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879A -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879A
KR20180103879A KR1020187019396A KR20187019396A KR20180103879A KR 20180103879 A KR20180103879 A KR 20180103879A KR 1020187019396 A KR1020187019396 A KR 1020187019396A KR 20187019396 A KR20187019396 A KR 20187019396A KR 20180103879 A KR20180103879 A KR 2018010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device
access interface
subcarrier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02045B1 (ko
Inventor
신 호릉 웡
마틴 워릭 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기, 전송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전송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제어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전송기 및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제어기는, 전송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다중 서브캐리어 할당에 비해 데이터 통신 대역폭을 감소시키지만 전송된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무선 통신을 위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단일 서브캐리어 동작에 대해 제한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Description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본 출원은, 그 내용이 참조로 포함되는, 유럽 특허 출원 제16150823.9호의 파리 조약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내용은, 업링크 상에서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 및/또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또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배경"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맥락을 전반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본 배경 섹션에서 설명되는 범위까지의 현재 거명된 발명자들의 연구뿐만 아니라 출원 시점에서의 종래 기술로서 여겨질 수 없는 설명의 양태들은, 명시적으로든 묵시적으로든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인정되지 않는다.
제3 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십(3GPP)에서 정의된 UMTS 및 LTE(Long Term Evolution) 아키텍쳐에 기초한 시스템 등의 제3 세대 및 제4 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인스턴트 메시징, 화상 통화 및 고속 인터넷 액세스 등의 정교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 사용자는 이전에는 고정된 라인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만 이용가능했던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 및 모바일 화상 회의 등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애플리케이션을 향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세대 네트워크의 배치 수요는 강하고 이들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즉,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가능한 지리적 위치들은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제4 세대 네트워크는 스마트 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의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낮은 레이턴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지만, 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감소된 복잡성의 디바이스, 이동성을 거의 또는 전혀 요구하지 않는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 고해상도 비디오 디스플레이 및 가상 현실 헤드셋을 포함한, 훨썬 더 넓은 범위의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광범위한 통신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것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적 과제를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및 이동 통신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현재 관심대상이 되는 기술 분야는 "사물 인터넷" 또는 간단히 IoT라고 알려져 있다. 3GPP는, LTE 또는 4G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쳐를 이용하여 협대역(NB)-IoT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IoT 디바이스들은, 비교적 낮은 대역폭 데이터의 빈번하지 않은 통신을 요구하는 낮은 복잡성 및 저렴한 디바이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셀에서 지원될 필요가 있는 매우 많은 수의 IoT 디바이스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NB-IoT 디바이스는 실내에 및/또는 원격 위치에 배치되어 무선 통신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본 기술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수신기, 전송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전송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제어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전송기 및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requirement)을 식별할 때, 제어기는, 전송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중 서브캐리어 할당에 비해 데이터 통신 대역폭을 감소시키지만 전송된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무선 통신을 위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단일 서브캐리어 동작에 대해 제한될 수 있는, 통신 자원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선택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내에 위치한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개선된 업링크 통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전송기 및 전송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하기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고,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시간 구간은 할당된 통신 자원의 함수로서의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추가 양태의 실시예들은, 주어진 트랜스포트 블록에 대해, 전송 시간 구간이,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최대값 중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에 따라 변할 수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들로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효율적으로 시그널링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송 시간 구간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들은, 통신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제공하여 이용될 전송 시간 구간을 통신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양태들과 피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문단들은 전반적인 소개로서 제공된 것이지,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추가의 이점과 함께,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최상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과 많은 그 부속 이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최상으로 이해할 때 얻어질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수 개의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여기서:
도 1은 이동 원격 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LTE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LTE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통신 디바이스 및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의 부분 개략적 블록도, 본 기술에 따른 이용되어야 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표시하고 통신 디바이스에 업링크 자원을 승인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부분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단일 비트 필드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검출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물리적 자원 블록 내에서의 트랜스포트 블록의 전송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4개의 상이한 예의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서브캐리어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상이한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길이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서브캐리어 할당의 3개의 상이한 예로부터 발생하는 3개의 상이한 길이의 전송 시간 구간(TTI)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및
도 10은,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가 다운링크 상에서 자원을 할당하고 이용할 전송 시간 구간 길이의 묵시적 또는 명시적 표시를 제공하는, 본 기술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
도 1은, LTE 원리에 따라 동작하고 후술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시스템(100)의 일부 기본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요소들과 그들 각각의 동작 모드들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3GPP(RTM) 기구(body)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이 주제에 관한 많은 문헌, 예를 들어, Holma H. and Toskala A [1]에서도 설명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양태들은, 예를 들어 관련 표준에 따른 임의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이해할 것이다.
네트워크(100)는 코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통신 디바이스(104)에 및 통신 디바이스(104)로부터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즉,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기지국(101)으로부터 통신 디바이스(104)들로 그들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103) 내에서 무선 다운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데이터는 통신 디바이스(104)로부터 무선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101)에 전송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은 네트워크(100)의 운영자에 의한 배타적 이용이 인가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각각의 기지국(101)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104)에 및 통신 디바이스(104)로부터의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이동국,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디바이스, 이동 무선기기 등이라 부를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트랜시버 스테이션/NodeB/eNodeB(줄여서 eNB) 등이라 부를 수도 있다.
3GPP 정의된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쳐에 따라 구성된 시스템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다운링크에 대해서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FDM) 기반의 인터페이스(소위 OFDMA)와, 무선 업링크 상에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SC-FDMA)을 이용한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이 LTE 표준에 따라 동작할 때 도 1의 eNB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구조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제공한다. LTE 시스템에서, eNB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액세스 무선 인터페이스에 기초한다. OFDM 인터페이스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자원은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로 분할되고, 데이터는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 상에서 병렬로 전송되며, 여기서, 1.25MHz와 20MHz 대역폭 사이의 대역폭들은 예를 들어 128 내지 2048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대역폭은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지만, LTE에서는 통상적으로 15KHz로 고정된다. 그러나, 미래에 업링크와 다운링크 양쪽 모두에 대해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소정 부분들에 대해 3.75kHz의 감소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2][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은 또한 시간적으로 프레임들로 분할되고, 여기서, 프레임(200)은 10ms간 지속되며 각각이 1 ms의 지속기간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201)으로 세분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4 개의 OFDM 심볼들로 형성되고, 심볼간 간섭의 감소를 위해 OFDM 심볼들 사이에 보통의 주기적 전치부호 또는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가 이용되는지에 따라 6개 또는 7개의 OFDM 심볼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슬롯으로 분할된다. 슬롯 내의 자원들은 하나의 슬롯의 지속기간 동안 12개의 서브캐리어를 각각 포함하는 자원 블록(203)들로 분할될 수 있고, 자원 블록들은 하나의 OFDM 심볼에 대해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걸친 자원 요소(204)들로 더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직사각형(204)은 자원 요소를 나타낸다.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구조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부록 1에서 제공된다.
도 3은 도 1의 eNB에 의해 또는 이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는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구조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제공한다. LTE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FDM(SC-FDM) 인터페이스에 기초하고 다운링크 및 업링크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TDD)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TDD 구현에서, 서브프레임들은 미리정의된 패턴에 따라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그러나, 이용된 듀플렉싱의 형태에 관계없이, 공통 업링크 프레임 구조가 이용된다. 도 3의 단순화된 구조는 FDD 구현에서의 이러한 업링크 프레임을 나타낸다. 프레임(300)은, 1ms 지속기간의 10개의 서브프레임(301)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301)은 0.5ms 지속기간의 2개의 슬롯(302)을 포함한다. 그 다음, 각각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들(303)로 형성되고, 여기서, 주기적 전치부호(304)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심볼 사이에 삽입된다. 도 3에서, 보통의 주기적 전치부호가 이용되고, 따라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는 7개의 OFDM 심볼이 존재하지만, 확장된 주기적 전치부호가 이용되는 경우, 각각의 슬롯은 6개의 OFDM 심볼만을 포함할 것이다.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자원들은 또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원 블록들 및 자원 요소들로 분할된다. 도 3에 나타낸 LTE 업링크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부록 1에서 제공된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 또는 UE(104)가 기지국 또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된 무선 액세스의 업링크 상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다중 서브캐리어 할당에 비해 데이터 통신 대역폭을 감소시키지만 전송된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무선 통신을 위한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단일 서브캐리어 동작에 대해 제한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원격으로 위치하거나 및/또는 실내의 디바이스들, 특히 복잡성이 감소되어 더 낮은 성능의 전송기 또는 사실상 제한된 전송 전력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업링크 통신에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광대역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 내에서 협대역 통신을 수용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적합화를 개발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3GPP에서 협대역 인터넷(NB-IoT)을 제공하기 위한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 개선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합의되었다 [2]. 이 프로젝트는, 향상된 실내 커버리지, 매우 많은 수의 낮은 처리량 디바이스에 대한 지원, 낮은 지연 감도, 매우 낮은 디바이스 비용, 낮은 디바이스 전력 소비 및 (최적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예가 스마트 계측기이다. NB-IoT 통신 시스템은 단지 180kHz의 대역폭을 지원하고 3개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1.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GSM 캐리어를 대신하여 GERAN 시스템에 의해 현재 이용 중인 스펙트럼을 활용하는 '독립형 동작'
2. LTE 캐리어의 보호 대역 내에서 이용되지 않는 자원 블록을 활용하는 '보호 대역 동작'
3. 정상적인 LTE 캐리어 내의 자원 블록을 활용하는 '대역내 동작'
공지된 LTE 시스템에서, 가장 작은 업링크 자원 세밀도는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물리적 자원 블록(PRB)이다. 그러나, [3]에서, 업링크 신호가 단일 톤(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톤(다중 서브캐리어)에서 전송될 수 있는 더 미세한 업링크 자원 세밀도가 제공될 수 있음이 제안되었다. 단일 톤 전송은, UE가 자신의 전력을 단일 서브캐리어에 집중(즉, PSD 부스트)하는 것을 허용하여, 전송된 신호에 대한 더 큰 전송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넓은 커버리지 향상 동작에 유용하다. 그러나, 단일 톤 전송은 (주파수) 자원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양의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최대 전체 PRB까지) 수 개의 서브캐리어를 점유하는 다중 톤 전송은 더 많은 자원을 갖지만 전력이 다중 서브캐리어 사이에 분산되므로 단일 톤 전송의 경우보다 짧은 범위를 갖는다. 단일 톤 전송을 이용하는 것은, 더 많은 UE가 동시에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기술에 따르면, eNB 내의 제어기 또는 스케줄러는, 스케줄러가 더 세밀한 세밀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유연성을 갖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본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의 결정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로서 전송될 수 있는, 단일 톤으로서 서브캐리어를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이라는 용어는 다중 톤 및 단일 톤 전송 양쪽 모두에 적용가능하다: 단일 톤 전송의 경우, 이것은 상이한 UE들로부터의 전송들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에 관련된다. 한 예에 따르면,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 kHz 또는 15 kHz일 수 있다. 다중 서브캐리어/다중 톤 전송은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있는 경우에만 지원된다. 3.75 kHz 단일 톤 전송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향상되어 더 긴 범위의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다른 예들에서,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은 신호 반복에 의해 그 짧은 전송 범위를 완화시킬 수 있어서, 증가된 범위로 이어지지만, (신호의 반복으로 인해)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2개의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전송 모드들(단일 서브캐리어 상의 단일 톤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통한 다중 톤)의 이용가능성에 따라, UE에게, 이용할 서브캐리어 간격, 전송 모드(단일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및 사실상 서브캐리어(들)의 위치를 통보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제안에 따르면, UE를 식별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도 있는 제1 랜덤 액세스 메시지 이후에, UE로부터의 제1 업링크 메시지는 적어도 단일 톤을 이용하여 전송될 것이다. 따라서, eNB는 단일 톤 전송으로서 제1 업링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2가지 유형의 단일 톤 전송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UE는 어떤 단일 톤 전송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또한 단일 톤 또는 다중 톤 전송이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면 eNB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기술에 따르면, eNB는 업링크 승인 메시지에서 UE에 의해 이용되어야 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업링크 승인 메시지는, 이용되어야 하는, 주파수 자원, 시간 자원(반복이 이용되는 경우), 및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의 표시 등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이용되어야 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예를 들어, 3.75 kHz 또는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할지를 UE에게 통보하는 새로운 표시자가 도입된다. LTE의 예에서, 업링크 승인 메시지는, PDCCH(또는 협대역(NB)-PDCCH)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의해 운반된다. 또 다른 예에서, 이 스케줄링 정보를 운반하는 업링크 승인 메시지는 또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동안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기술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또는 UE(104)와 기지국 또는 eNB(101)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제공하며, 여기서 eNB는, 업링크 상의 데이터를 eNB에 전송하기 위해 UE(104)에 의해 이용되어야 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시그널링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4)는 제어기(403)에 의해 제어되는 전송기(401) 및 수신기(402)를 포함한다. 대응적으로, eNB(101)는, 스케줄러라고 지칭될 수 있는 제어기(413)에 의해 제어되는 전송기(411) 및 수신기(412)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UE(10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eNB에 의해 제공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eNB(101)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UE(104)는, 업링크 상에서 eNB(101)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이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역시 의미하는 이용할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제공받는다.
도 4는 또한, eNB가 이용되어야 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는 이벤트의 3개의 예(416, 417, 418)를 제공하는 UE(104)와 eNB(101) 사이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다. UE(104)는 또한, 업링크 자원이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관한 것인지 그리고 또한 eNB(101)에 의해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이용되어야 하는 서브캐리어 또는 이용되어야 하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식별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의 표시를 eNB(101)로부터 수신한다. 제1 예(416)에서, PDSCH 상에서 전송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이용될 서브캐리어 간격을 식별하는 필드(430) 및 이용될 주파수 자원을 식별하는 필드(432)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3.75kHz 또는 15kHz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UE(104)는 주파수 자원 필드를 상이하게 해석한다. 여기서 UE(104)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도록 시그널링받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4)는 먼저, 종래의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라 PRACH 채널을 통해 프리앰블(420)을 전송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eNB(101)는, PDCCH 상에서 DCI 메시지(422)를 전송함으로써 스케줄링되는 PDSCH를 통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434)를 전송한다. 그 다음 UE(104)가 RRC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업링크 자원을 요청하는 절차(미도시)가 뒤따른다.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434)는 PDSCH에서 전송되고, RRC 접속 셋업과 연관된 후속 메시지들은 PDSCH 및 PUSCH를 통해 전송된다(예를 들어, RRC 접속 셋업 요청 메시지는 PUSCH를 통해 전송되고 RRC 접속 셋업 메시지는 PDSCH를 통해 전송됨). 이 예(416)에서, RAR 메시지 내의 업링크 승인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430) 및 주파수 자원 필드(43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430)의 값에 따라, UE(104)는 주파수 자원 필드(432)를 이하의 단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이하게 해석한다. 따라서,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30)가, 할당된 서브캐리어 간격이 단지 단일 캐리어 동작에 대한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 UE(104)는 주파수 자원 필드(432)를 그 서브캐리어 간격의 수에 의해 식별되는 단일 서브캐리어의 할당으로서 해석한다. 대조적으로, 서브캐리어 간격(430)이 단일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대한 것이면, 주파수 자원 필드(432)는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의 표시를 제공한다.
제2 예(417)에서, UE는 PUSCH 상의 업링크에서 eNB(101)에 버퍼 상태 보고(440)를 전송한다. UE는, UE(104)의 버퍼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양(도 4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10을 참조)을 eNB에게 통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수 개의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413)에 설정된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제어기(413)는 업링크 자원을 UE(104)에 승인하여 UE의 버퍼로부터의 데이터를 업링크 상에서 전송할 것을 결정한다. 따라서, eNB(101)는, 이용될 서브캐리어 간격을 식별하는 필드(444) 및 UE가 업링크 상에서 이용해야 하는 주파수 자원(446)을 포함하는 DCI 메시지(442)를 전송한다.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44) 및 주파수 자원 필드(446)는, 제1 예(416)에서 전송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서의 서브캐리어 필드(430) 및 주파수 자원 필드(432)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3 예(418)로서, eNB(101)는 다운링크 상에서 UE(104)에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다.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UE(104)가 현재 유휴 모드에 있다면, 페이징 메시지(450)가 UE(104)에 전송되어, UE에게 활성 모드로 스위칭하고 UE(104)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자원의 할당을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할 것을 지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페이징 메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45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질적으로,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54) 및 주파수 자원 필드(454)는, 제1 및 제2 예들(417, 418)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30, 444) 및 주파수 자원 필드(432, 446)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예들은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30, 444)와 주파수 자원 필드(432, 446)가 업링크에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주파수 자원을 정의하기 위해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24) 및 주파수 자원 필드(426)가 다운링크 전송(434)에 이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주파수 자원을 정의하기 위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각자의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24, 430, 444, 454) 및 주파수 자원 필드(426, 432, 446, 456) 각각의 명세는 몇 가지 예와 함께 이하의 단락들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예들은 어떻게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430, 444)와 주파수 자원 필드가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간격 필드는, 업링크 전송이 3.75 kHz 또는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DCI에서 단일 비트일 수 있다.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PDCCH 또는 NB-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는 UE에 의해 블라인드 디코딩될 필요가 있다. 전형적으로 블라인드 디코드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통 DCI 포멧 또는 DCI 크기가 이용된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의 경우, 3.75 kHz 단일 톤 전송 및 15 kHz 단일 또는 다중 톤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공통 DCI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서, DCI에 제공된 표시가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이용되어야 한다고 나타낼 때, 업링크 승인 내의 주파수 자원 필드가 48개의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한편, 제어 메시지가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낸다면, 할당에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의 수는, 단일 톤 또는 다중 톤 할당일 수 있는 12이고, 주파수 자원 필드는, 예를 들어 1, 2, 4, 8 또는 12 서브캐리어의 할당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주파수 자원 필드(432, 446)의 해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하다.
도 5는 3.75 kHz 및 15 kHz의 2개의 미리 결정된 서브캐리어 간격의 예에 대한 개략도를 제공한다. 우측의 라인(500)은 15kHz 간격에 대한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반면, 도면의 좌측 상의 라인(502)은 3.75kHz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낸다. 한 예에서, 단일 비트는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0"값은 3.75 kHz 간격을 나타내고 "1" 값은 15 kHz 간격을 나타낸다.
DCI 메시지 내의 "단일 톤/서브캐리어 간격 비트" 표시자 등의, UE가 eNB로부터의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플로차트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해 표시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S1: UE(104) 내의 제어기(403)의 제어하에서 수신기(402)는 먼저, 예를 들어, 협대역 PDCCH로부터 3.75 kHz 또는 15 kHz로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단일 비트를 추출한다.
결정 포인트 S2에서, 제어기는 서브캐리어 간격 비트 또는 단일 톤 비트가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 비트가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S4: 3.75 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단일 비트가 설정되면, 다음 주파수 자원 필드(432, 446)는,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한 수치 규칙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 내의 특정한 위치에 있는 단일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S6: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비트가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도록 설정된다면, 주파수 자원 필드(432, 446)는 단일 또는 다중 캐리어 할당을 나타내는 수치 규칙에 따라 해석된다.
S8: 그 다음, UE는 주파수 자원 필드에 의해 할당된 구성에 따라 할당된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다른 스케줄링 정보는 변조 코딩 방식 또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등의 다른 통신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필드"(432, 446)의 의미를 식별하는 미리 결정된 구성에 따라 eNB(101)가 어떻게 UE(104)와 통신할 수 있는지의 한 예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주파수 자원 필드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3.75 kHz 또는 15 kHz인지를 나타내는 "서브캐리어 간격 비트"(도 6의 단계 S1의 "단일 톤 비트"와 동등함)에 따라 상이한 해석을 갖는다.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의 값에 따라:
● 서브캐리어 간격이 3.75 kHz로서 표시된다면, "주파수 자원 필드"는 업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단일 톤을 직접 나타낸다.
●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로서 표시된다면, "주파수 자원 필드"는, 15kHz 수비학적 전송(numerology transmission): 단일 톤 전송 또는 다중 톤 전송 중 하나에 이용될 시작 서브캐리어와 연속 서브캐리어 수를 나타낸다. 멀티 톤 전송의 시작 서브캐리어 위치는 3.75kHz 단일 톤 전송에 이용되는 톤의 수의 배수이다.
Figure pct00001
이 표의 또 다른 예가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표 2의 "보류됨" 필드는 주파수 자원 표시 이외의 목적으로 시그널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필드는 "PDCCH 순서"를 시그널링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PDCCH 순서는 eNB가 하위 계층 시그널링, 즉 MAC 계층 아래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UE에게 직접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PDCCH 메시지의 오류 검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한다. 이것은, UE가 복수의 보류된 값들 중 하나를 수신하면, UE는 PDCCH의 내용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이 예에서, 주파수 자원 필드는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 비트" 표시에 따라 상이한 해석을 갖는다:
● 3.75kHz의 경우 "주파수 자원 필드"는 업링크 전송에 이용되는 단일 톤을 직접 나타낸다. 이 표에서 가능한 단일 톤 전송들의 서브셋만이 허용된다. 이 예는 3.75kHz에서 매 두 번째 단일 톤 전송이 허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단일 톤 전송들의 수에 대한 이러한 제한은 동시에 할당될 수 있는 UE들의 수를 제한할 수 있지만, 이것은 시스템이 업링크 용량 제한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중요한 관심사는 아니다. 3.75kHz 단일 톤 전송이 시스템 대역폭 전반에 걸쳐 시그널링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스케줄러 유연성이 유지된다.
● 15kHz의 경우, "주파수 자원 필드"는, 15kHz 수비학적 전송: 단일 톤 전송 또는 다중 톤 전송 중 하나에 이용될 시작 서브캐리어와 연속 서브캐리어 수를 나타낸다. 멀티 톤 전송의 시작 서브캐리어 위치는 3.75kHz 단일 톤 전송에 이용되는 톤 수의 배수이다.
Figure pct00002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PDCCH에서 명시적인 "서브캐리어 간격 비트" 표시는 없지만, "업링크 전송 구성" 즉 단일 톤의 이용 및 단일 톤 또는 다중 톤의 구성이 표로부터 직접 결정된다. 이 시그널링의 한 예가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표에는, 3.75kHz 단일 톤 전송에 대한 제한된 수의 가능한 구성들이 있다. 이 경우, 3.75kHz 단일 톤 전송은 주파수 자원 공간의 하위 부분에서 한 그룹의 연속 서브캐리어들을 점유한다. 제한된 수의 3.75kHz 단일 톤 전송은, 예를 들어, 셀 내의 디바이스들 중 소정 비율, 예를 들어, 5%만이 극한의 커버리지 조건을 경험하여, 그 제한된 수만이 3.75kHz 단일 톤 전송이 필요하고 다른 디바이스들은 15kHz 단일 또는 다중 톤 전송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에 충분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시스템 대역폭 180kHz가 12개의 15kHz 서브캐리어를 지원하고 다중 톤의 수가 {1,2,4,8,12} 연속 멀티 톤으로 제한될 때 시작 톤 위치에 제한이 있음을 주목함으로써 15kHz 단일 톤 및 다중 톤 전송의 모든 가능한 구성들이 컴팩트하게 시그널링될 수 있다. n mt 개의 연속 다중 톤 및 12개의 서브캐리어 시스템 대역폭의 경우, 시작 15kHz 서브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범위로 제한된다:
Figure pct00004
이러한 관찰에 기초하여, 15kHz 단일 톤 및 다중 톤에 대한 가능한 구성들은 하기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해하겠지만, 이 표로부터의 15kHz 단일-톤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제시된 표에서 식별된 다른 시그널링 방법들과 결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채널 메시지 내의 한 필드는, UE가 3.75kHz 서브캐리어-기반의 업링크 전송 또는 15kHz 서브캐리어-기반의 업링크 전송을 할당 받았는지를 나타내고 "주파수 및 반복 자원 필드"는 전송에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위치 및 반복 횟수를 나타낸다. 이 할당 방법은, 시스템이 동등한 커버리지를 갖는 15kHz 및 3.75kHz 전송을 시그널링하는 것을 허용하며, 15kHz 서브캐리어 신호의 반복은 3.75kHz 전송의 경우와 필적할 때까지 그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PDCCH 내의 다른 필드들은 UE로부터의 업링크 전송을 추가로 구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주파수 및 반복" 자원 필드는, 서브캐리어 및 제1 반복 인자 REP1을 나타낼 수 있고, PDCCH의 다른 필드들 중 하나 이상은 또 다른 반복 인자 REP2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UE에 의해 적용되는 전체 반복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6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정도의 커버리지에서, 15kHz 서브캐리어 신호의 더 낮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로 인해 단일의 3.75kHz 서브캐리어보다 단일의 15kHz 서브캐리어에서 더 많은 반복이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하의 표 5는,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가 3.75kHz를 나타내는 경우와 이 표시가 15kHz를 나타내는 경우, 인덱스와 "주파수 및 반복 자원 필드"의 내용들 사이의 예시적인 맵핑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7
다른 예들에서, "서브캐리어 간격" 비트의 의미와 이용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SIB) 시그널링을 통해 e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는, "서브캐리어 간격" 비트가 표 1의 형태의 표 또는 표 5의 형태의 표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고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파수 자원 필드와 유사하게, 변조 코딩 방식 MCS 또는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TBS도 역시 3.75 kHz 또는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이용되는지에 따라 상이하게 해석될 것이다. 3.75 kHz가 서브캐리어 간격 표시자 비트에 의해 표시된다면, 변조 코딩 방식 MCS 또는 TBS 인덱스는 상이한 세트의 값들을 참조할 것이다, 예를 들어, 15 kHz가 표시되었을 때와는 상이한 명세 내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할 것이다. 이 실시예는, 15kHz 수비학에 비해 3.75kHz 수비학을 이용하여 서브캐리어당 더 적은 수의 트랜스포트 비트가 전송될 수 있다는 관찰에 기초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어떠한 명시적인 비트도 이용되지 않고, 대신에 이용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MCS/TBS 필드에 의해 묵시적으로 표시된다. MCS/TBS 필드는 전형적으로 MCS/TBS 테이블의 인덱스를 가리키며 이 표는 단일 톤 3.75 kHz 전송에만 특유한 엔트리들과 단일 및 다중 톤 15kHz 전송에만 특유한 엔트리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MCS/TBS 표의 가장 낮은 X개의 엔트리들은 3.75 kHz 전송에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들 엔트리들 중 하나가 표시된다면, 이것은 3.75 kHz 단일 톤 전송이 이용되고 주파수 자원은 이전 실시예들처럼 48개의 서브캐리어들에 대해 해석된다는 것을 묵시적으로 나타낸다. 가장 낮은 X개의 엔트리들 중 하나 이외의 엔트리가 이용된다면, 이 시그널링은 단일 톤 또는 다중 톤일 수 있는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묵시적으로 나타낸다.
업링크 전송이 3.75kHz 서브캐리어 또는 15kHz 서브캐리어에 기초하는지를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다운링크 채널 품질의 UE 측정치에 기초한다. UE는, 예를 들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다운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다운링크 채널 품질에 따라, UE는 어떤 PRACH 자원 세트를 이용할지를 선택하고, 여기서, 상이한 PRACH 자원들은 상이한 커버리지 레벨들과 연관된다. 각각의 세트의 PRACH 자원들은, 제1 업링크 메시지 msg3에 대한 단일 톤 또는 다중 톤 전송 중 어느 하나, 및 3.75kHz 서브캐리어 대역폭 또는 15kHz 서브캐리어 대역폭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된다. 이 방법에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단일 톤"비트를 NB-PDCCH에서 나타낼 필요는 없다. UE는, NB-PDCCH가 3.75kHz 업링크 전송 또는 15kHz 업링크 전송을 할당할 것인지에 따라 NB-PDCCH를 해석하도록 NB-PDCCH 디코딩 로직을 재구성할 것이다, 예를 들어, UE는, 이용되는 PRACH 자원 세트에 따라 NB-PDCCH의 "주파수 자원 필드"를 해석한다. 실제로, 이 경우, NB-PDCCH의 포멧, 예를 들어 NB-PDCCH에 의해 운반되는 비트들의 수는 3.75kHz 업링크 전송이 할당되는지 또는 15kHz 전송이 할당되는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것은, 이 경우에, UE는 디코딩할 (NB-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의 포멧이 무엇인지를 선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상이한 잠재적 DCI 포멧들 사이에서 블라인드 디코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단일 또는 다중 톤이 이용가능한 상이한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들을 효율적으로 시그널링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7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은 단일 톤 전송에만 이용되고 15 kHz 서브캐리어 간격은 단일 톤 및 다중 톤 전송에 이용된다. 이 시그널링이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eNB 스케줄링 유연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동적 TTI 시그널링
종래의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블록(TB)이라고 알려지고 전송 시간 구간(TTI) 내에서 전송되는 블록들로 데이터를 분할함으로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양쪽 모두에서 전송된다. LTE의 TTI는 1ms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트랜스포트 블록의 크기는, 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TBS)가 전송될 필요가 있다면, 시간 자원이 (1 ms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물리적 자원 블록(PRB) 형태로 된, 더 많은 주파수 자원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트랜스포트 블록이 다운링크에 의해 UE에 전송되는 종래의 구성의 예시를 제공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도면에 대응하고, 유사한 피쳐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며 도 2에 대한 차이점만이 설명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서브캐리어 물리적 자원 블록(PRB)(208) 내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하기 위한 할당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자원 블록(701)은 서브프레임의 12개의 서브캐리어들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한다. 따라서, 전송 시간 구간(TTI)(702)은 서브프레임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1 밀리초이다.
NB-IoT에서 그 적용을 찾아볼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협대역 캐리어에 이용가능한 주파수 자원은 하나의 PRB로 제한된다. 또한, UE들에 대한 주파수 자원 할당은 PRB의 12개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자원 할당이 전체 PRB보다 작은 경우, UE에 할당된 이용가능한 12개의 서브캐리어의 수에 따라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TBS)가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보다 작은 PRB를 이용하는 전송의 경우, 자원 요소(RE)의 수는 원하는 TBS를 운반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을 복수의 더 작은 트랜스포트 블록들로 분할하여 다중 서브프레임 전송에서 운반되게 할 수 있지만, 각각의 전송은 오버헤드를 초래하므로 이러한 분할은 각각의 트랜스포트 블록의 전송과 연관된 오버헤드 시그널링으로 인해 더 낮은 효율성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3GPP에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크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다중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LTE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종래의 트랜스포트 블록은 n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고, 여기서 n은 UE가 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PRB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이다. 따라서, 서브프레임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기본 자원 유닛(BRU; Basic Resource Unit)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트 블록은 복수의 BRU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 BRU는 기본 주파수 자원(BFR)과 기본 시간 자원(BTR)으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BTU는 동일하게 유지되고 TTI는 예를 들어 BTR의 배수가 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UE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TTI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3, 6 및 12개의 캐리어 사이에서 TTI의 길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4개의 예가 제공된다.
도 9는 상이한 수의 서브캐리어들이 TTI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및 도 2에 도시된 무선 프레임(200)에 대응하는 무선 프레임(200)이 도시되어 있다.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예에 따르면, 12개의 서브캐리어 또는 물리적 자원 블록을 할당하는 것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의 데이터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트랜스포트 블록(901)은 12개의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TTI1의 지속기간을 갖는 것으로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UE에 할당된 서브캐리어의 수가 6개라면, 비례적으로 TTI의 길이는, 변조와 코딩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12개의 서브캐리어가 할당되는 예에서의 길이의 2배로 증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블록(902)은 증가된 더 긴 TTI2를 이용하여 2개의 BTR(910, 912)을 통해 전송된다. 대응적으로, UE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의 수가 제3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이면, 트랜스포트 블록(920)은, 4개의 BTR(930, 932, 934, 936)과 동등한, TTI3 등의 훨씬 더 긴 TTI 길이를 통해 전송될 것이다.
상기 예들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 주파수 자원(BFR)은 단일 서브캐리어이다. 따라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다중 서브캐리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BTR을 해석하는 2가지 방식이 있다:
● (서브프레임 수의 단위로 된) 기본 시간 자원은 이용된 서브캐리어 수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BTR = 12 /(서브캐리어의 수)이므로, 1개의 서브캐리어가 이용된다면, BTR = 12 서브프레임이고, 12개의 서브캐리어(즉, 전체 PRB)가 이용된다면, BTR = 1 서브프레임이다.
● BTR은 이용된 서브프레임 수에 관계없이 특정한 값으로 고정된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복수의 BRU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BRU는 시간 및 주파수에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TTI가 가변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이용된 TTI 또는 특정한 트랜스포트 블록 전송에 이용되는 BTR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TTI 또는 BTR이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DCI(승인)에서 표시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용된 주파수 자원뿐만 아니라 TTI 또는 BTR의 시그널링은, 승인된 업링크 자원 및 승인된 다운링크 자원 양쪽 모두에 대해 DCI를 이용하여 시그널링된다. 용어 TTI 및 이용된 BTR의 수란, 동일한 원리, 즉,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수(또는 시간 자원)를 지칭한다. 이하의 단락에서 용어 TTI는 LTE에서 사용되는 기존 용어이므로 사용된다. 전술된 논의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TTI는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UE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의 함수로서 동적으로 변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부분 개략적인 블록도 부분 메시지 흐름도는 본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UE 및 eNB에 대응하는 UE(104) 및 eNB(101)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0에서 UE(104)는 데이터 버퍼(1001)를 포함한다. 종래의 구성 및 도 4에 도시된 제2 예(4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104)는 통상적으로 버퍼 상태 보고(1002)를 eNB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시점에서, eNB(101)는 데이터 버퍼(1001) 내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상에서 UE의 자원을 할당하는 DCI 메시지(1004)를 전송한다. 그러나, 본 기술에 따르면, DCI 메시지(1004)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필드(1006)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필드(1006) 내의 정보는 UE(104)에게 UE(104)가 이용해야 하는 TTI 크기의 표시를 제공한다. 이 표시는 새로운 필드이거나, TTI가 유추될 수 있는, UE가 이용해야 하는 전송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DCI는 또한, UE가 이용해야 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식별하기 위해 전술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1008)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TI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전송 양쪽 모두를 커버하기 위해 다운링크 승인에서 표시될 수 있다. 다운링크 승인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표시할 필요는 없다. 도 10은 업링크 승인에 유효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버퍼(1001) 내의 데이터는 소정 크기를 갖는 트랜스포트 블록에 의해 운반되고, 예를 들어 3개의 서브캐리어 상에서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TTI3이 이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
제2 예에서, DCI 메시지(1020)는 대응적으로 서브캐리어 간격을 식별하는 필드(1022)를 포함하고, 필드(1024)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전술된 예의 경우,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필드(1024)는 UE에 의해 이용되어야 하는 TTI를 묵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2 예(1030)에서, TTI는, 이용가능한 물리적 자원 블록의 12개의 서브캐리어가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eNB에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었기 때문에, 길이가 TTI1이다. 따라서, 도 10의 제2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서브캐리어의 수가 TTI1의 지속기간보다 짧게 되도록 이용가능한 최대 개수와 동일할 때, 트랜스포트 블록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맵핑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TTI의 길이를 나타내는 새로운 필드가 DCI에 도입된다. 가능한 TTI 길이는 서브프레임의 수에 관점에서 절대 TTI 길이로부터 미리정의될 수 있거나, 허용된 TTI 길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가 이 새로운 필드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TTI 길이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으로부터 묵시적으로 결정된다. 소정 수의 서브캐리어들 및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에 대해, 낮은 코딩 레이트를 갖는 MCS는 더 많은 자원을 요구하며, 이 경우에는 더 많은 시간 자원 및 그에 따라 더 긴 TTI를 요구할 것이다. 유사하게, 높은 코딩 레이트를 갖는 MCS는 더 적은 자원 및 그에 따라 더 짧은 TTI를 요구할 것이다. BTR 관점에서, 낮은 코드 레이트에 대해 더 많은 BTR이 이용되며 높은 코드 레이트에 대해서는 그 반대이다. 실제 TTI 길이와 MCS 사이의 관계는 미리명시되어, 룩업 테이블, 수식 형태로 UE 및 eNB 양쪽 모두에게 알려지거나,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TTI 길이는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TBS)로부터 묵시적으로 결정된다. 더 큰 TBS는 더 많은 자원을 요구할 것이고, 따라서 소정 수의 서브캐리어들에 대해, 더 긴 TTI를 가질 것이다. 유사하게, 더 작은 TBS는 더 적은 자원을 요구할 것이고, 소정 수의 서브캐리어들에 대해 더 짧은 TTI를 가질 것이다. TTI 길이와 TBS 사이의 관계는 미리명시될 수 있고 따라서 UE와 eNB에게 미리 알려질 수 있으며, 룩업 테이블 또는 공식의 형태로 표현되거나 상위 계층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TTI 길이는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에 의해 묵시적으로 결정된다.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가 적을수록,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 부족을 벌충하기 위해 TTI가 길어진다. 유사하게, 이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가 많을수록, 주파수 영역에서 더 많은 자원이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TTI가 더 짧아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균등한 PRB"의 수, PE_PRB가 DCI에서 표시된다. 현재의 LTE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PRB의 수가 시그널링되고 MCS 인덱스와 함께, TBS는 TS36.213 [4]에 개시된 바와 같은 룩업 테이블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NB-IoT에서는 단 하나의 PRB만이 이용되므로 "균등한 PRB"는 PRB의 일부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새로운 표시이다. PRB 내의 서브캐리어의 수는 알려져 있기 때문에(즉, 12 × 15 kHz 서브캐리어 또는 48 × 3.75 kHz 서브캐리어), 서브프레임 수의 관점에서의 TTI는 이용된 PE_PRB로부터 직접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15 kHz 서브캐리어 대역폭의 경우 :
Figure pct00008
여기서 NSubcarrier는 이용된 (15kHz) 서브캐리어의 수이다. 예를 들어, DCI는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BS를 주는 MCS 인덱스와 PE_PRB를 표시한다. MCS 인덱스가 7이고 PE_PRB = 4인 경우, TBS는 472 비트이다. NSubcarrier가 또한 DCI에서 시그널링되고 6개의 서브캐리어로 설정된다고 가정하면, 이 트랜스포트 블록을 운반하는데 요구되는 TTI 길이(1ms 서브프레임의 수)는 8개의 서브프레임이다. PE_PRB는 정수일 필요는 없다, 즉, 어떤 새로운 TBS 엔트리가 PRB의 일부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PE_PRB에 대해, 예를 들어 요구되는 전체 자원 등의, 다른 적합한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또 다른 실시예에서, TTI 길이는, 위에서 정의된 상이한 변수들의 조합에 의해 묵시적으로 결정된다. 즉, TTI 길이는, MCS, TBS 및 NSubcarrier에 의해 결정된다. 즉, 균등한 PRB, PE_PRB가 DCI에서 표시되지 않으면, 이것은 표 6의 것과 유사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MCS 및 TBS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TBS가 DCI에서 시그널링된다고 가정). 일단 PE_PRB가 도출되고 나면, TTI 길이는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특정한 수의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TTI 또는 BTR은 더 많은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정수배를 할당된 서브캐리어 수로 나눈 값이다. 도 8에는 4개의 가능한 NSubcarrier = {1, 2, 6, 12} 전송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더 작은 NSubcarrier의 TTI(또는 BTR)는 더 큰 NSubcarrier의 TTI의 정수배이다. 여기서, NSubcarrier = 1일 때, TTI = 12개의 서브프레임이고, NSubcarrier = 2일 때, TTI = 6이며, 여기서 12는 6의 정수배이다. 이것은 상이한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하는 UE들이 시간적으로 용이하게 정렬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NB-IoT UE들에 통신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의 동작을 단순화한다.
부록 1:
도 2에 제시된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의 단순화된 구조는 또한,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어 영역(205),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영역(206),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영역들에 산재되는 기준 신호(207)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각각의 서브프레임(201)의 예시를 포함한다. 제어 영역(204)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물리적 제어 포멧 표시자 채널 PCFICH, 및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 PHICH 등의,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다수의 물리적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수의 물리적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물리적 채널은, 자원 할당 및 본 개시내용의 관점에서 광범위한 기능을 LTE 시스템에 제공하지만, PDCCH 및 PDSCH가 가장 적합하다. LTE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들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1]에서 찾아볼 수 있다.
PDSCH 내의 자원들은, eNodeB에 의해, 그 eNodeB가 서빙하고 있는 UE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이전에 요청했던 데이터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등의 eNodeB에 의해 UE에 푸시되고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PDSCH의 다수의 자원 블록이 UE에 할당될 수 있다. 도 2에서, UE1은 데이터 영역(206)의 자원(208)을, UE2는 자원(209)을, 및 UE는 자원(210)을 할당받았다. LTE 시스템 내의 UE들은 PDSCH의 가용 자원의 일부를 할당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UE들은, PDSCH 내의 적절한 데이터만이 검출되고 추정되도록 PDCSH 내의 그들의 할당받은 자원들의 위치를 통보받을 것이 요구된다. UE들에게 그들의 할당된 통신 자원의 위치를 통보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자원 할당을 명시하는 자원 제어 정보가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라는 형태로 운반되고, 여기서, PDSCH에 대한 자원 할당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선행하는 PDCCH 인스턴스에서 전달된다. 자원 할당 절차 동안, UE들은 그에 따라 자신에게 어드레싱된 DCI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하고, 일단 이러한 DCI가 검출되고 나면, DCI를 수신하고 PDSCH의 관련 부분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 및 추정한다.
각각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상이한 채널들,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305),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306),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는,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eNodeB로의 ACK/NACK, 업링크 자원을 스케줄링받고자 하는 UE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표시자 SRI, 및 다운링크 채널 상태 정보 CSI의 피드백 등의 제어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PUSCH는 UE 업링크 데이터 또는 일부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PUSCH의 자원은 PDCCH를 통해 승인되고, 이러한 승인은 전형적으로 UE의 버퍼에서 전송될 준비가 된 데이터의 양을 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트리거된다. PRACH는, 시스템 정보 블록 등의 다운링크 시그널링에서 UE에 시그널링될 수 있는 복수의 PRACH 패턴 중 하나에 따라 업링크 프레임의 임의의 자원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채널 뿐만 아니라,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또한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 기준 신호(DMRS)(307) 및 사운딩 기준 신호(SRS)(308)는, PUSCH가 전송되고 PUCCH 및 PUSCH 데이터의 디코딩에 이용되는 슬롯의 4번째 심볼을 DMRS가 점유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SRS는 eNodeB에서의 업링크 채널 추정에 이용된다. LTE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들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1]에서 찾아볼 수 있다.
PDSCH의 자원과 유사한 방식으로, PUSCH의 자원은 서빙 eNodeB에 의해 스케줄링되거나 승인되어야 하므로, UE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PUSCH의 자원은 UE에 승인될 필요가 있다. UE에서, PUSCH 자원 할당은 그 서빙 eNodeB로의 스케줄링 요청 또는 버퍼 상태 보고의 전송에 의해 달성된다. 스케줄링 요청은, UE에 대한 기존의 PUSCH 할당이 존재하지 않을 때 PUCCH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UCI)의 전송을 통해, 또는 UE에 대한 기존의 PUSCH 할당이 존재할 때 PUSCH 상에서 직접 전송에 의해, UE가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기에 불충분한 업링크 자원이 존재할 때 이루어진다. 스케줄링 요청에 응답하여, eNodeB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PUSCH 자원의 일부를 요청 UE에 할당한 다음, PDCCH 내의 DCI를 통해 버퍼 상태 보고 자원 할당을 UE에게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또는 UE가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PUSCH 자원을 갖는다면, 버퍼 상태 보고는 eNodeB에 전송되고 업링크 버퍼 또는 UE의 버퍼들 내의 데이터의 양에 관한 정보를 eNodeB에게 제공한다. 버퍼 상태 보고를 수신한 후, eNodeB는, 버퍼링된 업링크 데이터의 일부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UE에 PUSCH 자원의 일부를 할당한 다음, PDCCH 내의 DCI를 통해 자원 할당을 UE에게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eNodeB와의 접속을 갖고 있다고 가정하면, UE는 먼저 UCI의 형태로 PUCCH에서 PUSCH 자원 요청을 전송할 것이다. 그 다음, UE는, 적절한 DCI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하고, PUSCH 자원 할당의 상세사항을 추출하고, 할당된 자원들에서, 먼저 버퍼 상태 보고를 포함하고, 및/또는 나중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구조가 유사하지만,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는 상이한 제어 구조를 가지며, 특히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상위(309) 및 하위(310) 서브캐리어/주파수/자원 블록들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초기 심볼들이 아니라 제어 시그널링을 위해 예약된다.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자원 할당 절차가 비교적 유사하더라도, 할당될 수 있는 자원의 실제 구조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각각 이용되는 OFDM 및 SC-FDM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특성들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 OFDM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개별적으로 변조되므로 주파수/서브캐리어 할당이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SC-FDM 서브캐리어들은 조합으로 변조되므로 이용가능한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이루어진다면 각각의 UE에 대한 연속적 주파수 할당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무선 인터페이스 구조의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UE가 조율 eNodeB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전에 릴리스된 LTE 표준에 기초한 것들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상업적으로 성공적이었지만, 이러한 중앙집중형 시스템에는 다수의 단점이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매우 근접해 있는 2개의 UE가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면, 데이터를 운반하기에 충분한 업링크와 다운링크 자원들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단일 부분의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2개의 부분의 시스템의 자원들이 이용되고 있다. 두 번째 단점은, 근접해 있더라도 UE들이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면 eNodeB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들 제약은 시스템이 높은 부하를 겪고 있을 때 또는 eNodeB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원격지에서 또는 eNodeB가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들 제한들을 극복하는 것은 LTE 네트워크의 용량과 효율성을 둘다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TE 네트워크 운영자들에게 새로운 수익 기회를 창출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1]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Harris Holma and Antti Toskala, Wiley 2009, ISBN 978-0-470-99401-6.
[2] RP-151621, "New Work Item: NarrowBand IOT NB-IOT," Qualcomm, RAN#69
[3] R1-157783, "Way Forward on NB-IoT," CMCC, Vodafone, Ericsson, Huawei, HiSilicon, Deutsche Telekom, Mediatek, Qualcomm, Nokia Networks, Samsung, Intel, Neul, CATR, AT&T, NTT DOCOMO, ZTE, Telecom Italia, IITH, CEWiT, Reliance-Jio, CATT, u-blox, China Unicom, LG Electronics, Panasonic, Alcatel-Lucent,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hina Telecom, RAN1#83
[4] 3GPP TS36.213
이하의 넘버링된 조항들은 본 기술의 실시예들의 추가의 예시적인 양태들 및 피쳐들을 제공한다:
조항 1.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2.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 중의 어떤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 또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어떤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의 표시를,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3. 조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 및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서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의 표시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가 단일 서브캐리어로서만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 단일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로서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를 상이하게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4. 조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미리 결정되며 테이블로서 표현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5. 조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해석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6. 조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변조 방식, 이용될 코딩 방식 및 이용될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게 이용할 변조 방식, 코딩 방식 및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7. 조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변조 방식, 상기 코딩 방식 및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의 상이한 해석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8. 조항 1 내지 조항 7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의 보고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는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선택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9. 조항 3 내지 조항 8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0.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kHz 및 15kHz의 2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3.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15kHz 서브캐리어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1.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 및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결정된 세트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상기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전송기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기 중 하나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2. 조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미리 결정된 세트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3. 조항 11 또는 조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업링크 또는 상기 다운링크의 통신 자원을 할당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기 업링크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필드를 상이하게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4. 조항 11 내지 조항 13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5. 조항 11 내지 조항 14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kHz 및 15kHz의 2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3.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15kHz 서브캐리어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16.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음―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
조항 17.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음―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결정된 세트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상기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18.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19. 조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와 함께,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 중 어떤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 또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어떤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의 표시를,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0. 조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 및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서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의 표시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가 단일 서브캐리어로서만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 또는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로서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상이하게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1. 조항 20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미리 결정되며 테이블로서 표현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2. 조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의 해석을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3. 조항 18 내지 조항 22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변조 방식, 이용될 코딩 방식 및 이용될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게 이용할 변조 방식, 코딩 방식 및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4. 조항 23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와 조합하여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변조 방식, 상기 코딩 방식 및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의 상이한 해석을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5. 조항 13 내지 조항 19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보고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의 표시를 제공함― 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6. 조항 18 내지 조항 25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자원 할당 메시지인,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7. 조항 18 내지 조항 26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kHz 및 15kHz의 2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3.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15kHz 서브캐리어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8.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요청하는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업링크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29.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방법.
조항 30.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요청하는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 및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업링크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31.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회로,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 회로는, 상기 전송기 회로 및 상기 수신기 회로와 조합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
조항 32.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용 회로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회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 회로는, 상기 전송기 회로 및 상기 수신기 회로와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용 회로.
조항 33. 조항 18 내지 조항 28 중 어느 한 조항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조항 34.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및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35. 조항 34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할당된 전송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 내의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36. 조항 26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이용될 변조 방식, 이용될 코딩 방식 및 이용될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기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에 따라, 상기 변조 방식, 상기 코딩 방식 및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37. 조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이용될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인덱스 및 균등한 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기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와 조합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상기 균등한 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38. 조항 35 내지 조항 37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와 상기 시간 유닛의 정수배를 상기 할당된 서브캐리어의 수로 나눈 값인, 통신 디바이스.
조항 39. 조항 35 내지 조항 38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로서 변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40. 조항 34 내지 조항 39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자원 할당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통신 디바이스.
조항 41.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
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방법.
조항 42. 조항 41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의 함수로서 변하는 전송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방법.
조항 43.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및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고,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조항 44.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및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방법.

Claims (44)

  1. 이동 통신 네트워크(mobile communications network)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infrastructure equipment)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requirement)을 식별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 중의 어떤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 또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어떤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의 표시를,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 및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서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의 표시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가 단일 서브캐리어로서만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 단일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로서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를 상이하게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미리 결정되며 테이블로서 표현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해석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변조 방식, 이용될 코딩 방식 및 이용될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게 이용할 변조 방식, 코딩 방식 및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변조 방식, 상기 코딩 방식 및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의 상이한 해석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의 보고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는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선택하는, 통신 디바이스.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통신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kHz 및 15kHz의 2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3.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15kHz 서브캐리어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11.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업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 및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결정된 세트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상기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전송기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기 중 하나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에 대한 요청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미리 결정된 세트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업링크 또는 상기 다운링크의 통신 자원을 할당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기 업링크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나타내는 필드를 상이하게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kHz 및 15kHz의 2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3.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15kHz 서브캐리어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통신 디바이스.
  16.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음―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
  17.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음―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결정된 세트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상기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와 함께,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 중 어떤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 또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의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어떤 복수의 이용가능한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야 하는지의 표시를,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 및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에서 이용할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의 표시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 필드가 단일 서브캐리어로서만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 또는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로서 이용될 수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상이하게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미리 결정되며 테이블로서 표현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와 함께, 상기 서브캐리어의 함수로서 상기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나타내는 상기 필드의 해석을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변조 방식, 이용될 코딩 방식 및 이용될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이하게 이용할 변조 방식, 코딩 방식 및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와 조합하여 상기 제어기는,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변조 방식, 상기 코딩 방식 및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의 상이한 해석을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정보의 일부로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보고 ―상기 측정 보고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의 표시를 제공함― 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선택
    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자원 할당 메시지인,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kHz 및 15kHz의 2개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3.7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15kHz 서브캐리어의 표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상에서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해야 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8.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요청하는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선택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업링크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29.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방법.
  30.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요청하는 프리앰블을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 및
    상기 요청된 캐리어 간격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기 업링크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회로,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 회로는, 상기 전송기 회로 및 상기 수신기 회로와 조합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업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또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통신 디바이스용 회로.
  32.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용 회로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회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회로,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공되고, 상기 제어기 회로는, 상기 전송기 회로 및 상기 수신기 회로와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함―,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이용해야 할 상기 복수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 중 하나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된 서브캐리어 간격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단일 서브캐리어 또는 다중 서브캐리어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식별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용 회로.
  33. 제18항에 따른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34.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 및/또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및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통신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할당된 전송 시간 구간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 내의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이용될 변조 방식, 이용될 코딩 방식 및 이용될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기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에 따라, 상기 변조 방식, 상기 코딩 방식 및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 중 하나 이상의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이용될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인덱스 및 균등한 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기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와 조합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상기 균등한 수의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표시를 해석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할당될 수 있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와 상기 시간 유닛의 정수배를 상기 할당된 서브캐리어의 수로 나눈 값인, 통신 디바이스.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로서 변하는, 통신 디바이스.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메시지는 자원 할당 메시지 또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통신 디바이스.
  41.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에 또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서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가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할 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서브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
    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전송 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의 수의 함수로서 변하는 전송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방법.
  43.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전송하거나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및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송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결정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고,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
  44.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서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쳐 장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업링크 및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의 할당을 위한 통신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자원은 하나 이상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캐리어들의 주파수 자원,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미리 결정된 시간 유닛들로 분할되는 시간 자원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상에서 또는 상기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통신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의 수의 함수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전송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 및 상기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되거나 수신될 시간 유닛들의 수를 나타내는 전송 시간 구간의 표시를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시간 구간은 상기 시간 유닛들의 수에 따라 변하는, 방법.
KR1020187019396A 2016-01-11 2016-12-28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KR102702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50823 2016-01-11
EP16150823.9 2016-01-11
PCT/EP2016/082762 WO2017121620A1 (en) 2016-01-11 2016-12-28 Signaling subcarrier spacing i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879A true KR20180103879A (ko) 2018-09-19
KR102702045B1 KR102702045B1 (ko) 2024-09-04

Family

ID=5512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396A KR102702045B1 (ko) 2016-01-11 2016-12-28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9867191B2 (ko)
EP (3) EP3403358B1 (ko)
JP (1) JP6939796B2 (ko)
KR (1) KR102702045B1 (ko)
CN (1) CN108476117B (ko)
DE (1) DE112016000268B4 (ko)
WO (1) WO20171216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72A (ko) * 2017-06-23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변조 및 코딩 방식들 및 전송 블록 크기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77685B2 (en) 2017-06-23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odulation, coding schemes, and transport block siz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8466B2 (en) 2015-11-03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block segmentation and signaling
CN108604941A (zh) * 2015-11-24 2018-09-28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上报传输模式的方法以及用户设备
WO2017118199A1 (zh) * 2016-01-07 2017-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调度方法、基站及系统
US10098120B2 (en) * 2016-01-1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grants for narrowband internet-of-things
WO2017131459A1 (ko) * 2016-01-29 2017-08-03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커버리지 레벨과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및/또는 멀티-톤 설정을 고려한 랜덤 액세스 방법
US10506605B2 (en) 2016-01-29 2019-12-10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Random access method considering a coverage level,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and/or multi-tone configuration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CN107040338B (zh) * 2016-02-04 2020-11-06 株式会社Kt 用于配置用于NB-IoT UE发送上行信号的资源单元的方法和设备
JP6272371B2 (ja) * 2016-02-04 2018-01-3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046728B (zh) * 2016-02-06 2020-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非连续传输的方法
CN107197524B (zh) * 2016-03-15 2021-06-22 株式会社Kt 用于发送窄带物联网用户设备上行数据的方法及装置
CN110289941B (zh) * 2016-03-16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发送端设备及接收端设备
KR20190003666A (ko) * 2016-05-13 2019-01-09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적응형 전송 시간 간격 길이
PT3446433T (pt) * 2016-05-19 2020-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e aparelho para transmissão e receção n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s suportando uma estrutura de trama escalável
KR102683634B1 (ko) 2016-08-22 2024-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630215B (zh) 2016-08-22 2024-04-16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无线蜂窝通信系统中用于提供初始接入过程的各种参数的方法和设备
CN107888351B (zh) * 2016-09-29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发送方法、参考信号处理方法及设备
CN109150483B (zh) * 2016-09-29 2020-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参数确定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985891B2 (en) * 2016-09-30 2021-04-2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20180132244A1 (en) * 2016-11-10 2018-05-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a common uplink portion in new radio
US10608785B2 (en) 2017-01-19 2020-03-31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based code block segmentation
US10368353B2 (en) 2017-01-27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US10893550B2 (en) * 2017-03-11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Numerology dependent random access timing
CN108633024B (zh) * 2017-03-23 2023-07-11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基站和相关方法
WO2019032676A1 (en) * 2017-08-10 2019-02-14 Intel IP Corporation NARROWBAND INTERNET CONTROL COMMAND CHANNEL COMMUNICATION WITHOUT LICENSE
CN109391578B (zh) * 2017-08-11 2022-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发送方法、信号接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09392143B (zh) * 2017-08-11 2021-04-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278227B2 (en) 2017-09-01 2019-04-30 Google Llc Downlink-only fifth generation new radio
US20190132831A1 (en) * 2017-10-30 2019-05-02 Google Llc Resource Element-Level Allo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9756991B (zh) * 2017-11-06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EP3917234B1 (en) * 2017-11-16 2023-05-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source alloc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9803376B (zh) * 2017-11-17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寻呼消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012112B2 (en) * 2018-02-09 2021-05-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US10959268B2 (en) * 2018-02-16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timeline and timing adjustment techniques
US11864130B1 (en) * 2018-02-27 2024-01-02 Nextnav France Method for internet-of-things communications using cellular wireless licensed bands
EP3777425B1 (en) 2018-04-06 2023-01-25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device
US11490363B2 (en) 2018-04-18 2022-11-01 Google Llc User device-initiated bandwidth request
US10609681B2 (en) * 2018-04-24 2020-03-31 Google Llc User device-initiated request for resource configuration
US11290999B2 (en) * 2018-09-06 2022-03-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flexible resource allocation
EP3925381A1 (en) * 2019-02-14 2021-12-22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CN113748733A (zh) * 2019-05-03 2021-12-03 索尼集团公司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和方法
US11627608B2 (en) * 2019-12-31 2023-04-11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system timing information in high band communications
JP7391238B2 (ja) * 2020-04-08 2023-12-0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物理共有チャネルのトランスポートブロックサイズ決定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927A (ko) * 2014-01-24 2016-09-27 소니 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KR20180044996A (ko) * 2015-09-18 2018-05-0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대기 시간 감소를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
KR20180107100A (ko) * 2015-12-31 2018-10-01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기준 신호의 동적 관리 방법
KR20180109998A (ko) * 2016-02-04 2018-10-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484A (en) * 1995-06-05 1998-04-28 Omnipoint Corporation Efficien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timing adjustment control
US9628231B2 (en) * 2002-05-14 2017-04-18 Genghiscomm Holdings, LLC Spreading and precoding in OFDM
US20080080434A1 (en) * 2006-09-28 2008-04-03 Guy Wolf Method and apparatus of system scheduler
EP2129018A4 (en) * 2006-12-28 2014-08-20 Sharp Kk Radio transmission device, control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80089728A (ko) 2007-04-02 200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부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부 반송파 간격 적용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
KR101384837B1 (ko) * 2007-08-22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분할듀플렉싱 기반의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2120349B1 (en) * 2008-05-16 2015-11-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a single radio aggregated spectrum receiver, computer program, receiver and terminal
EP2720399A1 (en) * 2008-08-25 2014-04-16 Aware, Inc. System and method of sub-carrier indexing for devices with different decoding capabilities
KR101480531B1 (ko) 2010-09-13 2015-0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부반송파 간격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9160511B2 (en) 2012-01-3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Cyclic prefix in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with high transmit power
CN103298136B (zh) * 2012-02-29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终端、基站及系统
EP2911321B1 (en) 2012-10-22 2020-09-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frame of user equipment, user equipment, method for configuring wireless frame of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US9655103B2 (en) * 2012-11-02 2017-05-16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P2946508A1 (en) 2013-01-21 2015-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using a dynamic transmission parameter
GB2512392A (en) * 2013-03-28 2014-10-01 Sony Corp Transmit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KR20150128613A (ko) * 2014-05-09 2015-11-18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프레임 전송 및 수신 방법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10038581B2 (en) * 2015-06-01 2018-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scheme of scalable OFDM numerology
WO2016208897A1 (ko) * 2015-06-22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nb-iot 기기
RU2694586C1 (ru) * 2015-08-25 2019-07-16 Идак Холдингз, Инк. Кадрирование, диспетчеризация и синхронизация в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17039372A1 (en) * 2015-09-02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sear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68658B2 (en) * 2015-09-24 2020-1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various IoT network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17199B2 (en) * 2015-09-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10193656B2 (en) * 2015-10-30 2019-01-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et for wireless transmissions
TWI803947B (zh) * 2015-11-04 2023-06-0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及由其實施的方法
CN108604941A (zh) * 2015-11-24 2018-09-28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上报传输模式的方法以及用户设备
US20170180095A1 (en) * 2015-12-22 2017-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narrow bandwidth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747864B (zh) * 2015-12-30 2021-12-01 美商Idac控股公司 與接收傳輸關聯的方法及裝置
CN106954262B (zh) * 2016-01-07 2022-11-29 夏普株式会社 上行传输资源分配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3400667B1 (en) * 2016-01-08 2020-06-24 Intel IP Corporation Down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devices
KR102149905B1 (ko) * 2016-01-08 2020-08-3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CN106961744A (zh) * 2016-01-11 2017-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JP2019054314A (ja) * 2016-02-02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WO2017160048A2 (en) * 2016-03-14 2017-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peration in cellular internet of things networks
JP6666468B2 (ja) * 2016-05-13 2020-03-1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複数ヌメロロジを有するマルチサブキャリアシステム
CN107846373B (zh) * 2016-09-20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或接收物理下行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US10368353B2 (en) * 2017-01-27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US10454657B2 (en) * 2017-02-28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US10985964B2 (en) * 2017-09-11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electing subcarrier spacing for signal det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927A (ko) * 2014-01-24 2016-09-27 소니 주식회사 통신 디바이스
KR20180044996A (ko) * 2015-09-18 2018-05-0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대기 시간 감소를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
KR20180107100A (ko) * 2015-12-31 2018-10-01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기준 신호의 동적 관리 방법
KR20180109998A (ko) * 2016-02-04 2018-10-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697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72A (ko) * 2017-06-23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변조 및 코딩 방식들 및 전송 블록 크기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77685B2 (en) 2017-06-23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odulation, coding schemes, and transport block si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4524A1 (en) 2019-04-04
EP3975462B1 (en) 2024-02-21
US9867191B2 (en) 2018-01-09
US20180103476A1 (en) 2018-04-12
US20170311326A1 (en) 2017-10-26
US10517095B2 (en) 2019-12-24
JP2019501603A (ja) 2019-01-17
US20220046645A1 (en) 2022-02-10
US20240015056A1 (en) 2024-01-11
US11272508B2 (en) 2022-03-08
CN108476117A (zh) 2018-08-31
EP3403358B1 (en) 2021-11-03
EP4184848A1 (en) 2023-05-24
DE112016000268T5 (de) 2017-10-12
CN108476117B (zh) 2021-11-05
KR102702045B1 (ko) 2024-09-04
US11770280B2 (en) 2023-09-26
WO2017121620A1 (en) 2017-07-20
EP3975462A1 (en) 2022-03-30
US10182443B2 (en) 2019-01-15
JP6939796B2 (ja) 2021-09-22
EP4184848B1 (en) 2024-07-31
EP3403358A1 (en) 2018-11-21
US20200128550A1 (en) 2020-04-23
DE112016000268B4 (de)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0280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s
US11805498B2 (en) Flexible multiplexing of users with difference requirements in a 5G frame structure
KR102469980B1 (ko) Nr 시스템을 위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832162B2 (en) Terminal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resource selection and updating of access class information
KR2020014521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417560B1 (en) Repetitive transmission for nb-iot
KR20220156501A (ko) Nr 시스템을 위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10194638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CN108604919B (zh) 终端装置、基础设施设备、方法和集成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