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21A - 출입구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구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21A
KR20180106521A KR1020170034951A KR20170034951A KR20180106521A KR 20180106521 A KR20180106521 A KR 20180106521A KR 1020170034951 A KR1020170034951 A KR 1020170034951A KR 20170034951 A KR20170034951 A KR 20170034951A KR 20180106521 A KR20180106521 A KR 2018010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sensor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306B1 (ko
Inventor
김명희
Original Assignee
(주) 인하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하씨엔티 filed Critical (주) 인하씨엔티
Priority to KR102017003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30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7C9/0003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근로자의 RFID 태그에 기록된 태그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출입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인원인 센서 감지 인원을 감지하며, 센서 감지 인원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를 상기 출입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 감지 센서; 출입구에 배치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 및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출입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구 관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gate}
본 발명은 출입구 관제 시스템으로서,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인원을 관제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는 작업장들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의 산업 현장일수록 주관사의 감독하에 다수의 협력사들이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산업 현장에서 협력사들의 인원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각 작업장별로 어느 정도의 인원을 투입하여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각 작업장에 필요한 인원들이 투입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현장에 너무 많은 인원이 투입되며 반면에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한 현장에 너무 적은 인원이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진행이 되는 중에 투입 인원의 재조정이 이루어져 작업 공정이 늦추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 현장의 인원관리에 있어서 현재는 각 협력사의 출력 일지 및 일일 작업 일지에 의존하여 관리하거나 현장의 안전 관리자에 의해서 인원 파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작업 일지 등에 의한 출입 관리가 근로자의 출입 상태, 건강 상태 및 이력에 의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여러 협력 업체의 작업에 의하여 대형 공정이 진행되는 산업 현장의 경우, 각각의 협력사 인원들이 계획된 인원이 정확하게 산업 현장에 투입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나중에 주관사와 협력사 간에 투입 인원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폐쇄된 공간이 아닌 오픈된 산업 현장의 공간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에서의 출입인원의 존재 및 출입자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번호 제10-143557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인원을 효율적으로 관제할 수 있는 출입구 관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근로자의 RFID 태그에 기록된 태그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출입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인원인 센서 감지 인원을 감지하며, 센서 감지 인원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를 상기 출입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 감지 센서; 출입구에 배치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 및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출입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관제 서버는, 상기 RFID 리더기, 출입 감지 센서, 및 경광등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태그 식별 정보별로 근로자 정보가 저장된 근로자 정보 저장부; 출입구별로 출입이 허가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저장된 출입구별 출입 허가 식별 정보 저장부; 출입구 출입시에 판독되는 태그 식별 정보와 태그 감지 시간을 출입구별로 저장한 출입구별 태그 감지 정보 저장부;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센서 감지 시간을 출입구별로 저장한 출입구별 출입 감지 정보 저장부; 각 출입구별로 감지되는 태그 식별 정보와 태그 감지 인원을 시간대별로 정렬한 태그 감지 정보 리스트와, 각 출입구별로 감지되는 센서 감지 인원을 시간대별로 정렬한 출입 감지 정보 리스트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모니터 출력부; 및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상기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제1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제1경고 알람 패턴과 다른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관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제어부는, 상기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 감지 시간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간격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상기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 감지 시간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간격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관제 서버는, 하루 동안에 태그 감지 인원과 센서 감지 인원간의 차이인 감지 인원 차이값을 각 출입구별로 산출하는 감지 인원 차이값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제어부는, 상기 감지 인원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허용 차이값보다 큰 출입구를 추출하여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관제 서버는, 각 출입구별로 보안 등급이 할당된 출입구 보안 등급 할당부; 및 보안 등급별로 허용 차이값이 다르게 할당되어 있는 보안 등급별 허용 차이값 할당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제어부는, 출입구의 감지 인원 차이값이 출입구의 보안 등급에 할당된 허용 차이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 관제 시스템은, 각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하는 인원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 출입구로 결정된 출입구에서,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지만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CCTV 카메라부터 수신되는 출입 인원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확대 표시하며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출력부는, 기간별로 각 출입구의 인가자 출입 인원수와 비인가자 출입 인원수를 상기 모니터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출입 허가된 인원과 허가되지 않은 인원이 출입하는 것을 각각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원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제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그 감지 정보와 출입 감지 정보가 표시된 모니터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고 알람 패턴의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시 대상 출입구가 표시된 모니터를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관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원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출입구 관제 시스템은 하기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 작업장과 같은 오픈된 출입구에서 출입인원 확인, 비인가자 출입 인원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기존 본 발명 비고

용도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방을 위한 태그 인식 및 출입자 확인

오픈된 출입구의 출입 인원의 존재 및 출입자 확인

차단이 불필요 또는 불가능 지역

도구

RFID태그

RFID 태그(10), 감지센서

-


기능

리더기와 태그와의 인식 -> 출입가능여부 확인 -> 동작 유무 결정

리더기와 태그인식 그리고 센서 인식 -> 등록된 태그 여부 및 출입 여부 확인 -> 알람 유무 결정

태그 보유자, 미보유자 출입인원 확인

사용처

출입문(잠금이 필요한 곳)

현장 작업장(출입이 자유로운 곳)

출입인원 확인 또는 비인가자 출입인원 확인
본 발명의 출입구 관제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RFID 태그(10), RFID 리더기(120), 출입 감지 센서(130), 경광등(110), 및 출입 관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RFID 리더기(120), 출입 감지 센서(130), 및 경광등(110)을 출입 관제 서버(200)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이다.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RFID 태그(10)는, 사람(근로자)의 의류나 착용품에 부착되어, 태그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 RFID 태그(10)는,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손목밴드, 명찰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모의 외피 또는 내피에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품이라 함은 현장에서 작업 전에 근로자가 착용하는 물품으로서, 안전모, 손목밴드 이외에 발목밴드, 신분증 목걸이, 신발, 장갑 등과 같이 다양한 착용품이 해당될 수 있다.
RFID 리더기(120)는,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근로자의 RFID 태그(10)에 기록된 태그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출입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 RFID 태그(10)를 부착한 근로자 등이 RFID 리더기(120)의 감지 영역인 출입구로 진입하면, RFID 태그(10)에 기록된 태그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출입 감지 센서(130)는,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인원인 센서 감지 인원을 감지하며, 센서 감지 인원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를 상기 출입 관제 서버(200)로 전송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 센서가 적외선 송신기와 적외선 수신기로 구비되어, 적외선 송신기에서 송신된 적외선이 맞은편의 적외선 수신기에서 감지되지 않는 경우 출입구를 통과하는 인원이 감지될 수 있다.
경광등(110)은, 출입구에 배치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경광등(110)은 LED 램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오디오 경고도 가능한 경광등(1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입 관제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출입 관제 서버(200)는,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경광등(110)을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미리 허가받지 않은 태그 식별 정보를 가진 인원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출입 관제 서버(200)는,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출입 감지 센서(130)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경광등(110)을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RFID 태그(10)를 착용하지 않아 태그 판독도 되지 않는 인원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출입 관제 서버(200)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3과 함께 자세히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제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그 감지 정보와 출입 감지 정보가 표시된 모니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고 알람 패턴의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감시 대상 출입구가 표시된 모니터를 도시한 그림이다.
출입 관제 서버(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210), 근로자 정보 저장부(220), 출입구별 출입 허가 식별 정보 저장부(230), 출입구별 태그 감지 정보 저장부(240), 출입구별 출입 감지 정보 저장부(250), 모니터 출력부(260), 및 관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감지 인원 차이값 산출부(281), 출입구 보안 등급 할당부(282), 보안 등급별 허용 차이값 할당부(283), 및 CCTV 카메라(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RFID 리더기(120), 출입 감지 센서(130), 및 경광등(110)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다.
근로자 정보 저장부(220)는, 태그 식별 정보별로 근로자 정보가 저장된 저장체이다. 태그 식별 정보별로 근로자 이름, 근로자 사번, 근로자 연락처, 근로자 부서 등의 다양한 근로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출입구별 출입 허가 식별 정보 저장부(230)는, 출입구별로 출입이 허가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저장된 저장체이다. 예를 들어, 제1출입구에는 제1,3,8,15태그만이 출입 허가 태그로서 할당되며, 제2출입구에는 제2,7,9,16태그만이 출입 허가 태그로서 할당될 수 있다.
출입구별 태그 감지 정보 저장부(240)는, 출입구 출입시에 판독되는 태그 식별 정보와 태그 감지 시간을 출입구별로 저장한 저장체이다. 예를 들어, 제1출입구에서 제1태그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제1태그의 태그 식별 정보와 제1태그 감지된 시간을 저장한다.
출입구별 출입 감지 정보 저장부(250)는, 출입 감지 센서(130)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센서 감지 시간을 출입구별로 저장한 저장체이다.
모니터 출력부(260)는, 각 출입구별로 감지되는 태그 식별 정보와 태그 감지 인원을 시간대별로 정렬한 태그 감지 정보 리스트와, 각 출입구별로 감지되는 센서 감지 인원을 시간대별로 정렬한 출입 감지 정보 리스트를 모니터에 표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출입구별로 태그 감지 정보 리스트와, 각 출입구별로 출입 감지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태그 감지 인원은, 각 출입구를 통과한 RFID 태그(10)를 소지한 사람의 인원수를 말하며, 센서 감지 인원은, 각 출입구에서 출입 감지 센서(130)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람의 인원수를 말한다.
또한 모니터 출력부(260)는, 기간별로 각 출입구의 인가자 출입 인원수와 비인가자 출입 인원수를 상기 모니터에 출력할 수 있다.
관제 제어부(270)는,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경광등(110)을 통해 제1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즉,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도 5(a)와 같은 제1경고 알림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제1경고 알람 패턴은, RFID 태그(10)를 부착한 인원이라도 허가받지 않은 인원이 출입구를 통과하게 되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출입 감지 센서(130)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경광등(110)을 통해 제1경고 알람 패턴과 다른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즉,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출입 감지 센서(130)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도 5(b)와 같은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제2경고 알람 패턴은, RFID 태그(10)를 부착하지 않은 인원이 출입구를 통과할 때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출입구를 지키는 경비자는, 경보음에서 발생되는 경고 알림 패턴을 통해서 출입구를 통과하는 자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2경고 알람 패턴을 발생시킴에 있어서, 관제 제어부(270)는,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 감지 시간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간격 내에 있는 경우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RFID 태그(10)가 감지되는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에서 사람이 감지되는 센서 감지 시간의 차이가 허용 간격 내에 있다고 하는 것은, RFID 태그(10)를 소지한 사람이 출입구를 통과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반면에,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 감지 시간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간격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킨다. RFID 태그(10)가 감지되는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에서 사람이 감지되는 센서 감지 시간의 차이가 허용 간격 범위를 벗어난 경우, RFID 태그(10)를 소지하지 않은 A사람과 RFID 태그(10)를 소지한 B사람이 차례로 출입구를 통과하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RFID 태그(10)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통과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각 출입구를 통과하는 사람들은, RFID 태그(10)를 소지한 사람과, RFID 태그(10)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으로 구별될 수 있다. RFID 태그(10)를 소지하고 출입구를 통과한 인원수인 태그 감지 인원은 RFID 리더기(120)를 통하여 파악될 수 있으며, RFID 태그(10)를 소지하지 않고 출입구를 통과한 사람의 인원수인 센서 감지 인원은 출입 감지 센서(130)를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RFID 태그(10)를 소지하였다 함은 내부인이라 할 수 있으며, RFID 태그(10)를 소지하지 않았다고 함은 외부인이라 할 수 있는데, 출입구에 따라서 내부인 및 외부인 출입 인원이 다를 수 있다. 출입구에 따라서 외부인 출입이 많을 경우 보안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입 관제 서버(200)는,
하루 동안에 태그 감지 인원과 센서 감지 인원간의 차이인 감지 인원 차이값을 각 출입구별로 산출하는 감지 인원 차이값 산출부(281)를 구비한다.
관제 제어부(270)는, 감지 인원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허용 차이값보다 큰 출입구를 추출하여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도 6과 같이 모니터에 표시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주의 대상이 되는 감시 대상 출입구를 좀 더 유의깊게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출입구의 보안 등급별로 감시 대상 출입구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입 관제 서버(200)는, 각 출입구별로 보안 등급이 할당된 출입구 보안 등급 할당부(282)와, 보안 등급별로 허용 차이값이 다르게 할당되어 있는 보안 등급별 허용 차이값 할당부(283)를 포함한다.
관제 제어부(270)는, 출입구의 감지 인원 차이값이 출입구의 보안 등급에 할당된 허용 차이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모니터에 표시한다. 따라서 보안 등급이 높은 출입구의 경우, 허용 차이값이 작게 할당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출입구의 감지 인원 차이값이 아주 적더라도 해당 출입구가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구 관제 시스템은, 감시 대상 출입구를 좀 더 면밀히 감시하기 위하여, 각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하는 인원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284)를 구비할 수 있다. 관제 제어부(270)는, 감시 대상 출입구로 결정된 출입구에서, RFID 리더기(120)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지만 출입 감지 센서(130)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CCTV 카메라(284)부터 수신되는 출입 인원 영상을 모니터에 확대 표시하며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관리자는, 모니터에 경고 메시지 발생시에 해당 출입구를 통과하는 사람의 영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불법 침입자가 침입시에 즉각 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특히 보안 등급이 높은 출입구에 대해서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RFID 태그
110:경광등
120:RFID 리더기
130:출입 감지 센서
200:출입 관제 서버

Claims (7)

  1.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근로자의 RFID 태그에 기록된 태그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출입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RFID 리더기;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인원인 센서 감지 인원을 감지하며, 센서 감지 인원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를 상기 출입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출입 감지 센서;
    출입구에 배치되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 및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출입 관제 서버;
    를 포함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제 서버는,
    상기 RFID 리더기, 출입 감지 센서, 및 경광등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
    태그 식별 정보별로 근로자 정보가 저장된 근로자 정보 저장부;
    출입구별로 출입이 허가된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저장된 출입구별 출입 허가 식별 정보 저장부;
    출입구 출입시에 판독되는 태그 식별 정보와 태그 감지 시간을 출입구별로 저장한 출입구별 태그 감지 정보 저장부;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센서 감지 시간을 출입구별로 저장한 출입구별 출입 감지 정보 저장부;
    각 출입구별로 감지되는 태그 식별 정보와 태그 감지 인원을 시간대별로 정렬한 태그 감지 정보 리스트와, 각 출입구별로 감지되는 센서 감지 인원을 시간대별로 정렬한 출입 감지 정보 리스트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모니터 출력부; 및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판독된 태그 식별 정보가 상기 출입 허가 식별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제1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상기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광등을 통해 제1경고 알람 패턴과 다른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관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제 제어부는,
    상기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 감지 시간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간격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상기 태그 감지 시간과 센서 감지 시간과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간격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2경고 알람 패턴의 경고 알람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제 서버는,
    하루 동안에 태그 감지 인원과 센서 감지 인원간의 차이인 감지 인원 차이값을 각 출입구별로 산출하는 감지 인원 차이값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제어부는, 상기 감지 인원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허용 차이값보다 큰 출입구를 추출하여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제 서버는,
    각 출입구별로 보안 등급이 할당된 출입구 보안 등급 할당부; 및
    보안 등급별로 허용 차이값이 다르게 할당되어 있는 보안 등급별 허용 차이값 할당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제어부는, 출입구의 감지 인원 차이값이 출입구의 보안 등급에 할당된 허용 차이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감시 대상 출입구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관제 시스템은,
    각 출입구에 배치되어 출입하는 인원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 출입구로 결정된 출입구에서, RFID 리더기를 통해 태그 식별 정보의 수신이 없지만 출입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지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CCTV 카메라부터 수신되는 출입 인원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확대 표시하며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출력부는,
    기간별로 각 출입구의 인가자 출입 인원수와 비인가자 출입 인원수를 상기 모니터에 출력하는 출입구 관제 시스템.
KR1020170034951A 2017-03-20 2017-03-20 출입구 관제 시스템 KR10194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51A KR101946306B1 (ko) 2017-03-20 2017-03-20 출입구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51A KR101946306B1 (ko) 2017-03-20 2017-03-20 출입구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21A true KR20180106521A (ko) 2018-10-01
KR101946306B1 KR101946306B1 (ko) 2019-02-11

Family

ID=6387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51A KR101946306B1 (ko) 2017-03-20 2017-03-20 출입구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9763A (zh) * 2020-01-17 2021-07-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物流区域中目标对象的监测方法、系统和装置
KR20220067553A (ko) * 2020-11-16 2022-05-25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밀폐공간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9763A (zh) * 2020-01-17 2021-07-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物流区域中目标对象的监测方法、系统和装置
KR20220067553A (ko) * 2020-11-16 2022-05-25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밀폐공간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306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89272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系统
JP4910191B2 (ja)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US82429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ecurity level and signaling alarms in controlled areas
KR100779727B1 (ko)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21787B (zh) 人員定位追蹤及管理系統及其方法
US200900307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 of resources by healthcare employees
JP2004021310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101946306B1 (ko) 출입구 관제 시스템
JP2007114992A (ja) 現場作業者監視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
JP5305979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5164738A (zh) 警备装置、警备系统及警备模式设定方法
CN106372682A (zh) 安检集成物联网管理系统
JP6963332B2 (ja) 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見守りシステム
ES2953868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monitorización de un desarrollo de un trabajo
KR20180006169A (ko) 출입 통제 시스템
EP3867660A1 (en) Personnel monitoring and labor productivity analysing system
CN106355722A (zh) 一种监狱门禁控制系统及方法
US1184258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enclosure
KR20110059337A (ko) 태그의 위치데이터를 이용한 출입보안 관리시스템
KR20160053551A (ko) 작업 인력 관리 장치
CN108090534A (zh) 高效智能化监狱管理系统
KR20180058524A (ko)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KR20210091005A (ko)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048976B2 (ja)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警備方法、警備プログラム
JP2013229044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