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992A -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992A
KR20180110992A KR1020170041099A KR20170041099A KR20180110992A KR 20180110992 A KR20180110992 A KR 20180110992A KR 1020170041099 A KR1020170041099 A KR 1020170041099A KR 20170041099 A KR20170041099 A KR 20170041099A KR 20180110992 A KR20180110992 A KR 20180110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osed
support plate
edg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964B1 (ko
Inventor
박종현
문성덕
박옥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964B1/ko
Priority to EP18775383.5A priority patent/EP3606025B1/en
Priority to CN201880022748.8A priority patent/CN110476410B/zh
Priority to US16/498,050 priority patent/US11178322B2/en
Priority to PCT/KR2018/003822 priority patent/WO2018182374A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렌즈모듈이 배치된 제1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CAMERA MODULE AND VEHIC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내부의 전장부품을 보호해야 하며 전장부품이 외력에 의해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크류에 의해 전장부품을 고정하는데, 스크류 고정 방식은 단가가 높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의 전장부품을 스크류 고정 방식에 의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이 배치된 제1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와 상기 기판의 아랫면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판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아랫면과 상기 모서리부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된 제1지지판;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판과 경사지게 배치된 제2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배치된 제1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모서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모서리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끝단에 제1후크가 배치된 후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후크는 상기 기판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기판의 각 측면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이 배치된 제1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전장부품)이 제2하우징의 지지부에 고정되고, 지지부는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보호된다. 스크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을 고정함으로써 생산단가와 공정 면에서 이점이 있으며, 지지부의 구조에 의해 기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 자동차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2하우징, 기판 및 이미지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이 융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3에 표시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z축의 화살표 방향"이 "상측"이다. "z축 방향"은 "광축 방향"과 혼용될 수 있고, "광축"은 렌즈모듈(100)의 광축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사이드 미러(7) 및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7)는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 등을 통해 자동차(1) 내부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자동차(1)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내부 공간(룸, room)이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제1모서리와 제3모서리를 기준으로 자른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2하우징, 기판 및 이미지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이 융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100), 제1하우징(200), 제2하우징(300), 기판(400) 및 이미지 센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렌즈모듈(100)은 제1하우징(2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제1하우징의 본체(220)의 윗면에 형성된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과 렌즈홀더(210)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0)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렌즈모듈(100)과 렌즈홀더(210) 사이에는 가스켓(10)이 개재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광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광축이 정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직접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렌즈배럴에 수용되어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와 렌즈배럴은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의 최외곽(최상측)에 배치된 렌즈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피사체에 반사된 외부 광은 렌즈모듈(100)의 최외곽 렌즈에 입사할 수 있다. 외부 광은 렌즈모듈(100)을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500)에 조사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1하우징(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하우징은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은 중공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제1개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제1개구(221)를 통해 제2하우징(30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제2하우징(300)의 지지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제1개구(221)는 베이스(320)와의 결합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200)의 내부는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지지부(310)에 고정된 기판(400)과 이미지 센서(50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은 렌즈홀더(210)와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210)와 본체(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2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블럭 형태일 수 있다. 본체(220)의 윗면에는 렌즈홀더(21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홀더(210)는 본체(220)의 윗면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렌즈홀더(210)는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렌즈홀더(210)의 내부에는 렌즈모듈(100)이 장착될 수 있다. 렌즈홀더(210)의 내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렌즈모듈(100)의 외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홀더(210)와 렌즈모듈(100)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홀더(210)의 내측면과 렌즈모듈(100)의 외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경우에 따라 열 경화가 추가로 진행될 수도 있다.
본체(220)의 하단부는 제2하우징(300)의 베이스(32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220)의 하단부와 베이스(320)의 윗면은 레이저 융착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은 본체(220)와 베이스(320)의 레이저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하우징(200)의 제1개구(221)는 베이스(320)에 의해 폐쇄되고, 제1하우징(200)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2하우징(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하우징(300)은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의 상부에는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의 상부에 기판(4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400)은 제2하우징(300)과 끼임 결합할 수 있다. 또, 제2하우징(300) 및/또는 기판(400)의 결합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은 제1하우징(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개구(221)를 통해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하우징(300)은 아래에서 위로 삽입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의 상부는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300)은 지지부(310), 베이스(320), 케이블 수용부(330) 및 후크부(341,342,343,34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0)는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0)의 상부에는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20)는 지지부(3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320)는 제1하우징(200)의 제1개구(221)를 폐쇄할 수 있다. 후크부(341,342,343,344)는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0)은 후크부(341,342,343,344)에 걸려 상측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330)는 베이스(3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330)에는 외부의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은 케이블 수용부(330)에 마련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330)의 단자는 커넥터(미도시) 등에 의해 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은 기판(400)과 외부의 전자 기기(전자 제어 유닛, 전원 제어 유닛, 디스플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라인일 수 있다. 즉, 기판(400)과 외부의 전자 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4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500)에서 출력된 전자 신호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자 제어 유닛에 전달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에서 변환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전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기판(4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00)은 ON/OFF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전자 제어 유닛을 통해 기판(4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이 다양한 전자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2하우징(300)의 지지부(310), 베이스(320) 및 후크부(341,342,343,344)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310)는 기판(400)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320)는 제1하우징(200)의 개구(221)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지지부(3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후크부(341,342,343,344)는 기판(400)을 걸어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310)는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제3지지판(313), 제4지지판(314), 모서리부(315,316,317,318), 제1가이드부(315-1), 제2가이드부(315-2), 제3가이드부(316-1), 제4가이드부(316-2), 제5가이드부(317-1), 제6가이드부(317-2), 제7가이드부(318-1) 및 제8가이드부(318-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지지판(311,312,313,314), 모서리부(315,316,317,318) 및 후크부(341,342,343,344)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제3지지판(313) 및 제4지지판(314)은 베이스(320)에서 위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제3지지판(313) 및 제4지지판(314)은 베이스(320)의 윗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320)의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서리부(315,316,317,318)는 복수 개의 지지판(311,312,313,3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서리부(315,316,317,318)에는 기판(400)의 모서리가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400)의 아랫면과 모서리부(315,316,317,318)의 상부는 접촉할 수 있다. 모서리부(315,316,317,318)는 제1모서리(315), 제2모서리(316), 제3모서리(317) 및 제4모서리(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3지지판(313)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판(312)과 제4지지판(314)은, 제1지지판(311)과 제3지지판(313)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 사이에는 제1모서리(3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모서리(315)는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즉,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은 제1모서리(315)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 사이에는 제2모서리(316)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모서리(316)는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즉,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은 제2모서리(316)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 사이에는 제3모서리(317)가 배치될 수 있다. 제3모서리(317)는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즉,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은 제3모서리(317)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4지지판(314)과 제1지지판(311)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4지지판(314)과 제1지지판(311)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지지판(314)과 제1지지판(311) 사이에는 제4모서리(318)가 배치될 수 있다. 제4모서리(318)는 제4지지판(314)과 제1지지판(311)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일 수 있다. 즉, 제4지지판(314)과 제1지지판(311)은 제4모서리(318)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과 제1모서리(315)와 제2모서리(316)와 제3모서리(317)와 제4모서리(318)에 의해 기판(400)이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과 제1모서리(315)와 제2모서리(316)와 제3모서리(317)와 제4모서리(318)의 상단부와 기판(400)의 아랫면이 접촉할 수 있다.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과 제1모서리(315)와 제2모서리(316)와 제3모서리(317)와 제4모서리(318)의 상단부와 기판(400)의 접촉 지점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기판(400)은 접착제에 의해 제1지지판(311)과 제2지지판(312)과 제3지지판(313)과 제4지지판(314)과 제1모서리(315)와 제2모서리(316)와 제3모서리(317)와 제4모서리(318)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은 제1홈(311-1), 제2홈(311-2) 및 제1돌출부(3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11-1), 제2홈(311-2) 및 제1돌출부(311-3)는 제1지지판(311)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11-1)은 제4모서리(318)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홈(311-2)은 제1모서리(315)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11-1)과 제2홈(311-2)은 제1지지판(311)의 상단부가 아래로 침강되어(파여)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311-3)는 제1홈(311-1)과 제2홈(3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311-3)는 제1지지판(311)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1홈(311-1)의 폭은 제2홈(311-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제1돌출부(311-3)는 제4모서리(318)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판(312)은 제3홈(312-1), 제4홈(312-2) 및 제2돌출부(3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홈(312-1), 제4홈(312-2) 및 제2돌출부(312-3)는 제2지지판(312)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홈(312-1)은 제1모서리(315)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홈(312-2)은 제2모서리(316)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홈(312-1)과 제4홈(312-2)은 제2지지판(312)의 상단부가 아래로 침강되어(파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부(312-3)는 제3홈(312-1)과 제4홈(3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312-3)는 제2지지판(312)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3홈(312-1)의 폭은 제4홈(312-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제2돌출부(312-3)는 제1모서리(315)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지지판(313)은 제5홈(313-1), 제6홈(313-2) 및 제3돌출부(3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5홈(313-1), 제6홈(313-2) 및 제3돌출부(313-3)는 제3지지판(313)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5홈(313-1)은 제2모서리(316)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6홈(313-2)은 제3모서리(317)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5홈(313-1)과 제6홈(313-2)은 제3지지판(313)의 상단부가 아래로 침강되어(파여) 형성될 수 있다.
제3돌출부(313-3)는 제5홈(313-1)과 제6홈(3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부(313-3)는 제3지지판(313)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5홈(313-1)의 폭은 제6홈(313-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제3돌출부(313-3)는 제2모서리(316)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지지판(314)은 제7홈(314-1), 제8홈(314-2) 및 제4돌출부(3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7홈(314-1), 제8홈(314-2) 및 제4돌출부(314-3)는 제4지지판(314)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7홈(314-1)은 제3모서리(317)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8홈(314-2)은 제4모서리(318)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7홈(314-1)과 제8홈(314-2)은 제4지지판(314)의 상단부가 아래로 침강되어(파여) 형성될 수 있다.
제4돌출부(314-3)는 제7홈(314-1)과 제8홈(3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돌출부(314-3)는 제4지지판(314)의 윗면에서 위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제7홈(314-1)의 폭은 제8홈(314-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제4돌출부(314-3)는 제3모서리(317) 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341,342,343,344)는 지지부(31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341,342,343,344)는 끝단에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가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341,342,343,344)는 지지부(310)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341,342,343,344)는 복수 개로 기판(400)의 각 측면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후크부(341)는 베이스(320)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후크부(341)는 제1지지판(3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후크부(341)는 제1지지판(311)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후크부(341)는 제1지지판(311)보다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후크부(341)는 상단부에 제1후크(341-1)가 배치된 로드 형태일 수 있다. 제1후크(341-1)는 고리 형태로 기판(40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후크(341-1)는 기판(400)이 안착되는 제1돌출부(311-3)와 제1모서리(315)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400)은 제1후크(341-1)에 걸려 상측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1후크부(341)는 제1모서리(315)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후크부(341)는 제2홈(3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311-3)는 제4모서리(318) 측에 편향되게 배치되므로, 제1후크부(341)는 제1돌출부(311-3)와 상호 보완하여 기판(400)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후크부(341)를 제2홈(3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제1돌출부(3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홈(311-2)과 제1돌출부(311-3)는 제1후크부(341)와 광축에 수평인 방향으로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측에서 기판(400)의 윗면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후크부(342)는 제2지지판(31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후크부(342)는 제2지지판(312)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후크부(342)는 제2지지판(312)보다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2후크부(342)는 상단부에 제2후크(342-1)가 배치된 로드 형태일 수 있다. 제2후크(342-1)는 고리 형태로 기판(40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후크(342-1)는 기판(400)이 안착되는 제2돌출부(312-3)와 제2모서리(316)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400)은 제2후크(342-1)에 걸려 상측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2후크부(342)는 제2모서리(316)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후크부(342)는 제4홈(3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312-3)는 제1모서리(315) 측에 편향되게 배치되므로, 제2후크부(342)는 제2돌출부(312-3)와 상호 보완하여 기판(400)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후크부(342)를 제4홈(3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제2돌출부(3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4홈(312-2)과 제2돌출부(312-3)는 제2후크부(342)와 광축에 수평인 방향으로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측에서 기판(400)의 윗면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후크부(343)는 제3지지판(313)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후크부(343)는 제3지지판(313)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3후크부(343)는 제3지지판(313)보다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3후크부(343)는 상단부에 제3후크(343-1)가 배치된 로드 형태일 수 있다. 제3후크(343-1)는 고리 형태로 기판(40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3후크(343-1)는 기판(400)이 안착되는 제3돌출부(313-3)와 제3모서리(317)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400)은 제3후크(343-1)에 걸려 상측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3후크부(343)는 제3모서리(317)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후크부(343)는 제6홈(3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돌출부(313-3)는 제2모서리(316) 측에 편향되게 배치되므로, 제3후크부(343)는 제3돌출부(313-3)와 상호 보완하여 기판(400)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후크부(343)를 제6홈(3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제3돌출부(3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6홈(313-2)과 제3돌출부(313-3)는 제3후크부(343)와 광축에 수평인 방향으로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측에서 기판(400)의 윗면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후크부(344)는 제4지지판(31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4후크부(344)는 제4지지판(314)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4후크부(344)는 제4지지판(314)보다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4후크부(344)는 상단부에 제4후크(344-1)가 배치된 로드 형태일 수 있다. 제4후크(344-1)는 고리 형태로 기판(400)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4후크(344-1)는 기판(400)이 안착되는 제4돌출부(314-3)와 제4모서리(318)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400)은 제4후크(344-1)에 걸려 상측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4후크부(344)는 제4모서리(318) 측에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후크부(344)는 제8홈(314-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돌출부(314-3)는 제3모서리(317) 측에 편향되게 배치되므로, 제4후크부(344)는 제4돌출부(314-3)와 상호 보완하여 기판(400)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후크부(344)를 제8홈(314-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였으나, 제4돌출부(314-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8홈(314-2)과 제4돌출부(314-3)는 제4후크부(344)와 광축에 수평인 방향으로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측에서 기판(400)의 윗면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0)은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와 지지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0)은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와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및 제4돌출부(31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400)의 윗면은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의 아랫면과 접촉하고, 기판(400)의 아랫면은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및 제4돌출부(314-3)의 윗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하, 지지판(311,312,313,314), 모서리부(315,316,317,318), 후크부(341,342,343,344)의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기판(400)의 상하 방향 요동이 차단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판(400)의 아랫면은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 제1모서리(315), 제2모서리(316), 제3모서리(317) 및 제4모서리(318)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기판(400)은 윗면이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기판(400)과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 제1모서리(315), 제2모서리(316), 제3모서리(317), 제4모서리(318),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의 접촉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기판(400)의 모서리 부분은 바르게 배치된 제1모서리(315), 제2모서리(316), 제3모서리(317) 및 제4모서리(31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기판(400)의 변 부분은 편향되게 배치된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에 의해 지지되지만,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와 반대로 편향되게 배치된 제1후크(341-1), 제2후크(342-1), 제3후크(343-1) 및 제4후크(344-1)가 이를 보완하여 상하 방향 요동에 대응할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제1돌출부(311-3)와 제3돌출부(313-3)는 기판(4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점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서로 대향하는 제2돌출부(312-3)와 제4돌출부(313-4)도 기판(4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점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의 편향 배치에 불구하고, 기판(400)은 안정적으로 정립(正立, correct position)될 수 있다.
이하, 기판(400)의 틸팅(tilting)을 차단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외력이 기판(400)의 무게중심에 편향되어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400)에는 회전 모멘트(momemt)가 작용하여 기울어질(틸팅, tilting) 수 있다. 기판(400)이 기울어질 때, 기판(400)의 무게중심에서 편향되어 아래로 작용하는 힘과 위로 작용하는 힘이 나타날 수 있다.
일 예로, 제1사분면에서 기판(400)을 누르는 외력이 작용할 때, 제1사분면에 배치된 기판(400)에는 아래로 힘이 작용하고, 제3사분면에 배치된 기판(400)에는 위로 힘이 작용한다. 아래로 작용하는 힘은, 기판(400)이 제1사분면에 위치한 제2돌출부(312-3)와 제3돌출부(313-3)와 제2모서리(316)에 의해 지지되어 상쇄되고, 위로 작용하는 힘은 기판(400)이 제3사분면에 위치한 제4후크부(344-1)에 의해 고정되어 상쇄된다. 제2돌출부(312-3)와 제3돌출부(313-3)와 제4후크부(344-1)의 편향 배치에 의해 기판(400)의 틸팅은 안정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즉, 돌출부와 후크부의 편향 배치는 기판(400)의 틸팅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 기판(400)이 회전 모멘트(moment)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판(400)이 휘는(bending)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기판(400)의 상하 방향 이동(z축 방향 이동)과 틸팅(tilting)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가이드부(315-1,315-2,316-1,316-2,317-1,317-2,318-1,318-2)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는 베이스(320)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는 제1모서리(315)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는 제1모서리(315)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는 제1모서리(315)를 기준으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는 제1모서리(315)를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모서리(315)를 기준으로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의 경사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의 상부 내측면은 기판(400) 모서리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 및 제2가이드부(315-2)와 기판(400)의 접촉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와 제2가이드부(315-2)는 기판(400)의 수평 방향 이동(x축, y축 방향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1경사부(31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5-1)의 상단부에는 제2지지판(312)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1경사부(31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15-2)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2경사부(315-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15-2)의 상단부에는 제1지지판(311)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2경사부(315-4)가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는 베이스(320)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는 제2모서리(316)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는 제2모서리(316)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는 제2모서리(316)를 기준으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는 제2모서리(316)를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모서리(316)를 기준으로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의 경사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의 상부 내측면은 기판(400) 모서리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 및 제4가이드부(316-2)와 기판(400)의 접촉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와 제4가이드부(316-2)는 기판(400)의 수평 방향 이동(x축, y축 방향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3경사부(3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16-1)의 상단부에는 제2지지판(312)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3경사부(3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316-2)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4경사부(316-4)가 배치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316-2)의 상단부에는 제3지지판(313)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4경사부(316-4)가 배치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는 베이스(320)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는 제3모서리(317)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는 제3모서리(317)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는 제3모서리(317)를 기준으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는 제3모서리(317)를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모서리(317)를 기준으로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의 경사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의 상부 내측면은 기판(400) 모서리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 및 제6가이드부(317-2)와 기판(400)의 접촉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와 제6가이드부(317-2)는 기판(400)의 수평 방향 이동(x축, y축 방향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5경사부(317-3)가 배치될 수 있다. 제5가이드부(317-1)의 상단부에는 제4지지판(314)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5경사부(317-3)가 배치될 수 있다.
제6가이드부(317-2)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6경사부(317-4)가 배치될 수 있다. 제6가이드부(317-2)의 상단부에는 제3지지판(313)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6경사부(317-4)가 배치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는 베이스(320)에서 위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는 제4모서리(318)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는 제4모서리(318)보다 베이스(32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는 제4모서리(318)를 기준으로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는 제4모서리(318)를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모서리(318)를 기준으로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의 경사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의 상부 내측면은 기판(400) 모서리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 및 제8가이드부(318-2)와 기판(400)의 접촉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와 제8가이드부(318-2)는 기판(400)의 수평 방향 이동(x축, y축 방향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7경사부(318-3)가 배치될 수 있다. 제7가이드부(318-1)의 상단부에는 제4지지판(314)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7경사부(318-3)가 배치될 수 있다.
제8가이드부(318-2)의 상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8경사부(318-4)가 배치될 수 있다. 제8가이드부(318-2)의 상단부에는 제1지지판(311) 측으로 아래로 경사진 제8경사부(318-4)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가이드부(315-1,315-2,316-1,316-2,317-1,317-2,318-1,318-2)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판(400)이 지지부(320)에 끼임 결합 시 기판(400)의 모서리는 제1경사부(315-3), 제2경사부(315-4), 제3경사부(316-3), 제4경사부(316-4), 제5경사부(317-3), 제6경사부(317-4), 제7경사부(318-3) 및 제8경사부(318-4)에 의해 가이드 되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된 기판(400)은 아랫면이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 제1모서리(315), 제2모서리(316), 제3모서리(317) 및 제4모서리(318)의 상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400)은 제1돌출부(311-3), 제2돌출부(312-3), 제3돌출부(313-3), 제4돌출부(313-4), 제1모서리(315), 제2모서리(316), 제3모서리(317) 및 제4모서리(31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가이드된 기판(400)은 모서리의 외측면이 제1가이드부(315-1), 제2가이드부(315-2), 제3가이드부(316-1), 제4가이드부(316-2), 제5가이드부(317-1), 제6가이드부(317-2), 제7가이드부(318-1) 및 제8가이드부(318-2)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400)은 제1가이드부(315-1), 제2가이드부(315-2), 제3가이드부(316-1), 제4가이드부(316-2), 제5가이드부(317-1), 제6가이드부(317-2), 제7가이드부(318-1) 및 제8가이드부(318-2)와 끼임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가이드부(315-1,315-2,316-1,316-2,317-1,317-2,318-1,318-2)는 기판(400)을 가이드하여 지지부(31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고, 기판(400)을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기판(400)은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0)은 제2하우징(300)의 지지부(310)에 장착될 수 있다. 기판(400)은 지지부(310)가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4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400)에는 이미지 센서(500)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400)은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자 기기의 전원이나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 이미지 센서(500)에서 출력된 전자 이미지 신호를 외부 전자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판(400)은 이미지 센서(500)가 배치되지 않은 후면에 제1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319)는 베이스(320)의 상측에 배치되면서 지지부(31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에서 출력된 이미지 신호는 제2커넥터(319)를 통해 차량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400)의 제1커넥터(미도시)와 제2하우징(300)에 배치된 제2커넥터(319)의 결합 구조에 따라, 기판(400)이 안착되는 각 모서리의 높이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400)이 하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판은 간극을 두고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500)가 실장된 기판은 지지부(31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나머지 기판은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제3지지판(313) 및 제4지지판(314)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제3지지판(313) 및 제4지지판(314)의 내측에 배치된 기판은 제1하우징(200)의 본체(220)와 제1지지판(311), 제2지지판(312), 제3지지판(313) 및 제4지지판(314)에 의해 2 중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제1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기판(4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렌즈모듈(100)의 광축과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모듈(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500)로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획득한 광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50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이 레이저 융착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하우징(200) 본체(220)의 아랫면에는 내측에 위치하고, 아래로 돌출된 리브(221)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하우징(200) 베이스(320)의 윗면에는 외측(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위로 돌출된 측벽(321)이 배치될 수 있다.
리브(221)는 베이스(320)의 윗면과 접촉하고, 측벽(321)은 리브(221)의 외측에 위치하여 리브(221)를 커버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0)은 레이저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하우징(300)은 레이저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가 리브(221)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베이스(320)에 조사되면, 레이저는 베이스(320)를 투과하여 리브(221)에 흡수된다. 따라서 리브(221)와 베이스(320)의 접촉 부분은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어 융착될 수 있다.
레이저 융착을 위해서는 리브(221)와 측벽(321) 간의 배치와 간격이 중요하다. 리브(221)의 상하 방향 길이(도 7의 a)는 0.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리브(221)와 측벽(321) 사이의 공차(도 7의 b)는 0.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221)는 용융되어 전체적으로 수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레이저의 투과성과 내구성을 감안하면 베이스(320)의 두께(도 7의 c)는 1.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측벽(321)의 너비(도 7의 d)는 0.5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융착 시 용융된 리브(221)와 베이스(32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측벽(321)의 내측면과 리브(221)의 외측면의 공차(도 7의 e) 0.2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리브(221)와 베이스(320)의 접촉 부분의 너비(도 7의 f)는 결합 강도와 기밀성을 위해 1mm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하우징(200)과 제2하우징(300)의 조립 공차(도 7의 g)는 0.1mm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렌즈모듈이 배치된 제1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와 상기 기판의 아랫면은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판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아랫면과 상기 모서리부는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된 제1지지판; 및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판과 경사지게 배치된 제2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배치된 제1모서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모서리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에서 위로 연장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모서리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끝단에 제1후크가 배치된 후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후크는 상기 기판의 윗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된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기판의 각 측면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 카메라 모듈.
  10.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이 배치된 제1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동차.
KR1020170041099A 2017-03-30 2017-03-30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18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99A KR102318964B1 (ko) 2017-03-30 2017-03-30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EP18775383.5A EP3606025B1 (en) 2017-03-30 2018-03-30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CN201880022748.8A CN110476410B (zh) 2017-03-30 2018-03-30 摄像头模块及汽车
US16/498,050 US11178322B2 (en) 2017-03-30 2018-03-30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PCT/KR2018/003822 WO2018182374A1 (ko) 2017-03-30 2018-03-30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99A KR102318964B1 (ko) 2017-03-30 2017-03-30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92A true KR20180110992A (ko) 2018-10-11
KR102318964B1 KR102318964B1 (ko) 2021-10-29

Family

ID=6367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99A KR102318964B1 (ko) 2017-03-30 2017-03-30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78322B2 (ko)
EP (1) EP3606025B1 (ko)
KR (1) KR102318964B1 (ko)
CN (1) CN110476410B (ko)
WO (1) WO2018182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1919A1 (ja) * 2020-02-10 2021-08-1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センサモジュー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414A (ko) * 2019-11-12 2021-05-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D920217S1 (en) * 2019-12-20 2021-05-25 Hu Shan Auto Parts Inc. Tailgate handle camera mount
US11794664B2 (en) * 2021-07-28 2023-10-24 Clarion Corporation of America Underbody camera
CN219976252U (zh) * 2023-06-27 2023-11-07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一体式透镜支架的舞台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855A (ko) * 2009-09-18 2011-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142194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0478B2 (en) * 2003-09-04 2018-02-20 Flir Systems, Inc.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TW200934232A (en) * 2008-01-24 2009-08-01 Advanced Semiconductor Eng Image-captur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101214A1 (en) * 2008-03-13 2009-09-16 Tdk Taiwan Corp. EMI-proof miniature lens focusing mechanism
KR20100002614A (ko) * 2008-06-30 2010-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232237B2 (en) * 2009-06-03 2019-03-19 Flir Systems, Inc. Thermal-assisted golf rangefinder systems and methods
KR101122313B1 (ko) * 2010-07-02 2012-03-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428842B1 (ko) * 2011-11-08 2014-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1832496B1 (ko) * 2011-12-01 2018-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027329B2 (ja) * 2012-03-30 2016-1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194062B2 (en) 2013-10-16 2019-0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is of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20150044360A (ko) * 2013-10-16 2015-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10128595B2 (en) * 2015-03-09 2018-11-13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10484587B2 (en) * 2015-03-09 2019-11-19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CN204859320U (zh) * 2015-07-11 2015-12-09 方倩 一种内置红外滤镜的图像传感器摄像头
CN204795307U (zh) * 2015-07-16 2015-11-18 深圳安茂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摄像机
US10678118B2 (en) * 2015-12-31 2020-06-09 Flextronics Ap, Llc Method and system of sealing front half of camera module
KR102502284B1 (ko) * 2016-01-12 2023-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DE102016103965A1 (de) * 2016-03-04 2017-09-07 Connaught Electronics Ltd. Kamera mit einem Gehäuse, einer Leiterplatte und einem haubenartigen, federnden Halteelement,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amera
US10660204B2 (en) * 2016-04-14 2020-05-19 Lg Innotek Co., Ltd. Device for fixing camera module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JP6730510B2 (ja) * 2016-07-29 2020-07-2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組立方法
US10911647B2 (en) * 2018-11-12 2021-02-02 Magna Electronics Inc. Vehicular camera with thermal compensating mea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0855A (ko) * 2009-09-18 2011-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142194A (ko) * 2014-06-11 2015-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1919A1 (ja) * 2020-02-10 2021-08-1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センサ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06935A1 (en) 2020-04-02
CN110476410B (zh) 2022-03-25
EP3606025B1 (en) 2022-09-07
KR102318964B1 (ko) 2021-10-29
EP3606025A1 (en) 2020-02-05
US11178322B2 (en) 2021-11-16
WO2018182374A1 (ko) 2018-10-04
CN110476410A (zh) 2019-11-19
EP3606025A4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0992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659712B1 (ko) 카메라 모듈
KR102601677B1 (ko) 렌즈 구동장치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KR102478903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30174203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7670064B2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system
US20060203875A1 (en) Optical module comprising an image sensor and a lens unit that is supported on the sensitiv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N112799260A (zh) 镜头驱动机构
KR102483472B1 (ko) 차량용 카메라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486423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KR20240068502A (ko) 카메라 모듈
KR102666968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240045892A (ko)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KR20240045893A (ko)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KR20220001966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41324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85195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