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632U -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 Google Patents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632U
KR19980055632U KR2019980005558U KR19980005558U KR19980055632U KR 19980055632 U KR19980055632 U KR 19980055632U KR 2019980005558 U KR2019980005558 U KR 2019980005558U KR 19980005558 U KR19980005558 U KR 19980005558U KR 19980055632 U KR19980055632 U KR 19980055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lk
outer cylinder
pen
cylinder
actio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천
Original Assignee
윤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천 filed Critical 윤상천
Priority to KR2019980005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5632U/ko
Publication of KR19980055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632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필심을 필요한 일정길이 만큼 조금씩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에 관한 것이다. 즉 분필심을 필요한 일정길이 만큼 조금씩 전진시키는 분필펜에 있어서, 내주연 하부에 단턱(11)이 형성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로는 외주연에 나선부(21a)가 형성된 캡 삽입부(21)를 갖으며 하단부로는 집게발(22)이 형성된 내통(20)과; 상기 내통(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집게발(22)의 외주연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50)을 설치하므로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하여 필요한 일정길이 많큼 분필을 전진시키는 방식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집게발이 외통의 하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 분필의 길이가 약 1.5㎝ 정도가 되어 자동으로 이탈될 때 까지 끝어짐 없이 판서를 할 수 있어 필감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a chalk pen using action and reaction)
본 고안은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필심을 필요한 일정길이 만큼 조금씩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필 사용시 백분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스틱 케이스나 집게식 분필 케이스에 분필을 밑에서 끼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프라스틱 케이스나 집게식 분필 케이스는 끼워지는 분필의 심경(굵기)이 일정치 않으면 분필을 물지 못하며, 프라스틱 케이스인 경우에는 케이스에 끼워진 부분 만큼 미사용에 따른 폐기부분이 발생하게 되고, 분필이 부러졌을 때 빼내기가 어렵고, 집게식 분필 케이스인 경우에는 사용에 따라 분필을 자주 물려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분필을 물려줄 때 마다 백분이 묻게 되어 위생상 불결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6은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선출원된(실용신안 90-5717) 봉상물 조출용기로서, 외통(1)과 이 외통(1)내에 자유로이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내통(2) 또는 녹크부(19) 사이에 스프링(3)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통(2)의 선단부에 척(4)이 연장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통(2) 및 척(4)에 분필 등의 봉상물(5)이 끼워넣어지며, 이 척(4)과 외통(1) 사이에는 척링(6)이 끼워짐과 더불어 외통(1)에 스프링(3)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내통(2)이 걸림수단(7)에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봉상물 조출용기는 외통(1)에 대해 내통(2) 또는 녹크부(9)를 스프링(3)에 대항해서 녹크해주게 되면 봉상물(5)을 보유.지지하고 있던 척(4) 및 척링(6)이 앞쪽으로 이동하다, 척링(6)이 외통(1) 선단부(1a)의 계단(8)에 닿아 정지한 후 척(4)이 다시 전진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다음, 녹크부(9)와 내통(2) 및 척(4)이 스프링(3)의 탄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척(4)이 척링(6)내에 끼워져 오므러들게 되면서 봉상물(5)을 보유.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내통(2) 또는 녹크부(9)를 내통해서 척(4)이 스프링(3)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개폐되어 지면 봉상물(5)이 외통(1)의 선단부(1a)로 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전진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봉상물 조출용기는 분필 등의 봉상물이 내통 또는 녹크부를 내통해서 척이 스프링에 대항하는 탄발력에 의해 개폐되면서 봉상물이 외통의 선단부로 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전진시키는 즉 밀어내는 방식으로 봉상물의 길이가 짧거나 불어진 경우에는 척이 봉상물을 보유.지지하지 못해 이 부분 만큼 미사용에 따른 폐기부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구성부품이 많아 조립이 어렵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밀어내기식이 아닌 작용반작용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필심을 필요한 일정길이 만큼 조금씩 전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분필의 길이가 짧거나 불어진 경우에도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최종토막이 자동탈착되도록 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분필심을 필요한 일정길이 만큼 조금씩 전진시키는 분필펜에 있어서, 내주연 하부에 단턱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로는 외주연에 나선부가 형성된 캡 삽입부를 갖으며 하단부로는 집게발이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의 하단부에 형성된 집게발의 외주연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외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내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 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작동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사시도,
도 6 은 종래의 봉상물 조출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통 11 : 단턱
12 : 가이드부 20 : 내통
21 : 캡 삽입부 21a : 나선부
22 : 집게발 22a : 걸림부
22b : 경사면 30 : 캡
31 : 내측 삽입부 31a : 나선부
32 : 외측 삽입부 40 : 분필
50 : 스프링 60 : 스토퍼
100 : 분필펜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외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외통(10)의 내주연 하부에 단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11)의 하부로는 다수의 가이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내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내통(20)의 상단부로는 외주연에 나선부(21a)를 갖는 캡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로는 분필(40)을 보유.지지하기 위한 집게발(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집게발(22)은 일단에서 끝단까지 일정경사를 갖는 역삼각형의 경사면(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집게발(22) 외주연으로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10)의 내주연에 일단이 설치가능하도록 개방된 스토퍼(60)가 설치되어 지며, 또한 상기 내통(20) 캡 삽입부(21)의 나선부(21a)에 나선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선부(31a)가 형성된 내측삽입부(31)와 외통(10)의 외주연에 덮어 쒸우는 형태로 체결되는 외측 삽입부(32)가 형성된 캡(30)이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외통(10)의 내부로 스프링(50)이 설치된 내통(20)을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내통(20)의 집게발(22)에 설치된 스프링(50)의 끝단이 외통(10) 내주연에 형성된 단턱(11)의 상부면에 걸리게 되고, 집게발(22)의 경사면(22b)은 외통(10)의 하부 내주연에 밀착되어 진다.
또한, 상기 내통(20)의 내부로 분필(40)이 내통(20) 상단으로 부터 하단의 집게발(22)까지 끼워지고, 상부의 캡 삽입부(21)로는 캡(30)이 끼워지는 데, 이때 나선부(21a)가 형성된 내통(20)의 캡 삽입부(21)로 나선부(31a)가 형성된 캡(30)의 내측 삽입부(31)가 서로 나선결합되고, 이는 화살표방향으로 캡(30)을 돌려주므로서 간단히 결합되어 지는 것이며, 아울러 캡(30)의 외측 삽입부(32)는 외통(10) 상부 외주연에 덮어 쒸우는 형태로 체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분필펜(100)의 결합이 완료된 분필펜(100)을 도4의 사용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분필펜(100)의 캡(30)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50)이 수축되면서 집게발(22)과 이 집게발(22)내경에 면접촉 되는 분필(40)이 가이드부(12)를 따라 외통(10)의 하단 밖으로 일정길이 밀려나오게 된다.
상기 집게발(22)이 밀려나옴에 따라 집게발(22) 내경이 늘어나면서 분필(40)을 물고 있던 집게발(22)이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튕기게 되면,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50)이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내통(20)과 집게발(22)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진다.
이때, 상기 내통(20)의 내경과 면접촉하고 있는 분필(40)은 캡(30)이 눌려진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캡(30)의 밑측으로 튕기는 힘에 의해 내통(2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작용력에 대항하는 반작용의 힘을 받아 내통(20)이 후진하는 반대방향으로 전진되어 진다(도4b 참조).
즉, 분필(40)이 판서를 위해 전진되는 길이는 반작용력의 크기에 비례하며, 아울러 반작용은 작용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통(20)의 외주연에 설치된 스토퍼(60)는 스프링(50)의 팽창시 내통(20)이 외통(10) 밖으로 튕겨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통(20)의 상부에 형성된 캡 삽입부(21)의 나선부(21a)와 나선결합되는 캡(30)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분필(40)의 출물을 위해 필요한 만큼의 튕김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쒸워지는 것이며, 이는 튕기는 순간 엄지손가락이 외통(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외측 삽입부(32)가 외통(10)의 외주연에 덮어 쒸워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집게발(22)은 일단에서 끝단까지 일정경사를 갖는 역삼각형의 경사면(22b)을 형성하고 있어 외통(10)내에서 집게발(22)이 외통(10) 밖으로 나오는 정도에 따라 집게발(22) 내경의 변화로 인해 분필의 심경이 일정치 않은 경우에도 분필이 빠지지 않게 물어줄 수 있다.
따라서, 분필(40)이 부러진 상태에서도 판서가 가능하며, 상기 집게발(22)이 분필(40)을 물어줄 수 없는 길이 약 1.5㎝ 정도가 되면 분필(40)이 집게발(22)에서 자동으로 이탈되어져 분필(40)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의 사시도로서, 분필펜(100)의 외통(10)이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는 판서를 위해 손에 잡힘이 좋게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여러 모양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통과 내통 및 스프링의 3단계구조로 작용 반작용을 이용하여 필요한 일정길이 많큼 분필을 전진시키는 방식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집게발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분필의 심경이 일정치 않은 경우에도 분필이 빠지지 않게 물어줄 수 있으며, 분필의 길이가 약 1.5㎝ 정도가 되어 자동으로 이탈될 때 까지 끝어짐 없이 판서를 할 수 있어 필감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할 것이다.

Claims (5)

  1. 분필심을 필요한 일정길이 만큼 조금씩 전진시키는 분필펜에 있어서, 내주연 하부에 단턱(11)이 형성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로는 외주연에 나선부(21a)가 형성된 캡 삽입부(21)를 갖으며 하단부로는 집게발(22)이 형성된 내통(20)과;
    상기 내통(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집게발(22)의 외주연으로 탄성을 갖는 스프링(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삽입부(21)의 나선부(21a)에 나선체결되는 것으로 나선부(31a)가 형성된 내측 및 외측 삽입부(31)(32)를 갖는 캡(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과 내통(20) 사이에 내통(20)이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외통(10)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22)의 원할한 동작을 위해 외통(10)의 단턱(11)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발(22)의 일단에서 끝단까지 일정경사를 갖는 역삼각형의 경사면(22b)을 형성하여 외통(10)내에서 집게발(22)과 분필(40)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KR2019980005558U 1998-04-09 1998-04-09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KR199800556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58U KR19980055632U (ko) 1998-04-09 1998-04-09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58U KR19980055632U (ko) 1998-04-09 1998-04-09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32U true KR19980055632U (ko) 1998-10-07

Family

ID=6970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558U KR19980055632U (ko) 1998-04-09 1998-04-09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563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64B1 (ko) * 2008-10-09 2010-09-02 황치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CN109927446A (zh) * 2019-01-28 2019-06-25 浙江工业大学 一种便捷卫生粉笔套
KR102591263B1 (ko) * 2022-12-28 2023-10-19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균열부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64B1 (ko) * 2008-10-09 2010-09-02 황치원 복수 개의 분필을 끼워 사용하는 분필케이스
CN109927446A (zh) * 2019-01-28 2019-06-25 浙江工业大学 一种便捷卫生粉笔套
CN109927446B (zh) * 2019-01-28 2024-03-22 浙江工业大学 一种便捷卫生粉笔套
KR102591263B1 (ko) * 2022-12-28 2023-10-19 주식회사 정우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균열부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210A (en)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US4270870A (en)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US4382706A (en) Mechanical pencil
US4826339A (en) Dispenser having a flexible nib, slidable sleeve and cap
US5364197A (en) Cosmetic pencil with descending sheath
US4219282A (en) Writing implement
KR860006235A (ko) 치간 칫솔
KR19980055632U (ko)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US2815002A (en) Erasing device having a projectable and retractable eraser
US4352579A (en) Writing implement
US1580183A (en) Erasive means for writing implements
JPH051425Y2 (ko)
GB863995A (en) Improvements in dispensers for cosmetic and other materials
JPS5837667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KR200224607Y1 (ko)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CN216733653U (zh) 三角杆自动铅笔
JPH0344552Y2 (ko)
JP3118196U (ja) 棒状物繰り出し具
KR910001046Y1 (ko) 샤아프펜슬
CN216832948U (zh) 六角杆自动铅笔
US6247863B1 (en) Press type mechanical pencil
US2510312A (en) Mechanical pencil with step-bystep push feed
JPH03264397A (ja) 押出し式筆記具
JPS5913096Y2 (ja) 筆記具の芯の保護パイプ
JPH02144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