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360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360A
KR20150044360A KR20140008263A KR20140008263A KR20150044360A KR 20150044360 A KR20150044360 A KR 20150044360A KR 20140008263 A KR20140008263 A KR 20140008263A KR 20140008263 A KR20140008263 A KR 20140008263A KR 20150044360 A KR20150044360 A KR 2015004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frame
frame
outer frame
hol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김포철
이중석
백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2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363A/ko
Priority to US14/502,547 priority patent/US10194062B2/en
Priority to TW103134139A priority patent/TWI585483B/zh
Priority to EP14275207.0A priority patent/EP2863624B1/en
Priority to CN201410548799.8A priority patent/CN104570551B/zh
Priority to PH12014000290A priority patent/PH12014000290A1/en
Publication of KR2015004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360A/ko
Priority to KR1020160121399A priority patent/KR10179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단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용 전자 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고정된 초점에 의해 사물을 촬영하는 단초점 방식의 카메라 모듈이 채용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기술 개발에 따라 자동초점(Autofocus) 조정이 가능하도록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자동초점조정을 위하여 렌즈 배럴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렌즈 배럴은 광축과 평행하게 이동하여야 하며, 광축이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렌즈 배럴의 구동 과정에서 렌즈 배럴이 광축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으며, 초기 조립 상태에서 렌즈의 광축이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한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단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경계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경계면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 사이의 경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돌출부의 외부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에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탄성 부재의 모서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상기 결합홈이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누르는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부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스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스트립부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스트립부에는 상기 스트립부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판을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홀과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렌즈 배럴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에는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조정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조정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조정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조정홈의 상벽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조정홈의 상기 상벽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조정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홈의 상기 상벽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조정홈의 상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돌출부의 외부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에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분을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부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스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스트립부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스트립부에는 상기 스트립부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판을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 중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단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가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단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밀어올림에 따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홀과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접착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응하는 접착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한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탄성 부재의 배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과 탄성 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과 탄성 부재의 결합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내측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내측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정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20), 내측 프레임(30), 외측 프레임(40), 탄성 부재(50) 및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은 상기 렌즈 배럴(2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은 상기 내측 프레임(30)과 결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배럴(20)은 상기 내측 프레임(30) 내에서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의 일면에는 구동부로서 마그네트(2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21)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40)에는 코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미도시)은 인접하는 상기 마그네트(21)와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미도시)에는 요크(미도시)가 부착되고, 상기 코일(미도시)은 상기 요크(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미도시)을 감싸는 상기 요크(미도시)에 의하여 자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21)는 일정한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코일(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21)와 상기 코일(미도시)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한 구동력이 발생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30)은 상기 렌즈 배럴(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 배럴(2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프레임(30)에는 상기 렌즈 배럴(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 배럴(20)에 부착된 상기 마그네트(21)가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배치된 상기 코일(미도시)과 마주볼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배럴(20)이 상기 내측 프레임(30) 내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렌즈 배럴(20)의 구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상기 렌즈 배럴(20)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 가이드(23)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볼 가이드(23)는 상기 렌즈 배럴(20)의 외부면 및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상기 볼 가이드(23)는 상기 렌즈 배럴(20)과 상기 내측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름 운동을 통해 상기 렌즈 배럴(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배럴(20)이 광축 방향으로 구동할 때, 다수의 상기 볼 가이드(23)가 상기 렌즈 배럴(2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렌즈 배럴(20)이 광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50)가 조립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외측 프레임(40)에는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프레임(40)은 케이스(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40)과 상기 케이스(10)는 서로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 프레임(40)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가 상기 외측 프레임(40)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50)가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가압하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과 마주보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부(3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프레임(40)에는 상기 단차부(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40)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도성 도료(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도료(미도시)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가 차폐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도성 도료(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가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종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도료(미도시)로는 전도성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필름이나 전도성 테이프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과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의 단면적보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의 단면적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은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의 단면적은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상면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케이스(10)에 의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상부가 덮여지게 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은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외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케이스(10)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형상 및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외부 광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상면에 입사홀(1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사홀(11a)을 통해 입사된 외부 광은 상기 렌즈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수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상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입사홀(11a)을 덮도록 윈도우 글래스(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미도시)가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이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15)는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 홈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15)는 상기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 기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장착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와의 결합구조인 결합부(15)를 케이스(10)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결합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하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가 상기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15)가 상기 케이스(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이 외부 기기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탄성 부재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과 탄성 부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과 탄성 부재의 결합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한 상기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를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에 상기 탄성 부재(5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50)에 의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은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은 초기 결합 상태에서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결합 상태는 상기 렌즈 배럴(20)을 수용한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상기 외측 프레임(40)과 결합시키고,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상기 케이스(10)를 결합시킨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도 3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는 돌기부(3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에는 지지부(4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35)와 상기 지지부(47)가 초기 결합 상태에서 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 중 상기 돌기부(3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 중 상기 지지부(47)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 상기 탄성 부재(50) 및 상기 케이스(10)의 결합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 및 7a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에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부(51)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51)를 연결하는 스트립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의 각 모서리(즉, 다수의 상기 결합부(51))에는 결합홈(5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각 모서리 상부에는 결합돌기(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33)에 상기 결합홈(51a)을 끼움으로써 상기 내측 프레임(30)에 상기 탄성 부재(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누르는 가압돌기(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의 상기 스트립부(53)에는 상기 스트립부(53)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가압판(53a)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압돌기(16)는 상기 가압판(53a)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돌기(16)가 상기 탄성 부재(50)의 적어도 일부분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상기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 부재(50)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과 초기 결합 상태에서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결합되는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과 상기 렌즈의 광축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30)과 상기 외측 프레임(40) 사이의 조립 공차에 의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결합시킬 때,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이 수직하게 정렬되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되지 않을 경우 화질 저하 또는 이미지의 열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기 탄성 부재(50)가 광축 방향 하측으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가압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이 초기 결합 상태에서 밀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과 상기 외측 프레임(40) 사이에 조립 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을 수직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배럴(20)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상기 렌즈 배럴(20)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조립 공차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에 구비되는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20)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조립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상기 외측 프레임(4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을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수직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내측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내측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정홈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부(31)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41)도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31)는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31) 사이의 경계면(31a)은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그(60) 등을 상기 관통홀(41)에 삽입하면, 상기 지그(60)는 상기 단차부(31)와 맞닿을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지그(60)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31) 사이의 경계면(31a)을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초기 결합 상태 즉, 상기 렌즈 배럴(20)을 내부에 수용한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조립시키고,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외측 프레임(4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는지 검사한 뒤에,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가 만족되어질 경우에는 접착제(미도시)를 주입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초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가 만족되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를 만족시킨 뒤에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 조정은 선택적 사항일 수 있다.
초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가 만족되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단차부(31) 중 적어도 하나를 밀어올려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프레임(30)은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그(60)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31) 사이의 경계면(31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계면(31a)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모서리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계면(31a)과 맞닿는 상기 지그(60)의 접촉면도 상기 경계면(31a)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그(60)를 상기 관통홀(41)에 삽입하여 상기 경계면(31a)과 접촉한 상태로 밀어넣으면, 자연스럽게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31) 사이의 경계면(31a)에는 돌출부(3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1b)는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1b)와 맞닿는 상기 지그(60)의 접촉면도 상기 지그(60)의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그(60)를 상기 관통홀(41)에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31b)와 접촉한 상태로 밀어넣으면, 자연스럽게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1b)의 외부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1b)는 상기 지그(60)와 점 접촉하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돌출부(31b)가 상기 지그(60)와 선 접촉 또는 면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측 프레임(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착홀(43)은 상기 관통홀(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홀(43)을 통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홀(43)과 상기 관통홀(4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미도시)가 충전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가 만족되어 질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60)를 통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을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시킨 뒤에, 상기 접착홀(43)과 상기 관통홀(41)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접착제(미도시)를 주입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50)가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미도시)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하면이 상기 외측 프레임(4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부재(50)의 가압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미도시)의 접착력은 상기 탄성 부재(50)의 가압력과 같거나 더 클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탄성 부재(50)의 가압력에 대응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내측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조정홈(31')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동일하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 및 상기 조정홈(31')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내부면과 마주보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외부면에는 조정홈(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프레임(40)에는 상기 관통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1)은 상기 조정홈(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조정홈(31')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1)도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조정홈(31')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1)도 상기 외측 프레임(4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홈(31')은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측면 중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홈(31')은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조정홈(31')의 상기 상벽부(31'a)가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지그(60) 등을 상기 관통홀(41)에 삽입하면, 상기 지그(60)는 상기 조정홈(31')의 상기 상벽부(31'a)와 맞닿을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지그(60)를 이용하여 상기 조정홈(31')의 상기 상벽부를(31'a) 밀어올려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그(60)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조정홈(31')의 상기 상벽부(31'a)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정홈(31')의 상기 상벽부(31'a)는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벽부(31'a)와 맞닿는 상기 지그(60)의 접촉면도 상기 상벽부(31'a)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그(60)를 상기 관통홀(41)에 삽입하여 상기 상벽부(31'a)와 접촉한 상태로 밀어넣으면, 자연스럽게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c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조정홈(31')의 상기 상벽부(31'a)에는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미도시)는 상기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미도시)와 맞닿는 상기 지그(60)의 접촉면도 상기 지그(60)의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그(60)를 상기 관통홀(41)에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미도시)와 접촉한 상태로 밀어넣으면, 자연스럽게 상기 내측 프레임(30)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미도시)의 외부면은 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미도시)는 상기 지그(60)와 점 접촉하므로,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돌출부(미도시)가 상기 지그(60)와 선 접촉 또는 면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그(60)를 통해 상기 내측 프레임(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을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시킨 뒤에,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되는 상기 접착홀(43)과 상기 관통홀(41)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접착제(미도시)를 주입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30)을 상기 외측 프레임(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는 본체부(300) 및 카메라 모듈(1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 20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100, 200)은 상기 본체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는,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한 렌즈의 광축의 수직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케이스 20: 렌즈 배럴
21: 마그네트 23: 볼 가이드
30: 내측 프레임 31: 단차부
31a: 경계면 31': 조정홈
31'a: 상벽부 33: 결합돌기
35: 돌기부 40: 외측 프레임
41: 관통홀 43: 접착홀
50: 탄성 부재 51: 결합부
53: 스트립부 60: 지그

Claims (41)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단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경계면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과 상기 단차부 사이의 경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부면은 곡면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 상측으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를 감싸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은 밀착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에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각 모서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각 모서리 상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상기 결합홈이 끼워지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누르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부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스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스트립부를 누르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에는 상기 스트립부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판을 누르는 카메라 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홀과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가 충전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코일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카메라 모듈.
  20.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는 탄성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에는 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조정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홈의 상벽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홈의 상기 상벽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홈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조정홈의 상기 상벽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모서리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홈의 상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부면은 곡면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은 밀착되는 카메라 모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에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지지부가 밀착되는 카메라 모듈.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내측 프레임을 가압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분을 누르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결합하는 다수의 결합부와 각각의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스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스트립부를 누르는 카메라 모듈.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부에는 상기 스트립부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가압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가압판을 누르는 카메라 모듈.
  34.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측 프레임;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을 수용하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결합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 프레임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의 외부면 중 상기 내측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차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에는 상기 단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가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광축 방향 하측으로 누르는 카메라 모듈.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은 밀착되는 카메라 모듈.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단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밀어올림에 따라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홀과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내측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카메라 모듈.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대응하는 접착력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1. 제1항, 제20항 또는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이 결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40008263A 2013-10-16 2014-01-23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50044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8631A KR20150044363A (ko) 2013-10-16 2014-03-11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광축 정렬 방법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14/502,547 US10194062B2 (en) 2013-10-16 2014-09-30 Camera module,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is of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TW103134139A TWI585483B (zh) 2013-10-16 2014-10-01 攝影模組、攝影模組之光軸對準方法以及包含攝影模組之可攜式電子裝置
EP14275207.0A EP2863624B1 (en) 2013-10-16 2014-10-02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module.
CN201410548799.8A CN104570551B (zh) 2013-10-16 2014-10-16 相机模块、对准相机模块的光轴的方法及便携式电子设备
PH12014000290A PH12014000290A1 (en) 2013-10-16 2014-10-16 Camera module,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is of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1020160121399A KR101792436B1 (ko) 2013-10-16 2016-09-22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246 2013-10-16
KR20130123246 2013-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360A true KR20150044360A (ko) 2015-04-24

Family

ID=530366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263A KR20150044360A (ko) 2013-10-16 2014-01-23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20140028631A KR20150044363A (ko) 2013-10-16 2014-03-11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광축 정렬 방법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0160121399A KR101792436B1 (ko) 2013-10-16 2016-09-22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8631A KR20150044363A (ko) 2013-10-16 2014-03-11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광축 정렬 방법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0160121399A KR101792436B1 (ko) 2013-10-16 2016-09-2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3) KR20150044360A (ko)
CN (1) CN104570551B (ko)
PH (1) PH12014000290A1 (ko)
TW (1) TWI58548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1337B2 (en) 2016-10-05 2019-04-16 Jahwa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USD898737S1 (en) * 2019-03-14 2020-10-13 Shenzhen Weichensi Technology Co., Ltd. Portable display
USD906329S1 (en) * 2020-05-18 2020-12-29 Dongguan Kingtron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olding screen
WO2021206469A1 (ko) * 2020-04-09 2021-10-14 자화전자 주식회사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4046874A (zh) * 2022-01-11 2022-02-15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超声速喷流近场噪声测量的试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568B1 (ko) * 2015-05-20 201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507384B2 (ja) * 2015-10-14 2019-05-08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CN208297898U (zh) * 2016-12-23 2018-12-28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驱动机构
KR102318964B1 (ko) * 2017-03-30 2021-10-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JP6876486B2 (ja) * 2017-03-31 2021-05-2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514529B1 (ko) 2017-05-11 2023-03-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스프링 컷팅 및 조립 장치
KR102372472B1 (ko) 2017-05-11 2022-03-1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 조립 장치
TWI769251B (zh) * 2017-05-17 2022-07-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光學元件驅動機構
EP3677941A4 (en) 2017-08-30 2021-06-02 LG Innotek Co., Ltd.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ITH IT
CN109660703B (zh) * 2017-10-12 2021-10-2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机构的补正方法
JP7099103B2 (ja) * 2018-07-12 2022-07-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モジュール
TWI695217B (zh) * 2019-06-25 2020-06-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KR102374600B1 (ko) * 2020-01-17 2022-03-16 (주)파트론 카메라 모듈
US11388322B2 (en) 2020-02-07 2022-07-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having rotatable lens module and fram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203421A1 (zh) * 2020-04-10 2021-10-14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马达系统及其倾斜校正方法、装置、摄像模组及电子设备
TWI726766B (zh) 2020-07-08 2021-05-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102448014B1 (ko) * 2020-09-28 2022-09-27 (주)파트론 광원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058A (ja) * 2003-12-03 2005-06-23 Sharp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4695968B2 (ja) * 2005-11-21 2011-06-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070165131A1 (en) * 2005-12-12 2007-07-19 Es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ilt of a sensor di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a lens in a camera module
CN101339282A (zh) * 2007-07-06 2009-01-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KR100984338B1 (ko) * 2008-11-25 2010-09-30 주식회사 하이소닉 스페이서부재가 장착된 카메라모듈
KR20100082242A (ko) * 2009-01-08 2010-07-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KR101089991B1 (ko) * 2009-11-20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이송 장치
KR101170714B1 (ko) * 2010-07-26 2012-08-03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 초점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2375287A (zh) * 2010-08-26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稳定模组及成像装置
TWI484730B (zh) * 2011-05-26 2015-05-11 Hon Hai Prec Ind Co Ltd 音圈馬達致動器及取像裝置
JP2013076944A (ja) * 2011-09-30 2013-04-25 Hitachi Maxell Ltd 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駆動装置の製造方法
KR101246178B1 (ko) * 2011-12-16 2013-03-25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1337B2 (en) 2016-10-05 2019-04-16 Jahwa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optical-reflector
USD898737S1 (en) * 2019-03-14 2020-10-13 Shenzhen Weichensi Technology Co., Ltd. Portable display
WO2021206469A1 (ko) * 2020-04-09 2021-10-14 자화전자 주식회사 반사계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D906329S1 (en) * 2020-05-18 2020-12-29 Dongguan Kingtron 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olding screen
CN114046874A (zh) * 2022-01-11 2022-02-15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超声速喷流近场噪声测量的试验装置
CN114046874B (zh) * 2022-01-11 2022-03-18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高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超声速喷流近场噪声测量的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3057A (zh) 2015-06-16
PH12014000290A1 (en) 2016-04-25
CN104570551B (zh) 2018-10-09
TWI585483B (zh) 2017-06-01
CN104570551A (zh) 2015-04-29
KR20160120690A (ko) 2016-10-18
KR20150044363A (ko) 2015-04-24
KR101792436B1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436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CN104698566B (zh) 透镜驱动马达
US9690070B2 (en) Lens moving apparatus
JP663438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20230010264A (ko) 카메라 모듈
US20150222793A1 (en) Camera module
KR101606960B1 (ko) 카메라 모듈
US8958690B2 (en) Camera module
KR102089445B1 (ko) 카메라 모듈
US9063389B2 (en) Camera module
KR20150064987A (ko) 렌즈구동모터
KR102163005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60692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129532A (ko) 카메라 모듈
KR20190106145A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10134263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45669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224476B1 (ko) 렌즈구동모터
KR2022006897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474128B1 (ko) 카메라 모듈
KR102541015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카메라장치
KR20140110293A (ko) 카메라 모듈
KR102303867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92720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