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988A -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988A
KR20180097988A KR1020170024872A KR20170024872A KR20180097988A KR 20180097988 A KR20180097988 A KR 20180097988A KR 1020170024872 A KR1020170024872 A KR 1020170024872A KR 20170024872 A KR20170024872 A KR 20170024872A KR 20180097988 A KR20180097988 A KR 2018009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lift
post
roll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250B1 (ko
Inventor
박용오
Original Assignee
박용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오 filed Critical 박용오
Priority to KR102017002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2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대 위에서 부품 조립 시 작업대가 있는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올려주는 기능을 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대의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의 승강 시, 모터와 볼스크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동 방식과 포스트의 전후 및 좌우 4개소를 지지점으로 하는 승강 가이드 방식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리프트 승강 작동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등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사이즈가 작고 구조 및 조작이 간단하여 취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소형의 작업장에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A NACHINE PART BOX LIFT}
본 발명은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 위에서 부품 조립 시 작업대가 있는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올려주는 기능을 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산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작업대는 대부분 그 높이가 작업자의 신체적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장시간 작업 시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 등을 유발 및 작업의 불편함을 주게 된다.
예를 들면, 각종 작업 시 작업자는 작업대에 상자 또는 부품 등을 다수 개 올려 놓은 상태에서 검사 작업, 조립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다량의 부품이 들어 있는 상자 등과 같은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려서 놓을 경우, 작업자의 신체보다 작업위치, 즉 작업대가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신체에 부담이 오게 됨은 물론 상자 또는 부품의 운반 시 무거운 상자 또는 부품을 허리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야 하는 등 각종 질환과 작업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479호에서는『작업용 승강 리프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작업용 승강 리프트』는 적재물의 무게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 일측상단을 이송대의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장력조절대로 스프링의 설치장력을 조절하여 탄성력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작업자는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 시 승강 리프트의 후면 커버를 수시로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작업판에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적재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해야 하는데, 승강 리프트는 스프링의 장력조절대가 기기 하단 내측에 구성되어져 있는 관계로 작업자가 장력조절대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작업판과 적재물의 위치를 육안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스프링의 정교한 탄성력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결국, 작업위치의 높낮이가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곳에 위치하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013호에서도『작업용 승강 리프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작업용 승강 리프트』의 경우,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중량물 승강 시 무게 중심 등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고 작동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 시 기능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479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401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대의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의 승강 시, 모터와 볼스크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동 방식과 포스트의 전후 및 좌우 4개소를 지지점으로 하는 승강 가이드 방식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리프트 승강 작동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등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사이즈가 작고 구조 및 조작이 간단하여 취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소형의 작업장에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2개의 나란한 포스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리프트 본체와, 상기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면서 베이스 프레임측과 포스트 프레임측에 상하단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볼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볼스크류 샤프트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측과 볼스크류 샤프트측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와, 상기 각 포스트 프레임측에 구름 접촉되면서 프레임을 타고 위아래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롤 가이드부와, 부품 박스를 탑재하는 곳으로서 양편의 롤 가이드부에 의해 후단 지지됨과 더불어 볼스크류 샤프트와 볼스크류 결합되어 전동가능한 볼스크류 너트를 가지는 적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롤 가이드부는 박스형 단면의 가이드부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포스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됨과 더불어 포스트 프레임측에 접하면서 롤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은 "V"형 구름면을 가지는 롤 형태로 이루어져,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포스트 프레임의 서로 맞은편에 있는 모서리 2곳과 접하면서 굴러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 플레이트에 있는 볼스크류 너트와 볼스크류 샤프트의 결합 중심점과 양편의 롤 가이드부가 지지되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 사이를 있는 중심선은 리프트 본체 앞쪽과 뒷쪽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승강 시 균형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동부는 체인 전동 방식, 벨트 전동 방식, 기어 전동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후단부에 수직 설치되면서 앞쪽으로 탑재되는 부품 박스의 무게에 대응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밸런스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터 구동수단과 볼스크류 전동수단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동 방식을 적용함과 더불어 포스트의 전후 및 좌우 4개소의 박스형 롤러 배치구조를 지지점으로 하여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리프트 승강 작동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등 작동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리프트의 전체 사이즈가 소형이고, 전반적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조작 또한 매우 간단하여, 조작 및 취급이 매우 간편하고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소형의 작업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작업자의 버튼 조작만으로 리프트를 작동시켜서 작업대 높이까지 부품 박스를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무리하게 허리를 이용하여 부품 박스를 들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등 작업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안전사고 없이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2개의 나란한 포스트 프레임(11a,11b)으로 구성되는 리프트 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작업장 바닥 등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스트 프레임(11a,11b)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로서,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 뒷쪽에 위치되면서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직으로 나란히 세워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포스트 프레임(11a,11b)은 사각형 단면의 2곳의 모서리 부분이 베이스 프레임 전후 길이 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상단부에는 포스트 판넬(26)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포스트 판넬(26)에는 ON/OFF 스위치 등이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27)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후술하는 적재 플레이트(18)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주는 수단으로 볼스크류 샤프트(13)와 볼스크류 너트(17)를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11a,11b) 사이에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측과 포스트 프레임(11a,11b)측에 상하단이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의 상단부는 포스트 프레임(11a,11b)측, 즉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포스트 판넬(26)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홀더(24a)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홀더(24b)에 역시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의 하단부, 즉 베이스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위치되는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전동부(15)의 풀리(15b)가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풀리(15b)를 통해 모터측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 너트(17)는 볼스크류 샤프트(13)와 볼스크류 조합되어 볼스크류 전동을 통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볼스크류 너트(17)는 너트 홀더(25)를 이용하여 적재 플레이트(18)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볼스크류 샤프트(13)와 볼스크류 너트(17) 간의 볼스크류 전동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8)가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대용량의 부품 박스를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듀얼 타입으로 이루어진 볼스크류 샤프트 및 볼스크류 너트의 조합을 제공한다.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13a)와 볼스크류 너트(17,17a)는 두 세트가 구비된다.
상기 두 세트의 볼스크류 샤프트(13,13a)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11a,11b) 사이 영역에 프레임 폭방향을 따라 좌우로 나란하게 수직 배치된다.
그리고, 각 볼스크류 샤프트(13,13a)는 베이스 프레임(10)측과 포스트 프레임(11a,11b)측에 상하단이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13a)의 상단부는 포스트 프레임(11a,11b)측, 즉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포스트 판넬(26)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홀더(24a)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홀더(24b)에 역시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13a)의 하단부, 즉 베이스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위치되는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전동부(15)의 풀리(15b,15d)가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풀리(15b,15d)를 통해 모터측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후술하는 모터(14)의 축에 장착되는 풀리(15a), 예를 들면 2개의 벨트를 걸 수 있는 2단 풀리와 각 볼스크류 샤프트(13,13a)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각각의 풀리(15b,15d) 사이에는 벨트(15c,15e)가 각각 연결 설치되므로서, 모터측 동력에 의해 볼스크류 샤프트(13,13a)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세트의 볼스크류 너트(17,17a)는 볼스크류 샤프트(13,13a)와 볼스크류 조합되어 볼스크류 전동을 통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볼스크류 너트(17,17a)는 각 너트 홀더(25)를 이용하여 적재 플레이트(18)의 후단부에 좌우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볼스크류 샤프트(13,13a)와 볼스크류 너트(17,17a) 간의 볼스크류 전동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8)가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두 세트의 볼스크류 샤프트(13,13a) 및 볼스크류 너트(17,17a)가 사다리꼴 형태로 배치되므로서, 다량의 기계 부품 등이 들어 있는 부품 박스를 탑재한 적재 플레이트(18)의 승강 시에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여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13a)와 볼스크류 너트(17,17a)는 두 세트가 구비된다.
상기 두 세트의 볼스크류 샤프트(13,13a)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11a,11b) 사이 영역에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앞뒤로 나란하게 수직 배치된다.
그리고, 각 볼스크류 샤프트(13,13a)는 베이스 프레임(10)측과 포스트 프레임(11a,11b)측에 상하단이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13a)의 상단부는 포스트 프레임(11a,11b)측, 즉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포스트 판넬(26)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홀더(24a)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샤프트 홀더(24b)에 역시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13a)의 하단부, 즉 베이스 프레임(10)의 저면부에 위치되는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전동부(15)의 풀리(15b,15d)가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되는 풀리(15b,15d)를 통해 모터측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후술하는 모터(14)의 축에 장착되는 풀리(15a)와 뒷쪽에 위치되는 볼스크류 샤프트(13)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풀리(15b), 예를 들면 2개의 벨트를 걸 수 있는 2단 풀리 사이에 벨트(15c)가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뒷쪽에 위치되는 볼스크류 샤프트(13)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풀리(15b)와 앞쪽에 위치되는 볼스크류 샤프트(13a)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풀리(15d) 사이에 벨트(15e)가 연결 설치되므로서, 모터측 동력에 의해 볼스크류 샤프트(13,13a)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두 세트의 볼스크류 너트(17,17a)는 볼스크류 샤프트(13,13a)와 볼스크류 조합되어 볼스크류 전동을 통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볼스크류 너트(17,17a)는 각 너트 홀더(25)를 이용하여 적재 플레이트(18)의 후단부에 앞뒤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볼스크류 샤프트(13,13a)와 볼스크류 너트(17,17a) 간의 볼스크류 전동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8)가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한 세트의 볼스크류 샤프트(13) 및 볼스크류 너트(17)가 양편의 롤가이드 부(16a,16b)와 삼각형 배치 형태를 이루는 동시에 두 세트의 볼스크류 샤프트(13,13a) 및 볼스크류 너트(17,17a)가 거리를 두고 앞뒤로 배치되므로서, 다량의 기계 부품 등이 들어 있는 부품 박스를 탑재한 적재 플레이트(18)의 승강 시에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여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볼스크류 샤프트(13)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전동부(15)와 모터(14)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부(15)는 모터측 동력을 볼스크류 샤프트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체인 전동 방식, 벨트 전동 방식, 기어 전동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전동부(15)는 모터(15)의 축에 장착되는 풀리(15a)와, 볼스크류 샤프트(13)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풀리(15b)와, 상기 2개의 풀리(15a,15b)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15c),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15)의 작동 시 풀리(15a,15b) 및 벨트(15c)에 의해 벨트 전동 방식에 의해 볼스크류 샤프트(13)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5)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서보 모터로서, 베이스 프레임(12)의 상면부 뒷쪽에 위치되면서 축을 아래로 하여 수직자세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모터(15)는 전동부(15)를 통해 볼스크류 샤프트(13)측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11a,11b)측에 구름 접촉되면서 프레임을 타고 위아래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롤 가이드부(16a,16b)를 포함한다.
상기 롤 가이드부(16a,16b)는 포스트 프레임(11a,11b)을 타고 이동하는 총 두 쌍의 가이드 롤(21)을 이용하여 적재 플레이트(18)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적재 플레이트(18)의 후단부 상면에는 각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박스형 단면의 가이드부 하우징(19)이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부 하우징(19)의 내측에는 가이드부 하우징(19)의 내벽에 설치되는 롤 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롤 브라켓(20)측에 관통 결합되는 롤 핀(23)에 축설되면서 회전가능한 가이드 롤(21)이 설치된다.
이때의 가이드 롤(21)은 한 쌍이 구비되며, 이러한 가이드 롤(21)은 포스트 프레임(11a,11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포스트 프레임(11a,11b)측에 접하면서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롤(21)은 양편의 가이드부 하우징(19) 내에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고, 결국 적재 플레이트(18)의 상승 및 하강 시 양편에 배치되는 두 쌍의 가이드 롤(21)에 의한 안내를 받게 되므로, 따라서 적재 플레이트(18)는 포스트 프레임(11a,11b)측과 구름접촉하는 두 쌍의 가이드 롤(21)에 의해 총 4곳을 지지점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21)은 "V"형 구름면을 가지는 롤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롤(21)은 포스트 프레임(11a,11b)을 가운데 두고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V"형 구름면을 이용하여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서로 맞은편에 있는 모서리 2곳과 접하는 동시에 각 모서리의 양면과 접촉하면서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롤(21)은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포스트 프레임(11a,11b)을 타고 구름 운동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두 쌍의 가이드 롤(21)에 의해 안내를 받는 적재 플레이트(18) 역시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기계 부품 등이 들어 있는 부품 박스를 탑재한 적재 플레이트(18)의 승강 시에 전체적인 밸런스를 유지하여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적재 플레이트(18)에 있는 볼스크류 너트(17) 및 볼스크류 샤프트(13)의 결합 중심점(P1)과, 양편의 롤 가이드부(16a,16b)의 지지축 역할을 하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11a,11b) 사이를 있는 가상의 중심선(P2)은 리프트 본체 길이 방향 기준하여 앞쪽과 뒷쪽에 각각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결합 중심점(P1)을 꼭지점으로 하여 중심선(P2) 상의 양쪽 포스트 프레임(11a,11b)의 각 중심점(P3)이 삼각형 배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18)에 가해지는 하중이 중심선(P2)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쪽 두 쌍의 가이드 롤(21)에 대부분 가해지게 되고, 결국 볼스크류 샤프트(13) 및 볼스크류 너트(18)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경감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사각 박스형 배치구조를 이루는 두 쌍의 가이드 롤(21)이 발휘하는 지지력에 의해 승강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는 부품 박스 탑재를 위한 수단으로 적재 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18)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서,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롤 가이드부(16a,16b)에 의한 지지를 받으면서 수평 자세로 설치되고, 역시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스크류 너트(17)를 통해 볼스크류 샤프트(13)측과 연결되어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적재 플레이트(18)에는 부품이 채워져 있는 여러 개의 부품 박스가 차곡차곡 놓여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적재 플레이트(18)의 승강 시 부품 박스는 작업대가 있는 높이까지 올려져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 플레이트(18)에는 플레이트 후단부에 앞쪽으로 탑재되는 부품 박스의 무게에 대응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밸런스 바(22)가 수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재 플레이트(18)의 뒷쪽에 웨이트 역할을 하는 밸런스 바(22)가 위치되므로서, 부품 박스의 하중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8)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고, 결국 적재 플레이트(18)는 전후측 균형을 이루며 안정적으로 승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모터 속도 제어를 통해 적재 플레이트(18)의 상승 또는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27)에 모터(14)의 속도를 여러 단계로 설정해 놓은 다음, 작업 여건이나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모터(14)의 속도를 빠르게 혹은 느리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작업능률 향상 등 전반적으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모터(14)의 기준 속도를 초당 30mm 정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 속도 대비 빠르게 혹은 느리게 모터 속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부품 등과 같은 부품 박스(100)를 작업대의 높이까지 올리기 위하여, 먼저 카트를 이용하여 여러 층으로 적재되어 있는 부품 박스를 리프트의 적재 플레이트(18) 위에 위치시킨다.
다음, 작업자가 제어부(27)에 있는 ON 스위치를 조작하면, 모터(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모터 동력이 전동부(15)를 통해 전달되면서 볼스크류 샤프트(13)와 볼스크류 너트(17)의 볼스크류 전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13)와 볼스크류 너트(17) 간의 볼스크류 전동에 의해 부품 박스를 탑재하고 있는 적재 플레이트(18)는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의 적재 플레이트(18)는 양편의 롤 가이드부(16a,16b)에 의한 지지 및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부품 박스를 포함하는 적재 플레이트(18) 전체가 작업대 높이까지 상승 위치되면, 작업작 재차 제어부(27)에 있는 OFF 스위치를 눌러서 적재 플레이트(18)의 상승이 멈추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부품 박스 내에서 하나씩 부품을 꺼내어 조립이나 검사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부품 박스를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위치까지 힘들이지 않고 쉽게 올릴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허리를 굽혀서 부품 박스를 무리하게 들어 올리거나 바닥에 있는 부품을 꺼내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배제할 수 있고, 결국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작업대와 같은 높이에 있는 부품 박스로부터의 부품을 전부 사용한 후에는 재차 ON/OFF 스위치를 조작하면서 적층되어 있는 부품 박스를 차례로 작업대 높이까지 올린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마지막 부품 박스 내의 부품을 전부 사용한 후 제어부(27)에 있는 리턴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모터 역방향 구동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8)가 하강되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품 조립이나 검사 등의 작업 시,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작업대 높이까지 손쉽게 위치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무리하게 부품 박스를 들어올리는 등의 불편함없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고, 리프트 승강 작동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어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소형의 작업장에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10 : 베이스 프레임
11a,11b : 포스트 프레임
12 : 리프트 본체
13 : 볼스크류 샤프트
14 : 모터
15 : 전동부
16a,16b : 롤 가이드부
17 : 볼스크류 너트
18 : 적재 플레이트
19 : 가이드부 하우징
20 : 롤 브라켓
21 : 가이드 롤
22 : 밸런스 바
23 : 롤 핀
24a,24b : 샤프트 홀더
25 : 너트 홀더
26 : 포스트 판넬
27 : 제어부

Claims (7)

  1. 베이스 프레임(10)과 수직으로 세워지는 2개의 나란한 포스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리프트 본체;
    상기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면서 베이스 프레임측과 포스트 프레임측에 상하단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볼스크류 샤프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볼스크류 샤프트의 작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측과 볼스크류 샤프트측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
    상기 각 포스트 프레임측에 구름 접촉되면서 프레임을 타고 위아래로 이동가능한 한 쌍의 롤 가이드부;
    부품 박스를 탑재하는 곳으로서 양편의 롤 가이드부에 의해 후단 지지됨과 더불어 볼스크류 샤프트와 볼스크류 결합되어 전동가능한 볼스크류 너트를 가지는 적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가이드부는 박스형 단면의 가이드부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포스트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됨과 더불어 포스트 프레임측에 접하면서 롤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은 "V"형 구름면을 가지는 롤 형태로 이루어져,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포스트 프레임의 서로 맞은편에 있는 모서리 2곳과 접하면서 굴러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에 있는 볼스크류 너트와 볼스크류 샤프트의 결합 중심점(P1)과 양편의 롤 가이드부가 지지되는 양편의 포스트 프레임 사이를 있는 중심선(P2)은 리프트 본체 앞쪽과 뒷쪽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여, 상승 및 하강 시 균형의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부는 체인 전동 방식, 벨트 전동 방식, 기어 전동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후단부에는 앞쪽으로 탑재되는 부품 박스의 무게에 대응하여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밸런스 바가 수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와 볼스크류 너트는 좌우로 배치되거나, 또는 앞뒤로 배치되는 두 세트로 이루어져, 적재 플레이트의 상승 및 하강 시 균형의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KR1020170024872A 2017-02-24 2017-02-24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KR10192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872A KR101926250B1 (ko) 2017-02-24 2017-02-24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872A KR101926250B1 (ko) 2017-02-24 2017-02-24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88A true KR20180097988A (ko) 2018-09-03
KR101926250B1 KR101926250B1 (ko) 2019-02-26

Family

ID=6360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872A KR101926250B1 (ko) 2017-02-24 2017-02-24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59B1 (ko) 2019-11-11 2020-05-26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KR200498067Y1 (ko) * 2021-01-29 2024-06-12 한석희 수평 맞춤 장치
KR102602013B1 (ko) 2021-12-06 2023-11-14 주식회사 청진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KR102515651B1 (ko)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 자동화장치
KR102609033B1 (ko) 2023-07-29 2023-12-04 주식회사 청진 선박적재 리드라인 제작전용 이동식 리프팅 및 얼라이먼트자동화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078U (ja) * 1992-02-25 1993-09-17 鋼鈑工業株式会社 簡易リフター
KR20090002479U (ko) 2007-09-07 2009-03-11 전명석 작업용 승강 리프트
KR20090004013U (ko) 2007-10-25 2009-04-29 전명석 작업용 승강 리프트
KR101201878B1 (ko) * 2011-06-03 2012-11-15 김병찬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KR101575195B1 (ko) * 2015-10-20 2015-12-07 (주)밀성씨앤티 테이블 리프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078U (ja) * 1992-02-25 1993-09-17 鋼鈑工業株式会社 簡易リフター
KR20090002479U (ko) 2007-09-07 2009-03-11 전명석 작업용 승강 리프트
KR20090004013U (ko) 2007-10-25 2009-04-29 전명석 작업용 승강 리프트
KR101201878B1 (ko) * 2011-06-03 2012-11-15 김병찬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KR101575195B1 (ko) * 2015-10-20 2015-12-07 (주)밀성씨앤티 테이블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250B1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250B1 (ko)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KR20180052550A (ko) 합판 이송장치
KR20030043650A (ko) 스태커 크레인
CN210649505U (zh) 一种机床辅助移动支撑工装
JP2013083128A (ja) 昇降式足場装置
KR20130058486A (ko) 좌판이 부착된 스태커
CN205969021U (zh) 一种夹取式工业机械手臂
JP2010120750A (ja) 棚の荷物落下防止装置
KR102088959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JPH09278322A (ja) 昇降装置
KR20140122780A (ko) 가구 이동을 위한 가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이동식 리프트 업 장치
JP5908720B2 (ja) 駐車装置用リフト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US20050077112A1 (en) Lifting device
KR101774156B1 (ko)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JP4013558B2 (ja) 物品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
JP2016068143A (ja) 曲げ加工装置
CN220641709U (zh) 一种c型钢接料装置
CN208761658U (zh) 一种层板下料装置
CN220537274U (zh) 一种方便调节的电梯门踏板
KR20130107463A (ko) 건축용 자재인양장치
CN211444863U (zh) 一种钢带升降托起装置
CN213085249U (zh) 一种起重机组合式主梁
JP2003212308A (ja) 物品移載装置
CN214601188U (zh) 一种新型钢板折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