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892A -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892A
KR20240045892A KR1020220125809A KR20220125809A KR20240045892A KR 20240045892 A KR20240045892 A KR 20240045892A KR 1020220125809 A KR1020220125809 A KR 1020220125809A KR 20220125809 A KR20220125809 A KR 20220125809A KR 20240045892 A KR20240045892 A KR 20240045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actuator
vehicle camera
camera modu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892A/ko
Priority to PCT/KR2023/014716 priority patent/WO2024071933A1/ko
Publication of KR2024004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8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결합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결합하는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모듈이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CAMERA MODUR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차량용 카메라의 경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간 초점 거리 변화에 의해 이미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4094호(2009. 01. 12.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F(Auto Focusing) 기능이 구현된 차량용 카메라 모듈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결합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결합하는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모듈이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차량용 카메라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해상력 변화와 차량의 이동에 따른 타겟 위치 변화를, 액추에이터의 AF 기능을 통하여 대응하게 되므로, 고품질의 촬영물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와, 액추에이터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바디 내 액추에이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글라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및 차량용 카메라(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는 상기 차량(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상기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측면에는 1 이상의 상기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상기 도어(3)에는 상기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하부의 전방에는 상기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측부 또는 1 이상의 상기 도어(3) 중 전방에 배치된 도어에는 차량용 카메라(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10)는 상기 도어(3)에 결합된 상기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차량(1)에서 사이드 미러는 상기 차량용 카메라(10)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10)는 차량의 양측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제어유닛(ECU)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용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디(2) 내부의 대시보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차량(1) 내 상기 차량용 카메라(10)의 설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차량용 카메라(10)는 차량(1)의 전방 카메라, 측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및 블랙 박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글라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제1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는 프론트 바디(front body), 상부 하우징, 제1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는 제1영역(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는 제2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의 상기 제1영역(110)과 상기 제2영역(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상기 제1영역(110)과 상기 제2영역(120)은 각각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는 상기 제2영역(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상기 제2영역(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후술하는 제2바디(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상기 제2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의 하단은 상기 제2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상기 제2바디(200)에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변형례로, 상기 제1영역(110)은 상기 제2바디(20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의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상판(110a)과, 상기 상판(110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10a)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10a)은 상기 제2영역(12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판(110b)은 상기 상판(110a)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판(110b)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판(110b)은 4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110b)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110b)은 제1측판과 제2측판과,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2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110b)은 제1 내지 제4측판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코너 각각은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은 제1돌출부(111,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1)는 상기 측판(110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1)는 상기 제2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바디(200)에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바디(200)와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변형례로, 상기 제1돌출부(111)는 상기 제2바디(2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돌출부(111)의 일부는 상기 제2바디(200)와 융착 결합되고, 나머지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1)와 상기 제2바디(200)가 결합되는 영역은 후술할 액추에이터(300)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 되는 영역에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의 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5)은 상기 제1영역(1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5)은 상기 제1돌출부(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15)은 내측으로 갈수록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액추에이터(30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115)을 통하여 상기 제1바디(100)와 후술할 액추에이터(300) 간 결합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는 상기 제2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12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120)은 상기 제1영역(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120)은 상기 제1영역(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상기 제2영역(120)은 상기 제1영역(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영역(120)은 상기 제1영역(11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120)은 내측에 글래스(19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120)의 단면적은 상기 제1영역(1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의 내측에는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121)에는 후술할 렌즈 모듈(500) 및 액추에이터(3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간(121)은 각각 상기 제1바디(100)의 상, 하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121)은 상기 제1영역(110)의 내면(128)에 의해 형성되는 제1공간과, 상기 제2영역(120)의 내면(127)에 의해 형성되는 제2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의 단면적은 상기 제2공간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10)의 내면(128)과 상기 제2영역(120)의 내면(127)을 연결하는 코너면(129)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공간(121)의 내면(128)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7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127a)는 상기 제2영역(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의 상면에는 상기 글래스(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19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후술할 렌즈 모듈(500)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190)를 통하여 상기 공간(12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의 상면에는 상기 글래스(190)가 결합되는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제1가이드부(125)와, 상기 제1가이드부(125)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123)와, 상기 제1가이드부(125)와 상기 제2가이드부(123)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6)의 바닥면은 상기 제2영역(120)의 상면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25)는 상기 제2영역(120)의 상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25)의 내면은 상기 글래스(190)의 측면과 적어도 일부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25)의 상면은 상기 제2가이드부(123)의 상면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190)의 상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125)의 상면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23)는 상기 제2영역(120)의 상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23)의 상면은 상기 글래스(19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23)의 상면은 상기 글래스(19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6)은 상기 제1가이드부(125)와 상기 제2가이드부(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가이드홈(126)은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6)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글래스(19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26)에는 상기 글래스(190)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10)은 제2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리어 바디(rear body), 하부 하우징,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기 제1바디(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기 제1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기 제1바디(100)에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기 제1바디(100)와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 융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융착이란 상기 제2바디(2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100)를 가압과 함께 진동시켜 상기 제2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100)의 융착 부분이 융착되어 일체화 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기 제1바디(100)와의 결합을 통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바닥판(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은 상기 제1바디(100)의 상기 제1영역(110)의 상기 상판(110a)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은 상기 제1바디(100)의 상기 제1영역(110)의 상판(110a)과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은 상기 제1바디(100)의 제1영역(110)의 상판(110a)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201)의 코너는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은 후술할 커넥터(690)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커넥터 인출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상기 커넥터 인출부(230)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에는 후술하는 쉴드 캔(800)의 바닥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에는 쉴드 캔(800)의 바닥판이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1)에는 상기 쉴드 캔(800)의 바닥판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상기 측판(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은 상기 바닥판(20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은 상기 바닥판(20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에는 상기 쉴드 캔(8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내면에는 상기 쉴드 캔(800)이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에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상단은 상기 제1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외측면은 상기 제1바디(100)의 측판(110b)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은 홀(223)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홀(223)이 형성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은 상기 쉴드 캔(800)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쉴드 캔(800)과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내측면은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측판(202)의 제2영역의 내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2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의 내측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에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에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에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이 직접 접촉되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제1영역에는 상기 쉴드 캔(800)의 코팅층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은 제1측판과 제2측판과, 제1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판과, 제2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측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은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1코너와, 제2측판와 제3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코너와, 제3측판과 제4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3코너와, 제4측판과 제1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4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의 제1 내지 제4코너는 라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은 제2돌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측판(202)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측판(202)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제1바디(100)의 상기 제1돌출부(111)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제1돌출부(111)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제1돌출부(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돌출부(221)의 외측면은 상기 제1돌출부(111)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의 외측면은 상기 제1돌출부(111)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221)는 후술할 액추에이터(300)와 이격되어 배치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221)와 상기 액추에이터(300) 사이에 에어갭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갭은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상기 제1돌출부(111)와 상기 제2돌출부(221) 융착 시 또는 외부의 열이 상기 액추에이터(300)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에어갭을 통해 최소화시켜 열에 의한 손상, 축 변경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제1바디(100)의 제1돌출부(111)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221)는 상기 제1돌출부(111)의 적어도 일부와 융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융착 결합은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 융착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레이저 융착을 통하여 상기 제1돌출부(111)와 상기 제2돌출부(221)가 융착 결합하는 경우, 레이저가 투과되어 상기 제1돌출부(111)의 내면 및 상기 제2돌출부(221)의 외면에서 융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돌출부(111)의 두께는 상기 제2돌출부(22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의 상면 중 상기 제2돌출부(221)의 외측 영역은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판(202)은 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02)에는 상기 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23)은 상기 측판(202)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223)을 통해 상기 쉴드 캔(8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홀(223)은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홀(223)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0)는 커넥터 인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인출부(230)은 상기 바닥판(2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인출부(230)는 상기 바닥판(201)의 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인출부(230)는 내부에 커넥터(6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인출부(2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쉴드 캔(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은 바닥판과, 바닥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과, 복수의 측판에 배치되는 코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 측판 및 코너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의 바닥판은 상기 제2바디(200)의 바닥판(201)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은 상기 제2바디(200)의 측판(20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의 코너는 상기 제2바디(200)의 코너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의 바닥판에는 상기 커넥터(690)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은 상기 제2바디(200)와 방수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방수는 용도에 따라, 방수방진 등급 IP52등급 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고, 차량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IP69K 등급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은 금속의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쉴드 캔(800)의 바닥판, 측판 및 코너는 금속을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는 상기 제2바디(200)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800)는 상기 제2바디(200)에 인서트 성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또는 인서트 성형이란 금속 부재와 플라스틱 부재를 일체화 시키는 성형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제2바디(200)의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쉴드 캔(800)의 전저리 과정에서 생성된 기공(S)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기판 어셈블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상기 제2바디(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상기 제1바디(100)와 상기 제2바디(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쉴드 캔(8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제1기판(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는 강성 인쇄회로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에는 이미지 센서(6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판(610)은 센서 기판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은 제1바디(100) 와 대향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612)는 상기 제1기판(61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은 후술할 액추에이터(3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은 액추에이터(300)와 접착부재(70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제2기판(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는 강성 인쇄회로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상기 제1기판(6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상기 제1기판(610)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상기 제1기판(610)과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제1기판(6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상기 제1기판(6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상기 커넥터(6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은 상기 제1기판(610)과 대향하는 제1면과, 제 상기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620)의 제2면에는 상기 커넥터(6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제3기판(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6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630)은 상기 제1기판(610)과 상기 제2기판(6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630)의 일단은 상기 제1기판(610)에 연결되고, 상기 제3기판(630)의 타단은 상기 제2기판(6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기판(630)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스페이서(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전자파 차폐 부재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또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복수의 기판 사이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상기 제1기판(610) 또는 상기 제2기판(620)을 지지하기 위한 돌기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610)의 측면 또는 상기 제2기판(620)의 측면에는 상기 스페이서(650)의 홀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의 돌기는 상기 제1기판(610)의 표면 또는 상기 제2기판(620)의 표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상기 쉴드 캔(8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상기 쉴드 캔(800)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상기 쉴드 캔(800)의 바닥판과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과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의 두께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50)는 상기 쉴드 캔(800)의 측판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커넥터(6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90)은 상기 제2기판(620)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90)는 상기 제2기판(620)의 제2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90)는 상기 제2기판(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500)은 적어도 일부가 액추에이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5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상면 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500)은 렌즈 배럴(530, 도 4참조)과, 상기 렌즈 배럴(530) 내 배치되는 적어도 1매 이상의 렌즈(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530)은 내측에 상, 하면이 개구된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에 상기 렌즈(5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53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사부(510)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나사부(510)를 통하여 상기 렌즈 배럴(530)은 상기 액추에이터(3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520)는 상기 렌즈 배럴(53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520)는 복수로 구비되어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520)는 상기 이미지 센서(612)와 얼라인먼트(alignment)될 수 있다. 상기 렌즈(520)는 상기 이미지 센서(612)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520)는 상기 글래스(19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520)는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0)는 상기 렌즈 모듈(500)의 광축 방향 이동을 위해,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적용한 A.F(Auto Focusing) 액추에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것과 달리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에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300)는 보빈(310), 코일(320), 마그네트(330), 하우징(340), 커버 캔(360), 베이스(350) 및 탄성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상기 액추에이터(300)는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위치 센서(392), 회로 기판(390), 및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310)은 상,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빈(310)의 중앙에는 상기 렌즈 모듈(500)이 결합되는 중공(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3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부(510)를 통하여 상기 렌즈 배럴(530)이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모듈(500)은 상기 보빈(3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빈(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320)이 결합되는 코일 결합부(315)가 형성되며, 상기 코일 결합부(315)는 상기 보빈(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상기 보빈(3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상기 코일 결합부(3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상기 제1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제1구동부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0)은 상기 보빈(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0)은 상,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0)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의 결합홈(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42)은 상기 하우징(340)의 네 코너 영역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42)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340)은 상기 베이스(35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0)의 내면에는 상기 마그네트(330)가 결합되는 마그네트 결합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결합부(344)는 상기 하우징(340) 내면의 코너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결합부(344)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결합부(344)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30)는 상기 코일(3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30)는 상기 하우징(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30)는 상기 마그네트 결합부(34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30)는 4개가 구비되며, 4개의 마그네트(330)는 상기 하우징(340) 내면의 코너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320)과 상기 마그네트(33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보빈(310)은 상기 렌즈 모듈(500)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30)는 제2구동부로 이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구동부가 코일, 상기 제2구동부가 마그네트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310)의 외면에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340)의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코일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하우징(3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하우징(340)과 상기 보빈(3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렌즈 모듈(500)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홀(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352)을 통하여 상기 렌즈 모듈(500)과 상기 이미지 센서(612)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50)는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40)의 결합홈(342)과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350)의 상면에는 돌기(3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354)는 타 영역보다 상기 베이스(35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354)는 상기 베이스(350)의 코너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50)와 상기 하우징(340)의 결합 시, 상기 돌기(354)는 상기 결합홈(3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70)는 상기 보빈(310)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70)는 상기 보빈(310) 및 상기 하우징(340)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탄성부재(372)와, 상기 보빈(310) 및 상기 하우징(340)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탄성부재(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탄성부재(372)는 상기 보빈(310)의 상면에 결합되는 내측 탄성부와, 상기 하우징(340)의 상면에 결합되는 외측 탄성부와, 상기 내측 탄성부와 상기 외측 탄성부를 연결하는 연결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310)의 상면 또는 상기 하우징(34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372)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탄성부재(374)는 상기 보빈(3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내측 탄성부와, 상기 하우징(340)의 하면에 결합되는 외측 탄성부와, 상기 내측 탄성부와 상기 외측 탄성부를 연결하는 연결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310)의 하면 또는 상기 하우징(340)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탄성부재(374)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은 상기 하우징(3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은 비자성체인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판(363)과 측판(364)을 포함하는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의 상판(363)에는 상기 렌즈(500)이 관통하도록 홀(3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363)과 상기 측판(364)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 내에는 상기 하우징(340) 및 상기 보빈(310)과, 상기 렌즈 모듈(5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과 상기 베이스(35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300) 내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35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380)는 상기 보빈(3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310)의 외면에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380)가 결합되도록 홈 형상의 결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네트(38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보빈(310)의 중공(312)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390)은 상기 하우징(340)의 내면 또는 상기 커버 캔(36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390)은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380)와 마주하는 상기 회로 기판(390)의 표면에는 위치 센서(39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센서(392)는 상기 보빈(310)의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380)의 자계를 감지하여, 상기 보빈(3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렌즈(520)의 광축 조절을 위하여 배치된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구동은 상기 기판(390)에 별도로 배치된 온도 센서(미도시)를 통해서 온도를 센싱하고 상기 액추에이터(300)를 구동하거나,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 내에 일부 기판에 온도 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구동을 하기 위하여 온도를 센싱 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610) 내에 해상력 조절을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상기 액추에이터(300)가 구동 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0)와 상기 기판 어셈블리(600)는 접착부재(700)를 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700)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700)는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하면과 상기 제1기판(6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700)는 상기 베이스(350)의 하면과 상기 제1기판(6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700)의 두께 조절을 통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612)와 상기 렌즈모듈(500) 내 렌즈(520) 간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렌즈 포커싱을 위한 AA(active alignment)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300)는 상기 제1바디(100)와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커버 캔(360)은 상기 제1바디(100)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인 상기 커버 캔(360)과 플라스틱 재질인 상기 제1바디(100)가 한몸과 같이 결합되므로, 상기 액추에이터(300)가 상기 제1바디(100)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내측에 렌즈 모듈(500)이 배치되므로, 상기 액추에이터(300)와 상기 제1바디(100)의 결합 시 축 정렬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나,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커버 캔(360)을 상기 제1바디(100)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한몸으로 고정하여, 축 정렬의 포인트를 감소하여, 축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100)의 돌출부(127a)의 일 부분이 상기 커버 캔(360)의 상면에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0)와 상기 제1바디(100)의 결합 시, 상기 커버 캔(360)의 측판(364)은 상기 제1바디(100) 내 공간(121)의 내면(12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의 상판(363)은 상기 제1바디(100) 내 공간(121)의 돌출부(127a)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의 측판(364)과 상판(363)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은 상기 돌출부(127a)의 내면과 상기 공간(121)의 내면을 연결하는 코너면(129)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캔(360)과 상기 제1바디(100)는 방수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바디(100)와 결합되는 상기 커버 캔(360)의 표면은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차량용 카메라가 설치되는 외부 환경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해상력 변화와 차량의 이동에 따른 타겟 위치 변화를, 액추에이터의 AF 기능을 통하여 대응하게 되므로, 고품질의 촬영물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와, 액추에이터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바디 내 액추에이터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글래스의 결합 영역에 따른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글래스(1390)는 액추에이터(1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1390)는 커버 캔(13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모듈(500)은 커버 캔(1360) 내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캔(1360) 내 공간에는 커버 캔(136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판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커버 판(136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판(1365)의 중앙에는 상기 렌즈 모듈(500)이 관통하도록 홀(13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500)은 상기 홀(1366)을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 판(1365)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액추에이터(1300)는 상기 제1바디(100, 도 4 참조) 내 공간(111)의 내면(128)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300)의 커버 캔(1360)의 측판은 상기 내면(128)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1바디(100) 내 공간(111)의 돌출부(127)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1390)를 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1300) 내 공간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글래스(1390)의 표면에는 적외선 차단을 위한 적외선 차단 필름이 부착되거나, 적외선 차단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결합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결합하는 렌즈모듈; 및
    상기 렌즈모듈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모듈이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 캔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캔은 상기 제1바디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3.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결합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결합하는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기판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바디 상에 배치되는 글라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보빈을 수용하는 커버 캔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캔과 상기 제1바디는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캔의 재질은 금속이고,
    상기 제1바디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차량용 카메라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어셈블리는, 상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보빈에 나사 결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바디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는 융착 결합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의 홈이 배치되고,
    상기 홈은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액추에이터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형상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의 일 영역은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면에 배치되는 글래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12. 제 3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면에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내면 및 상기 제2가이드부의 상면에 의해 측면 및 하면이 지지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에어갭이 형성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20220125809A 2022-09-30 2022-09-30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KR20240045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809A KR20240045892A (ko) 2022-09-30 2022-09-30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PCT/KR2023/014716 WO2024071933A1 (ko) 2022-09-30 2023-09-25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809A KR20240045892A (ko) 2022-09-30 2022-09-30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892A true KR20240045892A (ko) 2024-04-08

Family

ID=9047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809A KR20240045892A (ko) 2022-09-30 2022-09-30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5892A (ko)
WO (1) WO202407193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094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27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흔들림 보정 모듈,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EP3399360B1 (en) * 2016-02-05 2020-06-03 Iriso Electronics Co., Ltd. Imaging device component, and imaging device
KR102371585B1 (ko) * 2017-05-25 2022-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US10277786B1 (en) * 2018-02-23 2019-04-30 Veoneer Us, Inc. Camera modu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114391123B (zh) * 2019-09-09 2024-03-0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及光学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094A (ko) 2007-07-06 2009-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933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677B1 (ko) 렌즈 구동장치
EP2887514B1 (en) Lens moving apparatus
US20070031137A1 (en) Optical module comprising a spacer element between the housing of a semiconductor element and a lens unit
US11178322B2 (en)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US9063389B2 (en) Camera module
CN114460708A (zh) 用于摄像模组的驱动装置和摄像模组
KR102145803B1 (ko) 카메라 모듈
KR102145831B1 (ko) 카메라 모듈
KR102317917B1 (ko) 카메라 모듈
CN110949270A (zh) 摄像装置模块
US20230341653A1 (en) Optical system
KR20240045892A (ko)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KR20240045893A (ko) 차량용 카메라 및 차량
KR20140140260A (ko) 카메라 모듈
KR2022006897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16953875A (zh) 可变焦距透镜装置和摄像模组
CN115774312A (zh) 光学镜头及其组装方法以及摄像模组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45894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102444349B1 (ko) 카메라 모듈
KR20240068502A (ko) 카메라 모듈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22394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41807A (ko) 카메라 모듈
KR20210131936A (ko)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