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315A -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315A
KR20180106315A KR1020170034448A KR20170034448A KR20180106315A KR 20180106315 A KR20180106315 A KR 20180106315A KR 1020170034448 A KR1020170034448 A KR 1020170034448A KR 20170034448 A KR20170034448 A KR 20170034448A KR 20180106315 A KR20180106315 A KR 20180106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hrinkage mortar
mortar layer
spacers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우
조영신
Original Assignee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크리트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315A/ko
Publication of KR2018010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결합면이 구비된 콘크리트 베이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붙임재들; 상기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붙임재와 결합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간격재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에 설정된 높이로 층을 형성하여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무수축 몰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이 쉽고 간단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또한 붙임재들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RETA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철도의 성토 및 절개지, 하천제방, 해안도로나 주거지역의 사면 등에는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옹벽이 시공된다. 옹벽은 옹벽패널(또는 옹벽블록)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옹벽블록들의 후방에 뒷채움재를 채워 완성하게 된다. 한편, 옹벽패널은 옹벽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옹벽의 외면에 자연석, 조경석 등의 붙임재가 구비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6446호(2015.02.12. 공개일)(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에는 "무늬 콘크리트패널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 및 그 무늬 콘크리트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무늬 콘크리트패널은, 철근구조물에 지지망을 위치시키고 그 지지망에 붙임재들을 배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에 의해 제작되므로 무늬 콘크리트패널의 구성 및 그 제작방법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무늬 콘크리트의 외면이 회색빛을 띠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붙임재들이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쉽고 구성이 간단한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결합면이 구비된 콘크리트 베이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붙임재들; 상기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붙임재와 결합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간격재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에 설정된 높이로 층을 형성하여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무수축 몰탈층;을 포함하는 무늬옹벽블록이 제공된다.
상기 간격재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간격재들의 두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축 몰탈층은 염료가 포함되어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간격재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간격재들 위에 붙임재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붙임재들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붓는 단계; 상기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켜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무수축 몰탈층에 의해 콘크리트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간격재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간격재들의 두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을 설정된 높이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무수축 몰탈층에 복수 개의 붙임재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켜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무수축 몰탈층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무수축 몰탈 반죽을 콘크리트 상면에 붓기 전 상기 콘크리트가 25 ~ 35%로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결합용 골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축 몰탈 반죽은 무수축 몰탈층이 색상을 갖도록 염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콘크리트 상면에 간격재들을 배치하고 그 간격재들 위에 붙임재를 위치시키고 거푸집에 붙임재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키게 되므로 붙임재들이 콘크리트 베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고 공정이 쉽게 되고, 붙임재의 배치가 자유롭게 된다. 아울러, 무수축 몰탈층과 붙임재의 경계가 선명하게 되어 붙임재들이 미려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결합면) 사이에 간격재들이 위치하게 되어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이 충분히 유입되어 무수축 몰탈층에 의해 붙임재의 고정이 견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거푸집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양생된 콘크리트 베이스에 지지되도록 무수축 몰탈층에 붙임재들을 배치하고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키게 될 경우 제작 공정이 쉽고 간단하며 붙임재들의 배치가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은 무수축 몰탈층에 염료를 혼합하게 될 경우 무수축 몰탈층을 흰색, 검은색, 회색 등 다양한 색깔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옹벽의 미관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붙임재들 사이에 위치하는 무수축 몰탈층이 매지 역할을 하게 되어 옹벽의 미관이 더욱 수려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용 골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용 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용 골의 단면 형상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용 골의 단면 형상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의 일실시예는, 콘크리트 베이스(10), 붙임재(20)들, 간격재(30), 무수축 몰탈층(40)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베이스(10)는 결합면(11)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베이스(10)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사각판 형상의 상면 또는 하면이 결합면(11)이 된다. 콘크리트 베이스(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는 콘크리트 재질이다.
붙임재(20)들은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에 배치된다. 붙임재(20)들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에 배치된다. 붙임재(20)들은 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붙임재(20)들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석(조약돌)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붙임재는 목재, 타일 등이 될 수도 있다.
간격재(30)는 붙임재(20)와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 사이에 위치하여 붙임재(20)와 결합면(11)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간격재(30)는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재(30)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간격재(30)들의 두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재(30)는 두께가 균일한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이 될 수 있다. 한 개의 붙임재(20)의 하면에 붙임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간격재(30)들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축 몰탈층(40)은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에 설정된 높이로 층을 형성하여 붙임재(20)들을 콘크리트 베이스(10)에 고정시킨다. 무수축 몰탈층(40)의 두께는 붙임재(20)들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무수축 몰탈층(40)의 두께는 붙임재(20) 높이의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수축 몰탈층(40)의 표면은 무수축 몰탈 반축의 유동성이 탁월하여 붙임재(20) 사이에 평평한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무수축 몰탈층(40)은 흰색, 검정색, 회색 등의 염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붙임재(20)와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 사이에 간격재(30)들이 위치하게 되어 무수축 몰탈 반죽이 붙임재(20)와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 사이로 유입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 사이에 간격재를 배제하고,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에 무수축 몰탈층(4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수단의 일예로, 결합수단은 콘크리트 베이스(10)의 결합면(11)에 형성되는 결합용 골(12)들을 포함한다. 결합용 골(12)의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자형 골은 결합면(11)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결합용 골(12)의 다른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둑판 형상인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용 골(12)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용 골의 단면 형상의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디귿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용 골(12)의 단면 형상의 다른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디귿자 형상의 골 양측 내벽에 돌기(12a)들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이 결합용 골(12)들을 포함할 경우 그 결합용 골(12)들에 무수축 몰탈층(40)의 일부분이 위치하게 되어 무수축 몰탈층(40)이 결합면(1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결합수단의 다른 일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은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용 돌기(13)들을 포함한다. 결합용 돌기(13)들은 바둑판 형상인 격자형으로 배열되거나 복수 개의 일자 열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이 결합면(11)이 된다.
콘크리트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무수축 몰탈층(40)이 콘크리트 상면과 결합구조를 이루어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의 제1 실시예는, 먼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S1)가 진행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블록 형태 또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하부판과, 그 사각형의 하부판 각 변에 연장된 네 개의 측면판을 포함한다. 거푸집은 형성될 콘크리트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콘크리트의 상면에 간격재들을 배치하는 단계(S2)가 진행된다. 간격재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간격재들의 두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재(30)는 두께가 균일한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이 될 수 있다. 간격재의 재질은 돌, 강재 등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상면에 간격재(30)들을 배치한 후 간격재(30)들 위에 붙임재(20)들을 배치하는 단계(S3)가 진행된다. 붙임재(20)들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콘크리트의 상면에 놓여지게 된다. 붙임재(20)들은 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붙임재(20)들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석(조약돌)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붙임재(20)는 목재, 타일 등이 될 수도 있다. 붙임재(20)의 하면에 위치하는 간격재(30)는 복수 개 위치하여 붙임재(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붙임재(20)를 배치한 후 붙임재(20)들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의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붓는 단계(S4)가 진행된다. 거푸집에 붓는 무수축 몰탈 반죽은 물과 혼합되어 유동성이 있는 상태이다. 유동성을 갖는 무수축 몰탈 반죽을 거푸집에 붓게 되면 무수축 몰탈 반죽은 붙임재(20)들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정된 두께로 채워지게 된다. 붙임재(20)와 콘크리트의 상면 사이에 간격재(30)들이 위치하여 붙임재(20)와 콘크리트 상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 무수축 몰탈 반죽이 붙임재(20)와 콘크리트 상면 사이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붙임재(20)와 콘크리트 상면 사이에 무수축 몰탈이 충분히 채워지게 된다. 무수축 몰탈 반죽은 흰색, 검은색, 회색 등의 염료를 혼합하여 색상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거푸집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은 후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켜 붙임재(20)들을 무수축 몰탈층에 의해 콘크리트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5)가 진행된다. 즉, 무수축 몰탈층(40)이 경화됨에 따라 무수축 몰탈층(40)이 콘크리트의 상면과 붙게 될 뿐만 아니라 붙임재(20)들을 콘크리트의 상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무수축 몰탈층(40)이 경화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6)가 진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의 제2 실시예는, 먼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1)가 진행된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블록 형태 또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하부판과, 그 사각형의 하부판 각 변에 연장된 네 개의 측면판을 포함한다. 거푸집은 형성될 콘크리트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콘크리트의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40)을 설정된 높이로 형성하는 단계(S12)가 진행된다. 거푸집에 붓는 무수축 몰탈 반죽은 물과 혼합되어 유동성이 있는 상태이다. 유동성을 갖는 무수축 몰탈 반죽을 거푸집에 붓게 되면 무수축 몰탈 반죽은 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정된 두께로 채워지게 된다. 무수축 몰탈 반죽은 흰색, 검은색, 회색 등의 염료를 혼합하여 색상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거푸집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은 후 콘크리트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무수축 몰탈층(40)에 복수 개의 붙임재(20)들을 배치하는 단계(S13)가 진행된다. 붙임재(20)들을 콘크리트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무수축 몰탈층(40)에 배치함에 따라 붙임재(20)들은 하부부분이 무수축 몰탈층(40)에 잠기게 된다. 무수축 몰탈층(40)의 두께는 붙임재(20)들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무수축 몰탈층(40)의 두께는 붙임재(20) 높이의 30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붙임재(20)들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콘크리트의 상면에 놓여지게 된다. 붙임재(20)들은 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붙임재들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석(조약돌)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붙임재는 목재, 타일 등이 될 수도 있다. 한편, 거푸집의 콘크리트에 붙임재(20)들을 배치한 후 거푸집의 콘크리트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몰탈층(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거푸집의 콘크리트 상면에 붙임재(20)들을 배치한 후 무수축 몰탈층(40)을 경화시켜 붙임재(20)들을 무수축 몰탈층(40)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S14)가 진행된다. 즉, 무수축 몰탈층(40)이 경화됨에 따라 무수축 몰탈층(40)이 콘크리트의 상면과 붙게 될 뿐만 아니라 붙임재(20)들을 콘크리트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무수축 몰탈층(40)이 경화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15)가 진행된다.
한편,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일정 정도 강도를 갖는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상면에 결합수단을 만드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초기 양생시킨 상태로 25 ~ 35%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의 일예로, 결합수단은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용 골(12)들을 포함한다. 결합용 골(12)의 일예로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자형 골은 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도 4 참조). 결합용 골(12)의 다른 일예로, 바둑판 형상인 격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결합용 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용 골(12)의 단면 형상은 디귿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한편, 결합용 골(12)의 단면 형상은 상측이 개구된 디귿자 형상의 골 양측 내벽에 돌기(12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참조). 결합용 골(12)들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경화된 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한편, 다른 방법으로, 일자형 골들을 형성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바로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막대들을 타설된 콘크리트 상면에 배열시킨 후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경화된 후 그 막대들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시킴에 의해 일자형 골들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수단의 다른 일예로, 결합수단은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용 돌기(13)들을 포함한다(도 8 참조). 결합용 돌기(13)들은 바둑판 형상인 격자형으로 배열되거나 복수 개의 일자 열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이 결합면(11)이 된다.
콘크리트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무수축 몰탈층(30)이 콘크리트 상면과 결합구조를 이루어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늬옹벽블록들을 적층하여 시공한 옹벽은 도로나 철도의 사면, 하천제방, 해안도로나 주거지역의 사면 등에 적용되어 부지의 이용을 극대화시키면서 사면을 안정시킨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콘크리트 상면에 간격재(30)들을 배치하고 그 간격재(30)들 위에 붙임재(20)를 위치시키고 거푸집에 붙임재(2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40)을 형성하고 그 무수축 몰탈층(40)을 경화시키게 되므로 붙임재(20)들이 콘크리트 베이스(10)에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고 공정이 쉽게 되고, 붙임재의 배치가 자유롭게 된다. 아울러, 무수축 몰탈층(40)과 붙임재(20)의 경계가 선명하게 되어 붙임재(20)들이 미려하게 보이게 된다. 또한,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결합면) 사이에 간격재(30)들이 위치하게 되어 붙임재(20)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이 충분히 유입되어 무수축 몰탈층(40)에 의해 붙임재의 고정이 견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거푸집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40)을 형성하고 그 양생된 콘크리트 베이스에 지지되도록 무수축 몰탈층(40)에 붙임재(20)들을 배치하고 무수축 몰탈층(40)을 경화시키게 될 경우 제작 공정이 쉽고 간단하며 붙임재(20)들의 배치가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은 무수축 몰탈층(40)에 염료를 혼합하게 될 경우 무수축 몰탈층(40)을 흰색, 검은색, 회색 등 다양한 색깔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옹벽의 미관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붙임재(20)들 사이에 위치하는 무수축 몰탈층이 매지 역할을 하게 되어 옹벽의 미관이 더욱 수려하게 된다.
10; 콘크리트 베이스 20; 붙임재
30; 간격재 40; 무수축 몰탈층

Claims (9)

  1. 결합면이 구비된 콘크리트 베이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붙임재들;
    상기 붙임재와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붙임재와 결합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간격재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결합면에 설정된 높이로 층을 형성하여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무수축 몰탈층;을 포함하는 무늬옹벽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간격재들의 두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옹벽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축 몰탈층은 염료가 포함되어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옹벽블록.
  4.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간격재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간격재들 위에 붙임재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붙임재들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붓는 단계;
    상기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켜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무수축 몰탈층에 의해 콘크리트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들은 각각 두께가 균일하며, 간격재들의 두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
  6.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무수축 몰탈 반죽을 부어 무수축 몰탈층을 설정된 높이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무수축 몰탈층에 복수 개의 붙임재들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무수축 몰탈층을 경화시켜 상기 붙임재들을 상기 무수축 몰탈층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축 몰탈 반죽을 콘크리트 상면에 붓기 전 상기 콘크리트가 25 ~ 35%로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결합용 골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축 몰탈 반죽을 콘크리트 상면에 붓기 전 상기 콘크리트가 25 ~ 35%로 경화된 후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에 상기 붙임재를 지지하는 결합용 돌기들을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
  9.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축 몰탈 반죽은 무수축 몰탈층이 색상을 갖도록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옹벽블록 제작방법.
KR1020170034448A 2017-03-20 2017-03-20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20180106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48A KR20180106315A (ko) 2017-03-20 2017-03-20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48A KR20180106315A (ko) 2017-03-20 2017-03-20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32A Division KR20190142282A (ko) 2019-11-13 2019-11-13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5A true KR20180106315A (ko) 2018-10-01

Family

ID=6387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48A KR20180106315A (ko) 2017-03-20 2017-03-20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3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646A (en) Methods of forming contoured walls
US6360505B1 (en) Surface panel and associated ICF system for creating decorative and utilitarian surfaces on concrete structures
US7794825B2 (en) Prefabricated lightweight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columns
EP1751365A2 (en) Wall system and method
JP4157120B2 (ja) 擬石の製造方法
KR100900155B1 (ko) 양면 자연석블록의 제조방법
KR20180106315A (ko)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JP3439436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嵩上げ工法
KR20190142282A (ko) 무늬옹벽블록 및 그 제작방법
US7749346B1 (en)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US20160097198A1 (en)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Decorative Wall
JP2969140B2 (ja) 表面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その成形方法
JPH02308061A (ja) タイル付き有孔板とその製造方法
JP7281027B1 (ja) プレキャスト壁体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壁体用型枠
WO1992004513A1 (en) Building component
WO2023176060A1 (ja) プレキャスト壁体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壁体用型枠
JP2852013B2 (ja) 門柱、塀等の超軽量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36115A (ja) 嵌合気泡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嵌合気泡ブロックを用いた施工方法
JP3058503B2 (ja) 自然石プレキャスト版およびその施工法
JPH10205053A (ja) 石貼りコンクリート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石貼りコンクリートパネルによる壁体構築方法
KR100430394B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JPH02113905A (ja) Pc版製造用型枠の製造方法
JPH03224953A (ja) 装飾材付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法
JPS5924485Y2 (ja) 化粧コンクリ−トブロツクの輸送材を兼ねた製造用型枠
JPH11320523A (ja) 表面コンクリ―ト板およびそ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