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199B1 -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199B1
KR101956199B1 KR1020170037959A KR20170037959A KR101956199B1 KR 101956199 B1 KR101956199 B1 KR 101956199B1 KR 1020170037959 A KR1020170037959 A KR 1020170037959A KR 20170037959 A KR20170037959 A KR 20170037959A KR 101956199 B1 KR101956199 B1 KR 10195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wire harness
branching
wir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340A (ko
Inventor
홍강의
Original Assignee
(주)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신 filed Critical (주)경신
Priority to KR102017003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19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는, 와이어 하네스가 분기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와이어 하네스를 분기하기 위한 분기부가 형성되는 분기체와,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분기체에 탈착되는 와이어 지지부재와, 분기체에서 각도가 조절되도록 분기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기부를 통해 분기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분기 각도를 상하, 좌우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이어 하네스의 사이즈에 따라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BRANCH CLIP DEVICE FOR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의 분기 각도를 상하, 좌우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이어 하네스의 사이즈에 따라 유동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마련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또는 와이어용 고정클립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와이어용 고정클립은, 걸림후크의 상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벌려지는 지지판에 와이어를 대고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지지판에 고정한 후, 와이어가 고정된 고정클립을 차체패널에 조립하므로 와이어를 차체패널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링은 차량에 배선되는 과정에서 분기되며, 분기점에 분기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면서 보호하기 위한 전선 분기 보호구(번들)에 의해 보호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선 분기 보호구는 와이어링의 분기 형태를 "T"자 형태로밖에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링의 사이즈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후,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800호(등록일:2002년12월30일)에는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클립"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801호(등록일:2002년12월30일)에는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클립"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하네스의 분기 각도를 상하, 좌우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는, 와이어 하네스가 분기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분기하기 위한 분기부가 형성되는 분기체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체에 탈착되는 와이어 지지부재와, 상기 분기체에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분기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기부를 통해 분기되는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부는, 상기 분기체에 형성되는 분기홀부와,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가 상기 분기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분기체에서 곡률지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관통하는 분기파이프와, 상기 분기파이프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기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벗 연결부재는, 상기 분기파이프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체는, 양측 내면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관통하는 관통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외면에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와이어 하네스의 분기 각도에 따라 분기체에서 각도조절 가이드부의 각도를 상하, 좌우는 물론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크기에 따라 분기체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와 각도조절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부와 각도조절 가이드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100)는, 분기되는 와이어 하네스(10)를 상하, 좌우는 물론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분기체(110)와, 와이어 지지부재(120)와,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100)는 각도조절 가이드부(130)가 분기체(110)에 피봇(PIVOT)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분기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분기체(110)는 반원 형태의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1분기 커버부(11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분기 커버부(115)를 포함하며,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의 일단부가 일체로 접합된다. 이러한 분기체(110)는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가 일체로 접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개방 또는 상호 결합된다.
또한, 분기체(110)는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의 분리되는 타단부에 분기부(111)가 각각 형성된다. 분기부(111)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를 위하여 분기체(110)에 형성되는 분기홀부(111a)와,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지지리브(111b)를 포함한다.
분기홀부(111a)는 제1분기 커버부(113) 및 제2분기 커버부(115)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태의 홈이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가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다.
지지리브(111b)는 각도조절 가이드부(130)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분기홀부(111a)가 형성된 분기체(110)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지지리브(111b)는 각도조절 가이드부(130)가 피봇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분기체(110)에서 곡률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지지리브(111b)에 결합되는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를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방향에 따라 보다 다양한 각도 및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기체(110)는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의 내부로 와이어 하네스(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걸림지지부(117)를 구비한다.
걸림지지부(117)는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고리부재(117a)와,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턱부재(117b)를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지지부(117)는 걸림턱부재(117b)가 고리부재(117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걸림지지부(117)는 고리부재(117a)가 제1분기 커버부(113)에 형성되고, 걸림턱부재(117b)가 제2분기 커버부(115)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기체(110)는 와이어 지지부재(120)를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의 내면에 고정돌부(11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지지부재(120)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10)를 분기체(110)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분기체(110)에 결합되며, 와이어 하네스(10)가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지지부재(120)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그 내경이 다양한 크기를 가지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지지부재(120)는 중앙부에 와이어 하네스(10)가 관통하는 관통홀부(121)가 형성되고, 외면에 고정돌부(11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지지부재(120)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두께 따라 와이어 하네스(10)가 관통하는 관통홀부(121)의 직경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는 분기체(110)의 분기부(111)를 통해 분기되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 방향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1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분기체(110)의 분기부(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는 분기부(111)에서 상하, 좌우는 물론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는, 와이어 하네스(10)를 가이드하는 분기파이프(131)와, 분기파이프(131)를 분기부(111)에 결합하기 위한 피벗 연결부재(133)를 포함한다. 이때, 분기파이프(131)로 와이어 하네스(10)가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는 피벗 연결부재(133)가 지지리브(111b)에서 피벗 및 회전됨에 따라 분기파이프(131)의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된다. 피벗 연결부재(133)는 분기파이프(131)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외면이 지지리브(111b)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지지리브(111b)에 삽입된다.
또한, 피벗 연결부재(133)는 지지리브(111b)에서 안정되고 원활하게 피벗 및 회전되도록 지지리브(111b)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을 가지며, 그 길이가 지지리브(11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 하네스(10)의 두께에 따라 와이어 지지부재(120)를 선택하고, 와이어 하네스(10)를 와이어 지지부재(120)의 관통홀부(121)로 삽입한다. 그리고 와이어 하네스(10)를 각도조절 가이드부(130)에 관통시키고, 와이어 지지부재(120)와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를 분기체(11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분기 커버부(113) 또는 제2분기 커버부(115) 중 어느 하나의 고정돌부(119)에 와이어 지지부재(120)의 고정홈부(123)를 결합하고, 분기부(111)의 지지리브(111b)에 각도조절 가이드부(130)를 결합한다. 이후, 걸림턱부재(117b)를 고리부재(117a)에 결합하여 제1분기 커버부(113)와 제2분기 커버부(115)를 결합한다.
그리고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분기파이프(131)를 회전시키면 피벗 연결부재(133)가 지지리브(111b)에서 회전되면서 분기파이프(131)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100)는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분기체(110)에서 각도조절 가이드부(13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하네스(10)의 분기 각도에 따라 각도조절 가이드부(130)의 각도를 상하, 좌우는 물론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10 : 와이어 하네스
110 : 분기체 111 : 분기부
111a : 분기홀부 111b : 지지리브
113 : 제1분기 커버부 115 : 제2분기 커버부
117 : 걸림지지부 119 : 고정돌부
120 : 와이어 지지부재 121 : 관통홀부
123 : 고정홈부 130 : 각도조절 가이드부
131 : 분기파이프 133 : 피벗 연결부재

Claims (5)

  1. 와이어 하네스가 분기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분기하기 위한 분기부가 형성되는 분기체;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어 고정하도록 상기 분기체에 탈착되는 와이어 지지부재; 및 상기 분기체에서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분기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기부를 통해 분기되는 상기 와이어가 가이드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부는, 상기 분기체에 형성되는 분기홀부; 및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가 상기 분기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분기체에서 곡률지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체는, 양측 내면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는, 중앙부에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관통하는 관통홀부를 구비하고, 외면에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 가이드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가이드하는 분기파이프; 및 상기 분기파이프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확장 및 연장형성되어 상기 분기부의 상기 지지리브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37959A 2017-03-24 2017-03-24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KR10195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59A KR101956199B1 (ko) 2017-03-24 2017-03-24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59A KR101956199B1 (ko) 2017-03-24 2017-03-24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40A KR20180108340A (ko) 2018-10-04
KR101956199B1 true KR101956199B1 (ko) 2019-03-08

Family

ID=6386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59A KR101956199B1 (ko) 2017-03-24 2017-03-24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69608B (zh) * 2023-06-20 2023-08-22 万衡线缆有限公司 一种耐弯折的分支单芯低压电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89Y1 (ko) * 2005-11-30 2006-02-20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분기 클립 구조
JP2009071932A (ja) * 2007-09-11 2009-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ホルダー
JP5983524B2 (ja) * 2013-05-08 2016-08-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連結プロテ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89Y1 (ko) * 2005-11-30 2006-02-20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분기 클립 구조
JP2009071932A (ja) * 2007-09-11 2009-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ホルダー
JP5983524B2 (ja) * 2013-05-08 2016-08-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ロテクタ及び連結プロテ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340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3492B2 (en) Self-centering cable strap
US8632260B2 (en) Strain relief system
US9482370B2 (en) Line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297874B2 (en) Fixture for long member
KR101400525B1 (ko)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US20100102175A1 (en) Cable support
US20070187144A1 (en) Wire harness fixing structure
EP3091752B1 (en) Cable collector
JP2009038899A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用サポート体及びコルゲートクランプ
KR101463167B1 (ko)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CA2694077C (en) Cable guide
EP3491277B1 (en) Retain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KR101956199B1 (ko) 와이어 하네스용 분기 클립장치
US20160240287A1 (en) Hinged split bushing
US8763804B2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9891401B2 (en) Mid-span drop cable clamp and method
KR20180105541A (ko) 차량용 와이어링 클립장치
US20150083983A1 (en) Cable pulling roller guide
CN107453299B (zh) 一种走线装置及电器盒以及空调器
KR20160053603A (ko) 장착 각도 변경 가능한 밴드 케이블
JP2017103994A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固定構造
US9407080B2 (en) Hanger assemblies and cabl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20200355299A1 (en) Support member, support member-attached wire harness, and support structure of wire harness
US20210123502A1 (en) Cord tightening and retaining device
JP2007306760A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分の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