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381A -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381A
KR20180098381A KR1020187021680A KR20187021680A KR20180098381A KR 20180098381 A KR20180098381 A KR 20180098381A KR 1020187021680 A KR1020187021680 A KR 1020187021680A KR 20187021680 A KR20187021680 A KR 20187021680A KR 20180098381 A KR20180098381 A KR 20180098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replacement
information
replacement cycle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요시다
히로아키 기무라
마사히로 가케노
교헤이 니시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적절하게 분할할 수 있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를 제공한다. 교체 주기 산출 장치는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와,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는 영향 분석부와, 상기 영향 분석부에 의해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경향별 정보 분할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
본 발명은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를 개시한다. 당해 교체 주기 산출 장치는 지정된 요소에 있어서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산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3-214124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있어서,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요소는, 자의적으로 지정된다. 이 때문에, 부품의 교체 주기에 대한 당해 요소의 영향이 적은 경우,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는 적절하게 분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적절하게 분할할 수 있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는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와,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는 영향 분석부와, 상기 영향 분석부에 의해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경향별 정보 분할부를 구비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은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과, 영향 분석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에 의해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는 영향 분석 공정과, 경향별 정보 분할부에 있어서, 상기 영향 분석 공정에 의해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경향별 정보 분할 공정을 구비한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분석 대상의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특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적절하게 분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영향 분석부의 처리와 경향별 정보 분할부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품은 제품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부품은 엘리베이터의 로프이다. 예를 들면, 부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이다. 예를 들면, 부품은 에스컬레이터의 브레이크이다.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와, 영향 분석부(1b)와, 경향별 정보 분할부(1c)와, 교체 주기 산출부(1d)를 구비한다.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는 부품의 식별 정보에 제1 정보와 제2 정보와 제3 정보와 제4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당해 부품이 교체된 시간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당해 부품의 전회(前回) 교체로부터 이번 교체까지의 기간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정보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2 정보는 당해 부품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동적 파라미터의 변화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정보는 당해 부품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정보는 당해 부품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로의 승차 인원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3 정보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3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과는 상이한 부품의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시브의 사용 연수(年數)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시브의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사용 연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4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靜的) 파라미터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4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정격 용량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4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4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가 적용되는 층상 수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4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승강 행정(行程)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4 정보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엘리베이터에 이용된 복수의 부품의 타입명의 정보를 포함한다.
영향 분석부(1b)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 파라미터가 같은 제품에 대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한다.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영향 분석부(1b)에 의해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복수의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가 같은 제품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교체 주기 산출부(1d)는 경향별 정보 분할부(1c)에 의해 분할된 집합에 대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를 산출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영향 분석부(1b)의 처리와 경향별 정보 분할부(1c)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영향 분석부의 처리와 경향별 정보 분할부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분석 대상의 부품 α의 지정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부품 α가 엘리베이터의 로프인 경우, 영향 분석부(1b)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로부터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정보를 추출한다.
영향 분석부(1b)는 부품 α의 정보를 복수의 집합으로 나눈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각 엘리베이터의 단위로 로프의 정보를 모음으로써 로프의 정보를 복수의 집합으로 나눈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정적 파라미터가 같은 엘리베이터의 단위로 로프의 정보를 모음으로써 로프의 정보를 복수의 집합으로 나눈다.
영향 분석부(1b)는 부품 α의 식별 정보에 대응지어진 제2 정보와 제3 정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자동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결정목(決定木, decision tree)을 이용하여 당해 부품 α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자동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부품 α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자동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집합 A에 대해서는 시브의 열화 정도를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집합 B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를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는 집합 C에 대해서 시브의 열화 정도를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서 특정한다.
이 때, 영향 분석부(1b)는 미리 설정된 값을 임계치로 하는 통계량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복수의 요소를 특정하기도 한다.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복수의 집합에 있어서 영향 분석부(1b)에 의해 특정된 요소에 기초하여 부품 α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집합 A에 있어서 시브의 열화 정도로 로프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집합 B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로 로프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집합 C에 있어서 시브의 열화 정도로 로프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또한,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영향 분석부(1b)에 의해 특정된 요소가 같은 복수의 집합을 모은 하나의 집합에 대해서 부품 α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기도 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로프에 대한 영향 분석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교체 연월일」은 로프가 교체된 시간을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는 로프의 전회 교체로부터 이번 교체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3년) 이하=1」은 로프의 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 이하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때의 표준 주기는 채용되는 분석 수법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이 채용되는 경우, 표준 주기는 로프에 대해서 설정된 교체 주기가 된다.
「기동 횟수」는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를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는 로프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로의 승차 인원수를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는, 로프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횟수를 나타낸다. 「시브의 교환년」은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시브의 교환년을 나타낸다. 당해 교환년은 열화 정도에 대응한다.
영향 분석부(1b)는 「교체 연월일」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와「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3년) 이하=1」과「기동 횟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와「시브의 교환년」에 대해서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여 영향 분석을 행한다. 이때, 영향 분석부(1b)는 「교체 연월일」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와「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3년) 이하=1」과「기동 횟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와「시브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의 통계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시브의 교환년」의 통계량은 「0.01922」이다. 예를 들면, 「기동 횟수」의 통계량은 「0.72010」이다. 예를 들면, 「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의 통계량은 「0.88972」이다.
예를 들면, 통계량 0.05 미만의 요소가 로프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 영향 분석부(1b)는 「시브의 교환년」을 로프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 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에 대한 영향 분석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교체 연월일」은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가 교체된 시간을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의 전회 교체로부터 이번 교체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4년) 이하=1」은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의 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 이하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기동 횟수」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를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로의 승차 인원수를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도어 열림 횟수를 나타낸다. 「승강장 도어 행거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는,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행거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를 나타낸다. 당해 경과 연수는 열화 정도에 대응한다.
영향 분석부(1b)는 「교체 연월일」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와「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4년) 이하=1」과「기동 횟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와「승강장 도어 행거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에 대해서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여 영향 분석을 행한다. 이 때, 영향 분석부(1b)는 「교체 연월일」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와「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4년) 이하=1」과「기동 횟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와「승강장 도어 행거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의 통계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 행거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의 통계량은 「0.01922」이다. 예를 들면, 「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의 통계량은 「0.02010」이다. 예를 들면, 「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의 통계량은 「0.98713」이다.
예를 들면, 통계량 0.05 미만의 요소가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 영향 분석부(1b)는 「승강장 도어 행거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와「전회 교체로부터의 도어 열림 횟수」를 승강장 도어 가이드 롤러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 한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브레이크에 대한 영향 분석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교체 연월일」은 브레이크가 교체된 시간을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는 브레이크의 전회 교체로부터 이번 교체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3년) 이하=1」은 브레이크의 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 이하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운전 시간」은 브레이크가 마련된 에스컬레이터의 운전 시간을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는 브레이크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브레이크가 마련된 에스컬레이터로의 승차 인원수를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정지 횟수」는 브레이크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브레이크가 마련된 에스컬레이터의 정지 횟수를 나타낸다. 「구동 벨트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는 브레이크가 마련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벨트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이다. 당해 경과 연수는 열화 정도에 대응한다.
영향 분석부(1b)는 「교체 연월일」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와「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3년) 이하=1」과「운전 시간」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정지 횟수」와「구동 벨트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에 대해서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여 영향 분석을 행한다. 이 때, 영향 분석부(1b)는 「교체 연월일」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와「교체 연수가 표준 주기(3년) 이하=1」과「운전 시간」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와「전회 교체로부터의 정지 횟수」와「구동 벨트 전회 교체로부터의 경과 연수(열화 정도)」의 통계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전회 교체로부터의 정지 횟수」의 통계량은 「0.01022」이다. 예를 들면, 「운전 시간」의 통계량은 「0.06010」이다. 예를 들면, 「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의 통계량은 「0.77972」이다.
예를 들면, 통계량 0.05 미만의 요소가 브레이크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여겨지는 경우, 영향 분석부(1b)는 「전회 교체로부터의 정지 횟수」를 브레이크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로 한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교체 이력의 정보에 대한 분할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건물 번호」는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구비한 건물의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호기」는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부품」은 로프의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전회 교체로부터의 연수」는 로프의 전회 교체로부터 이번 교체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시브의 교환년」은 로프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시브의 교환년을 나타낸다. 「로프의 교체 주기에 주는 영향」은 로프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서 특정된 요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로프의 교체 주기에 주는 영향」이 「시브의 교환년」인 경우,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로프의 교체 주기에 주는 영향」이 「시브의 교환년」인 정보를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면, 「로프의 교체 주기에 주는 영향」이 「시브의 교환년」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인 경우,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로프의 교체 주기에 주는 영향」이 「시브의 교환년」과「전회 교체로부터의 승차 인원수」인 정보를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호기」에 기초하여 나누어진 복수의 집합마다 정보를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1a)로부터 추출하기도 한다.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추출한 정보에 대해서 복수의 분할 경계를 설정한다.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복수의 분할 경계의 각각으로 검정(檢定)을 행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로그 랭크 검정을 행한다.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검정 결과에 기초하여 교체 주기의 산출시에 이용하는 분할 경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미세하게 경계를 어긋나게 하여 2분할한다. 예를 들면,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분할된 2개의 집합 사이의 경향 차가 가장 커서 유의차(有意差)가 있는 분할 경계를 교체 주기의 산출시에 이용하는 분할 경계로서 설정한다.
또한, 복수의 요소가 로프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우는, 경향별 정보 분할부(1c)는 복수의 요소에서 분할 경계를 어긋나게 해 가, 교체 주기의 산출시에 이용하는 분할 경계를 설정한다.
또, 분할 경계의 후보는 과거의 지견(知見)에 기초하여 수작업으로 설정되기도 한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분석 대상의 부품의 지정을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에서 교체 주기 산출 장치(1)가 분석 대상의 부품의 지정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스텝 S1의 동작을 반복한다. 스텝 S1에서 교체 주기 산출 장치(1)가 분석 대상의 부품의 지정을 접수한 경우는,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스텝 S2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2에서는,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당해 부품에 대한 영향 분석을 행한다. 그 후,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스텝 S3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한다. 그 후,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스텝 S4의 동작을 행한다. 스텝 S4에서는,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분할 후의 집합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를 산출한다. 그 후, 교체 주기 산출 장치(1)는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분석 대상의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특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적절하게 분할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의 교체 주기를 적절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 분석 대상의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당해 부품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동적 파라미터의 변화가 특정된다.
예를 들면, 분석 대상의 부품이 엘리베이터의 부품인 경우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엘리베이터의 사용 상황이 특정된다.
예를 들면, 「기동 횟수」가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특정된 경우, 로프의 교체 이력의 정보는 「기동 횟수」에 기초하여 분할된다. 그 후, 로프의 교체 주기가 산출된다. 예를 들면, 「기동 횟수」가 월 당 0회에서부터 30000회인 엘리베이터의 집합에 대해, 로프의 교체 주기는 5년이 된다. 예를 들면, 「기동 횟수」가 월 당 30000회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집합에 대해, 로프의 교체 주기는, 2년이 된다. 이때, 특정의 엘리베이터의 「기동 횟수」에 기초하여 당해 엘리베이터가 어느 집합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면, 로프의 교체 주기를 보다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분석 대상의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과는 상이한 부품의 열화 정도가 특정된다.
예를 들면, 분석 대상의 부품이 엘리베이터의 부품인 경우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엘리베이터의 당해 부품과는 상이한 부품의 열화 정도가 특정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복수의 부품에 있어서의 서로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브가 열화되어 있으면 로프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 대상의 부품이 에스컬레이터의 부품인 경우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에스컬레이터의 당해 부품과는 상이한 부품의 열화 정도가 특정된다. 이 때문에, 에스컬레이터의 복수의 부품에 있어서의 서로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난간 구동 장치가 열화되어 있으면 난간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교체 주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해도 된다. 이 경우,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계산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복수의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해도 된다. 이 경우,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보다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 파라미터가 같은 제품에 대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와 같이 단체(單體)로는 통계적 수법을 이용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특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2a)와 적어도 1개의 메모리(2b)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처리 회로는 적어도 1개의 전용의 하드웨어(3)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2a)와 적어도 1개의 메모리(2b)를 구비하는 경우,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적어도 한쪽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적어도 한쪽은, 적어도 1개의 메모리(2b)에 격납된다.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2a)는 적어도 1개의 메모리(2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2a)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2b)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1개의 전용의 하드웨어(3)를 구비하는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 조합으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은, 각각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예를 들면,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은, 통괄하여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의 하드웨어(3)로 실현하고, 다른 부분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영향 분석부(1b)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용의 하드웨어(3)로서의 처리 회로로 실현하고, 영향 분석부(1b)의 기능 이외의 기능에 대해서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2a)가 적어도 1개의 메모리(2b)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3),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조합으로 교체 주기 산출 장치(1)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교체 주기 산출부(1d)의 기능은 교체 주기 산출 장치(1) 이외의 장치로 실현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은,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교체 주기 산출 장치 1a: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
1b: 영향 분석부 1c: 경향별 정보 분할부
1d: 교체 주기 산출부 2a: 프로세서
2b: 메모리 3: 하드웨어

Claims (12)

  1.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와,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는 영향 분석부와,
    상기 영향 분석부에 의해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경향별 정보 분할부를 구비한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로서, 당해 부품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동적 파라미터의 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로서,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과는 상이한 부품의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향별 정보 분할부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향별 정보 분할부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복수의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는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에 대해서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靜的) 파라미터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고,
    상기 영향 분석부는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 파라미터가 같은 제품에 대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고,
    상기 경향별 정보 분할부는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가 같은 제품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7.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부에 있어서,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과,
    영향 분석부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에 의해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는 영향 분석 공정과,
    경향별 정보 분할부에 있어서, 상기 영향 분석 공정에 의해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경향별 정보 분할 공정을 구비한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로서, 당해 부품의 전회 교체로부터의 동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동적 파라미터의 정보를 기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로서,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에 있어서의 당해 부품과는 상이한 부품의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향별 정보 분할 공정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향별 정보 분할 공정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복수의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교체 이력 정보 기억 공정은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의 정보에 대해서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 파라미터의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영향 분석 공정은 당해 부품이 마련된 제품의 정적 파라미터가 같은 제품에 대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복수의 요소의 후보 중에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를 분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향별 정보 분할 공정은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소가 같은 제품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된 요소에 있어서 당해 부품의 교체 이력의 정보를 분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방법.
KR1020187021680A 2016-09-29 2016-09-29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 KR201800983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8825 WO2018061148A1 (ja) 2016-09-29 2016-09-29 部品の取替周期算出装置および取替周期算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381A true KR20180098381A (ko) 2018-09-03

Family

ID=6176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680A KR20180098381A (ko) 2016-09-29 2016-09-29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48826B2 (ko)
KR (1) KR20180098381A (ko)
CN (1) CN109074524A (ko)
TW (1) TW201820214A (ko)
WO (1) WO20180611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754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한화 의사 결정 트리 기반의 최적 부품을 선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3975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한화 유도 무기의 창정비 물자를 조달하고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4124A (ja) 2012-03-30 2013-10-17 Toshiba Corp 保守支援情報算出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8920B1 (en) * 2000-06-19 2001-08-21 James O. Hebberd Method for analyzing and forecasting component replacement
JP2003238041A (ja) * 2002-02-14 2003-08-2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保全装置
JPWO2005057519A1 (ja) * 2003-12-12 2007-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情報収集管理方法、車両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管理基地局装置および車両
EP1965281A1 (en) * 2007-03-02 2008-09-03 Abb Research Ltd. Dynamic maintenance plan for an industrial robot
JP5388060B2 (ja) * 2009-07-13 2014-01-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部品改善計画システム及びその部品改善計画方法
JP5663393B2 (ja) * 2011-04-28 2015-02-04 日立建機株式会社 稼働機械及び保守点検情報生成装置
US20120283963A1 (en) * 2011-05-05 2012-11-08 Mitchell David J Method for predicting a remaining useful life of an engine and components thereof
JP2013085355A (ja) * 2011-10-07 2013-05-09 Kawasaki Heavy Ind Ltd 保守点検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システム
US9002722B2 (en) * 2011-12-12 2015-04-07 The Boeing Company Lifecycle obsolescence forecasting tool
WO2013186880A1 (ja) * 2012-06-13 2013-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保守部品の交換時間間隔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267429B1 (ko) * 2012-08-20 2013-05-30 매크로이에스아이 주식회사 교체주기 분석장치
JP6298797B2 (ja) * 2015-06-18 2018-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交換品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4124A (ja) 2012-03-30 2013-10-17 Toshiba Corp 保守支援情報算出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754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한화 의사 결정 트리 기반의 최적 부품을 선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3975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한화 유도 무기의 창정비 물자를 조달하고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1148A1 (ja) 2018-04-05
CN109074524A (zh) 2018-12-21
JPWO2018061148A1 (ja) 2018-10-04
TW201820214A (zh) 2018-06-01
JP6648826B2 (ja)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8381A (ko) 부품의 교체 주기 산출 장치 및 교체 주기 산출 방법
US10968076B2 (en) Elevator maintenance from inside elevator car
US997573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balancing weight difference in an elevator
JP2017014007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診断方法
CA2570019C (en) Convey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placing a conveying installation in operation
CN110963381A (zh) 使用机器学习的、针对远程电梯监测专家的自动软件升级助手
Muthusamy et al. Effectiveness of test case prioritization techniques based on regression testing
JP6021656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方法
US9533857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WO2020234928A1 (ja) エレベーターの運行管理システム
WO2020079839A1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劣化予測システム
JP5967017B2 (ja) 影響因子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80991A (ko) 리프트 장치의 동작방법
CN114555507B (zh) 用于使用数字替身数据组在人员运送设备中执行至少部分虚拟化的一致性评估的方法和装置
CN101068740A (zh) 电梯组群管理控制装置
DE112017007647T5 (de) Personenförderbandstufenketten-Überwachungssystem
CN116348406B (zh) 电梯的故障诊断装置
JP7328880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KR20190047053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490052B1 (ko)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US11572251B2 (en) Elevator door sensor fusion, fault detection, and service notification
JP7030073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ブレーキ診断方法
JP7267972B2 (ja) エレベーターブレーキ診断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ブレーキ診断方法
CN114502495B (zh) 调整电梯的诊断运转设定的诊断运转调整装置、监视装置以及电梯系统
CN113844969B (zh) 电梯远程监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