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837A - 부직포 본딩장치 - Google Patents

부직포 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37A
KR20180098837A KR1020170025469A KR20170025469A KR20180098837A KR 20180098837 A KR20180098837 A KR 20180098837A KR 1020170025469 A KR1020170025469 A KR 1020170025469A KR 20170025469 A KR20170025469 A KR 20170025469A KR 20180098837 A KR20180098837 A KR 20180098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bracket
frame part
nonwove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연
Original Assignee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투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투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837A/ko
Publication of KR2018009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를 여러 장 적층(積層)시키면서 접착하는 부직포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프레임 상부면을 부직포가 적층되어 쌓이도록 하는 적층영역부와 부직포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공급영역부로 나누어 구분하되, 상기 공급영역부측에 부직포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부직포 적층영역부와 부직포 공급영역부 사이에 접착제 분무수단을 설치하여,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적층영역부로 넘어가면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의 적층 및 본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져 부직포의 본딩작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부직포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 본딩장치{A Nonwoven 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부직포를 여러 장 적층(積層)시키면서 접착하는 부직포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프레임 상부면을 부직포가 적층되어 쌓이도록 하는 적층영역부와 부직포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공급영역부로 나누어 구분하되, 상기 공급영역부측에 부직포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부직포 적층영역부와 부직포 공급영역부 사이에 접착제 분무수단을 설치하여,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적층영역부로 넘어가면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의 적층 및 본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져 부직포의 본딩작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부직포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는 직물, 편물의 대체품으로 개발된 섬유상 평면구조로, 실을 짜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섬유를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로 처리해서 섬유집합체를 결속시켜 직접 포의 형태를 이루게 한 것으로 접착포(bonded fabric)라고도 한다.
즉, 섬유로 얇은 웹(web)을 만들고 이 웹 상태의 섬유를 접착제 또는 열융착 기계적 방식으로 접착시킨 것을 말한다. 부직포의 제법에는 건식과 습식의 두 가지가 있으며 웹을 만드는 공정, 접착제로 고정 시키는 공정, 그리고 건조·완성시키는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부직포는 심지로 사용되고 실험복, 수술복 등 1회용 의복에 사용되며, 공업용으로는 방음, 보온재, 여과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용 범위가 넓혀지고 있다
종래로부터 부직포는 1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마스크 등의 의료용 용품, 와이퍼 등의 청소용 용품과 같은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는 종래로부터 다른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실제로 각 분야의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성질이나 구조가 되도록 제조될 필요가 있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가습기에도 습기를 머금도록 하여 서서히 증발하도록 하는 가습재로도 사용되고 있고 또한 조명수단에도 커버 등에 사용되는 소재로 하여 인테리어에 변형을 주도록 하는 장식재 등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707143 (등록번호) 2007.04.06. KR 10-1240750 (등록번호) 2013.02.28. KR 10-1150823 (등록번호) 2012.05.22.
상기와 같은 부직포는 가습재나 인테리어 장식재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얇은 부직포를 여러장 적층하여 필요한 두께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직포를 여러 장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적층 시마다 풀이나 본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도포하여 접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부직포가 매우 얇은 포 형태이기 때문에 이들을 여러 장 적층하여 접착시키는 본딩작업시 매우 어렵고 불편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프레임 상부면을 부직포가 적층되어 쌓이도록 하는 적층영역부와 부직포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공급영역부로 나누어 구분 설치하고,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적층영역부로 넘어가면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의 적층 및 본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져 부직포의 본딩작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부직포 본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영역부의 부직포를 이송수단의 양단부에 간편하게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훼손되지 않고 적층영역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얇은 포 형태의 부직포를 여러 장 적층하는 본딩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몸체프레임(110)과,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부직포(101)가 적치(積置)되는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대향(對向)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101)를 안치하여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안치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보내주는 이송수단(150), 및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상기 부직포(101)가 이송될 때 상기 부직포(101)의 표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분출수단(16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는 이송되어 오는 상기 부직포(101)가 차례로 적치하는 적층플레이트(121)가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는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하여 적층시키려는 상기 부직포(101)가 놓이는 상치플레이트(131)가 구비되며, 상기 상치플레이트(131)는 상기 적층플레이트(121)보다 높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케트(141)와, 상기 지지브라케트(141)에 삽설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42), 상기 회동축(142)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풀리수단(143), 양측의 상기 풀리수단(143)에 설치되는 밸트수단(144), 및 상기 회동축(142)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150)은 상기 밸트수단(144)에 연결되는 이송브라케트(151)와,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의 하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레일(111)에 삽설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송레일(152), 및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치(上置)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 및 해제하는 부직포지지수단(15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53a)와, 상기 몸체부(153a)에 삽설되어 상기 몸체부(153a)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지지축(153b),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에 고정되면서 상기 회동지지축(153b)의 양단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케트(153c), 상기 몸체부(153a)에 삽설되면서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치(上置)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고정하는 고정핀부재(153d)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의 상기 몸체부(153a)에는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154)가 삽설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상기 부직포(101)가 이송될 때 상기 부직포(101)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이송되는 상기 부직포(101)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프레임(110)에 연결 설치되는 몸체부(161)와, 상기 몸체부(161)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어 접착제를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162), 및 접착제를 공급해주는 펌프(P)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는 몸체프레임 상부면을 부직포가 적층되어 쌓이도록 하는 적층영역부와 부직포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공급영역부로 나누어 구분 설치하고,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적층영역부로 넘어가면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의 적층 및 본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져 부직포의 본딩작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영역부의 부직포를 이송수단의 양단부에 간편하게 고정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훼손되지 않고 적층영역부로 이송되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전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에 구비되는 부직포 공급영역부의 요부 확대도(a) 및 개략적인 측면상태도(b)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에 구비되는 부직포 공급영역부의 지지수단에 대한 상세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에 있어 부직포가 공급영역부에서 적층영역부로 이송되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100)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지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프레임(110)과,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부직포(101)가 적치(積置)되는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대향(對向)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101)를 안치하여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정면부 및 후면부에 설치되고 구동수단(M)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안치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보내주는 이송수단(150), 및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상기 부직포(101)가 이송될 때 상기 부직포(101)의 표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분출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부직포 본딩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안치시키고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에 연결된 상기 이송수단(150)이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하면서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한 후 상기 부직포(101)의 지지상태를 해지하게 되면 상기 부직포(101)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 적치되게 된다.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는 상기 부직포(101)가 여러 장 적층되어 두꺼운 부직포(101a)가 만들어진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101)가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을 통과할 때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이 그 표면에 접착제를 분출하여 도포해 준다.
이후 다시 상기 이송수단(15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한 다음 반복적으로 상기 동작을 시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 다수 장의 상기 부직포(101)가 적층되고 상기 접착제에 의해 이들 사이가 상하로 접착되면서 견고하게 여러 층으로 적치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가습기에 사용되는 가습재용 부직포나 조명기구의 커버부재 등으로 사용하는 장식재 등의 부직포는 상기와 같이 얇은 포 형태의 부직포를 다수장 적층한 다음 적층된 부직포를 적당한 두께로 제작 및 재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는 이송되어 오는 상기 부직포(101)가 차례로 적치하는 적층플레이트(1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는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하여 적층시키려는 상기 부직포(101)가 놓이는 상치플레이트(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높이는 상기 적층플레이트(121)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측면에는 상치되는 상기 부직포(101)의 이탈을 막아줄 수 있도록 이탈방지턱(131a)이 구비되어 있다.
이는 부직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송하여 적층시키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정면부 및 후면부에 설치되고 구동수단(M)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장치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양측면에 지지브라케트(141)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42)과, 상기 회동축(142)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풀리수단(143), 양측의 상기 풀리수단(143)에 설치되는 밸트수단(144), 및 상기 회동축(142)을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회동축(142)은 어느 한쪽이 구동축이고 다른 쪽은 피동축이 된다.
또한 상기 풀리수단(143)은 스프라켓수단으로, 상기 밸트수단(144)은 체인수단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수단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동축(14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밸트수단(144)이 회전되게 된다. 상기 회동축(142)은 정역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밸트수단(144)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150)은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에 연결되면서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안치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밸트수단(144)에 연결되는 이송브라케트(151)와,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의 하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레일(111)에 삽설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송레일(152), 및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치(上置)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 및 해제하는 부직포지지수단(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기 부직포(101)를 상치하고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을 통해 상기 부직포(101)을 지지한 다음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밸트수단(143)이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이송브라케트(151)가 상기 레일(111)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이어, 상기 이송브라케트(151)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넘어 가는 순간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에서는 접착제가 상기 부직포(101)의 표면으로 분사되면서 도포되고 상기 이송브라케트(151)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완전히 이송되면 상기 부직포(101)을 지지하고 있던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을 해제한 후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적층플레이트(121)에 내려 놓으면서 적층시킨다.
이어,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의 역 구동에 의해 상기 밸트수단(143)이 역회전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작업을 반복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폭은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측으로 상치되는 상기 부직포(101)의 폭보다 좁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폭을 넘어서는 상기 부직포(101)의 모서리부가 상기 이동브라케트(151)에 지지되면서 상기 이동브라케트(151)의 이송시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53a)와, 상기 몸체부(153a)에 삽설되어 상기 몸체부(153a)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지지축(153b),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에 고정되면서 상기 회동지지축(153b)의 양단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케트(153c), 상기 몸체부(153a)에 삽설되면서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치(上置)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고정하는 고정핀부재(153d)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으로 상기 부직포(101)가 상치되면 상기 몸체부(153a)는 상기 회동지지축(153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부직포(101)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고정핀부재(153d)로 찔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부직포(101)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모서리부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기 이동부라케트(151)의 상부면 모서리부에 상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핀부재(153d)에 의해 상기 부직포(101)의 가장자리부를 찔러서 고정하면 상기 이송수단(150)을 작동시켜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 적층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부재(153d)는 압정핀이나 기타 끝이 뾰족한 핀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소모품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부재(153d)는 상기 몸체부(153a)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의 상기 몸체부(153a)에는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154)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54)는 상기 몸체부(15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에 상기 지지부재(154)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삽입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상의 부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53a)가 상기 회동지지축(153b)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측면부가 상기 부직포(101)의 모서리부로 밀착되면 상기 몸체부(153a)의 측면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154)가 상기 부직포(101)의 모서리부를 안정적으로 눌러 주면서 상기 고정핀부재(153d)에 의해 들뜨거나 훼손되는 것을 막아줄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에 구비되는 상기 몸체부(153)를 회동시키는 작동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90도 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자동화 수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상기 부직포(101)가 이송될 때 상기 부직포(101)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표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이송되는 상기 부직포(101)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몸체부(161)와, 상기 몸체부(161)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어 접착제를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162), 및 접착제를 공급해주는 펌프(P)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101)가 상기 노즐(162)을 통과할 때 상기 펌프(P)가 작동되면서 상기 노즐(162)에서 접착제가 분출되어 상기 부직포(101)의 표면이 접착제로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부직포 본딩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안치시킨다.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구비되는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으로 상기 부직포(101)를 상치한 후 상기 몸체부(153a)를 상기 회동지지축(153b)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부직포(101)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고정핀부재(153d)로 찔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기 부직포(101)를 상치하고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의 상기 고정핀부재(153d)로 상기 부직포(101)을 지지한 다음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밸트수단(143)이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이송브라케트(151)가 상기 레일(111)을 따라 이송하게 된다.
이어, 상기 이송브라케트(151)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넘어가는 순간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에서는 접착제가 상기 부직포(101)의 표면으로 분사되면서 도포되고 상기 이송브라케트(151)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완전히 이송되면 상기 부직포(101)을 지지하고 있던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의 상기 몸체부(153a)를 90도 회전하여 해제한 후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적층플레이트(121)에 내려 놓으면서 적층시킨다.
이어, 상기 동력전달수단(140)의 역 구동에 의해 상기 밸트수단(143)이 역회전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작업을 반복 실시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 여러 층으로 상기 부직포(101)가 적층되면 이를 하차하여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본딩장치는 몸체프레임 상부면을 부직포가 적층되어 쌓이도록 하는 적층영역부와 부직포를 낱장으로 공급하는 공급영역부로 나누어 구분하되, 상기 공급영역부측에 부직포 이송수단을 설치하고 부직포 적층영역부와 부직포 공급영역부 사이에 접착제 분무수단을 설치하여, 공급영역부의 부직포가 이송수단의 작동에 의해 적층영역부로 넘어가면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의 적층 및 본딩작업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져 부직포의 본딩작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00:부직포 본딩장치 101:부직포
110:몸체프레임
120:부직포적층프레임부 121:적층플레이트
130:부직포공급프레임부 131:상치플레이트
140:동력전달수단
141:지지브라케트 142:회동축 143:풀리수단 144:밸트수단
150:이송수단
151:이송브라케트 152:이송레일 153:부직포지지수단
153a:몸체부 153b:회동지지축 153c:고정브라케트 153d:고정핀부재
154:지지부재
160:접착제분출수단
161:몸체부 162:노즐 P:펌프

Claims (6)

  1. 얇은 포 형태의 부직포를 여러 장 적층하는 본딩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되는 몸체프레임(110)과,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어 부직포(101)가 적치(積置)되는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대향(對向)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101)를 안치하여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 안치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보내주는 이송수단(150), 및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상기 부직포(101)가 이송될 때 상기 부직포(101)의 표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분출수단(160)을 포함하는 부직포 본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에는 이송되어 오는 상기 부직포(101)가 차례로 적치하는 적층플레이트(121)가 구비되고,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에는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이송하여 적층시키려는 상기 부직포(101)가 놓이는 상치플레이트(131)가 구비되며, 상기 상치플레이트(131)는 상기 적층플레이트(121)보다 높게 설치되는 부직포 본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케트(141)와, 상기 지지브라케트(141)에 삽설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142), 상기 회동축(142)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풀리수단(143), 양측의 상기 풀리수단(143)에 설치되는 밸트수단(144), 및 상기 회동축(142)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150)은 상기 밸트수단(144)에 연결되는 이송브라케트(151)와,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의 하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레일(111)에 삽설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송레일(152), 및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치(上置)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 및 해제하는 부직포지지수단(153)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본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53a)와, 상기 몸체부(153a)에 삽설되어 상기 몸체부(153a)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지지축(153b), 상기 이송브라케트(151)에 고정되면서 상기 회동지지축(153b)의 양단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케트(153c), 상기 몸체부(153a)에 삽설되면서 상기 상치플레이트(131)의 상부면에 상치(上置)되는 상기 부직포(101)를 고정하는 고정핀부재(153d)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본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지지수단(153)의 상기 몸체부(153a)에는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부직포(10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154)가 삽설 구비되는 부직포 본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분출수단(160)은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와 상기 부직포공급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부직포적층프레임부(120)로 상기 부직포(101)가 이송될 때 상기 부직포(101)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이송되는 상기 부직포(101)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프레임(110)에 연결 설치되는 몸체부(161)와, 상기 몸체부(161)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어 접착제를 분출하는 다수의 노즐(162), 및 접착제를 공급해주는 펌프(P)로 구성되는 부직포 본딩장치.
KR1020170025469A 2017-02-27 2017-02-27 부직포 본딩장치 KR20180098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69A KR20180098837A (ko) 2017-02-27 2017-02-27 부직포 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69A KR20180098837A (ko) 2017-02-27 2017-02-27 부직포 본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37A true KR20180098837A (ko) 2018-09-05

Family

ID=6359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69A KR20180098837A (ko) 2017-02-27 2017-02-27 부직포 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83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43B1 (ko) 2005-11-07 2007-04-13 이경식 항균 부직포
KR101150823B1 (ko) 2012-02-24 2012-06-14 유용근 부직포 제조장치
KR101240750B1 (ko) 2011-04-27 2013-03-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신축 회복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동시에 가지는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43B1 (ko) 2005-11-07 2007-04-13 이경식 항균 부직포
KR101240750B1 (ko) 2011-04-27 2013-03-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신축 회복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동시에 가지는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0823B1 (ko) 2012-02-24 2012-06-14 유용근 부직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665B2 (ja) カーペット又は平面状支持材への電子部品の装着方法、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付きカーペット又は平面状支持材
US10337793B2 (en) System and methods involving fabricating sheet products
JP2001171029A (ja) 粒子堆積体の製造方法
JP2014079708A (ja) 両面塗布装置
JP2007260865A (ja) 積層体フイルムのハーフカット方法及び装置
WO2003084848A1 (en) Angled product transfer conveyor
JP2016152178A (ja) 積層装置
JP5202612B2 (ja) 原反スプライス装置
JP6001359B2 (ja) 資材継ぎ装置
KR101849715B1 (ko) 합지 처리 장치 및 합지 처리 방법
WO2018084078A1 (ja) シート繰出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繰出方法
KR20090010905A (ko) 적층체 필름의 부착 방법
KR20180098837A (ko) 부직포 본딩장치
KR101475488B1 (ko) 패널표면 라미네이팅 장치
KR101639049B1 (ko) 성질과 평량이 다른 지류의 고속 합지장치
JP3153060B2 (ja) 繊維の積繊方法及び積繊装置
KR100638114B1 (ko) 라미네이팅 장치
US11279149B2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JP6060140B2 (ja) 乾式指紋洗浄装置
KR100317432B1 (ko) 라미네이터용 피착물 자동공급장치
JP3168708U (ja) 接着剤の塗布装置
JP2009078509A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システム
JPH1135225A (ja) 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837069B1 (ko) 기판 필름 접착용 습식 자동 커팅 라미네이팅 장치용 기판 수분 공급 유닛
KR20090001835U (ko) 접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