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77Y1 -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77Y1
KR200491377Y1 KR2020180003998U KR20180003998U KR200491377Y1 KR 200491377 Y1 KR200491377 Y1 KR 200491377Y1 KR 2020180003998 U KR2020180003998 U KR 2020180003998U KR 20180003998 U KR20180003998 U KR 20180003998U KR 200491377 Y1 KR200491377 Y1 KR 200491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ly
guide
support
heigh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12U (ko
Inventor
최송춘
Original Assignee
최송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송춘 filed Critical 최송춘
Priority to KR2020180003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7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으로 위치된 베이스판의 상면부 전방에는 전방브라켓이 돌출형성되며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전후방 하부브라켓이 돌출형성되고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수평조절볼트가 각각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면서 베이스판이 수평조절되게 하는 수평조절부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된 좌우측 상측지지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전후방은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가이드판에 의해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상측지지대 사이에는 전후수평으로 받침롤러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침롤러에 의해 자재가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게 하는 받침롤러부와,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가 X자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된 좌우측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좌우측 링크부재의 상부는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하부는 베이스판의 전후방 하부브라켓에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제1승강대의 하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대가 좌우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전방브라켓과 중간연결대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높이조절봉이 나사체결되어 높이조절봉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측 링크부재를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A supporting device of the lift-up type for material transper}
본 고안은 휴대용으로 직선형의 파이프나 각관 등의 자재를 일정높이로 받침지지하면서 자재가 각종 절단장치나 용접장치, 가공장치 등에 부합되는 높이로 수평으로 안정되게 구름 이송되도록 하는 승강식 받침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위치된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상면부 전방에는 전방브라켓이 돌출형성되며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전후방 하부브라켓이 돌출형성되고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수평조절볼트가 각각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면서 베이스판이 수평조절되게 하는 수평조절부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된 좌우측 상측지지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전후방은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가이드판에 의해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상측지지대 사이에는 전후수평으로 받침롤러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침롤러에 의해 자재가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게 하는 받침롤러부와,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가 X자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된 좌우측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좌우측 링크부재의 상부는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하부는 베이스판의 전후방 하부브라켓에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제1승강대의 하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대가 좌우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전방브라켓과 중간연결대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높이조절봉이 나사체결되며 높이조절봉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가 체결되고 전방마감너트와 전방브라켓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이 개재되며 높이조절봉의 정역회전으로 좌우측 링크부재를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선형의 파이프나 각관 등의 자재를 각종 절단장치나 용접장치, 가공장치 등에 수평으로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부합되는 높이로 승강되어 자재를 받침지지하면서 수평으로 이송되게 하는 휴대용 받침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받침장치는 작업자가 휴대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크기로 지면위에 올려진 상태로 링크부재를 통해 상부에 설치된 롤러부재를 상하 일정높이로 승강 조절함으로써 상기 롤러부재를 따라 일직선형의 파이프나 각관 등의 자재가 구름이동되면서 수평으로 절단장치, 용접장치 등에 투입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받침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4-0021302호에서는 포터블 블록 데크에 설치되는 임시 장비와 맞닿아 포터블 블록 데크에 설치되는 임시 장비를 직접 지지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높이가 포터블 블록 데크에 설치되는 임시 장비가 설치되는 시트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상기 상판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블록 데크에 설치되는 임시 장비 설치용 보조 받침대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받침부의 받침다리가 고정부착된 상태로 지면이나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고 경사진 경우에는 상판부의 롤러도 경사지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자재 등을 수평으로 안정되게 받침 이송할 수 없으며, 높이조절부의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관절부분이 단순히 볼트 등에 의한 힌지결합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판부에 큰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관절부분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높이조절부에 의한 높이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롤러에 의해 일직선형으로 긴 파이프나 각관 등의 자재를 이송하여 각종 절단장치 등에서 가공시 자재가 가공과정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위치가 쉽게 틀어지거나 상하좌우로 흔들려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의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수평조절볼트를 수직하방으로 관통개재하여 나사체결식으로 그 높이를 조절하여 베이스판이 경사면이나 평탄하지 않은 바닥면 위에서도 수평으로 위치조절되게 하며,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전후방에는 수직상방으로 가이드판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받침롤러에 의해 구름이송되는 각관이나 파이프 등의 자재가 절단장치 등에 의한 가공시 전후방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려 받침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방브라켓과 중간연결대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면서 좌우측 링크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봉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를 체결하고 전방마감너트와 전방브라켓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을 개재(介在)하여 자재의 하중에 의해 높이조절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높이조절봉이 원활하게 정역회전되면서 높이조절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위치된 베이스판이 구비되고 베이스판의 상면부 전방에는 전방브라켓이 돌출형성되며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전후방 하부브라켓이 돌출형성되고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수평조절볼트가 각각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면서 베이스판이 수평조절되게 하는 수평조절부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된 좌우측 상측지지대가 구비되고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전후방은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가이드판에 의해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상측지지대 사이에는 전후수평으로 받침롤러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침롤러에 의해 자재가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게 하는 받침롤러부와, 제1승강대와 제2승강대가 X자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된 좌우측 링크부재가 구비되고 좌우측 링크부재의 상부는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하부는 베이스판의 전후방 하부브라켓에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제1승강대의 하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대가 좌우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전방브라켓과 중간연결대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높이조절봉이 나사체결되며 높이조절봉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가 체결되고 전방마감너트와 전방브라켓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이 개재되며 높이조절봉의 정역회전으로 좌우측 링크부재를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수평조절볼트가 수직하방으로 관통개재되어 나사체결식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면서 베이스판이 경사면이나 평탄하지 않은 바닥면 위에서도 원활하게 수평으로 위치조절될 수 있으며, 좌우측 상측지지대의 전후방에는 수직상방으로 가이드판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받침롤러에 의해 구름이송되는 각관이나 파이프 등의 자재가 절단장치 등에 의한 가공시 전후방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려 받침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방브라켓과 중간연결대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면서 좌우측 링크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봉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가 체결되어 있고 전방마감너트와 전방브라켓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이 개재(介在)되어 있어 자재의 하중에 의해 높이조절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높이조절봉이 원활하게 정역회전되면서 높이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일부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종단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자재가 가이드이송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받침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자재가 가이드이송되는 상태의 종단면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으로 직선형의 파이프나 각관 등의 자재(M)를 일정높이로 받침지지하면서 자재(M)가 각종 절단장치나 용접장치, 가공장치 등에 부합되는 높이로 수평으로 안정되게 구름 이송되도록 하는 승강식 받침장치로서, 수평으로 위치된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베이스판(3)의 상면부 전방에는 전방브라켓(4)이 돌출형성되며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전후방 하부브라켓(8a)(8b)이 돌출형성되고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수평조절볼트(6)가 각각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면서 베이스판(3)이 수평조절되게 하는 수평조절부(2)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된 좌우측 상측지지대(11)가 구비되고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전후방은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가이드판(12)에 의해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상측지지대(11) 사이에는 전후수평으로 받침롤러(13)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침롤러(13)에 의해 자재(M)가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게 하는 받침롤러부(10)와, 제1승강대(20)와 제2승강대(21)가 X자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된 좌우측 링크부재(22)가 구비되고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상부는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하부는 베이스판(3)의 전후방 하부브라켓(8a)(8b)에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제2승강대(21)의 하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대(23)가 좌우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전방브라켓(4)과 중간연결대(23)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높이조절봉(24)이 나사체결되며 높이조절봉(24)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25)가 체결되고 전방마감너트(25)와 전방브라켓(4)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26)이 개재되어 높이조절봉(24)의 정역회전으로 좌우측 링크부재(22)를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9)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조절부(2)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또는 평탄하지 않은 지면이나 바닥면위에 수평으로 조절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위치된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베이스판(3)의 상면부 전방에는 전방브라켓(4)이 돌출형성되며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전후방 하부브라켓(8a)(8b)이 돌출형성되고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수평조절볼트(6)가 각각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면서 베이스판(3)이 수평조절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판(3)은 전후로 긴 장방형의 금속재 판형상으로 상면부 전방 가운데부분에는 수직상방으로 전방브라켓(4)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높이조절봉(24)이 전방브라켓(4)을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3)의 상면부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고정너트(5)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각 고정너트(5)가 설치된 부분에 수평조절볼트(6)가 나사체결되면서 수평조절볼트(6)의 하부가 베이스판(3)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볼트(6)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베이스판(3)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평조절볼트(6)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경사면 또는 평탄하지 않은 지면이나 바닥면위에서도 베이스판(3)이 수평으로 위치조절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은 상면부 후방에 수평확인계(7)가 설치되어 있어 각 수평조절볼트(6)에 의해 수평조절된 베이스판(3)의 상태를 수평확인계(7)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3)은 상면부 좌우양측에 전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전방 하부브라켓(8a)과 후방 하부브라켓(8b)이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전방 하부브라켓(8a)에는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제1승강대(20) 하부끝부분이 하부힌지축(28)에 의해 관통체결되어 힌지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우측 후방 하부브라켓(8b)에는 전후로 긴 장공형태의 하부가이드홀(9)이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제2승강대(21) 하부끝부분에 설치된 하부베어링(32)이 하부가이드홀(9)의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어 하부가이드홀(9)을 따라 전후로 가이드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롤러부(1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이나 파이프 등의 자재(M)가 안정되게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된 좌우측 상측지지대(11)가 구비되고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전후방은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가이드판(12)에 의해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상측지지대(11) 사이에는 전후수평으로 받침롤러(13)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침롤러(13)에 의해 자재(M)가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상측지지대(11)는 전후방 끝단에 체결편(14)이 수직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전후방 체결편(14)에 각각 가이드판(12)이 맞닿은 상태로 볼트체결되어 좌우측 상측지지대(11)가 전후방 가이드판(12)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가이드판(12)은 가운데부분에 받침롤러(13)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동축(15)의 전후방 끝부분이 관통개재되어 회동축(15)을 중심으로 받침롤러(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회동축(15)의 전후방에는 각각 코일스프링으로 된 이격스프링(16)이 개재(介在)되면서 합성수지재질로 된 받침롤러(13)의 전후양측끝단이 전후방 가이드판(12)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어 받침롤러(13)에 의한 자재(M)의 구름이송시 회전되는 받침롤러(13)와 전후방 가이드판(12)의 마찰로 인한 회전력 저하 및 받침롤러(13)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후방 가이드판(12)은 상부가 받침롤러(13)의 상단부 보다 일정높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받침롤러(13)에 의해 구름이송되는 각관이나 파이프 등의 자재(M)가 절단장치 등에 의한 가공시 전후방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려 받침롤러(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상측지지대(11)는 각각 외측면 전후방에 상부브라켓(17a)(17b)이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상부브라켓(17a)에는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제2승강대(21) 상부끝부분이 상부힌지축(31)에 의해 관통체결되어 힌지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상부브라켓(17b)에는 전후로 긴 장공형태의 상부가이드홀(18)이 천공되어 있어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제1승강대(20) 상부끝부분에 설치된 상부베어링(29)이 상부가이드홀(18)의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어 상부가이드홀(18)을 따라 전후로 가이드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9)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롤러부(10)의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1승강대(20)와 제2승강대(21)가 X자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된 좌우측 링크부재(22)가 구비되고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상부는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하부는 베이스판(3)의 전후방 하부브라켓(8a)(8b)에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제1승강대(20)의 하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대(23)가 좌우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전방브라켓(4)과 중간연결대(23)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높이조절봉(24)이 나사체결되며 높이조절봉(24)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25)가 체결되고 전방마감너트(25)와 전방브라켓(4)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26)이 개재되어 높이조절봉(24)의 정역회전으로 좌우측 링크부재(22)를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22)는 받침롤러부(10)와 베이스판(3) 사이의 좌우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설치되며 각각 한쌍의 바로 이루어진 제1승강대(20)와 제2승강대(21)가 링크축(27)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된 상태로 상방으로 펼쳐지거나 하방으로 접혀지면서 상하로 길이신축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제1승강대(20)는 전방 하부브라켓(8a)에 하부끝부분이 하부힌지축(28)에 의해 힌지식으로 회동되게 연결되고 한쌍의 바로 이루어진 제1승강대(20)의 상부끝부분 사이에는 링형상의 레디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상부베어링(29)이 개재된 상태로 연결축(30a)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부베어링(29)은 후방 상부브라켓(17b)의 상부가이드홀(18)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된 상태로 상부가이드홀(18)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승강대(21)는 전방 상부브라켓(17a)에 상부끝부분이 상부힌지축(31)에 의해 힌지식으로 회동되게 연결되고 한쌍의 바로 이루어진 제2승강대(21)의 하부끝부분 사이에는 링형상의 레디얼베어링으로 이루어진 하부베어링(32)이 개재된 상태로 연결축(30b)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하부베어링(32)은 후방 하부브라켓(8b)의 하부가이드홀(9)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된 상태로 하부가이드홀(9)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승강대(20)의 상부끝부분과 제2승강대(21)의 하부끝부분에 상부베어링(29)과 하부베어링(32)이 설치되어 있어 하중이 큰 자재(M)가 받침롤러부(10)에 올려져 높이조절부(19)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상부베어링(29)과 하부베어링(32)이 상부가이드홀(18)과 하부가이드홀(9)을 따라 원활하게 구름이동되어 상하 높이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대(23)는 좌우측 제1승강대(20)의 하부끝부분 사이에 좌우수평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힌지식으로 회동되게 연결설치되며 가운데부분에 암나사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봉(24)은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전후수평으로 위치된 나사봉으로 전방은 전방브라켓(4)에 관통개재되며 후방은 중간연결대(23)의 암나사공에 나사체결된 상태로 관통개재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봉(24)의 정역회전에 의해 중간연결대(23)가 높이조절봉(24)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중간연결대(23)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좌우측 링크부재(22)가 상방으로 펼쳐져 받침롤러부(10)가 상승작동되고 중간연결대(23)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좌우측 링크부재(22)가 하방으로 접혀져 받침롤러부(10)가 하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봉(24)은 전방브라켓(4)을 관통하여 전방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전방마감너트(25)가 체결되어 있고 전방마감너트(25)와 전방브라켓(4)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26)이 개재(介在)되어 있으며 전방브라켓(4)의 후방에는 후방마감너트(33)가 높이조절봉(24)에 체결되어 있어 높이조절봉(24)이 전방마감너트(25)와 후방마감너트(33)에 의해 전후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러스트베어링(26)에 의해 큰 하중을 지닌 자재(M)가 올려져 높이조절부(19)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높이조절봉(24)이 원활하게 정역회전되면서 자연스럽게 높이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봉(24)은 전방끝부분에 손잡이부(34)가 연결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부를 통해 높이조절봉(24)의 원활한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롤러부(10)는 전후방 가이드판(12)의 상부에 각각 가이드롤러부(35)가 조립설치되어 받침롤러(13) 위에 올려져 구름이송되는 자재(M)의 전후방을 가이드롤러(40)가 지지하여 절단장치 등에 의한 가공시 자재(M)가 전후방으로 틀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전후방 가이드판(12)의 외측면에 고정부착되는 가이드블럭(36)이 구비되고 가이드블럭(36)에는 전후수평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봉(37)이 관통 개재되어 전후 위치조절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봉(37)의 일측끝단에는 지지판(38)이 고정부착되고 지지판(38)의 상,하면부에는 각각 롤러설치편(39)이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하측 롤러설치편(39) 사이에는 가이드롤러(40)가 수직축(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가이드판(12)에 각각 가이드롤러(40)가 전후 위치조절되게 설치되고 받침롤러(13) 위에 올려지는 자재(M)의 전,후면부에 전후방 가이드롤러(40)가 맞닿아 구름작동되면서 전후로 유동되지 않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8)의 일측에 상부가 개구된 상측지지관(42)이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상측지지관(4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 상부에 숫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누름조절봉(43)이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높이조절되게 설치되며 누름조절봉(43)의 상부에는 수평축(44)이 전후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수평축(44)에는 상측가이드롤러(4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받침롤러(13)를 따라 구름이송되는 자재(M)의 상면부에 상측가이드롤러(45)가 맞닿아 지지하면면서 절단장치 등에 의한 가공시 자재(M)가 상하로 틀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1)를 사용하여 직선형의 파이프나 각관 등의 자재(M)를 일정높이로 받침지지하면서 자재(M)가 각종 절단장치나 용접장치, 가공장치 등에 부합되는 높이로 수평으로 안정되게 구름이송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절단장치 등에 투입되는 자재(M)의 길이 등에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1)를 위치시키되, 지면이나 바닥면의 경사도 등에 따라 베이스판(3)의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된 수평조절볼트(6)를 풀거나 조여 베이스판(3)이 수평으로 위치되게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부(19)에 구비된 높이조절봉(24)을 정역회전시켜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승강작동에 따라 절단장치 등에 부합되는 높이에서 자재(M)가 구름이송되도록 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봉(24)을 정회전시키면 중간연결대(23)가 높이조절봉(2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좌우측 링크부재(22)가 상방으로 펼쳐져 받침롤러부(10)가 상승작동되고 높이조절봉(24)을 역회전시키면 중간연결대(23)가 높이조절봉(2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좌우측 링크부재(22)가 하방으로 접혀져 받침롤러부(10)가 하강작동되어 자재(M)의 투입높이에 맞추어 좌우측 링크부재(22)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부(19)에 의해 받침롤러부(10)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받침롤러(13) 위에 각관이나 파이프 등의 자재(M)를 좌우수평방향으로 구름이송하여 절단장치 등에 투입되도록 하며, 이 때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제1,2승강대(20)(21)에 설치된 상부베어링(29)과 하부베어링(32)에 의해 하중이 큰 자재(M)가 받침롤러부(10)에 올려져 높이조절부(19)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상부베어링(29)과 하부베어링(32)이 상부가이드홀(18)과 하부가이드홀(9)을 따라 원활하게 구름이동되어 상하 높이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또한 높이조절봉(24)이 전방마감너트(25)와 후방마감너트(33)에 의해 전후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되며 스러스트베어링(26)에 의해 큰 하중을 지닌 자재(M)가 올려져 높이조절부(19)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높이조절봉(24)이 원활하게 정역회전되면서 자연스럽게 높이조절된다.
1. 승강식 받침장치 2. 수평조절부
3. 베이스판 4. 전방브라켓
5. 고정너트 6. 수평조절볼트
7. 수평확인계 8a, 8b. 하부브라켓
9. 하부가이드홀 10. 받침롤러부
11. 상측지지대 12. 가이드판
13. 받침롤러 14. 체결편
15. 회동축 16. 이격스프링
17a, 17b. 상부브라켓 18. 상부가이드홀
19. 높이조절부 20. 제1승강대
21. 제2승강대 22. 링크부재
23. 중간연결대 24. 높이조절봉
25. 전방마감너트 26. 스러스트베어링
27. 링크축 28. 하부힌지축
29. 상부베어링 30a, 30b. 연결축
31. 상부힌지축 32. 하부베어링
33. 후방마감너트 34. 손잡이부
35. 가이드롤러부 36. 가이드블럭
37. 가이드봉 38. 지지판
39. 롤러설치편 40. 가이드롤러
41. 수직축 42. 상측지지관
43. 상측롤러설치봉 44. 수평축
45. 상측가이드롤러 M: 자재

Claims (6)

  1. 수평으로 위치된 베이스판(3)이 구비되고 베이스판(3)의 상면부 전방에는 전방브라켓(4)이 돌출형성되며 상면부 좌우양측에는 전후방 하부브라켓(8a)(8b)이 돌출형성되고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는 수평조절볼트(6)가 각각 수직하방으로 관통되어 나사체결되면서 베이스판(3)이 수평조절되게 하는 수평조절부(2)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후수평으로 나란히 위치된 좌우측 상측지지대(11)가 구비되고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전후방은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세워진 가이드판(12)에 의해 연결설치되되, 상기 좌우측 상측지지대(11)는 전후방 끝단에 체결편(14)이 수직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전후방 체결편(14)에 각각 가이드판(12)이 맞닿은 상태로 볼트체결되어 좌우측 상측지지대(11)가 전후방 가이드판(12)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좌우측 상측지지대(11) 사이에는 전후수평으로 받침롤러(13)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침롤러(13)에 의해 자재(M)가 받침지지되면서 구름이송되게 하는 받침롤러부(10)와, 제1승강대(20)와 제2승강대(21)가 X자형태로 교차되게 연결된 좌우측 링크부재(22)가 구비되고 좌우측 링크부재(22)의 상부는 좌우측 상측지지대(11)의 하부에 연결설치되고 하부는 베이스판(3)의 전후방 하부브라켓(8a)(8b)에 연결설치되며 좌우측 제2승강대(21)의 하부 사이에는 중간연결대(23)가 좌우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전방브라켓(4)과 중간연결대(23)를 전후수평으로 관통하여 높이조절봉(24)이 나사체결되며 높이조절봉(24)의 전방에는 전방마감너트(25)가 체결되고 전방마감너트(25)와 전방브라켓(4)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26)이 개재되어 높이조절봉(24)의 정역회전으로 좌우측 링크부재(22)를 신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9)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롤러부(10)는 전후방 가이드판(12)의 가운데부분에 받침롤러(13)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동축(15)의 전후방 끝부분이 관통개재되어 회동축(15)을 중심으로 받침롤러(13)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회동축(15)의 전후방에는 각각 코일스프링으로 된 이격스프링(16)이 개재되면서 합성수지재질로 된 받침롤러(13)의 전후양측끝단이 전후방 가이드판(12)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후방 가이드판(12)은 상부가 받침롤러(13)의 상단부 보다 일정높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은 상면부 전후좌우측 모서리부분에 각각 고정너트(5)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각 고정너트(5)가 설치된 부분에 수평조절볼트(6)가 나사체결되면서 수평조절볼트(6)의 하부가 베이스판(3)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3)의 상면부에는 수평확인계(7)가 설치되어 있어 각 수평조절볼트(6)에 의해 조절된 베이스판(3)의 수평상태를 수평확인계(7)를 통해 파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링크부재(22)는 제1승강대(20)와 제2승강대(21)가 링크축(27)에 의해 교차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1승강대(20)는 전방 하부브라켓(8a)에 하부끝부분이 하부힌지축(28)에 의해 힌지식으로 회동되게 연결되고 한쌍의 바로 이루어진 제1승강대(20)의 상부끝부분 사이에는 상부베어링(29)이 개재된 상태로 연결축(30a)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부베어링(29)은 후방 상부브라켓(17b)의 상부가이드홀(18) 내측에 삽입되어 상부가이드홀(18)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설치되고, 제2승강대(21)는 전방 상부브라켓(17a)에 상부끝부분이 상부힌지축(31)에 의해 힌지식으로 회동되게 연결되고 한쌍의 바로 이루어진 제2승강대(21)의 하부끝부분 사이에는 하부베어링(32)이 개재된 상태로 연결축(30b)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며 하부베어링(32)은 후방 하부브라켓(8b)의 하부가이드홀(9) 내측에 삽입되어 하부가이드홀(9)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롤러부(10)는 전후방 가이드판(12)의 상부에 각각 가이드롤러부(35)가 조립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전후방 가이드판(12)의 외측면에 고정부착되는 가이드블럭(36)이 구비되고 가이드블럭(36)에는 전후수평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가이드봉(37)이 관통 개재되어 전후 위치조절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봉(37)의 일측끝단에는 지지판(38)이 고정부착되고 지지판(38)의 상,하면부에는 각각 롤러설치편(39)이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하측 롤러설치편(39) 사이에는 가이드롤러(40)가 수직축(4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35)는 지지판(38)의 일측에 상부가 개구된 상측지지관(42)이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상측지지관(4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내측 상부에 숫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누름조절봉(43)이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어 상하 높이조절되게 설치되며 누름조절봉(43)의 상부에는 수평축(44)이 전후수평으로 연결설치되고 수평축(44)에는 받침롤러(13)를 따라 구름이송되는 자재(M)의 상면부를 지지하는 상측가이드롤러(4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KR2020180003998U 2018-08-28 2018-08-28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KR200491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98U KR200491377Y1 (ko) 2018-08-28 2018-08-28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98U KR200491377Y1 (ko) 2018-08-28 2018-08-28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2U KR20200000512U (ko) 2020-03-09
KR200491377Y1 true KR200491377Y1 (ko) 2020-03-27

Family

ID=6976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98U KR200491377Y1 (ko) 2018-08-28 2018-08-28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200B1 (ko) * 2020-10-14 2022-11-18 김재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작업대
CN113896133B (zh) * 2021-10-18 2023-03-31 北京政平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管廊内运输管道用架设装置
KR102426725B1 (ko) * 2022-01-19 2022-07-27 김미정 알약제포기
KR102520196B1 (ko) * 2022-06-23 2023-04-10 윤여정 파이프 이송 가드장치
KR102575568B1 (ko) 2022-12-12 2023-09-07 이석우 자재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156B2 (ja) * 1994-05-10 2000-03-15 松下電工株式会社 駐車場管制システム装置
JP6005099B2 (ja) * 2014-04-24 2016-10-12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99Y2 (ja) * 1982-12-15 1985-02-15 正留 八木田 スコツプ
JPH0514016U (ja) * 1991-07-31 1993-02-23 川重鉄構工事株式会社 ボツクス柱の組立ライン用コンベア
JP3022156U (ja) * 1995-08-30 1996-03-22 和光機械工業株式会社 長尺被加工材の供給支持装置
KR20100041063A (ko) * 2008-10-13 2010-04-22 (주)한국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기판 반송장치
KR102106595B1 (ko) * 2016-01-22 2020-05-04 (주)엘지하우시스 가압롤러 교체형 프로파일 래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156B2 (ja) * 1994-05-10 2000-03-15 松下電工株式会社 駐車場管制システム装置
JP6005099B2 (ja) * 2014-04-24 2016-10-12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2U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377Y1 (ko) 자재이송용 승강식 받침장치
US2967627A (en) Door dolly and jack
US3404884A (en) Balance beam adapter for gymnastic apparatus transporters
US4417426A (en) Support system
US10870963B2 (en) Support assembly for a building structure
US9776547B2 (en) Height adjustable loading ramp
US2982050A (en) Adjustable support for drafting table
US20050279975A1 (en) Appliance lift tool
DE102006049551B4 (de) Transportwagen
KR101712189B1 (ko) 지게차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지그
US20120126085A1 (en) Versatile Lift For Chair, Recliner Or Objects
KR102016109B1 (ko)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WO2001068313A1 (en) Welding roller stand for rotation welding
KR101424104B1 (ko) 루프탑 텐트용 리프트
US20150368079A1 (en) Load supporting and orienting apparatus for a lift device
US2152946A (en) Wheeled supporting means particularly for furniture
GB2278811A (en) Trolley for use in hanging a door
CN201193200Y (zh) 便携式升降装置
US2817436A (en) Outboard mot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racks
US4909000A (en) Folding grandstand
US11649677B2 (en) Movable ladder
EP1992586A2 (en) Mechanism for adjusting distance between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US9764753B2 (en) Apparatus for repositioning a piano
KR102268727B1 (ko) 고임목 장치를 갖는 테이블 리프트
JP3200577U (ja) 室外機仮置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