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64B1 -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64B1
KR100979564B1 KR1020080098919A KR20080098919A KR100979564B1 KR 100979564 B1 KR100979564 B1 KR 100979564B1 KR 1020080098919 A KR1020080098919 A KR 1020080098919A KR 20080098919 A KR20080098919 A KR 20080098919A KR 100979564 B1 KR100979564 B1 KR 10097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lk
inner body
case
present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929A (ko
Inventor
황치원
황예진
Original Assignee
황치원
황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치원, 황예진 filed Critical 황치원
Priority to KR102008009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03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6Means for connecting two or more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8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필케이스는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는, 분필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분필의 직경보다 큰 분필삽입공간을 가지며, 아래쪽 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바깥쪽을 향해 벌어져 있되 외력을 받으면 안쪽으로 오므라들어 분필을 가압,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분필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몸체와; 내부몸체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외부몸체와;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내부몸체를 위쪽으로 밀어 분필고정부가 오므라들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몸체가 하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분필케이스는,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에 색상이 다른 분필을 각각 끼워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한 가지 색상의 분필을 복수 개 끼워놓으면 분필의 교체 주기가 길어지는 특징이 있다.
분필, 백묵, 삽입, 보호, 케이스,

Description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chalk holder in which several sticks of chalk are inserted}
본 발명은 칠판에 글이나 그림 따위를 남기기 위해 사용하는 분필을 보호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손에 분필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필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화이트보드와 매직펜의 사용이 증가하고 빔프로젝트의 보급률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많은 학교에서는 분필을 사용하여 칠판에 글이나 그림 따위를 남기면서 교육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분필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손에 분필 가루가 묻는 문제점이 있어 한국 특허출원 제10-2003-0015248호와 같이 분필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원통형의 분필케이스가 안출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필케이스는 단지 1개의 분필만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여러 개의 분필을 끼워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중요한 부분을 설명하거나 특정 부분을 강조할 때 눈에 띄는 색상의 분필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흰색의 분필뿐만 아니라 붉은 색과 푸른 색의 분필도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여러 색상의 분필을 사용하여 글이나 그림을 남기려고 할 경우 사용하던 분필을 손에서 놓고 색상이 다른 분필을 들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글이나 그림을 남기는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 사용하던 분필을 내려놓을 때 충격으로 인하여 분필이 부러지는 경우도 자주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필을 보호하는 동시에 분필가루가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분필케이스 1개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놓고 선택적으로 특정 분필을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즉, 흰색의 분필을 복수 개 끼워놓고 사용하거나 색상이 다른 분필을 끼워놓고 특정 색상의 분필을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필케이스를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로 구성하고,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에 각각의 분필을 끼워놓고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분필삽입돌출체의 굵기를 최소화하는 구성을 통해 한 개의 분필케이스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필케이스는,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 분필삽입돌출체는 분필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분필의 직경보다 큰 분필삽입공간을 가지며, 아래쪽 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바깥쪽을 향해 벌어져 있되 외력을 받으면 안쪽으로 오므라들어 분필을 가압,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분필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외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내부몸체를 위쪽으로 밀어 분필고정부가 오므라들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몸체가 하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분필케이스는,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에 분필을 각각 끼워놓고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되 분필삽입돌출체의 굵기가 최소화되어 한 개의 분필케이스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놓고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에 각각 색상이 다른 분필을 끼워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한 가지 색상의 분필을 복수 개 끼워놓으면 분필의 교체 주기가 길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놓고 특정 분필을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그러데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놓더라도 분필케이스의 전체 굵기가 너무 크면 사용이 어렵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하였다.
색상이 다른 볼펜심을 복수 개 내장시켜 놓고 볼펜심을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하도록 된 볼펜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려 하였으나 분필은 볼펜심과 달리 휨응력에 매우 약하여 휘어지지 않고 부러지는 등의 이유로 볼펜에서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 없었다.
특히, 분필은 사용할수록 닳아서 없어지기 때문에 볼펜과 같은 구조를 적용할 수 없었다.
결국 본 출원의 발명자는,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놓고 그 중 특정 분필을 돌출시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필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밖에 없고, 사용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해 전체 굵기를 최대한 얇게 구현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위한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서 사용하면서도 전체 굵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도 1과 같은 구조를 안출하였다.
도 1의 분필케이스는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로 이루어져 있다.
또,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100)는 내부몸체(10), 외부몸체(20), 스프링(30)의 최소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져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내부몸체(10)는, 분필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분필의 직경보다 큰 분필삽입공간(11)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부몸체(10)의 아래쪽 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바깥쪽을 향해 벌어져 있되 외력을 받으면 안쪽으로 오므라들어 분필을 가압,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분필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의 외부몸체(20)는 내부몸체(10)가 삽입되는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의 스프링(30)은 내부몸체(10)가 외부몸체(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내부몸체(10)를 위쪽으로 밀어 분필고정부(12)가 오므라들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몸체(10)가 하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내부몸체(10)에 외부몸체(2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부몸체(10)의 위쪽을 눌러주지 않으면 스프링(30)에 의해 내부몸체(10)는 항상 위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내부몸체(10)에 삽입된 분필(1)이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또, 내부몸체(10)의 상부를 눌러주면 스프링(30)은 압축되고, 분필(1)을 잡고 있던 분필고정부(12)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벌어지며, 이로 인하여 분필(1)이 하부로 이동되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몸체(10)가 상부로 이동되고, 이로 인하여 분필고정부(12)가 분필을 다시 가압,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원리는 샤프연필에서 샤프심을 가압, 고정시켜 주는 원리와 같은 것이나 샤프연필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반면 본 발명의 구조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분필케이스를 사용할 때에는 복수 개의 분필을 각각의 내부몸체(10)에 삽입해 놓고 특정 분필을 돌출시킬 때 해당 분필과 연계된 내부몸체(10)만을 눌러주면 된다.
물론, 돌출되어 있는 분필은 사용을 중지하고 다른 분필의 사용을 원할 때는 이미 돌출되어 있는 분필과 연계된 내부몸체(10)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분필을 위쪽으로 밀어주면 된다.
얇은 분필의 직경에 맞추어 상기와 같은 구조를 적용할 경우 본 발명의 분필케이스는 더욱 얇아져 사용에 불편함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몸체(10)가 위쪽으로 이동될 때 내부몸체(10)가 외부몸체(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내부몸체(10)의 분필고정부(12)에는 도 2와 같이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는 각각 분리되거나 단일체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100)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분리, 결합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분필삽입돌출체(100)의 외부몸체(20)에 넓은 면을 형성하고, 이 부분이 자성을 갖도록 하여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가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도 1과 같이 별도의 결합케이스(4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필로 쓰인 글이나 그림을 지울 수 있도록 지우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우개(50)는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몸체(10)의 위쪽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내부몸체(10)에 맞추어 지우개(50)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나 넓은 지우개 1개가 3개의 내부몸체(10)에 맞추어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지우개가 스펀지와 같이 쿠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내부몸체(10) 중 어느 한 개만을 눌러주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분필이나 분필대용 필기구를 끼워 사용하는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필케이스를 도시한 개략도
A : 내부몸체가 눌려 분필이 아래로 빠져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
B : 분필이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몸체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어 내부몸체가 상부로 이동된 동시에 분필이 분필고정부에 의해 가압,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걸림턱을 가지며, 3개의 분필삽입돌출체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필케이스를 도시한 개략도
A : 내부몸체가 눌려 분필이 아래로 빠져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평면도
B : 분필이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몸체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어 내부몸체가 상부로 이동된 동시에 분필이 분필고정부에 의해 가압,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필 10. 내부몸체
11. 분필삽입공간 12. 분필고정부
13. 걸림턱 20. 외부몸체
21. 중공부 30. 스프링
40. 결합케이스 50. 지우개
100. 분필삽입돌출체

Claims (4)

  1. 분필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필케이스에 있어서,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100)는,
    분필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분필의 직경보다 큰 분필삽입공간(11)을 가지며, 아래쪽 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바깥쪽을 향해 벌어져 있되 외력을 받으면 안쪽으로 오므라들어 분필을 가압,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분필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몸체(10)와;
    상기 내부몸체(10)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외부몸체(20)와;
    상기 내부몸체(10)가 외부몸체(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내부몸체(10)를 위쪽으로 밀어 분필고정부(12)가 오므라들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몸체(10)가 하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는 각각의 외부몸체(20)가 자성을 갖도록 하여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2. 분필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필케이스에 있어서,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분필삽입돌출체(100)는,
    분필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분필의 직경보다 큰 분필삽입공간(11)을 가지며, 아래쪽 끝단부에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갈라져 바깥쪽을 향해 벌어져 있되 외력을 받으면 안쪽으로 오므라들어 분필을 가압,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분필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몸체(10)와;
    상기 내부몸체(10)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외부몸체(20)와;
    상기 내부몸체(10)가 외부몸체(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내부몸체(10)를 위쪽으로 밀어 분필고정부(12)가 오므라들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내부몸체(10)가 하부로 이동될 때 압축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분필삽입돌출체(100)는 각각의 외부몸체(20)가 원통형의 결합케이스(40) 내면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분필로 쓰인 글이나 그림을 지울 수 있도록 지우개(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지우개(50)는 단수 개가,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내부몸체(10)에 맞추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KR1020080098919A 2008-10-09 2008-10-09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KR10097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919A KR100979564B1 (ko) 2008-10-09 2008-10-09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919A KR100979564B1 (ko) 2008-10-09 2008-10-09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929A KR20100039929A (ko) 2010-04-19
KR100979564B1 true KR100979564B1 (ko) 2010-09-02

Family

ID=4221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919A KR100979564B1 (ko) 2008-10-09 2008-10-09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291A (ko) 2017-03-24 2018-10-04 김수정 재단용 쵸크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75Y1 (en) * 1986-03-27 1989-04-08 Kim Jong Woon Chalk-holder
KR19980055632U (ko) * 1998-04-09 1998-10-07 윤상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KR200397145Y1 (ko) 2005-07-14 2005-09-28 홍혜주 지우개가 구비된 분필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75Y1 (en) * 1986-03-27 1989-04-08 Kim Jong Woon Chalk-holder
KR19980055632U (ko) * 1998-04-09 1998-10-07 윤상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KR200397145Y1 (ko) 2005-07-14 2005-09-28 홍혜주 지우개가 구비된 분필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291A (ko) 2017-03-24 2018-10-04 김수정 재단용 쵸크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929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5682A (en) Wireless stylus and disposable stylus cartridge therefor for use with a pen computing device
CN203126220U (zh) 防摔笔
CN1318229C (zh) 一种笔头能伸缩的揿动荧光记号笔
KR100979564B1 (ko)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KR200460052Y1 (ko) 다양한 종류의 밑줄을 편리하게 그을 수 있게 하는 밑줄긋기 학습도구
KR200419520Y1 (ko) 핑거 펜
JP2011173433A (ja) 棒状筆記文具体ホルダー
CN210553786U (zh) 一种具有矫正握姿的学习笔
CN214324713U (zh) 一种带有修正带的色彩笔
CN201058543Y (zh) 一种新型水彩笔
KR200426562Y1 (ko) 필기구
CN211166092U (zh) 一种便于书写修改的办公白板笔
CN204451642U (zh) 多功能笔
CN204149708U (zh) 一种方便携带笔
CN212604174U (zh) 两用荧光笔
CN211106569U (zh) 一种多功能笔
CN2544958Y (zh) 纠姿笔
KR200413937Y1 (ko) 연결식 볼펜
CN209141744U (zh) 一种快速换尖记号笔
CN209466865U (zh) 一种三节式彩笔
CN2931143Y (zh) 多功能笔
CN209756548U (zh) 一种多功能书写笔夹
CN202006660U (zh) 黑板白板两用板书笔
KR20140015064A (ko) 보드 마카 고정캡
KR200190274Y1 (ko) 손가락에 끼워쓰는 볼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