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541A -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541A
KR20180105541A KR1020170032747A KR20170032747A KR20180105541A KR 20180105541 A KR20180105541 A KR 20180105541A KR 1020170032747 A KR1020170032747 A KR 1020170032747A KR 20170032747 A KR20170032747 A KR 20170032747A KR 20180105541 A KR20180105541 A KR 20180105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gle adjusting
guide member
adjusting guid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03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5541A/ko
Publication of KR2018010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클립을 개시한다. 개시된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클립은, 와이어하네스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차체에 형성되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차체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고정부재를 베이스부재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차체고정부재와 차체의 고정부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편차나 공차가 발생하여도 와이어링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CLIP DEVICE FIXING WI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링의 분기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어링의 사이즈에 따라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마련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또는 와이어용 고정클립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와이어용 고정클립은, 걸림후크의 상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벌려지는 지지판에 와이어를 대고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지지판에 고정한 후, 와이어가 고정된 고정클립을 차체패널에 조립하므로 와이어를 차체패널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링은 차량에 배선되는 과정에서 분기되며, 분기점에 분기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면서 보호하기 위한 전선 분기 보호구(번들)에 의해 보호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선 분기 보호구는 와이어링의 분기 형태를 "T"자 형태로밖에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링의 사이즈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후, 유격이 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886호(등록일:2006년10월09일)에는 "와이어용 고정클립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9382호(공개일:2009년07월22일)에는 "차량의 전선 패터닝용 분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하네스의 분기 각도에 따라 그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하네스의 사이즈에 따라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는, 내부로 와이어하네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분기하기 위한 분기홀부가 형성되는 분기체와, 상기 르와이어하네스가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체에 탈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분기홀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분기홀부를 통해 분기되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는,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의 각도 조절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체와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체는, 양측 내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관통하는 관통홀부를 구비하고, 외면에 상기 고정리브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고정부는,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분기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가 상기 지지판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부와, 상기 힌지돌부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는, 상기 힌지돌부가 삽입되는 힌지홀부와,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와이어하네스의 분기 각도에 따라 분기체에서 각도조절 가이드부재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사이즈에 따라 분기체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100)는, 와이어하네스(10)의 분기 부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분기체(110)와, 고정부재(120)와,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와, 각도조절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100)는 와이어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를 분기체(110)에서 각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와이어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고정부재(120)를 변경하여 분기체(110)에 고정할 수 있다.
분기체(110)는 반원 형태의 제1분기 커버부(111)와, 제1분기 커버부(111)에서 분할 가능하도록 제1분기 커버부(111)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분기 커버부(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체(110)는 제1분기 커버부(111)와 제2분기 커버부(113)가 일측을 기준으로 분할 및 개폐가능하도록 제1분기 커버부(111)와 제2분기 커버부(113)의 일단부가 상호 접합되고, 타단부에 분기홀부(11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분기체(110)는 제1분기 커버부(111)와 제2분기 커버부(113)의 내부로 와이어하네스(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분기홀부(115)의 양측에 걸림지지부(117)가 구비된다. 걸림지지부(117)는 제1분기 커버부(111)에 형성되는 고리부재(117a)와 이 고리부재(117a)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제2분기 커버부(113)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재(117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리부재(117a)가 제1분기 커버부(111)에 형성되고, 걸림턱부재(117b)가 제2분기 커버부(113)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고리부재(117a)와 걸림턱부재(117b)가 형성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분기체(110)는 고정부재(120)를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1분기 커버부(111)와 제2분기 커버부(113)의 내면에 고정리브(11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와이어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와이어하네스(10)가 분기체(110)에서 움직이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분기체(110)에 결합되어 와이어하네스(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20)는 와이어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그 내경이 다양한 크기를 가지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0)는 중앙부에 와이어하네스(10)가 관통하는 관통홀부(121)가 구비되고, 외면에 고정리브(119)가 삽입되는 고정홈부(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20)는 와이어하네스(10)의 두께 따라 와이어하네스(10)가 관통하는 관통홀부(121)의 직경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는 분기체(110)의 분기홀부(115)를 통해 분기되는 와이어하네스(10)의 분기 방향에 따라 분기체(110)에 설치되는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되며, 와이어하네스(10)가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특히,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는 분기체(110)에 구비되는 각도조절 고정부(140)에 의해 각도 조절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러한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는 중공체 형태로 형성되며, 각도조절 고정부(140)에 용이하고 안정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홀부(131)와 고정홀부(133)를 구비한다.
힌지홀부(131)는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가 각도조절 고정부(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도조절 고정부(140)가 삽입된다.
고정홀부(133)는 힌지홀부(131)를 기준으로 하여 등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각도조절 고정부(14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도조절 고정부(140)는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각도 조절 상태를 안정되게 고정하도록 분기체(110)와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 고정부(140)는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외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분기체(110)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141)과, 지지판(141)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부(143) 및 고정돌부(145)를 포함한다.
지지판(141)은 원형의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일측 외면을 지지하도록 제1분기 커버부(11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지지판부재(141a)와,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타측 외면을 지지하도록 제2분기 커버부(113)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지지판부재(141b)를 구비한다.
힌지돌부(143)는 제1지지판부재(141a) 및 제2지지판부재(141b)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힌지홀부(131)에 삽입되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회전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고정돌부(145)는 힌지돌부(143)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고정홀부(133)에 삽입되도록 제1지지판부재(141a) 및 제2지지판부재(141b)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며, 지지판(141)에서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가 회전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고정부재(120)를 선택하고, 와이어하네스(10)를 고정부재(120)의 관통홀부(121)로 삽입한다. 그리고 와이어하네스(10)를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에 관통시키고, 고정부재(120)와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를 분기체(11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분기 커버부(111) 또는 제2분기 커버부(113) 중 어느 하나의 고정리브(119)에 고정부재(120)의 고정홈부(123)를 결합하고, 지지판(141)에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를 결합한다. 이때, 와이어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힌지홀부(131) 및 고정홀부(133)를 힌지홀부(131) 및 고정돌부(145)에 삽입하여 지지판(141)에서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100)는 와이어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분기체(110)에서 각도조절 가이드부재(13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부재(120)를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10)를 두께가 변경되어도 분기체(110)에서 와이어하네스(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10 : 와이어하네스
110 : 분기체 111 : 제1분기 커버부
113 : 제2분기 커버부 115 : 분기홀부
117 : 걸림지지부 119 : 고정리브
120 : 고정부재 121 : 관통홀부
123 : 고정홈부 130 : 각도조절 가이드부재
131 : 힌지홀부 133 : 고정홀부
140 : 각도조절 고정부 141 : 지지판
143 : 힌지돌부 145 : 고정돌부

Claims (5)

  1. 내부로 와이어하네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와이어하네스를 분기하기 위한 분기홀부가 형성되는 분기체;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체에 탈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분기홀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분기홀부를 통해 분기되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의 각도 조절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체와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체는, 양측 내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관통하는 관통홀부를 구비하고, 외면에 상기 고정리브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고정부는,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분기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가 상기 지지판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힌지돌부; 및
    상기 힌지돌부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돌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재는, 상기 힌지돌부가 삽입되는 힌지홀부; 및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KR1020170032747A 2017-03-15 2017-03-15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KR20180105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747A KR20180105541A (ko) 2017-03-15 2017-03-15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747A KR20180105541A (ko) 2017-03-15 2017-03-15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541A true KR20180105541A (ko) 2018-09-28

Family

ID=6372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747A KR20180105541A (ko) 2017-03-15 2017-03-15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55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24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KR20210087233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2022013976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경신 위치 조절용 고정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924A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KR20210087233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2022013976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경신 위치 조절용 고정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5541A (ko)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US10823322B2 (en) Fastening device for measuring apparatuses on pipes
CA3087648A1 (en) Multi-conduit flexible retention mechanism
JP2019007620A (ja) ロボットによる設置のための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2017103994A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KR101956199B1 (ko)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KR20190136296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180000328A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463164B1 (ko) 방향규제형 클리어런스 클립
CN105026694A (zh) 用于在涡轮机中固定和保持至少一根电气线束的装置
JP2001311408A (ja) ワイヤ支持装置
JP6294695B2 (ja) ワイヤハーネス形状保持体及び形状保持体付きワイヤハーネス
KR20180043136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클립
KR101820158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1420780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経路規制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101820159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794337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2277038B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HU222172B1 (hu) Kábelszorító és a kábelszorítóval ellátott elektromos készülék
WO2022244485A1 (ja) 取付部材、取付ユニット、配策モジュール、及び配策部材
JP578677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経路規制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7211769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具
KR102362332B1 (ko) 두께 조절형 밴드 케이블
JP2018074755A (ja) ケーブル固定具
KR101416414B1 (ko) 배선용 테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