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17A - 방음벽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음벽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2817A KR20180102817A KR1020170029448A KR20170029448A KR20180102817A KR 20180102817 A KR20180102817 A KR 20180102817A KR 1020170029448 A KR1020170029448 A KR 1020170029448A KR 20170029448 A KR20170029448 A KR 20170029448A KR 20180102817 A KR20180102817 A KR 201801028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unit
- post
- soundproof
- posts
- soundproof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을 신속히 시공하기 위한 방음벽 단위체와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일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격자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격자홈이 서로 바라보게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 각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면에 고정되며, 일측면이 상기 포스트의 평면과 이어지는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및 상기 포스트의 각 격자홈에 측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방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받침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포스트 및 받침대와 면접촉하면서 연결될 수 있는 방음벽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벽을 신속히 시공하기 위한 방음벽 단위체와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방음벽은 철도나 찻길에 주로 설치되며, 길을 따라 길게 일정한 높이로 세워지게 된다. 일반적인 방음벽의 시공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위에 일정 간격으로 포스트를 세운 다음, 크레인을 사용하여 포스트에 패널들을 높이 방향으로 끼워 넣고, 거치가 완료된 패널들을 포스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방음벽의 시공을 위해서는 무거운 자재를 다뤄야 하므로 중장비가 동원되는데, 복잡한 도심의 찻길은 방음벽 시공으로 인한 교통 정체로 민원이 발생하므로 차량의 소통이 원활한 주로 심야 시간대에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철도는 차량의 운행 중에는 시공이 불가능하므로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자정 무렵부터 새벽 첫차가 운행하기 전까지만 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방음벽의 시공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으며, 이는 시공 비용의 증가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포스트의 간격을 맞추는 데에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 찻길이나 철도에는 완곡하게 휘어진 구간이 존재하며, 곡률은 매번 다르다. 이러한 곡선 구간에도 평면인 패널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포스트들의 이격 거리를 잘 맞추지 아니하면 패널이 헐겁게 끼워지거나 억지로 끼워 넣어야 하여야 한다. 이러한 패널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가장 먼저 손상되기 시작하여 잦은 유지 보수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사후적 문제들을 해소하려면 포스트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는데, 한 번 세워진 포스트의 위치 재조정은, 제한된 시공 시기와 추가 비용의 부담으로 인하여, 시공 현장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시공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안전성이 우수한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일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격자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격자홈이 서로 바라보게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 각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면에 고정되며, 일측면이 상기 포스트의 평면과 이어지는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및 상기 포스트의 각 격자홈에 측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방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받침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포스트 및 받침대와 면접촉하면서 연결될 수 있는 방음벽 단위체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보다 상기 포스트의 상단이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음패널에 가려지지 아니하여 노출된 상기 포스트 상단부의 격자홈의 평면과, 상기 받침대의 상기 수직면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격자홈의 전후 폭에 비하여 상기 방음패널은 전후 두께가 짧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포스트에 장착된 상기 방음패널 전면과 상기 격자홈의 전면부와의 틈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격자홈의 바닥면에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방음벽 단위체의 포스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위 연결홀과 볼트홀을 통해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의 포스트끼리 서로 볼트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포스트의 격자형 하단이 연결되며, 앵커볼트가 통과되는 앵커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측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상기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평판과 상기 포스트의 전면부에 연결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수직판에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의 받침대끼리도 볼트 체결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술한 방음벽 단위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앵커볼트가 구비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가 연결된 좌우의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방음패널을 조립하여 다수의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준비하는 단계, 설치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로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옮겨, 상기 앵커볼트에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에 세워진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서로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벽의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설치된 방음벽의 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의 사시도와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해하여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받침대의 사시도들.
도 5는 도 2의 (b)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음벽 시공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2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의 사시도와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해하여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받침대의 사시도들.
도 5는 도 2의 (b)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음벽 시공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벽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구조물(200)의 설치 단계, 방음벽 단위체(100)의 준비 단계, 콘크리트구조물(200) 상에 방음벽 단위체(100)를 옮겨 고정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구조물(200)에 세워진 방음벽 단위체들(100)끼리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음벽 단위체(100)는 좌우 양쪽의 포스트(10), 각 포스트(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20), 좌우의 포스트(10)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패널(30)을 포함한다.
콘크리트구조물(200)은 상면에 받침대와 연결되는 앵커볼트(201)가 구비된 것으로, 별도의 장소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이 완료된 다음, 방음벽 시공현장으로 가져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현장에서 거푸집과 철근 등을 이용하여 앵커의 위치를 정밀히 설정한 이후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킴으로써, 방음벽 시공현장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앵커볼트(201)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구조물(200)과, 그의 제조 방법은 이미 공지된 시공 방법에 따르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방음벽 단위체(100)를 준비하는 단계는 받침대(20)가 연결된 좌우의 포스트(10)와, 방음패널(30)을 조립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로써의 방음벽의 일부인 방음벽 단위체(10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방음벽 단위체(100)는 방음벽 시공 현장 외의 장소에서, 받침대(20), 포스트(10) 및 방음패널(30)이 일체로 조립된다. 조립은 각 부재끼리의 볼트 체결을 위주로 이루어지되, 필요한 경우 용접, 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음벽 단위체는 각 구성요소들을 공급하는 공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편리한 조립을 위한 지그, 기중기 등의 사용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방음벽 단위체를 적재하거나 운반하는 등의 취급의 편의성이 크다. 또한 조립작업의 분업화도 가능하여,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다.
조립이 완료된 방음벽 단위체(100)는 시공 현장으로 옮겨지고, 중장비를 이용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구조물(200) 위로 옮겨진다. 이후 콘크리트구조물(200)의 앵커볼트(201)에 받침대가 안치되며, 앵커볼트의 볼트체결을 통해 방음벽 단위체가 고정된다.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구조물(200)에 세워진 각 방음벽 단위체(100)를 서로 결속시키는 단계가 진행된다. 앵커볼트에 의해 1차 고정된 방음벽 단위체들끼리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방음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완성된 방음벽의 강성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공방법에 따르면,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장소에서 방음벽 단위체를 조립한 이후 시공 현장으로 도입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모든 패널을 끼워넣어야 했던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는 시공 현장에서 하루 중 허용되는 공사 시간이 짧은 경우에 주요하다.
또한 방음벽 단위체의 조립이, 주로 다리 난간이나 철길 난간과 같은 시공 현장의 위험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조립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100)는 좌우 한 쌍의 포스트(10), 각 포스트(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대(20), 포스트(10)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패널(30)을 포함한다.
포스트(10)는 'ㄷ' 자 단면의 형강으로 제작 가능하다. 포스트는 상단부가 살짝 휘어지는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포스트의 휘어짐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각을 이루며 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ㄷ' 자 단면의 포스트(10)는, 격자홈(11)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의 포스트(10)는 서로 격자홈(11)이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격자홈(11)에는 방음패널(30)의 측단부가 안치된다.
포스트(10)의 격자홈(11)이 형성된 반대쪽은 평면(12)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도 2의 (b)를 참고하면, 방음벽 단위체(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은 수직한 평면(12)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다른 방음벽 단위체를 연달아 배치하였을 때에,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끼리 빈틈없이 면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포스트(10)에는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의 포스트와 볼트체결을 가능케 하는 다수의 볼트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받침대(20)는 포스트(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세워지는 부분으로, 일측면이 포스트(10)의 수직한 평면(12)과 이어지는 수직면(221)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받침대(20)는 수평판(21), 수직판(22) 및 보강판(24)을 포함한다.
수평판(21)은 앵커볼트가 돌출된 콘크리트구조물 위에 오르는 부분으로, 앵커볼트가 통과하여 볼트체결되는 앵커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포스트(10)의 수직한 평면(12)이 수평판(21)의 일단과 수직 관계를 이루도록, 받침대(20) 위에 포스트(10)가 배치된다.
수평판(21) 위에는 포스트(10)의 전면과 후면에 접하는 덧댐판(23)이 세워져 있는데, 이 덧댐판(23)에는 용접홀(231)이 형성되어 있다. 포스트(10)의 하단은 수평판(21) 위에 오르고, 포스트(10)의 전면과 후면은 양 덧댐판(23)에 면접하면서, 포스트(10)의 하단부가 수평판(21)과 덧댐판들(23) 사이로 갇히게 된다. 이후 포스트(10)와 받침대(20)가 만나는 부분을 용접하여, 포스트(10)와 받침대(2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때 용접홀(231)의 내주면을 따라 추가 용접하여 포스트(10)의 전면과 후면을 각 덧댐판(23)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포스트의 전면과 후면에 용접홀과 대응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용접홀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포스트와 받침대를 결속시킬 수도 있다.
수직판(22)은 그 일면(수직면(221))이 포스트의 수직한 일측면(12)과 나란하도록, 수평판(21) 위에 세워진다. 수직판(22)의 수직면(221)과 포스트(10)의 수직한 평면(12)은 하나의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이로써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벽 단위체(100)의 왼쪽과 오른쪽이 수직한 하나의 면(12)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음벽 단위체를 나란히 연결할 때에, 이웃하는 포스트끼리 면으로 접촉하면서, 동시에 이웃하는 받침대의 수직면끼리도 면으로 접촉하게 된다.
나아가 수직면(221)을 제공하는 수직판(22)에는 이웃하는 다른 방음벽 단위체의 수직판과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22)을 통해 받침대끼리도 서로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보강판(24)은 수직판(22)과 평행을 이루면서 이격되어 있다. 보강판(24)은 수평판(21)과 덧댐판(23)을 연결함으로써 포스트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덧댐판(23)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판(22)의 일단부와 덧댐판(23)의 일단부는 포스트(10)의 전면(또는 후면)과 직접 접하게 되며, 이렇게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여 받침대와 포스트를 결속시킬 수 있다.
포스트의 하단과 연결되는 받침대의 형상은, 포스트의 일측면과 평면으로 연결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조건 하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방음패널(30)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복수를 상하로 적층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음패널(30)의 양측단부는 각 포스트(10)의 격자홈(11) 내부로 수용되어, 방음패널(3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하지 아니하게 된다.
방음패널(30)은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굴곡(31)을 전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일부의 방음패널(3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창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하부 4장은 굴곡이 형성된 방음패널(30)로 구성되고, 상부의 2장은 투명 재질의 투시창(30a)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방음패널의 고정을 위한 추가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6에서 전면부에 굴곡이 형성된 방음패널(30)은, 포스트(10)의 격자홈(11) 안에 수용되면서, 상기 굴곡에 대응하는 물림부(321)를 가진 거치부재(32)에 의해 고정된다. 거치부재(32)는 포스트(10)의 전면부에 미리 형성해둔 홀을 통해 볼트(323)로 위치가 고정된다. 거치부재(32)의 물림부(321)는 방음패널(30)의 굴곡(31)에 맞춰진 상태에서 방음패널(30)을 격자홈(11)의 후방으로 강하게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방음패널(30)이 격자홈(1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도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볼트(32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323)에는 포스트(10), 거치부재(32)와 맞닿는 여러 개의 너트를 체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투시창(30a)은 누름부재(33)에 의해 고정되는데, 누름부재(33)는 거치부재와 마찬가지로 포스트(10)의 전면부에 미리 형성해둔 홀을 통해 볼트로 위치가 고정된다. 누름부재(33)는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약간의 탄성 변형을 동반하면서 누름부재의 전면을 가압하여 누름부재의 이동을 막게 된다.
거치부재(32)나 누름부재(33)를 설치하기 위해 방음패널(30)의 전후 두께(t)는 포스트(10)의 격자홈(11)의 전후 방향 폭(W)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된 방음패널(30)의 전면과 격자홈(11)의 전면부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는데, 이 틈으로 격자홈(11)의 바닥면(111) 일부가 노출된다.
방음패널(30)에 의해 가리지 아니하는 격자홈(11)의 바닥면(111)에 다수의 볼트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홀(13)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방음벽 단위체의 포스트와 볼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포스트(10)의 상단부에서도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의 포스트와 볼트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홀(1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포스트(10)의 상단이 방음패널(30)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방음패널(30)에 가려지지 아니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렇게 가려지지 아니한 격자홈(11)의 바닥면(111)에 연결홀(14)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연결홀(14)은 격자홈(11)의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홀(14)은 격자홈(11)의 전후 방향 폭에 맞춰 적절히 이격되어 있다. 특히 연결홀(14)은 방음패널(30)의 전후 두께(t)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 연결홀(14)에 충분히 긴 볼트를 설치함으로써, 격자홈 내부로 돌출된 볼트의 일부분이 최상단의 방음패널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받침대(20)의 수직판(22)에 형성한 관통홀(222), 포스트(10)의 중간에 형성해 둔 볼트홀(13) 및 포스트(10) 상단의 연결홀(14)을 통해,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의 받침대 및 포스트와 볼트 체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웃하는 방음벽 단위체끼리의 결속을 통해, 전체 방음벽 단위체를 하나로 결속하여 방음벽의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0 : 단위체
10 : 포스트
11 : 격자홈 111 : 바닥면 12 : 평면
13 : 볼트홀 14 : 연결홀
20 : 받침대
21 : 수평판 211 : 앵커홀 22 : 수직판
221 : 수직면 222 : 관통홀 23 : 덧댐판
231 : 용접홀 24 : 보강판
30 : 방음패널
31 : 굴곡 30a : 투시창 32 : 거치부재
321 : 물림부 323 : 볼트 33 : 누름부재
200 : 콘크리트구조물 201 : 앵커볼트
10 : 포스트
11 : 격자홈 111 : 바닥면 12 : 평면
13 : 볼트홀 14 : 연결홀
20 : 받침대
21 : 수평판 211 : 앵커홀 22 : 수직판
221 : 수직면 222 : 관통홀 23 : 덧댐판
231 : 용접홀 24 : 보강판
30 : 방음패널
31 : 굴곡 30a : 투시창 32 : 거치부재
321 : 물림부 323 : 볼트 33 : 누름부재
200 : 콘크리트구조물 201 : 앵커볼트
Claims (5)
- 일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격자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격자홈이 서로 바라보게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포스트,
각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면에 고정되며, 일측면이 상기 포스트의 평면과 이어지는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 및
상기 포스트의 각 격자홈에 측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방음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받침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른 포스트 및 받침대와 면접촉하면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단위체. - 제1항에서,
상기 방음패널의 상단보다 상기 포스트의 상단이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음패널에 가려지지 아니하여 노출된 상기 포스트 상단부의 격자홈의 평면과,
상기 받침대의 상기 수직면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방음벽 단위체. - 제1항에서,
상기 격자홈의 전후 폭에 비하여 상기 방음패널은 전후 두께가 짧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포스트에 장착된 상기 방음패널 전면과 상기 격자홈의 전면부와의 틈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격자홈의 바닥면에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방음벽 단위체의 포스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방음벽 단위체. - 제1항에서,
상기 받침대는
포스트의 격자형 하단이 연결되며, 앵커볼트가 통과되는 앵커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
수평판의 일측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상기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평판과 상기 포스트의 전면부에 연결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방음벽 단위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음벽 단위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앵커볼트가 구비된 콘크리트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대가 연결된 좌우의 상기 포스트와, 상기 방음패널을 조립하여 다수의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준비하는 단계,
설치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로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옮겨, 상기 앵커볼트에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에 세워진 상기 방음벽 단위체를 서로 결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448A KR101939997B1 (ko) | 2017-03-08 | 2017-03-08 | 방음벽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448A KR101939997B1 (ko) | 2017-03-08 | 2017-03-08 | 방음벽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817A true KR20180102817A (ko) | 2018-09-18 |
KR101939997B1 KR101939997B1 (ko) | 2019-04-11 |
Family
ID=6371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9448A KR101939997B1 (ko) | 2017-03-08 | 2017-03-08 | 방음벽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99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1424A (zh) * | 2022-06-15 | 2022-08-30 | 盐城市天辰建筑安装有限公司 | 一种具有降噪的建筑施工平台用组合型支架以及施工平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2111U (ja) * | 1996-06-07 | 1996-12-17 | 大東金属株式会社 | 道路遮音壁用y型支柱 |
KR200252817Y1 (ko) * | 2001-07-13 | 2001-11-26 |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 방음벽 |
KR200369290Y1 (ko) * | 2004-08-26 | 2004-12-04 | 주식회사 가람테크 | 차단판이 설치된 방음벽 |
KR20120029897A (ko) | 2010-09-17 | 2012-03-27 | 주식회사 유니엠 |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방법 |
KR101129488B1 (ko) * | 2011-07-16 | 2012-03-28 | 김명호 |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2111B2 (ja) * | 1994-04-07 | 2000-04-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の実装構造 |
-
2017
- 2017-03-08 KR KR1020170029448A patent/KR101939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2111U (ja) * | 1996-06-07 | 1996-12-17 | 大東金属株式会社 | 道路遮音壁用y型支柱 |
KR200252817Y1 (ko) * | 2001-07-13 | 2001-11-26 |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 방음벽 |
KR200369290Y1 (ko) * | 2004-08-26 | 2004-12-04 | 주식회사 가람테크 | 차단판이 설치된 방음벽 |
KR20120029897A (ko) | 2010-09-17 | 2012-03-27 | 주식회사 유니엠 |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방법 |
KR101129488B1 (ko) * | 2011-07-16 | 2012-03-28 | 김명호 |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1424A (zh) * | 2022-06-15 | 2022-08-30 | 盐城市天辰建筑安装有限公司 | 一种具有降噪的建筑施工平台用组合型支架以及施工平台 |
CN114961424B (zh) * | 2022-06-15 | 2023-10-20 | 盐城市天辰建筑安装有限公司 | 一种具有降噪的建筑施工平台用组合型支架以及施工平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9997B1 (ko) | 2019-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51757B2 (ja) | プレキャスト壁高欄同士の接合構造 | |
JP2014510855A (ja) | 3次元立体形状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軌道敷設方法 | |
KR100856557B1 (ko) |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 | |
KR20200130317A (ko) | 구조물 요소에 대해 고정하고, 다른 구조물 요소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유지하며, 그리고 다른 구조물 요소에 대한 포지션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 | |
KR101939997B1 (ko) | 방음벽 시공방법 | |
JP2011021384A (ja) | 道路橋の拡幅構造及び道路橋の拡幅工法 | |
KR102270088B1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 |
KR20110124848A (ko) | 철도 콘크리트 도상용 흡음판, 이를 이용한 철도 콘크리트 도상의 방음시공방법 및 철도 콘크리트 도상 방음구조 | |
KR101415290B1 (ko) | 다중박스거더교의 프리캐스트방식 상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2008214930A (ja) | 鉄道ホーム間仮設橋 | |
JP4136959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架設桁」 | |
CN217810491U (zh) | 一种桥梁伸缩缝 | |
JP5913033B2 (ja) |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 |
KR102272087B1 (ko) | 투명패널 교체형 방음판 | |
KR101199731B1 (ko) |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94194B1 (ko) | 유도레일을 구비한 철도 건널목 보판장치 | |
CN212506381U (zh) | 一种拼接式轨旁信号设备围台 | |
KR102144769B1 (ko) |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 |
US20040231249A1 (en) | Platfor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419264B1 (ko) |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 |
GB2456834A (en) | Temporary platform | |
KR101502496B1 (ko) | 조립식 철도승강장 | |
JP7041422B6 (ja) | 防音壁構成部材及び防音壁構造 | |
KR200432583Y1 (ko) |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 |
JP5991843B2 (ja) | 軌道面敷設用敷板の敷設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