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13U - 작업용 승강 리프트 - Google Patents

작업용 승강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13U
KR20090004013U KR2020070017439U KR20070017439U KR20090004013U KR 20090004013 U KR20090004013 U KR 20090004013U KR 2020070017439 U KR2020070017439 U KR 2020070017439U KR 20070017439 U KR20070017439 U KR 20070017439U KR 20090004013 U KR20090004013 U KR 200900040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ension
plate
lifting
t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석
Original Assignee
전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석 filed Critical 전명석
Priority to KR2020070017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013U/ko
Publication of KR20090004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0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 Y10S414/102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including support for group
    • Y10S414/103Vertically shiftable
    • Y10S414/104Shifted by change in weight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용 승강리프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이동바퀴(21)를 가지는 대차(2) 상부로 내부에 안내바(23)가 내설된 한쌍의 측부 설치프레임(22)을 직각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상부 설치프레임(24)으로 측부 설치프레임(22) 상단을 상호 연결구성하고, 상기 양측 안내바(23)에는 전방부로 작업판(3)이 일체 구성된 이송대(3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작업판(3)과 이송대(31)가 안내바(23)를 따라 승,하강 되도록 하는 통상의 작업용 승강리프트(1)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안내바(23)에 설치된 이송대(31)로 하나이상의 끼움공(32')을 가지는 장력조절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상부로 장력조절 손잡이(11)를 설치하여,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로 스프링(4)의 양측단이 각각 걸림/구성되게 하되,
상기 장력손잡이(11)는 그 하방으로 회전나사대(11')를 일체 구성시켜, 이를 상단으로 너트(12')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 일측에 고정판(13')이 돌출되어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하부에 마련된 고정대(13)와 끼움/결합구성되는 승,하강대(12)의 내부로 상기 회전나사대(11')를 삽입시켜 너트(12')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4)은 그 일측단을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에 끼움결합케 함과 동시에 스프링(4)의 타측단을 장력조절손잡이(11)의 회전나사대(11')와 결합되어져 있는 승,하강대(12) 하단의 끼움공(12")에 걸림/구성시키되,
상기 스프링(4)은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내부에 마련된 안내롤러(41)와 대차(2)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안내롤러(41)를 지그재그형태로 경유하여 장력조절판(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에 양측단이 각각 끼움/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리프트, 스프링, 작업판, 적재물, 장력조절손잡이

Description

작업용 승강 리프트{LIFT FOR A WORK}
본 고안은 생산현장에서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작업위치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제공하여 주는 작업용 승강 리프트의 개량 고안으로서, 특히 승강리프트의 작업판을 지탱하여 주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보다 신속/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현장에서는 사용되는 작업용 작업대는 대부분 그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작업자의 신체적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므로 장기간 작업시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 등을 유발 및 작업의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각종 작업시 작업자는 작업대에 상자 또는 부품 등을 다수개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업대의 높이가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상자 또는 부품 등을 반복적으로 적재할 경우, 작업자의 신체보다 작업위치가 높게 설정되므로 작업자의 신체에 부담이 오게 됨은 물론 상자 또는 부품의 운반시 무거운 상자 또는 부품을 허 리를 이용하여 들어 이송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위와 같은 질환과 작업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하여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출원 제2007-0014962호" 작업용 승강 리프트를 안출 한 바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수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대차 상부로 내부에 안내바가 내설된 한쌍의 측부 설치프레임을 직각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상부 설치프레임으로 측부 설치프레임 상단을 상호 연결구성하고, 상기 양측 안내바에는 일측에 작업판이 일체 구성된 이송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작업판과 이송대가 안내바를 따라 승,하강 되도록 하는 통상의 작업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안내바에 설치된 이송대로 하나이상의 끼움공을 가지는 장력조절판을 내측으로 돌출구성함과 동시에 대차 일측 중심부로 상단이 절곡형성된 스프링 설치대를 마련하여 상기 장력조절판의 끼움공으로 스프링의 일측단을 걸림/설치하고, 스프링 타측단은 스프링 설치대에 조절손잡이와 너트로 나사결합되어져 있는 장력조절대 상단에 각각 걸림/설치되도록 구성시키되,
상기 스프링은 상부 설치프레임 중심 내측에 마련된 안내롤러를 경유토록 한 구성으로 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의 작업용 승강리프트는 작동판의 승,하강을 도모하는 스프링의 양측단을 각각 이송대의 장력조절판과 대차의 장력조절대에 설치하여 적재물의 무게하중에 따른 적절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토록 하므로 보다 다양한 무게의 적재물을 신속/편리하게 적재/작업할 수 있도록 도모하여 주고, 나아가 상기 스프링 이 상부 설치프레임에 마련된 안내롤러를 경유하여 장력조절판과 장력조절대에 각기 연결설치되도록 하므로, 스프링의 탄성 작용이 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져 적재물의 적재시 작업판이 상,하로 요동되는 것을 막아 주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전기한 작업용 승강리프트는 적재물의 무게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 일측상단을 이송대의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장력조절대로 스프링의 설치장력을 조절하여 탄성력을 설정토록 하는 것으로,
이때, 작업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시, 승강리프트의 후면 커버를 수시로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더욱이 작업판에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해야 하는데,
상기 승강리프트는 스프링의 장력조절대가 기기 하단 내측에 구성되어져 있어, 작업자가 장력조절대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작업판과 적재물의 위치를 육안으로 신속/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스프링의 정교한 탄성력 조절이 불가능하였던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로 인한 작업위치의 높낮이가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곳에 위치하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염려가 있었던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특히 작업용 승강 리프트의 작업판으로 스프링을 연결시켜 작업판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 력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하되,
상기 스프링은 그 일측단을 작업판의 이송대에 마련된 장력조절판에 연결구성하고, 그 타측단은 상부설치프레임에 마련된 장력조절손잡이와 연결구성하여,
적재물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시, 작업자가 승강리프트 상부에 마련된 장력조절손잡이를 간단히 회전시켜 스프링의 설치장력을 조절토록 하므로 적재물에 적합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보다 신속/편리하게 설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이동바퀴(21)를 가지는 대차(2) 상부로 내부에 안내바(23)가 내설된 한쌍의 측부 설치프레임(22)을 직각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상부 설치프레임(24)으로 측부 설치프레임(22) 상단을 상호 연결구성하고,
상기 양측 안내바(23)에는 전방부로 작업판(3)이 일체 구성된 이송대(3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작업판(3)과 이송대(31)가 안내바(23)를 따라 승,하강 되도록 하는 통상의 작업용 승강리프트(1)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안내바(23)에 설치된 이송대(31)로 하나이상의 끼움공(32')을 가지는 장력조절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상부로 장력조절 손잡이(11)를 설치하여,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로 스프링(4)의 양측단이 각각 걸림/구성되게 하되,
상기 장력손잡이(11)는 그 하방으로 회전나사대(11')를 일체 구성시켜, 이를 상단으로 너트(12')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 일측에 고정판(13')이 돌출되어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하부에 마련된 고정대(13)와 끼움/결합구성되는 승,하강대(12) 의 내부로 상기 회전나사대(11')를 삽입시켜 너트(12')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4)은 그 일측단을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에 끼움결합케 함과 동시에 스프링(4)의 타측단을 장력조절손잡이(11)의 회전나사대(11')와 결합되어져 있는 승,하강대(12) 하단의 끼움공(12")에 걸림/구성시키되,
상기 스프링(4)은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내부에 마련된 안내롤러(41)와 대차(2)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안내롤러(41)를 지그재그형태로 경유하여 장력조절판(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에 양측단이 각각 끼움/구성되도록 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본 고안은 작동판의 승,하강을 도모하는 스프링의 양측단을 각각 이송대의 장력조절판과 상부설치프레임에 설치된 장력조절손잡이의 승,하강대에 끼움/구성시켜, 적재물의 무게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시, 작업자가 상기 장력조절손잡이를 회전시켜 스프링의 설치장력을 강,약으로 편리하게 조절하여 적재물의 무게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력을 보다 신속/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에 스프링의 설치장력 조절시 승강리프트의 후방 커버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일소하여 줄뿐 아니라 장력조절손잡이가 승강리프트의 상부 설치프레임상에 마련되어져 있어, 그 사용이 매우 신속/편리하고 더욱이 스프링의 설치장력 조절시, 작업판에 적재된 적재물의 높낮이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면서 스 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정밀한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작업용 승강리프트(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통상 작업판(3) 상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경우, 상기 작업판(3)과 이송대(31)가 양측 안내바(23)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업판(3)의 이송대(31)로 스프링(4)이 설치되어져 있어, 적재물과 작업판(3)이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거리로만 하강하여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한 신체 높이로 적재물이 위치되도록 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작업판(3)으로 계속적인 적재물의 적재시 최고상부에 위치하는 적재물은 스프링(4)의 특성인 신축에 따른 탄성력의 향상으로 상기 설명의 위치와 동일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작업용 승강리프트(1)의 전,후방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일부분을 파절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작업용 승강리프트(1)는 통상 다수개의 이동바퀴(21)를 가지는 대차(2) 상부로 내부에 안내바(23)가 내설된 한쌍의 측부 설치프레임(22)을 직각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상부 설치프레임(24)으로 측부 설치프레임(22) 상단을 상호 연결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안내바(23)에는 일측에 작업판(3)이 일체 구성된 이송대 (3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작업판(3)과 이송대(31)가 안내바(23)를 따라 승, 하강 되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에서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안내바(23)에 설치된 이송대(31)로 하나이상의 끼움공(32')을 가지는 장력조절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상부로 장력조절손잡이(11)를 설치하여,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 하단 끼움공(12")에 스프링(4)의 양측단을 각각 걸림/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장력손잡이(11)는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상부에 회전되도록 설치한 다음 그 하방으로 회전나사대(11')를 일체 구성시켜 승,하강대(12)의 내부에 회전나사대(11')가 삽설되게 하는데,
이때, 상기 승,하강대(12)는 그 상단으로 너트(12')가 일체 구성되어져 있어, 회전나사(11')가 승,하강대(12) 내부에 나사결합되어지고, 또 상기 승,하강대(12) 하부 일측으로 고정판(13')이 돌출되어 상부설치프레임(24)의 일측 하부 즉, 상기 회전나사대(11')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하부 위치에 마련되어져 있는 고정대(13)와 끼움/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대(12)가 회전 나사대(11')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될 때에 동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상,하 안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일측 이송대(31)에 설치된 장력조절판(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 하단에 양측단이 각각 끼움/설치되는 스프링(4)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설치프레임(24)일측 내부(상부설치프레임 내부중심 선상에서 장력조 절판이 설치된 이송대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마련된 안내롤러(41)와 대차(2)의 일측 상부(상기 설명의 안내롤러 설치위치와 대칭되는 대차 일측 상부위치)에 마련된 안내롤러(41)로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시킨 다음 스프링(4)의 일측단은 장력조절판(32)의 다수개 끼움공(32') 중 하나의 끼움공(32')에 선택적으로 걸림시키고, 타측단은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 하단에 마련된 끼움공(12")에 걸림시켜 고정구성토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을 대칭설치된 안내롤러(41)로 경유시킬 경우, 스프링(4)의 신축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져 작업판(3)의 승,하강을 보다 부드럽게 하여 준다.
그러면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6,7에서와 같이 승강리프트(1)로 무게가 다양한 적재물을 적재하여도 상기 장력조절손잡이(11)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적재물의 무게에 적합한 스프링(4)의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적재물이 항상 작업자의 신체에 알맞는 높이로 위치되도록 하여 준다 .
예를 들자면, 상기 스프링(4)의 초기 설치시 스프링(4)이 가지는 탄성력의 값이 1이라 가정하였을 때, 그에 적합한 1의 무게를 가지는 적재물을 작업판(3) 상에 적재하면,
작업판(3)과 적재물은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폭 하강되어 특정 위치 즉,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알 맞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1의 무게를 넘어선 2 또는 3의 무게를 가지는 적재물을 작업판(3)에 적재시킬 경우,
스프링(4)의 탄성력이 적재물의 무게에 비해 약해 그 길이가 더 늘어나 적재물을 상기 설명의 높이 보다 더 낮은 높이로 위치시키게 되어 작업의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본 고안에서는 상부설치프레임(24)에 구성된 장력조절손잡이(11)를 이용하여 그 하방의 회전나사대(11')를 회전시키므로 스프링(4)의 일측단이 연결된 승,하강대(12)를 회전나사대(11') 상부로 승강케 하여 스프링(4)의 설치장력을 높여 준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의 설치 장력을 높일 경우 당연 스프링(4)의 탄성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되므로, 작업자는 작업판(3)에 적재된 적재물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높이로 적재물이 위치될 때까지 장력조절손잡이를 회전시켜 스프링(4)의 설치장력과 그에 따른 스프링(4)의 탄성력을 정밀하게 조절토록 한다.
그리고 반대로 적재물이 스프링(4)의 탄성력에 비해 가벼울 경우 상기의 반대과정을 거쳐 위치/조절하면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4)의 설치장력이란 스프링(4) 양측단이 연결된 승,하강대(12)와 작동판(3)이 스프링(4)을 당기는 힘을 말하는 것이고, 상기 탄성력은 위와 같이 설치된 스프링(4)이 적재물에 의해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에 작용하는 스프링(4)의 힘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적재물의 무게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시 상부설치프레임에 마련된 장력조절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의 신속/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나아가 작업자가 육안으로 적재물의 높이를 확인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교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등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프링을 상,하 대칭되게 설치된 안내롤러를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케 하므로 작동판의 상,하 이동을 보다 부드럽게 도모하여 준다.
도 1은 작업용 승강리프트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승강리프트로 전,후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일부분을 파절한 상태 예시도,
도 3은 승강리프트의 작업판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프링의 설치상태 및 그 작용상태도,
도 5는 승강리프트의 사용상태도,
도 6, 7은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스프링의 설치장력 조절상태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승강리프트 스프링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승강리프트 11 : 장력손잡이
11' : 회전나사대 12 : 승,하강대
12' : 너트 12" : 끼움공
13 : 고정대 13' : 고정판
2 : 대차 21 : 이동바퀴
22 : 측부설치프레임 23 : 안내바
24 : 상부설치프레임 3 : 작업판
31 : 이송대 32 : 장력조절판
32' : 끼움공 4 : 스프링
41 : 안내롤러설치대 42 : 안내롤러

Claims (1)

  1. 다수개의 이동바퀴(21)를 가지는 대차(2) 상부로 내부에 안내바(23)가 내설된 한쌍의 측부 설치프레임(22)을 직각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상부 설치프레임(24)으로 측부 설치프레임(22) 상단을 상호 연결구성하고,
    상기 양측 안내바(23)에는 전방부로 작업판(3)이 일체 구성된 이송대(3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작업판(3)과 이송대(31)가 안내바(23)를 따라 승,하강 되도록 하는 통상의 작업용 승강리프트(1)에 있어서,
    상기 일측 안내바(23)에 설치된 이송대(31)로 하나이상의 끼움공(32')을 가지는 장력조절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상부로 장력조절손잡이(11)를 설치하여,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로 스프링(4)의 양측단이 각각 걸림/구성되게 하되,
    상기 장력손잡이(11)는 그 하방으로 회전나사대(11')를 일체 구성시켜, 이를 상단으로 너트(12')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 일측에 고정판(13')이 돌출되어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 하부에 마련된 고정대(13)와 끼움/결합구성되는 승,하강대(12)의 내부로 상기 회전나사대(11')를 삽입시켜 너트(12')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4)은 그 일측단을 장력조절판(32)의 끼움공(32')에 끼움결합케 함과 동시에 스프링(4)의 타측단을 장력조절손잡이(11)의 회전나사대(11')와 결합되어져 있는 승,하강대(12) 하단의 끼움공(12")에 걸림/구성시키되,
    상기 스프링(4)은 상부설치프레임(24) 일측내부에 마련된 안내롤러(41)와 대차(2)의 일측 상부에 마련된 안내롤러(41)를 지그재그형태로 경유하여 장력조절판(32)과 장력조절손잡이(11)의 승,하강대(12)에 양측단이 각각 끼움/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승강 리프트.
KR2020070017439U 2007-10-25 2007-10-25 작업용 승강 리프트 KR200900040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39U KR20090004013U (ko) 2007-10-25 2007-10-25 작업용 승강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39U KR20090004013U (ko) 2007-10-25 2007-10-25 작업용 승강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13U true KR20090004013U (ko) 2009-04-29

Family

ID=4128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439U KR20090004013U (ko) 2007-10-25 2007-10-25 작업용 승강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0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988A (ko) 2017-02-24 2018-09-03 박용오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988A (ko) 2017-02-24 2018-09-03 박용오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US20170030093A1 (en) Load-adjustable vertically moving scaffold
KR200491377Y1 (ko)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KR20090006377U (ko)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KR200433421Y1 (ko) 높낮이 조절 작업대
KR20090004013U (ko) 작업용 승강 리프트
CN101824904A (zh) 整体脚手架支撑升降方法及其双导轨双防坠液压提升整体脚手架
CN106044625B (zh) 一种多角度平稳攀爬的载物机构
KR200401152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는 승강식 적재 장치
CN102828629B (zh) 工作平台装置
CN205558234U (zh) 一种密集烤房用新型装卸烟操作台
SE501178C2 (sv) Höj- och sänkbart arbetsbord
KR100862417B1 (ko) 적재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차
CN210692335U (zh) 可控式变压器铁心装配平台
KR20090002479U (ko) 작업용 승강 리프트
CN207919349U (zh) 利用车辆进行支撑的桥梁外侧检修装置
CN112413351A (zh) 一种医疗平台用升降装置
CN208880685U (zh) 一种工装维护工作架
CN106869478B (zh) 一种可调定位及防坠一体式装置
IT201900000334A1 (it) Macchina a giostra per il trattamento di contenitori.
CN210427335U (zh) 原子吸收分光光度计
CN205472093U (zh) 电梯摆杆式下阻止装置
CN104444062B (zh) 一种v形带输送线
KR102374627B1 (ko) 중량물 주행장치
CN207570316U (zh) 一种用于新型吸音颗粒材料的高温表面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