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927A -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1927A KR20160111927A KR1020167019595A KR20167019595A KR20160111927A KR 20160111927 A KR20160111927 A KR 20160111927A KR 1020167019595 A KR1020167019595 A KR 1020167019595A KR 20167019595 A KR20167019595 A KR 20167019595A KR 20160111927 A KR20160111927 A KR 20160111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device
- identifier
- indication
- access inte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4W76/02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04W72/040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 H04W76/02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된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식별자와 연관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정의된 UMTS 및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아키텍쳐에 기초한 것들과 같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이전 세대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단순한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보다 정교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에 의해, 사용자는 이전에는 고정된 라인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만 이용가능했던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상의 비디오 스트리밍 및 화상 회의 등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애플리케이션을 향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세대 네트워크의 배치 수요는 강하고 이들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즉,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가능한 지리적 위치들은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제4 세대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와 용량이 이전 세대의 통신 네트워크의 것들을 상당히 능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러한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될 수 있는 지리적 영역과 네트워크 용량에 여전히 제한이 있다. 이들 제한은,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네트워크가 높은 부하와 높은 데이터 레이트 통신을 겪고 있는 상황, 또는 통신 디바이스들간의 통신이 요구되지만 통신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을 수도 있을 때에 특히 관련될 수 있다. 이들 제한을 해결하기 위하여, LTE 릴리스 12에서, LTE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이 도입되었다. D2D 통신은 근접해 있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및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을 때 양쪽 모두에서, 서로 직접 통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D2D 통신 능력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지국 등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중계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근접해 있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 않더라도 서로 통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이 커버리지 영역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동작하는 능력은 D2D 능력을 포함하는 LTE 시스템이 예를 들어, 공공 안전 통신(public safety communication) 등의 응용에 매우 적합하게 한다. 공공 안전 통신은 디바이스들이 정체된 네트워크에서 및 커버리지 영역 밖에 있을 때 서로 계속 통신할 수 있는 높은 강건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제4 세대 네트워크는 전세계적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는 TETRA 등의 전용 시스템에 비해 공공 안전 통신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단일의 커버리지 영역 또는 네트워크 내의 종래의 LTE 통신 및 D2D 통신의 잠재적 공존은 LTE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과 자원 할당을 조율하는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의 LTE 통신 디바이스와 D2D 가능 LTE 통신 디바이스간의 잠재적 호환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된다.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식별자와 연관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은 3GPP LTE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종래에 사용자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는 강화된 노드 B(eNodeB) 등의 조율 엔티티를 통해 전달되지만, 사용자 데이터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직접 전달되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도 역시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시스템의 모든 통신 디바이스들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 결과적으로, D2D 통신은 비-D2D 통신 디바이스에게 실질적으로 투명하여, 시스템에서 역방향 호환성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식별자를 D2D 링크와 연관시킴으로써 링크와 연관된 셋업과 자원 할당은 LTE 시스템에서 종래의 자원 할당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식별자의 표시는 자원 요청 및 자원 할당에 포함된다. 이런 방식으로 D2D 자원 할당 절차가 비-D2D 가능 통신 디바이스와 간섭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식별자의 이용은 또한, 전송측 및 수신측 통신 디바이스들이 종래의 LTE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자원 할당을 통보받는 것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수신측 통신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수신할 특정한 자원 세트의 표시를 제공받기 때문에 D2D 전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자원의 블라인드 검색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없다. 블라인드 검색을 피함으로써 수신측 통신 디바이스에서 에너지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D2D 통신 링크 확립과 자원 요청이 종래의 LTE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D2D 링크로의 자원 할당을 위해 조율 엔티티와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기존의 자원 할당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기는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2D 링크 요청의 전송은 통신 디바이스가 D2D 링크의 확립을 개시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통신 디바이스는 D2D 링크를 형성할 필요성을 자율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과 요청 메시지의 조율 엔티티에서의 수신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가 먼저 LTE 시스템의 조율 엔티티와 링크를 확립할 것을 원할 때 발생하는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식별자 연관 기술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조율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어서 LTE 시스템에서 D2D 통신의 조율을 간소화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한다.
자원 요청 내의 식별자의 표시의 포함은, 자원 요청 절차가, LTE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종래의 자원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때 발생하는 절차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LTE 자원 할당에서 이용되는 것에 대응하는 절차가 D2D 링크로의 자원의 할당을 위해 거의 수정없이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식별자의 표시의 포함은 또한, 자원 요청 메시지가 D2D 링크에 대응한다는 것을 조율 엔티티가 신속하게 및 효율적으로 식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식별자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다.
일방향 D2D 링크에 대한 식별자의 연관은, 단 하나의 전송측 디바이스만이 링크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자원 요청 메시지에서 수신측 및 전송측 통신 디바이스들이 명시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은 자원 요청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자원 할당을 수신하는 디바이스가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또는 수신할 것인지를 확립할 필요성을 회피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가진다.
이러한 식별자 포맷의 이용은 D2D 링크가 마치 시스템에서 종래의 통신 디바이스인 것처럼 취급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D2D 자원 할당과 전송 절차를 D2D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레거시 통신 디바이스에게 투명하게 한다. 이러한 식별자의 이용은 또한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조율 엔티티가 D2D 링크에 대해 기존의 자원 할당 절차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므로 D2D 링크의 제어를 간소화한다. 결국 이것은, D2D 가능 디바이스와 레거시 디바이스 사이에서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의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는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조율 엔티티로부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중 각자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복수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1-대-다 D2D 링크의 이용은 제1 통신 디바이스가 각각의 디바이스와 별개의 D2D 링크를 확립해야 할 필요없이 복수의 D2D 디바이스에 공통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공통 데이터의 전달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1-대-1 D2D 링크만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자원과 전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단일의 전송측 디바이스를 갖는 1-대-다 링크에 의해, 식별자와 연관된 공통 자원 할당 메시지 및 그에 따라 1-대-다 D2D 링크가 관련 통신 디바이스들에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할당 프로세스에서 추가 시그널링이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조율 엔티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이다.
조율 엔티티로서의 D2D 디바이스의 이용은 참여 디바이스들이 eNodeB의 커버리지 영역 바깥에 있을 때 D2D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D2D 링크 확립과 자원 할당 프로세스가 예를 들어 D2D 통신이 공공 안전 응용에 이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커버리지를 벗어난 상황에서 이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의 연관을 위해 예약된 미리 결정된 그룹의 식별자들의 멤버이다.
D2D 식별자들의 그룹의 명시는 조율 디바이스가 D2D 링크와 연관된 메시지와 요청을 신속하고 간소하게 식별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에 따라 자원 할당을 우선순위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가 식별자가 D2D 링크와 관련된다는 것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기는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조율 엔티티로부터 식별자와 연관된 프리앰블의 표시를 수신하고 프리앰블과 연관하여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프리앰블을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프리앰블의 표시를 수신함으로써,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자원 요청 메시지와 연관하여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원 요청 메시지 데이터 그 자체에서 식별자 및/또는 D2D 링크의 명시적 표시를 제공할 필요성을 피한다. 또한, 프리앰블의 이용은 전술된 자원 요청 절차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종래의 LTE 자원 요청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차가 LTE 시스템에서 구현될 때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조율 엔티티의 동작을 간소화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기는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식별자와 연관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의 표시를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에서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전용 업링크 자원을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전용 업링크 자원의 표시를 수신함으로써,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전용 자원에서 자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원 요청 메시지 데이터 그 자체에서 식별자 및/또는 D2D 링크의 명시적 표시를 제공할 필요성을 피한다. 또한, 전용 자원의 이용은 또한, 상기 자원 요청 절차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종래의 LTE 자원 요청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조율 엔티티의 동작을 간소화한다.
조율 엔티티, 통신 디바이스,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추가적인 양태와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제공된다.
유사한 부분들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이 제공되어 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를 통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구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3은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5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 확립 루틴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6은 자원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할당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구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7은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8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통신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2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구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3은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4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5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 확립 루틴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6은 자원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에 할당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구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7은 통신 디바이스들이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8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의 통신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도를 제공하고, 여기서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101), 인프라스트럭쳐 장비(102) 및 코어 네트워크(103)를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쳐 장비는,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강화된 노드 B(eNodeB) 또는 조율 엔티티라고도 하고,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 내의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전송과 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102)는 코어 네트워크(103)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되며,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서빙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을 포함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단말기, 사용자 장비(UE), 단일 디바이스 등이라고도 하고, 라인(104 내지 109)로 표현된 양방향 통신 링크를 통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104, 106 및 108은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통신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통신을 나타내고, 105, 107 및 109는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엔티티로의 업링크 통신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100)은 임의의 공지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예에서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엔티티 및 통신 디바이스가 각각 eNodeB 및 UE라고 흔히 불리는 3GPP 롱텀 에볼루션(LTE)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이 LTE 표준에 따라 동작할 때 도 1의 eNode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200)와 업링크(201)의 구조의 간략화된 개략도를 제공한다. LTE 시스템에서 eNodeB로부터 UE로의 다운링크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액세스 무선 인터페이스에 기초하고 UE로부터 eNodeB로의 업링크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무선 인터페이스에 기초한다. 이들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사용 자원의 대역폭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로 분할되고 데이터는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업링크 상에서 및 다운링크 상에서 전송되며, 여기서,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은 1200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은 또한 시간적으로 프레임들로 분할되고, 프레임(202)은 10ms간 지속되며 각각이 1 ms의 지속기간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203)으로 세분된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또한 시간적으로 2개의 슬롯으로 분할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슬롯은 다수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하고, 일부 예에서는 그 개수가 6 또는 7일 수 있다. 슬롯 내의 자원은 자원 블록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한 개 슬롯의 지속기간 동안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고, 자원 블록은 또한 하나의 OFDM 심볼 동안 한 개의 서브캐리어에 걸친 자원 요소들로 분할된다.
도 2의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의 단순화된 구조에서, 각각의 서브프레임(203)은 제어 영역(204)과 데이터 영역(205)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204)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및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등의 다수의 물리적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영역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등의 물리적 채널 뿐만 아니라 동기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올바른 기능을 위해 이러한 채널들 모두가 요구되지만, 다운링크 통신의 관점에서 PDCCH와 PDSCH가 본 개시내용에 가장 적절하고, 그에 따라 LTE 서브프레임의 구조의 논의는 주로 이들 채널로 제한될 것이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들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1]에서 찾아볼 수 있다. PDSCH 내의 자원들은, 서빙 eNodeB에 의해, 그 eNodeB가 서빙하고 있는 임의의 UE에게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이전에 요청했던 데이터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등의 eNodeB에 의해 UE에 푸시되고 있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PDSCH의 다수의 자원 블록이 UE에 할당될 수 있다. UE는 PDSCH의 가용 자원의 일부를 할당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UE는 PDSCH 내의 적절한 데이터만이 UE에 의해 검출되고 추정되도록 PDCSH 내의 할당된 자원들의 위치를 통보받을 것이 요구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자원 할당을 명시하는 자원 제어 정보가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는 형태로 운반되고, 여기서, PDSCH에 대한 자원 할당은 선행하는 PDCCH 인스턴스에서 전달된다. LTE에서, 다수의 상이한 DCI 포맷이 존재하고, 각각은 상이한 유형의 제어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DCI 포맷 1과 2는 UE에게 PDSCH 할당을 통보하는데 이용되고 포맷 0은 UE에게 업링크 할당을 통보하는데 이용된다. 업링크 자원 할당과 제어 시그널링이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DCI의 포맷에 관계없이, 이들은 공통의 방식으로 전송 및 수신된다. UE가 먼저 eNodeB와 RRC 접속을 확립하면, 특히 식별자, 고유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RNTI)를 할당받는다. 그러면 식별자는 서빙 eNodeB와 통신하는데 있어서, UE, 자원 할당 및 UE를 위한 데이터를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DCI는 CRC(cyclical redundancy check)가 동반되며 상이한 UE들에 대한 DCI를 구분하는 역할하는 한다. 각각의 DCI의 CRC는 DCI가 의도하는 UE의 C-RNTI로 스크램블링되고 UE는 PDCCH를 모니터링하고 그 CRC가 정확하게 디스크램블링될 수 있는 DCI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각각의 UE는 자신을 위한 DCI를 식별하고 내부의 자원 할당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를 위한 PDSCH에서의 자원 할당의 경우, 선행 PDCCH는 제1 UE의 C-RNTI로 스크램블링된 CRC를 갖는 DCI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면 제1 UE는 CRC 디스크램블링을 통해 적절한 DCI를 검출하고, 자원 할당 정보를 추출하며 DCI에서 명시된 PDSCH의 자원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상이한 C-RNTI를 갖는 제2 UE는 제1 UE를 위한 DCI의 CRC를 정확하게 디스크램블링할 수 없을 것이므로 제1 UE에게 할당된 PDSCH 자원에 위치한 데이터를 수신하려고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201)의 단순화된 구조에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영역(206),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포함하는 데이터 영역(207)을 포함한다. 업링크 제어 및 데이터 영역들은 또한 추가적 물리적 채널들과 기준 신호 등의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PUCCH와 PUSCH가 본 개시내용에 가장 적절하므로 물리적 업링크 채널의 논의는 주로 이들 채널로 제한될 것이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들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추가의 정보는 [1]에서 찾아볼 수 있다. PDSCH와 유사한 방식으로, PUSCH의 자원은 서빙 eNodeB에 의해 스케쥴링될 것이 요구되므로 데이터가 UE에 의해 전송될 예정이면, PUSCH의 자원이 UE에 할당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할당은 UE로부터 그 서빙 eNodeB로의 스케쥴링 요청의 전송에 의해 달성된다. 스케쥴링 요청은 PUCCH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UCI)의 전송을 통해 이루어진 다음 UE를 위한 기존의 PUSCH 할당이 없을 때에는 PUSCH 할당을 야기하거나, UE를 위한 기존의 PUSCH 할당이 있을 때에는 PUSCH 상에서 직접 전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DCI의 경우에서와 같이, UCI는 UCI의 내용에 따라 다수의 포맷을 취할 수 있고, PUSCH 스케쥴링 요청 포맷 1이 이용된다. 스케쥴링 요청에 응답하여, eNodeB는 PUSCH 자원의 일부를 요청 UE에 할당한 다음 PDCCH에서 DCI를 통해 UE에게 자원 할당을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UE가 eNodeB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UE는 먼저 UCI의 형태로 PUCCH에서 PUSCH 자원 요청을 전송할 것이다. 그 다음, UE는 그 CRC가 C-RNTI로 스크램블링된 DCI를 찾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일단 이러한 적절한 DCI가 검출되고 나면 UE는 PUSCH 스케쥴링 정보를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PUSCH의 적절한 자원에서 전송할 것이다.
전술된 동작의 결과, 하나 이상의 UE가 조율 eNodeB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전에 릴리스된 LTE 표준에 기초한 것들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상업적으로 성공적이었지만, 이러한 중앙집중형 시스템에는 다수의 단점이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매우 근접해 있는 2개의 UE가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면, 데이터를 운반하기에 충분한 업링크와 다운링크 자원들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단일 부분의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2개의 부분의 시스템의 자원들이 이용되고 있다. 두 번째 단점은, 근접해 있더라도 UE들이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면 eNodeB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들 제약은 시스템이 높은 부하를 겪고 있을 때 또는 eNodeB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원격지에서 또는 eNodeB가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지 않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도 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상당히 유사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300)의 개략도를 제공하지만, 여기서, UE들(301, 302, 303)은 또한 서로 직접적인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UE(315)는 eNodeB(304)와의 종래의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만 있다. D2D 통신은, 사용자 및/또는 제어 데이터가 eNodeB 등의 전용 조율 엔티티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서로간에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는 UE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UE들(301 302 303 315)과 eNodeB(304) 사이의 통신은 기존의 LTE 표준을 따르지만, UE들(301 내지 303)이 서로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이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305 내지 310)를 통해 전달하는 것 뿐만 아니라, D2D 통신 링크(311 내지 314)를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D2D 통신 링크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301과 302 사이, 302와 303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301과 303 사이에는, 이들 UE들이 서로 신호를 직접 전송 및 수신하기에 서로 충분히 가깝지 않아서 존재하지 않는다. D2D 통신 링크는 또는 315와 다른 UE들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UE(315)는 D2D 통신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은, D2D 통신이 LTE의 나중의 릴리스에서 구현되고 UE(315)는 가장 최근의 LTE 릴리스와 호환되지 않는 레거시 디바이스인 LTE 네트워크에서 존재할 수 있다.
D2D 통신의 다수의 가능한 구현이, 예를 들어, UE와 eNodeB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D2D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LTE 네트워크에서 존재하고, 여기서, eNodeB는 요구되는 자원을 할당하고 제어 시그널링은 eNodeB를 통해 전달되지만 사용자 데이터는 UE들간에 직접 전송된다. 또 다른 예에서, UE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협상함으로써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지만, 이들은 또한 여전히 서빙 eNodeB와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역시 또 다른 예에서, 한 그룹의 D2D 가능형 UE들부터 선택된 D2D 가능형 UE는 조율 엔티티로서 역할할 수 있고 그 영향력의 범위 또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D2D 가능형 UE들에게 할당한다. D2D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CSMA, OFDM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다수의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 뿐만 아니라 OFDM/SC-FDMA 3GPP LTE 기반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D2D 통신이 eNodeB가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LTE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된 기술은 D2D 통신과 호환되는 다른 LTE 시스템 구조 및 다른 시스템에도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도 4는 UE(302)가 UE(303)와 일방향 D2D 통신 링크(314)를 확립하기를 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D2D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하여 다수의 단계들이 수행될 것이 요구된다. 먼저, UE가 범위 내에서 다른 D2D 가능형 UE를 알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LTE 시스템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각각의 UE가 UE들을 식별시키는 고유한 "발견" 식별자를 포함하는 발견 신호를 주기적으로 서로 전송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서빙 eNodeB 또는 조율 엔티티는 그 커버리지 영역 내의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UE들의 목록을 편집하고 그 목록을 그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적절한 UE들에게 배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UE(301)는 UE(302)를 발견할 수 있고, UE(302)는 UE(301 및 303)를 발견할 수 있고, UE(303)는 UE(302)를 발견할 수 있다. 일단 UE(302)가 UE(303)의 존재를 알고 나면, UE(303)와의 D2D 통신 링크 확립을 진행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단 D2D 통신 링크가 확립되고 나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은 D2D 링크가 할당될 것이 요구된다. LTE 시스템에서, D2D 통신이 종래의 업링크 통신인 것처럼 보이도록 D2D 통신이 PUSCH에서 수행되는 것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경우 수신측 UE는 업링크 채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D2D 통신은 또한 PDSCH 등의 다른 물리적 채널에서 스케쥴링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전송측 UE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을 때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영역 내에서 전송된 데이터와 제어 시그널링의 수신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D2D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하여, 전송측 UE 및 의도한 수신측 UE들 양쪽 모두는 그 링크를 알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또한 eNodeB 자체의 경우에 해당되는데, 그 이유는 eNodeB가 다른 UE들간의 통신을 방해하지 않고 D2D 통신 링크를 식별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내에서 D2D 통신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수단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D2D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UE가 동일한 자원 세트의 이용을 시도하지 않도록 D2D 통신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UE들과 서빙 eNodeB 사이에는 조율이 요구된다. 또한, D2D 통신은 시스템 내의 종래의 통신과 공존할 수 있기 때문에, D2D 자원 할당과 전송이 레거시 UE를 간섭하지 않고 레거시 UE에게 투명하여 레거시 UE에 미치는 악영향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레거시 UE에게 실질적으로 투명한 효율적인 D2D 통신 링크 셋업과 자원 할당 절차가 바람직하다.
D2D 링크 식별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시스템 내의 각각의 D2D 통신 링크, D2D 그룹, 또는 커버리지 영역이 고유 식별자를 할당받아, 확립과 자원 할당에 관하여 종래의 UE처럼 취급되고 종래의 UE인 것처럼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제안된다. D2D 자원 할당과 링크 셋업은 비-D2D 가능형 UE에게 투명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원 할당 절차와 호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에서 UE1이 UE2와 D2D 통신 링크(314)를 확립하기를 원할 때 UE(302)(UE1), UE(303)(UE2) 및 eNodeB(304)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시적 통신 단계들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S501
먼저, UE2의 발견 신호가 UE1에서 수신되고 UE1은 자신이 UE2에게 D2D 전송을 수행하기를 원한다고 결정한다.
S502
그러면 UE1은 계속해서 일방향 D2D 링크 셋업 요청의 eNodeB에 전송하고, 여기서, 요청은 수신측 UE(UE2)의 신원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원의 표시를 포함하지만, 일부 예에서는 UE1의 신원은 요청 메시지에 고유하게 포함될 수 있다. 링크 셋업 요청은 UE1에게 이용가능한 임의의 업링크 자원, 예를 들어, PUCCH 또는 PUSCH에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D2D 링크 셋업 요청에 대해 새로운 UCI 포맷이 정의되어 eNodeB가 D2D 관련 요청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S503, S504
일단 링크 셋업 요청이 eNodeB에서 수신되고 나면, eNodeB는 미래의 통신에서 링크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고유 식별자를 링크에 할당하거나 링크와 연관시킨다. 고유 식별자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시스템 내에서 이용되는 기존의 식별자들과 호환되어 기존의 디바이스들이 이 식별자의 존재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면 유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자의 이용은 또한, 시스템 및/또는 eNodeB가 그 동작에 대한 중요한 변경없이 자원 할당 절차에서 이러한 식별자의 이용을 수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의 포맷은 시스템 내의 UE들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식별자의 포맷에 대응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고유 식별자는, 종래에 식별과 자원 할당 목적을 위해 UE에게 할당되는 C-RNTI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C-RNTI 또는 기타의 균등한 식별자의 이용은 D2D 통신 링크가 자원 할당에 관하여 종래의 UE로서 취급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자원 할당이 레거시 UE에게 투명하게 되도록 한다. 그러나, UE 유도된 C-RNTI와 D2D 유도된 C-RNTI를 구분하기 위하여, D2D 유도된 C-RNTI는 D-RNTI라고 부를 수 있다. LTE 시스템의 경우 D-RNTI는 D2D 통신과의 연관을 위해 예약될 수 있는 또는 링크 셋업 요청의 속성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세트의 RNTI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NTI의 생성은 D2D 요청의 시간 또는 요청자의 신원에 기초할 수 있다.
일단 D-RNTI가 D2D 링크에 할당되고 나면, 식별자의 표시는 전송측 UE(UE1)와 수신측 UE(UE2)에 전달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DCI)에서 D-RNTI를 포함하거나 PDSCH의 자원에서 D-RNTI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단 D-RNTI가 UE1과 UE2에 알려지고 나면, D2D 링크는 종래의 UE와 상당히 유사하게 행동할 수 있고 eNodeB는 요구될 때/요청될 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D-RNTI를 UE2에 전달할 때 D-RNTI가 D2D 링크에 관한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고 대안으로서 UE가 미리 결정된 세트의 D2D RNTI를 알거나 제2의 또는 추가의 RNTI의 수신은 이것이 D-RNTI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UE2에서 가정될 수 있다. D-RNTI의 할당과 함께, 일부 예에서 링크 특유의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link specific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 및/또는 전용 PUCCH 자원이 링크/식별자와 연관되고 요청 UE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 연관은 eNodeB가 UE1으로부터의 업링크 자원 요청을 D2D 링크와 올바르게 연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eNodeB가 요청 전송의 특성에 의해 D2D 자원 요청을 초기에 식별하고 UE1로부터의 D2D 업링크 요청이 표준 UE 업링크 요청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S505
일단 D-RNTI 또는 유사한 식별자가 D2D 링크에 할당되고 나면, UE1은 업링크 자원이 D-RNTI와 연관하여 할당될 것을 요청함으로써 D2D 링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이 UE2에 데이터를 전송하기를 원하면, UE1은 eNodeB로의 업링크 요청 전송을 통해 인터페이스의 PUSCH의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D2D 업링크 요청은, 새로운 또는 기존의 포맷의 UCI 전송을 이용하여, 할당된 프리앰블 또는 전용 PUCCH 자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업링크 요청은 D-RNTI 이외의 UE1 자체(C-RNTI)와 연관된 업링크 자원 요청에 후속하는 PUSCH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D-RNTI를 식별하기 위해 증가된 시그널링을 요구할 수 있지만, 프리앰블과 PUCCH 자원을 절약하므로 정체된 시스템에서 유익할 수 있다. 일단 D-RNTI와 연관된 업링크 요청이 eNodeB에서 수신되고 나면, eNodeB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D-RNTI에 할당할 것이다. 할당된 자원은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임의의 가용 자원 내에 있을 수 있지만, LTE 시스템에서는 이것은 PUSCH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D2D 자원 요청은 요청 UE에 의한 전송될 데이터량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거나 D2D 자원 요청에 응답하여 표준의 미리 결정된 자원 할당이 주어질 수도 있다.
S506, 507
일단 업링크 요청이 UE1로부터 수신되고 자원이 D2D 링크에 할당되거나 식별자와 연관되고 나면, eNodeB는 자원 할당의 표시를 UE1 및 UE2에게 전달한다. 이것은 적절한 포맷의 DCI의 전송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DCI의 CRC는 링크와 연관된 D-RNTI로 스크램블링된다. 이런 방식으로 D-RNTI를 알고 있는 UE1과 UE2는 CRC를 올바르게 디스크램블링하고 D2D 전송이 이루어질 자원 할당의 표시를 추출함으로써 적절한 DCI를 검출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DCI는 PDCCH(601)에서 전송되고 DCI는 PUSCH(602)에서의 자원 할당을 표시한다.
S508
일단 UE1이 자원 할당을 알고 나면, UE2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UE2는 DCI에 의해 표시된 자원에서 UE1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된 예에서, 고유 식별자가 일방향 D2D 링크(즉, UE1로부터 UE2로)에 할당되어 반환 링크가 바람직하다면 별개의 셋업 절차가 UE2에 의해 개시될 것이 요구되고 새로운 식별자가 UE2로부터의 UE1로의 D2D 링크에 할당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링크의 단 한 방향으로의 고유 식별자의 할당은 전체적으로 요구되는 식별자의 수를 증가시키지만 D2D 자원 요청 절차의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 링크가 이용된다면 오직 하나의 전송측 UE만이 링크 식별자와 연관되기 때문에 어느 UE가 자원 요청을 전송했는지를 표시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양방향 링크의 경우 어느 UE가 자원 요청을 전송했는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추가 시그널링이 요구될 것이다. 고유 식별자를 일방향 링크와 연관시키는 두 번째 이점은, LTE 시스템에서 종래의 UE들에게 자원이 할당되는 방식과 유사하다는 것으로, UE로부터의 자원 요청은 자원들을 요청하고 있는 UE를 분명하게 식별한다. 또한, 링크와 연관된 자원 할당을 수신하는 UE들은 그 자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또는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D2D 자원 할당 기술들에 비해 전술된 D2D 통신 링크 절차로부터 다수의 이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단 수신측 UE가 식별되고 나면, D2D 전송을 수행하기 위하여, 개시측 UE는 단순히 자원 요청을 전송한 다음 후속 할당된 PUSCH 자원에서 전송하는 반면 수신측 UE는 전송의 임의의 선행 경고를 수신하는 것이 이전에 제안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측 UE가 적절한 D2D 전송을 올바르게 식별하기 위하여, 의도한 수신자를 식별하는 헤더가 포함된다. 이 접근법은 링크 셋업 요청 메시지와 D2D 링크로의 고유 식별자의 할당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지만, 잠재적 수신측 UE들은 데이터의 전송의 타이밍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의도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D2D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자원(PUSCH)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D2D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 자원이 작더라도, D2D 가능형 UE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때에도 모든 D2D 자원을 모니터링할 것이 요구될 것이므로, 본 개시된 기술의 이용에 비해 D2D UE에서의 증가된 전력 소비로 이어진다. 또한, 각각의 D2D 링크에 대해 한번 링크 셋업 요청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것은 D2D 링크를 통해 많은 수의 전송이 발생한다면 작은 오버헤드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된 접근법의 추가 이점은 또한 LTE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D2D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레거시 UE는 자원 할당 D2D 링크에 대해 새로운 형태의 식별자가 이용된다면 호환성 문제를 겪을 수 있다. 그러나, RNTI 기반의 식별자를 이용함으로써 D2D 링크로의 자원 할당은 표준 UE인 것처럼 보일 것이므로 레거시 UE에게 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D2D 통신 링크가 종래의 LTE 통신과 함께 동시에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된 기술의 추가 예에서, 타이머가 각각의 식별자와 연관되어, 특정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업링크 자원 요청이 타이머의 지속기간 동안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그 식별자는 D2D 링크와 연관해제될 수 있다. 업링크 요청이 수신된다면 타이머는 리셋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의 타이머는, 식별자들의 할당이 더 최근의 D2D 링크 셋업 요청에 대해 우선화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어서, LTE 시스템의 RNTI의 경우에서와 같이 유한 개수의 가용 식별자가 존재하는 경우 유익할 수 있다. 식별자들의 효율적인 이용은 또한, 링크의 전송자 또는 유일한 수신자가 더 이상 eNodeB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식별자들을 링크로부터 연관해제함으로써 보조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예에서, D-RNTI 등의 고유 식별자는 일방향 1-대-1 D2D 통신 링크에 할당되었다. 결과적으로, UE가 복수의 UE로의 D2D 전송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1-대-다 전송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개별 전송들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식별자는 또한 1-대-다 D2D 통신 링크에 할당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상당히 유사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지만, UE(302)는 자신과 UE들(301 및 303) 사이에 1-대-다 D2D 링크(701)를 확립했다. 이러한 링크의 셋업 절차는 1-대-1 링크에 대해 전술된 것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개시측 UE는 초기 D2D 링크 셋업 요청에서 복수의 수신자 UE들을 식별할 것이 요구될 것이다. 일단 eNodeB에서 수신되고 나면, eNodeB는 단일의 고유 식별자를 1-대-다 D2D 링크에 할당하고 식별자를 개시측 UE 및 모든 수신측 UE에 전달할 것이다. 그 다음, D2D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은 단계들(S505 내지 S50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될 것이고, 여기서, 자원 할당은, 복수의 수신자 UE들이 식별자와 연관된 DCI를 찾기 위해 PDCCH를 모니터링할 것이라는 사실로 인해 모든 수신자들에게 전달된다.
일부 예에서, D2D 통신은 서빙 eNodeB에 의해 개시될 수 있고, 여기서 eNodeB는 하나 이상의 UE에게 하나 이상의 다른 UE와의 D2D 통신을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초기 D2D 링크 셋업 요청과 자원 할당 요청은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서빙 eNodeB가 UE들에게 eNodeB로부터 단일의 UE로 초기에 배포된 공통 정보를 그들간에 배포할 것을 지시함으로써 PDSCH 자원 또는 PBCH 자원을 절약하기를 원하는 LTE UE 대 UE 배포 구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eNodeB는 D-RNTI를 공통의 데이터가 배포되기를 원하는 각각의 D2D 배포 링크에 할당할 수 있고 각각의 링크의 전송측 및 수신측 UE들 각각에게 연관된 D-RNTI를 통보할 수 있다. 그 다음 eNodeB는 D2D 자원 할당을 PDCCH에서 UE들에게 전송할 수 있고 UE들은 자원 할당에 따라 공통 데이터의 D2D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공통 데이터에 대해 eNodeB 개시된 D2D 통신을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것은 또한 개개의 UE들에게 고유한 데이터의 UE-대-UE 배포를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환경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한 다음 그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다른 UE에게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원하는 UE들 사이에서 D2D 링크를 셋업한 다음 링크 식별자들과 연관된 DCI 내의 D2D 링크와 연관된 자원 할당의 전송을 통해 D2D 통신을 개시함으로써 eNode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시점까지 D2D 통신은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eNodeB를 포함하는 주로 통신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고, 여기서 eNodeB는 D2D 링크 식별자의 할당과 자원의 할당을 조율한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D2D 가능형 UE들의 그룹은 eNodeB의 커버리지 영역 바깥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2D 가능형 UE들 중 하나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D2D 링크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고유 링크 식별자를 할당한 다음, 자원을 할당하는 조율 엔티티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eNodeB 등의 전용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상이할 수 있지만, RNTI 등의 UE 식별자를 D2D 링크에 할당하는 개념은 연관된 이점들을 여전히 갖는다. 전술된 절차는 또한 D2D 그룹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여기서 그룹 내의 서브셋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지만 나머지 UE들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조율 UE는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하고 있는 eNodeB와 연관하여 D2D 링크 셋업과 자원 할당을 수행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된 기술의 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UE(800)와 eNodeB(810)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UE는, 전송기(801), 수신기(802) 및 제어기(803)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기는 eNodeB(810)에 의해 전송된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에 의해 운반되는 데이터를 추정하게끔 수신기(80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803)는 또한, 업링크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eNodeB에 전송하게끔 전송기(80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UE(800)가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예에서, 제어기는 또한, D2D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eNodeB 및 다른 UE에게 및 이들로부터 전송 및 수신하게끔 전송기(801)와 수신기(80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UE(800)는 또한, D2D 그룹 내의 멤버들이 eNodeB의 커버리지 바깥에 있을 때 D2D 그룹 내의 조율 엔티티로서 역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기(803)는, D2D 제어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게끔 전송기(80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식별자를 D2D 통신 링크에 할당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D2D 통신 링크에 할당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도 8에서는 UE(800)가 별개의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제어기와 조합하여 앞서 언급된 피쳐들과 기술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803)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구성/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801), 수신기(802) 및 제어기(803)는 표현의 편의를 위해 도 8에서 별개의 요소들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들의 기능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회로/처리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UE(800)는 일반적으로, 설정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그 동작 기능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예를 들어, 전원, 아마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eNodeB(810)는, 전송기(811), 수신기(812), 및 제어기(813)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기(813)는 제어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UE(800) 등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들에게 전송하게끔 전송기(81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므로, 커버리지 영역 내의 UE들에게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기(813)는 또한, 사용자 제어 및 업링크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고 이들 신호에 의해 운반되는 데이터를 추정하게끔 수신기(81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2D 가능형 UE들이 eNodeB(81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을 때, eNodeB의 제어기(813)는 또한 조율 엔티티로서 역할함으로써, 식별자를 D2D 통신 링크에 할당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D2D 통신 링크에 할당한다. 도 8에서는 eNodeB(810)가 별개의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제어기와 조합하여 앞서 언급된 피쳐들과 기술들을 eNodeB에서 구현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813)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을 이용하여 여기서 설명된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절히 구성/프로그램된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811), 수신기(812) 및 제어기(813)는 표현의 편의를 위해 도 8에서 별개의 요소들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닛들의 기능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단일의 적절히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 적절히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이용하여, 또는 원하는 기능의 상이한 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회로/처리 요소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eNodeB(810)는, 일반적으로, 설정된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그 동작 기능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eNodeB(810)는 일반적으로 통신의 스케쥴링을 책임지는 스케쥴링 엔티티를 포함할 것이다. 스케쥴링 엔티티의 기능은, 예를 들어, 제어기(813)에 의해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추가적인 양태와 피쳐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되고 종속항들의 피쳐들의 다양한 조합들은 청구항 의존성을 위해 인용된 특정한 조합들 이외의 독립항들의 것들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 피쳐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피쳐들이 본 개시내용에 따라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하의 넘버링된 조항들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 양태들과 예들을 제공한다: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2. 제1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3. 제1조항 또는 제2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
4. 제1조항 내지 제3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되는, 제1 통신 디바이스.
5. 제1조항 내지 제4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갖는, 제1 통신 디바이스.
6. 제1조항 내지 제5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중 각자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복수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7. 제1조항 내지 제6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프리앰블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프리앰블과 연관하여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8. 제1조항 내지 제7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의 표시를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에서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9.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조율 엔티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10. 제9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를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11. 제9조항 또는 제10조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조율 엔티티.
12. 제9조항 내지 제11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되는, 조율 엔티티.
13. 제9조항 내지 제12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갖는, 조율 엔티티.
14. 제9조항 내지 제13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인, 조율 엔티티.
15. 제9조항 내지 제14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의 연관을 위해 예약된 미리 결정된 그룹의 식별자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16. 제9조항 내지 제15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프리앰블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프리앰블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17. 제9조항 내지 제16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업링크 채널 자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18.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디바이스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됨― 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디바이스.
19.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조율 엔티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는, 조합하여,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9조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식별자를 요청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19조항 또는 제20조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19조항 내지 제21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19조항 내지 제22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19조항 내지 제23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 중 각자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과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19조항 내지 제24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인, 무선 통신 시스템.
26. 제19조항 내지 제25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의 연관을 위해 예약된 미리 결정된 그룹의 식별자들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27. 제19조항 내지 제26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프리앰블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프리앰블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상기 프리앰블과 연관하여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28. 제19조항 내지 제27조항 중 어느 한 조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업링크 채널 자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29.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조율 엔티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0.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조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상기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한 조율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조율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3.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회로는 제어기 회로 요소와 트랜시버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 요소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요소는 함께 동작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
34.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한 조율 엔티티를 위한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제어기 회로 요소와 트랜시버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 요소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요소는 함께 동작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 하여금,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를 위한 회로.
3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회로는 제어기 회로 요소와 트랜시버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 요소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요소는 함께 동작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
36.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37.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38.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율 엔티티.
참고 문헌
[1]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Harris Holma and Antti Toskala, Wiley 2009, ISBN 978-0-470-99401-6.
Claims (38)
-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s)을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coordinating entity)에 의해 조율(coordinate)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되는,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갖는,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중 각자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복수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프리앰블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프리앰블과 연관하여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식별자와 연관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에서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조율 엔티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를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되는,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갖는,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인,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의 연관을 위해 예약된 미리 결정된 그룹의 식별자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프리앰블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프리앰블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업링크 채널 자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디바이스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됨― 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시버와 조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디바이스. -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제2 통신 디바이스와, 조율 엔티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는, 조합하여,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조합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와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식별자를 요청하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를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상기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의 일방향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을 식별하기 위한 포맷에 대응하는 포맷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 중 각자의 제2 통신 디바이스들과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디바이스인,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는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의 연관을 위해 예약된 미리 결정된 그룹의 식별자들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와 연관될 식별자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프리앰블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프리앰블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상기 프리앰블과 연관하여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 엔티티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을 상기 식별자와 연관시키고 상기 업링크 채널 자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제어기와 상기 트랜시버는 조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
-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조율 엔티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조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상기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 및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한 조율 엔티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조율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조율 엔티티에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통신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회로는 제어기 회로 요소와 트랜시버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 요소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요소는 함께 동작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조율 엔티티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를 조율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조율하도록 동작가능한 조율 엔티티를 위한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제어기 회로 요소와 트랜시버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 요소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요소는 함께 동작하여, 상기 조율 엔티티로 하여금,
식별자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시키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원들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을 상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상기 식별자에 할당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조율 엔티티를 위한 회로.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로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액세스는 조율 엔티티에 의해 조율되고, 상기 회로는 제어기 회로 요소와 트랜시버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 요소와 상기 트랜시버 회로 요소는 함께 동작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디바이스-대-디바이스 통신 링크와 연관된 식별자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의 표시와 연관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할당의 표시를 상기 조율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 -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율 엔티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4152430 | 2014-01-24 | ||
EP14152430.6 | 2014-01-24 | ||
PCT/EP2014/079174 WO2015110243A1 (en) | 2014-01-24 | 2014-12-23 | Communications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1927A true KR20160111927A (ko) | 2016-09-27 |
KR102333454B1 KR102333454B1 (ko) | 2021-12-02 |
Family
ID=5002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9595A KR102333454B1 (ko) | 2014-01-24 | 2014-12-23 | 통신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397967B2 (ko) |
EP (1) | EP3097740B1 (ko) |
KR (1) | KR102333454B1 (ko) |
WO (1) | WO201511024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3879A (ko) * | 2016-01-11 | 2018-09-19 | 소니 주식회사 |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67635A1 (ko) * | 2015-04-17 | 2016-10-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의 측정/릴레이 선택 방법 및 장치 |
CN106714325B (zh) * | 2016-03-15 | 2019-04-05 |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 Tti可变的无线通信方法及装置 |
JPWO2017175478A1 (ja) * | 2016-04-08 | 2019-02-14 | 株式会社Nttドコモ |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
CN111278165B (zh) * | 2019-01-11 | 2022-01-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连接建立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
US11076319B2 (en) * | 2019-09-26 | 2021-07-27 | Nokia Technolgies Oy | Method for contention based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in new radio Io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4254A (ko) * | 2010-12-27 | 2012-07-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말간 직접 연결 통신 및 단말 릴레잉을 위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링크의 연결 설정 및 스케쥴링 방법 |
KR20130065193A (ko) *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
KR20130065373A (ko) *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2d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
KR20130109781A (ko) * | 2012-03-28 | 2013-10-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
WO2014008067A1 (en) * | 2012-07-02 | 2014-01-09 | Kamran Etemad | User equipment,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multicas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15250A1 (en) | 2009-08-07 | 2011-02-10 | Nokia Siemens Networks Oy | Scheduling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
WO2012128505A2 (ko) | 2011-03-18 | 2012-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장치-대-장치 통신 방법 및 장치 |
TWI620459B (zh) * | 2012-05-31 | 2018-04-01 | 內數位專利控股公司 |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
US9225478B2 (en) | 2012-07-02 | 2015-12-29 | Intel Corporation | Supporting measurments and feedback for 3D MIMO with data transmission optimization |
US9154267B2 (en) | 2012-07-02 | 2015-10-06 | Intel Corporation |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mechanism for intracel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
WO2014008106A1 (en) | 2012-07-02 | 2014-01-09 | Intel Corporation |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
US8958331B2 (en) | 2012-07-02 | 2015-02-17 | Intel Corporation |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
US20140003339A1 (en) | 2012-07-02 | 2014-01-02 | Puneet Jain | Machine-to-machine (m2m) device and methods for 3gpp and etsi m2m interworking |
US9160497B2 (en) | 2012-07-02 | 2015-10-13 | Intel Corporation | Application continuity with reroute and re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US8989070B2 (en) | 2012-07-02 | 2015-03-24 | Inte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to efficiently send device trigger messages |
ES2665895T3 (es) | 2012-07-02 | 2018-04-30 | Intel Corporation | Transmisión y recepción simultáneas |
US9203563B2 (en) | 2012-07-02 | 2015-12-01 | Intel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for radio communication network guided traffic offload |
US20140003312A1 (en) | 2012-07-02 | 2014-01-02 | Vadim Sergeyev | Wake-up functionality for an lte enodeb |
-
2014
- 2014-12-23 EP EP14816326.4A patent/EP3097740B1/en active Active
- 2014-12-23 US US15/038,911 patent/US10397967B2/en active Active
- 2014-12-23 KR KR1020167019595A patent/KR102333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23 WO PCT/EP2014/079174 patent/WO201511024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74254A (ko) * | 2010-12-27 | 2012-07-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말간 직접 연결 통신 및 단말 릴레잉을 위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링크의 연결 설정 및 스케쥴링 방법 |
KR20130065193A (ko) *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 방법 |
KR20130065373A (ko) * | 2011-12-09 | 2013-06-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2d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
KR20130109781A (ko) * | 2012-03-28 | 2013-10-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
WO2014008067A1 (en) * | 2012-07-02 | 2014-01-09 | Kamran Etemad | User equipment,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multicas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3879A (ko) * | 2016-01-11 | 2018-09-19 | 소니 주식회사 | 협대역 사물 인터넷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브캐리어 간격 시그널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97740A1 (en) | 2016-11-30 |
EP3097740B1 (en) | 2018-07-25 |
US10397967B2 (en) | 2019-08-27 |
KR102333454B1 (ko) | 2021-12-02 |
US20170164272A1 (en) | 2017-06-08 |
WO2015110243A1 (en) | 2015-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83795B2 (en) |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 |
US10912137B2 (en) |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 |
US10397900B2 (en) |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CN105940754B (zh) | 通信装置 | |
EP3522649B1 (en) | Manage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 |
US20190110284A1 (en) |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 |
KR102333454B1 (ko) | 통신 디바이스 | |
JP2015050529A (ja) |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