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725A - 출몰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출몰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725A
KR20230109725A KR1020237020754A KR20237020754A KR20230109725A KR 20230109725 A KR20230109725 A KR 20230109725A KR 1020237020754 A KR1020237020754 A KR 1020237020754A KR 20237020754 A KR20237020754 A KR 20237020754A KR 20230109725 A KR20230109725 A KR 2023010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member
barrel
tip
writing instrument
ti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쯔야 이이지마
유키 아리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3010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7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05Nib pin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 시에 팁의 달가닥거림이 방지되어 안정된 필기감이 얻어지는 한편, 작동 불량의 우려가 작은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은, 전단에 개구를 가지는 축통과,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 홀더와, 팁 홀더의 이동에 수반하여 출몰 가능한 팁과, 축통의 개구의 내주에 헐겁게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와, 팁 홀더와 환형 부재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환형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고, 환형 부재의 일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에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는,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출몰식 필기구
본 발명은, 팁 홀더의 이동에 수반하여 축통의 개구로부터 팁이 출몰 가능한 출몰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필기 선단부의 흔들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의 구성은, 필기 선단부의 적당한 위치에 오목 홈을 마련하고, 축통 선단부의 내경과 거의 똑같은 외경의 탄성을 가지는 O링을 상기 오목 홈에 끼워 장착한 것이다. 이 장치에 의하면, 연필 타입 및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 시의 필기 선단부가 축통 선단부의 선단 구멍에 맞닿아서 나는 달가닥거리는 소리를 방지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2에도, 필기 선단부의 흔들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의 구성은, 축통의 선단 내에 마련한 걸어 멈춤 단차부에, 필기 선단부 외경보다 약간 소 내경의 탄성 링을 걸어 맞춘 것이다. 이 장치에 의하면, 탄성 링이 필기 선단부를 걸어 멈추기 때문에, 축통의 선단 내경과 필기 선단부 사이에 간극이 있더라도, 필기 시에 달가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축통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해서 그 축통의 개구부로부터 필기 몸체의 필기부를 조출(繰出)하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필기 몸체의 선단부 외주에 환형 부재가 배설(配設)되어 있어, 필기부가 출몰되는 축통 선단의 개구부 주변의 내측면에, 환형 부재가 맞닿는 대략 구면형의 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 부재는, 필기 몸체에 대해서 스프링을 거쳐 고정되어 있어, 전방을 향하여 바이어스(付勢)되고 있다. 필기부가 조출되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환형 부재가 축통 선단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필기 시에 달가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건 출원인에 의한 특허문헌 4는, 팁의 달가닥거림을 방지한 출몰식 필기구로서, 네 가지 타입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
도 11은,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110)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114)(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팁(114)(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또, 도 14의 (a)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의 환형 부재(115)의 사시도이고, 도 14의 (b)는, 환형 부재(115)의 측면도이고, 도 14의 (c)는, 도 14의 (b)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4의 (d)는, 환형 부재(115)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4의 (e)는, 환형 부재(115)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113)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는, 전단(前端)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축통(111)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축통(111)은, 제1 타입에서는, 후방부(111a), 내통부(111b), 전방부(111c) 및 꼭대기쇠부(口金部)(111d)를 가지고 있으며, 후방부(111a)와 내통부(111b)는, 나사 결합에 의해서 탈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내통부(111b)와 전방부(111c)는,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꼭대기쇠부(111d)는, 나사 결합에 의해서, 내통부(111b)에 탈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통(111)의 내부에는, 축통(1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 홀더(113)가 수용되어 있다. 팁 홀더(113)의 전단에, 필기 몸체인 팁(114)이 고정되어 있다. 팁(114)은, 팁 홀더(11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12의 (a) 및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11)의 개구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팁 홀더(11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기단부(113a), 제1 칼라부(113b), 제2 칼라부(113c), 스프링 고정 보조부(113f) 및 선단부(113d)를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기단부(113a), 제1 칼라부(113b), 제2 칼라부(113c), 스프링 고정 보조부(113f) 및 선단부(113d)는, 모두 원통 형상의 부위이고, 그것들의 단면 직경의 상호 관계는, 기단부(113a)>제1 칼라부(113b)>제2 칼라부(113c)>스프링 고정 보조부(113f)>선단부(113d)로 되어 있다.
특히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팁 홀더(113)의 선단부(113d)의 외주에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환형 부재(11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환형 부재(115)는, 마찬가지로 팁 홀더(113)의 선단부(113d)의 외주를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약간의 간극을 두고)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116)(탄성 부재의 일례)을 거쳐, 팁 홀더(113)의 제2 칼라부(113c)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2의 (a) 및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16)의 신축 변형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115)는, 팁 홀더(113)의 선단부(113d)에 대해서 이 팁 홀더(113)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팁 홀더(113)에는, 코일 스프링(116)과 제2 칼라부(113c)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해서, 스프링 고정 보조부(113f)가 마련되어 있다.
또, 특히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115)의 외주의 전방측 영역에는,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 절두 원뿔면형의 맞닿음면(115t)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115t)의 후방측에는, 대 외경 원통부(115a)가 연속해서 마련되고, 또한 그의 후방측에는, 소 외경 원통부(115b)가 단차를 거쳐 마련되어 있다.
환형 부재(115)에는, 절결로서, 4개의 슬릿(115s)이 마련되어 있다.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슬릿(115s)은, 환형 부재(11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9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4개의 슬릿(115s)은, 모두, 환형 부재(115)의 축방향으로 전단으로부터 소 외경 원통부(115b)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맞닿음면(115t)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 환형 부재(115)의 내경은 유연하게 축경(縮徑)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이 하중이 해제될 때, 환형 부재(115)의 내경은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2의 (a) 및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11)의 꼭대기쇠부(111d)의 내면의 일부에,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으로서 오목(凹) 절두 원뿔면형의 안내면(111t)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맞닿음면(115t)은, 팁 홀더(11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도 12의 (a)→도 13의 (a)), 안내면(111t)으로부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에는, 팁(114)의 몰입 조작(예를 들어 팁(114)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lock) 기구를 해제하기 위한 필기구 후단부에 마련된 누름(押壓) 버튼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 팁 홀더(113)를 자동적으로 몰입시키기 위한 제2 코일 스프링(112)(제2 탄성 부재)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112)은, 코일 스프링(116)의 더욱 외주를 둘러싸도록, 꼭대기쇠부(111d)의 내면에 마련된 어깨부(肩部)와, 팁 홀더(113)의 제1 칼라부(113b) 사이에 삽입하여 끼워져 있다.
제2 코일 스프링(112)은, 꼭대기쇠부(111d)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프리한 상태(어느 부재에도 고정되지 않은 상태)여도 된다. 혹은, 팁 홀더(113)의 제1 칼라부(113b) 쪽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비사용 시에 있어서는, 출몰식 필기구(110)의 팁(114)(필기 몸체)은,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몰입 상태에 있다. 이 때, 코일 스프링(116)의 축방향 길이는, 8.2 ㎜이고, 제2 코일 스프링(112)의 축방향 길이는, 16.4 ㎜이다. 그리고, 팁의 돌출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후단부에 마련된 누름 버튼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면, 출몰식 필기구(110)의 팁(114)(필기 몸체)은,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돌출 상태로 된다. 통상은, 이 돌출 상태에 있어서 팁 홀더(113)의 위치가 잠기고, 그 후에 팁의 몰입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팁(114)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116)의 축방향 길이는, 5.6 ㎜이고(2.6 ㎜ 압축), 제2 코일 스프링(112)의 축방향 길이는, 9.4 ㎜이다(7.0 ㎜ 압축).
도 12의 (a)의 몰입 상태로부터 도 13의 (a)의 돌출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팁 홀더(11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115)의 맞닿음면(115t)이 꼭대기쇠부(111d)의 안내면(111t)으로부터 하중을 받는다. 이 때, 환형 부재(115)의 4개의 슬릿(11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115)의 내경이 축경한다(도 12의 (b)→도 13의 (b)). 이 결과,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대기쇠부(111d)와 환형 부재(115)가 협력 작동하여, 팁 홀더(113)의 선단부(113d)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한, 팁 홀더(113)와 환형 부재(115)가 코일 스프링(116)에 의해서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115)의 내경의 축경 정도 등에 대하여 고 정밀도의 치수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팁 홀더(113)의 선단부(113d)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그 후, 팁의 몰입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후단부에 마련된 누름 버튼의 재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잠금 기구가 해제되어, 출몰식 필기구(110)의 팁(114)(필기 몸체)은 제2 코일 스프링(112)의 작용에 의해서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몰입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13의 (a)의 돌출 상태로부터 도 12의 (a)의 몰입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팁 홀더(113)의 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115)의 맞닿음면(115t)이 꼭대기쇠부(111d)의 안내면(111t)으로부터 받고 있던 하중이 소실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축경되어 있던 환형 부재(115)의 내경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도 13의 (b)→도 12의 (b)).
<특허문헌 4의 제2 타입>
도 16은, 특허문헌 4의 제2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12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7은, 팁(124)(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2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20)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123)(기단부(123a), 제1 칼라부(123b), 제2 칼라부(123c) 및 선단부(123d))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20)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116) 대신에, 통형의 수지 스프링부(126e)가 마련되어 있다. 수지 스프링부(126e)는, 상하로 마주보는 대략 반원형의 슬릿 쌍과, 좌우로 마주보는 대략 반원형의 슬릿 쌍이, 축방향으로 한 쌍마다 번갈아, 각각 6쌍씩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지 스프링부(126e)는,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수지 스프링부(126e)는, 환형 부재(125)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환형 부재(125)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의 환형 부재(115)와 대략 마찬가지로, 절결로서, 4개의 슬릿(125s)이 마련되어 있다.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20)에 의해서도,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와 대략 마찬가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꼭대기쇠부(111d)와 환형 부재(125)(의 맞닿음면(125t))가 협력 작동하여, 팁 홀더(123)의 선단부(123d)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4의 제3 타입>
도 19는, 특허문헌 4의 제3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13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팁(134)(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3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1은,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30)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133)(기단부(133a), 중간 칼라부(133m) 및 선단부(133d))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30)는,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의 코일 스프링(112)(제2 탄성 부재)의 후방단에 칼라 부재(132)(제1 칼라부(133b) 및 제2 칼라부(133c))를 고정시키고, 전방단이 환형 부재(115)에 접속된 코일 스프링(116)(탄성 부재)의 후방단을, 팁 홀더(113)의 제2 칼라부(113c)가 아니라, 칼라 부재(132)에 고정시킨 것이다.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30)에 의해서도,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10)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꼭대기쇠부(111d)와 환형 부재(115)가 협력 작동하여, 팁 홀더(133)의 선단부(133d)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30)에 의하면, 팁 홀더(133) 쪽에 환형 부재(115)를 마련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팁 홀더를 가지는 기존의 교환용 리필 제품도 이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 4의 제4 타입>
도 22는, 특허문헌 4의 제4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14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팁(144)(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4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4는,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40)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143)(기단부(143a), 중간 칼라부(143m) 및 선단부(143d))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40)는,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20)의 수지 스프링부(126e)(제2 탄성 부재)의 후방단에 칼라 부재(142)(제1 칼라부(143b) 및 제2 칼라부(143c))를 고정시키고, 전방단이 환형 부재(125)와 일체화된 수지 스프링부(126e)(탄성 부재)의 후방단을, 팁 홀더(123)의 제2 칼라부(123c)가 아니라, 칼라 부재(142)에 고정시킨 것이다.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40)에 의해서도,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20)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꼭대기쇠부(111d)와 환형 부재(125)가 협력 작동하여, 팁 홀더(143)의 선단부(143d)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140)에 의하면, 팁 홀더(143) 쪽에 환형 부재(125)를 마련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팁 홀더를 가지는 기존의 교환용 리필 제품도 이용할 수 있다.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85683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93884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20602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9-111657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O링이 지름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달가닥거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 O링의 표면에 필기부가 달라붙어 버리는 일이 있어, 조출한 필기부를 스무드하게 수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반면에,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필기 시의 달가닥거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형 부재의 내면과 필기부의 외주면 사이의 치수 관계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필기부의 외주면과 축통의 선단부 내면 사이의 간극 치수보다 필기부의 외주면과 환형 부재의 내면 사이의 간극 치수가 크다면, 필기 시의 달가닥거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어, 생산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의 구성 및 제4 타입의 구성에서는, 두 종류의 코일 스프링(112, 116)이 병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코일 스프링(112, 116)들이 조립 시나 리필 제품 교환 시에 서로 걸려서, 작업의 원활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팁 홀더(113, 123, 133, 143)의 출몰 동작에 수반하는 코일 스프링(112, 116)의 수축 시에, 이 코일 스프링(112, 116)들이 엉켜서 작동 불량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반면에, 특허문헌 4의 제2 타입의 구성 및 제3 타입의 구성에서는, 수지 스프링부(126e)의 신축 정도(휨양(撓量))를 크게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낮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지견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필기 시에 팁의 달가닥거림이 방지되어 안정된 필기감이 얻어지는 반면에, 작동 불량의 우려가 작은 출몰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단에 개구를 가지는 축통과, 상기 축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 홀더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팁 홀더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출몰 가능한 팁과,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의 내주에 헐겁게 끼워져, 이 축통에 대해서 이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와, 상기 팁 홀더와 상기 환형 부재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부재의 일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에 이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맞닿음면이 맞닿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의 맞닿음면이 축통의 안내면으로부터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서, 환형 부재의 절결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한다. 이것에 의해, 축통과 환형 부재가 협력 작동하여 팁 또는 팁 홀더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를 「노크 스프링」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노크 스프링용의 코일 스프링을 병용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부품 점수가 저감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화되고, 작동 불량의 우려가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부재에 있어서 팁 또는 팁 홀더를 파지하는 파지부는, 이 환형 부재의 상기 맞닿음면보다도 전방에 위치해 있다(상기 맞닿음면의 지름 방향 안쪽에는 파지부가 없다). 이것에 의하면, 팁 또는 팁 홀더를 보다 전방측에서 파지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팁 또는 팁 홀더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통 및/또는 상기 환형 부재에, 상기 환형 부재의 후방측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가 마련된다. 이 경우, 환형 부재의 과잉 이동(특히는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결은, 상기 환형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절결의 각각은, 상기 환형 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다. 이 경우, 환형 부재의 내경이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축경할 수가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슬릿의 후방단은, 상기 탄성 부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슬릿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가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탄성 부재와 환형 부재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맞닿음면은,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내면도,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맞닿음면은, 예를 들어 절두 원뿔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안내면은, 대응하는 오목 절두 원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맞닿음면은, 축선 둘레에 회전 대칭인 볼록 곡면(凸曲面)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안내면은, 축선 둘레에 회전 대칭으로서 상기 볼록 곡면의 곡률보다도 완만한 곡률의 오목 곡면 또는 오목 절두 원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팁 홀더의 환형 칼라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팁 홀더의 상기 환형 칼라로부터 이격 가능하다. 이 경우, 환형 부재 및 탄성 부재는 축통측에만 보유지지(保持)된 양태로 되기 때문에, 종래의 팁 홀더를 가지는 기존의 교환용 리필 제품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안내면은, 상시 맞닿아 있다. 이 경우, 팁의 출몰 조작 시마다 환형 부재와 축통 내면이 맞닿음과 이격을 반복한다고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동작이 안정되고, 사용자의 조작감도 매끄럽다(위화감이 없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부재는,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전방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팁 또는 팁 홀더를 보다 긴 범위에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팁 또는 팁 홀더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환형 부재가 축통의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양(길이)은, 환형 부재의 축방향의 가동 범위보다도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환형 부재가 축통의 개구 내로 몰입되도록 밀어넣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여전히 환형 부재가 축방향의 가동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의 원하지 않는 탈락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팁의 출몰 조작을 위한 조작부, 또는, 상기 축통의 뒷부분(後部)에, 연질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구성을 열변색성 필기구에 채용한 경우, 필적 찰과(擦過) 시의 진동에 의해서 팁 또는 팁 홀더의 달가닥거림이 생겨, 노이즈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그와 같은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열변색성 필기구에 채용하는 것도 추천 권장(推奬)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통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노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팁은, 상기 노크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 또는 몰입을 번갈아 반복하게 전후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환형 부재는, 상기 노크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축통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노크 부재의 전방으로의 이동(조작)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가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환형 부재의 회전을 시인(視認)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출몰식 필기구의 축통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단에 팁이 고정된 팁 홀더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가능하며, 전단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팁 홀더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팁을 상기 개구로부터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한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으로서, 이 축통의 상기 개구의 내주에 헐겁게 끼워져, 이 축통에 대해서 이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와, 상기 팁 홀더와 상기 환형 부재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탄성 부재와, 상기 환형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부재의 일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에 이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맞닿음면이 맞닿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의 맞닿음면이 축통의 안내면으로부터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서, 환형 부재의 절결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한다. 이것에 의해, 축통과 환형 부재가 협력 작동하여 팁 또는 팁 홀더를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부재를 「노크 스프링」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노크 스프링용의 코일 스프링을 병용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부품 점수가 저감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화되어, 작동 불량의 우려가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출몰식 필기구의 환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의 (c)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의 (d)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저면도다. 도 3의 (e)는, 도 3의 (c)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의 (f)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의 (g)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팁의 돌출 조작 과정에서, 팁이 환형 부재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팁의 돌출 조작 과정에서, 팁이 가장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팁의 돌출 조작이 종료한 후의, 팁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출몰식 필기구의 환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의 (c)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의 (d)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의 저면도다. 도 8의 (e)는, 도 8의 (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의 (f)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의 (g)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출몰식 필기구의 환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d)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의 저면도다. 도 10의 (e)는, 도 10의 (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의 (f)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의 (g)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팁(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의 환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환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의 (c)는, 도 14의 (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4의 (d)는, 도 14의 (a)의 환형 부재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의 (e)는, 도 14의 (a)의 환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특허문헌 4의 제1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특허문헌 4의 제2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팁(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특허문헌 4의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특허문헌 4의 제2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특허문헌 4의 제3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팁(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특허문헌 4의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특허문헌 4의 제3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특허문헌 4의 제4 타입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팁(필기 몸체)이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특허문헌 4의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특허문헌 4의 제4 타입의 출몰식 필기구에 있어서, 교환 등을 위해 팁 홀더를 뽑아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리필 제품의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리필 제품의 후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리필 제품의 후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예시적인 축통의 전축(前軸)의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예시적인 축통의 중간축의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예시적인 축통의 후축(後軸)의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노크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출몰 회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출몰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출몰 회전 부재의 저면도다.
도 35는, 도 3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6은, 회전 캠 기구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7은, 출몰 회전 부재와 리필 제품 후단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출몰 회전 부재와 리필 제품 후단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코일 스프링의 감기 방향을 역(逆)으로 한 양태의 도면이다.
도 40은, 도 3의 (e)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제1 절두 원뿔 내면이 모따기부(面取部)에 의해서 치환된 양태의 도면이다.
도 41의 (a)는, 변형예의 출몰식 필기구의 환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1의 (b)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1의 (c)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1의 (d)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의 저면도다. 도 41의 (e)는, 도 41의 (c)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1의 (f)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1의 (g)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세 가지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10)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14)(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의 선단 부분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의 환형 부재(15)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15)의 평면도이고, 도 3의 (c)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15)의 측면도이고, 도 3의 (d)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3의 (e)는, 도 3의 (c)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의 (f)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의 (g)는, 도 3의 (a)의 환형 부재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있어서, 팁(14)의 돌출 조작 과정에서, 팁(14)이 환형 부재(15)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있어서, 팁(14)의 돌출 조작 과정에서, 팁(14)이 가장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있어서, 팁(14)의 돌출 조작이 종료한 후의, 팁(14)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는, 전단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축통(11)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축통(1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부(11r)와, 전방부(11m)를 가지고 있다. 후방부(11r)와 전방부(11m)는, 나사 결합에 의해서 탈거(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후방부(11r)와 전방부(11m)는, 끼워 맞춤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축통(11)의 내부에는, 축통(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 홀더(13)가 수용되어 있다. 팁 홀더(13)의 전단에, 필기 몸체인 팁(14)이 고정되어 있다. 팁(14)은, 팁 홀더(1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1)의 개구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팁 홀더(1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기단부(13a), 제1 칼라부(13b) 및 제2 칼라부(13c)를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기단부(13a) 및 제1 칼라부(13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원통 형상의 부위이고, 제2 칼라부(13c)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두 원뿔 형상의 부위이고, 그것들의 단면 직경의 상호 관계는, 기단부(13a)>제1 칼라부(13b)>제2 칼라부(13c)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1)의 개구의 내주에, 이 축통(11)에 대해서 이 축통(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1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환형 부재(15)의 전방단은, 축통(11)의 전방단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해 있다. 환형 부재(15)의 후방측은, 외경도 내경도 확경되어 있어, 팁(14)(φ 2.5로 한다)의 주위를 비접촉으로 덮고 있다.
또, 환형 부재(15)는, 코일 스프링(16)(탄성 부재의 일례)의 전방단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6)은, 팁 홀더(13)의 제2 칼라부(13c) 및 팁(14)을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간극을 두고) 둘러싸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16)의 후방단이 팁 홀더(13)의 기단부(13a)에 의해서 상시 눌려지고 있다(고정은 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16)은, 팁 홀더(13)와 환형 부재(15)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팁 홀더(13)의 이동 및 코일 스프링(16)의 신축 변형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15)는, 축통(11)에 대해서 이 축통(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형 부재(15)는, 수지제(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제) 또는 금속제(예를 들어 놋쇠(眞鍮)제)이다.
또, 도 3의 (a) 내지 도 3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15)의 외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외경 원통면(15a)(φ 3.6 ㎜, 축방향 길이 1.6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1 절두 원뿔 외면(15b)(축방향 길이 1.1 ㎜)과, 중 외경 원통면(15c)(φ 4.85 ㎜, 축방향 길이 1.5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2 절두 원뿔 외면(15d)(축방향 길이 1.6 ㎜)과, 제1 대 외경 원통면(15e)(φ 6.3 ㎜, 축방향 길이 0.8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3 절두 원뿔 외면(15f)(축방향 길이 0.4 ㎜)과, 제2 대 외경 원통면(15g)(φ 6.6 ㎜, 축방향 길이 3.3 ㎜)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또, 도 3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15)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15ia)(φ 3 ㎜, 축방향 길이 2 ㎜)과, 제1 절두 원뿔 내면(15ib)(축방향 길이 0.5 ㎜)과, 중 내경 원통면(15ic)(φ 3.6 ㎜, 축방향 길이 3.9 ㎜)과, 제2 절두 원뿔 내면(15id)(축방향 길이 0.4 ㎜)과, 4면 분할부(15ie)(내접원 φ 5.28 ㎜, 축방향 길이 0.9 ㎜)와, 대 내경 원통면(15if)(φ 5.43 ㎜, 축방향 길이 2.1 ㎜)과, 제3 절두 원뿔 내면(15ig)(축방향 길이 0.4 ㎜)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4면 분할부(15ie) 상에, 코일 스프링(16)의 전방단이 고정(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환형 부재(15)에는, 절결로서, 3개의 슬릿(15s)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슬릿(15s)은, 환형 부재(1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120°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 3개의 슬릿(15s)은, 모두, 폭 0.8 ㎜이고, 환형 부재(15)의 축방향으로 전단으로부터 제2 절두 원뿔 외면(15d)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다(축방향 최대 길이 5.5 ㎜).
이것에 의해, 제1 절두 원뿔 외면(15b)(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 환형 부재(15)의 내경은 유연하게 축경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이 하중이 해제될 때, 환형 부재(15)의 내경은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1)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11ia)( 3.7 ㎜, 축방향 길이 1.2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으로서의 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축방향 길이 1.1 ㎜)과, 중 내경 원통면(11ic)( 4.95 ㎜, 축방향 길이 1.3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으로서의 제2 절두 원뿔 내면(11id)(축방향 길이 1.7 ㎜)과, 제1 대 내경 원통면(11ie)(φ 6.5 ㎜, 축방향 길이 0.8 ㎜)과, 제3 절두 원뿔 내면(11if)(축방향 길이 0.3 ㎜)과, 제2 대 내경 원통면(11ig)(φ 6.7 ㎜, 축방향 길이 4.2 ㎜)과, 규제 요소로서의 환형 돌기(11ih)(최소 드로잉(絞) 지름 φ 6.5 ㎜)가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절두 원뿔 외면(15b)(맞닿음면)은, 각각, 팁 홀더(1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절두 원뿔 내면(11ib) 및 제2 절두 원뿔 내면(11id)(안내면)으로부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코일 스프링(16)은, 팁(14)의 몰입 조작(예를 들어 팁(14)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기구를 해제하기 위한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 팁 홀더(13)를 자동적으로 몰입시키는 기능을 함께 지닌다(갖춘다). 즉, 코일 스프링(16)은, 이른바 노크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하중은 50 gf∼300 gf 정도(0.49 N∼2.94 N 정도)이다. 예를 들어, 비사용 시(도 2)로부터의 조작 하중은 68 gf, 풀 스트로크 시(도 5)의 하중은 288 gf, 필기 시(도 6)로부터의 조작 하중은 227 gf이다. 또, 스프링 상수(定數)는 0.23 N/㎜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출몰식 필기구(10)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비사용 시에 있어서는, 출몰식 필기구(10)의 팁(14)(필기 몸체)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몰입 상태에 있다. 이 때, 코일 스프링(16)의 축방향 길이는 17 ㎜이고, 환형 부재(15)는 축경되어 있지 않고, 환형 부재(15)의 소 내경 원통면(15ia)은 φ 3.0(>팁(14)의 외경) 그대로이다.
그리고, 팁의 돌출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지면, 출몰식 필기구(10)의 팁(14)(필기 몸체)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른다.
도 4의 상태에서는, 팁(14)의 돌출 조작에 의해서, 팁 홀더(13)의 제2 칼라부(13c)가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16)을 거쳐, 환형 부재(15)가 축통(11) 내면의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더욱 이 내면의 전방측에 대해 압박되고, 제1 절두 원뿔 외면(15b)(맞닿음면)이, 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안내면)으로부터 하중을 받아, 환형 부재(15)의 3개의 슬릿(1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15)의 내경이 축경되어 있다.
이 축경 시의 내경이, 팁(14)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축경 시의 최소 내경(예를 들어 2.35 ㎜∼2.45 ㎜ 정도)이, 축방향으로는 팁(14)(예를 들어 φ 2.5 ㎜)의 매끄러운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반면에, 지름 방향으로는 팁(14)의 효과적인 흔들림 방지 작용을 달성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또, 팁(14)의 외경이 전술한 φ 2.5 ㎜보다 작거나(예를 들어 φ 2.4 ㎜) 큰(예를 들어 φ 2.6 ㎜)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동일 치수의) 환형 부재(15)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흔들림 방지 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는, 흔들림 방지 작용에 대하여, 상이한(다른) 팁 외경을 가지는 상이한 타입의 리필 제품에 대하여 호환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절두 원뿔 외면(15d)이 제2 절두 원뿔 내면(11id)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환형 부재(15)의 전방측으로의 이동 한계가 규정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형 부재(15)의 제2 절두 원뿔 외면(15d)과 축통(11)의 제2 절두 원뿔 내면(11id)이, 환형 부재(15)의 전방측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스토퍼 요소는, 생략 가능하다.
계속해서, 팁의 돌출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계속되면, 출몰식 필기구(10)의 팁(14)(필기 몸체)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른다.
그리고, 팁의 돌출 조작이 종료하면(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해제되면), 출몰식 필기구(10)의 팁(14)(필기 몸체)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 이른다. 통상은, 도 6의 돌출 상태에 있어서 팁 홀더(13)의 위치가 잠기고, 그 후에 팁의 몰입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팁(14)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16)의 축방향 길이는 9.9 ㎜이고(10.1 ㎜ 수축), 이 코일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서 환형 부재(15)는 축경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팁(1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환형 부재(15)의 전방측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가 기능하는 경우이더라도, 환형 부재(15)의 내주면의 소 내경 원통면(15ia)의 치수가 팁(14)의 외경보다도 충분히 작은 경우(직경 차가 0.05 ㎜ 정도 이상 있는 경우: 국제출원의 공개공보 단락 [0081] 참조)에는, 팁 홀더(13)와 환형 부재(15)가 코일 스프링(16)에 의해서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환형 부재(15)의 내경의 축경 정도 등에 대하여 고 정밀도의 치수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팁(1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그 후, 팁의 몰입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재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잠금 기구가 해제되어, 출몰식 필기구(10)의 팁(14)(필기 몸체)은 다시 도 5의 상태로 되고, 또한 코일 스프링(16)의 작용(복원력)에 의해서, 도 4의 상태를 경유해서 도 2의 몰입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2의 몰입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팁 홀더(13)가 후방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1 절두 원뿔 외면(15b)(맞닿음면)이, 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안내면)으로부터 받고 있던 하중이 소실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축경되어 있던 환형 부재(15)의 내경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팁의 출몰 조작의 전술한 과정에 있어서,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15b))과 축통(1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은, 상시 맞닿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팁 홀더(1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15b))이 축통(1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으로부터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서, 환형 부재(15)의 슬릿(1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15)의 내경이 축경한다. 이것에 의해, 축통(11)과 환형 부재(15)가 협력 작동해서 팁(1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환형 부재(15)의 전방측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가 기능하고 있지만, 환형 부재(15)의 내주면의 소 내경 원통면(15ia)의 치수가 팁(14)의 외경보다도 충분히 작기 때문에(직경 차가 0.05 ㎜ 정도 이상 있다: 국제출원의 공개공보 단락 [0081] 참조), 팁 홀더(13)와 환형 부재(15)가 코일 스프링(16)에 의해서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환형 부재(15)의 내경의 축경 정도 등에 대하여 고 정밀도의 치수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팁(1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절결로서의 3개의 슬릿(15s)이 환형 부재(1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슬릿(15s)이 환형 부재(1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15)의 내경이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축경할 수가 있다.
또,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15b))과 축통(1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이, 서로 대응하는 절두 원뿔 외면과 절두 원뿔 내면인 것에 의해,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은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하중을 받을 수가 있고, 결과적으로 환형 부재(15)가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축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15b))과 축통(1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은, 서로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은, 축선 둘레에 회전 대칭인 볼록 곡면을 가지고 있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은, 축선 둘레로 회전 대칭으로서 상기 볼록 곡면의 곡률보다도 완만한 곡률의 오목 곡면 또는 오목 절두 원뿔면이어도 된다.
또, 슬릿(15s)의 수, 사이즈, 형상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환형 부재(15)의 탄성(축경 용이성) 정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환형 부재(15)의 재료 및/또는 두께를 변경함으로써도, 환형 부재(15)의 탄성(축경 용이성) 정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통(11)의 내주면에 환형 돌기(11ih)가 마련되어 있어, 환형 부재(15)의 후방측의 이동 한계가 규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환형 부재(15)의 후방측으로의 과잉 이동(특히는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환형 부재(15)에 있어서 팁(14)을 파지하는 파지부(축경 시의 최소 내경부)는, 이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15b))보다도 전방에 위치해 있다(상기 맞닿음면의 지름 방향 안쪽에는 파지부가 없다). 이것에 의해, 팁(14)을 보다 전방측에서 파지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팁(1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슬릿(15s)의 후방단은, 코일 스프링(16)보다도 전방에 위치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릿(1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15)가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코일 스프링(16)과 환형 부재(15)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15b))과 축통(1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11ib))이, 상시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팁(14)의 출몰 조작 시마다 환형 부재(15)의 맞닿음면과 축통(11)의 안내면이 맞닿음과 이격을 반복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동작이 안정되고, 사용자의 조작감도 매끄럽다(위화감이 없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환형 부재(15)는, 축통(11)의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팁(14)을 보다 긴 축 방향 범위에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팁(1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출몰식 필기구(10)에 흔들림 방지 작용을 달성하는 부품(환형 부재(15))이 탑재되어 있음을, 사용자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가 있다. 또한, 팁(14)이 돌출된 상태의 출몰식 필기구(10)의 전단 근방의 외관 형상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펜 끝에 걸쳐서 매끄러운 형상으로 이을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의하면, 환형 부재(15)가 축통(11)의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양(길이)은, 환형 부재(15)의 축방향의 가동 범위보다도 작다. 이것에 의해, 환형 부재(15)가 축통(11)의 개구 내로 몰입되도록 밀어넣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여전히 환형 부재(15)가 축방향의 가동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15)의 원하지 않는 탈락 등이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에 있어서, 팁(14)의 출몰 조작을 위한 노크 조작부, 또는, 축통(11)의 뒷부분에, 열변색성 필기구용의 연질 부재(찰과 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구성을 열변색성 필기구에 채용한 경우, 필적 찰과 시의 진동에 의해서 팁(또는 팁 홀더)의 달가닥거림이 생겨, 노이즈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그와 같은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열변색성 필기구에 채용하는 것도 추천 권장된다.
<제2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20)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24)(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8의 (a)는, 도 7의 출몰식 필기구(20)의 환형 부재(25)의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25)의 평면도이고, 도 8의 (c)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25)의 측면도이고, 도 8의 (d)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25)의 저면도이고, 도 8의 (e)는, 도 8의 (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의 (f)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25)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의 (g)는, 도 8의 (a)의 환형 부재(25)의 배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는, 환형 부재(25)의 형태와, 축통(21)의 전방부(21m)의 내주면 형태가, 제1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와는 상이하다.
제1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와 대략 마찬가지로, 축통(21)의 내부에는, 축통(2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 홀더(23)가 수용되어 있다. 팁 홀더(23)의 전단에, 필기 몸체인 팁(24)이 고정되어 있다. 팁(24)은, 팁 홀더(23)의 이동에 수반하여, 축통(21)의 개구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팁 홀더(2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기단부(23a), 제1 칼라부(23b) 및 제2 칼라부(23c)를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기단부(23a) 및 제1 칼라부(23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원통 형상의 부위이고, 제2 칼라부(23c)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두 원뿔 형상의 부위이고, 그것들의 단면 직경의 상호 관계는, 기단부(23a)>제1 칼라부(23b)>제2 칼라부(23c)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21)의 개구 내주에, 이 축통(21)에 대해서 이 축통(2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2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환형 부재(25)의 전방단은, 축통(21)의 전방단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해 있다. 환형 부재(25)의 후방측은, 외경도 내경도 확경(擴徑)되어 있어, 팁(24)(φ 2.5로 한다)의 주위를 비접촉으로 덮고 있다.
또, 환형 부재(25)는, 코일 스프링(26)(탄성 부재의 일례)의 전방단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6)은, 팁 홀더(23)의 제2 칼라부(23c) 및 팁(24)을 헐겁게 끼운 상태에서(간극을 두고) 둘러싸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26)의 후방단이 팁 홀더(23)의 기단부(23a)에 의해서 상시 눌려져 있다(고정은 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26)은, 팁 홀더(23)와 환형 부재(25)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팁 홀더(23)의 이동 및 코일 스프링(26)의 신축 변형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25)는, 축통(21)에 대해서 이 축통(2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형 부재(25)는, 수지제(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제) 또는 금속제(예를 들어 놋쇠제)이다.
또, 도 8의 (a) 내지 도 8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25)의 외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외경 원통면(25a)(φ 3.6 ㎜, 축방향 길이 1.6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1 절두 원뿔 외면(25b)(축방향 길이 1 ㎜)과, 중 외경 원통면(25c)(φ 4.8 ㎜, 축방향 길이 1.6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2 절두 원뿔 외면(25d)(축방향 길이 1.2 ㎜)과, 제1 대 외경 원통면(25e)(φ 6.2 ㎜, 축방향 길이 0.8 ㎜)과, 제2 대 외경 원통면(25f)(φ 5.8 ㎜, 축방향 길이 0.6 ㎜)과, 코일 스프링 끼워 맞춤 통면(25g)(φ 4.75 ㎜, 축방향 길이 1 ㎜)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 끼워 맞춤 통면(25g) 상에, 코일 스프링(26)의 전방단이 고정(끼워 맞춤 고정)되어 있다.
또, 도 8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25)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25ia)(φ 2.6 ㎜, 축방향 길이 1.9 ㎜)과,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축방향 길이 0.9 ㎜)과, 대 내경 원통면(25ic)(φ 3.6 ㎜, 축방향 길이 5.6 ㎜)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환형 부재(25)에는, 절결로서, 3개의 슬릿(25s)이 마련되어 있다. 도 8의 (a) 내지 도 8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슬릿(25s)은, 환형 부재(2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120°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 3개의 슬릿(25s)은, 모두, 폭 1 ㎜이고, 환형 부재(25)의 축방향으로 전단으로부터 제2 절두 원뿔 외면(15d)의 대략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축방향 최대 길이 5.3 ㎜).
이것에 의해, 제1 절두 원뿔 외면(25b)(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 환형 부재(25)의 내경은 유연하게 축경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이 하중이 해제될 때, 환형 부재(25)의 내경은 탄성적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축통(21)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21ia)(φ 3.7 ㎜, 축방향 길이 1.2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으로서의 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축방향 길이 1.1 ㎜)과, 중 내경 원통면(21ic)(φ 4.95 ㎜, 축방향 길이 1.3 ㎜)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안내면으로서의 제2 절두 원뿔 내면(21id)(축방향 길이 1.2 ㎜)과, 대 내경 원통면(21ie)(φ 6.3 ㎜, 축방향 길이 1.5 ㎜)과, 규제 요소로서의 환형 돌기(21if)(최소 드로잉 지름 φ 6 ㎜)가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절두 원뿔 외면(25b)(맞닿음면)은, 각각, 팁 홀더(1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안내면)으로부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코일 스프링(26)은, 팁(24)의 몰입 조작(예를 들어 팁(24)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기구를 해제하기 위한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 팁 홀더(23)를 자동적으로 몰입시키는 기능을 함께 지닌다(갖춘다). 즉, 코일 스프링(26)은, 이른바 노크 스프링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하중은 50 gf∼300 gf 정도(0.49 N∼2.94 N 정도)이다. 예를 들어, 비사용 시(도 7)로부터의 조작 하중은 67 gf, 풀 스트로크 시(도시 생략)의 하중은 285 gf, 필기 시(도시 생략)로부터의 조작 하중은 225 gf이다. 또, 스프링 상수는 0.23 N/㎜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출몰식 필기구(20)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비사용 시에 있어서는, 출몰식 필기구(20)의 팁(24)(필기 몸체)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몰입 상태에 있다. 이 때, 코일 스프링(26)의 축방향 길이는 17 ㎜이고, 환형 부재(25)는 축경되어 있지 않고, 환형 부재(25)의 소 내경 원통면(25ia)은 φ 2.6(>팁(24)의 외경) 그대로이다.
그리고, 팁의 돌출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지면, 코일 스프링(26)을 거쳐, 환형 부재(25)가 축통(21) 내면의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더욱 이 내면의 전방측에 대해 눌려지고, 제1 절두 원뿔 외면(25b)(맞닿음면)이, 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안내면)으로부터 하중을 받고, 환형 부재(25)의 3개의 슬릿(2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25)의 내경이 축경한다.
이 축경 시의 내경이, 팁(24)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축경 시의 최소 내경(예를 들어 2.35 ㎜∼2.45 ㎜ 정도)이, 축방향으로는 팁(24)(예를 들어 φ 2.5 ㎜)의 매끄러운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반면에, 지름 방향으로는 팁(24)의 효과적인 흔들림 방지 작용을 달성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또, 팁(24)의 외경이 전술한 φ 2.5 ㎜보다 작거나(예를 들어 φ 2.4 ㎜) 큰(예를 들어 φ 2.6 ㎜)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동일 치수의) 환형 부재(25)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흔들림 방지 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는, 흔들림 방지 작용에 대하여, 상이한(다른) 팁 외경을 가지는 상이한 타입의 리필 제품에 대하여 호환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팁의 돌출 조작이 종료하면(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이 해제되면), 팁 홀더(23)의 위치가 잠기고, 그 후에 팁의 몰입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팁(24)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26)의 축방향 길이는 9.9 ㎜이고(10.1 ㎜ 수축), 이 코일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서 환형 부재(25)는 축경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팁(2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팁 홀더(23)와 환형 부재(25)가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25)의 내경의 축경 정도 등에 대하여 고 정밀도의 치수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팁(2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그 후, 팁의 몰입 조작(예를 들어 필기구 측면에 마련된 조작부의 재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잠금 기구가 해제되어, 코일 스프링(26)의 작용(복원력)에 의해서, 도 7의 몰입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7의 몰입 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에 있어서, 팁 홀더(23)가 후방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1 절두 원뿔 외면(25b)(맞닿음면)이, 제1 절두 원뿔 내면(21ib) 및 제2 절두 원뿔 내면(21id)(안내면)으로부터 받고 있던 하중이 소실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축경되어 있던 환형 부재(25)의 내경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팁의 출몰 조작의 전술한 과정에 있어서,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25b))과 축통(2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은, 상시 맞닿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팁 홀더(23)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25b))이 축통(2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으로부터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서, 환형 부재(25)의 슬릿(2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25)의 내경이 축경한다. 이것에 의해, 축통(21)과 환형 부재(25)가 협력 작동해서 팁(2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한, 팁 홀더(23)와 환형 부재(25)가 코일 스프링(26)에 의해서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환형 부재(25)의 내경의 축경 정도 등에 대하여 고 정밀도의 치수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팁(2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절결로서의 3개의 슬릿(25s)이 환형 부재(2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슬릿(25s)이 환형 부재(2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25)의 내경이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축경할 수가 있다.
또,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25b))과 축통(2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이, 서로 대응하는 절두 원뿔 외면과 절두 원뿔 내면인 것에 의해,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은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하중을 받을 수가 있고, 결과적으로 환형 부재(25)가 둘레 방향으로 균형 있게 축경할 수가 있다.
또, 슬릿(25s)의 수, 사이즈, 형상 등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환형 부재(25)의 탄성(축경 용이성) 정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환형 부재(25)의 재료 및/또는 두께를 변경함으로써도, 환형 부재(25)의 탄성(축경 용이성) 정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통(21)의 내주면에 환형 돌기(21if)가 마련되어 있어, 환형 부재(25)의 후방측의 이동 한계가 규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환형 부재(25)의 후방측으로의 과잉 이동(특히는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환형 부재(25)에 있어서 팁(24)을 파지하는 파지부(축경 시의 최소 내경부)는, 이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25b))보다도 전방에 위치해 있다(상기 맞닿음면의 지름 방향 안쪽에는 파지부가 없다). 이것에 의해, 팁(24)을 보다 전방측에서 파지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팁(2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파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슬릿(25s)의 후방단은, 코일 스프링(26)보다도 전방에 위치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릿(25s)의 존재에 의해서 환형 부재(25)가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코일 스프링(26)과 환형 부재(25)의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제1 절두 원뿔 외면(25b))과 축통(21)의 안내면(제1 절두 원뿔 내면(21ib))이, 상시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팁(24)의 출몰 조작 시마다 환형 부재(25)의 맞닿음면과 축통(21)의 안내면이 맞닿음과 이격을 반복한다고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동작이 안정되어, 사용자의 조작감도 매끄럽다(위화감이 없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환형 부재(25)는, 축통(21)의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팁(24)을 보다 긴 축방향 범위에서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팁(24)을 달가닥거림(유격)이 없는 양태로 보다 효과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출몰식 필기구(20)에 흔들림 방지 작용을 달성하는 부품(환형 부재(25))이 탑재되어 있음을, 사용자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가 있다. 또한, 팁(24)이 돌출된 상태의 출몰식 필기구(20)의 전단 근방의 외관 형상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펜 끝에 걸쳐서 매끄러운 형상으로 이어갈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환형 부재(25)가 축통(21)의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양(길이)은, 환형 부재(25)의 축방향의 가동 범위보다도 작다. 이것에 의해, 환형 부재(25)가 축통(21)의 개구 내로 몰입되도록 밀어넣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여전히 환형 부재(25)가 축방향의 가동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환형 부재(25)의 원하지 않는 탈락 등이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있어서도, 팁(24)의 출몰 조작을 위한 노크 조작부, 또는, 축통(21)의 뒷부분에, 열변색성 필기구용의 연질 부재(찰과 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구성을 열변색성 필기구에 채용한 경우, 필적 찰과 시의 진동에 의해서 팁(또는 팁 홀더)의 달가닥거림이 생겨, 노이즈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그와 같은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열변색성 필기구에 채용하는 것도 추천 권장된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출몰식 필기구(20')의 개략 종단면도로서, 팁(24)(필기 몸체)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0의 (a)는, 도 9의 출몰식 필기구(20')의 환형 부재(25')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25')의 평면도이고,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25')의 측면도이고, 도 10의 (d)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25')의 저면도이고, 도 10의 (e)는, 도 10의 (c)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의 (f)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25')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10의 (g)는, 도 10의 (a)의 환형 부재(25')의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는, 환형 부재(25')의 형태와, 축통(21')의 전방부(21m')의 내주면의 형태가, 제2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와는 약간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25')의 소 외경 원통면(25a')의 축방향 길이가 조금 짧게 되어 있고(φ 3.6 ㎜, 축방향 길이 1.3 ㎜), 그의 더욱 전방측에 플랜지부(25j)(φ 4.4 ㎜, 축방향 길이 0.8 ㎜)가 마련되어 있고, 소 내경 원통면(25ia')의 축방향 길이가 조금 길게 되어 있다(φ 2.6 ㎜, 축방향 길이 2.38 ㎜).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5j)가, 환형 부재(25')의 후방측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통(21')의 내면에 환형 돌기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3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에 의해서도, 제2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20)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리필 제품에 대한 보충(補足))
본 실시형태의 출몰식 필기구(10)는, 축통(11)과, 이 축통(11) 내에 수용되는 리필 제품(refill)(필기 몸체)과, 이 리필 제품의 팁(14)을 축통(11)의 개구로부터 출몰 자유롭게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한 필기구이다.
리필 제품의 일례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27을 사용하여 보충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리필 제품(6)은, 예를 들어, 펜 끝(팁)(61)과, 이 펜 끝(61)이 전단 개구부에 압입(壓入) 고착된 잉크 수용관(62)과, 이 잉크 수용관(62) 내에 충전된 열변색성 잉크와, 이 열변색성 잉크의 후단측에 인접해서 충전되고 이 열변색성 잉크의 소비에 수반하여 전진하는 추종체(예를 들어 고점도 유체)와, 잉크 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장착된 후미 마개(尾栓)(63)로 이루어진다. 후미 마개(63)에는, 후단을 향하여 개구된 공기 구멍(63a)이 마련되어 있다. 공기 구멍(63a)은, 잉크 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通氣) 가능하게 하고 있다.
펜 끝(61)은, 예를 들어,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볼을 포지(抱持)한 금속제의 볼펜 팁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그와 같은 볼펜 팁과 이 볼펜 팁의 뒷부분 외면을 보유지지한 합성 수지제의 펜 끝 홀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어느것인가이다. 펜 끝(61)의 내부에는, 전단의 볼을 전방으로 누르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전단부에 로드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로드부의 전단이 볼의 후면과 접촉되어 있다. 비필기 시에는, 이 스프링의 전방 바이어스(付勢)에 의해, 볼은 볼펜 팁 전단의 내향의 전단 테두리부 내면에 밀접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펜 끝(61)의 전단으로부터의 잉크의 누출 및 잉크의 증발이 방지되고 있다.
(축통(11)의 후단부에 대한 보충)
본 실시형태의 축통(11)은, 예를 들어, 끝이 가늘어지는(先細) 원통형의 전축(3)(도 28 참조)과, 이 전축(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중간축(4)(도 29 참조)과, 이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후축(5)(도 30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축(5)의 후단부에, 장착 구멍(52)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고, 이 장착 구멍(5)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53)가 압입하여 끼워맞춰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축(5)의 후단부의 외면에, 마찰부(53)가 고정될 수 있다. 또, 후축(5)의 내면에는, 내향 돌기(5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53)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고무, 일래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SBS 수지(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SEBS 수지(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플루오린계(불소계) 수지, 클로로프렌 수지, 나이트릴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EPDM) 또는 2종 이상의 고무 탄성 재료의 혼합물 및, 고무 탄성 재료와 합성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마찰부(53)를 구성하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는, 고마모성의 탄성 재료(예를 들어, 지우개 등)가 아니라, 마찰 시에 마모 찌꺼기(磨耗滓)(소거 잔재(消滓))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저마모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찰부(53)는, 다양한 양태로 축통(11)의 후단부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통(11)의 후단부의 외면 혹은 후축(5)의 후단부의 외면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53)를 압입, 걸어 맞춤, 나사 결합, 끼워 맞춤, 접착, 2색 성형 등에 의해서 마련하는 양태 외에, 축통(11)의 전체 혹은 후축(5)의 전체를 탄성 재료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는 양태이어도 된다.
(노크 부재(8)에 대한 보충)
도 31을 참조해서, 노크 부재(8)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83)이 고정될 수 있다. 클립(83)의 이면에는, 볼록부(玉部)가 돌출하여 마련될 수 있다. 노크 부재(8)는, 예를 들어, 클립(83)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기초부(基部)(81)와, 이 기초부(81)와 일체로 연설(連設)되며 또한 이 기초부(8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축부(82)로 이루어진다.
노크 부재(8)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클립(83)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 또는 금속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로부터 얻어진다. 노크 부재(8)와 클립(83)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82)의 전단에는, 출몰 회전 부재(7)의 돌조(突條)(71)의 후단(도 32 내지 도 35 참조)과 걸어 맞추는 캠 이빨(82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노크 부재(8)의 조립에 대하여는, 노크 부재(8)의 기초부(81)를, 중간축(4)의 제1 긴 구멍(長孔)(41)의 후단(개방부)으로부터, 이 제1 긴 구멍(41) 내로 삽입함과 함께, 노크 부재(8)의 축부(82)를 중간축(4) 내로 삽입한다. 그 후, 중간축(4)의 제1 긴 구멍(41)과 후축(5)의 제2 긴 구멍(51)이 지름 방향으로 연통하도록(지름 방향과 겹치도록), 후축(5)의 내면을 중간축(4)의 축경부의 외면에 끼워맞추면서, 노크 부재(8)의 기초부(81)를, 후축(5)의 제2 긴 구멍(51)의 전단(개방부)으로부터, 이 제2 긴 구멍(51) 내로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중간축(4)과 후축(5)이 연결됨(중간축(4)의 외향 돌기(44)와 후축(5)의 내향 돌기(54)가 타고 넘어 걸어 맞춰짐)과 함께, 제1 긴 구멍(41)과 제2 긴 구멍(51)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구멍(21)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노크 부재(8)가 돌출된 상태로 된다. 노크 부재(8)는,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단에 마찰부(53)가 고정된 후축(5)이,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마찰부(53)는 축통(11)의 후단에 상시 고정된 상태로 된다. 또, 전축(3)과 중간축(4)이 나사맞춤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장착 및 탈거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리필 제품(6)은 수시로 교환 가능하다.
(출몰 기구에 대한 보충)
본 실시형태의 출몰 기구는, 회전 캠 기구를 사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고, 전술한 노크 부재(8)와, 노크 부재(8)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축통(11)의 개구로부터 펜 끝(61)을 돌출 또는 몰입시키도록 전후로 이동함과 함께 리필 제품(6)(따라서 펜 끝(61))을 회전시키는 출몰 회전 부재(7)와, 축통(11) 내에 마련되어 노크 부재(8)의 위치에 따라 출몰 회전 부재(7)와 걸어 맞춤 또는 걸어 맞춤 해제 가능한 전술한 캠부(43)와, 축통(11) 내에 마련되며 또한 리필 제품(6)을 후방으로 바이어스하는 노크 스프링(12)(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출몰 기구는,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노크 부재(8)를 전방으로 누름 조작(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더블 노크식이다.
(열변색성 잉크에 대한 보충)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변색성 잉크는, 가역 열변색성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역 열변색성 잉크는, 발색 상태로부터 가열에 의해 소색하는 가열 소색형, 발색 상태 또는 소색 상태를 호변적(互變的)으로 특정 온도역으로 기억 유지하는 색채 기억 유지형, 또는, 소색 상태로부터 가열에 의해 발색하고, 발색 상태로부터의 냉각에 의해 소색 상태로 되돌아가는 가열 발색형 등, 갖가지 타입을 단독 또는 병용해서 구성할 수가 있다.
가역 열변색성 잉크에 함유되는 색재로서는, 예를 들어, (가) 전자 공여성 정색성(呈色性) 유기 화합물, (나) 전자 수용성 화합물 및, (다) 상기 양자가 화학적으로 결부되는 반응(정색 반응)의 생기(生起) 온도를 결정하는 반응 매체의 필수 세 성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가역 열변색성 조성물을 마이크로캡슐 속에 내포시킨 가역 열변색성 안료가 호적하게 사용된다.
(리필 제품(6)의 회전에 대한 보충)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크 부재(8)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축통(11)의 개구로부터 펜 끝(61)을 돌출 또는 몰입시키도록 전후로 이동함과 함께, 리필 제품(6)(따라서 펜 끝(61))이 회전된다. 이와 같이 펜 끝(61)이 회전하는 필기구는, 펜 끝(61)의 마모를 균등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에 있어서 인기가 있다.
도 36은, 회전 캠 기구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펜 끝 몰입 상태(도 36(a) 참조)로부터 노크 부재(8)가 탄발체(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후방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누름 조작(슬라이드 조작)되면, 노크 부재(8)의 축부(82)의 전단의 캠 이빨(82a)을 거쳐, 이 캠 이빨(82a)에 걸어 맞춰져 있던 출몰 회전 부재(7)의 돌조(71)가 전방으로 눌려진다. 출몰 회전 부재(7)의 돌조(71)는, 캠홈(43b)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간다.
출몰 회전 부재(7)의 돌조(7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이 출몰 회전 부재(7)는, 맞닿음부(73)와 후미 마개(63)의 돌편(突片)(63b) 사이의 당접 관계를 거쳐, 리필 제품(6)을 전방으로 누른다. 그리고, 펜 끝(61)을 축통(11)의 개구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다.
노크 부재(8)의 노크 조작의 최고 깊이 위치에 있어서, 돌조(71)의 후단은, 캠부(43)의 캠홈(43b)을 빠져나와서, 노크 부재(8)의 캠 이빨(82a)의 골부(谷部)로 떨어져 들어가도록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출몰 회전 부재(7)는 약간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36의 (b) 참조).
계속해서, 탄발체에 의한 후방 바이어스에 의해서 노크 부재(8)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돌조(71)의 후단은, 캠부(43)의 캠 이빨(43a)의 골부로 떨어져 들어가도록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출몰 회전 부재(7)는 더욱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36의 (c) 참조). 또, 돌조(71)의 후단은, 캠부(43)의 캠 이빨(43a)의 골부의 위치에 머무르기 때문에, 펜 끝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펜 끝 돌출 상태(도 36의 (c) 참조)로부터 노크 부재(8)가 전방으로 누름 조작(슬라이드 조작)되면, 노크 부재(8)의 축부(82)의 전단의 캠 이빨(82a)에 의해서 다시 출몰 회전 부재(7)의 돌조(71)의 후단이 걸어 맞춰져서 전방으로 눌려진다.
노크 부재(8)의 노크 조작의 최고 깊이 위치에 있어서, 돌조(71)의 후단은, 캠부(43)의 캠 이빨(43a)의 산부(山部)(이빨)를 타고 넘어, 노크 부재(8)의 캠 이빨(82a)의 골부로 떨어져 들어가도록 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출몰 회전 부재(7)는 약간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36의 (d) 참조). 또, 계속해서, 탄발체에 의한 후방 바이어스에 의해서 노크 부재(8)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돌조(71)는, 캠홈(43b) 내로 도입되어, 펜 끝 몰입 상태가 유지된다(도 36의 (a) 참조).
도 37 및 도 38에, 후미 마개(63)의 돌편(63b)과 출몰 회전 부재(7)의 맞닿음부(73)의 맞닿음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출몰 회전 부재(7)의 전면(前面)의 맞닿음부(73)가, 리필 제품(6)의 후단의 후미 마개(63)의 돌편(63b)에 맞닿아짐과 함께, 출몰 회전 부재(7)의 전면의 복수의 돌기부(72)가, 리필 제품(6)의 후단의 후미 마개(63)의 돌편(63b) 사이의 간극(63c)에 삽입되어, 둘레 방향으로 걸어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출몰 회전 부재(7)의 둘레 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리필 제품(6)도 둘레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몰 회전 부재(7)의 전면의 맞닿음부(73)가, 리필 제품(6)의 후단의 후미 마개(63)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출몰 회전 부재(7)가 리필 제품(6)의 다른 부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양태도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미 마개(63)를 가지고 있지 않고, 리필 제품(6)의 후단에 복수의 돌편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양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환형 부재(15, 25, 25')의 회전에 대한 보충)
노크 부재(8)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리필 제품(6)이 축통(11, 21)에 대해서 회전될 때, 이 리필 제품(6)에 코일 스프링(16, 26)을 거쳐 접속된 환형 부재(15, 25, 25')도, 축통(11, 21)에 대해서 회전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16, 26)의 전방단은 환형 부재(15, 25, 25')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16, 26)의 전방단은 환형 부재(15, 25, 25')의 내면을 슬라이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 전방단이 환형 부재(15, 25, 25')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리필 제품(6)에 코일 스프링(16, 26)을 거쳐 접속된 환형 부재(15, 25, 25')도 축통(11, 21)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리필 제품(6)과 코일 스프링(16, 26)이 일체로 되어 회전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16, 26)의 후방단이 팁 홀더(13, 23) 상을 슬라이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 후방단이 팁 홀더(13, 23)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리필 제품(6)과 환형 부재(15, 25, 25')와 코일 스프링(16, 26)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리필 제품(6)의 원활한 회전(나아가서는 노크 부재(8)의 누름 조작)이 저해될 우려도 없다. 또한, 환형 부재(15, 25, 25')의 회전이 시인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할 수가 있다.
(리필 제품(6)의 회전 방향과 코일 스프링(16, 26)의 감기 방향)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단측에서 보아 리필 제품(6)의 회전 방향은 우회전이고, 코일 스프링(16, 26)의 감기 방향은 좌회전(이른바, 왼쪽감기(左卷)의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감기 개시 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리필 제품(6)의 회전 방향과 코일 스프링(16, 26)의 감기 방향을 일치시켜 두면, 리필 제품(6)의 회전 시에 팁 홀더(13, 23)(의 코일 스프링 맞닿음부)가 코일 스프링(16, 26)의 후방단을 밀어넣는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팁 홀더(13, 23)와 코일 스프링(16, 26) 사이의 접속이 견고하게 되어(예를 들어 양자가 걸리는 양태로 되어), 코일 스프링(16, 26)이 리필 제품(6)의 회전력을 환형 부재(15, 25, 25')에 전달하기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코일 스프링(16)의 감기 방향을 역(반대)으로 한 양태의 도면을, 도 39에 나타낸다.
여기서, 팁 홀더(13, 23)의 코일 스프링 맞닿음부에, 코일 스프링(16, 26)의 후방단과의 접속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요철(凹凸) 형상 등이 마련되는 것도 더욱 호적하다.
(환형 부재(15, 25, 25')의 내주면의 R모따기)
도 3의 (e)를 참조해서 설명한 대로, 환형 부재(15)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15ia)과, 제1 절두 원뿔 내면(15ib)과, 중 내경 원통면(15ic)과, 제2 절두 원뿔 내면(15id)과, 4면 분할부(15ie)와, 대 내경 원통면(15if)과, 제3 절두 원뿔 내면(15ig)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소 내경 원통면(15ia)과 제1 절두 원뿔 내면(15ib) 사이의 접속 영역(경계)에, R모따기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팁(14)이 소 내경 원통면(15ia) 내로 삽입될 때에, 걸림이 없기 때문에, 보다 매끄러운 삽입이 실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의 (e)를 참조해서 설명한 대로, 환형 부재(25)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25ia)과,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과, 대 내경 원통면(25ic)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지만, 소 내경 원통면(25ia)과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 사이의 접속 영역(경계)에 R모따기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팁(24)이 소 내경 원통면(25ia) 내로 삽입될 때에, 걸림이 없기 때문에, 보다 매끄러운 삽입이 실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e)을 참조해서 설명한 대로, 환형 부재(25')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25ia')과,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과, 대 내경 원통면(25ic)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지만, 소 내경 원통면(25ia')과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 사이의 접속 영역(경계)에 R모따기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팁(24)이 소 내경 원통면(25ia') 내로 삽입될 때에, 걸림이 없기 때문에, 보다 매끄러운 삽입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의 (e)의 제1 절두 원뿔 내면(15ib)을 마련하는 대신에, 소 내경 원통면(15ia')과 중 내경 원통면(15ic')이 R모따기부(15ib')에 의해서 접속된(제1 절두 원뿔 내면(15ib)이 모따기부(15ib')에 의해서 치환된) 양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팁(14)이 소 내경 원통면(15ia') 내로 삽입될 때에, 걸림이 없기 때문에, 보다 매끄러운 삽입이 실현될 수 있다. 도 40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환형 부재(15')의 내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내경 원통면(15ia')과, 모따기부(15ib')와, 중 내경 원통면(15ic')과, 제2 절두 원뿔 내면(15id')과, 4면 분할부(15ie')와, 대 내경 원통면(15if')과, 제3 절두 원뿔 내면(15ig')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절결로서, 3개의 슬릿(15s')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8의 (e)의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을 마련하는 대신에, 소 내경 원통면(25ia)과 중 내경 원통면(25ic)이 R모따기부에 의해서 접속된(제1 절두 원뿔 내면(25ib)이 이 모따기부에 의해서 치환된) 양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팁(24)이 소 내경 원통면(25ia) 내로 삽입될 때에, 걸림이 없기 때문에, 보다 매끄러운 삽입이 실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 10의 (e)의 제1 절두 원뿔 내면(25ib)을 마련하는 대신에, 소 내경 원통면(25ia')과 중 내경 원통면(25ic)이 R모따기부에 의해서 접속된(제1 절두 원뿔 내면(25ib)이 이 모따기부에 의해서 치환된) 양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팁(24)이 소 내경 원통면(25ia') 내로 삽입될 때에, 걸림이 없기 때문에, 보다 매끄러운 삽입이 실현될 수 있다.
(절결의 다른 양태)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결로서, 슬릿(15s, 15s', 25s)이 마련되어 있었다. 즉, 절결은, 환형 부재(15, 15', 25, 25')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까지 관통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절결은, 그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주위에 비해서 박육 부분(두께의 일부가 절결된 양태)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릿(15s, 15s', 25s) 부분에 박육부가 잔존하는 양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도 41의 (a)는, 그와 같은 변형예의 환형 부재(15”)의 사시도이고, 도 41의 (b)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15”)의 평면도이고, 도 41의 (c)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15”)의 측면도이고, 도 41의 (d)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15”)의 저면도이고, 도 41의 (e)는, 도 41의 (c)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1의 (f)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15”)의 정면도(선단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41의 (g)는, 도 41의 (a)의 환형 부재(15”)의 배면도이다.
도 41의 (a) 내지 도 41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부재(15”)의 외주면은, 전방측으로부터, 소 외경 원통면(15a”)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1 절두 원뿔 외면(15b”)과, 중 외경 원통면(15c”)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2 절두 원뿔 외면(15d”)과, 제1 대 외경 원통면(15e”)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맞닿음면으로서의 제3 절두 원뿔 외면(15f”)과, 제2 대 외경 원통면(15g”)이 이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의 환형 부재(15”)에는, 절결로서, 3개의 박육부(15t”)가 마련되어 있다. 도 41의 (a) 내지 도 41의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박육부(15t”)는, 도 3의 (a) 내지 도 3의 (g)의 3개의 슬릿(15s)에 대응하는 위치에, 즉, 환형 부재(1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120°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 3개의 박육부(15t”)는, 모두, 폭 0.8 ㎜이고, 0.2 ㎜의 두께로서, 환형 부재(15”)의 축방향으로 전단으로부터 제2 절두 원뿔 외면(15d”)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되어 있다(축방향 최대 길이 5.5 ㎜).
이와 같은 변형예라도, 제1 절두 원뿔 외면(15b”)(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 환형 부재(15”)의 내경은 유연하게 축경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하중이 해제될 때, 환형 부재(15”)의 내경은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가 있다.
10: 출몰식 필기구
11: 축통
11ia: 소 내경 원통면
11ib: 제1 절두 원뿔 내면
11ic: 중 내경 원통면
11id: 제2 절두 원뿔 내면
11ie: 제1 대 내경 원통면
11if: 제3 절두 원뿔 내면
11ig: 제2 대 내경 원통면
11ih: 환형 돌기
11m: 전방부
11r: 후방부
13: 팁 홀더
13a: 기단부
13b: 제1 칼라부
13c: 제2 칼라부
14: 팁
15: 환형 부재
15a: 소 외경 원통면
15b: 제1 절두 원뿔 외면
15c: 중 외경 원통면
15d: 제2 절두 원뿔 외면
15e: 제1 대 외경 원통면
15f: 제3 절두 원뿔 외면
15g: 제2 대 외경 원통면
15ia: 소 내경 원통면
15ib: 제1 절두 원뿔 내면
15ic: 중 내경 원통면
15id: 제2 절두 원뿔 내면
15ie: 4면 분할부
15if: 대 내경 원통면
15ig: 제3 절두 원뿔 내면
15s: 슬릿
15': 환형 부재
15ia': 소 내경 원통면
15ib': 모따기부
15ic': 중 내경 원통면
15id': 제2 절두 원뿔 내면
15ie': 4면 분할부
15if': 대 내경 원통면
15ig': 제3 절두 원뿔 내면
15s': 슬릿
15”: 환형 부재
15a”: 소 외경 원통면
15b”: 제1 절두 원뿔 외면
15c”: 중 외경 원통면
15d”: 제2 절두 원뿔 외면
15e”: 제1 대 외경 원통면
15f”: 제3 절두 원뿔 외면
15g”: 제2 대 외경 원통면
15t”: 박육부
16: 코일 스프링
20: 출몰식 필기구
20': 출몰식 필기구
21: 축통
21': 축통
21ia: 소 내경 원통면
21ib: 제1 절두 원뿔 내면
21ic: 중 내경 원통면
21id: 제2 절두 원뿔 내면
21ie: 대 내경 원통면
21if: 환형 돌기
21m: 전방부
21m': 전방부
23: 팁 홀더
23a: 기단부
23b: 제1 칼라부
23c: 제2 칼라부
24: 팁
25: 환형 부재
25': 환형 부재
25a: 소 외경 원통면
25a': 소 외경 원통면
25b: 제1 절두 원뿔 외면
25c: 중 외경 원통면
25d: 제2 절두 원뿔 외면
25e: 제1 대 외경 원통면
25f: 제2 대 외경 원통면
25g: 코일 스프링 끼워 맞춤 통면
25j: 플랜지부
25ia: 소 내경 원통면
25ia': 소 내경 원통면
25ib: 제1 절두 원뿔 내면
25ic: 대 내경 원통면
25s: 슬릿
26: 코일 스프링
3: 전축
32: 본체
33: 파지부
4: 중간축
41: 제1 긴 구멍
42: 단차부
43: 캠부
43a: 캠 이빨
43b: 캠홈
44: 외향 돌기
5: 후축
51: 제2 긴 구멍
52: 장착 구멍
53: 마찰부
54: 내향 돌기
6: 리필 제품(필기 몸체)
61: 펜 끝
62: 잉크 수용관
63: 후미 마개
63a: 공기 구멍
63b: 돌기
63c: 간극
63d: 소경부
63e: 대경부
63f: 플랜지부(鍔部)
63g: 걸어 맞춤면
63p: 외향 돌기
63t: 보조 테이퍼부
7: 출몰 회전 부재
71: 돌조
72: 돌기부
72a: 걸어 맞춤면
73: 맞닿음부
74: 환형 보조 돌기부
74t: 보조 맞닿음면
78: 외향 돌기
8: 노크 부재
81: 기초부
82: 축부
82a: 캠 이빨
83: 클립
88: 내향 돌기
110: 출몰식 필기구
111: 축통
111a: 후방부
111b: 내통부
111c: 전방부
111d: 꼭대기쇠부
111t: 안내면
112: 제2 코일 스프링
113: 팁 홀더
113a: 기단부
113b: 제1 칼라부
113c: 제2 칼라부
113d: 선단부
113f: 스프링 고정 보조부
114: 팁
115: 환형 부재
115a: 대 외경 원통부
115b: 소 외경 원통부
115s: 슬릿
115t: 맞닿음면
116: 코일 스프링
120: 출몰식 필기구
123: 팁 홀더
123a: 기단부
123b: 제1 칼라부
123c: 제2 칼라부
123d: 선단부
124: 팁
125: 환형 부재
125s: 슬릿
125t: 맞닿음면
126: 수지 스프링부
126e: 수지 스프링부
130: 출몰식 필기구
132: 칼라 부재
133: 팁 홀더
133a: 기단부
133b: 제1 칼라부
133c: 제2 칼라부
133d: 선단부
133m: 중간 칼라부
134: 팁
140: 출몰식 필기구
142: 칼라 부재
143: 팁 홀더
143a: 기단부
143b: 제1 칼라부
143c: 제2 칼라부
143d: 선단부
143m: 중간 칼라부
144: 팁

Claims (22)

  1. 전단에 개구를 가지는 축통과,
    상기 축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 홀더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팁 홀더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출몰 가능한 팁과,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의 내주에 헐겁게 끼워져, 이(當該) 축통에 대해서 이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와,
    상기 팁 홀더와 상기 환형 부재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탄성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부재의 일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에 이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縮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맞닿음면이 맞닿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 및/또는 상기 환형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환형 부재의 후방측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환형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절결의 각각은, 상기 환형 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은,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안내면도,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은, 절두 원뿔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팁 홀더의 환형 칼라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팁 홀더의 상기 환형 칼라로부터 이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안내면은, 상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재는,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출몰 조작을 위한 조작부, 또는, 상기 축통의 뒷부분(後部)에, 연질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노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팁은, 상기 노크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 또는 몰입을 번갈아 반복하게 전후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환형 부재는, 상기 노크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축통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
  12. 전단에 팁이 고정된 팁 홀더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가능하며, 전단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팁 홀더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팁을 상기 개구로부터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한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으로서,
    이 축통의 상기 개구의 내주에 헐겁게 끼워져, 이 축통에 대해서 이 축통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환형 부재와,
    상기 팁 홀더와 상기 환형 부재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탄성 부재와,
    상기 환형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 맞닿는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부재의 일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에 있어서 하중을 받을 때에 이 환형 부재의 내경이 축경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통 내면의 일부에는,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맞닿음면이 맞닿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팁 홀더의 전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안내면으로부터 상기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 및/또는 상기 환형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환형 부재의 후방측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스토퍼 요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은, 상기 환형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절결의 각각은, 상기 환형 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은,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안내면도,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은, 절두 원뿔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팁 홀더의 환형 칼라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팁 홀더의 상기 환형 칼라로부터 이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안내면은, 상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부재는,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출몰 조작을 위한 조작부, 또는, 상기 축통의 뒷부분에, 연질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22.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 노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팁은, 상기 노크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축통의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 또는 몰입을 번갈아 반복하도록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환형 부재는, 상기 노크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축통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식 필기구용 축통.
KR1020237020754A 2020-12-21 2021-12-20 출몰식 필기구 KR20230109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1780 2020-12-21
JPJP-P-2020-211780 2020-12-21
PCT/JP2021/046938 WO2022138533A1 (ja) 2020-12-21 2021-12-20 出没式筆記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725A true KR20230109725A (ko) 2023-07-20

Family

ID=8215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754A KR20230109725A (ko) 2020-12-21 2021-12-20 출몰식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049099B2 (ko)
EP (1) EP4265430A1 (ko)
JP (1) JPWO2022138533A1 (ko)
KR (1) KR20230109725A (ko)
CN (1) CN116648359A (ko)
TW (1) TW202233441A (ko)
WO (1) WO202213853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683A (ja) 1991-09-25 1993-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リニアモータ
JPH0593884A (ja) 1989-12-27 1993-04-16 Honeywell Inc 色偏光のためのビーム組合せ/分割キユーブプリズム
JP2013220602A (ja) 2012-04-17 2013-10-28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JP2019111657A (ja) 2017-12-20 2019-07-11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706A (en) * 1990-01-30 2000-08-01 Ancos Co., Ltd. Writing instrument operated by a finger at a holding position
US4969764A (en) * 1990-03-15 1990-11-13 Gregory Allen R Capless retractable marking pen
JPH0593884U (ja) 1991-06-24 1993-12-21 株式会社トンボ鉛筆 筆記先端部の振れ防止装置
JPH0513790U (ja) * 1991-08-01 1993-02-2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筆記先端部の振れ防止装置
JPH0585683U (ja) 1992-04-20 1993-11-1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筆記先端部の振れ防止装置
JP2010064302A (ja) * 2008-09-09 2010-03-25 Zebra Pen Corp 筆記具
JP2013223931A (ja) * 2012-04-19 2013-10-31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WO2019124346A1 (ja) * 2017-12-20 2019-06-27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及び多芯筆記具
US11964509B2 (en) * 2019-03-27 2024-04-23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Writing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884A (ja) 1989-12-27 1993-04-16 Honeywell Inc 色偏光のためのビーム組合せ/分割キユーブプリズム
JPH0585683A (ja) 1991-09-25 1993-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リニアモータ
JP2013220602A (ja) 2012-04-17 2013-10-28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JP2019111657A (ja) 2017-12-20 2019-07-11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049099B2 (en) 2024-07-30
US20240042790A1 (en) 2024-02-08
JPWO2022138533A1 (ko) 2022-06-30
WO2022138533A1 (ja) 2022-06-30
EP4265430A1 (en) 2023-10-25
TW202233441A (zh) 2022-09-01
CN116648359A (zh)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0299A1 (en) Writing instrument
JP7285088B2 (ja) 多芯筆記具
CN210132909U (zh) 笔具
KR102536678B1 (ko) 출몰식 필기구 및 다심 필기구
KR20230109725A (ko) 출몰식 필기구
JP2022098313A (ja) 出没式筆記具
JP2014205242A (ja) 筆記具
JP7208776B2 (ja) 筆記具
JP2024000378A (ja) 出没式筆記具
JP2024000380A (ja) 出没式筆記具
JP2024000381A (ja) 出没式筆記具
JP2024000379A (ja) 出没式筆記具
JP2024000377A (ja) 出没式筆記具
JP6774331B2 (ja) 熱変色性筆記具
JP3460853B2 (ja) 芯体繰り出し具
JP5070942B2 (ja) 複式筆記具
JP6159559B2 (ja) 筆記具
JP6157906B2 (ja) 筆記具
JP6954828B2 (ja) 多芯筆記具
JP6954829B2 (ja) 多芯筆記具
JP7377061B2 (ja) 筆記具
JP7261009B2 (ja) 筆記具
JP2023091242A (ja) 出没式筆記具
JP5621630B2 (ja) 複式筆記具
JP7145036B2 (ja) 棒状芯繰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