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260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260A
KR20140140260A KR20130060840A KR20130060840A KR20140140260A KR 20140140260 A KR20140140260 A KR 20140140260A KR 20130060840 A KR20130060840 A KR 20130060840A KR 20130060840 A KR20130060840 A KR 20130060840A KR 20140140260 A KR20140140260 A KR 20140140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filter
housing
camera module
lens barrel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260A/ko
Priority to US13/961,376 priority patent/US9148556B2/en
Priority to CN201310384822.XA priority patent/CN104216085A/zh
Publication of KR2014014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본딩 접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에는 보호테이프가 접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적외선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사람의 눈보다 넓은 영역의 파장까지 빛으로 인식하므로 사람이 볼 수 없는 적외선 영역을 여전히 빛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빛에 의해 인식된 화상 정보를 그대로 출력할 경우, 사람이 실제로 보는 것과는 다른 색상의 화상이 나올 수 있으므로, 적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적외선을 필터링 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적외선 필터가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경우에 렌즈를 통과한 빛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 등에 난반사되어 이미지 센서에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빛 번짐 등의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여 화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난반사된 빛이 이미지 센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외선 필터의 제조과정에서 적외선 필터의 커팅면에 미세한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때 이물이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적외선 필터의 커팅과정에서 미세한 깨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를 통과한 빛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난반사되더라도 이미지 센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본딩 접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에는 보호테이프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돌출부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과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 일부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에 연속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에 접착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돌출부보다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적외선 필터는 UV 접착제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외측단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본딩 접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에는 보호테이프가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과 상기 측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 일부에 연속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적외선 필터의 커팅과정에서 미세한 깨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를 통과한 빛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난반사되더라도 이미지 센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이미지 센서에 빛이 난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난반사되는 빛이 차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적외선 필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20), 하우징(40), 케이스(10), 액추에이터(30), 적외선 필터(50), 이미지 센서(61) 및 인쇄회로기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광축 방향은 렌즈 배럴(2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렌즈 배럴(2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은 하우징(40)과 결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배럴(20)은 오토 포커싱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는 코일(33), 마그네트(31) 및 요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33)은 인접하는 상기 마그네트(31)와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31)는 일정한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코일(33)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31)와 상기 코일(33)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한 구동력이 발생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렌즈 배럴(20)의 이송 수단이 보이스 코일 모터(VCM)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3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구동 방식이나 압전 소자(Piezo)를 이용한 압전 구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20)을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코일(33)의 중앙에는 위치센서(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35)는 상기 렌즈 배럴(2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위치센서(35)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렌즈 배럴(20)의 현재 위치정보와 이동되어야할 목적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 배럴(20)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35)가 상기 코일(33)의 중앙에 배치되므로, 상기 하우징(40) 내에 상기 위치센서(35)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30)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제조 과정에서의 제조 공차를 줄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40)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 또는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도성 도료(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도료(미도시)에 의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가 차폐될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 또는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도성 도료(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가 이미지 센서(6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종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도료(미도시)로는 전도성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필름이나 전도성 테이프를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면 또는 상기 하우징(40)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40)의 형상 및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이동통신기기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외부 광이 상기 렌즈 배럴(20)을 통해 입사될 수 있도록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입사된 외부 광은 상기 렌즈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61)에 수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을 덮도록 윈도우 글래스(8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80)가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를 덮도록 커버부(70)가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상부가 외측과 밀폐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이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CD 또는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61)는 와이어 본딩을 통해 인쇄회로기판(6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은 상기 하우징(4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피사체의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센서(61)에 집광시켜 기기 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 내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하여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 배럴(20)과 상기 이미지 센서(61)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필터(50)는 상기 렌즈 배럴(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은 상기 적외선 필터(50)를 통과하면서 적외선이 차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외선이 상기 이미지 센서(6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적외선 필터(50)는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면에 본딩 접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필터(50)와 상기 하우징(40)은 UV 접착제(미도시)를 매개로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면에는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적외선 필터(50)는 상기 돌출부(41)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외측단 상면은 UV 접착제(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돌출부(41)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고,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측면은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접촉면(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측면)에는 보호테이프(51)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50)는 글래스 재질로 제공되며,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표면에 굴절률이 다른 여러 물질을 증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50)는 제조과정에서 미리 설계된 사이즈로 커팅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커팅된 글래스의 커팅면에는 미세한 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깨짐 현상에 의하여 이물질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고, 이는 작동 불량을 야기시키는 등 카메라 모듈의 품질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적외선 필터(50)에는 보호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커팅면에서 미세한 깨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호테이프에 의해 이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커팅과정에서 커팅면에 미세 깨짐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호테이프(51)가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커팅면에 접착될 수 있으므로, 이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테이프(51)의 색상은 검은색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렌즈를 통과한 빛이 하우징(50)의 내부벽에 도달하더라도 상기 보호테이프(51)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난반사된 빛이 상기 이미지 센서(61)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이미지 센서에 빛이 난반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난반사되는 빛이 차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적외선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난반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에 입사된 빛은 렌즈 배럴에 구비되는 렌즈를 통과하여 적외선 필터를 거쳐 이미지 센서(61)에 집광된다.
또한, 이미지 센서(61)에 집광된 빛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이미지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를 통과한 빛은 하우징(40)의 내부벽 등에 반사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난반사된 빛이 이미지 센서(61)에 도달될 수 있다.
광학 기계의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경우에는 본래 관측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상에 포개어져 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즉, 난반사되어 이미지 센서(61)에 도달된 빛은 빛 번짐 등과 같은 플레어(Flare) 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화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난반사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적외선 필터(50)의 하면에도 보호테이프(53)가 접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테이프(53)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접촉면과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하면 일부에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테이프(53)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하면에 연속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테이프(57)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상면에도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테이프(57)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테이프(57)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외측단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테이프(53, 57)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를 통과한 빛이 하우징(40)의 내부벽 등에 반사되더라도 상기 보호테이프(53, 57)에 의하여 다시 반사될 수 있으므로, 난반사된 빛이 상기 이미지 센서(6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면에는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필터(50)는 상기 돌출부(41)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하면에 접착된 상기 보호테이프(53)는 상기 돌출부보다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상기 보호테이프(57)가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상면에도 접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상면과 하면에 접착된 상기 보호테이프(57)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돌출부보다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하면에 접착된 상기 보호테이프(53, 57)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벽 등에 반사되는 빛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상기 적외선 필터(50)의 하면(또는 상면과 하면)에 상기 보호테이프(53, 57)을 접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벽 등에 난반사되는 빛이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필터의 커팅과정에서 미세한 깨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물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를 통과한 빛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난반사되더라도 이미지 센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케이스 20: 렌즈 배럴
30: 액추에이터 40: 하우징
50: 적외선 필터 51: 보호테이프
60: 인쇄회로기판 61:이미지 센서
70: 커버부 80: 윈도우 글래스

Claims (10)

  1.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본딩 접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에는 보호테이프가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적외선 필터는 상기 돌출부에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과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 일부에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에 연속적으로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에 접착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돌출부보다 수평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필터는 UV 접착제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외측단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9. 광축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이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본딩 접착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에는 보호테이프가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이프는 상기 적외선 필터의 측면과 상기 측면에 인접한 상기 적외선 필터의 하면 일부에 연속적으로 접착되는 카메라 모듈.
KR20130060840A 2013-05-29 2013-05-29 카메라 모듈 KR20140140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840A KR20140140260A (ko) 2013-05-29 2013-05-29 카메라 모듈
US13/961,376 US9148556B2 (en) 2013-05-29 2013-08-07 Camera module configured to prevent introduction of foreign objects and to prevent irregularly reflected light from being introduced to image sensor
CN201310384822.XA CN104216085A (zh) 2013-05-29 2013-08-29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840A KR20140140260A (ko) 2013-05-29 2013-05-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260A true KR20140140260A (ko) 2014-12-09

Family

ID=5198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0840A KR20140140260A (ko) 2013-05-29 2013-05-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48556B2 (ko)
KR (1) KR20140140260A (ko)
CN (1) CN1042160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9619B2 (en) * 2011-06-29 2016-06-1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structure to reduce flare phenomenon
CN106803870B (zh) * 2015-11-26 2022-01-04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US10750071B2 (en) * 2016-03-12 2020-08-18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module with lens array arrangement, circuit board assembly, and im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69431B1 (ko) * 2020-07-10 2022-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85B1 (ko) * 2005-03-23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JP2006267692A (ja) 2005-03-24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KR100738323B1 (ko) 2005-12-30 2007-07-12 주식회사 이너텍 소형촬상소자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장치
KR100856572B1 (ko) 2006-11-02 2008-09-04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 모듈
JP4928300B2 (ja) * 2007-02-19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080079086A (ko) 2007-02-26 2008-08-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0561280C (zh) * 2007-05-30 2009-11-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其制造方法
TWI364624B (en) * 2007-08-27 2012-05-21 Lite On Technology Corp Lens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96645B1 (ko) * 2007-10-29 2009-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00081469A (ko) 2009-01-06 2010-07-15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 렌즈 모듈 및 이를 조립한 렌즈 어셈블리
CN102036004B (zh) * 2009-09-30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成像模组
JP5064585B2 (ja) * 2010-06-14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遮蔽構造および撮像素子支持構造
CN102799051A (zh) * 2011-05-26 2012-11-2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模组
KR101862391B1 (ko) * 2011-07-13 2018-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091754B (zh) * 2011-10-27 2017-06-16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红外滤光片及使用该红外滤光片的镜头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8556B2 (en) 2015-09-29
CN104216085A (zh) 2014-12-17
US20140354824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853B1 (ko) 카메라 모듈
KR101616602B1 (ko) 카메라 모듈
KR101630009B1 (ko) 카메라 모듈
US20140368723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00209710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US1165039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8958690B2 (en) Camera module
KR20150054494A (ko) 카메라 모듈
KR2018011045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150403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KR20160009866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40140260A (ko) 카메라 모듈
KR20160064640A (ko) 카메라 모듈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044694B1 (ko) 카메라 모듈
KR101474128B1 (ko) 카메라 모듈
US11895382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12360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6724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40110293A (ko) 카메라 모듈
KR102305045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086590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1012178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5006680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