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291A - 재단용 쵸크케이스 - Google Patents

재단용 쵸크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291A
KR20180108291A KR1020170037846A KR20170037846A KR20180108291A KR 20180108291 A KR20180108291 A KR 20180108291A KR 1020170037846 A KR1020170037846 A KR 1020170037846A KR 20170037846 A KR20170037846 A KR 20170037846A KR 20180108291 A KR20180108291 A KR 2018010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hoke
holder
pressurizing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621B1 (ko
Inventor
김수정
Original Assignee
김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정 filed Critical 김수정
Priority to KR1020170037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62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23/00Devices for applying chalk; Sharpening or holding cha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단용 쵸크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단에 측정된 치수에 따른 패턴을 그릴 때 봉제선과 절단선을 동시에 그릴 수 있도록 하고, 봉제선과 절단선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쵸크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단용 쵸크케이스{CHALK CASE FOR CUTTING}
본 발명은 재단용 쵸크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단에 측정된 치수에 따른 패턴을 그릴 때 봉제선과 절단선을 동시에 그릴 수 있도록 하고, 봉제선과 절단선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쵸크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제조과정에는 착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는 치수측정단계와, 측정된 치수로 종이에 패턴을 그리는 종이패턴제작단계와, 제작된 종이패턴을 원단에 옮기고 절단하는 재단단계와, 재단원단을 시침하여 임시 봉제하여 사이즈를 확인하는 가봉단계와, 최종적으로 원단을 봉제하여 의류를 제조하는 완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단단계에서는 쵸크를 이용하여 종이패턴과 동일한 크기의 패턴을 원단에 표시하여 봉제선을 형성하고, 상기 봉제선으로부터 일정폭 이격되어 원단을 절단하는 기준인 절단선을 다시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쵸크에 의한 봉제선과 절단선의 표시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항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봉제선과 절단선을 각각 따로 표시하는 것은 작업시간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981-0000233호(1981.03.11.공고;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의 재단용 쵸크케이스는, 하부체의 집게활동홈의 양측에 다수의 요홈선을 형성시키고 하측에 돌기가 형성된 양날개와 하단을 후측으로 절곡시킨 탄편으로 집게상편과 집게하편을 탄설시켜 집게로 형성시키고 이와같이 된 집게를 집게활동홈에 삽지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한국실용신안공개 20-1988-0003649(1988.05.06.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의 재단용 분필케이스는, 분필을 케이스에 내입하고 분필을 협지하는 협지구의 손잡이를 밀어서 케이스로부터 조금씩 돌출시켜 분필의 부러짐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선행문헌1 및 2은 쵸크분말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시 쵸크가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조금씩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는 쵸크케이스를 제시하였으나, 한 번에 봉제선과 절단선을 모두 표시하는 기능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9564호(2010.08.26.등록;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의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는, 분필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필케이스에 있어서,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는, 분필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분필의 직경보다 큰 분필삽입공간을 가지며, 아래쪽 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바깥쪽을 향해 벌어져 있되 외력을 받으면 안쪽으로 오므라들어 분필을 가압,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분필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외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내부몸체를 위쪽으로 밀어 분필고정부가 오므라들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몸체가 하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는 각각의 외부몸체가 자성을 갖도록 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문헌3은 다수개의 분필을 하나의 케이스에 결합한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판서용 분필로서 다양한 색상을 하나의 케이스에 장착하여 색상을 선택하여 판서가 가능하게 한 장점은 있으나, 한 번에 두 개의 라인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은 없다.
한국실용신안공개 20-1988-0003649(1988.05.06.공개) : 재단용 분필케이스 한국실용신안공개 20-1988-0003649(1988.05.06.공개) : 재단용 분필케이스 한국등록특허 제10-0979564호(2010.08.26.등록) :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단용 쵸크케이스는,
봉제선과 절단선을 한 번에 표시하면서 표시간격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쵸크케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에 다양한 형태의 재단용 쵸크케이스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쵸크케이스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단용 쵸크케이스는,
쵸크를 끼워서 원단에 봉제선 및 절단선을 표시하는 쵸크케이스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치되는 봉체인 간격조절대와; 상기 간격조절대에 고정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배치되는 판체형상의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간격조절대의 일단을 수평으로 삽통시키는 결합공과, 상기 홀더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내부 수용공간으로 쵸크를 내입시키는 쵸크삽입구가 형성된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대에는, 눈금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홀더에는 상단에서 결합공까지 연통된 조임공을 형성하고, 상기 조임공에는 고정나사를 결합시켜 고정나사의 조임에 의해 이동홀더를 간격조절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의 홀더몸체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형성하고, 쵸크삽입구를 형성하는 내측벽의 하단모서리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쵸크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깎은 가공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의 홀더몸체는,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홀더몸체의 두 내측벽 중 어느 일측에 근접하도록 가압내벽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내벽 후면과 홀더몸체 내측벽 사이에는 스프링을 삽설하여 가압내벽을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쵸크삽입구를 형성하는 가압내벽과 홀더몸체 내측벽의 하단모서리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쵸크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깎은 가공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내벽은,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홀더몸체의 두 내측벽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내벽은, 전면이 쵸크와 접하여 가압하는 가압벽부와, 가압벽부의 후면 중앙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을 내입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끼움돌기부와, 상기 끼움돌기부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몸체의 내측벽은 가압내벽의 가압벽부가 안치되어 쵸크끼움에 의해 가압벽부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가압내벽의 끼움돌기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면서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2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몸체의 하단에는 쵸크삽입구가 형성된 측면방향으로 연장돌출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어 가압내벽의 하단이 하부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쵸크가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쵸크삽입구로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내벽은, 소폭을 갖도록 다수개로 분리해 각각 작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폭의 쵸크케이스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재단용 쵸크케이스는,
쵸크가 각각 결합된 2개의 홀더를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형성하여 한번 작업으로 원단에 봉제선과 절단선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눈금이 표시된 간격조절대에 의해 이격간격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재단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면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다수개로 분할된 가압내벽을 형성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쵸크를 삽입하여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쵸크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조절대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내벽이 설치된 홀더몸체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로 분리된 가압내벽이 설치된 홀더몸체를 도시한 개략도 및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쵸크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단용 쵸크케이스(10)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간격조절대(20)와, 상기 간격조절대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홀더(30a) 및 상기 간격조절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홀더(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간격조절대(20)는 수평의 봉체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장착되는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가 간격조절대를 중심축으로하여 회전될 수 있으므로, 간격조절대를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대(20)에는 눈금(21)을 표시하여 고정홀더와 이동홀더를 원하는 간격으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에 끼워진 쵸크에 의해 표시되는 봉제선과 절단선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30a)와 이동홀더(30b)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간격조절대(20)가 삽통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판체형상으로, 사출에 의해 하나로 제조되거나, 좌우판을 결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고정홀더(30a)와 이동홀더(30b)는 판체형상의 홀더몸체(31)를 구비하고, 홀더몸체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방향에는 내부에 수용공간(313)이 형성되고, 수용공간(313)은 홀더몸체 하단의 쵸크삽입구(33)를 통해 개구되어 쵸크가 내입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홀더(30a)는 형성된 결합공(32)으로 간격조절대(20) 일단을 삽통시켜 간격조절대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간격조절대(20)의 타단에는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두께를 확장시킨 머리부(22)를 형성하여 고정홀더(30a)가 타단을 통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홀더(30a)의 일측면에는 간격조절대(20)의 머리부(22)가 내입되는 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의 크기는 간격조절대의 머리부를 끼워넣었을 때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형성하면 간격조절대의 머리부를 고정홀더 측면의 홈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홀더(30a)와 간격조절대(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홀더(30b)는 상단에서 결합공(32)이 형성된 부분까지 연통된 조임공(3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조임공(34)에는 고정나사(3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임공(34)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나사(35)의 조임 또는 풀림에 의해 고정나사(35)가 승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간격조절대(20)에 결합된 이동홀더(30b)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 다음 고정나사(35)를 돌려 하강시키고, 하강하는 고정나사 하단이 결합공(32)에 내입된 간격조절대(20)의 상부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나사(35)에 의한 결합방식은 고정홀더(30a)에도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간격조절대의 머리부는 고정홀더의 탈거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형성되며, 실질적인 위치고정은 고정나사에 의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30a)와 이동홀더(30b)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쵸크 삽입시 강하게 압박하여 탈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합성수지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홀더(30a)와 이동홀더(30b)의 홀더몸체(31)는, 쵸크삽입구(33)를 형성하는 하단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깎아 가공면(311)을 형성하여 쵸크(4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31)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폭이 쵸크(40)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두꺼운 쵸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홀더몸체의 내측벽 하단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깎은 가공면(311)을 형성하여 쵸크삽입구(33)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공면(311)은 경사면으로 형성하거나 곡면으로 형성하여 두꺼운 쵸크가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하고, 홀더몸체는 탄선변형에 의해 확장되어 쵸크를 내입하도록 하며, 수용공간을 확장한 홀더몸체(31)는 내입된 쵸크(40)를 강하게 압박하여 쵸크의 탈거를 방지한다.
상기 내입되는 쵸크의 압박은 상기 재질에 의한 방법 이외에 탄성부재를 더 내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공간의 일측을 스프링에 의해 탄성이동되는 가압내벽을 설치한 형태를 도시하였다.
참조한 바와같이 고정홀더(30a) 및/또는 이동홀더(30b)의 수용공간(313) 일측에는 가압내벽(36)이 설치되고, 가압내벽(36) 후면과 홀더몸체 내측벽(312) 사이에는 스프링(37)이 개재되어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가압내벽을 스프링의 설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7)은 압축스프링이며, 일반적으로 철사를 관형태로 감은 스프링형태나, 판형스프링등 다양한 형태를 적용하여 수용공간으로 내입되는 쵸크를 가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가압내벽(36)은 고정홀더(30a) 및/또는 이동홀더(30b)의 수용공간(313)을 형성하는 내측벽(312) 양측 모두에 설치되어 양측으로부터 압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가압내벽(36)은 내입된 쵸크와 접하는 판체형상의 가압벽부(361)와, 상기 가압벽부의 후면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내부에는 스프링이 내입되도록 돌출방향으로 수용홈(363)이 형성된 끼움돌기부(362)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벽부(361)는 쵸크와 접하는 전면을 평면 대신 곡면으로 형성하여 내입되는 쵸크의 압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삽입된 쵸크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벽부는 내입되는 쵸크와 접하는 전면에 고무재질의 패킹을 더 결합시켜 쵸크와 밀착되어 쿠션기능을 제공하면서 가압벽부의 가압력에 의해 쵸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부(362)는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로만 형성하지 않고 가압벽부 후면에 상하 2개로 형성하거나, 큰 크기로 하나만 형성하여 안정적이면서 강한 탄성가압력이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37)은,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를 관형태로 감은 형상 이외에 판상의 띠스프링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부(362)의 수용홈(363)은 도시된 관형태 이외에 상기 다양한 스프링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용이하게 스프링을 안치시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내벽(36)이 장착되는 홀더몸체의 내측벽(312)은, 가압내벽의 가압벽부가 내입되어 위치하는 제1홈부(314)와, 상기 제1홈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가압내벽의 끼움돌기부(362)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제2홈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와 도 4a의 A부분을 확대한 도 4c를 참조하면, 홀더몸체는 좌우판을 결합시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홈부(314)의 상부는 좌우판 양측이 직접 접하는 부분이어서 수용공간이 없으며, 제1홈부(314)에 내설된 가압내벽(36)의 가압벽부(361) 전면과 내측벽(312) 사이 또는 2개의 가압내벽의 가압벽부(361) 사이에 수용공간(31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313)은 쵸크(40)보다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쵸크삽입시 가압내벽(36)이 후퇴되어 수용공간(313)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처음에는 수용공간(313)이 없다가 쵸크 삽입에 의해 가압내벽(36)이 후퇴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쵸크가 삽입되는 공간을 수용공간이라 칭하였으나, 넓은 의미로는 홀더몸체 내부에 형성되어 가압내벽을 수용하는 공간 전체가 수용공간일 수 있으며, 쵸크가 삽입되는 공간은 쵸크삽입공간으로 별도로 분리하여 명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홈부(315)는 가압내벽(36)의 끼움돌기부(362)와 대응되도록 구성하되, 가압내벽이 쵸크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끼움돌기부의 돌출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홈부(314)과 제2홈부(315)의 내측 면과 가압내벽 후면의 이격된 거리만큼 가압내벽(36)이 후퇴되어 수용공간(313)이 형성되고,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쵸크를 삽입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압내벽(36)을 구비한 이동홀더 및 고정홀더의 쵸크삽입구(33)는, 쵸크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가압내벽(36)과 이에 근접한 홀더몸체 내측벽(312) 하단 또는 가압내벽(36)과 이에 근접한 다른 가압내벽 하단에 형성된다. 가압내벽의 하단에 쵸크삽입구(33)가 형성되어도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깎아 가공면(311)을 형성하여 쵸크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같이 홀더몸체의 하단에는 가이드부(316)를 더 형성하여 쵸크를 쵸크삽입구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가압내벽(36)이 설치되면 홀더몸체(31)의 내측벽(312)과 가압내벽(36) 후면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되므로, 쵸크(40)가 쵸크삽입구로 삽입되지 않고 가압내벽 후면 공간으로 잘못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몸체(31)는 하단에서 수용공간 또는 쵸크삽입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가이드부(316)를 연장형성하여 가압내벽 후면 방향의 공간을 막아 쵸크가 용이하게 쵸크삽입구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16)는 탄성재질로 형성하여 쵸크삽입과정에서 받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탄성변형되어 휘어진 부분은 확장된 쵸크삽입구 내측으로 내입되므로 가압내벽 후면의 공간을 차단하면서 쵸크삽입에 방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16)는 홀더몸체(31)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몸체 하단 전체면에서 연장되어 판체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소폭으로 다수 돌출되는 핀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로 분리된 가압내벽(36)을 구비한 홀더몸체(31)를 도시하였다.
참조한 바와같이 가압내벽(36)은 다수개로 분리구성하고, 각각의 후면에 끼움돌기부(362)와 스프링(37)이 설치되어 소폭의 가압내벽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쵸크(40)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b는 홀더몸체의 쵸크삽입구보다 좁은 폭의 쵸크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쵸크삽입구보다 좁은 폭을 갖는 쵸크(40)를 삽입할 경우 삽입되는 쵸크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내벽(36)만 후방으로 후퇴되어 쵸크가 내입되도록 하고, 쵸크와 접하지 않는 가압내벽은 원래의 위치를 고수한다. 여기서 상기 원래 위치를 고수하는 가압내벽은 삽입된 쵸크의 측면을 지지하여 쵸크가 수용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역할도 수행하는 등 하나의 홀더몸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쵸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재단용 쵸크케이스(10)는,
고정홀더(30a)와 이동홀더(30b) 각각에 쵸크(40)를 삽입하면 홀더몸체 자체가 탄성변형되어 내부 수용공간의 확장으로 쵸크를 내입이 이루어지면서 확장된 부분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거나, 삽입되는 쵸크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내벽(36)이 후퇴되어 수용공간이 확장형성되고 확장된 수용공간에 쵸크가 삽입되면 스프링(3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내벽을 쵸크방향으로 밀어서 압박하여 쵸크 지지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고정홀더(30a)와 이동홀더(30b) 각각에 쵸크(40)를 삽입고정시킨 다음에는, 이동홀더의 고정나사(35)를 풀어서 원하는 간격 만큼 이동홀더를 이동시켜 고정홀더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고정나사(35)를 조여서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와같은 설정이 완료된 쵸크케이스(10)를 이용하여 원단에 한번 표시하면, 고정홀더와 이동홀더에 장착된 2개의 쵸크에 의해 2개의 라인이 표시되어 어느 하나는 봉제선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절단선으로 사용하는 등 하나의 쵸크케이스를 이용하여 봉제선과 절단선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10 : 쵸크케이스
20 : 간격조절대
21 : 눈금 22 : 머리부
30a : 고정홀더
30b : 이동홀더
31 : 홀더몸체 32 : 결합공
33 : 쵸크삽입구 34 : 조임공
35 : 고정나사 36 : 가압내벽
37 : 스프링
311 : 가공면 312 : 내측벽
313 : 수용공간 314 : 제1홈부
315 : 제2홈부 316 : 가이드부
361 : 가압벽부 362 : 끼움돌기부
363 : 수용홈
40 : 쵸크

Claims (9)

  1. 쵸크를 끼워서 원단에 봉제선 및 절단선을 표시하는 쵸크케이스에 있어서,
    수평으로 배치되는 봉체인 간격조절대(20)와;
    상기 간격조절대에 고정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직배치되는 판체형상의 홀더몸체(31)와, 상기 홀더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간격조절대의 일단을 수평으로 삽통시키는 결합공(32)과, 상기 홀더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부에서 내부 수용공간으로 쵸크를 내입시키는 쵸크삽입구(33)가 형성된 고정홀더(30a) 및 이동홀더(3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대(20)에는, 눈금(21)이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더(30b)에는 상단에서 결합공(32)까지 연통된 조임공(34)을 형성하고, 상기 조임공에는 고정나사(35)를 결합시켜 고정나사의 조임에 의해 이동홀더를 간격조절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의 홀더몸체(31)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형성하고, 쵸크삽입구(33)를 형성하는 내측벽의 하단모서리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쵸크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깎은 가공면(31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 및 이동홀더의 홀더몸체(31)는,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홀더몸체의 두 내측벽 중 어느 일측에 근접하도록 가압내벽(36)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내벽 후면과 홀더몸체 내측벽 사이에는 스프링(37)을 삽설하여 가압내벽을 스프링이 설치되지 않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고, 쵸크삽입구(33)를 형성하는 가압내벽과 홀더몸체 내측벽의 하단모서리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쵸크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깎은 가공면(31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내벽(36)은, 내부 수용공간(313)을 형성하는 홀더몸체(31)의 두 내측벽(312)에 모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내벽(36)은,
    전면이 쵸크와 접하여 가압하는 가압벽부(361)와, 가압벽부의 후면 중앙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을 삽입하는 수용홈(363)이 형성된 끼움돌기부(362)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몸체의 내측벽(312)은 가압내벽의 가압벽부가 안치되어 쵸크 끼움에 의해 가압벽부(361)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홈부(314)와, 상기 제1홈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가압내벽의 끼움돌기부(36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면서 스프링v을 지지하는 제2홈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31)의 하단에는 쵸크삽입구(33)가 형성된 측면방향으로 연장돌출되는 탄성재질의 가이드부(316)를 더 형성하여 가압내벽 후면과 내측벽 사이의 공간이 하부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쵸크가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쵸크삽입구로 삽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내벽(36)은, 소폭을 갖도록 다수개로 분리해 각각 작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폭의 쵸크케이스를 지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쵸크케이스.
KR1020170037846A 2017-03-24 2017-03-24 재단용 쵸크케이스 KR10190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46A KR101908621B1 (ko) 2017-03-24 2017-03-24 재단용 쵸크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46A KR101908621B1 (ko) 2017-03-24 2017-03-24 재단용 쵸크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91A true KR20180108291A (ko) 2018-10-04
KR101908621B1 KR101908621B1 (ko) 2018-10-16

Family

ID=6386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846A KR101908621B1 (ko) 2017-03-24 2017-03-24 재단용 쵸크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3033A (zh) * 2020-10-26 2021-01-26 史者 一种服装设计画线用粉笔饼装填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49Y1 (ko) 1985-07-31 1988-10-12 이경일 경운기용 덤프 트레일러의 체결구
JPH0661925U (ja) * 1993-02-05 1994-09-02 泰夫 仲野 縫製用電動マーカー
KR200271868Y1 (ko) * 2001-12-29 2002-04-12 김대규 분필홀더
JP2010121257A (ja) * 2008-11-17 2010-06-03 Tomoe Nitta 縫い代マーカー
KR100979564B1 (ko) 2008-10-09 2010-09-02 황치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CN201951050U (zh) * 2011-04-05 2011-08-31 于荣 英语教学画线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49Y1 (ko) 1985-07-31 1988-10-12 이경일 경운기용 덤프 트레일러의 체결구
JPH0661925U (ja) * 1993-02-05 1994-09-02 泰夫 仲野 縫製用電動マーカー
KR200271868Y1 (ko) * 2001-12-29 2002-04-12 김대규 분필홀더
KR100979564B1 (ko) 2008-10-09 2010-09-02 황치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JP2010121257A (ja) * 2008-11-17 2010-06-03 Tomoe Nitta 縫い代マーカー
CN201951050U (zh) * 2011-04-05 2011-08-31 于荣 英语教学画线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3033A (zh) * 2020-10-26 2021-01-26 史者 一种服装设计画线用粉笔饼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621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649B1 (en) Press brake tooling providing stabilization between die and die holder
KR101908621B1 (ko) 재단용 쵸크케이스
CN205250565U (zh) 耳钉夹头及与耳钉夹头配套使用的穿耳装置
JP4777245B2 (ja) ホルダー、並びに、ホルダー付き棒状体
CN211250500U (zh) 一种工艺品木制框架耐用精准装配模具
JP5458412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CN211299986U (zh) 一种眼部卧蚕标准测量工具
CN208921023U (zh) 一种锻件测量装置
CN201399733Y (zh) 具可拆式加长夹头的木工夹具
US20080173786A1 (en) Injection Mold Including a Quick-Change Mold Assembly
CN211290493U (zh) 一种空调装饰条的固定结构
JP3400707B2 (ja) アンダーカット成形用金型および金型部品
JP3167295U (ja) 平抜き用抜き型構造
CN219599279U (zh) 一种三次元测量夹具
CN215616504U (zh) 一种用于cnc机加工的快换装夹工具
JP2720276B2 (ja) 自動巻線機のボビン保持部とそのボビン保持方法
CN212586010U (zh) 一种边压取样器
JP3148116U (ja) 棚受け具
CN210362266U (zh) 一种梯形模具的模仁定位安装结构
CN212574596U (zh) 一种可插配不同厚度产品的底座
CN214837634U (zh) 一种手机壳保压治具产品卡扣结构
CN217257652U (zh) 一种塑料制品用模具的模芯
CN217944082U (zh) 一种易变形嵌件的植入治具
CN109832728B (zh) 一种穿拉头机防爆装置
CN215394995U (zh) 一种表带插销拆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