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529A -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529A
KR20180104529A KR1020170031416A KR20170031416A KR20180104529A KR 20180104529 A KR20180104529 A KR 20180104529A KR 1020170031416 A KR1020170031416 A KR 1020170031416A KR 20170031416 A KR20170031416 A KR 20170031416A KR 20180104529 A KR20180104529 A KR 2018010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valve opening
supercharger
correct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276B1 (ko
Inventor
이정섭
조효상
유성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2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02B39/16Other safety measures for, or other control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02D41/0072Estimating, calculating or determining the EGR rate, amount o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수퍼차저제어맵으로부터 수퍼차저를 제어할 목표회전수를 구하는 수퍼제어량산출단계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터보차저제어맵으로부터 터보차저를 제어할 목표베인각도를 구하는 터보제어량산출단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개질기 변환효율과 개질기의 연료분사량에 따라 개질가스조성예측모델로부터 개질가스량을 산출하는 개질량산출단계와;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보차저의 목표베인각도를 보정하는 터보제어량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와 상기 개질기의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수퍼제어량보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보차저와 수퍼차저 및 개질기를 구비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터보차저(Turbocharger)는 엔진의 배기가스가 가진 에너지로 터빈을 구동하여, 터빈의 회전력으로 컴프레서가 흡기를 가압하여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하며, VGT(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는 베인의 각도를 조절하여 터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컴프레서에 의한 과급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수퍼차저(Supercharger)는 전기모터에 의해 컴프레서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흡기를 가압하여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말한다.
차량의 개질기(Reformer)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라인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연료를 수소로 개질하여 EGR가스와 함께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150113192 A
본 발명은 터보차저와 수퍼차저 및 개질기를 구비한 차량에서 상기 터보차저와 수퍼차저 및 개질기의 활용도를 극대화함으로써, EGR성능 향상으로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고, 흡기 과급량의 신속하고도 충분하고 정확한 제공으로 엔진 출력성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LNT(Lean Nox Trap)촉매의 재생에 소요되는 연료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수퍼차저제어맵으로부터 수퍼차저를 제어할 목표회전수를 구하는 수퍼제어량산출단계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터보차저제어맵으로부터 터보차저를 제어할 목표베인각도를 구하는 터보제어량산출단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개질기 변환효율과 개질기의 연료분사량에 따라 개질가스조성예측모델로부터 개질가스량을 산출하는 개질량산출단계와;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보차저의 목표베인각도를 보정하는 터보제어량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와 상기 개질기의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수퍼제어량보정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NOx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LNT촉매의 NOx 흡장모델로부터 LNT촉매에 흡장된 NOx량을 산출하는 흡장량산출단계와;
상기 LNT촉매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개질가스량을 상기 개질기로부터 상기 LNT촉매로 공급할 수 있는 조절밸브의 밸브개도를 상기 NOx 흡장모델로부터 산출된 NOx량에 따라 LNT재생맵으로부터 산출하는 제1밸브개도산출단계와;
상기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밸브개도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밸브개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밸브개도를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밸브개도와,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압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DPF의 포집량모델로부터 DPF에 포집된 PM량을 산출하는 포집량산출단계와;
상기 DPF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개질가스량을 상기 개질기로부터 상기 DPF로 공급할 수 있는 조절밸브의 밸브개도를 상기 포집량모델로부터 산출된 PM량에 따라 DPF재생맵으로부터 산출하는 제2밸브개도산출단계와;
상기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밸브개도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밸브개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는 과도운전모드, 정상운전모드, 에코주행모드, 노멀주행모드, 스포츠모드, DPF재생모드, 탈황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운전상황은 엔진회전수, 가속페달조작량, 가속페달조작량의 변화율, 엔진 흡입공기량, 흡기온도, 냉각수온도, 차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보차저와 수퍼차저 및 개질기를 구비한 차량에서 상기 터보차저와 수퍼차저 및 개질기의 활용도를 극대화함으로써, EGR성능 향상으로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 배출량 저감에 기여하고, 흡기 과급량의 신속하고도 충분하고 정확한 제공으로 엔진 출력성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LNT(Lean Nox Trap)촉매 또는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에 소요되는 연료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및 엔진의 흡배기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엔진 및 그 흡배기장치의 주요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엔진(E)의 배기가스는 터보차저(T/C)의 터빈을 회전시킨 후 LNT나 DPF 또는 이들 모두(이후 이들을 통칭하여 '후처리장치'로 하기로 한다)를 통과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터빈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컴프레서는 흡기를 가압하여 인터쿨러(IC)를 경유하여 상기 엔진(E)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상기 후처리장치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엔진 흡기측으로 연결하는 EGR라인(1)이 구성되며, 이 EGR라인(1)에는 개질기(RF)와 수퍼차저(S/C)가 설치되고, 상기 수퍼차저(S/C)로부터 송풍된 EGR가스는 엔진(E)으로 공급되거나 조절밸브(3)에 의해 상기 후처리장치의 전단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터보차저(T/C)와 수퍼차저(S/C) 및 개질기(RF)를 구비한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본 발명 실시예들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수퍼차저제어맵으로부터 수퍼차저(S/C)를 제어할 목표회전수를 구하는 수퍼제어량산출단계(S10)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터보차저제어맵으로부터 터보차저(T/C)를 제어할 목표베인각도를 구하는 터보제어량산출단계(S20)와; 개질기(RF)의 온도에 따른 개질기(RF) 변환효율과 개질기(RF)의 연료분사량에 따라 개질가스조성예측모델로부터 개질가스량을 산출하는 개질량산출단계(S30)와; 상기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보차저(T/C)의 목표베인각도를 보정하는 터보제어량보정단계(S40)와;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와 상기 개질기(RF)의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수퍼제어량보정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운전모드는 과도상태운전모드, 정상상태운전모드, 에코주행모드, 노멀주행모드, 스포츠모드, DPF재생모드, 탈황모드 등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상황은 엔진회전수, 가속페달조작량, 가속페달조작량의 변화율, 엔진 흡입공기량, 흡기온도, 냉각수온도, 차속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퍼제어량산출단계(S10)와 상기 터보제어량산출단계(S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의 운전모드 및 운전상황에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수퍼차저제어맵과 터보차저제어맵으로부터 현재 수퍼차저(S/C)와 터보차저(T/C)가 작동되어야 할 제어량을 기본적으로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퍼차저제어맵과 터보차저제어맵은 미리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다수의 실험과 해석을 통해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에 저장하여 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질가스조성예측모델은 상기 개질기(RF)의 온도에 따른 개질기변환효율의 데이터와 개질기 연료분사량을 입력하여 개질가스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터보제어량보정단계(S40)는 터보차저보정부가 상기 터보차저제어맵을 통해 출력된 목표베인각도를 상기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반영하여 보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목표베인각도가 터보차저(T/C)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베인각도 영역에 속하고,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가 수퍼차저(S/C)의 허용 한계 회전수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에는, 상기 터보차저보정부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목표베인각도를 터보차저(T/C)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으로 보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S50)에서는 상기 터보제어량보정단계(S40)에 의해 보정된 목표베인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수퍼제어량산출단계(S10)에서 산출된 목표회전수를 보정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수퍼차저의 회전수를 상기 목표회전수보다 더 상승 제어하여 상기 터보차저에서 부족한 과급량을 보완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엔진 흡기 과급량의 신속하고 충분하며 정확한 제공으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S50)는 상기 터보제어량보정단계(S40)에 의한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이외에 상기 개질기(RF)의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그에 따른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한다.
예컨대, 개질기(RF)에 의한 개질가스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개질가스의 EGR대체성능을 상대적으로 높게 기대할 수 있어서 보통의 개질가스량인 경우보다 수퍼차저의 회전수가 낮아도 원하는 수준의 EGR성능의 충족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상기 수퍼제어량산출단계(S10)를 통한 목표회전수를 낮추는 보정을 하는 것이다. 물론, 개질가스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반대로 상기 목표회전수를 상승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여기서 상기 'EGR성능'이라함은 재순환 배기가스 또는 상기 개질가스의 연소실 유입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는 성능을 의미하고, 'EGR대체성능'이라함은 상기 개질가스가 재순환 배기가스 대신 연소실로 유입되어 궁극적으로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저감에 기여하게 되는 성능을 의미한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NOx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LNT촉매의 NOx 흡장모델로부터 LNT촉매에 흡장된 NOx량을 산출하는 흡장량산출단계(S60)와; 상기 LNT촉매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개질가스량을 상기 개질기(RF)로부터 상기 LNT촉매로 공급할 수 있는 조절밸브(3)의 밸브개도를 상기 NOx흡장모델로부터 산출된 NOx량에 따라 LNT재생맵으로부터 산출하는 제1밸브개도산출단계(S70)와; 상기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밸브개도보정단계(S80)와; 상기 보정된 밸브개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3)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단계(S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LNT촉매의 NOx흡장모델은 상기 NOx센서의 신호에 따라 LNT촉매에 흡장된 NOx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 NOx흡장모델에 NOx센서의 신호를 계속적으로 입력함에 의해 LNT촉매에 현재 흡장되어 있는 NOx량을 산술적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추정된 NOx흡장량을 LNT재생맵에 입력하면, 상기 LNT재생맵은 LNT촉매의 재생을 위해 어느 시점에 상기 조절밸브(3)를 얼만큼 열어서 LNT촉매 전단으로 공급할지를 출력하며, 이 출력값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3)를 제어하면 LNT촉매의 전단에 개질가스가 공급되어 LNT촉매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S80)에서는 상기 개질량산출단계(S30)로부터 산출된 개질가스량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바, 예컨대 개질가스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개도를 상대적으로 줄이고, 개질가스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상기 밸브개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보정을 수행하여, LNT촉매의 재생에 과부족이 없는 적합한 수준의 개질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LNT촉매의 재생을 위해 별도의 연료를 분사하지 않고, 개질기(RF)에 분사된 연료가 개질된 개질가스를 사용하여 LNT촉매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LNT촉매의 재생에 별도로 연료를 소모하지 않고 상기 조절밸브(3)와 수퍼차저(S/C)에 의한 정확한 개질가스의 공급으로 재생에 소요되는 연료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S50)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S80)에서 보정된 밸브개도를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퍼차저(S/C)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에 더하여 상기 밸브개도에 따라서도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컨대 상기 LNT촉매의 재생에 필요한 상기 조절밸브(3)의 밸브개도가 형성되면, 종전에 EGR기능 수행을 위주로 설정되었던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종전 EGR기능 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LNT촉매의 재생을 위한 개질가스 공급도 가능한 수준으로 상승시키도록 보정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S50)에서는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S/C)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퍼차저(S/C)의 작동에 의해 엔진으로 공급되는 EGR량을 엔진 배기계에 장착되어 있는 광역산소센서(wide range oxygen sensor)의 신호로부터 역으로 추정하여, 목표로 하는 EGR량을 추종할 수 있도록 상기 수퍼차저의 회전수를 피드백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EGR제어가 가능해져서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저감함으로써, 각종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2에 의하면,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S50)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S80)에서 보정된 밸브개도와,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위에 언급된 실시예에서는 LNT촉매를 재생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도 3의 실시예는 LNT촉매의 재생이 아니라 DPF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 이외에, 차압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DPF의 포집량모델로부터 DPF에 포집된 PM량을 산출하는 포집량산출단계(S110)와; 상기 DPF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개질가스량을 상기 개질기(RF)로부터 상기 DPF로 공급할 수 있는 조절밸브(3)의 밸브개도를 상기 포집량모델로부터 산출된 PM량에 따라 DPF재생맵으로부터 산출하는 제2밸브개도산출단계(S120)와; 상기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밸브개도보정단계(S80)와; 상기 보정된 밸브개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3)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단계(S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NT촉매 대신 DPF를 재생한다는 것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사항들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EGR라인
3; 조절밸브
E; 엔진
T/C; 터보차저
IC; 인터쿨러
RF; 개질기
S/C; 수퍼차저
S10; 수퍼제어량산출단계
S20; 터보제어량산출단계
S30; 개질량산출단계
S40; 터보제어량보정단계
S50; 수퍼제어량보정단계
S60; 흡장량산출단계
S70; 제1밸브개도산출단계
S80; 밸브개도보정단계
S90; 밸브작동단계
S110; 포집량산출단계
S120; 제2밸브개도산출단계

Claims (10)

  1.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수퍼차저제어맵으로부터 수퍼차저를 제어할 목표회전수를 구하는 수퍼제어량산출단계와;
    차량의 운전모드와 운전상황에 따라 터보차저제어맵으로부터 터보차저를 제어할 목표베인각도를 구하는 터보제어량산출단계와;
    개질기의 온도에 따른 개질기 변환효율과 개질기의 연료분사량에 따라 개질가스조성예측모델로부터 개질가스량을 산출하는 개질량산출단계와;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입력받아 상기 터보차저의 목표베인각도를 보정하는 터보제어량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와 상기 개질기의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수퍼제어량보정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NOx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LNT촉매의 NOx 흡장모델로부터 LNT촉매에 흡장된 NOx량을 산출하는 흡장량산출단계와;
    상기 LNT촉매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개질가스량을 상기 개질기로부터 상기 LNT촉매로 공급할 수 있는 조절밸브의 밸브개도를 상기 NOx 흡장모델로부터 산출된 NOx량에 따라 LNT재생맵으로부터 산출하는 제1밸브개도산출단계와;
    상기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밸브개도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밸브개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밸브개도를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밸브개도와,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압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DPF의 포집량모델로부터 DPF에 포집된 PM량을 산출하는 포집량산출단계와;
    상기 DPF 재생을 위해 필요한 개질가스량을 상기 개질기로부터 상기 DPF로 공급할 수 있는 조절밸브의 밸브개도를 상기 포집량모델로부터 산출된 PM량에 따라 DPF재생맵으로부터 산출하는 제2밸브개도산출단계와;
    상기 개질가스량을 입력받아 상기 밸브개도를 보정하는 밸브개도보정단계와;
    상기 보정된 밸브개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작동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밸브개도를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퍼제어량보정단계에서는
    상기 밸브개도보정단계에서 보정된 밸브개도와, 엔진으로 재순환되는 EGR량을 상기 보정된 목표베인각도 및 개질가스량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수퍼차저의 목표회전수를 보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과도운전모드, 정상운전모드, 에코주행모드, 노멀주행모드, 스포츠모드, DPF재생모드, 탈황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상황은 엔진회전수, 가속페달조작량, 가속페달조작량의 변화율, 엔진 흡입공기량, 흡기온도, 냉각수온도, 차속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70031416A 2017-03-13 2017-03-13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0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416A KR102201276B1 (ko) 2017-03-13 2017-03-13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416A KR102201276B1 (ko) 2017-03-13 2017-03-13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529A true KR20180104529A (ko) 2018-09-21
KR102201276B1 KR102201276B1 (ko) 2021-01-11

Family

ID=6372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416A KR102201276B1 (ko) 2017-03-13 2017-03-13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2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120A (ja) * 1998-06-15 2000-01-07 Mitsubishi Motors Corp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の制御装置
JP2006037745A (ja) * 2004-07-22 2006-02-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JP2008151051A (ja) * 2006-12-19 2008-07-0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0203364A (ja) * 2009-03-04 2010-09-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エンジンシステム
KR20130001468A (ko) * 2011-06-27 201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배기가스재순환 장치 및 배기가스재순환 제어방법
KR20130003115A (ko) * 2011-06-30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급 엔진의 egr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3192A (ko) 2013-02-04 2015-10-07 존슨 맛쎄이 퍼블릭 리미티드 컴파니 개질기 촉매를 가진 배기 시스템
KR101684540B1 (ko) * 2015-08-25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린 녹스 트랩과 선택적 환원 촉매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서 린 녹스 트랩의 탈황 방법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120A (ja) * 1998-06-15 2000-01-07 Mitsubishi Motors Corp 可変ターボチャージャの制御装置
JP2006037745A (ja) * 2004-07-22 2006-02-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
JP2008151051A (ja) * 2006-12-19 2008-07-0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0203364A (ja) * 2009-03-04 2010-09-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エンジンシステム
KR20130001468A (ko) * 2011-06-27 201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배기가스재순환 장치 및 배기가스재순환 제어방법
KR20130003115A (ko) * 2011-06-30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급 엔진의 egr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3192A (ko) 2013-02-04 2015-10-07 존슨 맛쎄이 퍼블릭 리미티드 컴파니 개질기 촉매를 가진 배기 시스템
KR101684540B1 (ko) * 2015-08-25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린 녹스 트랩과 선택적 환원 촉매를 구비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서 린 녹스 트랩의 탈황 방법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276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6404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01091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oost pressure in a turbocharged diesel engine
JP518712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8209979B2 (en) Model-based control of airpath pressure limits by modulating a turbo charger by-pass valve and a variable-geometry turbine
JP4631598B2 (ja) 過給圧制御装置
RU2563441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дизельного двигателя с турбонаддувом
EP3121432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esel engine
GB2467245A (en) Method for regenerating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component using oxygen concentration
EP2115278B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JP2007126995A (ja) 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システム
WO2008059362A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092618A (ja) 過給機付き内燃機関
CN104564377B (zh) 控制排气再循环气体系统的方法
JP2008163794A (ja) 内燃機関の排気再循環装置
US7886526B2 (en) Fuel control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JP200709262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947833B1 (ko) 제어 실시를 위한, 특히 차량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10093185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stem
JP491143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2201276B1 (ko) 차량의 제어방법
JP4258388B2 (ja) 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運転制御装置
JP2010236381A (ja) 内燃機関のegr装置
JP2007285242A (ja) 内燃機関用排気浄化装置
JP201314806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7141793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