장체(1)에 조립하기 전의 도면이고 (2)는 조립하는 도중, (3)은 조립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9, 도 30에서는 각각 동일한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 및 도 30의 (1)의 상태로부터 기초부(5)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기초부(5)의 돌출부(5f)가 외장체(1)의 가교부(1A)의 전단면에 맞닿고, 이어서 전방 계합 돌기(5a) 및 후방 계합 돌기(5b)가 외장체(1)의 전방 계합 구멍(1C) 및 후방 계합 구멍(1D)에 각각 들어간다. 돌출부(5f) 및 후방 계합 돌기(5b)에는 경사 단차부(5h), 경사 단차부(5i)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계합 돌기(5a)에 형성한 후크부(5c)는 전방 계합 구멍(1C)에 걸리는 일없이 삽입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의 (2)까지 밀어 넣으면, 경사 단차부(5h), 경사 단차부(5i)에 의해, 기초부(5)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들어간다. 이 때 전방 계합 돌기(5a)는 후크부(5c)에 의해 후방으로 눌리어 변형하면서 들어가지만, 도 29 및 도 30의 (3)의 상태까지 단숨에 밀어 넣기 때문에, 전방 계합 돌기(5a)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장체(1)에 기초부(5)를 배치하여 후방에서 본 정면도인 도 3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장체(1)에 배치된 기초부(5)는, 접촉면(5g)과 클립 부착부(1w)의 가교부(1A)가 맞닿고, 전방 계합 돌기(5a) 및 후방 계합 돌기(5b)와, 1C 및 1D의 결합에 의해 외장체(1)에 대하여 고정되는 상태에 있어서, 기초부(5)와 클립부착부(1w)의 계합부(1B)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F)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간극(F)을 둠으로써, 기초부(5)를 외장체(1)에 부착할 때, 기초부(5)의 양 측면의 아래 방향으로의 휨 값으로 할 수 있어, 기초부(5)를 보다 확실하게 클립 부착부(1w)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 필기구 본체(2)가 전진함에 따라 덮개(9)가 회전 및 상방으로 이동하고,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를 개구하여, 펜촉(3) 및 필기구 본체(2)가 선단 개구부(1a)로부터 돌출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 32는 종단면 정면도로 하여 펜촉(3)을 미표시로 하고, 도 33은 외장체(1) 및 환상 탄성체(9)를 종단면 정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2와 도 33의 각 단계 (1)~(6)은 동일한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4~도 39는 각각 도 32의 단계 (1)~(6)의 전방 확대 정면도이며, 덮개(9)의 회전축(9c)의 회전 및 상방 방향으로의 이동 모습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또한, 덮개(9)의 배면에 숨어 원래는 보이지 않는 외장체(1)의 베어링부(1c)는 설명의 편의상 파선으로 기재하고 있다.
필기구 본체(2)의 전진에 의해서 필기구 본체(2)의 오목 곡면(2g)과 덮개(9)의 내측 캠부(9j)가 부딪혀 접촉하여, 덮개(9)를 베어링부(1c)의 상방으로 긴 오목 형상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한다. 이 때, 회전축(9c)의 폐색 캠 돌기(9d)가 베어링부(1c)의 폐색 오목부(1f) 내에 수습되어 있다(단계(1) 및 도 34). 그 때문에, 회전축(9c)이 위쪽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폐색 캠 돌기(9d)가 폐색 오목부(1f)와 중앙 돌출부(1g)를 연장하여 형성한 경사면(1j)을 누른다. 그러나, 폐색 캠 돌기(9d)는 폐색 오목부(1f) 또는 중앙 돌출부(1g)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폐색 캠 돌기(9d)와 경사면(1j)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색 캠 돌기(8d)는 곡면이기 때문에 폐색 중앙 돌출부(1g) 경사면(1j)을 오르도록 경사면(1j)과의 접촉부가 이동한다(단계(2) 및 도 35).
필기구 본체(2)가 단계(3) 및 도 36의 상태까지 전진하면, 회전축(9c)의 폐색 캠 돌기(9d)와 경사면(1j)의 접촉이 풀린다. 그리고, 베어링부(1c)에 형성된 중앙 돌출부(1g)의 R 곡면 형상의 꼭대기부가 회전축(9c)의 오목 캠부(9g)에 접촉함으로써 덮개(8)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또한, 필기구 본체(2)가 단계(4) 및 도 37의 상태까지 전진하면, 회전축(9c)의 개방 캠 돌기(9f)가 베어링부(1c)의 개방 오목부(1e)에 들어가도록 회전축(9c)이 회전 및 상방으로 이동한다.
단계(5) 및 도 38의 상태에서는, 회전축(9c)의 개방 캠 돌기(9f)가 베어링부(1c)의 개방 오목부(1e)에 들어가기 직전의 상태가 되어, 덮개(9)의 외측 캠부(9e)가 환상 부재(13)의 접촉면(13c)에 의해 눌리고, 접촉면(13c) 위를 미끄러져, 환상 부재(13)를 밀어 올리도록 돌기(13d)와 접촉한다.
덮개(9)의 내측 캠부(9j)와 필기구 본체(2)의 오목 곡면(2g)이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필기구 본체(2)의 한층 더한 전진에 의해서,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로부터 펜촉(3) 및 필기구 본체(2)의 선단을 돌출시킨다(단계(6) 및 도 39).
덮개(9)의 외측 캠부(9e)가, 환상 부재(13)를 밀어 올리도록 13d와 접촉함으로써, 필기구 본체(2)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덮개(9)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9c)에 형성한 돌기 및 외장체의 베어링부에 형성한 오목부를 각각 2개로 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돌기 및 오목부는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돌기 및 오목부의 수를 늘림으로써, 돌기 및 오목부의 접촉이 잇달아 변하여, 회전과 직선의 운동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소위 톱니바퀴에서 말하는 「랙&피니언」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8)의 회전축(8c)에 2개의 캠을 두어, 폐색 및 개구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캠이 외장체(1)의 베어링부(1c)의 오목부에 수습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개구 및 폐색 동작의 시작 시에, 덮개(8)에 걸리는 직선의 힘을 보다 확실하게 회전 및 상하 이동하는 힘으로 바꿀 수 있어, 덮개(8)의 회전 및 이동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이 베어링부에 대하여 굴러가도록 동작시킴으로써, 회전축과 베어링부의 마찰 저항이 없어지며 또한 덮개(8)의 회전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덮개(8)의 반복 개폐에 의한 회전축의 베어링부에 대한 마모가 없기 때문에 회전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이 마모됨으로써 직경이 가늘어져, 베어링부에 대하여 덜걱거림이 발생함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필기구(2)의 후방 조작부에 클립(4)의 반기단부만을 상방에서 본 정면도인 도 4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장체(1)의 창구멍(1k) 부분을 확대한 도 41~도 48에 기초하여, 회전자(13)의 볼록부(13a)가, 펜촉(3)의 몰입 상태를 형성하는 몰입 위치에서 펜촉(3)이 외장체(1)의 전단 개구부(1a)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형성하는 돌출 위치, 또한 펜촉(3)이 돌출된 상태에서 몰입 상태까지의 일련의 안내로를 이동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필기구 본체(2)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8)를 누르면, 필기구 본체(2)가 후방으로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진한다. 창구멍(1k) 내의 퇴몰(退沒) 위치에 있는 회전자(7)의 볼록부(7a)는, 필기구 본체(2)의 전진에 의해 회전자(7)가 전진함으로써 창구멍(1k) 안을 전진한다(도 41). 볼록부(7a)는, 전방에 위치한 클립 반기단부(4b)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경사벽(4d)에 접촉하여(도 42), 클립(4)의 반기단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 올리면서 전진한다.
볼록부(7a)는, 제3 경사벽(4e)의 상부면을 따라서 제3 경사벽(4e)을 통과하여, 더욱 전방으로 이동한다(도 43). 그리고, 전진한 볼록부(7a)는 외장체(1)의 창구멍(1k) 전단부에 형성한 제2 경사벽(1o)에 맞닿는다. 또한 필기구 본체(2)가 전진하면, 제2 경사벽(1o)을 따라서 이동하여, 펜촉 돌출 계지부(1p)의 전방으로 안내되고, 외장체(1)의 광폭부(1n)의 측벽과 맞닿아, 볼록부(7a)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필기구 본체(2)의 전진 동작이 완료된다(도 44). 이 외장체(1)의 광폭부(1n)의 측벽과의 맞닿음에 의한 전진 동작의 완료 위치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돌출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가 된다.
여기서, 조작 부재(8) 누르기를 해제하면, 후방으로 압박된 필기구 본체(2)는 필기구 본체(2)의 축선을 따라서 후퇴한다. 이 때, 필기구 본체(2)에 따라 회전자(7)도 동시에 후퇴하여, 펜촉 돌출 계지부(1p)에 계지함으로써, 펜촉(3)이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로부터의 돌출 상태가 되어, 회전자(13)의 볼록부(13a)의 퇴몰 위치에서부터 돌출 위치까지의 동작이 완료된다(도 45).
펜촉(3)을 외장체(1)의 선단 개구부(1a)로부터의 돌출 상태에서 몰입 상태로 하기 위해서, 외장체(1)의 후단 개구부(1b)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8)를 누르면, 전진한 필기구 본체(2)에 따라 회전자(7) 및 회전자(7)의 볼록부(7a)도 전진한다.
볼록부(7a)의 전방에는, 클립(4)의 반기단부(4b)의 이면에 형성한 제3 경사벽(4e)이 위치하여, 볼록부(7a)가 제3 경사벽(4e)과 맞닿는다(도 46). 또한 볼록부(7a)가 전진하면, 제3 경사벽(4e)을 따라서 볼록부(13a)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경사벽(4d)의 측벽과 맞닿음과 동시에 볼록부(7a)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필기구 본체(2)의 전진 동작이 완료된다(도 47). 제1 경사벽(4d)의 측벽과의 맞닿음에 의한 전진 동작의 완료 위치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몰입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가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경사벽(4d)의 측벽을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원주 방향 안내 경사벽(제3 경사벽(4e))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로 하고(즉, 제1 경사벽(4d)(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의 측벽에 의해서, 원주 방향 안내 경사벽(제3 경사벽(4e))에 의해서 안내되는 볼록부(7a)의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고), 볼록부를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제1 경사벽(4d))이 볼록부의 원주 방향의 이동 규제부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볼록부의 이동궤적으로서의 안내로를, 계지부를 피한 경로로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안내로의 원주 방향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출몰식 필기구의 축을 가늘게 할 수 있어, 외관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볼록부(7a)의 꼭대기부가 제3 경사벽(4e)의 도중에 형성한 규제벽(4f)와 접촉, 통과할 때, 약간 들어 올린 클립이 원래로 돌아가는 충격으로 충격음을 발생시킨다.
조작 부재(8) 누르기를 해제하면, 후방으로 압박된 필기구 본체(2)는 필기구 본체(2)의 축선을 따라서 후퇴한다. 이 때, 필기구 본체(2)에 따라 회전자(7)도 동시에 후퇴하고, 돌기(7a)는 제1 경사벽(4d)과 규제벽(4f)을 따라서 후퇴하여, 외장체에 형성한 제4 경사벽(1q)에 맞닿는다(도 48). 그리고, 볼록부(7a)는 제4 경사벽(1q)을 따라서 퇴몰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가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돌출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외장체(1)의 광폭부(1n)의 측벽과의 접촉부보다도, 볼록부가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부터 펜촉 몰입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제1 경사벽(4d)의 측벽과의 접촉부가 후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를,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 펜촉 돌출 계지부로 이동시킬 때보다도,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 펜촉 몰입 계지부로 이동시킬 때 쪽이, 짧은 조작 스트로크로 계지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펜촉의 몰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펜촉을 외장체 내에 수납하여 손상시킨다고 하는 오작동이 일어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벽(4d) 및 제3 경사벽(4e)을 클립(4)의 반기단부(4b)에 형성했지만, 클립(4)이 아니라, 외장체(1)의 창구멍(1k)에 설치하여, 회전자(7)의 볼록부(7a)의 전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외장체(1)의 창구멍(1k)을 클립(4)이 덮도록 배치함으로써, 외관으로부터 창구멍(1k)을 숨길 수 있어, 미관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펜촉 돌출 계지부(1p)를 외장체(1)의 창구멍(1k)의 협폭부(1m)와 광폭부(1n)의 사이에 마련했지만, 광폭부(1n)의 측연부에서 후방을 향함에 따라 협폭부의 측연부로 향하는 경사면으로 하여, 클립 반기단부(4b)의 이면으로 펜촉 돌출 계지부(1p)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펜촉 돌출 상태에 있어서, 클립(4)을 들어 올리면, 클립 반기단부(14b)의 이면에 형성한 펜촉 돌출 계지부(1p)에 계지되어 있는 회전자(7)의 볼록부(7a)가 이탈하여 경사면으로 안내되어, 퇴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위 안전 기구라고 일킬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1: 외장체 1a: 선단 개구부
1b: 후단 개구부 1c: 베어링부
1d: 수용면 1e: 개방 오목부
1f: 폐색 오목부 1g: 중앙 돌출부
1h: 개구 스토퍼 접촉벽 1i: 폐색 스토퍼 접촉벽
1j: 경사면 1k: 창구멍
1m: 협폭부 1n: 광폭부
1o: 제2 경사벽 1p: 펜촉 돌출 계지부
1q: 제4 경사벽 1r: 돌출부
1s: 단차부 1t: 경사면
1u: 펜촉 몰입 계지부 1v: 안내로
1w: 기초부 부착부 1A: 가교부
1B: 계합부 1C: 전방 계합 구멍
1D: 후방 계합 구멍 1E: 눈가림벽
1F: 보호벽 1G: 고정부
2: 필기구 본체 2a: 세경부
2b: 태경부 2c: 견부
2d: 유지 리브 2e: 펜촉 누름 볼록부
2f: 리브 2g: 오목 곡면
2h: 모따기부 2k: 공기 홈
2l: 돌기 2m: 오목부
2n: 발이 짧은 C자 형상부 2o: 발이 긴 C자 형상부
2r: 흔들림 방지 리브 2s: 암나사부
2t: 볼록부 3: 펜촉
3a: 필기부 3b: 접속부
3c: 단차부 3d: 테이퍼부
4: 클립 4a: 기단부
4b: 반기단부 4c: 코일 스프링 유지 돌기
4d: 제1 경사벽 4e: 제3 경사벽
4f: 규제벽 4g: 관통 구멍
4h: 슬릿 4i: 돌기
4j: 코일 스프링 압입부 5: 기초부
5a: 전방 계합 돌기 5b: 후방 계합 돌기
5c: 후크부 5d: 후크부
5e: 돌기 5f: 돌출부
5g: 접촉면 5h: 경사 단차부
5i: 경사 단차부 6: 코일 스프링
7: 회전자 7a: 볼록부
7b: C자 형상부 7c: 폭이 좁은 연장부
7d: 후방 경사면 7e: 전단 측면
8: 조작 부재 8a: 노크부
8b: 삽입부 8c: 수나사부
8d: 접촉부 8e: 리브
8f: 테이퍼부 8g: 수용 리브
8h: 오목부 8i: 단부
9: 덮개 9a: 덮개부
9b: 측벽부 9c: 회전축
9d: 폐색 캠 돌기 9e: 외측 캠부
9f: 개방 캠 돌기 9g: 오목 캠부
9h: 개구 스토퍼 9i: 폐색 스토퍼
9j: 내측 캠부 9k: 캠면
9l: 절결부 9m: 헤드부
9n: 오목부 10: 환상 탄성체
11: 코일 스프링 12: 환상 탄성체
12a: 외측 밀폐 리브 12b; 외측 기울기 방지 리브
12c: 내측 밀폐 리브 12d: 단차부
12e: 수용 홈 13: 환상 부재
13a: 접속부 13b: 측벽부
13c: 접촉면 13d: 돌기
13e: 중공부 13f: 단차부
14: 잉크 흡장체 15: 펜촉 홀더
15a: 압입 고정부 15b: 단차부
15c: 홈부
1b: 후단 개구부 1c: 베어링부
1d: 수용면 1e: 개방 오목부
1f: 폐색 오목부 1g: 중앙 돌출부
1h: 개구 스토퍼 접촉벽 1i: 폐색 스토퍼 접촉벽
1j: 경사면 1k: 창구멍
1m: 협폭부 1n: 광폭부
1o: 제2 경사벽 1p: 펜촉 돌출 계지부
1q: 제4 경사벽 1r: 돌출부
1s: 단차부 1t: 경사면
1u: 펜촉 몰입 계지부 1v: 안내로
1w: 기초부 부착부 1A: 가교부
1B: 계합부 1C: 전방 계합 구멍
1D: 후방 계합 구멍 1E: 눈가림벽
1F: 보호벽 1G: 고정부
2: 필기구 본체 2a: 세경부
2b: 태경부 2c: 견부
2d: 유지 리브 2e: 펜촉 누름 볼록부
2f: 리브 2g: 오목 곡면
2h: 모따기부 2k: 공기 홈
2l: 돌기 2m: 오목부
2n: 발이 짧은 C자 형상부 2o: 발이 긴 C자 형상부
2r: 흔들림 방지 리브 2s: 암나사부
2t: 볼록부 3: 펜촉
3a: 필기부 3b: 접속부
3c: 단차부 3d: 테이퍼부
4: 클립 4a: 기단부
4b: 반기단부 4c: 코일 스프링 유지 돌기
4d: 제1 경사벽 4e: 제3 경사벽
4f: 규제벽 4g: 관통 구멍
4h: 슬릿 4i: 돌기
4j: 코일 스프링 압입부 5: 기초부
5a: 전방 계합 돌기 5b: 후방 계합 돌기
5c: 후크부 5d: 후크부
5e: 돌기 5f: 돌출부
5g: 접촉면 5h: 경사 단차부
5i: 경사 단차부 6: 코일 스프링
7: 회전자 7a: 볼록부
7b: C자 형상부 7c: 폭이 좁은 연장부
7d: 후방 경사면 7e: 전단 측면
8: 조작 부재 8a: 노크부
8b: 삽입부 8c: 수나사부
8d: 접촉부 8e: 리브
8f: 테이퍼부 8g: 수용 리브
8h: 오목부 8i: 단부
9: 덮개 9a: 덮개부
9b: 측벽부 9c: 회전축
9d: 폐색 캠 돌기 9e: 외측 캠부
9f: 개방 캠 돌기 9g: 오목 캠부
9h: 개구 스토퍼 9i: 폐색 스토퍼
9j: 내측 캠부 9k: 캠면
9l: 절결부 9m: 헤드부
9n: 오목부 10: 환상 탄성체
11: 코일 스프링 12: 환상 탄성체
12a: 외측 밀폐 리브 12b; 외측 기울기 방지 리브
12c: 내측 밀폐 리브 12d: 단차부
12e: 수용 홈 13: 환상 부재
13a: 접속부 13b: 측벽부
13c: 접촉면 13d: 돌기
13e: 중공부 13f: 단차부
14: 잉크 흡장체 15: 펜촉 홀더
15a: 압입 고정부 15b: 단차부
15c: 홈부
Claims (2)
- 외장체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장체 내에 수용되고, 선단에 마련된 펜촉 및 측부에 마련된 볼록부를 갖는 필기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체는, 펜촉 돌출 계지부와 펜촉 몰입 계지부에 상기 볼록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를 가지고,
상기 필기구 본체는, 전후 이동에 의해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펜촉 돌출 계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외장체 선단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펜촉이 돌출된 돌출 상태와, 상기 볼록부가 상기 펜촉 몰입 계지부에 계합하여 상기 펜촉이 상기 외장체 내에 몰입된 몰입 상태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원주 방향으로 안내하는 원주 방향 안내 경사벽과, 상기 볼록부를 외장체의 직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을, 각각 상기 안내 구멍 안을 이동하는 상기 볼록부에 접촉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직경 방향 안내 경사벽의 측벽을, 상기 원주 방향 경사벽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기 볼록부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이동 규제부로 한 것인 출몰식 필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펜촉 몰입 계지부에서부터 상기 펜촉 돌출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벽부보다도, 상기 볼록부가 상기 펜촉 돌출 계지부에서부터 상기 펜촉 몰입 계지부에 이르는 길의 가장 전진 위치를 형성하는 벽부가 후방에 배치된 것인 출몰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73179 | 2017-03-31 | ||
JPJP-P-2017-073179 | 2017-03-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675A true KR20180111675A (ko) | 2018-10-11 |
KR102437225B1 KR102437225B1 (ko) | 2022-08-26 |
Family
ID=6386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7053A KR102437225B1 (ko) | 2017-03-31 | 2018-03-30 | 출몰식 필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2) | JP2018171921A (ko) |
KR (1) | KR10243722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21182A (ja) | 1998-05-11 | 1999-11-24 | Kotobuki:Kk | ノック式筆記具 |
JP2000103193A (ja) * | 1998-07-27 | 2000-04-11 | Kotobuki:Kk | ノック式筆記具 |
JP2004330452A (ja) * | 2003-04-30 | 2004-11-25 | Pentel Corp | 出没式筆記具 |
KR101538275B1 (ko) * | 2014-11-18 | 2015-07-22 | 천광주 | 출몰식 필기구의 푸쉬 로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75233Y2 (ja) * | 1992-06-08 | 1998-06-25 | 株式会社トンボ鉛筆 | 筆記部の出没装置 |
-
2018
- 2018-03-30 KR KR1020180037053A patent/KR1024372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3-30 JP JP2018066701A patent/JP2018171921A/ja active Pending
-
2022
- 2022-06-01 JP JP2022089553A patent/JP7255732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21182A (ja) | 1998-05-11 | 1999-11-24 | Kotobuki:Kk | ノック式筆記具 |
JP2000103193A (ja) * | 1998-07-27 | 2000-04-11 | Kotobuki:Kk | ノック式筆記具 |
JP2004330452A (ja) * | 2003-04-30 | 2004-11-25 | Pentel Corp | 出没式筆記具 |
KR101538275B1 (ko) * | 2014-11-18 | 2015-07-22 | 천광주 | 출몰식 필기구의 푸쉬 로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7225B1 (ko) | 2022-08-26 |
JP2018171921A (ja) | 2018-11-08 |
JP2022107737A (ja) | 2022-07-22 |
JP7255732B2 (ja) | 2023-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80767A1 (en) | Writing instrument | |
JP2024023833A (ja) | 熱変色性筆記具 | |
JP2019147396A (ja) | 熱変色性筆記具 | |
US20100322697A1 (en) | Capless Writing Instrument | |
KR20070106117A (ko) |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 |
JP2010260218A (ja) | 多芯式熱変色性筆記具 | |
KR20180111675A (ko) | 출몰식 필기구 | |
JP5526808B2 (ja) | 繰り出し式筆記具 | |
JP2011173407A (ja) | 出没式筆記具 | |
JP6069003B2 (ja) | 液体塗布具 | |
JP2001080269A (ja) | 塗布具 | |
JP6940809B2 (ja) | 出没式筆記具 | |
JP4856577B2 (ja) | 筆記具 | |
JP2018016053A (ja) | 出没式筆記具 | |
CN110536801B (zh) | 书写工具 | |
JP2017081144A (ja) | 出没式筆記具 | |
JP3763425B2 (ja) | 複式筆記具 | |
JP4666795B2 (ja) | キャップレス筆記具 | |
JP3175844U (ja) | 多芯式熱変色性筆記具 | |
KR20230109725A (ko) | 출몰식 필기구 | |
JP5340010B2 (ja) | 筆記具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172744U (ja) | 多芯筆記具及びそれに用いる筆記体 | |
JP4601192B2 (ja) | キャップレス筆記具 | |
JP2003039876A (ja) | 塗布具 | |
JPH061830Y2 (ja) | 筆記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