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477A -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477A
KR20180104477A KR1020170031296A KR20170031296A KR20180104477A KR 20180104477 A KR20180104477 A KR 20180104477A KR 1020170031296 A KR1020170031296 A KR 1020170031296A KR 20170031296 A KR20170031296 A KR 20170031296A KR 20180104477 A KR20180104477 A KR 20180104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tearic acid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948B1 (ko
Inventor
조윤하
정지희
최기환
김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3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94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 꽃잎, 오일, 점증제 및 향료를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투명성과 고온에서도 건조 꽃잎의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에서 꽃잎을 관측할 수 있어 외관을 차별화 시킨 것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lip containing dispersions of flower}
본 발명은 건조 꽃잎, 오일, 점증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꽃잎을 이용한 입술용 화장료는 건조 꽃잎을 화장료에 그대로 넣거나, 분쇄하여 넣음으로써 시각적 차별화를 위해 첨가되는 제품으로 다수 출시되었고, 대부분 스킨 케어 효과를 주는 기초 제품에 주로 사용되어 색과 형태를 유지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건조 꽃잎을 제형에 적용시키고자 대부분 꽃잎을 탈색 및 연화시키는 공정을 적용하여 꽃잎 고유의 색상과 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조성물로써 꽃의 가라앉음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93992호
본 발명은 건조 꽃잎, 오일, 점증제 및 향료를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건조 꽃잎이 고온에서도 가라앉지 않고 안정하게 조성물 내에 분산되어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오일 70 내지 99 중량%, 점증제 0.1 내지 30 중량%, 향료 0.001 내지 5 중량% 및 건조 꽃잎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오일 70 내지 99 중량%, 점증제 0.1 내지 30 중량%, 향료 0.001 내지 5 중량% 및 건조 꽃잎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장미, 모란, 천일홍, 백일홍, 카모마일, 라벤더, 작약, 금잔화, 히아신스, 해바라기, 튜울립, 팬지, 카네이션, 수선화, 백합, 봉선화, 무궁화, 민들레, 목련, 카렌튤라, 푸른연꽃, 유채꽃, 멜로우 플라워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스쿠알란, 에칠헥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브이피, 헥사데센코폴리머, 디글리세릴세바케이트 이소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페닐 트리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실리카실릴레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칠렌, 덱스트린팔미네이트,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칠렌/프로필렌/스티이렌코폴리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틸렌/에칠렌/스티이렌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조 꽃잎이 조성물 내에서 가라앉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 꽃잎, 오일, 점증제 및 향료를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투명성과 고온에서도 건조 꽃잎의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외관에서 꽃잎을 관측할 수 있어 외관을 차별화 시킨 것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적합한 제형을 확인하기 위해 오일에 건조 꽃잎을 첨가한 것(좌), 물에 꽃잎을 첨가한 것(우)의 비교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건조 꽃잎 함유 글로스 제품의 투명성 비교를 위한 사진으로, 덱스트린팔미테이트 겔화제를 적용한 글로스(좌) 및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를 적용한 글로스(우)를 50℃에서 6개월 동안 방치한 뒤 찍은 사진이다.
본 발명은 건조 꽃잎, 오일, 점증제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건조 꽃잎의 색상과 형태가 유지되고 조성물 내에 가라앉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구성으로 제조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 건조 꽃잎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분산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오일 70 내지 99 중량%, 점증제 0.1 내지 30 중량%, 향료 0.001 내지 5 중량% 및 건조 꽃잎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건조 꽃잎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건조 꽃잎 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 꽃잎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함량이 너무 적어 외관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하고, 5 중량% 초과이면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비해 너무 많아 외관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조 꽃잎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미, 모란, 천일홍, 백일홍, 카모마일, 라벤더, 작약, 금잔화, 히아신스, 해바라기, 튜울립, 팬지, 카네이션, 수선화, 백합, 봉선화, 무궁화, 민들레, 목련, 카렌튤라, 푸른연꽃, 유채꽃, 멜로우 플라워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오일 7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에칠헥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브이피, 헥사데센코폴리머, 디글리세릴세바케이트 이소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페닐 트리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점증제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실리카실릴레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칠렌, 덱스트린팔미네이트,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칠렌/프로필렌/스티이렌코폴리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틸렌/에칠렌/스티이렌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점증제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건조 꽃잎이 분산되지 않고 고온에서 가라앉게 되고, 30 중량% 초과이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외관의 심미적 가치가 떨어지며, 내용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립글로스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향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향료 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향료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료가 함유되므로 다양한 향기가 발향되어 소비자들은 여러 가지 향이 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될 수 있는 립글로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립글로스 또는 액상(리퀴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조 꽃잎이 조성물 내에서 가라앉지 않고 색과 형태가 유지면서 분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건조 꽃잎의 조성물 내 분산성이 확보되며, 고온에서의 분산성 또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온에서도 다른 물질이 석출되지 않고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고온'은 40℃ 이상의 온도를 의미하며, 하기 실시예에서는 50℃에서 6개월간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보관한 경우에서도 투명성 및 분산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성분들 외에 피부 연화제, 보습제, 피부 후레시닝제, 진정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컨디셔닝제, 세정제, 연화제, 보습제, 피부 후레시닝제, 진정제 및 윤활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컨디셔닝제로는 알로에, 알란토인, 판텐올, 알파-하이드록시산, 인지질,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식물성 오일 및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연화제로는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및 글리세릴 리놀리에이트와 같은 지방 에스테르, PPG-10 세틸 에테르 및 PPG-11 스테아릴 에테르와 같은 프로폭실화 지방 에테르, 레시틴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라이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다이-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및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이 분야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의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주입하여 제조되는 건조 꽃잎을 포함하는 립글로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는 꽃잎이 용기 내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파킹이 있어 사용시 꽃잎이 딸려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및 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 및 2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완성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건조 꽃잎을 후첨하여 충진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원료명 배합량(중량%)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오일) 5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오일) 20%
디메치콘(오일) 0.2%
1,2-헥산디올(오일) 0.5%
[겔화제]
덱스트린팔미테이트
7%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오일) to 100
향료 0.2%
건조 꽃잎 0.3%
총합 100%
실시예 2
원료명 배합량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오일) 5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오일) 20%
디메치콘(오일) 0.2%
1,2-헥산디올(오일) 0.5%
[점증제]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3%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오일) to 100%
향료 0.2%
건조 꽃잎 0.3%
총합 100%
실험예 1. 제형에 따라 적용한 건조 꽃잎
오일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꽃잎을 첨가한 경우, 오일에 꽃잎의 색상이 빠져나오지 않고 조성물의 투명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물에 꽃잎을 첨가한 경우, 조성물 내 꽃잎의 색상이 빠져나와 조성물의 투명성이 유지되지 않고 꽃잎의 색상 또한 탈색, 연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꽃잎이 물에 적셔짐에 따라 꽃잎의 탈색, 연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조 꽃잎의 색깔과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제형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물을 최소한의 함량 0 내지 1 중량%를 사용하고 오일, 왁스 및 점증제로만 이루어져 있어야 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고온에서의 투명성 및 꽃잎 분산성 평가
실시예 1 및 2의 조성으로 제조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건조 꽃잎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온에서의 조성물 투명성 및 꽃잎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보다 투명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꽃잎의 침강을 막기 위한 겔화제인 덱스트린팔미테이트 대신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를 처방함으로써 투명성이 올라간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품은 고온 50℃의 항온조에서 6개월 동안 꽃잎의 침강 없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따라서, 실시예 2의 조성으로 제조한 입술용 조성물로 립글로스를 제조할 경우 외관이 투명하고, 건조 꽃잎이 고온에서도 침강하지 않고 분산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오일 70 내지 99 중량%, 점증제 0.1 내지 30 중량%, 향료 0.001 내지 5 중량% 및 건조 꽃잎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꽃잎은 장미, 모란, 천일홍, 백일홍, 카모마일, 라벤더, 작약, 금잔화, 히아신스, 해바라기, 튜울립, 팬지, 카네이션, 수선화, 백합, 봉선화, 무궁화, 민들레, 목련, 카렌튤라, 푸른연꽃, 유채꽃, 멜로우 플라워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스쿠알란, 에칠헥실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브이피, 헥사데센코폴리머, 디글리세릴세바케이트 이소팔미테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메치콘, 페닐 트리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실리카실릴레이트,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칠렌, 덱스트린팔미네이트,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에칠렌/프로필렌/스티이렌코폴리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부틸렌/에칠렌/스티이렌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립글로스 제형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조 꽃잎이 조성물 내에서 가라앉지 않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31296A 2017-03-13 2017-03-13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96A KR102349948B1 (ko) 2017-03-13 2017-03-13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96A KR102349948B1 (ko) 2017-03-13 2017-03-13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77A true KR20180104477A (ko) 2018-09-21
KR102349948B1 KR102349948B1 (ko) 2022-01-11

Family

ID=6372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96A KR102349948B1 (ko) 2017-03-13 2017-03-13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9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8113A (zh) * 2018-11-27 2019-01-22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乳化唇彩及其制备方法
KR20200064726A (ko) * 2018-11-29 2020-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5068A (ko) * 2019-01-04 2020-07-14 (주)이미인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41614B1 (ko) 2019-06-19 2020-08-06 주식회사 팜인스킨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6888A (ko) * 2019-09-02 2021-03-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921A (ja) * 2008-02-20 2009-09-03 Nippon Shikizai Inc スティック状の口唇用化粧料
KR20160093992A (ko) 2015-01-30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6921A (ja) * 2008-02-20 2009-09-03 Nippon Shikizai Inc スティック状の口唇用化粧料
KR20160093992A (ko) 2015-01-30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ver blog, the natural flower blossom lip gloss / natural flower lipgloss / transparent lipgloss, [online], (2014.10.10.)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8113A (zh) * 2018-11-27 2019-01-22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乳化唇彩及其制备方法
KR20200064726A (ko) * 2018-11-29 2020-06-08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5068A (ko) * 2019-01-04 2020-07-14 (주)이미인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41614B1 (ko) 2019-06-19 2020-08-06 주식회사 팜인스킨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6888A (ko) * 2019-09-02 2021-03-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948B1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477A (ko)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0344677C (zh) 凝胶组合物
CN102811697B (zh) 透明或半透明组合物
CN102388107A (zh) 挥发性油状组合物
KR20110119774A (ko) 유성 모발 화장료
TWI688408B (zh) 透明油性固體化妝材料
CN106619313A (zh) 一种油包水型唇膜及其制备方法
WO2016117637A1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4851187B2 (ja) 油性固形化粧料
CN102740823A (zh) 透明或半透明组合物
CN100446750C (zh) 气候防护化妆品复合物
CN103764110B (zh) 二脲胶凝剂及组合物
CN108619006B (zh) 两层式毛发化妆料
KR20190104860A (ko) 개선된 감각 특성을 갖는 천연 탄화수소/에스테르 조성물, 제제 및 관련 방법
CN103200928B (zh) 耐脱妆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6821840A (zh) 一种防水睫毛膏及其制备方法
CN114404312A (zh) 含壬酸酯的亲油性化妆品组合物
CN105307626B (zh) 预防或减少皮肤色素沉着并且淡化肤色的组合物及其用途
WO2013119989A1 (en) Skin conditioning and lubricating crem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6138484B2 (ja) 油性睫毛用化粧料
JP2014193825A (ja) 油性毛髪化粧料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11148721A (ja) 頭髪化粧料
JP2022507312A (ja) 粉末に変化しうる化粧品組成物
CN109415294A (zh) 用于个人护理应用的衍生自1-甲基庚基醇的二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