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178B1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178B1
KR101246178B1 KR1020110136299A KR20110136299A KR101246178B1 KR 101246178 B1 KR101246178 B1 KR 101246178B1 KR 1020110136299 A KR1020110136299 A KR 1020110136299A KR 20110136299 A KR20110136299 A KR 20110136299A KR 101246178 B1 KR101246178 B1 KR 101246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rrier
camera lens
lens assembl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조
허성구
유영복
이동락
김연학
Original Assignee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1013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자성체가 장착된 캐리어;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 및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진퇴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샤프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인접하는 두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상기 개구들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광축 방향을 따라 캐리어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샤프트를 정렬함에 있어, 조립 과정에서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서 샤프트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광축을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수직하게 정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화된 기기에 장착되면서도 초점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점차 콤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시장을 점차 잠식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화됨에 따라, 이제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성능 향상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촬영 시 피사체의 촬영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초점 흐트러짐을 보정하는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은 고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왔지만, 점차 보급형 단말기에도 탑재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은,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는 렌즈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렌즈의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로서 코일과 자성체를 구비한다.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때, 제어 회로는 렌즈의 이동 위치를 선정하고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코일과 자성체 사이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진퇴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렌즈의 이동 방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축과 평행해야 하며, 렌즈의 광축은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정렬(이하, '수직도'라 함)되어야만 한다.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필터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회로 기판에 장착하고, 베이스에 커버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한 후, 베이스와 커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렌즈가 배치된 캐리어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수직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회로 기판과 베이스의 정렬, 베이스와 커버의 정렬, 커버와 캐리어의 정렬에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화된 기기에 장착된다면, 상기한 부품들을 정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밀도는 더욱 고도해지기 때문에, 다수의 부품들을 정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과 렌즈의 광축 사이의 수직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자성체가 장착된 캐리어;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 및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진퇴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샤프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인접하는 두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상기 개구들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들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코일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캐리어가 진퇴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형성된 삽입홈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들의 각 단부는 상기 삽입홈들 중 하나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개구는 상기 프레임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크와 마그넷 사이에서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 측벽이 상기 샤프트들 중 하나의 외주면에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이 각각의 샤프트에 상응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홈들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요크에 부착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일측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캐리어가 진퇴운동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 요크, 코일 및 홀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인쇄회로 기판; 저면에 상기 인쇄회로 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는 베이스; 및 적어도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게 제공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외벽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조작홈들;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홈들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작홀에 인접하는 주입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과 베이스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의 외벽에서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접착홈;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착홈과 맞물리는 접착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과 함께 상기 접착 돌기가 상기 주입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실질적으로 광축 방향을 따라 캐리어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샤프트를 정렬함에 있어, 조립 과정에서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에서 샤프트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광축을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 수직하게 정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베이스와 캐리어가 설치된 프레임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샤프트가 고정되었다 하더라도 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하여 렌즈의 광축 정렬을 재차 수행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수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프레임과 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과 도 7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프레임에 샤프트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과 도 9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캐리어의 정렬 매카니즘(mechanism)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광축(O)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캐리어(103)를 수용하는 프레임(101a)에 샤프트(129)를 설치하여 상기 캐리어(103)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자성체(141)와 요크(147)를 이용하여 인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샤프트(129)로 캐리어(103)를 지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29)는 프레임(101a)에 형성된 개구(111)에 설치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그 위치 조절이 용이하여 결과적으로는 상기 캐리어(103)에 수용된 렌즈(131)의 광축(O)을 조절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캐리어(103)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31)를 광축(O) 방향을 따라 배열한 상태로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101a) 내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131)의 광축(O) 방향으로 진퇴 운동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103)의 외주면에 상기 자성체(141)가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광축(O)과 평행한 가이드 홈(139; 도 8에 도시됨)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29)는 상기 가이드 홈(139)의 내벽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103)의 진퇴 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홈(139)은 상기 캐리어(103)의 외주면에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39)들 각각이 상기 샤프트(129)와 접촉되며, 상기 가이드 홈(139) 중 하나는 상기 샤프트(129)의 외주면과 선접촉하되 접촉선이 하나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29)들 중 하나는 'ㄱ'자 형상의 상기 가이드 홈(139)의 내벽에 접촉하게 되며, 상기 샤프트(129)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캐리어(103)의 외주면에 접촉되는데, 이때, 상기 샤프트(129)들 중 다른 하나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상기 캐리어(103)의 외주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캐리어(10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1a)은 상기 캐리어(103)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129)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 6과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1a)은 적어도 서로 인접하는 두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103)의 상단 둘레를 감싸게 제공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a)의 두 측벽에는 각각 개구(111)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개구(111)는 상기 프레임(101a)의 측벽을 각각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29)는 상기 개구(111)상에 고정되는데, 상기 개구(111)의 내벽에는 각각 삽입홈(1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29)의 양단이 각각 상기 삽입홈(112)들 중 하나 또는 두 부분에 접착, 고정된다. 결국, 상기 샤프트(129)는 상기 프레임(101a)의 두 측벽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1a)의 두 측벽이 모아져 형성되는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103)가 상기 프레임(101a)에 결합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39)이 상기 샤프트(129)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자성체(141)는 상기 샤프트(129)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즉, 상기 자성체(141)는 상기 프레임(101a) 상에서 일측의 모서리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샤프트(129)가 실질적으로 상기 캐리어(103)의 진퇴 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상기 렌즈(131)의 광축(O) 정렬은 상기 샤프트(129)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131)의 광축(O)을 이미지 센서(153)의 결상면에 수직하게 정렬하는 것은 사실상 상기 샤프트(129)의 정렬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만, 이미지 센서(153)가 상기 프레임(101a)에 직접 고정되는 구성이 아니라면, 또 다른 정렬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153)는 베이스(101b)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01a)이 상기 베이스(101b)에 조립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101a)과 베이스(101b) 사이에 추가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29)가 설치되는 상기 개구(111)는 각각 상기 프레임(101a)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101a)의 내측면과 외측면, 어디에서도 비교적 자유롭게 상기 샤프트(129)의 고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리어(103)가 상기 프레임(101a)에 조립되기 전이라면, 상기 프레임(101a)의 내측이나 외측에서 일시적으로 별도의 지그(jig)를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101a)에 대한 상기 샤프트(129)의 위치를 설정한 후 접착 등의 방법으로 상기 샤프트(129)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103)가 상기 프레임(101a)에 조립된 후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141)와 요크(147)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129)가 상기 프레임(101a)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캐리어(103)의 정렬 상태를 검사하면서 상기 프레임(101a) 상에서 상기 샤프트(129)의 양단 위치를 조절하여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129) 고정 구조를 통해 상기 캐리어(103)를 상기 프레임(101a)에 대하여 정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1a)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조작홈(121a)들이 형성된다. 하기에서 설명되겠지만, 상기 조작홈(121a)들은 상기 베이스(101b)에 대한 상기 프레임(101a)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조작홈(121a)들은 각각 상기 프레임(101a)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상기 광축(O) 방향을 따라 서로 근접하게 연장되되, 서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01a)에는 상기 조작홈(121a)들과 인접하게 접착홈(11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홈(115a)은 상기 프레임(101a)의 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1a)의 두 측면에 의해 형성되면서 서로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두 모서리에 상기 접착홈(115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조작홈(121a)들은 상기 접착홈(115a)에 각각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베이스(101b)와 아울러 케이스(10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1b)는 상기 프레임(101a)과 조립되어 상기 프레임(101a)과 함께 상기 캐리어(103)를 둘러싸게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101b)의 저면에는 인쇄회로 기판(151)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153)가 배치되는데, 상기 베이스(101b)에는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53)의 결상면을 상기 렌즈(131)에 마주보게 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1b)는 그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착 돌기(115b)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1b)의 일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모서리들로부터 각각 상기 접착 돌기(115b)가 연장되는데, 상기 접착 돌기(115b)는 상기 프레임(101a)의 접착홈(115a)과 인접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1c)는 상기 프레임(101a)과 베이스(101b)의 측면들을 둘러싸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01a)의 상단 또한 감싸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1c)의 상단면은 상기 렌즈(131)를 노출하는 촬영용 개구(111)가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1c)를 상기 베이스(101b)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1b)의 외측면에는 결속 돌기(117b)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1c)에는 상기 결속 돌기(117b)와 맞물리는 결속편(117c)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1b)와 케이스(101c)의 결속 구조는 상기 케이스(101c)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101b)에 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1c)에는 적어도 한 쌍의 조작홀(121c)들과 적어도 하나의 주입홀(123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홀(121c)들과 주입홀(123c)은 서로 인접하면서 각각 상기 케이스(101c)의 내부와 외부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1c)가 상기 프레임(101a)과 베이스(101b)를 감싸게 결합된 때, 각각의 상기 조작홀(121c)들은 상기 조작홈(121a)들 중 하나와 상응하게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101a)과 베이스(101b)의 각 일부분이 상기 주입홀(123c)을 통해 상기 케이스(101c)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1b) 중에서 상기 주입홀(123c)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접착 돌기(115b)의 일부분임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101a)과 상기 접착 돌기(115b)의 경계선 부분이 상기 주입홀(123c)을 통해 상기 케이스(101c)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프레임(101a)을 상기 베이스(101b)에 고정함에 있어, 그 위치 설정, 궁극적으로는 상기 프레임(101a)에 설치된 상기 캐리어(103)와 상기 렌즈(131)의 정렬을 위해, 상기 프레임(101a)의 위치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1c)를 조립한 상태에서도, 상기 조작홀(121c)을 통해 상기 프레임(101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핀셋 등의 공구를 상기 조작홀(121c)을 통해 상기 케이스(101c)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101a)의 조작홈(121a)을 쥐고 상기 프레임(101a)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베이스(101b)에 대한 상기 프레임(101a)의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주입홀(123c)을 통해 접착제를 주입하게 된다. 상기 주입홀(123c)을 통해 주입된 접착제는 상기 접착홈(115a)과 접착 돌기(115b) 사이에 침투하여 경화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01a)을 상기 베이스(101b)에 고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101b)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153)의 결상면에 대한 상기 렌즈(131)의 수직도 정렬이 완료된다.
한편, 자동 초점 조절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코일(143)과 홀센서(1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14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프레임(101a)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이 배선되는데,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은 상기 이미지 센서(153)가 설치된 인쇄회로 기판(15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1a)의 두 측면이 접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는 상기 프레임(101a)의 내측으로 배선되며, 상기 요크(147)의 일면에 부착된다. 상기 코일(143)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자성체(141)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홀센서(145)는 상기 코일(143)의 일측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49)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3)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홀센서(145)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캐리어(103)의 위치 정보는 제어 회로로 제공되어 상기 코일(143)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활용된다.
즉, 상기 자성체(141), 코일(143), 홀센서(145) 등을 배치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101a)의 모서리,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구(111)가 각각 형성된 두 측면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모서리에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체로 사각형 형상의 배치 공간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101a) 내에 렌즈(131)를 수용한 상기 캐리어(103)를 배치함에 있어, 상기 렌즈(131)의 직경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129)의 설치 구조에 의해서도 상기 렌즈(131)의 직경을 최대로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샤프트를 이용한 캐리어(103)의 안내 구조를 가지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외측벽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일한 크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라면, 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한 외측벽을 형성하는 경우, 외측벽의 두께만큼 렌즈의 직경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01a)에 형성된 개구(111) 상에 삽입홈(112)들을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129)를 설치하게 되므로, 샤프트를 지지하는 외측벽에 의해 렌즈의 직경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대체로 상기 홀센서(145)가 상기 캐리어(103)의 위치를 감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코일(143)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143)과 자성체(141)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103)를 진퇴 운동시키게 된다. 상기 캐리어(103)가 초점 조절이 완료되는 목표지점에 이르면 상기 홀센서(145)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코일(143)에 인가된 전원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캐리어(103)는 목표지점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캐리어(103)를 프레임(101a)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샤프트(129)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므로, 캐리어(103)에 수용된 렌즈(131)의 광축(O)을 이미지 센서(153)의 결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정렬하기 용이하다. 더욱이, 조작홈(121a), 접착홈(115a) 및 접착 돌기(115b), 조작홀(121c), 주입홀(123c) 등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01c)로 베이스(101b)와 프레임(101a)을 감싸게 조립한 상태에서도 이미지 센서(153)가 고정되는 베이스(101b)에 대하여 프레임(101a)의 위치 조정 및 고정하여, 렌즈(131)의 광축(O) 정렬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1a: 프레임
101b: 베이스 101c: 케이스
129: 샤프트 103: 캐리어
141: 자성체 147: 요크

Claims (12)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며 외주면에 자성체가 장착된 캐리어;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자성체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 및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진퇴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샤프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인접하는 두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이 각각 상기 개구들의 내벽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들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자성체와 마주보는 코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캐리어가 진퇴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형성된 삽입홈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들의 각 단부는 상기 삽입홈들 중 하나 또는 두 부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개구는 상기 프레임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크와 마그넷 사이에서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내벽이 상기 샤프트들 중 하나의 외주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이 각각의 상기 샤프트에 상응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가이드 홈들 사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에 부착되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일측에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캐리어가 진퇴운동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캐리어의 위치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요크, 코일 및 홀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인쇄회로 기판;
    저면에 상기 인쇄회로 기판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되는 베이스; 및
    적어도 상기 베이스와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게 제공되는 케이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마주보는 상기 프레임의 외벽에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조작홈들;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홈들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작홀에 인접하는 주입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입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과 베이스의 일부분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벽에서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접착홈;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접착홈과 맞물리는 접착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과 함께 상기 접착 돌기가 상기 주입홀을 통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110136299A 2011-12-16 2011-12-1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246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99A KR101246178B1 (ko) 2011-12-16 2011-12-1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99A KR101246178B1 (ko) 2011-12-16 2011-12-1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178B1 true KR101246178B1 (ko) 2013-03-25

Family

ID=4818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299A KR101246178B1 (ko) 2011-12-16 2011-12-16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1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354A (ko) * 2013-12-18 2015-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1681366B1 (ko) 2013-08-23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029734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92436B1 (ko) * 2013-10-16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8964399A (zh) * 2018-07-24 2018-12-07 深圳市米成电子有限公司 一种vcm马达定子和动子点胶结构
US10194062B2 (en) 2013-10-16 2019-0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is of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CN111935344A (zh) * 2020-08-04 2020-11-13 河南皓泽电子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机构
WO2023018140A1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831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듈
KR20110097280A (ko) * 2010-02-25 2011-08-31 자화전자(주) 렌즈 초점 구동장치
JP2011227428A (ja) 2010-04-02 2011-11-10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831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듈
KR20110097280A (ko) * 2010-02-25 2011-08-31 자화전자(주) 렌즈 초점 구동장치
JP2011227428A (ja) 2010-04-02 2011-11-10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366B1 (ko) 2013-08-23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92436B1 (ko) * 2013-10-16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194062B2 (en) 2013-10-16 2019-0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method for aligning optical axis of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20150071354A (ko) * 2013-12-18 2015-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151246B1 (ko) * 2013-12-18 2020-09-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20170029734A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74399B1 (ko) 2015-09-08 2023-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8964399A (zh) * 2018-07-24 2018-12-07 深圳市米成电子有限公司 一种vcm马达定子和动子点胶结构
CN111935344A (zh) * 2020-08-04 2020-11-13 河南皓泽电子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机构
WO2023018140A1 (ko) * 2021-08-09 2023-0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178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EP1691228B1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CN113341527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US7433136B2 (en) Lens unit and imaging device
KR10128142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60092069A (ko) 렌즈 유닛 및 촬상 장치
KR20170040133A (ko)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JP2017508181A (ja) レンズ駆動モータ
JP2010002718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6299950A (zh) 相机装置和光学设备
CN116299946A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
TWI533044B (zh) Camera module
KR20110078491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그 조립 방법
EP2863624B1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of the camera module.
KR20180124062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2010128226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CN109478002B (zh) 叶片驱动装置
US20090027506A1 (en) XY stage and image-taking apparatus
JP201000434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25886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조립 방법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22006897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1200080B1 (ko)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20160091865A (ko) 보이스 코일 모터, 조립 방법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50088044A (ko)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20190118018A (ko) 렌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